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224B1 -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 - Google Patents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224B1
KR102335224B1 KR1020210083586A KR20210083586A KR102335224B1 KR 102335224 B1 KR102335224 B1 KR 102335224B1 KR 1020210083586 A KR1020210083586 A KR 1020210083586A KR 20210083586 A KR20210083586 A KR 20210083586A KR 102335224 B1 KR102335224 B1 KR 102335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amination
negative pressure
area
door
booth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재익
Original Assignee
(주)인터오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터오션 filed Critical (주)인터오션
Priority to KR1020210083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A61G10/023Room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at over- or under-pressure or at a variabl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08Hospitals, infirmaries, or the like; Schools; Pri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스본체(100), 음압제공유닛 및 양압제공유닛으로 이루어지고, 부스본체(100)에는 예비 검진부(110), 워크스루 검진부(120) 및 분리 검진부(130)가 분리 형성되어, 예비 검진부(110)에서 확인되는 1차 검진결과에 따른 피검진자별 건강상태에 따라 워크스루 검진부(120) 및 분리 검진부(130) 중 어느 하나에서 피검진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는 2차 검진업무가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피검진자의 상태에 따라 전염 가능성이 높은 피검진자의 검체 채취 과정이 분리된 공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전염성이 점증하고 있는 알파, 베타, 감마, 델타, 델타 플러스 등의 변이 바이러스로 인한 검진 과정 중의 전염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Screening clinics that can be screened separately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본 발명은 피검진자의 상태에 따라 전염 가능성이 높은 피검진자의 검체 채취 과정이 분리된 공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전염 발생을 방지하여 2차 감염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전염병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별진료소는 호흡기 감염질환 등 바이러스 감염 환자의 검체를 채취하는 진료를 위하여 운영되는 것으로,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해 수많은 환자가 발생되고 있으며, 감염의심 대상자에 대한 검체 채취 진료 수요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그에 따라 감염의심 대상자의 감염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체 채취 진료가 지연됨에 따라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하여 사망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으며, 또한, 검체 채취 과정에서 피검진자 간의 감염 발생에 대한 우려도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등록 제10-2161495호(2020.09.24.)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검진자의 상태에 따라 전염 가능성이 높은 피검진자의 검체 채취 과정이 분리된 공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전염 발생을 방지하여 2차 감염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전염병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외부공간과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출입구를 개폐 가능한 외부출입도어를 포함하는 부스본체; 상기 부스본체 내부에 상기 부스본체 외부에 위치되는 피검진자로부터 문진 및 발열여부확인을 포함하는 1차 검진업무를 수행하는 검진자가 상기 피검진자와 분리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예비 검진영역을 포함하는 예비 검진부; 상기 부스본체 내부에 상기 부스본체 외부에 위치되는 피검진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는 검진자가 상기 피검진자와 분리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워크스루 검진영역을 포함하여, 2차 검진업무를 수행하는 워크스루 검진부; 상기 부스본체 내부에, 피검진자가 수용하고 음압 환경이 형성 가능한 음압영역과, 상기 음압영역과 인접 배치되어, 상기 음압영역 내부에 위치되는 피검진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는 검진자가 해당 피검진자와 분리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분리 검진영역을 포함하여, 2차 검진업무를 수행하는 분리 검진부; 상기 음압영역 내부에 음압을 형성하는 음압제공유닛; 및 상기 워크스루 검진영역 및 상기 분리 검진영역 내부에 양압을 형성하는 양압제공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음압영역 내부 공기를 살균하기 위한 공기살균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살균유닛은, 상기 부스본체 내부에, 상기 음압영역과 인접 배치되는 살균영역과, 상기 음압영역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살균영역 측으로 상기 음압영역 내부의 공기를 배기시키는 공기배기수단과, 상기 살균영역 내부에 상기 음압영역에서 배기된 공기를 살균하는 살균수단과, 상기 살균영역 상부에 상기 살균수단을 통해 살균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수단은 헤파필터와, 자외선 살균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압영역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음압영역 내벽면을 살균 세척하는 내벽청소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벽청소유닛은, 상기 음압영역 내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음압영역 내벽면을 닦아내는 와이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압영역을 이루는 상기 