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706B1 -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 - Google Patents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706B1
KR102531706B1 KR1020220148412A KR20220148412A KR102531706B1 KR 102531706 B1 KR102531706 B1 KR 102531706B1 KR 1020220148412 A KR1020220148412 A KR 1020220148412A KR 20220148412 A KR20220148412 A KR 20220148412A KR 102531706 B1 KR102531706 B1 KR 102531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pressure
pressure bag
plate
filter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웃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웃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웃샘
Priority to KR1020220148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에 관한 것으로, 세균과 같은 유해물질에 오염된 환자를 격리시켜 이로 인한 2차 오염 확산을 차단하면서 최대한 안정적인 자세로 신속하게 환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이동형 음압백의 음압백용 개폐판 상면에 복수 개의 심폐소생술용 융착부를 일정 간격으로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환자가 급작스런 심폐 정지시 음압백 내의 음압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외부에서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음압백용 후면판에는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때 배출되는 음압백 내부의 공기를 필터링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음압백용 필터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음압백 내부의 유해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2차 오염 확산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Negative pressure bag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본 발명은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균과 같은 유해물질에 오염된 환자를 격리시켜 이로 인한 2차 오염 확산을 차단하면서 최대한 안정적인 자세로 신속하게 환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이동형 음압백에 환자가 급작스런 심폐 정지시 음압백 내의 음압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외부에서 환자에게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생물학적이거나 화학적인 오염에 기인한 건강에 대한 위협이 지난 몇년간 증대되고 있고, 특히 2019년12월 처음 발생한 이후, 중국 전역과 전 세계로 확산된,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에 의한 호흡기 감염질환이 발생되었다.
이와 같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는 감염자의 비말(침방울)이 호흡기나 눈·코·입의 점막으로 침투될 때 전염된다.
한편, 각종 세균에 감염된 환자나 자연적인 생물학적 손상을 입은 희생자를 운반하는 장치 즉, 안전한 환경에서 화학적 위험이나 생물학적 위험에 노출된 사람을 격리하거나 유해한 환경에 노출되지는 않은 사람을 의료적 운송을 위해 격리하기 위한 조립식 포트 등과 같은 장치는 최근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환자나 희생자는 에볼라(Ebola) 또는 마부르그 바이러스(Marburg virus),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탄저병 및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 등에 의해 감염된 사람을 포함한다.
이러한 시스템의 하나는 방벽으로부터 현수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막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위해 방벽이 있는 외부 프레임을 구비한 자체 보유 장치를 포함하는 빅커 상자(Vickers box)라고 불린다.
상기한 프레임은 다리 받침대와 계단을 구비한다. 낮은 타원형의 적재 포트는 환자가 들것과 같은 구조체에 놓여지기 위해 운반되는 내부로의 입구를 제공한다.
방벽은 그 발의 단부로 들어가는 환기 튜브를 구비한다. 글로브 포트가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다. 관통 포트는 환자의 장딴지가 놓이는 곳의 근처의 방벽을 통해 연장된다.
이러한 유닛의 각 측면에는 글로브 포트 쌍이 존재한다. 정맥 주사용 가방 등이 유닛의 프레임으로부터 현수된다.
정맥 주사선은 유닛 측면의 포트를 통해 연장된다. 빅커 상자는 자체 중량이 무거워 이용이 자유롭지 못하며, 매우 고가이다.
