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679A - 병실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병실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679A
KR20180093679A KR1020170020112A KR20170020112A KR20180093679A KR 20180093679 A KR20180093679 A KR 20180093679A KR 1020170020112 A KR1020170020112 A KR 1020170020112A KR 20170020112 A KR20170020112 A KR 20170020112A KR 20180093679 A KR20180093679 A KR 20180093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olation space
wall
isolation
patient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7950B1 (ko
Inventor
강명철
Original Assignee
(주)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에스 filed Critical (주)이에스
Priority to KR1020170020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950B1/ko
Publication of KR20180093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24F2011/0005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to create underpressure in a room, keeping contamination ins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lmo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로부터 의료진에 감염을 차단할 수 있는 병실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병실은 내부에 외부와 격리된 격리 공간이 형성되는 격리실, 상기 격리 공간에 제공되며, 환자가 위치하는 의료대, 그리고 상기 외부에서 상기 의료대에 위치된 환자를 진찰 가능하도록 상기 격리실의 벽에 설치되는 글러브 유닛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의료진은 방호복의 착용이 불필요하며, 격리실의 외부에서 내부에 위치되는 환자를 진찰 가능하다.

Description

병실 및 이의 제어 방법{Patient's roo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om}
본 발명은 환자로부터 의료진에 감염을 차단할 수 있는 병실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염성 바이러스 및 세균은 대기를 통해서 전염된다. 이로 인해 전염성 바이러스 및 세균에 감염된 전염성 환자는 일반 환자와 다르게 바이러스가 전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격리된다.
일반적으로 전염성 환자는 음압실에 격리 수용되며, 음압실의 내부 분위기는 상압보다 낮은 압력을 유지한다. 또한 의료진이 음압실에 격리 수용된 전염성 환자를 진찰하기 위해서는 방호복을 착용 후 음압실에 입실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음압실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압실은 격리실(2) 및 음압 어셈블리(8)를 포함한다. 격리실(2)은 환자가 수용되는 환자 수용실(4)과 의료진이 환자 수용실(4)에 입실하기 전에 환자 수용실(4)과 이의 외부 공간 간에 접촉을 차단하는 전실(6)을 가진다. 따라서 환자 수용실(4) 및 전실(6)은 각각 독립적으로 음압이 형성되어 전염성 바이러스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의료진이 경미한 진찰 활동을 위해서도 방호복을 계속적으로 환복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의료진이 격리실을 수시로 입장하는 과정에서 전염성 바이러스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방호복의 세정이 불량할 경우에는 방호복을 통해 전염성 바이러스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격리실(2)은 음압 어셈블리(8a,8b)에 의해 상압보다 낮은 분위기를 유지하나, 음압 어셈블리(8a,8b)가 고장날 경우 이를 대처할만한 방안이 없다.