부스본체의 외벽 또는 상기 음압영역을 이루는 상기 부스본체에 상기 음압영역으로의 출입을 위해 구비되는 음압도어에는, 상기 음압영역 내부와 외부 공간을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관통구와, 상기 관통구를 커버하도록 장착되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워크스루 검진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부스본체의 외벽에 구비되는 검진창과, 상기 분리 검진영역과 상기 음압영역 사이를 구획하도록 상기 부스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격벽에 구비되는 검진창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검진창을 상하로 이동하여 설치위치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검진창 조절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진창 조절유닛은, 상기 부스본체 외벽 또는 상기 격벽에 구비되는 LM가이드레일과, 일단은 검진창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LM가이드레일과 연결되어, 상기 LM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바디와, 상기 연결바디가 이동된 상태를 고정시키는 검진창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출입도어가 구비되는 상기 부스본체 외벽에 형성되는 출입구에 상기 외부출입도어가 슬라이딩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홈, 상기 제1 슬라이딩홈 내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레일부재, 상기 외부출입도어가 상기 한 쌍의 제1 레일부재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외부출입도어에 형성되는 제1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외부출입도어의 외면과 상기 제1 슬라이딩홈 내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외부출입도어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형성되는 제1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출입도어를 통해 출입하는 검진자가 수용되도록 상기 부스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대기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대기영역과, 상기 워크스루 검진영역 및 상기 분리 검진영역을 각각 연결하는 개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내부도어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내부도어가 구비되는 상기 대기영역과 상기 워크스루 검진영역 및 상기 분리 검진영역을 각각 구획하는 격벽에 형성되는 개구에 상기 내부도어가 슬라이딩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홈, 상기 제2 슬라이딩홈 내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레일부재, 상기 내부도어가 상기 한 쌍의 제2 레일부재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내부도어에 형성되는 제2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내부도어의 외면과 상기 제2 슬라이딩홈 내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내부도어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형성되는 제2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출입도어 및 상기 내부도어를 제어하되, 상기 외부출입도어는 상기 내부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만 개방되도록 하고, 상기 외부출입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만 상기 내부도어가 개방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제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압제공유닛 및 상기 양압제공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대기영역과 상기 워크스루 검진영역과 상기 분리 검진영역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여 양압, 음압, 대기압 중 어느 하나의 환경을 제공하는 압력조절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조절모듈은 상기 예비 검진영역 내부의 압력이 상기 대기영역 내부의 압력보다 항상 큰 압력이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워크스루 검진영역과 상기 분리 검진영역의 내부 압력이 상기 음압영역 내부의 압력보다 항상 큰 압력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스본체 외부공간에서 피검진자가 상기 음압도어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함을 감지하는 외측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도어제어모듈은 상기 외측감지센서에서 피검진자가 상기 음압도어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함을 감지하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음압도어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비 검진부는 자가 진단 문진표 형태의 앱을 탑재한 스마트 기기를 통해서 비대면 문진을 수행하고, 37.5℃ 이상의 발열, 인후통, 기침, 호흡곤란, 복통, 또는 설사 항목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체크되면 상기 분리 검진부에 의해 2차 검진업무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스본체는, 검진업무 완료 후 상기 부스본체의 상면 또는 측면의 외부 표면을 소독하는 소독액을 분사하는 소독액 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스본체, 예비 검진부, 워스크루 검진부, 분리검진부, 음압제공유닛 및 양압제공유닛을 포함하여, 예비 검진부에서 확인되는 피검진자의 1차 검진결과에 따라 워크스루 검진부와 분리검진부 중 어느 하나에서 2차로 피검진자의 검체 채취 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피검진자의 상태에 따라 전염 가능성이 높은 피검진자의 검체 채취 과정이 분리된 공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전염 발생을 방지하여 2차 감염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전염병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기영역 및 검진영역 내부가 항상 양압을 형성하도록 하되, 검진영역 내부의 압력이 대기영역 내부의 압력보다 항상 큰 압력이 유지하도록 구성하여, 외부로부터 부스본체 내부의 대기영역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1차로 방지하고, 대기영역으로부터 검진업무가 수행되는 