빅커 프레임이 조립되면, 그것은 크고, 유닛은 생물학적 비상 사태 발생시에 이용하려는 많은 수의 수용량에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화학 또는 생물학적 테러가 발생한 경우의 희생자를 격리하는데 소요되는 저비용인 동시에 사용이 용이하고 이동가능하며 컴팩트한 생물학적 격리 시스템이 요망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로 최근들어 다양한 기능과 형태를 갖는 음압백이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음압백을 이용하여 각종 세균 등에 감염된 환자를 이송하다보면 급작스럽게 심정지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일어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심정지가 발생할 경우, 빠른시간 내에 정지된 환자의 심장을 대신해 심장과 뇌에 산소가 포함된 혈액을 공급해주는 심폐소생술을 어떻게든 실시해 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한 종래 조립식 개인용 격리장치 또는 이동형 음압백의 구성을 살펴보면, 심정지시 외부에서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구비되어 있지 않아, 만약 각종 세균 등에 감염된 환자를 이송하다보면 급작스럽게 심정지가 발생하는 경우, 보호 덮개를 열고 의료진이 직접 환자의 가슴위에 손을 올려 놓고 심폐소생술을 실시해 주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보호 덮개를 열고 의료진이 직접 환자의 가슴위에 손을 올려 놓고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때, 음압백 내의 음압 상태에 무너지게 되므로 환자의 안전에도 큰 저해를 입힐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감염원이 공기를 통해 주변으로 환산되는 과정에서 환자에게 직접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의료진은 물론 그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오염된 공기를 통해 2~3차 감염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10-2020-0107847호에 외부에서 심폐소생술이 가능한 이동형 음압백이 제안된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외부에서 심폐소생술이 가능한 이동형 음압백은, 직사각 틀체 형상을 갖는 바닥형상 유지용 프레임과, 반원판 형상으로 성형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형상 유지용 프레임의 전,후방 상면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전,후면 판재와, 상기 바닥형상 유지용 프레임과 전,후면 판재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 설치된 상태를 갖고 사용시 환자를 수용하기 위한 터널 형상의 내부 영역이 구비되되, 전,후단과 일측면에는 오염물질에 노출된 환자를 신속하게 출입시킬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된 밀폐용 지퍼가 설치되고, 후면 후방부 중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는 필터를 구비한 외부공기 흡입구가 설치된 형태를 갖는 가요성 보호덮개와, 상기 바닥형상 유지용 프레임의 상면 일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가 터널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보호덮개 지지대와,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의 저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손잡이부재와, 상기 후면 판재의 외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 형태에서 환자가 수용되는 가요성 보호덮개 내 공기의 압력이 외부보다 낮게 만들어 주기 위해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며, 내부는 음압상태가 유지되게 함과 동시에 실내의 오염된 공기 및 세균의 외부 유출은 방지 및 제거하는 음압기와,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의 전방부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된 형태에서, 의료진이 외부에서 고무장갑에 두손을 끼고 내부에 있는 환자를 손으로 만지면서 각종 상태를 검사 및 진찰하거나 각종 약재를 주사할 수 있게 하는 복수의 글로브 포트와,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 중 환자의 심장이 위치되는 전방 상부에 설치된 형태를 갖고, 이송중인 환자가 심폐 정지시 음압백 내의 음압 상태는 유지시키면서 외부에서 음압백 내 환자의 심장위치 상부로 두손을 밀어 넣고 심폐소생술(CPR)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부로 구성하되, 상기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부는,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의 전방 상부에 정해진 크기 및 형상을 갖게 형성시킨 손 출입구와, 자체의 외주면과 상기 손 출입구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밀폐용 지퍼를 통해 상기 손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뚜껑체와, 상단부가 상기 손 출입구 주변의 가요성 보호덮개 저면에 일체로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고, 통상시에는 최소부피로 압축된 상태에서 처짐방지부재에 의해 상기 뚜껑체의 저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심폐소생술 실시를 위해 시술자가 상기 뚜껑체를 열고 손으로 누르면 처짐방지부재가 강제로 해제되면서 저면이 환자의 가슴부위까지 내려가는 높이 가변형 손 삽입부재와, 상기 손 출입구가 형성된 가요성 보호덮개 저면에서 상기 높이 가변형 손 삽입부재가 처지지 않게 받쳐 주는 처짐방지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외부에서 심폐소생술이 가능한 이동형 음압백은, 상기한 바와 같이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부가 가요성 보호덮개의 상면 한 쪽에만 갖추어져 있어서, 입실한 환자가 상기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부 위치에 대응하지 못할 경우 심폐소생 작업이 어렵다라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외부에서 심폐소생술이 가능한 이동형 