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332B1 - 비접촉식 검체 채취 부스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검체 채취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332B1
KR102489332B1 KR1020200132476A KR20200132476A KR102489332B1 KR 102489332 B1 KR102489332 B1 KR 102489332B1 KR 1020200132476 A KR1020200132476 A KR 1020200132476A KR 20200132476 A KR20200132476 A KR 20200132476A KR 102489332 B1 KR102489332 B1 KR 102489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main body
unit
glove
b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0619A (ko
Inventor
안여현
Original Assignee
안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여현 filed Critical 안여현
Publication of KR20210130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접촉식 검체 채취 부스에 관한 것으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장갑부와 상기 장갑부가 탈부착 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장갑부가 상기 개구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개구부를 차폐시켜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이 차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부스의 내부와 외부간의 공기 흐름이 차단되도록 하여 갑작스러운 돌풍이 불어와도 부스의 내부에 부스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접촉식 검체 채취 부스{Booth Capable For Specimens Collection On The Non-Contact Type}
본 발명은 비접촉식 검체 채취 부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부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개폐부를 통해 상기 부스의 내부와 외부간의 공기 흐름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비접촉식 검체 채취 부스에 관한 것이다.
COVID-19를 비롯한 바이러스 검사 등에서 호흡기 검체 채취 시에 공기나 비말 전파로 인한 감염이 발생되기 때문에 2차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압 또는 음압부스를 활용해 왔다. 그러나, 부스의 일측에 구비된 검사용 장갑을 교체할 때, 부스의 내부와 외부간에 유동으로 인하여 바이러스 등과 같은 균이 누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음압부스의 경우, 부스 내부 소독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며, 검사를 받는 환자가 부스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에 불안감을 느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양압 또는 음압부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문헌으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3088호에서는 내부공간이 음압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외부로 감염균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호흡기 감염증 환자의 검체채취용 부스에 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피검사자가 직접 검체를 채취해야 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검체 채취용 장갑이 구비될 수 있는 포트가 구비되더라도 장갑의 교체 시, 부스의 내부와 외부간에 유체의 유동 등으로 인하여 바이러스 등과 같은 균이 누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3088호 (2017.12.05.)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검사용 장갑이 탈부착되는 개구부에 전동식 개폐부를 구비하여 장갑 교체 시, 부스의 내부와 외부간의 유동이 차단되어 2차 감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자 및 피검사자가 격리된 상태에서 비접촉식으로, 상기 검사자가 상기 피검사자의 검체를 채취 가능한 비접촉식 검체 채취 부스에 있어서, 상기 검사자 및 피검사자 중 1인이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검사자 및 피검사자가 서로 격리되도록 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상기 본체부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도록 구비되는 개구부와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여,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검사자가 상기 피검사자의 검채를 체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차폐부재와 상기 차폐부재를 개폐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온오프되어, 상기 개구부가 개방 또는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에 탈부착되는 장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갑부가 상기 개구부로부터 탈부착될 시, 상기 개폐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개구부가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차폐부재와 상기 차폐부재를 개폐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과 상기 장갑부의 탈부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장갑부의 탈부착 여부에 따라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여 상기 차폐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자동으로 개방 또는 차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소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독부로부터 소독액이 분사되어 상기 본체부와 장갑부가 소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양압 또는 음압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조절부에 의하여, 검사자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피검사자가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위치한 상태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내부가 양압으로 형성되는 검사자수용모드와, 검사자가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위치하고 피검사자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내부가 음압으로 형성되는 피검사자수용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갑작스러운 돌풍의 발생에도 부스의 내외부 간의 유동을 차단함으로써, 2차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체 채취의 수행 시, 검사자가 감염으로부터 보호되며, 검사용 장갑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검체 채취의 사전준비를 완료할 수 있어 검체 채취 작업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검체 채취 부스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구부에 장갑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압기와 음압기에 의해 본체부 내부가 환기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에 의해 개구부가 개방되고 장갑부를 개구부에 결합시키는 모습으로, (a)는 개구부가 차폐되어 있는 모습, (b)는 개구부가 개방된 모습, (c)는 개방된 개구부에 장갑부가 결합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개폐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검체 채취 부스에서 장갑부를 교체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개구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개구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검체 채취 부스는, 도 1을 참조하면, 검사자 및 피검사자가 격리된 상태에서 비접촉식으로, 상기 검사자가 상기 피검사자의 검체를 채취 가능한 워크스루 부스에 있어서, 상기 검사자 및 피검사자 중 1인이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검사자 및 피검사자가 서로 격리되도록 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상기 본체부(100)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도록 구비되는 개구부(110)와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개구부(110)를 개폐하는 개폐부(300)를 포함하여, 상기 개구부(110)를 통하여, 상기 검사자가 상기 피검사자의 검채를 체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개구부(110)에 탈부착되는 장갑부(2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갑부(200)가 상기 개구부(110)로부터 탈부착될 시, 상기 개폐부(300)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개구부(110)가 차폐된다.
