KR20230039911A - 침선용 싱커체인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침선용 싱커체인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911A
KR20230039911A KR1020210122840A KR20210122840A KR20230039911A KR 20230039911 A KR20230039911 A KR 20230039911A KR 1020210122840 A KR1020210122840 A KR 1020210122840A KR 20210122840 A KR20210122840 A KR 20210122840A KR 20230039911 A KR20230039911 A KR 20230039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er
chain
ship
hull
abando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상현
Original Assignee
해주이엔씨 (주)
백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주이엔씨 (주), 백상현 filed Critical 해주이엔씨 (주)
Priority to KR1020210122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9911A/ko
Publication of KR20230039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9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14Hawse-holes; Hawse-pipes; Hawse-hol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26Anchors securing to bed
    • B63B21/29Anchors securing to bed by weight, e.g. flukeless weight anchors

Abstract

본 발명은 폐선박을 해저면으로 가라앉혀 설치되는 침선이 그 설치된 위치로부터 이동되지 않도록 폐선박의 선체 부분을 해저면의 고정싱커와 연결시키는 데 사용되는 싱커체인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선박의 선체측과 연결 설치되는 싱커체인의 일측 단부를 폐선박의 선체 하측부에 제공된 체인구멍을 거쳐 선체의 내측 바닥공간으로 타설 및 경화되는 밸러스트 콘크리트상에 매입시키도록 하며, 상기 체인구멍은 밸러스트 콘크리트의 상부에 형성시켜 방수커버로 밀폐시켜 놓았다가 폐선박을 해저면으로 가라앉히기 직전에 개방시키는 한편, 상기 싱커체인은 방수커버의 개방 직후 또는 폐선박을 해저면으로 가라앉힌 이후에 선체의 외부로 빼내어 고정싱커와 연결시키도록 함으로서, 상기 싱커체인을 선체의 상단측이나 갑판상의 구조물에 연결시켰던 종래의 경우와 비교하여 싱커체인의 자중에 의한 침선의 기울어짐이나 이동 및 싱커체인의 연결부에 발생하는 부식과 파손 등에 의한 싱커체인의 탈락현상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해저면에 설치된 침선이 그 설치된 위치에서 보다 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침선용 싱커체인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침선용 싱커체인의 설치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sinker chain for sunken ship}
본 발명은 폐선박을 해저면으로 가라앉혀 설치되는 침선이 그 설치된 위치로부터 이동되지 않도록 폐선박의 선체 부분을 해저면의 고정싱커와 연결시키는 데 사용되는 싱커체인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선(沈船)은 해저면에 가라앉은 선박을 말하는 것으로서, 조난이나 좌초 등의 해상사고로 인하여 침몰한 선박이 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어초를 시설하거나 바다낚시터(침선낚시터)를 조성시키거나 다이버들을 위한 수중체험공간 또는 수중훈련장을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목적에 맞추어 육상에서의 사전 준비작업을 거친 폐선박(2)을 특정 수역(水域)에서 인위적으로 가라앉혀 해저면상에 설치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폐선박(2)을 해저면으로 가라앉혀 침선(1)을 설치하기 위한 육상에서의 사전 준비작업은 갑판(4)과 좌,우 선측(船側)이 포함된 선체(3)로부터 선실과 조타실 등이 포함된 상층구조물(5)에 이르기까지 폐선박(2)의 전체적인 외관은 그대로 유지시키되, 선체(3)의 내부 중 엔진실과 같이 주된 오염원을 포함하는 일부분을 잘라내어 빈 공간으로 조성시키거나, 선체(3)의 내부 전체를 빈 공간으로 조성시켜 오염원을 제거한 다음, 선체(3)의 내측 바닥공간에 밸러스트 콘크리트(Ballast concrete)를 타설 및 경화시키는 한편, 좌,우 선측 및 갑판(4)에는 해수의 소통과 다이버의 출입을 위한 통로구멍을 여러 개소에 걸쳐 