음압백은,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부의 구성이 뚜껑체와, 밀폐용 지퍼와 높이 가변형 손 삽입부재와 처짐방지부재 그리고 벨크로테이프로 구성되어 있어서, 너무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상승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특허출원번호 10-2020-0107847호, 출원일; 2020년08월26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세균과 같은 유해물질에 오염된 환자를 격리시켜 이로 인한 2차 오염 확산을 차단하면서 최대한 안정적인 자세로 신속하게 환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이동형 음압백의 음압백용 개폐판 상면에 복수 개의 심폐소생술용 융착부를 일정 간격으로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환자가 급작스런 심폐 정지시 음압백 내의 음압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외부에서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음압백용 후면판에는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때 배출되는 음압백 내부의 공기를 필터링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음압백용 필터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음압백 내부의 유해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2차 오염 확산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으로서, 환자가 상면에 누울 수 있도록 직사각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음압백용 바닥판(110)과, 상기 음압백용 바닥판(110)의 상면 전단에 일단이 융착 고정되는 것에 의해 내부에 전면설치판을 내설시킬 수 있도록 반구 형상의 2중판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음압백용 전면판(120)과, 상기 음압백용 바닥판(110)의 상면 후단에 일단이 융착 고정되는 것에 의해 내부에 후편설치판을 내설시킬 수 있도록 반구 형상의 2중판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음압백용 후면판(130)과, 상기 음압백용 바닥판(110)의 우측단에 일단이 그리고 전,후단 일부는 음압백용 전면판(120) 그리고 음압백용 후면판(130)에 융착 고정되고, 전,후단의 나머지 일부와 타단은 상기 음압백용 전면판(120)과 음압백용 후면판(130) 그리고 상기 음압백용 바닥판(110)의 좌측단에 기밀유지용지퍼(145)를 매개로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음압백용 개폐판(140)과, 상기 음압백용 개폐판(140)의 상면 일단에 설치되어 공기공급부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음압백용 공기입출구(150)와, 상기 음압백용 개폐판(140)의 내측면에 융착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음압백용 공기입출구(150)를 포함하여 공기를 주입하는 것에 대응되게 팽창되어 상기 음압백용 개폐판(140)을 반구 형태로 유지함에 따른 내부공간을 확보하여 환자를 격리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환자가 급작스런 심폐 정지시 음압백 내의 음압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외부에서 환자에게 직접적으로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음압백용 다기능시트(160)와, 상기 음압백용 전면판(120)에 설치되어 작동버튼의 조작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음압백 내부 공기를 필터링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음압백용 음압발생부(170)와, 상기 음압백용 후면판(130)에 설치되어 상기 음압백용 음압발생부(170)의 구동에 대응되게 외기 공기를 필터링시켜 음압백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음압백용 다기능시트(160)를 통하여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때, 음압백 내부의 유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필터링시켜 외부로 배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음압백용 필터수단(1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음압백용 다기능시트(160)는, 상기 음압백용 개폐판(140)의 내측면에 상기 공기입출구(150)를 일단이 포함시켜 길이방향으로 테두리가 융착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에어프레임용 주판(161)과, 상기 에어프레임용 주판(161)의 양단에 일정 간격으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음압백용 개폐판(140)의 내측면에 테두리가 융착 고정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에어프레임용 지판(163)과, 상기 음압백용 개폐판(140)의 상면을 상기 에어프레임용 주판(161)에 융착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음압백 내부에 격리된 환자가 급작스런 심폐 정지시 음압백 내의 음압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외부에서 환자에게 직접적으로 심폐소생술을 행할 수 있게 손파닥을 수용가능하도록 마름모 형상의 형성되어 구비되는 심폐소생술용 융착부(16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음압백용 필터수단(180)은, 일면이 상기 음압백용 후면판(130)에 후면홀을 포함하여 다수의 고정 스크류를 매개로 고정되되, 내부는 공간부(181a)가 형성된 원형을 포함한 다각 형상의 함체로 형성되고, 전후면은 상기 공간부(181a)와 연통되게 전,후면용 연통홀(181b,181c)이 형성되며, 상면은 상기 공간부(181a)와 연통되게 개구되어 구비되는 필터용 하우징(181)과, 상기 필터용 하우징(181)의 상면을 통하여 상기 공간부(181a) 내측으로 입출가능하게 사각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상면에는 필터용 손잡이부(182a)가 형성되고 판상에는 수용홀(182b)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필터용 수용부재(182)와, 상기 필터용 수용부재(182)의 수용홀(182b)에 장,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음압백 