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6823A - 워킹 방호 부스 - Google Patents

워킹 방호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6823A
KR20210126823A KR1020200044033A KR20200044033A KR20210126823A KR 20210126823 A KR20210126823 A KR 20210126823A KR 1020200044033 A KR1020200044033 A KR 1020200044033A KR 20200044033 A KR20200044033 A KR 20200044033A KR 20210126823 A KR20210126823 A KR 20210126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h
housing
positive pressure
working
insp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2217B1 (ko
Inventor
김호종
권혁홍
변홍석
Original Assignee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44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217B1/ko
Publication of KR20210126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B01L1/52Transportable laboratories; Field k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킹 방호 부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염병이 활성화된 공간에서 별도의 마스크, 방호복 등의 방호장구를 착용할 필요 없이 환자의 치료, 검진, 검체채취, 방역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검사자가 감염원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검사자를 보호하고, 특히, 부스를 검사자의 보행과 연동되도록 해 검사자의 기동성, 작업성 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워킹 방호 부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워킹 방호 부스{Walking Protect booth}
본 발명은 워킹 방호 부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염병이 활성화된 공간에서 별도의 마스크, 방호복 등의 방호장구를 착용할 필요 없이 환자의 치료, 검진, 검체채취, 방역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검사자가 감염원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검사자를 보호하고, 특히, 부스를 검사자의 보행과 연동되도록 해 검사자의 기동성, 작업성 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워킹 방호 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염병은 질병 중 전염의 가능성이 있는 질병들을 말하는데, 이러한 전염병은 특정 병원체나 병원체의 독성물질로 인하여 발생하는 질병으로 감염된 사람으로부터 감수성이 있는 숙주(사람)에게 감염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러한 전염병의 전파 방법은 사람간 접촉, 식품이나 식수, 곤충 매개, 동물에서 사람으로 전파 등에 의한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팬더믹(전세계 대유행) 신종 인플루엔자, H5N1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메르스 등과 같은 전파력 또는 병원성이 높은 신·변종 호흡기 감염 질환의 발생빈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예컨대, 21세기 최초의 신종인플루엔자와 같은 전염병은 병원체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공기 중으로 퍼져나가 호흡과 함께 인체에 침투한다. 이러한 인플루엔자는 치사율이 높으면서 전염력도 높은 악성변종의 출현가능성이 있으며, 변이가 심하기 때문에 정확한 예측이 어렵다.
또한, 최근 전세계적으로 신종코로나바이러스(COVID-19)가 대유행중인 상황에서 이례없는 확진자수를 기록하고 있는 추세이다. 각 국가에서는 이러한 추가 확산 방지를 위한 확산 방지 대책을 적극 도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전염병이 발생하면, 전염병을 치료, 검사하거나, 현장을 통제하는 모든 현장요원(이하, 검사자로 통칭)들은 전염병 환자로부터 전염병이 전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호복을 착용한다. 상기 방호복과 관련된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8347호에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방호복은 신체를 완전히 감싸는 의복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그런데, 이러한 의복 형태의 방호복은 일회성인 것들이 대부분이어서, 한 번 착용하여 오염이 발생하면 재사용이 불가능하다는 점과, 의복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방호복을 입고 벗는 작업이 번거로울 수 있다.