형성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육상에서의 사전 준비작업이 완료된 이후, 해당 폐선박(2)을 바지선과 함께 예인하여 침선(1)의 시설이 요구되는 수역으로 이동시킨 다음, 밸러스트 콘크리트의 직상부에 해당하는 폐선박(2)의 좌,우 선측 일부에 소정 크기의 구멍을 내어 선체(3)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게 함으로서 폐선박(2)을 해저면으로 가라앉히게 되며, 이 과정에서 바지선에 설치된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폐선박(2)의 직립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컨트롤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폐선박(2)을 해저면상에 직립 상태로 안착시켜 놓은 경우에도, 선저(船底)의 중앙부가 뾰족하거나 둥글게 형성되는 선박 자체의 구조적인 특성으로 말미암아 해저면에 설치된 침선(1)이 강한 해류와 부딪혀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넘어질 우려가 매우 높게 되며, 이러한 상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육상의 사전 준비작업 단계에서 폐선박(2)을 이루는 선체(3)의 선수(船首) 또는 선체(3)의 선수와 선미(船尾) 하단측에 걸쳐 침선(1)용 지지구조물(6)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침선(1)용 지지구조물(6)은 선체(3)의 좌,우 하단측에서 침선(1)을 떠받치는 다리 형태의 프레임으로부터 선체(3)의 하단측 둘레 부분을 에워싸는 형태의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의 구조물이 적용되며, 상기 지지구조물(6)과 함께 해저면상에 설치된 침선(1)이 그 설치된 위치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폐선박(2)을 해저면으로 침설(沈設)하는 작업시 선체(3)의 상단측으로부터 싱커체인(7)을 연장시켜 이를 해저면상의 고정싱커(8)와 연결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침선(1)용 싱커체인(7)은 그 일측(도면상 좌측) 단부가 선체(3)의 상단측 난간이나 갑판(4)용 구조물상에 연결된 상태에서 해저면에 놓인 고정싱커(8)를 향하여 다소 큰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상당히 무거운 하중을 가지는 대형의 싱커체인(7)이 선체(3)의 상단측으로부터 고정싱커(8)에 이르기까지 일정한 각도의 사선(斜線)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도 1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자중에 의하여 하부 방향으로 크게 처지는(늘어지는)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해저면상에 설치된 침선(1)을 싱커체인(7)이 일측(도면상 우측) 하방으로 당겨내는 결과를 초래함으로서, 하부측의 지지구조물(6)이 침선(1)을 지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싱커체인(7)이 설치된 방향으로 침선(1)이 기울어짐에 따라 그 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싱커체인(7)을 선체(3)의 좌,우 양측부를 따라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할 경우에는 싱커체인(7)의 설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침선(1)의 선체(3) 좌,우 양측에 싱커체인(7)을 연결시켜 침선(1) 자체의 안정성을 어느 정도 확보하더라도 각각의 싱커체인(7)이 하부 방향으로 크게 처지는 현상은 여전히 발생하게 되며, 이 경우 싱커체인(7)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는 선체(3)의 상단측 난간 또는 갑판(4)용 구조물상에 싱커체인(7)의 자중에 의한 인장하중이 집중적으로 작용하여 싱커체인(7)의 연결부위가 쉽게 손상 및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현상이 해수에 의한 부식작용으로 말미암아 빠르게 촉진됨으로서, 결국에는 싱커체인(7)이 침선(1)으로부터 분리 및 탈락되어 침선(1)의 고정(고박:固縛)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싱커체인(7)과 함께 침선(1)의 위치고정에 사용되는 고정싱커(8)는 통상 육면체 형상의 콘크리트 블록으로 제작되는 바, 이러한 고정싱커(8)와 싱커체인(7)을 이용하여 침선(1)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블록으로 제작되는 고정싱커(8)가 상당한 무게와 부피를 가져야 하며, 이로 인하여 육상에서 고정싱커(8)를 제작하는 작업 뿐만 아니라 침선(1)용 폐선박(2)과 함께 고정싱커(8)를 특정 수역으로 운반하여 