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2627A - 음압기를 이용한 프레임 내 공기주입 기능을 갖는 이동형 음압백 - Google Patents

음압기를 이용한 프레임 내 공기주입 기능을 갖는 이동형 음압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2627A
KR20220042627A KR1020200125655A KR20200125655A KR20220042627A KR 20220042627 A KR20220042627 A KR 20220042627A KR 1020200125655 A KR1020200125655 A KR 1020200125655A KR 20200125655 A KR20200125655 A KR 20200125655A KR 20220042627 A KR20220042627 A KR 20220042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pressure
air
frame
shape
wa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신
Original Assignee
케이디엠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디엠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디엠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5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2627A/ko
Publication of KR20220042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6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A61G10/023Room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at over- or under-pressure or at a variabl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B01L1/52Transportable laboratories; Field k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24F2011/0005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to create underpressure in a room, keeping contamination ins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압기를 이용한 프레임 내 공기주입 기능을 갖는 이동형 음압백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지된 이동형 음압기에 있어서,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을 X-선 및 빛이 통과하고 내부는 중공이면서 상호 연결된 긴 튜브 형상으로 성형하되,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 중 어느 한 프레임의 일단부에 체크밸브가 구비된 공기 주입구와 내부 공기 배출을 위한 공기 배출구를 설치하고, 상기 음압기의 처리공기 배출구 단부에는 하나의 공기 유입구와 두개의 공기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음압기에서 배출되는 처리공기를 외부 또는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 중 어느 한측으로 배출시켜 주는 삼방밸브를 설치하며, 상기 삼방밸브의 일측 공기 배출구와 공기 주입구 사이에는 상기 삼방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음압기의 처리공기를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 내부로 전달해 주는 에어 공급호스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동형 음압백의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그 부피와 중량을 크게 줄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며, 또한 환자를 음압이 걸려 있는 이동형 음압백 내에 입실시켜 놓은 상태에서 X-선/CT 촬영 등을 원활히 실시할 수 있어 감염 환자를 음압백 내로부터 빼내어 X-선/CT 촬영 등을 실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2차 감염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감염병 확산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압기를 이용한 프레임 내 공기주입 기능을 갖는 이동형 음압백{Mobile negative pressure bag with in-frame air injection function using negative pressure device}
본 발명은 음압기를 이용한 프레임 내 공기주입 기능을 갖는 이동형 음압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 등을 포함하는 각종 세균과 같은 유해물질에 오염된 환자를 격리시켜 이로 인한 2차 오염 확산을 차단하면서 최대한 안정적인 자세로 신속하게 환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이동형 음압백 자체의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그 부피와 중량을 크게 줄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며, 또한 환자를 음압이 걸려 있는 이동형 음압백 내에 입실시켜 놓은 상태에서 X-선/CT 촬영 등을 원활히 실시할 수 있게 하여 감염 환자를 음압백 내로부터 빼내어 X-선/CT 촬영 등을 실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2차 감염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감염병 확산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발명한 음압기를 이용한 프레임 내 공기주입 기능을 갖는 이동형 음압백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생물학적이거나 화학적인 오염에 기인한 건강에 대한 위협이 지난 몇년간 증대되고 있고, 특히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중국 전역과 전 세계로 확산된,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에 의한 호흡기 감염질환발생되었다.
이와 같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는 감염자의 비말(침방울)이 호흡기나 눈·코·입의 점막으로 침투될 때 전염된다. 감염되면 약 2~14일(추정)의 잠복기를 거친 뒤 발열(37.5도) 및 기침이나 호흡곤란 등 호흡기 증상, 폐렴이 주증상으로 나타나지만 무증상 감염 사례도 드물게 나오고 있다.
한편, 각종 세균에 감염된 환자나 자연적인 생물학적 손상을 입은 희생자를 운반하는 장치 즉, 안전한 환경에서 화학적 위험이나 생물학적 위험에 노출된 사람을 격리하거나 유해한 환경에 노출되지는 않은 사람을 의료적 운송을 위해 격리하기 위한 조립식 포트 등과 같은 장치는 최근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환자나 희생자는 에볼라(Ebola) 또는 마부르그 바이러스(Marburg virus),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탄저병 및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 등에 의해 감염된 사람을 포함한다.
이러한 시스템의 하나는 방벽으로부터 현수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막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위해 방벽이 있는 외부 프레임을 구비한 자체 보유 장치를 포함하는 빅커 상자(Vickers box)라고 불린다.
상기한 프레임은 다리 받침대와 계단을 구비한다. 낮은 타원형의 적재 포트는 환자가 들것과 같은 구조체에 놓여지기 위해 운반되는 내부로의 입구를 제공한다.
방벽은 그 발의 단부로 들어가는 환기 튜브를 구비하고, 글로브 포트가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며, 관통 포트는 환자의 장딴지가 놓이는 곳의 근처의 방벽을 통해 연장된다.
이러한 유닛의 각 측면에는 글로브 포트 쌍이 존재하고, 정맥 주사용 가방등이 유닛의 프레임으로부터 현수된다.