본 발명은 격리실의 내부 분위기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병실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진이 방호복의 착용없이, 격리실에 수용된 환자를 진료할 수 있는 병실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환자로부터 의료진에 감염을 차단할 수 있는 병실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병실은 내부에 외부와 격리된 격리 공간이 형성되는 격리실, 상기 격리 공간에 제공되며, 환자가 위치하는 의료대, 그리고 상기 외부에서 상기 의료대에 위치된 환자를 진찰 가능하도록 상기 격리실의 벽에 설치되는 글러브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의료대는 상기 글러브 유닛이 설치된 벽에 밀착 또는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글러브 유닛은 상기 격리 공간과 상기 외부가 서로 통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투명 부재 및 상기 개구가 밀폐되도록 상기 투명 부재에 결합되는 글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부재는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병실은 상기 의료대에 위치하는 환자를 청진하는 청진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청진 유닛은 상기 격리 공간에 위치되는 청진판, 상기 외부에 위치되는 이어팁, 그리고 상기 청진판 및 상기 이어팁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청진홀을 관통하게 위치되는 연결 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개구는 복수 개로 제공되며, 수평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청진홀은 복수 개의 상기 개구들 사이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병실은 상기 격리 공간에 음압을 형성하는 음압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음압 어셈블리는 상기 격리 공간에 청정 에어를 공급하는 기류 공급 유닛 및 상기 격리 공간을 배기하는 배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리실은 상기 글러브 유닛이 설치되는 제1벽, 상기 제1벽으로 연장되는 제2벽, 상기 제1벽과 마주하는 제3벽, 그리고 상기 제3벽과 제1벽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제4벽을 가지고, 상기 기류 공급 유닛은 상기 격리 공간에서 상기 제2벽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배기 유닛은 상기 제3벽과 상기 제4벽이 만나는 모서리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기류 공급 유닛은 상기 격리 공간에 기류를 발생시키는 팬 모듈 및 상기 팬 모듈의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격리 공간을 흡기 및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기류를 상기 팬 모듈에 공급하는 필터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팬 모듈에 비해 상기 의료대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병실은 상기 외부에서 상기 의료대에 위치되는 환자를 채혈하도록 상기 격리 공간과 상기 외부를 개폐 가능한 채혈창을 더 포함하되, 상기 채혈창은 상기 글러브 유닛보다 상기 필터 모듈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벽에는 상기 외부와 상기 격리 공간 간에 출입 가능하며,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구가 형성되되, 상부에서 바라볼 때 출입구는 상기 글러브 유닛에 비해 상기 기류 공급 유닛에 더 멀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병실은, 상기 도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팬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출입구가 개방되면 상기 격리 공간에 제1유량의 기류가 발생되고, 상기 출입구가 닫혀지면 상기 격리 공간에 제2유량의 기류가 발생되도록 상기 팬 모듈을 제어하되, 상기 제1유량은 상기 제2유량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격리실, 상기 의료대, 상기 글러브 유닛, 그리고 상기 음압 어셈블리는 서로 일체형인 모듈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병실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격리 공간의 분위기는 서로 상이한 압력을 가지는 복수 개의 모드들로 제어되되, 상기 복수 개의 모드들은 상기 격리 공간에 상기 환자가 단독 입실된 일반 모드 및 상기 격리 공간에 상기 환자와 의료진이 함께 입실된 진찰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일반 모드 및 상기 진찰 모드는 각각 상기 격리 공간에 음압을 형성한다.
상기 일반 모드에는 상기 격리 공간을 제1분위기로 형성하고, 상기 진찰 모드에는 상기 격리 공간을 제2분위기로 형성하되, 상기 제2분위기는 상기 제1분위기보다 낮은 압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분위기는 -0.1 mmAq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분위기는 -0.25 mmAq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모드들은, 상기 격리 공간에 환자가 퇴실된 소독 모드로 더 포함하되, 상기 소독 모드는 상기 격리 공간을 상기 제1분위기로 형성하는 1차 모드 및 상기 1차 모드 이후에, 상기 격리 공간에 양압을 형성하는 2차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격리실에는 글러브 유닛이 설치된다. 이로 인해 의료진은 방호복의 착용이 불필요하며, 격리실의 외부에서 내부에 위치되는 환자를 진찰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진은 격리실의 입장없이 환자를 진찰 가능하므로, 전염성 바이러스 및 세균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격리실의 일벽에는 팬 모듈 및 필터 모듈이 나란히 설치되며, 필터 모듈은 격리 공간의 분위기를 흡기하고 이를 필터링하여 팬 모듈에 공급한다. 이로 인해 격리 공간에 필터링된 기류를 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채혈창은 필터 모듈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로 인해 격리 공간과 외부가 채혈창에 의해 개방될지라도, 개방 영역은 이와 다른 영역에 비해 필터 모듈에 더 강하게 흡기되며, 전염성 바이러스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진이 격리실로 입실하여 환자를 진찰 시 의료진은 필터 모듈보다 팬 모듈에 더 가깝게 위치되고, 환자는 팬 모듈보다 필터 모듈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이로 인해 격리 공간에 형성된 기류의 흐름 경로는 의료진 및 환자를 순차적으로 거쳐 필터 모듈로 흡기되며, 의료진의 전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병실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실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글러브 유닛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병실 내에 형성되는 기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격리 공간에서 의료진의 동선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된 것이다.