설치하는 작업에도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침선용 폐선박의 선체측과 연결 설치되는 싱커체인의 일측 단부를 폐선박의 선체 하측부에 제공된 체인구멍을 거쳐 선체의 내측 바닥공간으로 타설 및 경화되는 밸러스트 콘크리트상에 매입시키도록 하며, 상기 체인구멍은 밸러스트 콘크리트의 상부에 형성시켜 방수커버로 밀폐시켜 놓았다가 폐선박을 해저면으로 가라앉히기 직전에 개방시키는 한편, 상기 싱커체인은 방수커버의 개방 직후 또는 폐선박을 해저면으로 가라앉힌 이후에 선체의 외부로 빼내어 고정싱커와 연결시킴으로서, 상기 싱커체인의 자중에 의한 침선의 기울어짐이나 이동 및 싱커체인의 연결부에 발생하는 부식과 파손 등에 의한 싱커체인의 탈락현상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콘크리트 블록으로 제작되는 상기 고정싱커의 바닥면에 다수 개의 형강프레임을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여 해저면에 대한 고정싱커의 지지력을 크게 향상시킴으로서, 침선의 위치고정에 필요한 고정싱커의 무게와 부피도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침선용 싱커체인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폐선박을 해저면으로 가라앉혀 설치되는 침선이 그 설치된 위치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폐선박의 선체 부분에 일측단이 연결 설치되고 해저면의 고정싱커에 타측단이 연결 설치되는 싱커체인에 있어서, 상기 싱커체인의 일측단은 폐선박의 선체 하측부에 제공된 체인구멍을 거쳐 선체의 내측 바닥공간에 타설 및 경화된 밸러스트 콘크리트의 내부로 매입 설치되고, 상기 체인구멍의 위치는 밸러스트 콘크리트의 상부측이 되며, 상기 체인구멍은 방수커버로 밀폐된 상태를 이루었다가 폐선박을 해저면으로 가라앉히기 직전에 방수커버의 분리에 의하여 개방되고, 상기 싱커체인은 방수커버의 개방 직후 또는 폐선박을 해저면으로 가라앉힌 이후에 선체의 외부로 빼내어 고정싱커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싱커는 콘크리트 블록으로 제작되는 싱커본체와, 상기 싱커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최소 3개 이상의 형강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형강프레임 상단측 부분은 싱커본체를 이루는 콘크리트 블록의 내부로 매입되어 싱커본체와 일체로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침선용 싱커체인의 일측단을 폐선박의 선체 내측 바닥공간에 설치된 밸러스트 콘크리트상에 매입시키는 한편, 밸러스트 콘크리트의 직상부에 해당하는 선체측의 체인구멍을 거쳐 해저면의 고정싱커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싱커체인을 선체의 상단측 난간이나 갑판용 구조물에 연결시켰던 종래의 경우와 비교하여 싱커체인이 하부 방향으로 과도하게 처지는(늘어지는) 현상 및 이로 인한 침선의 불필요한 기울어짐이나 이동 및 싱커체인의 연결부에 발생하는 부식과 파손 등에 의한 싱커체인의 분리와 탈락현상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콘크리트 블록 재질의 고정싱커 바닥면에 다수 개의 형강프레임을 수직 방향으로 고정 설치함으로서, 해저면에 대한 고정싱커의 지지력(마찰력)을 크게 향상시켜 해저면에 설치된 침선이 상기 싱커체인과 고정싱커에 의하여 그 설치된 위치에서 보다 더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는 한편, 상기 형강프레임을 이용하여 침선의 위치고정에 필요한 고정싱커의 무게와 부피를 최대한으로 줄임으로서, 육상에서 고정싱커를 제작하는 작업으로부터 침선용 폐선박과 함께 고정싱커를 특정 수역으로 운반하여 설치하는 작업을 한층 더 손쉽고 경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침선용 싱커체인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침선용 싱커체인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정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도 3의 체인구멍이 밀폐된 상태의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정싱커의 상부측과 하부측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침선(1)용 폐선박(2)의 경우에도 종래의 기술내용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갑판(4)과 좌,우 선측이 포함된 선체(3)로부터 선실과 조타실 등이 포함된 상층구조물(5)에 이르기까지 폐선박(2)의 전체적인 외관은 그대로 유지시키되, 선체(3)의 내부 중 엔진실과 같이 주된 오염원을 포함하는 일부분을 잘라내어 빈 공간으로 조성시키거나, 선체(3)의 내부 전체를 빈 공간으로 조성시켜 오염원을 제거한 것이다.