정맥 주사선은 유닛 측면의 포트를 통해 연장되고, 빅커 상자는 자체 중량이 무거워 이용이 자유롭지 못하며, 매우 고가이다.
빅커 프레임이 조립되면, 그것은 크고, 유닛은 생물학적 비상 사태 발생시에 이용하려는 많은 수의 수용량에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화학 또는 생물학적 테러가 발생한 경우의 희생자를 격리하는데 소요되는 저비용인 동시에 사용이 용이하고 이동가능하며 컴팩트한 생물학적 격리 시스템이 요망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로 특허출원번호 10-2000-7009200호에 조립식 개인용 격리장치가 게시된 바 있다.
이를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조립식 개인용 격리장치는, 환자가 입실할 수 있는 내부 영역을 형성하는 가요성 벽과, 상기 가요성 벽과 접촉하여 환자로부터의 격리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와, 내외부 사이로 에어를 이송시키고 내외부 사이의 생화학적 격리를 위한 환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조립식 개인용 격리장치는 투명한 커버에 플라스틱 튜브이거나 나일론 막대로 구성된 복수개의 내부 지지 프레임 또는 스테이를 구비하고 있어서, 보관을 위해 접을 때, 쉽게 접힘되지 않는 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조립식 개인용 격리장치는 봉 형상의 들것에 의해 들어 옮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들것에 대한 보관 및 조립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립시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즉, 저비용으로 제작가능하게 하면서 경량화 및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893936호에 가스프레임 지지구조를 구비한 이동형 음압백이 게시된 바 있다.
이를 살펴보면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 홀이 각각 천공된 반원판 형상의 전,후면판부재와, 상기 전,후면판부재를 전,후면에 고정시켜 사용시 환자가 입실할 수 있는 내부 영역이 형성되게 반구 형상으로 구비되되, 전,후단과 측면에는 오염물질에 노출된 환자를 신속하게 출입시킬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된 밀폐용지퍼가 갖추어지고, 후면에는 외부 공기흡입구가 형성되어 접힘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가요성 보호덮개와,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상면이 각각 고정되되, 일단과 타단은 외향으로 돌출되어 파지가능하도록 손잡이용 홀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손잡이부재와,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 표면에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가스발생부로부터 발생된 가스가 주입되므로 인해 가요성 보호덮개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가스프레임부와,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의 전면에 설치되어 내부공기를 필터링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배기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가스발생부는 가스유동홀이 형성된 종방향으로 형성된 종방향가스프레임 일측 하단에 접착제 또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상기 가스유동홀을 포함하여 고정되되, 상부는 개구되고 외측면에는 가스유출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가스발생용수용체와, 상기 가스발생용수용체에 수용되어 산 성분을 갖는 액체와 화학반응에 따른 기체가 발생가능하도록 소다가 충진된 소다용티백과, 상기 소다용티백측으로 산 성분을 갖는 액체를 공급가능하도록 구연산수가 저장되어 상기 가스발생용수용체로 하부가 수용되고 상부는 안착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연산수저장부와, 상기 구연산수저장부의 상면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바닥면측으로 위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구연산수저장부의 상면을 누름시키는 것에 의해 바닥면을 파손시켜 저장된 구연산수가 가스발생용수용체측으로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손용부재로 구성된 형태를 갖는다.
그런데, 상기에서 제시한 종래 가스프레임 지지구조를 구비한 이동형 음압백에서는 가요성 보호덮개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가스프레임부의 내부를 가스발생용수용체와 소다용티백, 구연산수가 저장된 구연산수저장부 및 파손용부재로 구성된 별도의 가스발생부를 이용하여 가스를 주입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뷸필요하게 제품의 생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스발생부는 일회용으로 최초 이동형 음압백을 정해진 형태로 성형시키는데 사용한 후,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소다 및 구연산수 중 어느 하나라도 다 소모되어 가스발생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고가의 가스발생부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시켜 주어야 하고, 또한 이동형 음압백의 사용이 완료되어 그 부피를 최소로 줄여 보관하고자 할 때에는 가스프레임 내에 충진되어 있던 구연산 가스을 공기중으로 배출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가스발생부 내에 잔류하는 소다 및 구형산수를 폐기시켜야 하므로 주변공기는 물론 자연환경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고, 특히 제품 자체의 유지관리비가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특2001-0041151호(2001년 05월 15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893936호(2018년 08월 27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 등을 포함하는 각종 세균과 같은 유해물질에 오염된 환자를 격리시켜 이로 인한 2차 오염 확산을 차단하면서 최대한 안정적인 자세로 신속하게 환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이동형 음압백의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을 X-선 및 빛 등이 통과되는 긴 튜브 형상으로 형성하고, 각 프레임은 음압기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충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자체의 생산원가 및 유지보수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또 사용 후 보관을 위해 각 프레임 내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이미 음압기를 통해 필터링된 청정공기이므로 각 프레임에서 배출되는 공기로 인한 주변환경 오염이 전혀 발생되지 않으며, 그 부피와 중량을 크게 줄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특히 환자를 음압이 걸려 있는 이동형 음압백 내에 입실시켜 놓은 상태에서 X-선/CT 촬영 등을 하더라도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게 되므로 감염 환자를 음압백 내로부터 빼내어 X-선/CT 촬영 등을 실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2차 감염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감염병 확산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음압기를 이용한 프레임 내 공기주입 기능을 갖는 이동형 음압백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형 음압백의 바닥을 