검진영역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2차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검진업무를 수행하는 의료진의 안전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에서 검진창 조절유닛이 구비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외부출입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외부출입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A부분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B부분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는, 전체적으로, 부스본체(100), 음압제공유닛 및 양압제공유닛으로 이루어지고, 부스본체(100)에는 예비 검진부(110), 워크스루 검진부(120) 및 분리 검진부(130)가 분리 형성되어, 예비 검진부(110)에서 확인되는 1차 검진결과에 따른 피검진자별 건강상태에 따라 워크스루 검진부(120) 및 분리 검진부(130) 중 어느 하나에서 피검진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는 2차 검진업무가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피검진자의 상태에 따라 전염 가능성이 높은 피검진자의 검체 채취 과정이 분리된 공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전염성이 점증하고 있는 알파, 베타, 감마, 델타, 델타 플러스 등의 변이 바이러스로 인한 검진 과정 중의 전염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의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를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부스본체(100)는 선별진료소의 외관을 형성하는 컨테이너 형태의 구조체로서, 검진자가 출입하도록 외부공간과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출입구(201)를 개폐 가능한 외부출입도어(200)를 포함한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출입도어(200)가 구비되는 부스본체(100)의 외벽에 형성되는 출입구(201)를 통한 부스본체(100) 내부로의 외부 유해물질 유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부스본체(100)의 출입구(201)와 외부출입도어(200) 사이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외부출입도어(200)가 구비되는 부스본체(100) 외벽에 형성되는 출입구(201)에 외부출입도어(200)가 슬라이딩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홈(202)과, 제1 슬라이딩홈(202) 내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레일부재(203)와, 외부출입도어(200)가 한 쌍의 제1 레일부재(203)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외부출입도어(200)에 형성되는 제1 슬라이드부재(210) 및 외부출입도어(200)의 외면과 제1 슬라이딩홈(202) 내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외부출입도어(200)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형성되는 제1 실링부재(2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출입도어(200)를 통해 출입하는 검진자가 수용되도록 부스본체(100) 내부에 형성되는 대기영역(800)을 더 포함하고, 대기영역(800)과 워크스루 검진영역(121) 및 분리 검진영역(132)의 검진영역을 구획하는 격벽에 형성되는 개구와 내부도어(600,700) 사이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외부출입도어(200)의 구성과 동일하게, 내부도어(600,700)가 구비되는 대기영역(800)과 검진영역을 구획하는 격벽에 형성되는 개구에 내부도어(600,700)가 슬라이딩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홈(미도시)과, 제2 슬라이딩홈 내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레일부재(미도시)와, 내부도어(600,700)가 한 쌍의 제2 레일부재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도어(600,700)에 형성되는 제2 슬라이드부재(미도시) 및 내부도어(600,700)의 외면과 제2 슬라이딩홈 내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내부도어(600,700)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형성되는 제2 실링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제1 레일부재(203)와 한 쌍의 제2 레일부재는 각각 대응되는 제1 슬라이딩홈(202)과 제2 슬라이딩홈 내부에 상단과 하단에 상호 대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슬라이드부재(210)와 제2 슬라이드부재는 롤러 또는 블록부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각각 대응되는 한 쌍의 제1 레일부재(203)와 한 쌍의 제2 레일부재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레일부재를 따라 외부출입도어(200)와 내부도어(600,700)가 각각 이동 가능한 구성이면 충분하다.
또한, 외부출입도어(200)와 내부도어(600,700)에는 도어 개폐시 파지 가능한 손잡이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부스본체(100)는 검진업무 완료 후 검진자와 피검진자가 부스본체(100) 주변에 접근하지 않은 상태에서 부스본체(100)의 상면 또는 측면의 외부 표면을 소독하는 소독액을 분사하는 소독액 분사부를 더 포함하여, 부스본체(100) 외부에 묻을 수 있는 바이러스를 제거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부스본체(100)의 출입구(201)와 외부출입도어(200) 사이, 및 대기영역(800)과 검진영역(121,132)을 구획하는 격벽에 형성되는 개구와 내부도어(600,700) 사이의 밀폐력이 향상되어서, 외부 유해물질이 부스본체(100) 내부 및 검진영역(121,13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검진자의 안전을 보다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 예비 검진부(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본체(100) 내부에 형성되되, 부스본체(100) 외부에 위치하는 피검진자로부터 문진 및 발열여부확인을 포함하는 1차 검진업무를 수행하는 검진자가 피검진자와 분리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예비 검진영역(111)과, 예비 검진영역(111)을 형성하는 부스본체(100)의 외벽에 구비되는 제1 검진창(112)을 포함한다.