또한, 신체에 밀착되어 접촉되기 때문에 통기성이 결여되어 방호복을 입은 검사자의 신체온도 조절이 힘들고, 더불어, 마스크를 함께 착용하게 되면 호흡 또한 자유롭게 내쉴 수 없게 되는 점으로 인해, 검사자의 체력이 쉽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감염원에 오염된 방호복을 그대로 벗게 되면, 방호복을 벗는 과정에서 방호복에 묻은 감염원이 작업자를 감염시킬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어, 방호복을 벗는 과정에 신경을 써야 하고, 이 과정에 주의를 기한다 하더라도, 감염원에 오염될 소지가 다분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8347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전염병이 활성화된 공간에서 별도의 마스크, 방호복 등의 방호장구를 착용할 필요 없이 환자의 치료, 검진, 검체채취, 방역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검사자가 감염원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검사자를 보호하고, 특히, 부스를 검사자의 보행과 연동되도록 해 검사자의 기동성, 작업성 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워킹 방호 부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부로 객실이 마련되며 하부가 개방되고 하단에 이동캐스터가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객실에서 손을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글러브;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하단을 폐쇄하는 차폐막; 및 상기 차폐막과 일체화되되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지면에 맞닿으며 상기 객실에서 발을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부츠;를 포함하는 워킹부스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객실 내에서 부츠를 착용하고 보행하게 되면 움직이는 부츠에 차폐막이 연동하여 신축 변형되면서 발 구름을 허용하고 이에 부츠가 지면을 딛으며 워킹부스유닛이 검사자의 보행 방향에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투시창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부스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부스출입구를 개폐하는 부스도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양압실이 마련되고, 일측으로 상기 워킹부스유닛의 부스출입구와 접속되는 접속출입구가 형성되는 도킹스테이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킹스테이션은, 양압실과 대기실을 구획 형성하되, 구획벽면상에 상기 접속출입구가 형성되는 도킹컨테이너; 및 상기 양압실에 급기하여 양압을 형성하는 양압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워킹부스유닛이 상기 대기실로 출입하여 상기 구획벽면상에 형성된 접속출입구에 부수출입구가 맞닿도록 접속되면 워킹부스유닛의 객실과 양압실이 하나의 공간으로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는 부스도어의 외곽으로 제1 자석부재가 형성되고, 하우징과 마주보는 접속출입구의 외곽으로 제1 자석부재와 상보적인 제2 자석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 자석부재는 부스도어의 외곽에 폐쇄링 형태로 둘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자석부재는 접속출입구의 외곽에 폐쇄링 형태로 둘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검사자가 별도의 마스크, 방호복 등의 방호장구를 착용할 필요 없으므로, 검사자의 불필요한 피로저하를 막을 수 있다.
둘째, 워킹부스유닛에서 작업을 완료한 검사자가 객실에서 탈출할 때 멸균된 객실에서 멸균된 양압실을 향해서만 이동하기 때문에, 검사자가 객실에서 나오는 과정에서 감염원에 노출될 가능성을 배제시킬 수 있다.
셋째, 워킹부스유닛을 검사자의 보행과 연동가능도록 구성하여 검사자의 기동성, 작업성 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워킹부스유닛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워킹부스유닛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워킹부스유닛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킹스테이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부스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워킹부스유닛 후면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워킹부스유닛과 도킹스테이션이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워킹 방호 부스의 평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워킹부스유닛이 도킹스테이션에 접속된 상태에서 접속개폐도어만 개방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10은 워킹부스유닛이 도킹스테이션에 접속된 상태에서 접속개폐도어와 부스도어가 모두 개방되어 객실과 양압실이 연통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11은 종래 의복 형태의 방호복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워킹부스유닛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워킹부스유닛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워킹부스유닛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킹스테이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부스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워킹부스유닛 후면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워킹부스유닛과 도킹스테이션이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워킹 방호 부스의 평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전염병이 활성화된 공간에서 별도의 마스크, 방호복 등의 방호장구를 착용할 필요 없이 환자의 치료, 검진, 검체채취, 방역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검사자가 감염원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검사자를 보호하고, 특히, 부스를 검사자의 보행과 연동되도록 해 검사자의 기동성, 작업성 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워킹 방호 부스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워킹부스유닛(100) 및 도킹스테이션(200)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워킹부스유닛(100)은 외부의 감염원으로부터 보호받기 위해 검사자가 수용되는 곳으로, 검사자의 보행 및 일정 범위 내에서의 수조작을 보장토록 구성된다.
검사자는 워킹부스유닛(100)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동하며, 환자의 검체채취, 검진, 방역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검사자는 별도의 방호복을 착용할 필요 없이 워킹부스유닛(100)을 통해서 워킹부스유닛(100) 밖의 감염원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하나의 워킹부스유닛(100) 내부에 한 명의 검사자가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워킹부스유닛(100)은 수용된 한 명의 검사자의 보행 및 수조작을 위한 구조를 갖춘다.
이를 위해, 워킹부스유닛(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로 객실(120)이 마련되며 하부가 개방되고 하단에 이동캐스터(130)가 장착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에 장착되며 상기 객실(120)에서 손을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글러브(140),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된 하단을 폐쇄하는 차폐막(150) 및 상기 차폐막(150)과 일체화되되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지면에 맞닿으며 상기 객실(120)에서 발을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부츠(16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내부가 빈 사각 또는 원통의 박스구조로 이루어지거나, 필요에 따라 사람의 해부학적인 외형과 유사한 박스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하우징(110)은 감염원이 객실(120)로 첨투되지 않는 선에서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검사자의 활동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람 관절구조와 유사하게 설계할 수도 있다.