이와 더불어, 선체(3)의 좌,우 선측 부분과 갑판(4)상에 해수의 소통과 다이버의 출입을 위한 개구부(미도시)를 여러 개소(個所)에 걸쳐 형성시키고, 선체(3)의 내측 바닥공간에 밸러스트 콘크리트(9)를 타설 및 경화시키는 한편, 필요시 선체(3)의 좌,우 선측 부분이 수압이나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찌그러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선체(3)의 좌,우 내측면에 벽체보강 콘크리트(미도시)를 타설시킬 수도 있으며, 선체(3)의 외부 하단측에는 종래의 기술내용에서 설명되어진 것과 같은 침선(1)용 지지구조물(6)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침선(1)용 싱커체인(7)의 설치구조는 도 2 및 도 3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폐선박(2)의 선체(3) 부분에 싱커체인(7)의 일측단이 연결 설치되고 해저면의 고정싱커(8)에 싱커체인(7)의 타측단이 연결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싱커체인(7)의 일측단이 폐선박(2)의 선체(3) 하측부에 제공된 체인구멍(10)을 거쳐 선체(3)의 내측 바닥공간에 타설 및 경화된 밸러스트 콘크리트(9)의 내부로 매입(埋入) 설치되도록 한 것이며, 밸러스트 콘크리트(9)와 싱커체인(7)의 연결작업 및 체인구멍(10)의 형성작업은 폐선박(2)을 침선(1)으로 설치하기 위한 육상에서의 사전 준비작업시 수행된다.
상기 체인구멍(10)이 형성되는 위치는 밸러스트 콘크리트(9)의 직상부에 해당하는 선체(3)측이 가장 바람직하고, 선체(3)의 내부구조물에 의한 간섭 등의 요인으로 밸러스트 콘크리트(9)의 직상부에 체인구멍(10)을 형성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체인구멍(10)이 형성되는 위치는 갑판(4)까지에 해당하는 선체(3)의 높이를 기준으로 그 1/2을 넘어가는 위치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싱커체인(7)이 선체(3)와 연결되는 위치를 최대한으로 낮추어 싱커체인(7)이 하부 방향으로 과도하게 처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폐선박(2)의 침설작업시 선체(3)의 내부에 있던 싱커체인(7)을 체인구멍(10)을 따라 외부로 신속하게 빼낼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싱커체인(7)용 체인구멍(10)을 육상에서의 사전 준비작업시에 형성시키게 되면, 폐선박(2)을 해저면으로 가라앉히기 위하여 선체(3)에 형성시켜야 할 구멍을 상기 체인구멍(10)으로 대체시킬 수 있기 때문에, 침선(1)의 설치에 필요한 해상작업을 줄이는 측면에서도 유리한 잇점을 제공하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침선(1)이 설치되는 수역으로 폐선박(2)을 이동시킨 다음 상기 체인구멍(10)을 해상에서 용접기로 절단하여 형성시키는 방식도 가능하지만, 이러한 해상작업은 매우 위험하고 까다로운 작업이 되므로 가급적 육상작업시에 체인구멍(10)을 미리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인구멍(10)을 육상작업시에 형성시킬 경우, 침선(1)이 설치되는 수역으로 폐선박(2)을 이동시키는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체인구멍(10)을 방수커버(11)로 밀폐하여 놓았다가 폐선박(2)을 해저면으로 가라앉히기 직전에 방수커버(11)의 분리작업을 거쳐 체인구멍(10)을 개방시키도록 하며, 해당 시점까지 폐선박(2)의 선체(3) 내부에 투입되어 있던 싱커체인(7)은 방수커버(11)의 개방 직후 또는 폐선박(2)을 해저면으로 가라앉힌 이후에 선체(3)의 외부로 빼내어 고정싱커(8)와 연결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방수커버(11)는 침선(1)이 설치되는 수역까지 폐선박(2)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체인구멍(10)을 수밀(水密) 가능하게 안정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방식으로 설치되더라도 무방하고, 그 대표적인 일례를 들자면 체인구멍(10)의 내주면을 따라 방수패드(미도시)를 개재시킨 상태로 끼움 삽입되는 커버체의 외주면에 조립플랜지가 제공된 것이며, 상기 조립플랜지는 조립볼트 등을 이용하여 선체(3)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상에 방수커버(11)를 착탈 가능하게 조립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특히, 도 4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수커버(11)를 선체(3)의 내측면상에 조립시켜 놓은 경우에는 해당 방수커버(11)의 분리작업도 해상이 아닌 선체(3)의 내부공간에서 보다 더 