먼저, 상기 본체부(100)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부(10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에 의료행위를 수행하는 검사자 또는 피검사자가 외부와 구획되도록 한다. 즉,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검사자가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피검사자가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검사자 및 피검사자가 서로 격리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검사자 또는 피검사자가 외부와 구획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바퀴(도면 미도시) 또는 상기 본체부(100)를 들어올리기 용이하도록 하는 걸이부(도면 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는 내부에 검사자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검사자가 상기 본체부(100)에 용이하게 드나들 수 있도록 형성되는 출입문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에 검사자가 드나들 수 있도록 형성되는 출입문과 상기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손잡이(14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검사자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여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개구부(110)는 상기 본체부(110)의 측면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10)의 내외부를 연통시킨다. 즉, 상기 개구부(110)는 중공형태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와 본체부(100)의 외부가 연통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110)에는 상기 장갑부(200)가 탈부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11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장갑부(200)가 덮어 씌우는 형태로 장착되기 위한 외주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장갑부(200)의 후단부가 뒤집어진 상태로 상기 개구부(110)의 외주면을 덮어씌우는 형태로 결합된 후, 상기 장갑부(200)의 나머지 부분이 상기 개구부(110)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상기 장갑부(200)가 상기 개구부(110)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장갑부(200)가 상기 개구부(110)를 관통하도록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남아 있는 상기 장갑부(200)의 후단부가 뒤집어져 상기 개구부(110)의 돌출된 부분을 감싸는 방식으로, 상기 장갑부(200)가 상기 개구부(1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후, 원형 고무링과 같이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비되는 고정부재(201)가 상기 뒤집어진 장갑부(200)의 후단부를 결박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장갑부(200)의 후단부가 상기 개구부(110)의 돌출된 부분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장갑부(200)가 상기 개구부(11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201)는 상기 장갑부(2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여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01)에 의하여, 상기 장갑부(200)와 상기 개구부(110)의 사이 틈이 보다 완벽하게 차폐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와 외부간의 공기 흐름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장갑부(200)가 상기 개구부(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된 상기 장갑부(200)의 내부 공간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으므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수용된 검사자는 상기 장갑부(200)를 통해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와 접촉되지 않으며, 피검사자의 검체를 채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가 양압 또는 음압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부(120,130)를 더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조절부(120,13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가 양압 또는 음압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팬(도면 미도시)과, 상기 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도면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팬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의 내외부 공기가 강제로 유동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와 외부 간의 압력 차이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가 양압 또는 음압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조절부(120,130)에 의하여, 검사자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피검사자가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에 위치한 상태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가 양압으로 형성되는 검사자수용모드와, 검사자가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에 위치하고 피검사자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가 음압으로 형성되는 피검사자수용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검사자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피검사자가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에 위치한 상태로 검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100)가 상기 검사자수용모드로 전환되어 사용된다. 또한, 검사자가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에 위치하고 피검사자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검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100)가 피검사자수용모드로 전환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즉,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부(100)를 검사자수용모드 및 피검사자수용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워크스루부스의 활용성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절부(120,13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양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양압기(120)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음압기(130)를 포함한다. 상기 양압기(120)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음압기(130)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양압기(12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정화될 수 있도록 필터링하는 양압필터(121)와,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 공기를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로 강제 유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양압팬(122)을 포함한다. 