유지시켜 주는 바닥 형상 유지용 프레임과;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반원판 형상으로 성형하되, 각각 필터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공기 흡입구와 내부공기 배출구가 각각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 형상 유지용 프레임의 전,후방 상면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전,후면 판재와; 상기 바닥 형상 유지용 프레임과 전,후면 판재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 설치된 상태를 갖고 사용시 환자가 입실할 수 있는 터널 형상의 내부 영역이 구비되되, 전,후단과 일측면에는 환자를 신속하게 출입시킬 수 있도록 밀폐용 지퍼가 설치된 형태를 갖는 가요성 보호덮개와;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반호형 지지 프레임 중앙부가 수평 지지 프레임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형태를 갖고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형태에서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가 터널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과;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의 저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고정되되, 일단과 타단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파지 가능하도록 손걸림부가 각각 형성된 형태를 갖는 다수의 손잡이부재와; 내부공기 흡입구와 처리공기 배출구가 구비된 함체의 내부에 시로코팬과 복수의 필터가 내설되고 외부에는 제어부 및 팬 작동 스위치가 설치된 구성을 갖고 상기 후면 판재의 외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 형태에서 환자가 입실하는 가요성 보호덮개 내 공기의 압력이 외부보다 낮게 만들어 주기 위해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며, 내부는 음압상태가 유지되게 함과 동시에 실내의 오염된 공기 및 세균의 외부 유출은 방지 및 제거하는 음압기;로 구성된 이동형 음압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을 X-선 및 빛이 통과하고 내부는 중공이면서 상호 연결된 긴 튜브 형상으로 성형하되,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 중 어느 한 프레임의 일단부에 체크밸브가 구비된 공기 주입구와 내부 공기 배출을 위한 공기 배출구를 설치하고, 상기 음압기의 처리공기 배출구 단부에는 하나의 공기 유입구와 두개의 공기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음압기에서 배출되는 처리공기를 외부 또는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 중 어느 한측으로 배출시켜 주는 삼방밸브를 설치하며, 상기 삼방밸브의 일측 공기 배출구와 공기 주입구 사이에는 상기 삼방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음압기의 처리공기를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 내부로 전달해 주는 에어 공급호스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삼방밸브로는 관리자가 직접 개폐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수동형 삼방밸브 또는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개폐 방향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자동형 삼방밸브 중 어느 한 삼방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삼방밸브로 자동형 삼방밸브를 설치한 경우, 상기 제어부의 입력단자에는 상기 삼방밸브의 구동방향을 외부 또는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 중 어느 한측으로 설정할 수 있는 삼방밸브 구동방형 전환 스위치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삼방밸브로 자동형 삼방밸브를 설치한 경우, 상기 제어부의 입력단자에 상기 삼방밸브 구동방형 전환 스위치와 더불어 압력검출센서를 더 설치하되, 상기 압력검출센서는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 중 어느 한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하여, 관리자가 상기 삼방밸브 구동방형 전환 스위치를 통해 자동형 삼방밸브의 공기 배출방향을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 측으로 전환시켜 상기 음압기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 내부에 공기를 주입시키던 중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압력검출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압력이 정해진 압력 이상일 경우 만충진으로 판단하고, 상기 자동형 삼방밸브의 공기 배출방향을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 측에서 외부로 자동 전환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의 전방부 일측 또는 양측에는 의료진이 외부에서 고무장갑에 두손을 끼고 내부에 있는 환자를 손으로 만지면서 각종 상태를 검사 및 진찰하거나 각종 약재를 주사할 수 있게 하는 복수의 글로브 포트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압기를 이용한 프레임 내 공기주입 기능을 갖는 이동형 음압백에 의하면, 첫째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 등을 포함하는 각종 세균과 같은 유해물질에 오염된 환자를 격리시켜 이로 인한 2차 오염 확산을 차단하면서 최대한 안정적인 자세로 신속하게 환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이동형 음압백의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을 X-선 및 빛 등이 통과되는 긴 튜브 형상으로 형성하고, 각 프레임은 음압기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충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형 음압백 자체의 생산원가 및 유지보수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형 음압백의 사용 후 보관을 위해 각 프레임 내에서 배출시키는 공기는 이미 음압기를 통해 필터링된 청정공기이므로 각 프레임에서 배출되는 공기로 인한 주변환경 오염이 전혀 발생되지 않으며, 그 부피와 중량을 크게 줄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셋째, 환자를 음압이 걸려 있는 이동형 음압백 내에 입실시켜 놓은 상태에서 X-선/CT 촬영 등을 하더라도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게 되므로 감염 환자를 음압백 내로부터 빼내어 X-선/CT 촬영 등을 실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2차 감염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감염병 확산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형 음압백 자체의 상품성과 그 기능에 따른 신뢰도 및 사용에 따른 호환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고무장갑이 구비된 복수의 글로브 포트를 구비시켜 줌으로써 내부에 음압을 걸어 놓은 상태에서 환자를 이송하던 중 환자의 상태 등을 확인하고자 할 때에는 이동형 음압백의 외부에서 글로브 포트에 구비된 고무장갑에 손을 끼워 넣고 내부에 있는 환자 상태를 고무장갑을 통해 직접 손으로 만지면서 검지 및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감염 환자에 대한 이송 중 치료를 보다 안전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이송중인 의료진에 대한 안전성도 대폭 