내측으로 외기를 필터링시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격리된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행할 때, 음압백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 내부공기를 필터링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헤파필터(183)와, 상기 필터용 하우징(181)의 전면용 연통홀(181b)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공간부(181a)에 위치되어, 일단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대응되게 타단이 상기 필터용 수용부재(182)의 전면을 가압하여 기밀을 유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기밀유지용 가압부재(18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에 따르면, 이동형 음압백의 음압백용 개폐판 상면에 복수 개의 심폐소생술용 융착부를 일정 간격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환자가 급작스런 심폐 정지시 음압백 내의 음압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외부에서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고, 음압백용 후면판에는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때 배출되는 음압백 내부의 공기를 필터링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음압백용 필터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서, 음압백 내부의 유해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2차 오염 확산을 차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을 전면에서 도시한 사시도 사진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을 후면에서 도시한 사진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의 음압백용 개폐판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의 음압백용 필터수단의 일부를 상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의 음압백용 필터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100)은, 환자가 상면에 누울 수 있도록 직사각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음압백용 바닥판(110)과, 상기 음압백용 바닥판(110)의 상면 전단에 일단이 융착 고정되는 것에 의해 내부에 전면설치판(미도시함)을 내설시킬 수 있도록 반구 형상의 2중판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음압백용 전면판(120)과, 상기 음압백용 바닥판(110)의 상면 후단에 일단이 융착 고정되는 것에 의해 내부에 후편설치판(미도시함)을 내설시킬 수 있도록 반구 형상의 2중판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음압백용 후면판(130)과, 상기 음압백용 바닥판(110)의 우측단에 일단이 그리고 전,후단 일부는 음압백용 전면판(120) 그리고 음압백용 후면판(130)에 융착 고정되고, 전,후단의 나머지 일부와 타단은 상기 음압백용 전면판(120)과 음압백용 후면판(130) 그리고 상기 음압백용 바닥판(110)의 좌측단에 기밀유지용지퍼(145)를 매개로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음압백용 개폐판(140)과, 상기 음압백용 개폐판(140)의 상면 일단에 설치되어 공기공급부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음압백용 공기입출구(150)와, 상기 음압백용 개폐판(140)의 내측면에 융착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음압백용 공기입출구(150)를 포함하여 공기를 주입하는 것에 대응되게 팽창되어 상기 음압백용 개폐판(140)을 반구 형태로 유지함에 따른 내부공간을 확보하여 환자를 격리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환자가 급작스런 심폐 정지시 음압백 내의 음압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외부에서 환자에게 직접적으로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음압백용 다기능시트(160)와, 상기 음압백용 전면판(120)에 설치되어 작동버튼의 조작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음압백 내부 공기를 필터링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음압백용 음압발생부(170)와, 상기 음압백용 후면판(130)에 설치되어 상기 음압백용 음압발생부(170)의 구동에 대응되게 외기 공기를 필터링시켜 음압백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음압백용 다기능시트(160)를 통하여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때, 음압백 내부의 유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필터링시켜 외부로 배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음압백용 필터수단(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을 첨부됨 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의 음압백용 바닥판(110)은, 환자가 음압백에 입실하여 격리시 누울 수 있도록 직사각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음압백용 전면판(120)은, 상기 음압백용 바닥판(110)의 전단에 일단이 융착 고정되는 것에 의해 음압백의 전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음압백용 음압발생부(170)가 설치됨에 따른 상기 음압백용 음압발생부(170)를 통하여 내부 공기가 필터링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음압백용 전면판(120)은, 상기 음압백용 바닥판(110)의 전단에 일단이 융착 고정된 반구 형상의 2중판으로 형성되되, 판상에는 전면홀이 천공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음압백용 전면판(120) 내부에는 상기 음압백용 음압발생부(170)를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배출홀이 천공된 PVC재질의 전면설치판이 구비된다.
