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807A -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807A
KR20230039807A KR1020210121690A KR20210121690A KR20230039807A KR 20230039807 A KR20230039807 A KR 20230039807A KR 1020210121690 A KR1020210121690 A KR 1020210121690A KR 20210121690 A KR20210121690 A KR 20210121690A KR 20230039807 A KR20230039807 A KR 20230039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zone
negative pressure
room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7999B1 (ko
Inventor
신대건
송은화
이충범
윤해수
강광진
양진우
이은택
이성재
정은영
김수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피엔씨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피엔씨,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피엔씨
Priority to KR1020210121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999B1/ko
Publication of KR20230039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A61G10/023Room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at over- or under-pressure or at a variabl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5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combined with a d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24F2011/000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to create overpressure in a roo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Abstract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은 공동 주택의 특정 구역을 읍압실과 동일한 조건으로 운영할 수 있어 감염자 발생시 자가 격리를 실시하면서도 가족 구성원과 정성적인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함께 생활이 가능하여 특화된 환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Room by room control ventilation system for positive volume for common house and negative pressure room}
본 발명은 공동 주택에 설치되는 환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염성 바이러스 및 세균은 대기를 통해서 전염되므로 전염성 바이러스 및 세균에 감염된 전염성 환자는 일반 환자와 다르게 바이러스가 전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격리된다.
일 예로 상기 전염성 환자는 음압실에 격리 수용되며, 상기 음압실은 내부가 상압보다 낮은 압력이 유지됨에 따라 병실 내의 공기 또는 에어로졸(aerosol)이나 비말 중에 포함된 감염성 병원체가 외부로 전파되지 않도록 하여 바이러스 확진 판정을 받은 환자를 외부 또는 일반 환자들과 격리시켜 감염 우려없이 치료하기 위해 구비된다.
감염자는 일상 생활에 그대로 노출될 경우 비말이 눈, 코, 입의 점막을 통해 타인 또는 가족에게 전파된 후에 소정 기간의 잠복기를 거친 뒤에 발열 및 기침이나 호흡곤란 등과 같은 호흡기 증상 또는 폐렴과 같은 병증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호흡기를 통해 전파되는 감염병은 감염자가 별도의 격리 시설에서 일정 기간 동안 거주하거나 감염자의 집에서 자체적으로 자가 격리하면서 외부 전파를 차단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음압실은 주로 대형병원에 설치된 시설로 생명이 위독한 응급 환자 위주로 병실 배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경증의 감염자 또는 잠복기 환자는 음압실을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공동주택은 하나의 건물에 서로 독립적인 여러 세대가 공동으로 거주하는 주거 형태로 예를 들면 아파트 또는 연립주택 또는 다세대 주택등이 이에 해당된다.
근래에는 공동 주택에 환기장치가 설치되면서 실내 공기를 실외 공기와 환기시켜 항상 실내가 쾌적하도록 유지시키고 있으며 상기 감염자가 상기 공동 주택에서 집에서 자체적으로 자가 격리될 경우 음압의 조건에서 생활할 수 있는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1646524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공동 주택에 거주하는 가족 구성원 중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자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가족 구성원과 함께 공동 주택에 거주하면서 음압이 유지되는 특정 구역에 별도로 격리된 상태로 생활할 수 있도록 환기 유닛이 작동됨으로써 호흡기로 전파되는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은 공동 주택의 환기 구역(Z)에 대한 환기와 열교환을 위해 구비되고, 상기 환기 구역(Z) 중 특정 구역(Za)만을 양압 상태로 공기 순환을 실시하거나, 감염자가 재실 하는 특정 구역(Za)만을 음압 상태로 공기 순환을 실시하거나, 상기 특정 구역(Za)만 음압 상태로 유지하고 일반 구역(Zc)은 양압 상태로 공기 순환을 동시에 실시하는 어느 하나의 작동을 위해 구비된 환기 유닛(100); 상기 환기 유닛(100)과 함께 상기 특정 구역(Za) 및 욕실 구역(Zb)에 대한 급, 배기 비율을 조정하여 상기 특정 구역(Za)을 양압 또는 음압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된 급, 배기 유닛(200); 상기 환기 구역(Z) 중 상기 특정 구역(Za)과 상기 일반 구역(Zc) 및 상기 욕실 구역(Zb) 간의 압력차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 압력 감지 센서 유닛(300); 및 상기 압력 감지 센서 유닛(300)에서 감지한 정보를 전달 받아 상기 환기 구역(Z)으로 공급된 공기 순환 상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700)을 포함한다.
상기 환기 구역(Z)에 구비되고, 급기 또는 환기를 위한 유체의 개도량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디퓨저 유닛(500)과 함께 상기 특정 구역(Za)에 구비된 도어가 오픈 될 경우 상기 특정 구역(Za)으로 외부 기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기체가 분사되는 보조 디퓨저 유닛(6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환기 유닛(100)에는 제1 급기관(10)과, 제1 배기관(20)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배기관(20)은 상기 특정 구역(Za)으로 분기된 제1 분기 배기관(22)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급, 배기 유닛(200)은 제2 급기관(210)과, 제2 배기관(220)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 배기관(220)은 상기 욕실 구역(Zb)과 상기 특정 구역(Za)으로 분기된 제2 내지 3 분기 배기관(222, 224)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내지 3분기 배기관(222, 224)은 상기 제1 분기 배기관(22)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급, 배기 유닛(200)에는 상기 특정 구역(Za)의 음압 유무와, 상기 욕실 구역(Zb)의 사용 유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바이 패스 댐퍼 유닛(30)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 유닛(700)은 상기 특정 구역(Za)이 음압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욕실 배기 유닛(300)의 작동이 온(On) 될 경우에 상기 바이 패스 댐퍼 유닛(30)이 오픈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유닛(700)은 상기 특정 구역(Za)을 양압 상태로 유지시키는 양압 모드 제어; 상기 특정 구역(Za)을 음압 상태로 유지시키는 음압 모드 제어; 상기 일반 구역은 양압 상태로 유지시키고, 특정 구역(Za)은 음압 상태로 유지시키는 양, 음압 혼합 모드 제어를 선택적으로 실시하되, 상기 특정 구역(Za)이 양압 모드 또는 음압 모드 또는 양, 음압 혼합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될 경우에 상기 환기 유닛(100)을 통한 급, 배기 공기량과, 상기 급, 배기 유닛(200)의 급, 배기 공기량을 서로 상이하게 제어하여 환기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유닛(700)은 상기 욕실 구역에 구비된 도어가 클로즈 상태일 경우 상기 급, 배기 유닛(200)이 기 설정된 제1배기 모드로 작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욕실 구역에 구비된 도어가 오픈 될 경우 상기 급, 배기 유닛(200)이 최대 풍량으로 작동 되는 제2 배기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동 주택에는 특정 구역(Za)에 재실한 감염자의 재실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 동작 감지 센서(S1); 상기 특정 구역(Za)에 구비된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센서(Sd)가 구비되되, 상기 도어 개폐 센서(Sd)는 상기 특정 구역(Za)에 구비된 도어의 서로 다른 개도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 유닛(700)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기 구역(Z)에 대한 각종 정보가 표시되고 모드 선택을 위한 복수개의 버튼이 구비된 상태 표시부(800)가 구비된다.