하우징(110)의 객실(120)은 외부로부터 단절된 멸균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객실(120)에 위치한 검사자는 별도의 방호복을 착용하지 않고서도 외부 감염원으로부터 물리적으로 격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하단에 장착된 이동캐스터(130)는 워킹부스유닛(100)의 이동을 보장한다. 객실(120)에서 검사자가 걷게되면 상기 이동캐스터(130)에 의해 워킹부스유닛(100)이 검사자의 보행방향에 연동하여 이동될 수 있다.
글러브(140)는 라텍스, 고무 등과 같이 감염원이 침투할 수 없는 재질로 이루어져 하우징(110)의 객실(120)에서부터 하우징(110)의 전면 외측을 향해 장착될 수 있다.
객실(120) 내부에서 상기 글러브(140)를 착용하게 되면 검사자는 하우징(110) 외측에 있는 검사도구 등을 무리없이 조작할 수 있다.
차폐막(150)과 부츠(160)는 워킹부스유닛(100)의 하부를 구성하며, 차폐막(150)과 부츠(160)에 의해 객실(120) 하부가 밀폐구성될 수 있다.
부츠(160)는 상기 글러브(140)의 목적과 유사하게 검사자의 하체를 외부와 단절시키면서 하체의 자유로운 움직을 보장한다.
차폐막(150)은 유연하게 변형 가능한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부츠(160)의 상단 둘레에서부터 하우징(110)의 내벽 둘레를 향해 넓게 펼쳐져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실(120) 내부의 검사자가 부츠(160)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하게 되면 이에 움직이는 부츠(160)에 차폐막(150)이 연동하여 당겨지거나, 수축하는 등 자유롭게 신축 변형되면서 검사자의 발 구름을 허용함과 동시에, 하우징(110)의 하부는 차폐막(150)에 의해 여전히 밀폐유지될 수 있다.
즉, 객실 내부에서 검사자가 보행하여 부츠(160)가 지면을 딛으면 워킹부스유닛(100)이 검사자의 보행 방향에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객실(120)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위해 하우징(110)의 일측면에는 공기유출입구가 관통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유출입구에 필터(17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170)는 객실(120)의 통기성을 부여하면서도 감염원이 객실(1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호흡기 질환을 유발시키는 감염원의 경우, 대부분 공기중에 떠다니는 비말에서 전염을 일으키는 바, 상기 필터(170)로 공기중에 떠다니는 감염원을 필터링함으로써 객실(120)에 위치한 검사자가 별도 호흡기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고서도, 호흡기로 전염되는 감염원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필터(170)는 공기 중에 떠다니는 감염원을 필터링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공지의 부직포 필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공기유출입구는 반복사용을 통해 내구성이 저하된 필터(170)의 교체사용이 가능한 구조를 갖출수도 있다.
하우징(110)의 상단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투시창(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시창(111)을 통해 객실(120) 내의 검사자가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투시창(111)은 하우징(110)의 상단 전면 일부에 형성하거나, 상단 전체를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후면에는 검사자의 출입을 위한 부스출입구(180)가 형성되고 상기 부스출입구(180)를 개폐하는 부스도어(19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부스도어(190)는 여닫이문 형태로 이루어져 객실(120)의 내부와 외부에서 모두 개폐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후술 될 도킹스테이션(200)의 검사자가 하우징(110)의 부스도어(190)를 개폐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하우징(110)에는 상기 객실(120)의 실내온도조절을 위한 공조기기가 설치될 수도 있다.
객실(120)에는 워킹부스유닛(100)의 이동시 객실(120) 내부에서 검사자가 손으로 잡고 밀 수 있도록 손잡이(112)가 형성되거나, 노트북, 의료도구, 의약품 등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접이식 선반부재(113)가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킹스테이션(200)은 검사자가 워킹부스유닛(100)으로 들거가거나, 또는 워킹부스유닛(100)에서 검사자가 안전하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고, 워킹부스유닛(100)에 들어갈 검사자가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는 구조물로서 특히, 워킹부스유닛(100)에서 작업을 완료한 검사자가 감염원에 의해 오염되었을 수도 있는 워킹부스유닛(100)으로부터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를 위해, 도킹스테이션(200)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양압실(211)과 대기실(212)이 형성되고, 상기 양압실(211)과 대기실(212)을 구획벽면(213)으로 구획 형성하되, 구획벽면(213)상에 일측으로 상기 워킹부스유닛(100)의 부스출입구(180)와 접속되는 접속출입구(214)가 형성되는 도킹컨테이너(210) 및 상기 양압실(211)에 급기하여 양압을 형성하는 양압형성부(2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양압실(211)과 대기실(212)은 각각 외부로부터 격리된 단위공간으로 이루어져 양압실(211)에는 워킹부스유닛(100)에 들어갈 대기 검사자가 대기할 수 있고, 대기실(212)에는 작업을 종료한 검사자의 워킹부스유닛(100)이 출입할 수 있다.