상기 양압기(12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양압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검사자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로부터 바이러스, 세균 등의 병원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음압기(13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정화될 수 있도록 필터링하는 음압필터(131)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공기를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로 강제 유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음압팬(132)을 포함한다. 상기 음압기(13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피검사자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로 바이러스, 세균 등의 병원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하나의 필터로 양압과 음압을 모두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양압에서 음압으로, 음압에서 양압으로 공기 유동의 방향이 전?c됨에 따라 필터의 표면에 남아 있을 지도 모르는 바이러스, 세균 등의 병원체가 의도치 않았던 방향으로 퍼지게 되면서 감염의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부스에서 양압에서 음압으로, 음압에서 양압으로 전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환하기 전에 필터를 훈증소독하거나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과 같이 상기 본체부(100)에 상기 양압필터(121)와 음압필터(131)가 별개로 구비되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가 양압 또는 음압으로 전환되더라도 상기 양압필터(121) 및 음압필터(131)를 통한 공기 유동 방향은 동일하므로, 상기 양압필터(121) 및 음압필터(131)의 표면에 남아 있는 병원체가 검사자에게 노출될 위험이 최소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자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에서 피검사자가 검사를 받는 경우에는, 상기 양압기(120)와 양압필터(121)를 이용한 흡기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결핵환자의 객담 검사와 같이 피검사자가 수용되어 검사를 받고,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에 검사자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음압기(130)와 음압필터(131)를 이용한 배기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양압필터(121) 및 음압필터(131)에 잔존하는 병원체의 확산 위험없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압력이 원활하게 전환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양압기(120)와 음압기(130)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흡기와 배기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가 환기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를 클린룸이나 청정수술실과 같은 용도로 사용할 경우, 상기 양압기(120)와 음압기(130)를 동시에 가동시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층류(유체의 규칙적인 흐름)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가 보다 더 빠르게 환기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소독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독부(170)는 내부에 소독제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단부가 상기 장갑부(200)를 향하도록 놓여지고 소독제를 분출하는 노즐(171) 및 펌프 등을 구비하여 상기 노즐(23)을 통해 상기 소독제를 상기 장갑부(200)과 본체부(100)의 외측면을 향해 분사하여 소독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소독부(17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로 소독제가 분사되도록 하여, 상기 장갑부(200)를 상기 개구부(110)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장갑부(200)에 대한 소독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장갑부(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놓여지는 상기 노즐(171)을 통하여 분출되는 소독제에 의하여 상기 장갑부(200)에 대한 집중적인 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와 장갑부(200)에 분사된 소독제를 검사자 또는 외부에 있는 사람이 다시 닦아내어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부와 장갑부(200)가 보다 더 완벽하게 소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노즐(171)은 복수개로 구비되거나 복수개의 분사구가 마련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소독제를 담고 있는 상기 소독부(170)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 또는 측면 등에 설치되거나, 상기 본체부(100)와 일체형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와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상기 노즐(171)을 통해 상기 본체부(100)의 외벽 또는 상기 장갑부(200) 등에 소독액을 분사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개구부(110)를 개폐하는 상기 개폐부(300)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300)는 상기 개구부(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차폐부재(310)과 상기 차폐부재(310)를 개폐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320)과 상기 구동원(320)을 제어하는 스위치(330)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330)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온오프되어, 상기 개구부(110)가 개방 또는 차폐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개폐부(300)는 상기 개구부(110)를 전동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상기 개폐부(300)는 힌지결합 등을 통해 상기 개구부(110)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11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110) 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상기 차폐부재(310)와, 상기 차폐부재(310)를 구동시키는 상기 구동원(320)과, 상기 구동원(320)을 제어하는 상기 스위치(3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330)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온오프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구비될 수 있으며, 일례로, 상측 또는 하측이 선택적으로 함몰 또는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원(320)은 일례로 모터일 수 있으며, 상기 구동원(320)의 동력을 상기 차폐부재(310)로 전달하여 상기 차폐부재(310)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동력전달부재(3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폐부재(310)은 일례로 상기 동력전달부재(321)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구동원(3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330)는 상기 구동원(3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구동원(320)은 상기 스위치(33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며, 상기 차폐부재(310)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제공한다.