상기 특정 구역(Za)에 구비된 도어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된 손잡이를 향해 살균 소독을 위한 소독제가 선택적으로 분사되는 소독 유닛(40)이 구비된다.
상기 제어 유닛(700)은 상기 음압 모드 제어 에서 상기 동작 감지 센서(S1)에서 감지한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감염자의 재실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특정 구역(Za)에 구비된 도어가 오픈 될 때 기 설정된 도어 오픈 가능 시간과 개도량에 해당되는지 판단하는 제1 단계; 상기 도어가 도어 오픈 가능 시간과 기 설정된 개도량을 초과하여 계속해서 열린 상태인지 여부와, 상기 감염자의 재실 여부를 동시에 판단하는 제2 단계; 상기 감염자의 재실 상태가 미 감지되고, 상기 도어의 오픈 상태가 지속될 경우 상기 감염자가 상기 특정 구역(Za)에서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감염자에게 이를 알리기 위한 알람 정보가 제공되는 제3 단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상기 감염자의 재실 상태와 상기 도어의 열림 유무 및 상기 특정 구역(Za)의 음압 상태를 재 감지하는 제4 단계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유닛(700)은 상기 감염자가 상기 특정 구역(Za)에서 일정 시간 이상 벗어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감염자가 이를 인지하도록 음성으로 안내하는 제1 비상 모드; 상기 소독 유닛(40)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특정 구역(Za)에 구비된 도어의 전면과 후면에 대한 소독과 살균을 실시하는 제2 비상 모드; 상기 감염자가 상기 특정 구역(Za)으로 이동된 이후에 상기 환기 구역(Z) 전체에 대한 강제 환기를 통해 실내에 부유 가능한 이물질에 대한 제거를 실시하는 제3 비상 모드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기 유닛(100)에는 외기 또는 환기에 포함된 세균을 제거하기 위해 구비된 살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살균 유닛은 복수개의 단위 필터로 이루어진 필터 유닛에 형성된 광 촉매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유닛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들은 공동 주택에 기본적인 환기를 실시하면서도 특정 구역을 음압 상태로 유지시켜 감염자가 독립된 공간에서 자체적인 자가 격리를 통해 호흡기를 통해 가족 구성원으로 전파되는 전염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들은 공동 주택에서 평상시에는 환기를 실시하고 감염자가 발생될 경우에만 병원과 같은 고가의 음압 시설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상황에 따라 편리하게 특정 구역과 욕실 및 드레스 실을 음압의 분위기로 조성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 예들은 감염자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가족 구성원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함께 생활하면서 거주가 가능하여 격리 기간 동안 정서적인 안정과 치유가 가능해 진다.
본 실시 예들은 감염자가 특정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에도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어 감염자의 불필요한 이동 동선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이 적용된 공동 주택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이 적용된 공동 주택의 특정 구역과 욕실 및 드레스 실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환기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급, 배기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제어 유닛과 연계된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디퓨저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환기 장치와 급, 배기 유닛을 통한 제어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상태 표시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제어 유닛에 의한 제어 상태를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제어 유닛에 의해 비상 모드에 따른 제어 상태를 도시한 순서도.
본 개시물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물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물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개시물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물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물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물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은 아파트 또는 연립주택 또는 다세대 주택과 같은 공동 주택에 거주하는 세대민 중에서 감염자가 발생될 경우에 해당 공동 주택에서 평상시와 같이 가족 구성원과 함께 거주하면서 음압 상태가 유지되는 조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환기 유닛이 작동됨으로써 자체적인 자가 격리 통해 호흡기로 전파되는 각종 전염성 질환을 예방하여 국가적 방역 체계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특정 구역만을 음압 상태 또는 양압 상태로 사용할 수 있어 각종 중증 질환자가 외부에서 유입되는 바이러스를 통해 감염되는 증상을 예방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의 OA(Outdoor air)는 외기를 의미하고, EA(Exhaust air)는 배기를 의미하며, SA(supply air)는 급기를 의미하고, 리턴 에어(RA)(Return Air)는 환기 구역(Z)에서 환기 장치로 돌아오는 공기를 의미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은 환기 유닛(100)과, 급, 배기 유닛(200)을 통해 후술할 환기 구역(Z)에 대한 환기를 실별로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한다. 그리고 압력 감지 센서 유닛(300)과 제어 유닛(700)을 통해 감지와 제어를 실시하여 공동 주택의 환기 구역(Z)에서 감염자와 가족 구성원이 동시에 생활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감염자의 심리적인 안정과 치유 및 가족 구성원 간의 정서적 단절을 예방하고 감염성 바이러스의 외부 확산을 최소화 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환기 유닛(100)은 공동 주택의 환기 구역(Z)에 대한 환기와 열교환을 위해 구비되고, 상기 환기 구역(Z) 중 특정 구역(Za)만을 양압 상태로 공기 순환을 실시하거나, 감염자가 재실 하는 특정 구역(Za)만을 음압 상태로 공기 순환을 실시하거나, 상기 특정 구역(Za)만 음압 상태로 유지하고 일반 구역(Zc)은 양압 상태로 공기 순환을 동시에 실시하는 어느 하나의 작동을 위해 구비된다.