상기한 음압백용 후면판(130)은 상기 음압백용 바닥판(110)의 하단에 일단이 융착 고정되는 것에 의해 음압백의 후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음압백용 필터수단(180)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음압백용 후면판(130)은 상기 음압백용 바닥판(110)의 하단에 일단이 융착 고정된 반구 형상의 2중판으로 형성되되, 판상에는 후면홀이 천공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음압백용 후면판(130) 내부에는 상기 음압백용 필터수단(180)을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유동홀이 천공된 PVC재질의 후면설치판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음압백용 후면판(130)에는 산소공급이 필요로 하는 환자를 위해 산소공급부에 연결된 산소공급호스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를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부(도면부호 생략)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음압백용 개폐판(140)은 음압백용 바닥판(110)과 음압백용 전면판(120) 그리고 음압백용 후면판(130)에 일부가 융착되고, 타단은 기밀유지용지퍼(145)를 매개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음압백에 입실한 환자를 외부와 격리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음압백용 개폐판(140)은 상기 음압백용 바닥판(110)의 좌측단에 일단이 그리고 전,후단 일부는 음압백용 전면판(120) 그리고 음압백용 후면판(130)에 융착 고정되고, 전,후단의 나머지 일부와 타단은 상기 음압백용 전면판(120)과 음압백용 후면판(130) 그리고 상기 음압백용 바닥판(110)의 우측단에 기밀유지용지퍼(145)를 매개로 개폐되어 음압백에 입실한 환자를 외부와 격리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한 공기입출구(150)는 상기 음압백용 개폐판(140)의 상면 일단에 설치되어 공기공급부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헐키밸브를 갖추어 구비된다.
상기한 음압백용 다기능시트(160)는 상기 음압백용 개폐판(140)의 내측면에 융착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공기입출구(150)를 포함하여 공기를 주입하는 것에 대응되게 팽창되어 상기 음압백용 개폐판(140)을 반구 형태로 유지함에 따른 음압백 내부의 공간을 확보하여 환자를 격리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음압백 내부에 격리된 환자가 급작스런 심폐 정지시 음압백 내의 음압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외부에서 환자에게 직접적으로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음압백용 다기능시트(160)는, 상기 음압백용 개폐판(140)의 내측면에 상기 공기입출구(150)를 일단이 포함시켜 길이방향으로 테두리가 융착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에어프레임용 주판(161)과, 상기 에어프레임용 주판(161)의 양단에 일정 간격으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음압백용 개폐판(140)의 내측면에 테두리가 융착 고정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에어프레임용 지판(163)과, 상기 음압백용 개폐판(140)의 상면을 상기 에어프레임용 주판(161)에 융착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음압백 내부에 격리된 환자가 급작스런 심폐 정지시 음압백 내의 음압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외부에서 환자에게 직접적으로 심폐소생술을 행할 수 있게 손파닥을 수용가능하도록 마름모 형상의 형성되어 구비되는 심폐소생술용 융착부(165)로 구성된다.
상기한 음압백용 음압발생부(170)는 상기 음압백용 전면판(120)의 전면에 전면홀을 포함되게 고정 설치되어 작동버튼의 조작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음압백 내부 공기를 필터링시켜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음압백 내부를 음압상태로 만들기 위해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내설되어 상기 작동버튼의 작동에 대응되게 구동하여 상기 음압백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동모터와 배출팬으로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음압발생부는 공지의 구성으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음압백용 필터수단(180)은 상기 음압백용 후면판(130)에 설치되어 상기 음압백용 음압발생부(170)의 구동에 대응되게 외기 공기를 필터링시켜 음압백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다기능시트(160)를 통하여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때, 음압백 내부의 유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필터링시켜 외부로 배출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음압백용 필터수단(180)은 일면이 상기 음압백용 후면판(130)에 후면홀을 포함하여 다수의 고정 스크류를 매개로 고정되되, 내부는 공간부(181a)가 형성된 원형을 포함한 다각 형상의 함체로 형성되고, 전후면은 상기 공간부(181a)와 연통되게 전,후면용 연통홀(181b,181c)이 형성되며, 상면은 상기 공간부(181a)와 연통되게 개구되어 구비되는 필터용 하우징(181)과, 상기 필터용 하우징(181)의 상면을 통하여 