다음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실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병실(100)은 격리실(200), 의료대(290), 글러브 유닛(300), 청진 유닛(400), 채혈창(520), 음압 어셈블리(600), 센서(700), 그리고 제어기(800)를 포함한다. 격리실(200)은 내부에 격리 공간(210)을 가진다. 상부에서 바라볼 때 격리실(200)은 다각의 형상을 가진다. 선택적으로, 상부에서 바라볼 때 격리실(200)은 원형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격리실(200)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격리실(200)의 측벽은 제1벽(220), 제2벽(240), 제3벽(260), 그리고 제4벽(280)을 가진다. 제1벽(220)에는 의료진이 격리 공간(210)에 출입 가능한 출입구(202)가 형성된다. 출입구(202)는 도어(204)에 의해 계폐된다. 제2벽(240)은 제1벽(220)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제3벽(260)은 제2벽(240)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며, 제4벽(280)은 제1벽(220) 및 제3벽(260) 각각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다. 의료대(290)는 격리 공간(210)에 위치된다. 의료대(290)는 환자가 눕혀지는 공간을 가진다. 의료대(290)는 제1벽(220)에 밀착 또는 인접하게 위치된다. 예컨대, 제3벽(260)은 외부에서 격리 공간(210)을 관찰 가능한 투명창으로 제공될 수 있다.
글러브 유닛(300)은 의료진이 외부에서 의료대(290)에 위치된 환자를 진찰 가능하도록 도움을 준다. 도 3은 도 2의 글러브 유닛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글러브 유닛(300)은 제1벽(220)에 설치된다. 글러브 유닛(300)은 투명 부재(320) 및 글러브(340)를 포함한다. 투명 부재(320)는 제1벽(220)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격리 공간(210)을 관찰 가능하도록 투명 재질로 제공된다. 투명 부재(320)는 격리 공간(210)과 이의 외부가 서로 통하는 개구(322) 및 청진홀(324)이 형성된다. 개구(322)는 복수 개로 제공된다. 개구(322)는 의료진의 팔이 삽입 가능한 크기를 가진다. 개구(322)는 의료대(290)보다 높게 위치된다. 청진홀(324)은 개구(322)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다. 청진홀(324)은 개구(322)들의 사이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개구(322)는 2 개로 제공되며,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청진홀(324)은 개구(322)와 동일하거나, 이와 상이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글러브(340)는 개구(322)가 밀폐되도록 투명 부재(320)에 결합된다. 글러브(340)는 격리 공간(210)에 위치된다. 글러브(340)는 암부(342) 및 파지부(344)를 포함한다. 암부(342)는 투명 부재(320)로부터 연장되며, 파지부(344)는 암부(342)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된다. 따라서 의료진은 외부에서 글러브(340)를 착용하여 의료대(290)에 안착된 환자를 진찰 가능하다. 일 예에 의하면, 투명 부재(320)는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투명 부재(320)는 비닐(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진은 글러브(340)를 착용한 상태에서 환자에 대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청진 유닛(400)은 의료대(290)에 안착된 환자를 청진 가능하다. 청진 유닛(400)은 청진판(410), 이어팁(420) 그리고 연결 라인(430)을 포함한다. 청진판(410)은 격리 공간(210)에 위치되며, 이어팁(420)은 격리실(200)의 외부에 위치된다. 연결 라인(430)은 청진판(410)과 이어팁(420)을 서로 연결한다. 연결 라인(430)은 청진홀(324)을 삽입 관통하도록 제공된다. 