참고로 상기 특정 구역(Za)은 가족 구성원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공용 욕실을 제외하고 욕실 구역(Zb)이 구비된 안방으로 한정하나, 방이 여러 개에 해당되고, 안방을 제외한 다른 방에도 욕실이 부속으로 구비될 경우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급, 배기 유닛(200)은 상기 환기 유닛(100)과 함께 상기 특정 구역(Za) 및 욕실 구역(Zb)에 대한 급, 배기 비율을 조정하여 상기 특정 구역(Za)을 양압 또는 음압 상태로 편리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압력 감지 센서 유닛(300)은 상기 환기 구역(Z) 중 상기 특정 구역(Za)과 상기 일반 구역(Zc) 및 상기 욕실 구역(Zb) 간의 압력차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압력 감지 센서 유닛(300)은 특정 구역(Za)과 일반 구역(Zc)에 대한 압력차이가 감지되고, 제어 유닛(700)을 통해 현재 특정 구역(Za)의 음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압력 감지 센서 유닛(300)은 일 예로 차압 센서가 사용되나 압력 차이를 감지할 수 있는 다른 구성으로도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700)은 상기 압력 감지 센서 유닛(300)에서 감지한 정보를 전달 받아 상기 환기 구역(Z)으로 공급된 공기 순환 상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환기 유닛(100)은 소정의 크기로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102)와, 상기 케이스(102)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02)을 통해 유입 및 유출되는 유체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폐열이 회수되는 열교환부(104)와, 상기 열교환부(104)의 일측에 구비된 단위 필터부(106)와, 환기가 필요한 환기 구역(Z)으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102)의 내부에 설치된 팬 부(108)를 포함한다.
상기 단위 필터부(106)는 복수개의 필터로 이루어지며 일 예로 프리 필터와, 탈취 필터와 헤파 필터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2)에는 중앙에 열교환부(104)가 위치되고, 상기 팬 부(108)는 외기를 환기 구역(Z)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1 급기 팬(108a)과, 상기 환기 구역(Z)에서 실외로 실내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제1 배기 팬(108b)이 구비된다. 상기 환기 유닛(100)은 일 예로 전열 교환기에 해당되고, 상기 전열 교환기는 환기 구역(Z)으로 유입되는 외기와, 상기 환기 구역(Z)에서 배기 되는 공기가 갖는 열 에너지가 서로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장비를 의미한다.
상기 케이스(102)에는 외기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102c)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급기 팬(108a)과 연통되고 제1 유입구(102c)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상기 단위 필터부(106)와 열교환부(104)를 경유한 후에 상기 제1 급기 팬(108a)을 통해 환기 구역(Z)으로 공급되도록 제1 급기구(102d)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2)에는 상기 환기 구역(Z)에서 외부로 환기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제1 환기구(102a)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 팬(108b)과 연통된 제1 배기구(102b)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2)에는 상기 제1 유입구(102c)에 외기량 조절을 위한 제1 댐퍼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환기구(102a)에는 배기량을 조절하기 위해 제2 댐퍼가 설치되어 있어 공기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환기 유닛(100)은 감염자가 미 발생될 경우에 환기 구역(Z)에 대한 환기를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고, 감염자가 발생될 경우에만 특정 구역(Za)을 음압 또는 양압 중의 어느 하나의 상태로 공기 순환을 실시할 수 있어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해 진다.
환기 유닛(100)은 환기 구역(Z)을 향해 전술한 제1 급기구(102d)에 주름관 형태의 제1 급기관(10)이 연결되고, 제1 환기구(102a)에는 주름관 형태의 제1 배기관(20)이 연결된다.
상기 제1 배기관(20)은 상기 특정 구역(Za)으로 분기된 제1 분기 배기관(2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급기관(10)에는 제1 분기 급기관(12)이 연결된다.
상기 환기 유닛(100)에는 외기 또는 환기에 포함된 세균을 제거하기 위해 구비된 살균 유닛(1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살균 유닛(110)은 복수개의 단위 필터로 이루어진 필터 유닛에 형성된 광 촉매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유닛이 사용된다.
본 실시 예는 필터 유닛의 광 촉매를 향해 LED광원(UV-A)을 조사할 경우 인체에 무해한 OH 라디칼의 산화력을 이용하여 살균과 소독을 실시할 수 있어 감염자의 분비물에 포함된 바이러스에 대한 상균과 소독을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살균 유닛(110)은 제1 환기구(102a)를 통해 이동된 일반 구역(Zc)의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가스, 세균, 악취, 유해성 유기물 등을 제거하기 위해 급기 팬(108a)과 전열 교환 유닛(104) 사이에 위치된다.
제어 유닛(700)이 특정 구역(Za)만을 양압 또는 음압 또는 양, 음압 혼합으로 작동시키는 경우에 대해서는 급, 배기 유닛(200)과 제어 유닛(700)을 설명하면서 후술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급, 배기 유닛(200)은 일 예로 특정 구역(Za)에 해당되는 안방의 욕실 구역(Zb)에 설치되어 외기를 상기 특정 구역(Zb)으로 공급 하거나, 상기 욕실 구역(Zb)의 공기를 실외측으로 배기 시켜 음압을 형성하기 위해 구비된다.
일 예로 급, 배기 유닛(200)은 상기 특정 구역(Za)이 양압일 경우에는 외기만 공급하고 실외로의 배기는 차단된다. 일 예로 특정 구역(Za)이 음압일 경우에는 외기 공급은 차단되고, 실외로의 공기 배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욕실 구역(Zb)을 음압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특정 구역(Za)에 대한 보조적인 음압 형성 수단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급, 배기 유닛(200)은 외형을 이루는 급, 배기 케이스(202)와, 상기 급 배기 케이스(202)의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203)을 매개로 영역이 구분된 어느 하나의 개별 영역에 급기 필터(204)가 설치되고, 다른 영역에 배기 필터(20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급, 배기 케이스(202)에는 상기 급기 필터(204)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2 급기 팬(206)이 구비되고, 상기 배기 필터(205)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2 배기 팬(207)이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급, 배기 유닛(200)에는 상기 제2 급기 팬(206)의 출구에 제2 급기관(210)이 결합되어 있어 상기 특정 구역(Za)으로 외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배기 팬(207)은 출구에 제2 배기관(220)이 결합되어 있어 상기 욕실 구역(Zb)과 특정 구역(Za)의 공기를 흡입한 후에 실외로 배출시켜 음압 형성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급, 배기 유닛(200)은 특정 구역(Za)에 부속된 드레스 실(Zd)에 대한 음압 형성을 실시할 수 있어 신속하게 안방에 대한 음압 형성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드레스 실(Zd)은 특정 구역(Za)과 연결되고 의류를 수납하기 위해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안방의 부속 공간으로 안방으로 사용되는 특정 구역(Za)을 음압 상태로 유지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구역에 해당된다.