양압실(211)은 양압형성부(220)에 의해 양압이 형성되어 외부 감염원으로부터 멸균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양압형성부(220)와 더불어, 양압실(211)에는 별도 공조장치(230)가 마련되어 내부의 공기질을 개선할 수도 있다.
도킹컨테이너(210)에는 양압실(211)의 출입을 위한 여닫이 또는 미닫이 문 형태의 양압실도어(2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아울러, 대기실(212)의 출입을 위한 대기실도어(216)가 형성될 수 있다.
대기 검사자가 양압실도어(215)를 통해 양압실(211)로 출입할 수 있으며, 작업을 완료한 워킹부스유닛(100)의 검사자 또는, 작업을 위해 워킹부스유닛(100)에 들어간 작업자가 대기실도어(216)를 통해 대기실(212)을 출입할 수 있다.
양압형성부(220)는 양압실(211)에 일정 양압을 형성하기 위한 공지의 양압팬으로 구성되며, 급기시키는 공기를 멸균시키기 위한 별도의 멸균수단을 마련할 수 있다.
대기실(212)에 위치한 워킹부스유닛(100)의 부스도어(190)를 접속출입구(214)에 마주보게 배치시켜 워킹부스유닛(100)을 도킹스테이션(200)에 접속시키면 객실(120)이 비어있는 경우, 객실(120)로 검사자가 들어가거나, 반대로, 객실(120)에 위치한 검사자가 양압실(211)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워킹부스유닛(100)이 상기 대기실(212)로 출입하여 상기 구획벽면(213)상에 형성된 접속출입구(214)에 부스출입구(180)가 맞닿도록 접속되면 워킹부스유닛(100)의 객실(120)과 양압실(211)이 하나의 공간으로 서로 연통될 수 있어 워킹부스유닛(100)과 도킹스테이션(200) 사이에서 검사자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해진다.
즉, 워킹부스유닛(100)에서 작업을 완료한 검사자는 객실(120)에서 탈출할 때 멸균된 객실(120)에서 멸균된 양압실(211)을 향해 이동하기 때문에, 외부 감염원에 원천적으로 노출될 수 없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
특히, 워킹부스유닛(100)은 감염원이 활성화된 작업현장에서 사용되는 만큼 하우징(110) 외면이 감염원에 의해 오염될 우려가 있는데, 만일, 검사자가 워킹부스유닛(100)에서 탈출할 때 전술한 도킹스테이션(200)을 통한 탈출 없이, 검사자가 객실(120)에서 나오게 되면, 검사자가 객실(120)에서 나오는 과정에서 감염원에 의해 오염된 워킹부스유닛(100) 하우징(110)에 의해 검사자 또한, 감염원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게 작용한다.
이에 본 발명은 작업시엔 물론이고, 검사자가 워킹부스유닛(100)에서 나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감염을 원천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
한편, 접속출입구(214)에는 접속출입구(214)를 개폐하는 접속개폐도어(217)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워킹부스유닛(100)이 도킹스테이션(200)에 접속된 상태가 되면 하우징(110)의 부스출입구(180)가 양압실(211)의 접속출입구(214)와 연통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서로 연통되는 통로를 밀폐시켜 감염원이 검사자의 이동경로상으로 물리적인 유입이 방지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워킹부스유닛(100)과 도킹스테이션(200)의 접속상태가 기밀하지 못하게 될 경우, 객실(120)과 양압실(211) 사이 공간으로 감염원이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워킹부스유닛(100)과 도킹스테이션(200)의 접속부분을 기밀하게 형성함으로써 감염원의 유입을 원천차단할 수 있다. 워킹부스유닛(100)과 도킹스테이션(200)의 접속부분을 기밀하게 형성하는 수단은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일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후면에는 부스도어(190)의 외곽으로 제1 자석부재(M1)가 폐쇄링 형태로 둘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과 마주보는 접속출입구(214)의 구획벽면(213)상에 접속출입구(214)의 외곽으로 제1 자석부재(M1)와 상보적인 제2 자석부재(M2)가 폐쇄링 형태로 둘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자석부재(M1)와 제2 자석부재(M2)가 서로 부착되면 제1 자석부재(M1)와 제2 자석부재(M2) 사이 내공간이 밀폐되면서 객실(120)과 양압실(211)을 잇는 통로가 외부 감염원으로부터 밀폐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또한, 워킹부스도어(190)를 접속시키는 과정에서 제2 자석부재(M2)에 제1 자석부재(M1)가 인력으로 끌어당겨지기 때문에, 워킹부스도어(190)의 후면을 구획벽면(213)의 대략적인 위치에 배치시키기만 하면 부스출입구(180)가 접속출입구(214)에 자동적으로 대향될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진다.