상기 공간부(181a) 내측으로 입출가능하게 사각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상면에는 필터용 손잡이부(182a)가 형성되고 판상에는 수용홀(182b)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필터용 수용부재(182)와, 상기 필터용 수용부재(182)의 수용홀(182b)에 장,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음압백 내측으로 외기를 필터링시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격리된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행할 때, 음압백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 내부공기를 필터링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헤파필터(183)와, 상기 필터용 하우징(181)의 전면용 연통홀(181b)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공간부(181a)에 위치되어, 일단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대응되게 타단이 상기 필터용 수용부재(182)의 전면을 가압하여 기밀을 유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기밀유지용 가압부재(1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기밀유지용 가압부재(184)는 상기 필터용 하우징(181)의 전면용 연통홀(181b) 내주면에 형성된 기밀유지용 나선부(184a)와, 상기 기밀유지용 나선부(184a)에 나사방식으로 결합가능하도록 일단 외주면에는 이동용 나선부(184b-1)가 형성되되, 상기 이동용 나선부(184b-1) 일측 외주면에는 확경부가 형성되고, 외주면 끝단부에는 걸림후크부가 형성되며, 타단 전면에는 손으로 파지하여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184b-2)가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전면에는 상기 손잡이부(184b-2)를 기준으로 양측에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유동홀(184b-3))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기밀유지용 가압조절부재(184b)와, 상기 기밀유지용 가압조절부재(184b)의 일단을 중앙부로 관통시켜 확경부에 전면이 걸림되고 타면은 걸림후크에 걸림되는 것에 의해 상기 필터용 하우징(181)의 공간부(181a)에 위치되어 상기 손잡이부(184b-2)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대응되게 상기 헤파필터(183)가 장착된 상기 필터용 수용부재(182)의 전면을 가압 및 가압 해제가능하게 사각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판의 중앙부에는 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기밀유지용 가압판(184c)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을 이용하여 유해물질에 오염된 환자를 격리시킨 후, 병원으로 이송시키고자 할 경우,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음압백용 공기입출구(150)를 통하여 음압백용 다기능시트(160)측으로 공기를 주입시킨다.
그로 인해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은 반구형상의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환자를 환자 음압백 내부로 격리시킨 후, 음압백용 전면판(120)의 전면에 설치된 음압발생부(170)를 작동시킨다.
상기 음압발생부(170)의 구동으로 음압백 내부는 음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음압백 내부로 유해물질에 오염된 환자를 격리시킨 후, 운송용 차량을 이용하여 환자를 병원으로 운송시키면 된다.
한편, 환자를 운송시키는 중에 환자가 급작스런 심정지가 올 경우, 상기 음압백용 다기능시트(160)의 심폐소생술용 융착부(165)에 손바닥을 올려놓고 심폐소생술을 바로 행하면 된다.
이때, 음암백 내부의 유해물질이 포함된 공기는 음압백용 후면판(130)에 설치된 음압백용 필터수단(180)을 통하여 배출된다.
즉, 상기 음압백용 다기능시트(160)의 심폐소생술용 융착부(165)에 손바닥을 올려놓고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행하게 되면, 음압백 내부가 순간적으로 팽창하게 되면서 내부공기가 상기 음압백용 필터수단(180)로 배출될 때, 상기 음압백용 필터수단(180)의 필터용 수용부재(182)에 장착된 헤파필터(18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심폐소생술을 진행하는 중에 음압백 내부의 유해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2차 오염 확산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 110 ; 음압백용 바닥판
120 ; 음압백용 전면판 130 ; 음압백용 후면판
140 ; 음압백용 개폐판 150 ; 음압백용 공기입출구
160 ; 음압백용 다기능시트 170 ; 음압백용 음압발생부
180 ; 음압백용 필터수단

Claims (4)

  1.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에 있어서,
    환자가 상면에 누울 수 있도록 직사각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음압백용 바닥판(110)과;
    상기 음압백용 바닥판(110)의 상면 전단에 일단이 융착 고정되는 것에 의해 내부에 전면설치판을 내설시킬 수 있도록 반구 형상의 2중판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음압백용 전면판(120)과;
    상기 음압백용 바닥판(110)의 상면 후단에 일단이 융착 고정되는 것에 의해 내부에 후편설치판을 내설시킬 수 있도록 반구 형상의 2중판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음압백용 후면판(130)과;