최근에 건설된 공동 주택의 경우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특정 구역(Za)을 구획하여 드레스 실(Zd)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안정적인 음압 형성을 위해 드레스 실(Zd)에 대한 배기도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상기 제2 배기관(220)은 상기 욕실 구역(Zb)과 상기 특정 구역(Za)으로 분기된 제2 내지 3 분기 배기관(222, 224)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내지 3분기 배기관(222, 224)은 상기 제1 분기 배기관(22)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어 배기 되는 공기량을 증가시켜 상기 욕실 구역(Zb)과 드레스 실(Zd)에 대한 음압 형성을 보다 빠르게 실시할 수 있다.
특히 욕실 구역(Zb)은 안방과 독립된 구역에 해당되고 음압 형성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어 상기 급, 배기 유닛(200)을 이용하여 음압 형성을 위한 원활한 배기를 실시할 수 있다.
급, 배기 유닛(200)은 제2 분기 배기관(222)과 연결되는 제2 배기구(208)가 구비되고, 상기 제3 분기 배기관(224)과 연결되는 제3 배기구(209)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2 배기구(208)는 욕실 구역(Zb)으로 연장된 제2 분기 배기관(222)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욕실 구역(Zb)에 대한 읍압 형성을 실시할 때 대구경으로 형성된 제2 배기관(222)으로 이동된 공기를 제2 배기 팬(207)을 통해 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급, 배기 유닛(208)은 배기 필터(205)에 탈취 필터와 헤파 필터의 조합 또는 프리 필터와 탈취 필터 및 헤파 필터의 조합으로 구성하여 바이러스에 대한 살균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욕실 구역(Zb)과 함께 드레스 실(Zd)을 통한 배기는 대구경으로 형성된 상기 제3 분기 배기관(224)을 통해 상기 드레실 실(Zd)의 공기를 흡입한 뒤에 제2 배기 팬(207)을 통해 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는 욕실 구역(Zb)과 드레스 실(Zd)에 대한 음압 형성을 빠르게 실시하여 감염자의 분비물이 일반 구역(Zc)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급, 배기 유닛(200)에는 상기 특정 구역(Za)의 음압 유무와, 상기 욕실 구역(Zb)의 사용 유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바이 패스 댐퍼 유닛(230)이 구비된다.
상기 바이 패스 댐퍼 유닛(230)은 상기 제2 배기구(208)에 구비된 제1 바이 패스 댐퍼(232)와, 상기 제3 배기구(209)에 구비된 제2 바이 패스 댐퍼(23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바이 패스 댐퍼(232)는 개폐 작동을 위해 별도로 구비된 모터부(미도시)와 결합되어 기체의 개폐 상태가 조절되므로 정확한 공기량으로 욕실 구역(Zb)에 대한 음압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이 패스 댐퍼(234)는 제1 바이 패스 댐퍼(232)와 마찬가지로 별도로 구비된 모터부(미도시)와 결합되어 기체의 개폐 상태가 조절되므로 정확한 공기량으로 드레스 실(Zd)에 대한 음압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환기 구역(Z)은 경우에 따라 제1 바이 패스 댐퍼(232)와 제2 바이 패스 댐퍼(234)의 개도량을 서로 다르게 조절하여 배기량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후술할 제어 유닛(700)은 상기 특정 구역(Za)이 음압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욕실 배기 유닛(300)의 작동이 온(On) 될 경우에 상기 바이 패스 댐퍼 유닛(230)이 오픈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전술한 환기 유닛(100)과 급, 배기 유닛(200)을 통해 특정 구역(Za)에 해당되는 안방과 욕실 구역(Zb)에 대한 음압 형성을 안정적으로 도모하고, 일반 구역(Zc)에 대한 환기도 함께 수행할 수 있어 감염자의 유무에 상관 없이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첨부된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상기 환기 구역(Z)에 구비되고, 급기 또는 환기를 위한 유체의 개도량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디퓨저 유닛(500)과 함께 상기 특정 구역(Za)에 구비된 도어가 오픈 될 경우 상기 특정 구역(Za)으로 외부 기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기체가 분사되는 보조 디퓨저 유닛(6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디퓨저 유닛(500)는 전동 디퓨저가 사용되고, 내측에 오염 감지 센서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환기 구역(Z)의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다른 컬러로 표시되는 오염 상태 표시부(510)가 구비된다.
상기 오염 상태 표시부(510)는 재실자가 육안으로 오염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어 환기가 필요할 경우 디퓨저 유닛(500)을 통해 즉시 환기를 실시할 수 있어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데 보다 유리해 진다.
보조 디퓨저 유닛(600)은 일 예로 특정 구역(Za)의 도어 상측에 설치되나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안방에 구비된 도어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가 열릴 경우 기 설정된 음압 상태의 변동을 최소화 하고 거실 구역에서 안방으로 양압의 유입으로 인한 압력 차이가 발생되지 않도록 에어 커튼과 같이 기체가 도어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분사된다.