또한, 예비 검진부(110)는, 예비 검진영역(111)과 부스본체(100) 외부에 위치하는 피검진자와의 의사소통을 위해 마이크, 스피커, 디스플레이 및 발열감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열감지수단으로는 피검진자의 체온을 비접촉으로 감지하는 발열감지센서를 포함하고, 발열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피검진자별 체온에 따라 발열여부를 기설정된 기준에 의해 확인하여, 발열여부에 따라 발열 확인시에는 분리 검진부(130) 측으로, 발열 미확인시에는 워크스루 검진부(120) 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정보를 소리, 이미지, 글자 중 적어도 하나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표시부는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예비 검진부(110)는 자가 진단 문진표 형태의 앱을 탑재한 스마트 기기(미도시)를 통해서 비대면 문진을 수행하고, 37.5℃ 이상의 발열, 인후통, 기침, 호흡곤란, 복통, 또는 설사 항목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체크되면 분리 검진부(130)에 의해 2차 검진업무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워크스루 검진부(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본체(100) 내부에 부스본체(100) 외부에 위치하는 피검진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는 검진자가 피검진자와 분리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워크스루 검진영역(121)과, 워크스루 검진영역(121)을 형성하는 부스본체(100)의 외벽에 구비되는 제2 검진창(122)을 포함하고, 제2 검진창(122)에는 워크스루 검진영역(121) 내부에 위치되는 검진자가 부스본체(100) 내부에서 부스본체(100) 외부에 위치하는 피검진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기 위하여 손과 팔을 투입할 수 있도록 제2 검진창(122)을 관통하여 손투입구가 형성되고, 손투입구를 커버하도록 투입구에 결합되되, 중앙부에서 방사상으로 절개라인이 형성되는 실리콘커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음, 분리 검진부(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본체(100) 내부에, 피검진자를 수용하고 음압 환경이 형성 가능한 음압영역(131)과, 음압영역(131)과 인접 배치되어, 음압영역(131) 내부에 위치하는 피검진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는 검진자가 해당 피검진자와 분리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분리 검진영역(132)과, 음압영역(131)과 분리 검진영역(132)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에 구비되는 제3 검진창(133)을 포함한다.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제3 검진창(133)에는 분리 검진영역(132) 내부에 위치되는 검진자가 부스본체(100) 내부에서 부스본체(100) 외부에 위치하는 피검진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기 위하여 손과 팔을 투입할 수 있도록 제3 검진창(133)을 관통하여 손투입구(134)가 형성되고, 손투입구(134)를 커버하도록 투입구에 결합되되, 중앙부에서 방사상으로 절개라인이 형성되는 실리콘커버(13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음, 음압제공유닛(미도시)은, 부스본체(100) 내부의 음압영역(131) 내부에 음압을 형성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음압영역(131) 내부를 음압으로 형성하기 위해 음압영역(131)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며, 음압영역(131) 내부와 음압 탱크를 연결하는 음압라인을 통해 음압 컴프레셔를 이용하여 음압영역(131) 내부의 공기를 음압 탱크로 배출되도록 하여, 챔버하우징 내부가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인 음압을 구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음압제공유닛에 의해 음압영역(131) 내부공간에 음압을 형성하여 음압영역(131) 내부에 1차 검진결과에 따라 발열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피검진자가 수용되어 검체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음압영역(131) 내부공간에서 음압영역(131) 외부공간으로 바이러스 등의 유해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발열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고위험군 피검진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해당 피검진자외의 다른 피검진자나 검체를 채취하는 검진자에게 바이러스가 공기중으로 전파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양압제공유닛(미도시)은, 검진업무를 수행하는 검진자가 내부에 수용되는 영역인 예비 검진영역(111), 워크스루 검진영역(121) 및 분리 검진영역(132) 내부에 양압을 형성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부스본체(100)의 예비 검진영역(111)과 워크스루 검진영역(121)과 분리 검진영역(132) 내부를 양압으로 형성하기 위해 압축 공기를 챔버하우징 내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며, 양압 컴프레셔를 이용하여 양압 탱크 내부의 공기를 압축하여 양압 탱크에 압축된 공기가 저장되고, 예비 검진영역(111)과 워크스루 검진영역(121)과 분리 검진영역(132) 각각의 내부와 양압 탱크를 연결하는 양압공급라인을 통해 양압 탱크 내부의 압축공기가 예비 검진영역(111)과 워크스루 검진영역(121)과 분리 검진영역(132) 각각의 내부로 공급되어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인 양압을 구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양압제공유닛에 의해 검진자가 내부에 수용되는 영역에 양압을 형성하여, 해당 영역으로 외부로부터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유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검진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 라인에 의해 단면 처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공기살균유닛(300)과 내벽청소유닛(400)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며, 공기살균유닛(300)과 내벽청소유닛(4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살균유닛(300)은, 부스본체(100) 내부에 음압영역(131)과 인접 배치되어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는 살균영역(310)과, 음압영역(131) 하부에 구비되어 살균영역(310) 측으로 음압영역(131) 내부의 공기를 배기시키는 공기배기수단(320)과, 살균영역(310) 내부에 음압영역(131)에서 배기된 공기를 살균하는 살균수단(330)과, 살균영역(310) 상부에 살균수단(330)을 통해 살균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수단(340)을 포함한다.