확보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공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형 음압백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형 음압백 중 후면 일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 중 A부 확대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자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형 음압백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형 음압백 중 후면 일부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2 중 A부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동형 음압백의 바닥을 유지시켜 주는 바닥 형상 유지용 프레임(1)과;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반원판 형상으로 성형하되, 각각 필터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공기 흡입구(21)와 내부공기 배출구(31)가 각각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 형상 유지용 프레임(1)의 전,후방 상면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전,후면 판재(2)(3)와; 상기 바닥 형상 유지용 프레임(1)과 전,후면 판재(2)(3)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 설치된 상태를 갖고 사용시 환자가 입실할 수 있는 터널 형상의 내부 영역이 구비되되, 전,후단과 일측면에는 환자를 신속하게 출입시킬 수 있도록 밀폐용 지퍼(41)가 설치된 형태를 갖는 가요성 보호덮개(4)와;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반호형 지지 프레임(51) 중앙부가 수평 지지 프레임(52)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형태를 갖고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4)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형태에서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4)가 터널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5)과;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4)의 저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고정되되, 일단과 타단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파지 가능하도록 손걸림부(61)가 각각 형성된 형태를 갖는 다수의 손잡이부재(6)와; 내부공기 흡입구(71)와 처리공기 배출구(72)가 구비된 함체(70)의 내부에 시로코팬과 복수의 필터가 내설되고 외부에는 제어부(9) 및 팬 작동 스위치(73)가 설치된 구성을 갖고 상기 후면 판재(3)의 외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 형태에서 환자가 입실하는 가요성 보호덮개(4) 내 공기의 압력이 외부보다 낮게 만들어 주기 위해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며, 내부는 음압상태가 유지되게 함과 동시에 실내의 오염된 공기 및 세균의 외부 유출은 방지 및 제거하는 음압기(7);로 구성된 이동형 음압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을 X-선 및 빛이 통과하고 내부는 중공이면서 상호 연결된 긴 튜브 형상으로 성형하되,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 중 어느 한 프레임의 일단부에 체크밸브가 구비된 공기 주입구(10a)와 내부 공기 배출을 위한 공기 배출구(10b)를 설치하고,
상기 음압기(7)의 처리공기 배출구(72) 단부에는 하나의 공기 유입구(11a)와 두개의 공기 배출구(11b)(11c)를 구비하고 상기 음압기(7)에서 배출되는 처리공기를 외부 또는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 중 어느 한측으로 배출시켜 주는 삼방밸브(11)를 설치하며,
상기 삼방밸브(11)의 일측 공기 배출구(10b)와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 중 어느 한 프레임의 일단부에 구비된 공기 주입구(10a) 사이에는 상기 삼방밸브(11)를 통해 배출되는 음압기(7)의 처리공기를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 내부로 전달해 주는 에어 공급호스(1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삼방밸브(11)로는 관리자가 직접 개폐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수동형 삼방밸브 또는 상기 제어부(9)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개폐 방향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자동형 삼방밸브 중 어느 한 삼방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삼방밸브(11)로 자동형 삼방밸브를 설치한 경우, 상기 제어부(9)의 입력단자에는 상기 삼방밸브(11)의 구동방향을 외부 또는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 중 어느 한측으로 설정할 수 있는 삼방밸브 구동방형 전환 스위치(13)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삼방밸브(11)로 자동형 삼방밸브를 설치한 경우, 상기 제어부(9)의 입력단자에 상기 삼방밸브 구동방형 전환 스위치(13)와 더불어 압력검출센서(14)를 더 설치하되, 상기 압력검출센서(14)는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 중 어느 한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하여, 관리자가 상기 삼방밸브 구동방형 전환 스위치(13)를 통해 자동형 삼방밸브의 공기 배출방향을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 측으로 전환시켜 상기 음압기(7)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 내부에 공기를 주입시키던 중 상기 제어부(9)에서 상기 압력검출센서(14)를 통해 검출되는 압력이 정해진 압력 이상일 경우 만충진으로 판단하고, 상기 자동형 삼방밸브의 공기 배출방향을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 측에서 외부로 자동 전환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4)의 전방부 일측 또는 양측에는 의료진이 외부에서 고무장갑(81)에 두손을 끼고 내부에 있는 환자를 손으로 만지면서 각종 상태를 검사 및 진찰하거나 각종 약재를 주사할 수 있게 하는 복수의 글로브 포트(8)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음압기를 이용한 프레임 내 공기주입 기능을 갖는 이동형 음압백에 대한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된 음압기를 이용한 프레임 내 공기주입 기능을 갖는 이동형 음압백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 형상 유지용 프레임(1)과 전,후면 판재(2)(3), 가요성 보호덮개(4),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5), 다수의 손잡이부재(6), 제어부(9) 및 음압기(7)로 이루어진 공지의 이동형 음압기 중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을 X-선 및 빛 등이 통과되는 긴 튜브 형상으로 형성하고, 각 프레임은 음압기(7)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충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이동형 음압백 자체의 생산원가 및 유지보수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공지된 이동형 음압백의 구성요소 중 상기 바닥 형상 유지용 프레임(1)은 후술하는 가요성 보호덮개(4) 내에서 바닥면 측에 설치되어 이동형 음압백의 바닥면이 대략 직사각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메인 플레이트로 작용한다.