연결 라인(430)은 청진홀(324)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제공된다. 이에 따라 청진홀(324)은 연결 라인(430)에 의해 밀폐된다. 연결 라인(430)은 청진홀(324)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연결 라인(430)은 청진홀(324)에 삽입 관통된 상태로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채혈창(520)은 제1벽(220)에 설치된다. 채혈창(520)은 외부에 위치된 의료진과 격리 공간(210)에 위치된 환자가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 가능한 공간을 제공한다. 채혈창(520)은 외부에 위치된 의료진이 의료대(290)에 위치된 환자를 채혈하도록 격리 공간(210)과 외부를 개폐 가능하다. 채혈창(520)은 개방 위치 및 닫힘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여기서 개방 위치는 격리 공간(210)과 이의 외부가 서로 개방되는 위치이고, 닫힘 위치는 격리 공간(210)과 이의 외부가 서로 차단되는 위치이다. 채혈창(520)은 출입구(202)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다. 일 예에 의하면, 제1벽(220)을 정면에서 바라볼 때 채혈창(520), 글러브 유닛(300), 그리고 도어(204)는 수평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채혈창(520)의 아래에는 격리 공간(210)에서 외부 방향으로 제1벽(220)으로부터 돌출되는 선반(540)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음압 어셈블리(600)는 격리 공간(210)에 음압을 형성한다. 음압 어셈블리(600)는 기류 공급 유닛(620) 및 배기 유닛(660)을 포함한다. 기류 공급 유닛(620)은 격리 공간(210)에서 순환되는 기류를 형성한다. 기류 공급 유닛(620)은 격리 공간(210)에 청정 에어를 공급한다. 기류 공급 유닛(620)은 제2벽(24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 4는 도 2의 병실 내에 형성되는 기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류 공급 유닛(620)은 팬 모듈(630), 필터 모듈(640), 그리고 급기 라인(650)을 포함한다. 팬 모듈(630) 및 필터 모듈(640)은 격리 공간(210) 내에 위치된다. 팬 모듈(630) 및 필터 모듈(640)을 수평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다. 팬 모듈(630)은 격리 공간(210)에 기류를 발생시키고, 필터 모듈(640)을 격리 공간(210)의 분위기를 흡기하고 필터링한다. 필터 모듈(640)은 필터링된 기류를 팬 모듈(630)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격리 공간(210)에는 상하 방향을 중심축으로 순환되는 기류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 모듈(640)은 팬 모듈(630)에 비해 제1벽(220)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즉, 필터 모듈(640)은 의료대(290)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환자의 호흡 및 기침이 발생된 분위기는 필터 모듈(640)에 의해 즉시 흡기되어 필터링된다. 또한 긴급 상황에 의해 의료진이 격리 공간(210)으로 입실한 경우, 도 5와 같이 환자를 진찰하는 의료진은 필터 모듈(640)보다 팬 모듈(630)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이로 인해 의료진에는 청정 에어가 공급될 수 있다. 급기 라인(650)은 필터 모듈(640)에 에어를 보충한다. 급기 라인(650)은 격리 공간(210)을 양압 상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 필터 모듈(640)에 에어를 공급한다.
팬 모듈(630) 및 필터 모듈(640)은 격리 공간(210) 내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팬 모듈(630)을 통해 발생된 기류로는 격리 공간(210)에 양압을 발생시킬 수 없고, 필터 모듈(640)의 흡기를 통해서는 격리 공간(210)에 음압이 발생되지 않으며, 순환되는 기류를 형성 가능하다.