이 경우 거실로부터 안방으로의 기체 이동이 차단될 수 있어 안방의 음압 상태는 최소한으로 변동되고, 전술한 환기 유닛(100)과 급, 배기 유닛(200)을 통해 안방의 공기가 외부로 배기 되어 빠르게 기 설정된 설정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디퓨저 유닛(600)은 상기 안방의 내측을 향해 수직 하향되게 분사되거나, 안방 내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음압 변동이 최소화 되도록 분사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보조 디퓨저 유닛(600)의 설치 각도는 음압 변동이 최소화 되도록 특정 각도로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제어 유닛(700)은 환기 구역(Z)에 대해 감염자의 유무에 따라 서로 다른 상태로 환기 유닛(100)과 급, 배기 유닛(200)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일 예로 제어 유닛(700)은 상기 특정 구역(Za)을 양압 상태로 유지시키는 양압 모드 제어(ct1)를 실시하거나, 상기 특정 구역(Za)을 음압 상태로 유지시키는 음압 모드 제어(ct2)를 실시하거나, 상기 일반 구역은 양압 상태로 유지시키고, 특정 구역(Za)은 음압 상태로 유지시키는 양, 음압 혼합 모드 제어(ct3)를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음압 모드 제어(ct1)는 특정 구역(Za)에 해당되는 안방과 욕실 구역(Zb)과 드레스 실(Zd)을 음압이 유지되도록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기 시키는데, 환기 장치(100)와 급, 배기 유닛(200)을 통해 동시에 실시된다.
특히 음압 모드 제어(ct2)에서는 욕실 구역(Zb)과 드레스 실(Zd)에 대한 음압도 이루어지므로 감염자가 격리된 공간을 기 설정된 음압 조건으로 유지시켜 외부로 바이러스가 이동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양압 모드 제어(ct1)는 환기 유닛(100)을 통해 급기와 배기가 모두 이루어지고, 상기 급, 배기 유닛(200)을 통해서 배기는 클로즈된 상태로 급기 비율이 선택적으로 조정된다.
양압 모드 제어(ct1)에서는 환기 유닛(100)이 급기와 배기 비율이 선택적으로 조정되어 양압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된다.
이 경우 환기 유닛(100)에 구비된 제1 급기 팬(108a)과 제1 배기 팬(108b)이 모두 작동되되, 분당 회전수가 특정 비율로 조정되어 환기 구역(Z) 또는 특정 구역(Za)에 대한 양압 상태를 유지시킨다.
양압 모드 제어(ct1)는 음압 모드 제어(ct2)와 같이 특정 구역(Za)만 양압으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음압 모드 제어(ct2)는 전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양, 음압 혼합 모드 제어(ct3)는 특정 구역(Za)은 음압 모드로 제어하고, 특정 구역(Za)을 제외한 일반 구역(Zc)은 양압 모드로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특정 구역(Za)은 실외 공기를 급기 하지 않고 배기만 실시하거나, 배기 비율을 증가시키고, 상기 일반 구역(Zc)은 디퓨저 유닛(500)을 통해 급기와 배기를 동시에 실시한다.
본 실시 예는 상기 특정 구역(Za)이 양압 모드 또는 음압 모드 또는 양, 음압 혼합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될 경우에 상기 환기 유닛(100)을 통한 급, 배기 공기량과, 상기 급, 배기 유닛(200)의 급, 배기 공기량을 서로 상이하게 제어하여 환기를 실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유닛(700)은 상기 특정 구역(Za)을 음압 모드로 제어할 때 환기 유닛(100)을 통한 배기량과 급, 배기 유닛(200)을 통한 배기량이 더해진 배기량으로 음압 상태를 유지시킨다.
일 예로 거실과 특정 구역(Za)의 음압차는 -2.5pa 이상 유지될 때까지 환기 유닛(100)과 급, 배기 유닛(200)의 배기 비율을 조절하여 기 설정된 음압 상태로 유지시킨다.
상기 제어 유닛(700)은 상기 욕실 구역(Zb)에 구비된 도어가 클로즈 상태일 경우 상기 급, 배기 유닛(200)이 기 설정된 제1배기 모드로 작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욕실 구역에 구비된 도어가 오픈 될 경우 상기 급, 배기 유닛(200)이 최대 풍량으로 작동 되는 제2 배기 모드로 제어 한다.
제어 유닛(700)은 욕실 구역(Zb)의 도어가 클로즈 될 경우 음압 형성을 위한 공간이 안방에 비해 작기 때문에 전술한 제2 배기 팬(207)을 최대 알피엠으로 작동시키지 않고 기 설정된 알피엠에 해당되는 제1 배기 모드로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만약 감염자가 욕실 사용을 위해 상기 욕실 도어를 오픈하거나, 욕실 사용 후 계속해서 욕실 도어가 오픈 된 상태가 유지될 경우 제2 배기 모드가 실시되도록 상기 제2 배기 팬(207)을 최대 알피엠으로 작동시켜 상기 욕실 구역(Zb)에 대한 신속한 배기를 실시한다.
상기 제어 유닛(700)은 욕실 배기를 실시할 때 욕실 구역(Zb)만 배기 되도록 제어하거나, 드레스 룸(Zd) 구역도 함께 배기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배기 모드의 경우에는 제1 바이 패스 댐퍼(232)는 풀 오픈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제2 바이패스 댐퍼(234)는 클로즈 시키거나 개도량을 조절하여 욕실 구역(Zb)에 대한 신속한 배기를 실시할 수 있다.
제어 유닛(700)은 감염자가 목욕을 할 경우에 발생된 다량의 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제1 바이 패스 댐퍼(232)의 개도량을 조절하여 습기 배출을 효율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공동 주택에는 특정 구역(Za)에 재실한 감염자의 재실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 동작 감지 센서(S1)가 구비되고, 상기 특정 구역(Za)에 구비된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센서(Sd)도 함께 구비된다.
상기 동작 감지 센서(S1)는 일 예로 감염자가 자가 격리되는 안방에 설치될 수 있으나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동작 감지 센서(S1)는 제어 유닛(700)으로 감지 신호를 전송하여 감염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감염자가 안방에서 거실 또는 다른 방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폐 센서(Sd)는 상기 특정 구역(Za)에 구비된 도어의 서로 다른 개도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 유닛(700)으로 전송한다.
일 예로 안방에 구비된 안방 도어에 설치되어 제어 유닛(700)으로 개패 상태 및 개도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도어 개폐 센서(Sd)는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특정 센서로 한정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센서 이외에도 다른 센서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센서(Sd)는 안방의 욕실에 구비된 욕실 도어에 안방 욕실 도어 센서(Sd1)가 설치될 수 있으며 감염자의 욕실 사용에 따른 개도량을 감지하여 제어 유닛(700)으로 전송한다. 또한 안방에 구비된 안방 창문 도어에 안방 창문 도어 센서(Sd2)가 설치될 수 있어 감염자가 임의로 개폐하거나 개도량에 따른 정보가 상기 제어 유닛(700)으로 전송되어 안방에 대한 음압 상태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될 수 있다.
