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361B1 - 선별 진료를 위한 진료소 구조 - Google Patents

선별 진료를 위한 진료소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361B1
KR102409361B1 KR1020210130263A KR20210130263A KR102409361B1 KR 102409361 B1 KR102409361 B1 KR 102409361B1 KR 1020210130263 A KR1020210130263 A KR 1020210130263A KR 20210130263 A KR20210130263 A KR 20210130263A KR 102409361 B1 KR102409361 B1 KR 102409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accommodating
inspector
accommodating part
b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0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소연
장효중
전민아
염선경
Original Assignee
유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선 filed Critical 유정선
Priority to KR1020210130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3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08Hospitals, infirmaries, or the like; Schools; Pri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0Safety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검사자가 위치한 공간과, 피검자가 위치한 공간을 명확히 구획하여, 피검자와 검사자의 상호 감염 위험성을 낮추고, 다수의 인원들을 동시에 선별 진료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여 신속한 선별진료가 가능한 선별 진료를 위한 진료소 구조를 개시한다.
선별 진료를 위한 진료소 구조는, 제1 검사자 수용모듈, 제1-1 피검자 수용모듈 및 제1-2 피검자 수용모듈을 포함하는 제1 모듈 조립체와, 제2 검사자 수용모듈, 제2-1 피검자 수용모듈 및 제2-2 피검자 수용모듈을 포함하는 제2 모듈 조립체를 포함하고, 제1 모듈 조립체와, 제2 모듈 조립체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모듈 조립체와, 제2 모듈 조립체가 결합되면, 제1 검사자 수용모듈과 제2 검사자 수용모듈은 서로 연통되어 하나로 통합된 구조를 이룬다.

Description

선별 진료를 위한 진료소 구조{Clinic structure for screening care}
본 발명은 선별 진료를 위한 진료소 구조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바이러스 등과 같은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자가 늘어남에 따라, 상대적으로 빠른 시간 내에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피검자의 검체를 채취하는 선별진료소가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선별진료소는 하나의 출입구와, 구획되지 않은 하나의 공간을 가지는 캐빈(cabin)형태의 천막으로 제작됨에 따라, 선별진료소로 들어가는 인원과, 진료를 마친 후 선별진료소에서 밖으로 나오는 다른 인원이 같은 공간에서 마주치게 됨은 물론, 선별검사를 행하는 검사자와, 검사자에 의해 선별검사를 당하는 피검자가 같은 공간 내에 배치되므로, 선별진료를 행하는 검사자 및 비감염자의 감염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선별진료소는 진료공간이 구획되지 않고, 하나의 공간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매 진료마다 소독과 환기를 병행해야만 하고, 이에 진료 대기시간이 증가하여 불편함을 초래함은 물론, 신속한 진료가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선별진료소는 서로 연결될 수 없는 개별 텐트 구조를 가짐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선별진료 시스템을 구축할 수 없고, 이에 확장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351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사자가 위치한 공간과, 피검자가 위치한 공간을 명확히 구획하여, 피검자와 검사자의 상호 감염 위험성을 낮추고, 다수의 인원들을 동시에 선별 진료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여 신속한 선별진료가 가능한 선별 진료를 위한 진료소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구와 출구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하여 피검자의 효율적인 동선을 제공함은 물론, 이를 통해 비감염자의 감염 위험성을 낮출 수 있는 선별 진료를 위한 진료소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선의 방해 없이 진료소의 내부 공간을 실시간 정화하여, 진료 대기를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신속한 진료가 가능할 수 있는 선별 진료를 위한 진료소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검자로부터 검체를 수집하기 위한 공간을 공기정화와 살균이 가능한 부스 형태로 형성하여, 지속적으로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선별 진료를 위한 진료소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료소를 탈착 가능한 모듈 형태로 형성하여 다양한 선별진료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선별 진료를 위한 진료소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별 진료를 위한 진료소 구조는 제1 검사자 수용모듈,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검사자 수용모듈의 일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1 피검자 수용모듈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검사자 수용모듈의 타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 피검자 수용모듈을 포함하는 제1 모듈 조립체; 및 제2 검사자 수용모듈,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검사자 수용모듈의 일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1 피검자 수용모듈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검사자 수용모듈의 타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2 피검자 수용모듈을 포함하는 제2 