    상기 음압백용 바닥판(110)의 우측단에 일단이 그리고 전,후단 일부는 음압백용 전면판(120) 그리고 음압백용 후면판(130)에 융착 고정되고, 전,후단의 나머지 일부와 타단은 상기 음압백용 전면판(120)과 음압백용 후면판(130) 그리고 상기 음압백용 바닥판(110)의 좌측단에 기밀유지용지퍼(145)를 매개로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음압백용 개폐판(140)과;
    상기 음압백용 개폐판(140)의 상면 일단에 설치되어 공기공급부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음압백용 공기입출구(150)와;
    상기 음압백용 개폐판(140)의 내측면에 융착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음압백용 공기입출구(150)를 포함하여 공기를 주입하는 것에 대응되게 팽창되어 상기 음압백용 개폐판(140)을 반구 형태로 유지함에 따른 내부공간을 확보하여 환자를 격리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환자가 급작스런 심폐 정지시 음압백 내의 음압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외부에서 환자에게 직접적으로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음압백용 다기능시트(160)와;
    상기 음압백용 전면판(120)에 설치되어 작동버튼의 조작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음압백 내부 공기를 필터링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음압백용 음압발생부(170)와;
    상기 음압백용 후면판(130)에 설치되어 상기 음압백용 음압발생부(170)의 구동에 대응되게 외기 공기를 필터링시켜 음압백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음압백용 다기능시트(160)를 통하여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때, 음압백 내부의 유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필터링시켜 외부로 배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음압백용 필터수단(180)을 포함하되,
    상기 음압백용 필터수단(180)은, 일면이 상기 음압백용 후면판(130)에 후면홀을 포함하여 다수의 고정 스크류를 매개로 고정되되, 내부는 공간부(181a)가 형성된 원형을 포함한 다각 형상의 함체로 형성되고, 전후면은 상기 공간부(181a)와 연통되게 전,후면용 연통홀(181b,181c)이 형성되며, 상면은 상기 공간부(181a)와 연통되게 개구되어 구비되는 필터용 하우징(181)과, 상기 필터용 하우징(181)의 상면을 통하여 상기 공간부(181a) 내측으로 입출가능하게 사각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상면에는 필터용 손잡이부(182a)가 형성되고 판상에는 수용홀(182b)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필터용 수용부재(182)와, 상기 필터용 수용부재(182)의 수용홀(182b)에 장,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음압백 내측으로 외기를 필터링시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격리된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행할 때, 음압백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 내부공기를 필터링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헤파필터(183)와, 상기 필터용 하우징(181)의 전면용 연통홀(181b)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공간부(181a)에 위치되어, 일단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대응되게 타단이 상기 필터용 수용부재(182)의 전면을 가압하여 기밀을 유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기밀유지용 가압부재(18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백용 다기능시트(160)는, 상기 음압백용 개폐판(140)의 내측면에 상기 공기입출구(150)를 일단이 포함시켜 길이방향으로 테두리가 융착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에어프레임용 주판(161)과, 상기 에어프레임용 주판(161)의 양단에 일정 간격으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음압백용 개폐판(140)의 내측면에 테두리가 융착 고정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에어프레임용 지판(163)과, 상기 음압백용 개폐판(140)의 상면을 상기 에어프레임용 주판(161)에 융착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음압백 내부에 격리된 환자가 급작스런 심폐 정지시 음압백 내의 음압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외부에서 환자에게 직접적으로 심폐소생술을 행할 수 있게 손파닥을 수용가능하도록 마름모 형상의 형성되어 구비되는 심폐소생술용 융착부(16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유지용 가압부재(184)는, 상기 필터용 하우징(181)의 전면용 연통홀(181b) 내주면에 형성된 기밀유지용 나선부(184a)와, 상기 기밀유지용 나선부(184a)에 나사방식으로 결합가능하도록 일단 외주면에는 이동용 나선부(184b-1)가 형성되되, 상기 이동용 나선부(184b-1) 일측 외주면에는 확경부가 형성되고, 외주면 끝단부에는 걸림후크부가 형성되며, 타단 전면에는 손으로 파지하여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184b-2)가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전면에는 