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382B1 -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382B1
KR102256382B1 KR1020200048436A KR20200048436A KR102256382B1 KR 102256382 B1 KR102256382 B1 KR 102256382B1 KR 1020200048436 A KR1020200048436 A KR 1020200048436A KR 20200048436 A KR20200048436 A KR 20200048436A KR 102256382 B1 KR102256382 B1 KR 102256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room
test subject
transparent window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호
Original Assignee
김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호 filed Critical 김찬호
Priority to KR1020200048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3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사자와 피검사자 간의 직접적인 접촉 없이 피검사자에 대한 바이러스(예를 들어, 코로나19 등)의 감염 여부를 선별 검사할 수 있도록 구현한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검사자가 입실하는 검사자실과, 피검사자가 입실하는 피검사자실을 포함하되, 검사자실은, 피검사자실과 서로 접하면서 밀폐 분리 형성되어, 피검사자실로부터 피검사자의 시료를 채취하여 수집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Specimen collecting system}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검사자(medical staff)와 피검사자(patients) 간의 직접적인 접촉 없이 피검사자에 대한 바이러스(예를 들어, 코로나19 등)의 감염 여부를 선별 검사할 수 있도록 구현한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강 검진이나 종합 검진에 필요한 암 진단, 갑상선 질환 진단, 호르몬 검사 등뿐만 아니라, 바이러스(예를 들어, 코로나19 등)의 감염 여부 등과 같이 여러 가지 항목을 검사하는 경우에,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을 이용하게 된다. 해당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검사에 필요한 여러 장비를 사용하며, 이러한 장비에는 피검사자의의 혈액과 시약을 분주하는 자동 분주기, 피검사자의 혈액과 시약이 분주된 튜브를 흔들어서 반응을 도와주는 인큐베이터, 반응이 끝난 튜브를 세척하는 튜브 세척기, 세척된 튜브를 방사선을 이용하여 그 결과를 읽어내는 감마 카운터 등이 있다.
이러한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에서는 피검사자의 정보를 병원 서버에서 받아와서 피검사자의 그날 필요한 검사 항목을 파악하고, 시스템 장비(즉, 자동 분주기, 인큐베이터, 튜브 세척기, 감마 카운터 등)를 순차적으로 검사를 실시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에서는 자동 분주기부터 감마 카운터까지 전부 개별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이를 통합 관리하는 어떠한 기능도 없는데, 즉 각 장비마다 해당 장비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 제어 패널 등이 구비되고, 이를 통해 피검사자의 정보를 개별적으로 업로드 해서 각각의 장비를 구동하거나, 또는 검사자가 검사를 마치고 피검사자의 검사 결과를 수동으로 업로드 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하여 시스템 장비를 통합 관리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10424호(2017.12.13. 등록)는 검사실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통신망을 통하여 다수의 환자 정보를 제공하는 병원 전산 시스템과 연동되는 검사실 통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 정보에 대응하는 검사 항목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 개의 테스트 튜브에 환자 검체의 샘플과 시약을 자동 분주하고, 분주된 테스트 튜브를 검사 항목과 시약에 대응하여 일정 속도와 온도로 흔들고 가열하여 반응시키고, 반응 처리된 테스트 튜브에 미반응된 잔여물을 제거하도록 세척하고, 이어서 세척된 테스트 튜브로부터 방사선을 계측하여 검사 결과 데이터를 획득하는 검사 처리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검사 처리 장치와 연결되고, 병원 전산 시스템으로부터 환자 정보를 받아들여서 환자 정보들 각각에 대응하는 환자 검체의 검사 항목에 따라 시약과 검사 처리 장치의 프로토콜 및 스케줄을 설정하여 검사 처리 장치로 제공하고, 설정된 정보에 따라 검사 처리 장치의 스케줄 관리 및 동작을 제어하여 검사 처리 장치를 통합 관리하는 검사실 제어 장치를 포함하되, 검사 처리 장치는 자동 분주기, 인큐베이터, 자동 튜브 세척기 및 감마 카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검사실 제어 장치는 검사 처리 장치로부터 검사 결과 데이터를 받아서 통신망을 통해 병원 전산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으로 제어부, 통신부, 검사실 통합 관리 처리부 및 저장부를 포함하며, 검사실 통합 관리 처리부는 환자 정보 표시 화면을 이용하여 병원 전산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다수의 환자 정보를 표시하되 환자 정보 표시 화면에는 각각의 환자 정보에 대응하여 검사를 진행하고자 하는 종목이 표시하고, 워크리스트 표시 화면을 이용하여 종목이 정해진 환자 정보에 대한 검사 항목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여 검사 처리 장치를 통해 해당 검사 항목에 맞는 검사를 진행하고 그 검사 결과를 병원 전산 시스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검사실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통신망을 통해 병원 전산 시스템과 연동해서 다수의 환자 정보를 받아들이고, 환자 정보들 각각에 대응하는 검사 항목에 따른 검사 결과 데이터를 얻도록 검사 처리 장치를 스케줄 관리 및 제어하여 통합 관리하고, 검사 처리 장치로부터 획득한 검사 결과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병원 전산 시스템으로 제공하도록 처리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20318호(2019.10.23. 