또한 채혈창(520)은 글러브 유닛(300)에 비해 필터 모듈(640)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즉 채혈창(520)은 글러브 유닛(300)보다 필터 모듈(640)에 가깝게 위치되고, 글러브 유닛(300)은 도어(204)보다 필터 모듈(640)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의료진이 환자를 채혈하기 위해 채혈창(520)을 개방 위치로 이동시킬지라도, 개방 영역은 필터 모듈(640)에 의해 흡기되며, 채혈창(520)에 인접한 분위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출입구(202)는 의료대(290)보다 필터 모듈(640)에 더 멀게 위치된다. 이로 인해 의료진이 격리 공간(210)으로 입실하는 동선과 의료대(290)에 위치된 환자로부터 발생된 전염성 분위기가 흡기되는 경로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기 유닛(660)은 격리 공간(210)에 음압을 발생시킨다. 배기 유닛(660)은 배기 모듈(670), 감압 부재(680), 그리고 배기 라인을 포함한다. 배기 모듈(670)은 격리 공간(210)에 위치된다. 배기 모듈(670)에는 격리 공간(210)을 배기 가능한 배기구가 형성된다. 배기 모듈(670)은 제3벽(260)과 제4벽(280)이 만나는 모서리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감압 부재(680)는 격리실(200)의 외부에 위치된다. 배기 라인은 감압 부재(680)와 배기 모듈(670)을 서로 연결한다. 감압 부재(680)로부터 발생된 감압력은 배기 라인을 통해 배기 모듈(670)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격리 공간(210)에는 음압이 발생된다.
센서(700)는 도어(204)의 위치를 감지한다. 센서(700)는 출입구(202)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일 예에 의하면, 센서(700)는 제4벽(280)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700)는 광 센서(700)일 수 있다.
제어기(800)는 센서(700)로부터 감지된 도어(204)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팬 모듈(630)을 제어한다. 제어기(800)는 도어(204)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출입구(202)의 개방 여부를 판별한다. 제어기(800)는 출입구(202)의 개방 여부에 따라 격리 공간(210)에 서로 상이한 유량의 기류를 발생시키도록 팬 모듈(630)을 제어한다. 제어기(800)는 출입구(202)가 개방되면 격리 공간(210)에 제1유량의 기류가 발생되고, 출입구(202)가 닫혀지면 격리 공간(210)을 제2유량의 기류가 발생되도록 팬 모듈(630)을 제어한다. 제1유량은 제2유량에 비해 큰 유량으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개방된 출입구(202)로 의료진이 격리 공간(210)에 입실하는 과정에서 의료진이 전염성 분위기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달리, 제어기(800)는 복수 개의 모드들로 팬 모듈(630) 및 배기 유닛(660)을 더 제어 가능하다. 제어기(800)는 일반 모드, 진찰 모드, 그리고 소독 모드로 팬 모듈(630) 및 배기 유닛(660)을 제어 가능하다. 일반 모드는 격리 공간(210)에 환자가 단독 입실된 상태의 모드이다. 일반 모드에는 격리 공간(210)을 제1분위기로 제어할 수 있다. 진찰 모드는 격리 공간(210)에 환자와 의료진이 함께 입실된 상태의 모드이다. 진찰 모드에는 격리 공간(210)을 제2분위기로 제어할 수 있다. 소독 모드는 격리 공간(210)에 환자가 퇴실된 상태에서 격리 공간(210)을 세정하는 모드이다. 소독 모드는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1차 모드 및 2차 모드를 포함한다. 1차 모드에는 격리 공간(210)에 음압을 형성하고, 2차 모드에는 격리 공간(210)에 양압을 형성한다. 1차 모드에는 격리 공간(210)을 제1분위기로 형성하여 격리 공간(210)에 잔류된 오염 분위기를 배기할 수 있다. 2차 모드에는 격리 공간(210)을 청정 에어로 채울 수 있다. 1차모드, 일반 모드, 그리고 진찰 모드에는 급기 라인(650)으로부터 에어 보충이 차단된 반면, 2차 모드에는 급기 라인(650)으로부터 필터 모듈(640)에 에어가 보충된다. 일 예에 의하면, 제1분위기는 -0.1 mmAq 를 포함하고, 제2분위기는 -0.25 mmAq를 포함할 수 있다. 2차 모드에는 격리 공간(210)을 0.5 mmAq로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반 모드, 진찰 모드, 그리고 소독 모드 각각에는 급기 라인(650)으로부터 필터 모듈(640)에 에어가 보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의 병실(100)은 의료 진찰이 수행되는 의료 시설에 설치된다. 병실(100)은 의료 시설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의료 시설에 탈착될 수 있다. 예컨대, 병실(100)은 모듈로 제공되어 의료 시설에 탈착될 수 있다. 즉, 격리실(200), 의료대(290), 글러브 유닛(300), 청진 유닛(400), 채혈창(520), 음압 어셈블리(600), 센서(700), 그리고 제어기(800)은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병실(100)은 의료 시설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격리 조치가 취해져야 하는 시설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100: 병실 200: 격리실