일례로, 상기 차폐부재(310)과 구동원(320) 및 스위치(33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검사자가 상기 스위치(330)를 조작하여 상기 구동원(32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차폐부재(310)를 회동시켜 상기 개구부(1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즉, 검사자가 상기 스위치(330)의 하측을 함몰시키면, 상기 구동원(320)이 상기 차폐부재(310)를 상방으로 회동시켜 도 4의 (b)와 같이 상기 개구부(110)를 개방시킨다.
이때, 개방된 상기 차폐부재(310)에 의해 상기 장갑부(200)가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어 교환 시 용이하게 상기 장갑부(200)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검사자가 상기 스위치(330)의 상측을 함몰시키면, 상기 구동원(320)이 상기 차폐부재(310)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도 4의 (a)와 같이 상기 개구부(110)가 차폐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차폐부재(310)은 상기 스위치(330)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원(32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음으로써,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동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개구부(110)가 개방 및 차폐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위치(330)는 버튼 또는 레버 등 여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300)는 상기 장갑부(200)의 탈부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340) 및 상기 구동원(320)을 제어하는 제어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감지부(340)에서 감지된 상기 장갑부(200)의 탈부착 여부에 따라 상기 구동원(320)을 제어하여 상기 차폐부재(310)가 상기 개구부(110)를 자동으로 개방 또는 차폐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장갑부(200)가 상기 개구부(11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감지부(340)는 상기 장갑부(200)의 이탈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350)에 신호를 전달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감지부(34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원(320)을 제어하여, 상기 차폐부재(310)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차폐부재(310)가 상기 개구부(110)를 차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장갑부(200)가 상기 개구부(110)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감지부(340)는 상기 장갑부(200)의 부착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350)에 신호를 전달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감지부(34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원(320)을 제어하여, 상기 차폐부재(310)를 상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개구부(110)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감지부(340)로부터 전달 받은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원(320)을 제어하여 상기 차폐부재(310)가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개폐부(300)는 상기 장갑부(200)가 상기 개구부(11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개구부(110)를 차폐시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이 차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장갑부(200)의 교체 작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도 6의 (a)를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110)에 결합된 상기 장갑부(200)을 통해 검사자가 상기 본체부(100) 외부의 피검사자와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6의 (b)를 참조하면, 사용이 끝난 상기 장갑부(200)는 상기 개구부(110)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330)를 통해 상기 차폐부재(310)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개구부(110)가 차폐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 공기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6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스위치(330)를 통해 상기 차폐부재(310)를 상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개구부(110)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하지 않은 상기 장갑부(200)가 상기 개구부(1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장갑부(200)가 상기 개구부(11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개폐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을 완벽히 차폐시킴으로써,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 공기가 상기 개구부(110)를 통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검체 채취 부스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본체부(100)에 대한 구성은 중첩되며, 차폐부재(310)가 두 개의 파트로 이루어져 상기 개구부(110)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은 제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110)의 내측에 상기 차폐부재(310)가 인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공간에는 상기 차폐부재(31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부재(310)는 상기 개구부(110)의 상부로 인입되는 제1차폐부재(311)와 상기 개구부(110)의 하부로 인입되는 제2차폐부재(312)로 이루어진 두 파트로 구비된다. 