모듈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 조립체와, 상기 제2 모듈 조립체는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모듈 조립체와, 상기 제2 모듈 조립체가 결합되면, 상기 제1 검사자 수용모듈과 상기 제2 검사자 수용모듈은 서로 연통되어 하나로 통합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제1 검사자 수용모듈 및 상기 제2 검사자 수용모듈은, 제1-1 수용부와, 상기 제1-1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1 수용부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일 측 및 타 측에 각각 걸림홈을 형성하는 제1-2 수용부를 포함하는 검사자 모듈 본체; 상기 제1-1 수용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1 수용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상기 제1-1 수용부의 일부분에 검체가 회수되는 검체 회수부를 형성하는 구획유닛; 및 상기 제1-1 수용부, 상기 제1-2 수용부 및 상기 검체 회수부의 공기를 정화하도록 구성되는 제1 공기정화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검사자 수용모듈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검사자 수용모듈에 대향된 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제1-1 피검자 수용모듈, 상기 제1-2 피검자 수용모듈, 상기 제2-1 피검자 수용모듈 및 상기 제2-2 피검자 수용모듈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1 수용부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2 수용부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일부분이 상기 걸림홈에 걸려 지지되는 제2-1 수용부와, 상기 제2-1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1 수용부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1 수용부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일부분이 상기 제1-1 수용부에 밀착되는 제2-2 수용부를 포함하는 피검자 모듈 본체; 상기 걸림홈에 걸려 지지된 상기 제2-1 수용부의 일부분과 상기 제1-2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로 진입한 피검자가 상기 제1-2 수용부에 위치한 검사자와 분리된 상태에서 진료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진료부스; 상기 진료부스를 기준으로 상기 피검자 모듈 본체의 내부공간을 제1 안내공간과, 제2 안내공간으로 구획하는 안내공간 구획 유닛; 상기 제2 안내공간과, 상기 제1-1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로 진입한 상기 피검자가 상기 제1-1 수용부에 위치한 검사자와 분리된 상태에서 방사선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방사선영상부스; 상기 제2 안내공간과, 상기 검체 회수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피검자가 상기 검체를 거치하도록 구성되는 검체 거치부; 상기 안내공간 구획 유닛에 수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안내공간의 일부분을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상기 제1 안내공간을 선택적으로 구획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 도어 유닛; 상기 제1 안내공간 및 상기 제2 안내공간의 공기를 정화하도록 구성되는 제2 공기정화유닛;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안내공간과 연통되는 입구;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안내공간과 연통되는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피검자 수용모듈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1 피검자 수용모듈에 대향된 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제2-1 피검자 수용모듈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1 피검자 수용모듈에 대향된 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제2-2 피검자 수용모듈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2-1 피검자 수용모듈에 대향된 구조로 배치되면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2 피검자 수용모듈에 대향된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진료부스는, 상기 피검자의 출입이 가능하고, 투명창을 가지는 부스본체; 상기 부스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1-2 수용부에 위치한 검사자의 팔에 착용 가능한 글러브; 상기 부스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안내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부스본체의 일부분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부스 입구 도어; 상기 부스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안내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부스본체의 다른 일부분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부스 출구 도어; 상기 부스본체의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도록 구성되는 부스정화유닛; 상기 부스본체의 내부에 UV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부스살균유닛; 및 상기 부스본체의 사용 여부를 빛과 소리의 형태로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검사자 수용모듈 및 상기 제2 검사자 수용모듈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검사자 모듈 본체의 외면에 배치되고, 돌출된 방향을 따라 직경의 크기가 점차 감소되는 쐐기 구조로 형성되는 제1 돌출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검사자 모듈 본체의 외면에 배치되고, 함몰된 방향을 따라 직경의 크기가 점차 감소되는 쐐기홈 구조로 형성되는 제1 홈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홈부에 각각 수용되는 제1 자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1 피검자 수용모듈, 상기 제1-2 피검자 수용모듈, 상기 제2-1 피검자 수용모듈 