290: 의료대 300: 글러브 유닛
400: 청진 유닛 520: 채혈창
600: 음압 어셈블리 700: 센서
800: 제어기

Claims (17)

  1. 내부에 외부와 격리된 격리 공간이 형성되는 격리실과;
    상기 격리 공간에 제공되며, 환자가 위치하는 의료대와;
    상기 외부에서 상기 의료대에 위치된 환자를 진찰 가능하도록 상기 격리실의 벽에 설치되는 글러브 유닛을 포함하는 병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대는 상기 글러브 유닛이 설치된 벽에 밀착 또는 인접하게 위치되는 병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글러브 유닛은,
    상기 격리 공간과 상기 외부가 서로 통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투명 부재와;
    상기 개구가 밀폐되도록 상기 투명 부재에 결합되는 글러브를 포함하는 병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부재는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공되는 병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병실은,
    상기 의료대에 위치하는 환자를 청진하는 청진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청진 유닛은 상기 격리 공간에 위치되는 청진판과;
    상기 외부에 위치되는 이어팁과;
    상기 청진판 및 상기 이어팁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청진홀을 관통하게 위치되는 연결 라인을 포함하는 병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복수 개로 제공되며, 수평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청진홀은 복수 개의 상기 개구들 사이 공간에 위치되는 병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병실은,
    상기 격리 공간에 음압을 형성하는 음압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음압 어셈블리는,
    상기 격리 공간에 청정 에어를 공급하는 기류 공급 유닛과;
    상기 격리 공간을 배기하는 배기 유닛을 포함하는 병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실은 상기 글러브 유닛이 설치되는 제1벽, 상기 제1벽으로 연장되는 제2벽, 상기 제1벽과 마주하는 제3벽, 그리고 상기 제3벽과 제1벽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제4벽을 가지고,
    상기 기류 공급 유닛은 상기 격리 공간에서 상기 제2벽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배기 유닛은 상기 제3벽과 상기 제4벽이 만나는 모서리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병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공급 유닛은,
    상기 격리 공간에 기류를 발생시키는 팬 모듈과;
    상기 팬 모듈의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격리 공간을 흡기 및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기류를 상기 팬 모듈에 공급하는 필터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팬 모듈에 비해 상기 의료대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병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병실은,
    상기 외부에서 상기 의료대에 위치되는 환자를 채혈하도록 상기 격리 공간과 상기 외부를 개폐 가능한 채혈창을 더 포함하되,
    상기 채혈창은 상기 글러브 유닛보다 상기 필터 모듈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병실.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벽에는 상기 외부와 상기 격리 공간 간에 출입 가능하며,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구가 형성되되,
    상부에서 바라볼 때 출입구는 상기 글러브 유닛에 비해 상기 기류 공급 유닛에 더 멀게 위치되는 병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병실은,
    상기 도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팬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출입구가 개방되면 상기 격리 공간에 제1유량의 기류가 발생되고, 상기 출입구가 닫혀지면 상기 격리 공간에 제2유량의 기류가 발생되도록 상기 팬 모듈을 제어하되,
    상기 제1유량은 상기 제2유량보다 큰 병실.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실, 상기 의료대, 상기 글러브 유닛, 그리고 상기 음압 어셈블리는 서로 일체형인 모듈형으로 제공되는 병실.