첨부된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거실 또는 특정 위치에 상기 환기 구역(Z)에 대한 각종 정보가 표시되고 모드 선택을 위한 복수개의 버튼이 구비된 상태 표시부(800)가 구비된다.
상기 상태 표시부(80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각종 정보 상태를 인지할 수 있고, 정전 방식으로 작동되는 터치식 버튼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사용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상태 표시부(800)에는 근접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 소정의 시간 동안 근접센서에 인식이 되지 않을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정보가 보이지 않도록 비활성화 되고, 상기 근접센서에 인식이 이루어질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에 각종 정보가 표시되도록 활성화 된다.
상태 표시부(800)에는 환기 장치(100)의 작동에 따른 모드가 개별 표시될 수 있으며, 열교환부(104)와 단위 필터부(106)에 대한 교체주기에 따른 알람도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환기 구역(Z)에 대한 각실 선택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산택 버튼이 활성화 되어 있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인지하고 선택하여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 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상태 표시부(800)에는 적어도 가족 구성원의 대표 번호 또는 이메일 정보가 복수 개로 저장 가능하도록 연락처 정보 저장부가 형성되어 있어, 휴대폰 번호 또는 이메일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연락처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는 특정 구역(Za)이 음압 또는 양압으로 운영되는 조건에서 긴급 또는 위급 상황이 발생되면 저장된 대표 번호로 안내 전화가 가거나 이메일로 긴급 상황에 따른 안내 멘트 또는 내용이 자동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예는 특정 구역(Za)에 구비된 도어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된 손잡이를 향해 살균 소독을 위한 소독제가 선택적으로 분사되는 소독 유닛(40)이 구비된다.
상기 소독 유닛(40)은 감염자가 안방에서 안방 도어를 통해 거실 또는 주방과 같은 위치로 이동한 후에 다시 안방으로 복귀할 때 사용자의 손과 접촉되는 안방 도어에 대한 소독을 위해 구비된다.
상기 소독 유닛(40)은 안방 도어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분사되도록 위치되거나, 상기 안방 도어와 마주보는 안방 도어의 내측에 매립 또는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안방 도어를 향해 소독제를 일시적으로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소독 유닛(40)은 소독제와, 상기 소독제를 안방 도어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소독제를 펌핑시켜 미세입자 형태로 분사 시키도록 구성된다.
제어 유닛(700)은 감염자가 안방에서 이동할 경우 안방 도어에 대한 살균을 위해 상기 소독 유닛(40)에서 안방 도어의 전면과 후면으로 각각 소독제가 분사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소독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안방 도어의 전후면에 소독제가 분사될 경우 감염자가 안방 도어를 사용할 때 접촉에 따른 소독이 이루어지면서 바이러스에 대한 살균과 외부 전파가 최소화 된다. 상기 소독 유닛(40)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소독제가 분사되도록 분사 설정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임의의 시간에 시간 설정을 통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첨부된 도 5 또는 도 9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제어 유닛(700)은 상기 음압 모드 제어 에서 상기 동작 감지 센서(S1)에서 감지한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감염자의 재실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특정 구역(Za)에 구비된 도어가 오픈 될 때 기 설정된 도어 오픈 가능 시간과 개도량에 해당되는지 판단하는 제1 단계(ST10)와, 상기 도어가 도어 오픈 가능 시간과 기 설정된 개도량을 초과하여 계속해서 열린 상태인지 여부와, 상기 감염자의 재실 여부를 동시에 판단하는 제2 단계(ST20)와, 상기 감염자의 재실 상태가 미 감지되고, 상기 도어의 오픈 상태가 지속될 경우 상기 감염자가 상기 특정 구역(Za)에서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감염자에게 이를 알리기 위한 알람 정보가 제공되는 제3 단계(ST30)와,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상기 감염자의 재실 상태와 상기 도어의 열림 유무 및 상기 특정 구역(Za)의 음압 상태를 재 감지하는 제4 단계(ST40)로 제어를 실시한다.
제1 단계(ST10)는 특정 구역(Za)인 안방 도어의 오픈 유무와 개도량에 관한 것으로, 전술한 도어 개폐 센서(Sd)에 의해 안방 도어가 일시적으로 열린 후에 닫힌 것인지 아니면 계속 열린 상태인지 판단한다.
일 예로 특정 구역(Za)에 해당되는 안방이 감염자가 재실한 상태일 경우 안방 도어는 오픈과 클로징에 따른 시간이 소정의 시간으로 사전에 설정된다.
즉 감염자가 안방에서 거실 또는 주방으로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되, 일시적으로 안방 도어가 열린 후에 닫히는 시간이 도어 오픈 가능 시간으로 사전에 입력된다. 상기 도어 오픈 가능 시간은 감염자에 대한 확인 또는 기타 필요한 생활 물품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안방 도어가 잠시 오픈 되었다가 클로즈 되는 시간에 해당된다.
본 실시 예는 상기 도어 오픈 가능 시간과 함께 안방 도어의 개도량에 대한 정보가 제어 유닛(700)으로 전송된다. 상기 개도량은 안방 도어가 얼마나 열린 것인지에 대한 것으로 상기 안방 도어의 전체 열림각을 제1 열림각으로 정의할 때 상기 감염자가 안정적으로 출입이 가능한 개도량은 제1 열림각 이상 안방 도어가 열릴 경우에 안정적으로 출입이 가능해 진다.
상기 안방 도어가 제1 열림각 이상 열린 상태가 유지될 경우 안방에서 거실 공간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열림각 보다 작게 열릴 경우 일시적으로 열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2 단계(ST20)는 전술한 제1 단계(S1)를 전제로 안방 도어가 도어 오픈 가능 시간과 기 설정된 개도량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감염자가 안방에 재실한 상태인지 동작 감지 센서(S1)를 통해 감지되어 제어 유닛(700)으로 전송된다.