여기서, 공기배기수단(320)은, 음압영역(131) 내부의 공기를 배기시키되, 일례로, 음압영역(131)을 시간당 400회 환기시켜 음압영역(131) 내부를 1분 안에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기배기수단(320)은 음압제공유닛의 일부와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배기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음압영역(131) 내부의 환기 속도가 소정 크기 이상 커지는 경우 음압영역(131)을 이루는 부스본체(100)의 외벽과 내부 격벽이나 음압영역(131) 출입을 위해 부스본체(100)의 외벽에 구비되는 음압도어가 찌그러지는 등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음압영역(131)을 이루는 부스본체(100)의 외벽 또는 해당 외벽에 구비되는 음압도어에는, 음압영역(131) 내부와 외부 공간이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해당 관통구에 필터(137)(도 2 참조)가 장착되어, 필터(137)가 장착된 관통구에 의해 음압영역(131) 내부의 환기 속도가 소정 크기 이상 커지더라도 음압영역(131) 내부와 외부 공간 사이의 압력차를 일부 상쇄시켜 부스본체(100) 외벽이나 음압도어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는 음압도어에 관통구와 필터(137)가 장착된 상태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살균수단(330)은 공기를 여과시키는 헤파필터와, 공기를 살균하기 위한 자외선을 방사하는 자외선 살균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살균수단(330)은 살균영역(310)을 이루는 부스본체(100) 외벽을 관통 삽입하여 부스본체(100) 외벽을 밀폐하도록 결합하여 사용되고, 부스본체(100) 외벽과의 결합을 해제하여 부스본체(100) 외부로 인출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모듈형으로 구성되어, 모듈형 살균수단(330)을 교체하여 사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모듈형 살균수단(330)은 살균영역(310) 내에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공기살균유닛(300)은, 공기배기수단(320)이 음압영역(131)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음압영역(131) 상부에 구비되어 음압영역(131) 내부의 공기를 하부로 이송을 유도하는 공기유도팬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압영역(131)이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에는, 살균영역(310)은 각 음압영역(131)과 인접 배치되는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별도의 공간으로, 살균영역(310)은 복수개의 음압영역(131) 사이에 개재되는 공간에 구비되어, 살균영역(310)과 인접한 복수개의 음압영역(131) 내부의 공기가 배기되어 배기된 공기를 살균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벽청소유닛(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압영역(131) 내부에 구비되어 음압영역(131) 내벽면을 살균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음압영역(131) 내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410)과, 가이드레일(4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음압영역(131) 내벽면을 닦아내는 와이퍼부재(420)와, 와이퍼부재(420)를 살균 소독하기 위한 와이퍼 세척수단을 포함하며, 도 3에서는, 편의상 음압영역(131)의 내측면 일면만을 닦아내어 청소 가능하도록 도시하였으나 가이드레일(410)이 음압영역(131) 내부면을 따라 연장 구비되거나 내부면 각각에 별도로 구비되어, 가이드레일(410)을 따라 와이퍼부재(420)가 이동하면서 음압영역(131)의 측면, 상면, 하면 모두를 닦아내어 청소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내벽청소유닛(400)은, 음압영역(131) 내벽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410)과, 가이드레일(4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음압영역(131) 내벽면을 닦아내는 와이퍼부재(420)와, 음압영역(131) 하부에 구비되어 와이퍼부재(42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용기(430)와, 세척용기(430) 내부에 세정액(세정수와 세정용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수단과, 세척용액 내부에 수용된 세정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세정액 배출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세정액은 세정을 위한 세정수와 별도의 세정용액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세정액 공급수단은 세척용기(430) 내부에 세정수와 세정용액을 각각 투입하거나, 세정수와 세정용액이 혼합된 혼합액인 세정액을 투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내벽청소유닛(400)은, 음압영역(131) 내벽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410)과, 가이드레일(4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음압영역(131) 내벽면을 닦아내는 와이퍼부재(420)와, 음압영역(131) 하부에 구비되어 와이퍼부재(42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용기(430)와, 세척용기(430) 내부로 고온의 증기를 생성하여 공급하는 증기공급수단과, 세척용기(430) 내부로 세척을 위한 살균소독액을 분사하는 소독액 분사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내벽청소유닛(400)은, 가이드레일(410), 와이퍼부재(420), 세척용기(430), 세정액 공급수단, 세정액 배출수단, 증기공급수단, 소독액 분사수단을 모두 구비하여, 와이퍼부재(420)를 세정액에 의한 세척과 증기 공급에 의해 세척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내벽청소유닛(400)은, 세척용기(430)는 살균영역(310)과 연통되어, 세척용기(430) 내부의 공기를 살균영역(310)으로 배기시키는 배기수단이 구비되어, 세척용기(430) 내부의 공기 또한 살균영역(310)을 통해 환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벽청소유닛(400)은, 추가적으로, 와이퍼부재(420)가 세척용기(430) 내부에 수용되어 세척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와이퍼부재(420)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워스크루 검진부의 워크스루 검진영역(121)을 구성하는 부스본체(100)의 벽면에 구비되는 제2 검진창(122), 및 부스본체(100) 내부에 음압영역(131)과 분리 검진영역(132)을 구획하도록 형성되는 격벽에 구비되는 분리 검진부(130)의 제3 검진창(133)은, 해당 벽면 또는 격벽에 각각 복수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 검진창(122)과 제3 검진창(133) 각각은, 해당 검진창에 구비되는 손투입구(134)가 수직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어 피검진자의 신장에 따라 복수개의 손투입구(134) 중 어느 하나를 검진자가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검체 채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손투입구(134)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피검진자의 