공개)는 의학적 치료 및/또는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환자로부터 샘플들의 수집 및 검사를 관리하기 위한 상호 운용 질병 관리 시스템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실험실 기기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환자 데이터 정보 시스템과 정보를 교환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서버; 컴퓨팅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컴퓨팅 서버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실험실 기기 사이에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기기 통신 인터페이스; 컴퓨팅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컴퓨팅 서버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환자 데이터 정보 시스템 사이에 추가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정보 시스템 인터페이스로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환자 데이터 정보 시스템은 검사 주문들의 세트와 이력 데이터 세트를 포함하는 환자 데이터 세트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정보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컴퓨팅 서버는, 기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실험실 기기로부터 기기 데이터 세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섹션; 정보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환자 데이터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이력 데이터 세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섹션; 적어도 하나의 외부 실험실 기기로부터 수신된 기기 데이터 세트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환자 데이터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이력 데이터 세트에 기초하여 검사 관리 데이터 세트를 구축하도록 구성된 검사 관리 섹션; 검사 작업을 생성하기 위해 검사 관리 규칙의 세트를 검사 관리 데이터 세트에 적용하도록 구성된 규칙 엔진; 및 검사 작업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환자 데이터 정보 시스템에 의해 유지되는 환자 데이터 세트의 검사 주문들의 세트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 업데이트 섹션을 포함하고, 기기 데이터 세트는 환자와 관련된 검사 결과들을 포함하고, 이력 데이터 세트는 환자와 관련된 전기 및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피검사자에 대한 바이러스(예를 들어, 코로나19 등)의 감염 여부를 선별 검사할 시에, 검사자와 피검사자 간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피검사자가 차량에 탑승한 채로 선별 검사하도록 하는 드라이브 드루 시스템(drive through system)을 이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이런 경우에도 검사자와 피검사자 간의 접촉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검사자를 거친 피검사자들 간 크로스 감염(cross-infection)도 존재하고 있으며, 또한 검사자가 착용한 보호피복(protective clothing)에 의해서 감염될 수도 있으며, 이에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마다 보호피복을 교체할 수도 있으나 이것도 짧은 시간 내에 보호피복 교체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아웃브레이크 상태(outbreak situation)에서는 보호피복도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10424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2031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검사자와 피검사자 간의 직접적인 접촉 없이 피검사자에 대한 바이러스(예를 들어, 코로나19 등)의 감염 여부를 선별 검사할 수 있도록 구현한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검사자가 입실하는 검사자실과, 피검사자가 입실하는 피검사자실을 포함하되, 상기 검사자실은, 상기 피검사자실과 서로 접하면서 밀폐 분리 형성되어, 상기 피검사자실로부터 피검사자의 시료를 채취하여 수집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검사자실은, 상기 피검사자실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검사자와 피검사자 간에 서로 볼 수 있도록 해 주기 위한 투명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검사자실은, 상기 투명창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필요시에 상기 투명창을 가리도록 해 주기 위한 블라인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검사자실은, 상기 투명창에 형성된 두 개의 관통공과 밀폐 설치되고 상기 투명창에서 상기 피검사자실 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검사자의 손이 각각 삽입되어 피검사자의 시료를 핸들링하도록 해 주기 위한 두 개의 바이러스 핸들링 글로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검사자실은, 벽면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내부의 공기를 청정시켜 청정 공기를 내부에 공급해 주기 위한 공기 청정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검사자실은, 소독제분사명령을 발생시켜 상기 피검사자실로 전달해 주기 위한 소독제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독제스위치는, 발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검사자실은, 살균명령을 발생시켜 상기 피검사자실로 전달해 주기 위한 살균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살균스위치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구동되도록 살균명령을 발생시켜 주기 위한 타임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검사자실은, 벽면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내부의 공기를 보조적으로 청정시켜 청정 공기를 내부에 공급해 주기 위한 보조 공기 청정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검사자실은, 검사자와 피검사자 간의 통화를 수행해 주기 위한 송수화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검사자실은, 