이에 따라, 검사자는 자동적으로 워킹부스유닛(100)을 항상 정위치에서 도킹스테이션(200)에 접속시킬 수 있게 되는 구조를 갖춘다.
한편, 워킹부스유닛(100)이 도킹스테이션(200)에 접속된 상태에서 부스도어(190)에 부착된 감염원을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을 갖출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양압실(211) 내부에는 접속출입구(214)를 향해 멸균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분사노즐이 부스도어(190)를 향해 멸균수를 자동으로 분사할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진다.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워킹 방호 부스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작용에서는 워킹부스유닛(100)에서 작업을 완료한 검사자가 양압실(211)로 이동하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워킹부스유닛(100)의 검사자가 작업을 완료하면, 도킹스테이션(200)을 향해 보행하여 대기실도어(216)를 통해 대기실(212)로 들어온다.
대기실(212)로 들어온 검사자는 대기실(212) 내에서 워킹부스유닛(100)이 접속되지 않은 접속개폐도어(217)를 찾아 이동한다.
접속할 접속개폐도어(217)를 특정하면, 검사자는 뒤로 돌아 제2 자석부재(M2)에 제1 자석부재(M1)가 끌어당겨지도록 구획벽면(213)상에 하우징(110)의 후면을 대략적으로 위치시킨다.
제2 자석부재(M2)의 인력 적용 범위에 제1 자석부재(M1)가 들어오면, 제2 자석부재(M2)와 제1 자석부재(M1)가 자력으로 결합되면서 접속개폐도어(217)와 부스도어(190)가 서로 대향 배치된다.
이렇게 되면, 객실(120) 내의 검사자가 부스도어(190)를 개방하여 양압실(211)로 바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부스도어(190)의 오염을 고려해, 먼저 양압실(211)에 위치한 대기자가 접속개폐도어(217)를 개방한 뒤, 접속출입구(214)에 일치된 부스도어(190)를 향해 멸균수를 분무하여 부스도어(190)의 표면을 멸균시킨다. 이 다음, 부스도어(190)를 개방하여 양압실(211)과 객실(120) 사이가 연통되면, 객실(120)에 위치한 검사자가 양압실(211) 측으로 빠져나온다. 그 다음, 대기자가 객실(120)로 들어가서 부스도어(190)를 폐쇄하고, 이어서 양압실(211)에 위치한 검사자가 접속개폐도어(217)를 폐쇄하면 워킹부스유닛(100)의 검사자가 보행하여 대기실(212)을 빠져나간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워킹 방호 부스는 검사자가 별도의 마스크, 방호복 등의 방호장구를 착용할 필요 없으므로, 검사자의 불필요한 피로저하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워킹부스유닛(100)에서 작업을 완료한 검사자는 객실(120)에서 탈출할 때 멸균된 객실(120)에서 멸균된 양압실(211)을 향해서만 이동하기 때문에, 검사자가 객실(120)에서 나오는 과정에서 감염원에 의해 오염된 워킹부스유닛(100) 하우징(110)에 의해 검사자가 감염원에 노출될 가능성을 배제시킬 수 있다. 또, 워킹부스유닛(100)을 검사자의 보행과 연동가능도록 구성하여 검사자의 기동성, 작업성 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워킹부스유닛 200: 도킹스테이션

Claims (7)

  1. 내부로 객실이 마련되며 하부가 개방되고 하단에 이동캐스터가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객실에서 손을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글러브;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하단을 폐쇄하는 차폐막; 및
    상기 차폐막과 일체화되되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지면에 맞닿으며 상기 객실에서 발을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부츠;를 포함하는 워킹부스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객실 내에서 부츠를 착용하고 보행하게 되면 움직이는 부츠에 차폐막이 연동하여 신축 변형되면서 발 구름을 허용하고 이에 부츠가 지면을 딛으며 워킹부스유닛이 검사자의 보행 방향에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방호 부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투시창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부스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부스출입구를 개폐하는 부스도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방호 부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양압실이 마련되고, 일측으로 상기 워킹부스유닛의 부스출입구와 접속되는 접속출입구가 형성되는 도킹스테이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방호 부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킹스테이션은,
    양압실과 대기실을 구획 형성하되, 구획벽면상에 상기 접속출입구가 형성되는 도킹컨테이너; 및
    상기 양압실에 급기하여 양압을 형성하는 양압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방호 부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워킹부스유닛이 상기 대기실로 출입하여 상기 구획벽면상에 형성된 접속출입구에 부수출입구가 맞닿도록 접속되면 워킹부스유닛의 객실과 양압실이 하나의 공간으로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방호 부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는 부스도어의 외곽으로 제1 자석부재가 형성되고, 하우징과 마주보는 접속출입구의 외곽으로 제1 자석부재와 상보적인 제2 자석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방호 부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부재는 부스도어의 외곽에 폐쇄링 형태로 둘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자석부재는 접속출입구의 외곽에 폐쇄링 형태로 둘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방호 부스.