손쉽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해당 작업시 상기 폐선박(2)은 바지선에 설치된 크레인에 의하여 해수면상에 안전히 위치될 것이고, 방수커버(11)의 분리작업을 완료하고 작업자들이 폐선박(2)의 외부로 모두 빠져 나온 이후에 크레인을 이용하여 폐선박(2)을 해저면으로 가라앉히게 되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침선(1)용 싱커체인(7)과 함께 사용되는 고정싱커(8)를 나타낸 것으로서, 콘크리트 블록으로 제작되는 싱커본체(12)와, 상기 싱커본체(12)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형강프레임(1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형강프레임(13) 상단측 부분은 싱커본체(12)를 이루는 콘크리트 블록의 내부로 매입되어 싱커본체(12)와 일체로 연결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싱커본체(12)의 측면부상에 싱커체인(7)의 연결고리(14)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블록으로 제작되는 싱커본체(12)의 바닥면상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형강프레임(13)을 수직 방향으로 고정 설치하게 되면, 싱커본체(12)의 하중이 각각의 형강프레임(13) 하단부로 집중되어 각각의 형강프레임(13)이 해저면을 통한 침투다리의 기능을 수행하게 됨으로서, 해저면에 대한 고정싱커(8)의 지지력(마찰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침선(1)의 안정적인 위치고정을 목적으로 고정싱커(8)에 요구되는 무게와 부피를 크게 줄이더라도 고정싱커(8)의 고유기능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기준으로 할 경우, 상기 싱커본체(12)의 바닥면상에 총 6개의 H빔이 형강프레임(13)으로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형강프레임(13)은 싱커본체(12)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최소 3개 이상으로 설치되어야 하고, 형강프레임(13)의 설치개수를 늘릴수록 해저면에 대한 고정싱커(8)의 지지력은 배가되지만, 불필요하게 많은 개수의 형강프레임(13)을 싱커본체(12)에 설치하는 것은 다소 비경제적이기 때문에, 형강프레임(13)의 설치개수는 가급적 10개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싱커(8)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형강프레임(13)의 높이 또한 최대 1.5m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형강프레임(13)의 경우에도 H빔 이외의 다른 여러 가지 형강 소재가 적용될 수 있고, 상기 형강프레임(13)을 대신하여 구조적 강도가 우수한 다른 금속제 프레임을 설치하거나, 싱커본체(12)와 일체로 타설 및 경화되는 다수 개의 콘크리트 다리를 설치하는 방식도 가능하며, 고정싱커(8)를 이루는 싱커본체(12)의 외관 형상 역시 도면에 도시된 육각 블록 형상 이외에도 기존의 육면체(사각 블록) 형상으로부터 원형 블록이나 다각 블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침선(1)용 싱커체인(7)의 일측단을 폐선박(2)의 선체(3) 내측 바닥공간에 설치된 밸러스트 콘크리트(9)상에 매입시키는 한편, 밸러스트 콘크리트(9)의 직상부에 해당하는 선체(3)측의 체인구멍(10)을 거쳐 해저면의 고정싱커(8)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싱커체인(7)을 선체(3)의 상단측 난간이나 갑판(4)용 구조물에 연결시켰던 종래의 경우와 비교하여 싱커체인(7)이 하부 방향으로 과도하게 처지는(늘어지는) 현상 및 이로 인한 침선(1)의 불필요한 기울어짐이나 이동 및 싱커체인(7)의 연결부에 발생하는 부식과 파손 등에 의한 싱커체인(7)의 분리와 탈락현상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콘크리트 블록 재질의 고정싱커(8) 바닥면에 다수 개의 형강프레임(13)을 수직 방향으로 고정 설치함으로서, 해저면에 대한 고정싱커(8)의 지지력을 크게 향상시켜 해저면에 설치된 침선(1)이 상기 싱커체인(7)과 고정싱커(8)에 의하여 그 설치된 위치에서 보다 더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는 한편, 상기 형강프레임(13)을 이용하여 침선(1)의 위치고정에 필요한 고정싱커(8)의 무게와 부피를 최대한으로 줄임으로서, 육상에서 고정싱커(8)를 제작하는 작업으로부터 침선(1)용 폐선박(2)과 함께 고정싱커(8)를 특정 수역으로 운반하여 설치하는 작업을 한층 더 손쉽고 경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1 : 침선 2 : 폐선박
3 : 선체 4 : 갑판