또, 상기 전,후면 판재(2)(3)는 이동형 음압백의 전,후면을 형성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반원판 형상으로 성형하되, 전면 판재(2)에는 후술하는 음압기(7) 작동으로 인해 내부 압력이 외부압력보다 낮아질 때 일부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필터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공기 흡입구(21)가 형성되고, 후면 판재(3)에는 음압기(7) 측으로 오염된 내부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내부공기 배출구(31)가 구비된 형태를 갖고, 상기 바닥 형상 유지용 프레임(1)의 전,후방 상면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전,후면 판재(2)(3)는 이동형 음압백의 전체 외형이 터널 형상을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에 환자가 입실한 후 편히 누워 이송될 수 있는 공간부를 확보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4)는 상기 바닥 형상 유지용 프레임(1)과 전,후면 판재(3)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가짐은 물론 내부에는 사용시 환자가 입실할 수 있는 터널 형상의 내부 영역이 구비되고, 전,후단과 일측면에는 오염물질에 노출된 환자를 신속하게 출입시킬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된 밀폐용 지퍼(41)가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이때,상기 가요성 보호덮개(4)는 쉽게 접어 보관이 용이하면서도 환자의 상태를 외부에서 살펴볼 수 있고, 또한 X-선 및 빛이 원활히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5)는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4)가 터널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반호형 지지 프레임(51) 중앙이 수평 지지 프레임(52)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5)는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4)의 내부에 고정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4)가 전술한 상기 바닥 형상 유지용 프레임(1)과 전,후면 판재(2)(3)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5)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여 밀폐된 터널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손잡이부재(6)는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4)의 저면에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고정 설치되어 환자가 입실된 가요성 보호덮개(4)를 들어서 운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다수의 손잡이부재(6)는 직사각 형상의 띠로 형성되어,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4)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상면이 각각 고정되는 것에 의해 일단과 타단은 가요성 보호덮개(4)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부분에는 파지하기 위한 고리형상의 손걸림부(61)가 각각 일체로 구비된 형태를 갖는다.
또, 상기 음압기(7)는 외부에 내부공기 흡입구(71)와 처리공기 배출구(72)가 구비된 함체(70)의 내부에 도시 생략한 저소음 및 풍량 조절이 가능한 시로코팬과 복수의 필터(예를 들어 큰 입자의 먼지 제거용 1차 프리필터, 유해 미생물 및 방사성 먼지 제거용 2차 헤파필터 및 공기중 바이러스 및 세균 제거용 3차 광촉매 제올라이트 필터 등)가 설치되고, 외부에는 제어부(9) 및 팬 작동 스위치(73)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음압기(7)는 상기 후면 판재(3)의 외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 형태에서 환자가 입실하는 가요성 보호덮개(4) 내 공기의 압력이 외부보다 낮게 만들어 주기 위해 내부공기 흡입구(71)를 통해 이동형 음압백의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며, 내부는 외부공기보다 압력이 낮은 음압상태가 유지되게 함과 동시에 오염된 실내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먼지와 미생물 및 세균 등이 외부 유출되는 것을 방지 및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공지된 이동형 음압백의 구성요소 중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을 X-선 및 빛이 통과하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내부는 중공이면서 상호 연결된 긴 튜브 형상으로 성형하되,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 중 어느 한 프레임의 일단부에는 도시 생략한 체크밸브가 구비된 공기 주입구(10a)와 내부 공기 배출을 위한 공기 배출구(10b)를 설치하였다.