KR1020200044033A 2020-04-10 2020-04-10 워킹 방호 부스 KR102372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033A KR102372217B1 (ko) 2020-04-10 2020-04-10 워킹 방호 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033A KR102372217B1 (ko) 2020-04-10 2020-04-10 워킹 방호 부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823A true KR20210126823A (ko) 2021-10-21
KR102372217B1 KR102372217B1 (ko) 2022-03-08

Family

ID=78268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033A KR102372217B1 (ko) 2020-04-10 2020-04-10 워킹 방호 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2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8424A (ko) * 2004-04-07 2005-10-12 김병수 구명기구
CN103395074A (zh) * 2013-07-31 2013-11-20 上海千山远东制药机械有限公司 一种特殊环境用充电式载人洁净移动小车
KR20160078347A (ko) 2013-10-29 2016-07-04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개선된 후드를 갖는 방호복
KR20180093679A (ko) * 2017-02-14 2018-08-22 (주)이에스 병실 및 이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8424A (ko) * 2004-04-07 2005-10-12 김병수 구명기구
CN103395074A (zh) * 2013-07-31 2013-11-20 上海千山远东制药机械有限公司 一种特殊环境用充电式载人洁净移动小车
KR20160078347A (ko) 2013-10-29 2016-07-04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개선된 후드를 갖는 방호복
KR20180093679A (ko) * 2017-02-14 2018-08-22 (주)이에스 병실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217B1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29594A (en) Clothing to protect the environment from contamination
US9925015B2 (en) Wearable protective articles donning system
KR101817104B1 (ko) 안전보호복 자동탈의 기능을 갖춘 멸균시스템
AU2015343246A1 (en) Decontamination enclosure and method
Keten et al. Precautions in postmortem examinations in Covid-19-Related deaths: Recommendations from Germany
CN210494258U (zh) 一种用于口腔手术操作的防护隔离罩
ES2778000A1 (es) Mascarilla reutilizable antimicrobiana con sistemas de proteccion facial y sistemas de auto desinfeccion, circulacion y purificacion de aire, que permite ingerir liquidos.
KR102335224B1 (ko)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
Arora et al. Real‐world assessment, relevance, and problems in us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in clinical dermatology practice in a COVID referral tertiary hospital
KR200446628Y1 (ko) 공기 주입형 방사선 방호복
KR102372217B1 (ko) 워킹 방호 부스
CN211961035U (zh) 一种防护与隔离服
WO2020116347A1 (ja) 防護服
KR102553654B1 (ko) 좌식 탈의 보조 시스템
Peccin et al. Indications for accurate and appropriate us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A systematic review
US20230347185A1 (en) Persona protective suit with contaminant protection
CN210541639U (zh) 医用一次性箱式咽拭子取样操作防护装置
US20230149120A1 (en) Negative Pressure Respiratory Treatment Hood System
KR102235697B1 (ko) 감염병, 전쟁, 방사능노출, 화학물질, 테러 등 긴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이동식 음압 종합 격리실
JP3229195U (ja) 内視鏡用飛沫エアロゾル飛散防止装置
KR20210130493A (ko) 도킹방식을 이용한 방호복 착탈의 시스템
CN111248950A (zh) 安全的传染性疾病采样装置
GB2595690A (en) Apparatus for limiting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KR20100040767A (ko) 동물실용 무균작업복
CN212490542U (zh) 口腔诊疗负压隔离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