상기 손잡이부(184b-2)를 기준으로 양측에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유동홀(184b-3))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기밀유지용 가압조절부재(184b)와, 상기 기밀유지용 가압조절부재(184b)의 일단을 중앙부로 관통시켜 확경부에 전면이 걸림되고 타면은 걸림후크에 걸림되는 것에 의해 상기 필터용 하우징(181)의 공간부(181a)에 위치되어 상기 손잡이부(184b-2)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대응되게 상기 헤파필터(183)가 장착된 상기 필터용 수용부재(182)의 전면을 가압 및 가압 해제가능하게 사각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판의 중앙부에는 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기밀유지용 가압판(184c)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
KR1020220148412A 2022-11-09 2022-11-09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 KR102531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412A KR102531706B1 (ko) 2022-11-09 2022-11-09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412A KR102531706B1 (ko) 2022-11-09 2022-11-09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706B1 true KR102531706B1 (ko) 2023-05-11

Family

ID=86378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8412A KR102531706B1 (ko) 2022-11-09 2022-11-09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70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8058A (ja) * 2003-07-05 2005-02-03 Crestem Inc クリーン隔離搬送カプセル
KR20200107847A (ko) 2019-03-06 2020-09-1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은 나노갭 쉘을 이용한 알츠하이머병 진단방법
KR102160896B1 (ko) * 2020-04-21 2020-09-28 이명식 환자 이송용 음압백
KR102331450B1 (ko) * 2021-08-30 2021-12-02 주식회사 웃샘 컴퓨터 단층 촬영이 가능한 환자 이송용 음압백
KR20220026831A (ko) * 2020-08-26 2022-03-07 케이디엠씨 주식회사 외부에서 심폐소생술이 가능한 이동형 음압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8058A (ja) * 2003-07-05 2005-02-03 Crestem Inc クリーン隔離搬送カプセル
KR20200107847A (ko) 2019-03-06 2020-09-1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은 나노갭 쉘을 이용한 알츠하이머병 진단방법
KR102160896B1 (ko) * 2020-04-21 2020-09-28 이명식 환자 이송용 음압백
KR20220026831A (ko) * 2020-08-26 2022-03-07 케이디엠씨 주식회사 외부에서 심폐소생술이 가능한 이동형 음압백
KR102331450B1 (ko) * 2021-08-30 2021-12-02 주식회사 웃샘 컴퓨터 단층 촬영이 가능한 환자 이송용 음압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3936B1 (ko) 가스프레임 지지구조를 구비한 이동형 음압백
CA2024296C (en) Protective device, individual, portable, with total insulation and controlled atmosphere
US6321764B1 (en) Collapsible isolation apparatus
US6418932B2 (en) Convertible patient isolation pod
JP4494627B2 (ja) 隔離バッグ
EP1202696B1 (en) Isolation apparatus
EP1495743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on/isolation against infections
EP3373882B1 (en) Patient isolator
EP0619108A1 (en) A device for isolating a patient
KR102382746B1 (ko) 베드형 음양압 겸용 의료 챔버 장치
CN213310970U (zh) 一种自消毒正负压隔离担架
US20210317679A1 (en) Collapsible infectious disease isolation tent and method of operation
US20210307987A1 (en) Negative Pressure Isolation Pods
KR102531706B1 (ko)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
KR20220042627A (ko) 음압기를 이용한 프레임 내 공기주입 기능을 갖는 이동형 음압백
KR102420034B1 (ko) 외부에서 심폐소생술이 가능한 이동형 음압백
KR20230113525A (ko) 격리실 시스템 및 방법
KR102498609B1 (ko) 환자격리용 음압 발생장치
KR102447573B1 (ko) 환자이송용 음압백
CN213157093U (zh) 一种自消毒正负压隔离轮椅
CN214434860U (zh) 一种移动式野战传染病诊疗承载平台
US20220000694A1 (en) Patient intubating partition sphere
KR20220120755A (ko) 이동형 음압 챔버
PL243051B1 (pl) Urządzenie izolujące pacjenta z podejrzeniem choroby zakaźnej
JP2021171291A (ja) 仮収容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