및 상기 제2-2 피검자 수용모듈은, 상기 제1 홈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홈부에 결합되는 제2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부에 결합되는 제2 홈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홈부에 각각 수용되고, 상기 제1 자기부와 자기력을 통해 결합되는 제2 자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듈 조립체는, 상기 제1 검사자 수용모듈에 배치되는 제1 실링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듈 조립체는, 상기 제2 검사자 수용모듈에 배치되는 제2 실링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실링재와, 상기 제2 실링재는, 상기 제1 모듈 조립체와 상기 제2 모듈 조립체가 결합될 경우, 서로 밀착되어 계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1 검사자 수용모듈과 상기 제2 검사자 수용모듈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상기 제1-1 피검자 수용모듈, 상기 제1-2 피검자 수용모듈, 상기 제2-1 피검자 수용모듈 및 상기 제2-2 피검자 수용모듈은, 상기 제1 안내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피검자를 감지하여 상기 피검자의 이름 및 생년월일 정보와, 상기 진료부스로의 이동경로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1 피검자 안내유닛; 및 상기 제2 안내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피검자를 감지하여 검체 회수를 위한 안내정보와, 상기 검체 회수부로의 이동경로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2 피검자 안내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피검자 안내유닛과, 상기 제2 피검자 안내유닛은, 이동경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안내바와, 상기 안내바를 지지하는 복수의 기둥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안내바에 배치되어 영상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안내바의 일 측 및 타 측에 배치되고, 상기 피검자가 이동해야할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점멸되도록 구성되는 제1 광원부; 상기 안내바의 저부에 배치되고, 지면에 화살표의 형태로 상기 피검자가 이동해야할 방향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2 광원부; 및 상기 안내바의 단부에 배치되어 설정거리 이내에 배치된 상기 피검자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검사자가 위치한 공간과, 피검자가 위치한 공간이 명확히 구획되므로, 피검자와 검사자의 상호 감염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인원들을 동시에 선별 진료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신속한 선별진료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입구와 출구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므로, 피검자의 효율적인 동선을 제공함은 물론, 비감염자의 감염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동선의 방해 없이 진료소의 내부 공간을 실시간 정화하므로, 진료 대기를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신속한 진료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피검자로부터 검체를 수집하기 위한 공간을 공기정화 및 살균이 가능한 부스 형태로 형성하므로, 지속적으로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진료소가 탈착 가능한 모듈 형태로 형성되므로, 다양한 선별진료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료소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검사자 수용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1 피검자 수용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료부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자 수용모듈과 피검자 수용모듈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검자 안내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료소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별 진료를 위한 진료소(1) 구조(이하 '진료소(1) 구조'라 함)는 제1 모듈 조립체(10)와, 제2 모듈 조립체(20)를 포함한다.
제1 모듈 조립체(10)는 다수의 검사자들(미도시)이 수용되는 제1 검사자 수용모듈(11)과, 제1 방향(D1)을 따라 제1 검사자 수용모듈(11)의 일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피검자들의 선별진료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제1-1 피검자 수용모듈(12)과, 제1 방향(D1)을 따라 제1 검사자 수용모듈(11)의 타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피검자들의 선별진료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제1-2 피검자 수용모듈(13)을 포함한다.
제2 모듈 조립체(20)는 제1 방향(D1)과 다른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모듈 조립체(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방향(D2)으로 제1 모듈 조립체(10)에 대향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제2 모듈 조립체(20)는 다수의 검사자들이 수용되는 제2 검사자 수용모듈(21)과, 제1 방향(D1)을 따라 제2 검사자 수용모듈(21)의 일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또 다른 피검자들의 선별진료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제2-1 피검자 수용모듈(22)과, 제1 방향(D1)을 따라 제2 검사자 수용모듈(21)의 타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또 다른 피검자들의 선별진료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제2-2 피검자 수용모듈(23)을 포함한다.
한편, 제1 모듈 조립체(10)와, 제2 모듈 조립체(20)가 서로 결합되면, 제1 검사자 수용모듈(11)과 제2 검사자 수용모듈(21)은 서로 연통되어 하나로 통합된 구조를 이룬다.