이때, 비록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공기 주입구(10a)에 구비된 체크밸브는 후술하는 음압기(7)를 이용하여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 내부에 공기를 주입시킬 때,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 내부로 이미 들어간 공기가 외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기능 즉, 후술하는 삼방밸브(11)의 공기 배출구(11b)와 에어 공급호스(12)를 통해 음압기(7)로부터 강제로 불어오는 공기가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의 내부로만 들어가게 하고, 이미 들어간 공기가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의 내부에서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음압기(7)의 처리공기 배출구(72) 단부에 하나의 공기 유입구(11a)와 두개의 공기 배출구(11b)(11c)를 구비한 삼방밸브(11)를 설치하여, 상기 음압기(7)에서 배출되는 처리공기를 외부 또는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 중 어느 한측으로 배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삼방밸브(11)의 일측 공기 배출구(10b)와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 중 어느 한 프레임의 일단부에 구비된 공기 주입구(10a) 사이에 에어 공급호스(12)를 설치하여, 상기 삼방밸브(11)를 통해 배출되는 음압기(7)의 처리공기를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 내부로 전달해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긴 튜브 형상을 갖고 상호 연결된 형태를 갖는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의 내부를 상기 음압기(7)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충진시킬 수 있으므로 이동형 음압백 자체의 생산원가 및 유지보수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 이동형 음압백의 사용 후 보관을 위해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 내의 공기를 공기 배출구(10b)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때, 이미 음압기(7)를 통해 필터링된 청정공기를 외브로 배출시키는 결과를 낳게 되어 각 프레임에서 배출되는 공기로 인한 주변환경 오염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됨은 물론, 전체적인 부피와 중량을 크게 줄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환자를 음압이 걸려 있는 이동형 음압백 내에 입실시켜 놓은 상태에서 음압백의 상부에서 X-선/CT 촬영 등을 하더라도 가요성 보호덮개(4)를 포함하여 상기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5)이 X-선 및 빛 투과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게 되므로 감염 환자를 음압백 내로부터 빼내어 X-선/CT 촬영 등을 실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2차 감염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감염병 확산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형 음압백 자체의 상품성과 그 기능에 따른 신뢰도 및 사용에 따른 호환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삼방밸브(11)로 관리자가 직접 개폐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수동형 삼방밸브 또는 상기 제어부(9)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개폐 방향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자동형 삼방밸브 중 어느 한 삼방밸브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수동형 삼방밸브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관리자가 임으로 노브를 회전시켜 음압기(7)에서 배출되는 처리공기를 공기 배출구(11c)를 통해 이동형 음압백의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공기 배출구(11b)와 에어 공급호스(12) 및 공기 주입구(10a)를 통해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 중 어느 한 프레임의 내부로 주입시켜 주면 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런데, 상기 삼방밸브(11)로 자동형 삼방밸브를 설치할 경우는 그 자체에 구비된 모터나 솔레노이드 등의 제어가 제어부(9)의 출력신호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제어부(9)의 입력단자에 삼방밸브 구동방형 전환 스위치(13)를 더 설치하여, 관리자가 상기 삼방밸브 구동방형 전환 스위치(13)를 조작하여 상기 삼방밸브(11)의 구동방향을 외부 또는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 중 어느 한측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삼방밸브(11)로 자동형 삼방밸브를 설치할 경우, 상기 제어부(9)의 입력단자에 상기 삼방밸브 구동방형 전환 스위치(13)와 더불어 압력검출센서(14)를 더 설치하되, 상기 압력검출센서(14)는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 중 어느 한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하여 주었다.
따라서, 관리자가 상기 삼방밸브 구동방형 전환 스위치(13)를 통해 자동형 삼방밸브의 공기 배출방향을 삼방밸브(11)의 공기 배출구(11b)를 통해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 측으로 전환시켜 상기 음압기(7)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 내부에 공기를 주입시키던 중 상기 제어부(9)에서 상기 압력검출센서(14)를 통해 계속해서 실시간으로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 내 압력을 검출하여 판단하던 중 상기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 내의 압력이 정해진 압력 이상일 경우 만충진으로 판단하고, 상기 자동형 삼방밸브의 공기 배출방향을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 측에서 공기 배출구(11c)를 통해 외부로 자동 전환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 내의 압력이 정해진 압역 이상으로 상승함으로 인한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의 처짐현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삼방밸브(11)로 설치한 자동형 삼방밸브의 방향을 자동으로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어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의 공기주입에 대한 완전 자동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4)의 전방부 일측 또는 양측에 밀폐유지 및 감염 방지를 위한 의료용 고무장갑(81)을 구비한 복수의 글로브 포트(8)를 더 설치하여 주었다.
따라서, 내부에 음압을 걸어 놓은 상태에서 환자를 이송하던 중 의료진이 환자의 상태 등을 확인하고자 할 때에는 이동형 음압백의 외부에서 글로브 포트(8)에 구비된 고무장갑(81)에 손을 끼워 넣고 내부에 있는 환자 상태를 고무장갑을 통해 직접 손으로 만지면서 각종 상태를 검사 및 진찰하거나 각종 약재를 주사할 수 있으므로 감염 환자에 대한 이송 중 치료를 보다 안전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이송중인 의료진에 대한 안전성도 대폭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형 음압백의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1)(5) 내에 음압기(7)를 이용하여 공기를 주입시켜 원하는 형태로 성형시킨 다음, 이를 사용하여 환자를 이송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4)의 전,후단과 일측면에 연이어 설치된 밀폐용 지퍼(41)를 열고, 터널 형상을 갖는 내부에 환자를 입실시킨 다음, 다시 밀폐용 지퍼(41)를 닫아 내부를 밀폐시킨 후, 삼방밸브(11)를 외측 방행으로 전환시킨 후, 상기 음압기(7)를 작동시켜 내부 공간부 내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 낮게 한 상태(즉, 각종 세균과 같은 유해물질에 오염된 환자를 안전하게 격리한 상태)에서 손잡이부재(6)들의 단부에 구비된 고리형상의 손걸림부(61)들을 잡고 환자를 이송시키면 된다.