제3 단계(ST30)는 감염자가 안방에서 벗어난 경우를 전제로 상태 표시부(800)를 통해 상기 감염자에게 안내가 실시된다. 상기 감염자가 상기 상태 표시부(800)를 확인하고 안방으로 이동한 후에 안방 도어를 즉시 클로즈 시킬 경우 상기 상태 표시부(800)의 음성 안내는 중지된다.
만약 감염자가 안방으로 이동하지 않을 경우 상태 표시부(800)는 음성으로 수 차례 안방으로 이동하도록 반복하여 안내 메시지를 반복하고, 기 설정된 설정 시간과 안내 메시지 횟수를 초과할 경우 기 등록된 핸드폰으로 전화가 발신되거나 이메일로 긴급 상황에 해당되는 내용이 전송될 수 있다.
제4 단계(ST40)는 감염자가 전술한 제3 단계(ST10)에서 안방으로 이동했거나 이동하지 않을 경우에도 모두 시행되며, 제어 유닛(700)은 상기 동작 감지 센서(S1)를 통해 감염자가 안방에 재실 하는지 여부와 도어 개폐 센서(Sd)를 통해 안방 도어의 오픈에 따른 음압 상태를 재감지하여 기 설정된 음압 상태가 유지되도록 전술한 환기 장치(100)와 급, 배기 유닛(200)의 작동 상태를 제어한다.
첨부된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제어 유닛(700)은 상기 감염자가 상기 특정 구역(Za)에서 일정 시간 이상 벗어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감염자가 이를 인지하도록 음성으로 안내하는 제1 비상 모드(E1)와, 상기 소독 유닛(40)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특정 구역(Za)에 구비된 도어의 전면과 후면에 대한 소독과 살균을 실시하는 제2 비상 모드(E2)와, 상기 감염자가 상기 특정 구역(Za)으로 이동된 이후에 상기 환기 구역(Z) 전체에 대한 강제 환기를 통해 실내에 부유 가능한 이물질에 대한 제거를 실시하는 제3 비상 모드(E3)를 실시한다.
상기 제1 비상 모드(E1)는 전술한 상태 표시부(800)를 통해 음성으로 안내가 이루어지며 감염자가 안방으로 이동할 때까지 반복되도록 제어된다.
제2 비상 모드(E2)는 전술한 소독 유닛(40)을 통해 안방 도어의 전후면 손잡이로 소독제가 분사되어 소독과 살균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감염자가 안방 손잡이를 접촉할 경우 바이러스에 대한 살균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비상 모드(E3)는 감염자가 안방으로 이동한 후에 환기 구역(Z)에 잔존하는 바이러스에 대한 살균을 위해 강제 환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거실 또는 주방에 부유하는 이물질 또는 바이러스는 제1 분기 배기관(22)을 통해 흡입된 이후에 제1 배기관(20)을 거쳐 환기 장치(100)로 이동된다. 환기 장치(100)에는 살균 유닛이 구비되어 있어 잔존하는 바이러스를 살균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고, 신선한 외기가 환기 구역(Z)으로 재공급 되어 추가적인 오염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일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환기 구역(Z)에는 바이러스가 잔존하지 않고 청정한 상태로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게 되어 감염자 및 가족 구성원 간의 전파를 차단하고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Z : 환기 구역
Za : 특정 구역
Zb : 욕실 구역
Zc : 일반 구역
100 : 환기 유닛
200 : 급, 배기 유닛
300 : 압력 감지 센서 유닛
500 : 디퓨저 유닛
600 : 보조 디퓨저 유닛
700 : 제어 유닛
800 : 상태 표시부

Claims (9)

  1. 공동 주택의 환기 구역(Z)에 대한 환기와 열교환을 위해 구비되고, 상기 환기 구역(Z) 중 특정 구역(Za)만을 양압 상태로 공기 순환을 실시하거나, 감염자가 재실 하는 특정 구역(Za)만을 음압 상태로 공기 순환을 실시하거나, 상기 특정 구역(Za)만 음압 상태로 유지하고 일반 구역(Zc)은 양압 상태로 공기 순환을 동시에 실시하는 어느 하나의 작동을 위해 구비된 환기 유닛(100);
    상기 환기 유닛(100)과 함께 상기 특정 구역(Za) 및 욕실 구역(Zb)에 대한 급, 배기 비율을 조정하여 상기 특정 구역(Za)을 양압 또는 음압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된 급, 배기 유닛(200);
    상기 환기 구역(Z) 중 상기 특정 구역(Za)과 상기 일반 구역(Zc) 및 상기 욕실 구역(Zb) 간의 압력차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 압력 감지 센서 유닛(300); 및
    상기 압력 감지 센서 유닛(300)에서 감지한 정보를 전달 받아 상기 환기 구역(Z)으로 공급된 공기 순환 상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700)을 포함하는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구역(Z)에 구비되고, 급기 또는 환기를 위한 유체의 개도량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디퓨저 유닛(500)과 함께 상기 특정 구역(Za)에 구비된 도어가 오픈 될 경우 상기 특정 구역(Za)으로 외부 기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기체가 분사되는 보조 디퓨저 유닛(600)을 더 포함하는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유닛(100)에는 제1 급기관(10)과, 제1 배기관(20)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배기관(20)은 상기 특정 구역(Za)으로 분기된 제1 분기 배기관(22)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급, 배기 유닛(200)은 제2 급기관(210)과, 제2 배기관(220)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 배기관(220)은 상기 욕실 구역(Zb)과 상기 특정 구역(Za)으로 분기된 제2 내지 3 분기 배기관(222, 224)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내지 3분기 배기관(222, 224)은 상기 제1 분기 배기관(22)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된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급, 배기 유닛(200)에는 상기 특정 구역(Za)의 음압 유무와, 상기 욕실 구역(Zb)의 사용 유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바이 패스 댐퍼 유닛(30)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 유닛(700)은 상기 특정 구역(Za)이 음압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욕실 배기 유닛(300)의 작동이 온(On) 될 경우에 상기 바이 패스 댐퍼 유닛(30)이 오픈 되도록 제어하는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700)은 상기 특정 구역(Za)을 양압 상태로 유지시키는 양압 모드 제어;
    상기 특정 구역(Za)을 음압 상태로 유지시키는 음압 모드 제어;
    상기 일반 구역은 양압 상태로 유지시키고, 특정 구역(Za)은 음압 상태로 유지시키는 양, 음압 혼합 모드 제어를 선택적으로 실시하되,
    상기 특정 구역(Za)이 양압 모드 또는 음압 모드 또는 양, 음압 혼합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될 경우에 상기 환기 유닛(100)을 통한 급, 배기 공기량과, 상기 급, 배기 유닛(200)의 급, 배기 공기량을 서로 상이하게 제어하여 환기를 실시하는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700)은 상기 욕실 구역에 구비된 도어가 클로즈 상태일 경우 상기 급, 배기 유닛(200)이 기 설정된 제1배기 모드로 작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욕실 구역에 구비된 도어가 오픈 될 경우 상기 급, 배기 유닛(200)이 최대 풍량으로 작동 되는 제2 배기 모드로 제어하는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 주택에는 특정 구역(Za)에 재실한 감염자의 재실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 동작 감지 센서(S1);