즉, 본 진료소(1) 구조는 다수의 검사자들이 수용되는 하나의 통합된 검사자 수용모듈과, 하나의 통합된 검사자 수용모듈과 구획되어 있고, 하나의 통합된 검사자 수용모듈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공간에서 각각 피검자의 선별진료가 가능한 네 개의 피검자 수용모듈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제1 모듈 조립체(10)와, 제2 모듈 조립체(20)의 결합 시 하나의 통합된 구조를 이루는 복수의 검사자 수용모듈과, 서로 다른 공간에서 각각 피검자의 선별진료가 수행되는 네 개의 피검자 수용모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검사자 수용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검사자 수용모듈(11) 및 제2 검사자 수용모듈(21)은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대향된 구조로 배치되고, 서로 동일한 구성들을 갖는다.
제1 검사자 수용모듈(11) 및 제2 검사자 수용모듈(21)은 각각, 검사자 모듈 본체(A1), 구획유닛(A2) 및 제1 공기정화유닛(A3)을 포함할 수 있다.
검사자 모듈 본체(A1)는 제1-1 수용부(A11)와, 제1-1 수용부(A11)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D1)으로 제1-1 수용부(A11)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일 측 및 타 측에 각각 걸림홈(A13)을 형성하는 제1-2 수용부(A12)를 포함할 수 있다.
구획유닛(A2)은 제1-1 수용부(A11)에 배치되고, 제1-1 수용부(A11)의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제1-1 수용부(A11)의 일부분에 검체가 회수되는 검체 회수부(A111)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획유닛(A2)에는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도어(미도시) 및 검체 회수부(A111)의 내부에 UV광을 조사할 수 있는 살균장치(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제1 공기정화유닛(A3)은 복수로 마련되어 제1-1 수용부(A11), 제1-2 수용부(A12) 및 검체 회수부(A111)의 공기를 정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기정화유닛(A3)은 천정(미도시)에 매립되는 정화본체(미도시), 정화본체에 수용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팬(미도시), 정화본체에 수용되어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도록 구성되는 필터(미도시) 및 정화본체에 수용되어 여과된 공기에 UV광을 조사하여 살균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UV조사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공기정화유닛(A3)은 정화본체(미도시)에 연결되고, 유로를 가변하여 팬에 의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 및 유속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유량조절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1 피검자 수용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1 피검자 수용모듈(12), 제1-2 피검자 수용모듈(13), 제2-1 피검자 수용모듈(22) 및 제2-2 피검자 수용모듈(23)은 서로 동일한 구성들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1-1 피검자 수용모듈(12)과 제1-2 피검자 수용모듈(13)은 제1 방향(D1)을 따라 대향된 구조로 배치고, 제2-1 피검자 수용모듈(22)과 제2-2 피검자 수용모듈(23)은 제1 방향(D1)을 따라 대향된 구조로 배치된다. 그리고, 제2-1 피검자 수용모듈(22)은 제2 방향(D2)을 따라 제1-1 피검자 수용모듈(12)에 대향된 구조로 배치되고, 제2-2 피검자 수용모듈(23)은 제2 방향(D2)을 따라 제1-2 피검자 수용모듈(13)에 대향된 구조로 배치된다.
제1-1 피검자 수용모듈(12), 제1-2 피검자 수용모듈(13), 제2-1 피검자 수용모듈(22) 및 제2-2 피검자 수용모듈(23)은 각각, 피검자 모듈 본체(B1), 진료부스(B2) 및 안내공간 구획 유닛(B3)을 포함할 수 있다.
피검자 모듈 본체(B1)는 제1 방향(D1)으로 제1-1 수용부(A11) 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고, 제2 방향(D2)으로 제1-2 수용부(A12)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일부분이 걸림홈(A13)에 걸려 지지되는 제2-1 수용부(B11)와, 제2-1 수용부(B11)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D1)으로 제2-1 수용부(B11)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고, 제2 방향(D2)으로 제1-1 수용부(A11)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일부분이 제1-1 수용부(A11)에 밀착되는 제2-2 수용부(B12)를 포함할 수 있다.