신장에 따라 손투입구(134)의 상하 위치를 이동시켜 검체 채취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검진창(122) 또는 제3 검진창(133)에는 검진자의 얼굴이 수용될 수 있도록 부스본체(100) 외부측 방향 또는 음압영역(131) 방향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얼굴수용부(136)가 더 구비되어, 검체 채취과정에서 검진자가 피검진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는 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검체 채취 진료가 편안한 자세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손투입구(134)와 얼굴수용부(136)가 구비되는 검진창 자체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피검진자의 신장에 따라 손투입구(134)와 얼굴수용부(136)의 위치를 검진자가 조절하여 검체 채취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에서 검진창 조절유닛이 구비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검진창 조절유닛은, 제2 검진창(122)과 제3 검진창(133) 중 어느 하나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제3 검진창(133)이 구비되는 벽면에 구비되는 LM가이드레일(510)과, 일단은 제3 검진창(133)과 연결되고, 타단은 LM가이드레일(510)과 연결되어, LM가이드레일(51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바디(520)와, LM가이드레일(510)과 연결되는 연결바디(520)의 타단부가 LM가이드레일(510)을 따라 이동한 후 이동된 상태를 고정시키는 검진창 고정부재(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검진창 고정부재(530)는, 검진창(122,133)에 검진창(122,133)의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검진창(122,133)이 구비되는 벽면에 고정돌기가 끼워지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끼움부재가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다수개의 끼움부재 중 어느 하나에 고정돌기가 끼워져 검진창(122,133)의 상하 설치 위치가 조정되도록 구성되거나, 연결바디(520)가 LM가이드레일(510)을 통해 이동시키는 구동수단과, 해당 구동수단이 구동되도록 검진자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는 제어신호스위치를 포함하여, 검진자가 제어신호 스위치를 누름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검진창(122,133)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검진창(122,133)이 상하로 이동 가능함에 따라 검진창(122,133)의 상하와 좌우 외주부와 벽면 사이의 실링을 위하여 검진창(122,133)의 외주부를 따라 신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신축실링부재(54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어제어모듈은, 부스본체(10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도어 각각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출입도어(200) 및 내부도어(600,700) 각각의 개폐를 제어하되, 외부출입도어(200)는 내부도어(600,700)가 모두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만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외부출입도어(200)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만 내부도어(600,700) 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 가능하도록, 외부출입도어(200)는 내부도어(600,700)와 인터락 개폐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압력조절모듈은, 상기 음압제공유닛 및 상기 양압제공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대기영역과 상기 워크스루 검진영역과 상기 분리 검진영역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여 양압, 음압, 대기압 중 어느 하나의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압력조절모듈은, 전술한 음압제공유닛 및 양압제공유닛을 제어하여, 대기영역(800)과 워크스루 검진영역(121)과 분리 검진영역(132)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여 양압, 음압, 대기압 중 어느 하나의 환경을 제공하되, 예비 검진영역(111) 내부의 압력이 대기영역(800) 내부의 압력보다 항상 큰 압력이 유지되도록 하고, 워크스루 검진영역(121)과 분리 검진영역(132)의 내부 압력이 음압영역(131) 내부의 압력보다 항상 큰 압력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압력조절모듈은 대기영역(800) 내부가 양압 환경을 구현하여 외부와 대기영역(800)을 출입하는 출입구의 개폐에 의해 외부공기가 부스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검진자가 검진업무를 수행하는 예비 검진영역(111)과 검진영역(121,132) 내부에 양압을 제공하여, 각 검진영역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음압영역(131) 내부는 음압을 제공하여 음압영역(131) 내부의 공기가 외부와 인접한 분리 검진영역(132)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예비 검진영역(111)과 대기영역(800)에는 모두 양압이 제공되되, 예비 검진영역(111) 내부의 압력이 대기영역(800) 내부의 압력보다 항상 큰 압력이 유지되도록 구성되도록 하여, 대기영역(800)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1차로 방지하고, 대기영역(800) 내부의 공기가 예비 검진영역(111)으로 유입되는 것을 2차로 방지하여, 예비 검진영역(111) 내부로의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예비 검진영역(111) 내부에서 검진 업무를 수행하는 검진자의 안전 보호 기능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음압도어에는 음압도어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로 인체가 근접함을 감지하는 외측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음압도어는 도어제어모듈에 의해 외측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정보에 따라 피검진자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음압도어가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피검진자가 외부도어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도 음압도어가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부스본체 110 : 예비 검진부
111 : 예비 검진영역 112 : 제1 검진창
120 : 워크스루 검진부 121 : 워크스루 검진영역
122 : 제2 검진창 130 : 분리 검진부
131 : 음압영역 132 : 분리 검진영역
133 : 제3 검진창 134 : 손투입구
135 : 실리콘커버 136 : 얼굴수용부
137 : 필터 200 : 외부출입도어
201 : 출입구 202 : 제1 슬라이딩홈
203 : 제1 레일부재 210 : 제1 슬라이드부재
220 : 제1 실링부재 300 : 공기살균유닛
310 : 살균영역 320 : 공기배기수단