또, 상기와 같이 이동형 음압백 내부에 음압을 걸어 각종 세균과 같은 유해물질에 오염된 환자로부터 2차 오염 확산을 최대한 차단한 상태에서 환자를 이송시키거나 특정 장소에 내려놓고 내부에 있는 환자를 검사 및 진찰하거나 각종 약재를 주사할 필요가 있을시에는, 이동형 음압백의 외부에서 글로브 포트(8)에 구비된 고무장갑(81)에 손을 끼워 넣고, 가요성 보호덮개(4)의 내부에 있는 환자를 고무장갑(81)을 통해 직접 만지거나 또는 그 내부에 비치해 놓은 의료기구를 이용하여 각종 상태를 검사 및 진찰하거나 각종 약재를 주사 등의 검진 및 의료 행위를 비접촉 상태에서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형 이송백을 이용하여 환자를 이송한 후, X-선/CT 촬영 등을 실시하고자 할 때에는 음압이 걸려 있는 이동형 음압백 내에 환자를 입실시켜 놓은 상태에서 이동형 음압백 자체를 X-선/CT 촬영기의 배드 상에 올려놓고 X-선/CT 촬영 등을 실시할 수 있어 감염 환자를 음압백 내로부터 빼내어 X-선/CT 촬영 등을 실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2차 감염 등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어 감염병 확산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바닥 형상 유지용 프레임
2 : 전면 판재 21 : 외부공기 흡입구
3 : 후면 판재 31 : 내부공기 흡입구
4 : 가요성 보호덮개 41 : 밀폐용 지퍼
5 :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
51 : 반호형 지지 프레임 52 : 수평 지지 프레임
6 : 손잡이부재 61 : 손걸림부
7 : 음압기
70 : 함체 71 : 내부공기 흡입구
72 : 처리공기 배출구 73 : 팬 작동 스위치
8 : 글로브 포트 81 : 고무장갑
9 : 제어부
10a : 공기 주입구 10b : 공기 배출구
11 : 삼방밸브
11a : 공기 유입구 11b, 11c : 공기 배출구
12 : 에어 공급호스
13 : 삼방밸브 구동방형 전환 스위치
14 : 압력검출센서

Claims (5)

  1. 바닥 형상 유지용 프레임과; 상기 바닥 형상 유지용 프레임의 전,후방 상면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전,후면 판재와; 상기 바닥 형상 유지용 프레임과 전,후면 판재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 설치된 상태를 갖고 사용시 환자가 입실할 수 있는 터널 형상의 내부 영역이 구비되게 하는 가요성 보호덮개와;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가 터널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과;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의 저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손잡이부재와; 환자가 입실하는 가요성 보호덮개 내 공기의 압력이 외부보다 낮음 음압상태를 만들어 줌과 동시에 실내의 오염된 공기 및 세균의 외부 유출은 방지 및 제거하는 음압기;로 구성된 이동형 음압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을 X-선 및 빛이 통과하고 내부는 중공이면서 상호 연결된 긴 튜브 형상으로 성형하되,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 중 어느 한 프레임의 일단부에 체크밸브가 구비된 공기 주입구와 내부 공기 배출을 위한 공기 배출구를 설치하고,
    상기 음압기의 처리공기 배출구 단부에는 하나의 공기 유입구와 두개의 공기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음압기에서 배출되는 처리공기를 외부 또는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 중 어느 한측으로 배출시켜 주는 삼방밸브를 설치하며,
    상기 삼방밸브의 일측 공기 배출구와 공기 주입구 사이에는 상기 삼방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음압기의 처리공기를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 내부로 전달해 주는 에어 공급호스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기를 이용한 프레임 내 공기주입 기능을 갖는 이동형 음압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삼방밸브로는 관리자가 직접 개폐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수동형 삼방밸브 또는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개폐 방향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자동형 삼방밸브 중 어느 한 삼방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기를 이용한 프레임 내 공기주입 기능을 갖는 이동형 음압백.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삼방밸브로 자동형 삼방밸브를 설치한 경우,
    상기 제어부의 입력단자에는 상기 삼방밸브의 구동방향을 외부 또는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 중 어느 한측으로 설정할 수 있는 삼방밸브 구동방형 전환 스위치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기를 이용한 프레임 내 공기주입 기능을 갖는 이동형 음압백.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삼방밸브로 자동형 삼방밸브를 설치한 경우,
    상기 제어부의 입력단자에 상기 삼방밸브 구동방형 전환 스위치와 더불어 압력검출센서를 더 설치하되, 상기 압력검출센서는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 중 어느 한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하여, 관리자가 상기 삼방밸브 구동방형 전환 스위치를 통해 자동형 삼방밸브의 공기 배출방향을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 측으로 전환시켜 상기 음압기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 내부에 공기를 주입시키던 중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압력검출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압력이 정해진 압력 이상일 경우 만충진으로 판단하고, 상기 자동형 삼방밸브의 공기 배출방향을 상기 바닥 및 덮개 형상 유지용 프레임 측에서 외부로 자동 전환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기를 이용한 프레임 내 공기주입 기능을 갖는 이동형 음압백.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의 전방부 일측 또는 양측에는 의료진이 외부에서 고무장갑에 두손을 끼고 내부에 있는 환자를 손으로 만지면서 각종 상태를 검사 및 진찰하거나 각종 약재를 주사할 수 있게 하는 복수의 글로브 포트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기를 이용한 프레임 내 공기주입 기능을 갖는 이동형 음압백.