진료부스(B2)는 걸림홈(A13)에 걸려 지지된 제2-1 수용부(B11)의 일부분과 제1-2 수용부(A12)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로 진입한 피검자가 제1-2 수용부(A12)에 위치한 검사자와 분리된 상태에서 진료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료부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진료부스(B2)는, 피검자의 출입이 가능하고, 투명창을 가지는 부스본체(B21), 부스본체(B21)에 설치되고, 제1-2 수용부(A12)에 위치한 검사자의 팔에 착용 가능한 글러브(B22), 부스본체(B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안내공간(B31)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부스본체(B21)의 일부분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부스 입구 도어(B23), 부스본체(B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 안내공간(B32)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부스본체(B21)의 다른 일부분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부스 출구 도어(B24), 부스본체(B21)의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도록 구성되는 부스정화유닛(B25), 부스본체(B21)의 내부에 UV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부스살균유닛(B26) 및 부스본체(B21)의 사용 여부를 빛과 소리의 형태로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유닛(B2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러브(B22)는 다층구조로 이루어지고, 검사자의 팔 전체를 끼워 사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글러브(B22)의 표면에는 교체 가능한 비닐소재의 스킨(미도시)을 탈착할 수 있다. 부스정화유닛(B25)은 부스본체(B21)의 천정(미도시)에 설치되는 정화본체(미도시), 정화본체에 수용되어 부스본체(B21)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팬(미도시) 및 정화본체에 수용되어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도록 구성되는 필터(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안내공간 구획 유닛(B3)은 진료부스(B2)를 기준으로 피검자 모듈 본체(B1)의 내부공간을 제1 안내공간(B31)과, 제2 안내공간(B32)으로 구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공간 구획 유닛(B3)은 제1 안내공간(B31)으로 진입한 피검자가 피검자 모듈 본체(B1)의 외벽을 따라 진료부스(B2)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피검자 모듈 본체(B1)의 외벽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안내공간 구획 유닛(B3)이 피검자 모듈 본체(B1)의 외벽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휠체어의 이동이 가능한 거리일 수 있다.
또한, 제1-1 피검자 수용모듈(12), 제1-2 피검자 수용모듈(13), 제2-1 피검자 수용모듈(22) 및 제2-2 피검자 수용모듈(23)은 각각, 방사선영상부스(B4), 검체 거치부(B5), 슬라이딩 도어 유닛(B6), 제2 공기정화유닛(B7), 입구(B8) 및 출구(B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영상부스(B4)는 제2 안내공간(B32)과, 제1-1 수용부(A11)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로 진입한 피검자가 제1-1 수용부(A11)에 위치한 검사자와 분리된 상태에서 방사선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검체 거치부(B5)는 제2 안내공간(B32)과, 검체 회수부(A111) 사이에 배치되고, 피검자가 검체를 거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체 거치부(B5)는 검체와 반응액이 수용된 PCR 튜브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 유닛(B6)은 안내공간 구획 유닛(B3)에 수납되도록 배치되고, 제1 안내공간(B31)의 일부분을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제1 안내공간(B31)을 선택적으로 구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공간 구획 유닛(B3)의 일부분에는 슬라이딩 도어 유닛(B6)이 완전히 수용될 수 있는 수납홈(미도시)과, 슬라이딩 도어 유닛(B6)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도어 유닛(B6)은 슬라이딩 도어(미도시)와,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모터(미도시)와, 슬라이딩 도어와 구동모터를 연결하여 구동모터의 작동 시 구동모터의 동력을 슬라이딩 도어에 전달하여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동력전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기정화유닛(B7)은 복수로 마련되어 제1 안내공간(B31) 및 제2 안내공간(B32)의 공기를 정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공기정화유닛(B7)은 천정(미도시)에 매립되는 정화본체(미도시), 정화본체에 수용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팬(미도시), 정화본체에 수용되어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도록 구성되는 필터(미도시) 및 정화본체에 수용되어 여과된 공기에 UV광을 조사하여 살균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UV조사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공기정화유닛(B7)은 정화본체(미도시)에 연결되고, 유로를 가변하여 팬에 의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 및 유속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유량조절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구(B8)는 제1 방향(D1)을 따라 제1 안내공간(B31) 및 외부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B8)에는 입구(B8)를 자동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도어(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출구(B9)는 제2 방향(D2)을 따라 제2 안내공간(B32) 및 외부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구(B9)에는 출구(B9)를 