330 : 살균수단 340 : 공기배출수단
400 : 내벽청소유닛 410 : 가이드레일
420 : 와이퍼부재 430 : 세척용기
510 : LM가이드레일 520 : 연결바디
530 : 검진창 고정부재 540 : 신축실링부재
600,700 : 내부도어

Claims (13)

  1. 외부공간과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출입구를 개폐 가능한 외부출입도어를 포함하는 부스본체;
    상기 부스본체 내부에 상기 부스본체 외부에 위치되는 피검진자로부터 문진 및 발열여부확인을 포함하는 1차 검진업무를 수행하는 검진자가 상기 피검진자와 분리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예비 검진영역을 포함하는 예비 검진부;
    상기 부스본체 내부에 상기 부스본체 외부에 위치되는 피검진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는 검진자가 상기 피검진자와 분리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워크스루 검진영역을 포함하여, 2차 검진업무를 수행하는 워크스루 검진부;
    상기 부스본체 내부에, 피검진자가 수용하고 음압 환경이 형성 가능한 음압영역과, 상기 음압영역과 인접 배치되어, 상기 음압영역 내부에 위치되는 피검진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는 검진자가 해당 피검진자와 분리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분리 검진영역을 포함하여, 2차 검진업무를 수행하는 분리 검진부;
    상기 음압영역 내부에 음압을 형성하는 음압제공유닛; 및
    상기 워크스루 검진영역 및 상기 분리 검진영역 내부에 양압을 형성하는 양압제공유닛;을 포함하고,
    발열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피검진자별 체온에 따라 발열여부를 기설정된 기준에 의해 확인하여, 발열여부에 따라 발열 확인시에는 상기 분리 검진부 측으로, 발열 미확인시에는 상기 워크스루 검진부 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정보를 소리, 이미지, 글자 중 적어도 하나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압영역 내부 공기를 살균하기 위한 공기살균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살균유닛은, 상기 부스본체 내부에, 상기 음압영역과 인접 배치되는 살균영역과, 상기 음압영역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살균영역 측으로 상기 음압영역 내부의 공기를 배기시키는 공기배기수단과, 상기 살균영역 내부에 상기 음압영역에서 배기된 공기를 살균하는 살균수단과, 상기 살균영역 상부에 상기 살균수단을 통해 살균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워크스루 검진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부스본체의 외벽에 구비되는 검진창과, 상기 분리 검진영역과 상기 음압영역 사이를 구획하도록 상기 부스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격벽에 구비되는 검진창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검진창을 상하로 이동하여 설치위치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검진창 조절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진창 조절유닛은, 상기 부스본체 외벽 또는 상기 격벽에 구비되는 LM가이드레일과, 일단은 검진창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LM가이드레일과 연결되어, 상기 LM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바디와, 상기 연결바디가 이동된 상태를 고정시키는 검진창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검진창에는 검진자의 얼굴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부스본체 외부측 방향 또는 상기 음압영역 방향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얼굴수용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부스본체는, 검진업무 완료 후 상기 부스본체의 상면 또는 측면의 외부 표면을 소독하는 소독액을 분사하는 소독액 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단은 헤파필터와, 자외선 살균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영역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음압영역 내벽면을 살균 세척하는 내벽청소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벽청소유닛은, 상기 음압영역 내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음압영역 내벽면을 닦아내는 와이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영역을 이루는 상기 부스본체의 외벽 또는 상기 음압영역을 이루는 상기 부스본체에 상기 음압영역으로의 출입을 위해 구비되는 음압도어에는, 상기 음압영역 내부와 외부 공간을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관통구와, 상기 관통구를 커버하도록 장착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출입도어가 구비되는 상기 부스본체 외벽에 형성되는 출입구에 상기 외부출입도어가 슬라이딩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홈, 상기 제1 슬라이딩홈 내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레일부재, 상기 외부출입도어가 상기 한 쌍의 제1 레일부재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외부출입도어에 형성되는 제1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외부출입도어의 외면과 상기 제1 슬라이딩홈 내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외부출입도어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형성되는 제1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출입도어를 통해 출입하는 검진자가 수용되도록 상기 부스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대기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대기영역과, 상기 워크스루 검진영역 및 상기 분리 검진영역을 각각 연결하는 개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내부도어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내부도어가 구비되는 상기 대기영역과 상기 워크스루 검진영역 및 상기 분리 검진영역을 각각 구획하는 격벽에 형성되는 개구에 상기 내부도어가 슬라이딩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홈, 상기 제2 슬라이딩홈 내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레일부재, 상기 내부도어가 상기 한 쌍의 제2 레일부재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내부도어에 형성되는 제2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내부도어의 외면과 상기 제2 슬라이딩홈 내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내부도어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형성되는 제2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출입도어 및 상기 내부도어를 제어하되, 상기 외부출입도어는 상기 내부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만 