  14. 제7항의 병실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격리 공간의 분위기는 서로 상이한 압력을 가지는 복수 개의 모드들로 제어되되,
    상기 복수 개의 모드들은
    상기 격리 공간에 상기 환자가 단독 입실된 일반 모드와;
    상기 격리 공간에 상기 환자와 의료진이 함께 입실된 진찰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일반 모드 및 상기 진찰 모드는 각각 상기 격리 공간에 음압을 형성하는 병실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모드에는 상기 격리 공간을 제1분위기로 형성하고,
    상기 진찰 모드에는 상기 격리 공간을 제2분위기로 형성하되,
    상기 제2분위기는 상기 제1분위기보다 낮은 압력으로 제공되는 병실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위기는 -0.1 mmAq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분위기는 -0.25 mmAq를 포함하는 병실의 제어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모드들은,
    상기 격리 공간에 환자가 퇴실된 소독 모드로 더 포함하되,
    상기 소독 모드는,
    상기 격리 공간을 상기 제1분위기로 형성하는 1차 모드와;
    상기 1차 모드 이후에, 상기 격리 공간에 양압을 형성하는 2차 모드를 포함하는 병실의 제어 방법.
KR1020170020112A 2017-02-14 2017-02-14 병실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937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112A KR101937950B1 (ko) 2017-02-14 2017-02-14 병실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112A KR101937950B1 (ko) 2017-02-14 2017-02-14 병실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679A true KR20180093679A (ko) 2018-08-22
KR101937950B1 KR101937950B1 (ko) 2019-01-14

Family

ID=63453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112A KR101937950B1 (ko) 2017-02-14 2017-02-14 병실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950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524B1 (ko) * 2020-04-02 2020-10-23 (주)엠티이에스 감염병 차단 음압 공조시스템
KR20210016909A (ko) * 2019-08-06 2021-02-1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격리 시설
KR102256382B1 (ko) * 2020-04-22 2021-05-25 김찬호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
KR20210126823A (ko) * 2020-04-10 2021-10-21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워킹 방호 부스
KR20210127369A (ko) * 2020-04-14 2021-10-22 주식회사 다람이엔지 음압병실이 구비된 이동식 병동
KR20210128043A (ko) * 2020-04-16 2021-10-26 주식회사 화선엠텍 글로브 박스
KR20210138208A (ko) * 2020-05-11 2021-11-19 주식회사 엠아이티에스 호흡기 감염증 환자의 검체 채취용 부스
CN113757892A (zh) * 2021-08-30 2021-12-07 安徽清泓环境科技有限公司 空气循环除臭设备
KR20220000012A (ko) 2020-06-24 2022-01-03 (주)청솔에어필터 이동형 검체 채취용 다기능 부스
KR20220000531A (ko) * 2020-06-26 2022-01-04 박용남 검체채취도구 밀착삽입형 검진창을 갖는 바이러스 검체채취용 검사 부스
WO2022086745A1 (en) * 2020-10-22 2022-04-28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ell and gene therapy at point-of-care location
KR102406096B1 (ko) * 2021-02-17 2022-06-08 (주)씨어스테크놀로지 비대면 선별 진료소
KR20230039807A (ko) * 2021-09-13 2023-03-22 주식회사 대한피엔씨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091B1 (ko) 2020-04-03 2020-09-03 하민호 음압 격리 병실 내 살균시스템
KR102519199B1 (ko) 2020-12-30 2023-04-07 (주)인터오션 이동식 음압격리병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3831B2 (ja) 2002-11-11 2009-09-16 株式会社日本医化器械製作所 無菌病室