자동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도어(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자 수용모듈과 피검자 수용모듈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검사자 수용모듈(11) 및 제2 검사자 수용모듈(21)은 각각, 제1 방향(D1)을 따라 검사자 모듈 본체(A1)의 외면에 배치되고, 돌출된 방향을 따라 직경의 크기가 점차 감소되는 쐐기 구조로 형성되는 제1 돌출부(A4)와, 제1 방향(D1)을 따라 검사자 모듈 본체(A1)의 외면에 배치되고, 함몰된 방향을 따라 직경의 크기가 점차 감소되는 쐐기홈 구조로 형성되는 제1 홈부(A5)와, 제1 돌출부(A4) 및 제1 홈부(A5)에 각각 수용되는 제1 자기부(A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1 피검자 수용모듈(12), 제1-2 피검자 수용모듈(13), 제2-1 피검자 수용모듈(22) 및 제2-2 피검자 수용모듈(23)은 각각, 제1 홈부(A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홈부(A5)에 결합되는 제2 돌출부(B10)와, 제1 돌출부(A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돌출부(A4)에 결합되는 제2 홈부(B11)와, 제2 돌출부(B10) 및 제2 홈부(B11)에 각각 수용되고, 제1 자기부(A6)와 자기력을 통해 결합되는 제2 자기부(B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검자 안내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1 피검자 수용모듈(12), 제1-2 피검자 수용모듈(13), 제2-1 피검자 수용모듈(22) 및 제2-2 피검자 수용모듈(23)은 각각, 제1 피검자 안내유닛(B13)과, 제2 피검자 안내유닛(B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피검자 안내유닛(B13)은 제1 안내공간(B31)에 배치되고, 피검자를 감지하여 피검자의 이름 및 생년월일 정보와, 진료부스(B2)로의 이동경로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피검자 안내유닛(B14)은 제2 안내공간(B32)에 배치되고, 피검자를 감지하여 검체 회수를 위한 안내정보와, 검체 회수부(A111)로의 이동경로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피검자 안내유닛(B13)과, 제2 피검자 안내유닛(B14)은 서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피검자 안내유닛(B13)과, 제2 피검자 안내유닛(B14)은 각각, 이동경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안내바(C11)와, 안내바(C11)를 지지하는 복수의 기둥(C12)을 포함하는 프레임부(C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피검자 안내유닛(B13)과, 제2 피검자 안내유닛(B14)은 각각, 안내바(C11)에 배치되어 영상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C2)와, 디스플레이부(C2)를 사이에 두고, 안내바(C11)의 일 측 및 타 측에 배치되고, 피검자가 이동해야할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점멸되도록 구성되는 제1 광원부(C3)와, 안내바(C11)의 저부에 배치되고, 지면에 화살표의 형태로 피검자가 이동해야할 방향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2 광원부(C4)와, 안내바(C11)의 단부에 배치되어 설정거리 이내에 배치된 피검자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감지센서(C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모듈 조립체(10)는 제1 검사자 수용모듈(11)에 배치되는 제1 실링재(14)를 더 포함하고, 제2 모듈 조립체(20)는 제2 검사자 수용모듈(21)에 배치되는 제2 실링재(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링재(14)와, 제2 실링재(24)는, 제1 모듈 조립체(10)와 제2 모듈 조립체(20)가 결합될 경우, 서로 밀착되어 계면을 형성하면서 제1 검사자 수용모듈(11)과 제2 검사자 수용모듈(21)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링재(14)와, 제2 실링재(24)는 엘라스토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검사자가 위치한 공간과, 피검자가 위치한 공간이 명확히 구획되므로, 피검자와 검사자의 상호 감염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인원들을 동시에 선별 진료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신속한 선별진료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입구(B8)와 출구(B9)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므로, 피검자의 효율적인 동선을 제공함은 물론, 비감염자의 감염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동선의 방해 없이 진료소(1)의 내부 공간을 실시간 정화하므로, 진료 대기를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신속한 진료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피검자로부터 검체를 수집하기 위한 공간을 공기정화 및 살균이 가능한 부스 형태로 형성하므로, 지속적으로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진료소(1)가 탈착 가능한 모듈 형태로 형성되므로, 다양한 선별진료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진료소
10. 제1 모듈 조립체
11. 제1 검사자 수용모듈
12. 제1-1 피검자 수용모듈
13. 제1-2 피검자 수용모듈
14. 제1 실링재
20. 제2 모듈 조립체
21. 제2 검사자 수용모듈
22. 제2-1 피검자 수용모듈
23. 제2-2 피검자 수용모듈
24. 제2 실링재
A1. 검사자 모듈 본체
A11. 제1-1 수용부
A111. 검체 회수부
A12. 제1-2 수용부
A13. 걸림홈
A2. 구획유닛
A3. 제1 공기정화유닛
A4. 제1 돌출부
A5. 제1 홈부
A6. 제1 자기부
B1. 피검자 모듈 본체
B11. 제2-1 수용부
B12. 제2-2 수용부
B2. 진료부스
B21. 부스본체
B22. 글러브
B23. 부스 입구 도어
B24. 부스 출구 도어
B25. 부스정화유닛
B26. 부스살균유닛
B27. 표시유닛
B3. 안내공간 구획 유닛
B31. 제1 안내공간
B32. 제2 안내공간
B4. 방사선영상부스
B5. 검체 거치부
B6. 슬라이딩 도어 유닛
B7. 제2 공기정화유닛
B8. 입구
B9. 출구
B10. 제2 돌출부
B11. 제2 홈부
B12. 제2 자기부
B13. 제1 피검자 안내유닛
B14. 제2 피검자 안내유닛
C1. 프레임부
C11. 안내바
C12. 복수의 기둥
C2. 디스플레이부
C3. 제1 광원부
C4. 제2 광원부
C5. 감지센서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Claims (3)

  1. 삭제