개방되도록 하고, 상기 외부출입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만 상기 내부도어가 개방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제공유닛 및 상기 양압제공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대기영역과 상기 워크스루 검진영역과 상기 분리 검진영역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여 양압, 음압, 대기압 중 어느 하나의 환경을 제공하는 압력조절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조절모듈은 상기 예비 검진영역 내부의 압력이 상기 대기영역 내부의 압력보다 항상 큰 압력이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워크스루 검진영역과 상기 분리 검진영역의 내부 압력이 상기 음압영역 내부의 압력보다 항상 큰 압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본체 외부공간에서 피검진자가 상기 음압도어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함을 감지하는 외측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도어제어모듈은 상기 외측감지센서에서 피검진자가 상기 음압도어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함을 감지하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음압도어가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검진부는 자가 진단 문진표 형태의 앱을 탑재한 스마트 기기를 통해서 비대면 문진을 수행하고, 37.5℃ 이상의 발열, 인후통, 기침, 호흡곤란, 복통, 또는 설사 항목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체크되면 상기 분리 검진부에 의해 2차 검진업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
  13. 삭제
KR1020210083586A 2021-06-28 2021-06-28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 KR102335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586A KR102335224B1 (ko) 2021-06-28 2021-06-28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586A KR102335224B1 (ko) 2021-06-28 2021-06-28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224B1 true KR102335224B1 (ko) 2021-12-06

Family

ID=78901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586A KR102335224B1 (ko) 2021-06-28 2021-06-28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2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959B1 (ko) * 2022-03-28 2022-10-12 김응호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진료소
KR102462525B1 (ko) * 2021-12-23 2022-11-03 주식회사 지씨오 이동성 및 설치 편의성을 개선한 야외 방역 구조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3591A (ja) * 2014-10-23 2016-05-19 ヤマト科学株式会社 手腕挿入開口型フード
KR101828370B1 (ko) * 2017-09-14 2018-02-12 이종필 원격제어 글로브 박스
KR102116472B1 (ko) * 2019-02-19 2020-06-05 (주)인터오션 양-음압 제어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양-음압 제어 시스템
KR102145148B1 (ko) * 2020-03-27 2020-08-14 지용섭 이동형 음압 격리 부스
KR102161495B1 (ko) 2020-04-23 2020-10-05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비대면 양압식 선별 진료소
KR102178101B1 (ko) * 2020-05-18 2020-11-13 송종운 음압 격리실을 갖춘 진료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3591A (ja) * 2014-10-23 2016-05-19 ヤマト科学株式会社 手腕挿入開口型フード
KR101828370B1 (ko) * 2017-09-14 2018-02-12 이종필 원격제어 글로브 박스
KR102116472B1 (ko) * 2019-02-19 2020-06-05 (주)인터오션 양-음압 제어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양-음압 제어 시스템
KR102145148B1 (ko) * 2020-03-27 2020-08-14 지용섭 이동형 음압 격리 부스
KR102161495B1 (ko) 2020-04-23 2020-10-05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비대면 양압식 선별 진료소
KR102178101B1 (ko) * 2020-05-18 2020-11-13 송종운 음압 격리실을 갖춘 진료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525B1 (ko) * 2021-12-23 2022-11-03 주식회사 지씨오 이동성 및 설치 편의성을 개선한 야외 방역 구조물
KR102452959B1 (ko) * 2022-03-28 2022-10-12 김응호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진료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5224B1 (ko)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
KR101937950B1 (ko) 병실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575233B1 (ko) 감염증 환자 선별 통제 시스템
KR102178101B1 (ko) 음압 격리실을 갖춘 진료 장치
KR102265551B1 (ko) 선별진료소 시스템
JP2021175442A (ja) 医療用コンテナ
WO2021206197A1 (ko) 다목적 워킹스루 부스
KR20220027339A (ko) 감염 방지용 비접촉 바이러스 채취 및 무인 객담 채취 부스
KR102519199B1 (ko) 이동식 음압격리병실
CN213038961U (zh) 一种可移动模块化医疗诊查单元
CN213099586U (zh) 一种具备检测消毒功能的通道
KR20220042627A (ko) 음압기를 이용한 프레임 내 공기주입 기능을 갖는 이동형 음압백
KR102344963B1 (ko)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
CN113445786A (zh) 一种模块拼装式隔离区进出通道
KR102235697B1 (ko) 감염병, 전쟁, 방사능노출, 화학물질, 테러 등 긴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이동식 음압 종합 격리실
KR102369226B1 (ko) 의료진 보호기능이 구비된 선별진료소
KR102302222B1 (ko) 검사자와 피검사자를 분리하는 워크스루 진료용 부스
KR102489332B1 (ko) 비접촉식 검체 채취 부스
KR102335025B1 (ko) 비대면 클리닉과 비대면 클리닉을 위한 글로브 박스
KR102369234B1 (ko) 이동형 선별진료소
US20220117817A1 (en) Simplified examination room and simplified examination room assembly set
CN111248950A (zh) 安全的传染性疾病采样装置
KR20210119837A (ko) 진단 및 검사용 안전부스
KR102452959B1 (ko)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진료소
KR102372217B1 (ko) 워킹 방호 부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