KR101575233B1 (ko) 2015-09-01 2015-12-08 경도메디칼시뮬레이션 주식회사 감염증 환자 선별 통제 시스템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6909A (ko) * 2019-08-06 2021-02-1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격리 시설
KR102169524B1 (ko) * 2020-04-02 2020-10-23 (주)엠티이에스 감염병 차단 음압 공조시스템
WO2021201382A1 (ko) * 2020-04-02 2021-10-07 (주)엠티이에스 감염병 차단 음압 공조시스템
KR20210126823A (ko) * 2020-04-10 2021-10-21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워킹 방호 부스
KR20210127369A (ko) * 2020-04-14 2021-10-22 주식회사 다람이엔지 음압병실이 구비된 이동식 병동
KR20210128043A (ko) * 2020-04-16 2021-10-26 주식회사 화선엠텍 글로브 박스
KR102256382B1 (ko) * 2020-04-22 2021-05-25 김찬호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
KR20210138208A (ko) * 2020-05-11 2021-11-19 주식회사 엠아이티에스 호흡기 감염증 환자의 검체 채취용 부스
KR20220000012A (ko) 2020-06-24 2022-01-03 (주)청솔에어필터 이동형 검체 채취용 다기능 부스
EP4173564A4 (en) * 2020-06-26 2024-03-27 Yong Nam Park TESTING CABIN FOR COLLECTING VIRUS SAMPLES WITH A TEST WINDOW TO ALLOW THE USE OF A CLOSE CONTACT SAMPLE COLLECTION TOOL
KR20220000531A (ko) * 2020-06-26 2022-01-04 박용남 검체채취도구 밀착삽입형 검진창을 갖는 바이러스 검체채취용 검사 부스
WO2022019732A3 (ko) * 2020-06-26 2022-03-10 박용남 검체채취도구 밀착삽입형 검진창을 갖는 바이러스 검체채취용 검사부스
WO2022086745A1 (en) * 2020-10-22 2022-04-28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ell and gene therapy at point-of-care location
KR102406096B1 (ko) * 2021-02-17 2022-06-08 (주)씨어스테크놀로지 비대면 선별 진료소
CN113757892A (zh) * 2021-08-30 2021-12-07 安徽清泓环境科技有限公司 空气循环除臭设备
KR20230039807A (ko) * 2021-09-13 2023-03-22 주식회사 대한피엔씨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7950B1 (ko) 201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950B1 (ko) 병실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575233B1 (ko) 감염증 환자 선별 통제 시스템
US10350588B2 (en) Clean air apparatus
KR102161495B1 (ko) 비대면 양압식 선별 진료소
US10232363B2 (en) Safety cabinet
US5728041A (en) Isolator for use in surgery or as a clean roo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213310970U (zh) 一种自消毒正负压隔离担架
WO2021236077A1 (en) Relocation module and methods for surgical equipment
CN205659084U (zh) 一种高传染性呼吸道疾病的隔离防护设备
KR102335224B1 (ko)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
JP2021183012A (ja) 負圧シールド装置
WO2017126310A1 (ja) クリーンエア装置
JP2005334771A (ja) 清浄作業台
JP5421203B2 (ja) 細胞培養施設
JP4516519B2 (ja) 安全キャビネット
JP3233733U (ja) 循環式空気清浄機
CN214318429U (zh) 负压感控隔离舱
CN206989362U (zh) 一种医用舱式新风洁净功能集成空调机组
KR102369226B1 (ko) 의료진 보호기능이 구비된 선별진료소
KR102624384B1 (ko)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
KR102335025B1 (ko) 비대면 클리닉과 비대면 클리닉을 위한 글로브 박스
CN212490542U (zh) 口腔诊疗负压隔离舱
KR102344963B1 (ko)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
CN215384722U (zh) 隔板组件
CN216844994U (zh) 一种安全性高的可移动式医学采样工作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