5 : 상층구조물 6 : 지지구조물
7 : 싱커체인 8 : 고정싱커
9 : 밸러스트 콘크리트 10 : 체인구멍
11 : 방수커버 12 : 싱커본체
13 : 형강프레임 14 : 연결고리

Claims (2)

  1. 폐선박(2)을 해저면으로 가라앉혀 설치되는 침선(1)이 그 설치된 위치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폐선박(2)의 선체(3) 부분에 일측단이 연결 설치되고 해저면의 고정싱커(8)에 타측단이 연결 설치되는 싱커체인(7)에 있어서,
    상기 싱커체인(7)의 일측단은 폐선박(2)의 선체(3) 하측부에 제공된 체인구멍(10)을 거쳐 선체(3)의 내측 바닥공간에 타설 및 경화된 밸러스트 콘크리트(9)의 내부로 매입 설치되고, 상기 체인구멍(10)의 위치는 밸러스트 콘크리트(9)의 상부측이 되며,
    상기 체인구멍(10)은 방수커버(11)로 밀폐된 상태를 이루었다가 폐선박(2)을 해저면으로 가라앉히기 직전에 방수커버(11)의 분리에 의하여 개방되고, 상기 싱커체인(7)은 방수커버(11)의 개방 직후 또는 폐선박(2)을 해저면으로 가라앉힌 이후에 선체(3)의 외부로 빼내어 고정싱커(8)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선용 싱커체인의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싱커(8)는 콘크리트 블록으로 제작되는 싱커본체(12)와, 상기 싱커본체(12)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최소 3개 이상의 형강프레임(13)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형강프레임(13) 상단측 부분은 싱커본체(12)를 이루는 콘크리트 블록의 내부로 매입되어 싱커본체(12)와 일체로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선용 싱커체인의 설치구조.
KR1020210122840A 2021-09-15 2021-09-15 침선용 싱커체인의 설치구조 KR202300399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840A KR20230039911A (ko) 2021-09-15 2021-09-15 침선용 싱커체인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840A KR20230039911A (ko) 2021-09-15 2021-09-15 침선용 싱커체인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911A true KR20230039911A (ko) 2023-03-22

Family

ID=86005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840A KR20230039911A (ko) 2021-09-15 2021-09-15 침선용 싱커체인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99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13170A1 (en) Temporary floatation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
US6503022B1 (en) Bouyant moon pool plug
KR20230039911A (ko) 침선용 싱커체인의 설치구조
US3890794A (en) Method of replacing piling
US4193714A (en) Method for erecting a deck on a marine structure
EP0830280B1 (en) Hollow concrete-walled structure for marine use
JPH1193129A (ja) 桟橋上部工の施工法
JP4630500B2 (ja) 水中・水上構造物支保工用浮き桁材
KR102465952B1 (ko) 침선어초 지지용 스프레더
JP2561176B2 (ja) 鉛直係留式洋上浮遊構造物用テンプレート設置方法
JP2590044B2 (ja) 水中構造物の建造設備
JPH09195281A (ja) 海上におけるケーソンの据付方法
CN104481147B (zh) 一种离岸钢筋混凝土框架结构快速施工方法
KR100911836B1 (ko) 고강도 바지선
JP2001003332A (ja) ケーソン沈設方法とケーソン沈設用フロータ
JP3380341B2 (ja) 水上浮体構造物の補修工法
KR100911837B1 (ko) 고강도 바지선
JP2012052351A (ja) 浚渫汚濁拡散防止装置
KR101315996B1 (ko) 선측 외판 해수침입 방지 불워크 장치
GB1590627A (en) Anchor
JPS5911021B2 (ja) セル運搬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240040523A (ko) 나선형 돌출부를 구비하는 해상 교량용 교각 및 이의 제조방법
JP3875925B2 (ja) 人工漁礁
JPS6130486A (ja) 船舶を改造した浮きドツグ
JPH101924A (ja) 3アーチ脚柱鋼管基礎から成る開閉式防波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