이때, 인입된 상기 차폐부재(310)의 두 파트는 각각 상기 개구부(110)의 내상부와 하부로부터 인출되어 서로 접촉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이 차폐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장갑부(200)을 교체하기 위하여 상기 장갑부(200)가 상기 개구부(11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제1차폐부재(311)와 제2차폐부재(312)는 상기 개구부(110)의 중앙부를 향해 인출되어 서로 맞닿음으로써,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이 외부로부터 완벽히 차폐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차폐부재(31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 공기가 상기 개구부(110)를 통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원(32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동력전달부재(321)은 일례로, 랙 피니언 기어를 적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검체 채취 부스의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본체부(100)에 대한 구성은 중첩되며, 차폐부재(410)의 두 파트가 상기 개구부(110)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는 방향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은 제1 및 제2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차폐부재(410)는 상기 개구부(110)의 좌측부로 인입되는 제1차폐부재(411)와 상기 개구부(110)의 우측부로 인입되는 제2차폐부재(412)로 이루어진 두 파트로 구비된다. 또한, 인입된 상기 차폐부재(410)의 두 파트는 각각 상기 개구부(110)의 좌측부와 우측부로부터 인출되어 서로 맞닿으며,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이 차폐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장갑부(200)을 교체하기 위하여 상기 장갑부(200)가 상기 개구부(11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제1차폐부재(411)와 제2차폐부재(412)는 상기 개구부(110)의 중앙부를 향해 인출되어 서로 맞닿음으로써,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이 외부로부터 완벽히 차폐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차폐부재(41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 공기가 상기 개구부(110)를 통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체부
110 : 개구부
120 : 양압기
121 : 양압필터
122 : 양압팬
130 : 음압기
131 : 음압필터
132 : 음압팬
140 : 손잡이
170 : 소독부
171 : 노즐
200 : 장갑부
300 : 개폐부
310 : 차폐부재
320 : 구동원
321 : 동력전달부재
330 : 스위치
340 : 감지부
350 : 제어부
400 : 개폐부
410 : 차폐부재
411 : 제1차폐부재
412 : 제2차폐부재
500 : 개폐부
510 : 차폐부재
511 : 제1차폐부재
512 : 제2차폐부재

Claims (7)

  1. 검사자 및 피검사자가 격리된 상태에서 비접촉식으로, 상기 검사자가 상기 피검사자의 검체를 채취 가능한 비접촉식 검체 채취 부스에 있어서,
    상기 검사자가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피검사자가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검사자 및 피검사자가 서로 격리되도록 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상기 본체부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도록 구비되는 개구부;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개구부에 탈부착되는 장갑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검사자가 상기 장갑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피검사자의 검채를 체취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소독제가 분사되도록 하는 소독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독부가 상기 장갑부를 상기 개구부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장갑부에 대한 소독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소독부는,
    단부가 상기 장갑부를 향하도록 놓여져 소독제를 분출하는 노즐;을 포함하여,
    상기 노즐을 통하여 분출되는 소독제에 의하여 상기 장갑부에 대한 집중적인 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검체 채취 부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차폐부재;
    상기 차폐부재를 개폐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온오프되어, 상기 개구부가 개방 또는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검체 채취 부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부가 상기 개구부로부터 탈부착될 시, 상기 개폐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개구부가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검체 채취 부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차폐부재;
    상기 차폐부재를 개폐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
    상기 장갑부의 탈부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장갑부의 탈부착 여부에 따라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여 상기 차폐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자동으로 개방 또는 차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검체 채취 부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양압 또는 음압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검체 채취 부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조절부에 의하여,
    검사자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피검사자가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위치한 상태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내부가 양압으로 형성되는 검사자수용모드와,
    검사자가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위치하고 피검사자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내부가 음압으로 형성되는 피검사자수용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검체 채취 부스.