  2. 제1 검사자 수용모듈,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검사자 수용모듈의 일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1 피검자 수용모듈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검사자 수용모듈의 타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 피검자 수용모듈을 포함하는 제1 모듈 조립체; 및
    제2 검사자 수용모듈,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검사자 수용모듈의 일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1 피검자 수용모듈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검사자 수용모듈의 타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2 피검자 수용모듈을 포함하는 제2 모듈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 조립체와, 상기 제2 모듈 조립체는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모듈 조립체와, 상기 제2 모듈 조립체가 결합되면, 상기 제1 검사자 수용모듈과 상기 제2 검사자 수용모듈은 서로 연통되어 하나로 통합된 구조를 이루며,
    상기 제1 검사자 수용모듈 및 상기 제2 검사자 수용모듈은,
    제1-1 수용부와, 상기 제1-1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1 수용부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일 측 및 타 측에 각각 걸림홈을 형성하는 제1-2 수용부를 포함하는 검사자 모듈 본체;
    상기 제1-1 수용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1 수용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상기 제1-1 수용부의 일부분에 검체가 회수되는 검체 회수부를 형성하는 구획유닛; 및
    상기 제1-1 수용부, 상기 제1-2 수용부 및 상기 검체 회수부의 공기를 정화하도록 구성되는 제1 공기정화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검사자 수용모듈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검사자 수용모듈에 대향된 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제1-1 피검자 수용모듈, 상기 제1-2 피검자 수용모듈, 상기 제2-1 피검자 수용모듈 및 상기 제2-2 피검자 수용모듈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1 수용부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2 수용부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일부분이 상기 걸림홈에 걸려 지지되는 제2-1 수용부와, 상기 제2-1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1 수용부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1 수용부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일부분이 상기 제1-1 수용부에 밀착되는 제2-2 수용부를 포함하는 피검자 모듈 본체;
    상기 걸림홈에 걸려 지지된 상기 제2-1 수용부의 일부분과 상기 제1-2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로 진입한 피검자가 상기 제1-2 수용부에 위치한 검사자와 분리된 상태에서 진료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진료부스;
    상기 진료부스를 기준으로 상기 피검자 모듈 본체의 내부공간을 제1 안내공간과, 제2 안내공간으로 구획하는 안내공간 구획 유닛;
    상기 제2 안내공간과, 상기 제1-1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로 진입한 상기 피검자가 상기 제1-1 수용부에 위치한 검사자와 분리된 상태에서 방사선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방사선영상부스;
    상기 제2 안내공간과, 상기 검체 회수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피검자가 상기 검체를 거치하도록 구성되는 검체 거치부;
    상기 안내공간 구획 유닛에 수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안내공간의 일부분을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상기 제1 안내공간을 선택적으로 구획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 도어 유닛;
    상기 제1 안내공간 및 상기 제2 안내공간의 공기를 정화하도록 구성되는 제2 공기정화유닛;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안내공간과 연통되는 입구;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안내공간과 연통되는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피검자 수용모듈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1 피검자 수용모듈에 대향된 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제2-1 피검자 수용모듈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1 피검자 수용모듈에 대향된 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제2-2 피검자 수용모듈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2-1 피검자 수용모듈에 대향된 구조로 배치되면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2 피검자 수용모듈에 대향된 구조로 배치되는, 선별 진료를 위한 진료소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부스는,
    상기 피검자의 출입이 가능하고, 투명창을 가지는 부스본체;
    상기 부스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1-2 수용부에 위치한 검사자의 팔에 착용 가능한 글러브;
    상기 부스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안내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부스본체의 일부분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부스 입구 도어;
    상기 부스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안내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부스본체의 다른 일부분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부스 출구 도어;
    상기 부스본체의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도록 구성되는 부스정화유닛;
    상기 부스본체의 내부에 UV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부스살균유닛; 및
    상기 부스본체의 사용 여부를 빛과 소리의 형태로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유닛;을 포함하는, 선별 진료를 위한 진료소 구조.