KR1020200125655A 2020-09-28 2020-09-28 음압기를 이용한 프레임 내 공기주입 기능을 갖는 이동형 음압백 KR202200426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655A KR20220042627A (ko) 2020-09-28 2020-09-28 음압기를 이용한 프레임 내 공기주입 기능을 갖는 이동형 음압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655A KR20220042627A (ko) 2020-09-28 2020-09-28 음압기를 이용한 프레임 내 공기주입 기능을 갖는 이동형 음압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627A true KR20220042627A (ko) 2022-04-05

Family

ID=81182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655A KR20220042627A (ko) 2020-09-28 2020-09-28 음압기를 이용한 프레임 내 공기주입 기능을 갖는 이동형 음압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26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573B1 (ko) * 2022-05-17 2022-09-27 (주)오송 환자이송용 음압백
CN116785098A (zh) * 2023-07-13 2023-09-22 江苏纳瑞新科技发展有限公司 异形薄壳结构座式高压氧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1151A (ko) 1998-12-21 2001-05-15 아이아이티 리서치 인스티튜트 조립식 환자 격리 장치
KR101893936B1 (ko) 2017-09-21 2018-08-31 주식회사 웃샘 가스프레임 지지구조를 구비한 이동형 음압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1151A (ko) 1998-12-21 2001-05-15 아이아이티 리서치 인스티튜트 조립식 환자 격리 장치
KR101893936B1 (ko) 2017-09-21 2018-08-31 주식회사 웃샘 가스프레임 지지구조를 구비한 이동형 음압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573B1 (ko) * 2022-05-17 2022-09-27 (주)오송 환자이송용 음압백
CN116785098A (zh) * 2023-07-13 2023-09-22 江苏纳瑞新科技发展有限公司 异形薄壳结构座式高压氧舱
CN116785098B (zh) * 2023-07-13 2024-05-10 江苏纳瑞新科技发展有限公司 异形薄壳结构座式高压氧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3936B1 (ko) 가스프레임 지지구조를 구비한 이동형 음압백
CA2024296C (en) Protective device, individual, portable, with total insulation and controlled atmosphere
CN110141441A (zh) 具备负压换气防疫医疗功能的隔离舱装置
KR20220042627A (ko) 음압기를 이용한 프레임 내 공기주입 기능을 갖는 이동형 음압백
CN213310970U (zh) 一种自消毒正负压隔离担架
KR102382746B1 (ko) 베드형 음양압 겸용 의료 챔버 장치
JPH07461A (ja) 患者隔離装置
KR102265551B1 (ko) 선별진료소 시스템
JP6787618B1 (ja) 医療用コンテナ
CN210947910U (zh) 医用负压标本采样舱
CN205659084U (zh) 一种高传染性呼吸道疾病的隔离防护设备
CN111379449A (zh) 防疫隔离病房、及其应用的防疫隔离病房组群
KR20220027339A (ko) 감염 방지용 비접촉 바이러스 채취 및 무인 객담 채취 부스
KR102335224B1 (ko)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
CN212478677U (zh) 负压气闸室和试验室系统
KR102420034B1 (ko) 외부에서 심폐소생술이 가능한 이동형 음압백
CN215637685U (zh) 一种空气消毒机配套洁净罩
CN214303074U (zh) 一种充气式负压新冠病毒核酸检测舱
KR102235697B1 (ko) 감염병, 전쟁, 방사능노출, 화학물질, 테러 등 긴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이동식 음압 종합 격리실
CN100486554C (zh) 风帘隔离病床
KR102447573B1 (ko) 환자이송용 음압백
CN113931488A (zh) 压气闸室和试验室系统
CN113718959A (zh) 卫生及生物安全负压隔离排查方舱
KR102531706B1 (ko)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
TWM603775U (zh) 防疫全外氣行動載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