    상기 특정 구역(Za)에 구비된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센서(Sd)가 구비되되,
    상기 도어 개폐 센서(Sd)는 상기 특정 구역(Za)에 구비된 도어의 서로 다른 개도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 유닛(700)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구역(Za)에 구비된 도어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된 손잡이를 향해 살균 소독을 위한 소독제가 선택적으로 분사되는 소독 유닛(40)이 구비된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700)은 상기 감염자가 상기 특정 구역(Za)에서 일정 시간 이상 벗어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감염자가 이를 인지하도록 음성으로 안내하는 제1 비상 모드;
    상기 소독 유닛(40)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특정 구역(Za)에 구비된 도어의 전면과 후면에 대한 소독과 살균을 실시하는 제2 비상 모드;
    상기 감염자가 상기 특정 구역(Za)으로 이동된 이후에 상기 환기 구역(Z) 전체에 대한 강제 환기를 통해 실내에 부유 가능한 이물질에 대한 제거를 실시하는 제3 비상 모드를 실시하는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
KR1020210121690A 2021-09-13 2021-09-13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 KR102537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690A KR102537999B1 (ko) 2021-09-13 2021-09-13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690A KR102537999B1 (ko) 2021-09-13 2021-09-13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807A true KR20230039807A (ko) 2023-03-22
KR102537999B1 KR102537999B1 (ko) 2023-05-31

Family

ID=86005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690A KR102537999B1 (ko) 2021-09-13 2021-09-13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9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757B1 (ko) * 2023-10-31 2024-02-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호흡기 감염병의 공기전파 감염위험도에 기반한 복수개의 개별 환기대상 실내공간의 차압 환기제어 구성을 가지는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637372B1 (ko) * 2023-10-31 2024-02-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호흡기 감염병의 공기전파 감염위험도 기반 제어 구성의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1093A (ja) * 1998-10-08 2000-04-18 Hitachi Plant Kensetsu Service Kk 隔離室空調装置
KR20050005337A (ko) * 2003-07-01 2005-01-13 이승배 복합 공조 및 환기 시스템
KR101646524B1 (ko) 2015-07-27 2016-08-08 주식회사 제드건축사사무소 이동식 음압 격리 병실
KR20160120251A (ko) * 2016-05-02 2016-10-17 김승철 소독액 자동분사장치
KR20180093679A (ko) * 2017-02-14 2018-08-22 (주)이에스 병실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49264B1 (ko) * 2020-03-02 2021-05-10 주식회사 제드건축사사무소 패시브 음압/양압 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1093A (ja) * 1998-10-08 2000-04-18 Hitachi Plant Kensetsu Service Kk 隔離室空調装置
KR20050005337A (ko) * 2003-07-01 2005-01-13 이승배 복합 공조 및 환기 시스템
KR101646524B1 (ko) 2015-07-27 2016-08-08 주식회사 제드건축사사무소 이동식 음압 격리 병실
KR20160120251A (ko) * 2016-05-02 2016-10-17 김승철 소독액 자동분사장치
KR20180093679A (ko) * 2017-02-14 2018-08-22 (주)이에스 병실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49264B1 (ko) * 2020-03-02 2021-05-10 주식회사 제드건축사사무소 패시브 음압/양압 컨테이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757B1 (ko) * 2023-10-31 2024-02-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호흡기 감염병의 공기전파 감염위험도에 기반한 복수개의 개별 환기대상 실내공간의 차압 환기제어 구성을 가지는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637372B1 (ko) * 2023-10-31 2024-02-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호흡기 감염병의 공기전파 감염위험도 기반 제어 구성의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7999B1 (ko) 202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7999B1 (ko)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
KR101646524B1 (ko) 이동식 음압 격리 병실
KR101575233B1 (ko) 감염증 환자 선별 통제 시스템
EP1590008B1 (en) Building decontamination with vaporous hydrogen peroxide
JP4718317B2 (ja) 高機能エアシャワー装置
JP6940896B1 (ja) 換気空調システム
KR102265551B1 (ko) 선별진료소 시스템
KR102272253B1 (ko)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
US20240042087A1 (en) Capsule pod external filtration system
JP2004159730A (ja) 無菌病室
CN113445786A (zh) 一种模块拼装式隔离区进出通道
KR20220043503A (ko) 출입구 스마트 소독장치
JP2022041344A (ja) オゾン消毒システム及び消毒方法
JP2599929B2 (ja) 密閉室の清毒装置
Phillips et al. Laboratory design for microbiological safety
CN212154273U (zh) 模块拼装式隔离区进出通道
CN215082762U (zh) 一种建筑综合防疫系统
CN212201464U (zh) 一种ccn整体式模块化负压隔离病房
CN219387337U (zh) 单元式住宅
KR102349290B1 (ko)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 시스템 동작방법
CN212388743U (zh) 可拆装的隔离区进出通道模块
KR102379018B1 (ko)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 시스템
KR102527147B1 (ko) 엘리베이터용 살균 소독 장치
KR102658848B1 (ko) 공기 청정 음압기능과 살균장치를 구비한 자가격리시스템
JPH04364846A (ja) 無菌ベッ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