KR1020210130263A 2021-09-30 2021-09-30 선별 진료를 위한 진료소 구조 KR102409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263A KR102409361B1 (ko) 2021-09-30 2021-09-30 선별 진료를 위한 진료소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263A KR102409361B1 (ko) 2021-09-30 2021-09-30 선별 진료를 위한 진료소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361B1 true KR102409361B1 (ko) 2022-06-22

Family

ID=82217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0263A KR102409361B1 (ko) 2021-09-30 2021-09-30 선별 진료를 위한 진료소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3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764B1 (ko) 2023-03-08 2023-08-29 박준유 감염병 진단 플랫폼이 구축된 음압 컨테이너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513Y1 (ko) 2015-08-11 2017-05-23 채원영 음압 텐트
KR102165792B1 (ko) * 2020-03-04 2020-10-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감염병 진료소
KR102214043B1 (ko) * 2020-10-19 2021-02-09 한국과학기술원 이동확장형 음압병동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513Y1 (ko) 2015-08-11 2017-05-23 채원영 음압 텐트
KR102165792B1 (ko) * 2020-03-04 2020-10-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감염병 진료소
KR102214043B1 (ko) * 2020-10-19 2021-02-09 한국과학기술원 이동확장형 음압병동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764B1 (ko) 2023-03-08 2023-08-29 박준유 감염병 진단 플랫폼이 구축된 음압 컨테이너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709B1 (ko) 클린 에어 장치
KR102409361B1 (ko) 선별 진료를 위한 진료소 구조
AU2015336025A1 (en) Breath analysis systems and methods for screening infectious diseases
CN110141441A (zh) 具备负压换气防疫医疗功能的隔离舱装置
CN213310970U (zh) 一种自消毒正负压隔离担架
KR20190096647A (ko) 병원체 전파 방지를 위한 의료용 텐트
KR20220014358A (ko) 이동식 진료소
KR102335224B1 (ko)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
JP5538345B2 (ja) 病院用診療室
JP2021168892A (ja) 非対面陽圧式選別診療所
KR20220042627A (ko) 음압기를 이용한 프레임 내 공기주입 기능을 갖는 이동형 음압백
KR102302222B1 (ko) 검사자와 피검사자를 분리하는 워크스루 진료용 부스
KR102489332B1 (ko) 비접촉식 검체 채취 부스
KR102335025B1 (ko) 비대면 클리닉과 비대면 클리닉을 위한 글로브 박스
KR102452959B1 (ko)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진료소
KR20210133349A (ko) 컨테이너형 선별 진료 구조물
KR102410484B1 (ko) 검체 채취 기구
KR102378193B1 (ko) 양압 및 음압 일체형 복합장치 특장차
RU2765109C1 (ru) Мобиль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диагностики вирусов на баз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219012096U (zh) 一种医患分离式诊室
KR102344963B1 (ko)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
CN111336620A (zh) 可装卸多用途门诊舱
KR102610393B1 (ko) 비말차단장치
KR102369234B1 (ko) 이동형 선별진료소
KR102369226B1 (ko) 의료진 보호기능이 구비된 선별진료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