  7. 삭제
KR1020200132476A 2020-04-22 2020-10-14 비접촉식 검체 채취 부스 KR1024893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896 2020-04-22
KR20200048896 2020-04-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619A KR20210130619A (ko) 2021-11-01
KR102489332B1 true KR102489332B1 (ko) 2023-01-17

Family

ID=78519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476A KR102489332B1 (ko) 2020-04-22 2020-10-14 비접촉식 검체 채취 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3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282B1 (ko) * 2021-11-19 2022-11-07 송종운 스마트 음압 선별 진료소 살균 및 소독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060B1 (ko) * 2013-11-19 2015-03-03 김아영 고무장갑용 자동 소독장치
JP2016083591A (ja) * 2014-10-23 2016-05-19 ヤマト科学株式会社 手腕挿入開口型フード
KR101668378B1 (ko) * 2015-09-24 2016-10-21 (주)클래스원 이동형 아이솔레이터
KR102038455B1 (ko) * 2018-07-31 2019-10-31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멸균장갑 공급 장치
CN210370055U (zh) * 2020-03-10 2020-04-21 北京中医药大学深圳医院(龙岗) 采样隔离防护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3088A (ko) 2016-05-25 2017-12-05 주식회사 엠아이티에스 호흡기 감염증 환자의 검체채취용 부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060B1 (ko) * 2013-11-19 2015-03-03 김아영 고무장갑용 자동 소독장치
JP2016083591A (ja) * 2014-10-23 2016-05-19 ヤマト科学株式会社 手腕挿入開口型フード
KR101668378B1 (ko) * 2015-09-24 2016-10-21 (주)클래스원 이동형 아이솔레이터
KR102038455B1 (ko) * 2018-07-31 2019-10-31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멸균장갑 공급 장치
CN210370055U (zh) * 2020-03-10 2020-04-21 北京中医药大学深圳医院(龙岗) 采样隔离防护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619A (ko) 202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482B1 (ko) 감염 방지용 무인 객담 채취 부스
JPH0448267A (ja) 自動分析装置
KR102152235B1 (ko)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채담부스
CN103153199A (zh) 用于体液的装置
KR102489332B1 (ko) 비접촉식 검체 채취 부스
CN213330185U (zh) 一种可移动的呼吸道样本采样亭
KR102174308B1 (ko) 다목적 워킹스루 부스
JP2021175838A (ja) 感染防止方法
KR102335224B1 (ko)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
KR20220027339A (ko) 감염 방지용 비접촉 바이러스 채취 및 무인 객담 채취 부스
JP3104211U (ja) 安全キャビネット型クリーンベンチ
JP2005334771A (ja) 清浄作業台
JP2018526183A (ja) 感染性因子の拡散を回避するための、ならびに、医療用アスピレーターの電気的安全および吸引性能を改善するための、構成体および方法
KR20220042627A (ko) 음압기를 이용한 프레임 내 공기주입 기능을 갖는 이동형 음압백
KR102429573B1 (ko)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다방향 워크스루 부스
KR102416625B1 (ko) 차폐부를 구비한 워크스루 부스
KR102530486B1 (ko) 구급 차량용 살균장치
KR102409361B1 (ko) 선별 진료를 위한 진료소 구조
CN218356619U (zh) 核酸检测舱
KR102466848B1 (ko) 소독 모듈을 포함하는 개폐 장치, 개폐 장치를 구비한 이동형 차량 및 이동형 검체 장치 제어방법
KR102389149B1 (ko) 호흡기 감염증 환자의 검체 채취용 부스
KR102344963B1 (ko)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
KR102458388B1 (ko) 이동형 검체 채취용 다기능 부스
US20230225631A1 (en) A modular mouthpiece
KR102452959B1 (ko)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진료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