내부의 압력을 외부의 압력보다 높은 양압을 유지시켜 주기 위한 양압 유지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양압 유지 장치는, 외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외부압력센서;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내부압력센서; 상기 외부압력센서에서 측정한 압력과 상기 내부압력센서에서 측정한 내부 압력을 비교하여 기 설정된 양압을 유지하기 위한 양압제어명령을 발생시키는 양압제어기; 및 상기 양압제어기에서 발생시킨 양압제어명령에 따라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공급하거나 중단하는 공기흡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검사자실은, 피검사자의 시료가 채취되어 상기 검사자실 측으로 수집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검사자실은, 상기 투명창의 양측에 각각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투명창의 양측에서 각각 중앙으로 이동하여 상기 투명창 및 상기 바이러스 핸들링 글로브를 덮어 소독 및 살균을 진행하도록 하기 위한 두 개의 소독 챔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검사자실은, 상기 투명창의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소독 챔버를 각각 상기 투명창의 양측에서 중앙으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복수 개의 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검사자실은, 상기 소독 챔버의 내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레일과 각각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소독 챔버를 슬라이딩시켜 주기 위한 복수 개의 슬라이딩 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검사자실은, 상기 소독 챔버의 외면에 고정 설치되어, 현재 방역 중임을 표시해 주기 위한 방역 표시기; 및 상기 소독 챔버의 외면에 고정 설치되어, 현재 방역이 완료되어 시스템 사용 가능함을 표시해 주기 위한 방역완료 표시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검사자실은, 상기 투명창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고정 설치되어, 소독제를 저장하고 있다가, 기 설정된 양을 상기 피검사자실 내부로 분사시켜 소독해 주기 위한 소독제 분사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검사자실은, 상기 소독 챔버의 내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살균광을 발생시켜 상기 피검사자실 내부를 살균해 주기 위한 두 개의 살균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살균기는, 상기 소독 챔버가 없는 경우에, 상기 투명창의 양측 또는 상측 또는 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검사자실은, 검사자와 피검사자 간의 통화를 수행해 주기 위한 송수화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검사자실은, 상기 유리창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피검사자의 시료를 채취할 시에 시료병 홀더를 올려 놓아주기 위한 선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검사자실은, 상기 선반에 형성된 시료 투입구와 외부의 시료 컨테이너 간을 서로 연결 형성하여, 상기 시료 투입구로 투입되는 시료병 홀더를 상기 시료 컨테이너로 운반해 주기 위한 시료 수집 덕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검사자실은, 상기 선반에 형성된 쓰레기 투입구와 연결 형성되고 상기 선반의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밀폐 형성되어, 상기 쓰레기 투입구로 투입되는 감염 쓰레기를 수집하여 저장해 주기 위한 감염 쓰레기 저장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은, 상기 검사자실과 상기 피검사자실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구동을 자동적으로 제어해 주기 위한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장치는, 소독제분사명령과 살균명령을 발생시켜 상기 피검사자실로 전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시스템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 설정해 저장해 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소독제분사명령을 발생시켜 상기 소독제 분사기로 전달하며, 살균명령을 발생시켜 상기 살균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장치는, 피검사자가 상기 피검사자실의 입구문 또는 출구문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통보하는 피검사자감지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시킨 입실명령에 따라 입구문을 개방시킨 후에 피검사자가 입실하면 입구문을 폐쇄시키며,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시킨 퇴실명령에 따라 출구문을 개방시킨 후에 피검사자가 퇴실하면 출구문을 폐쇄시키는 출입문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검사자감지부에서 통보한 입구문 감지에 따라 입실명령을 발생시키며, 상기 피검사자감지부에서 통보한 출구문 감지에 따라 퇴실명령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피검사자가 퇴실한 후에, 소독제분사명령을 발생시켜 상기 소독제 분사기로 전달하고 살균명령을 발생시켜 상기 살균기로 전달하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입실명령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피검사자가 입실한 후에, 블라인드오픈명령을 발생시켜 상기 블라인드에 전달하며, 피검사자가 퇴실한 후에, 블라인드클로즈명령을 발생시켜 상기 블라인드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피검사자가 입실한 후에, 챔버오픈명령을 발생시켜 상기 소독 챔버에 전달하며, 피검사자가 퇴실한 후에, 챔버클로즈명령을 발생시켜 상기 소독 챔버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소독제분사명령과 살균명령을 발생시킨 후에, 방역표시온명령을 상기 방역 표시기에 전달하며, 기 설정된 시간 후에 방역완료표시온명령을 상기 방역완료 표시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검사자실의 내부 공기질을 감시하여 기 설정된 표준 공기질보다 낮은 경우에 공기질 나쁨을 상기 제어부에 통보하기 위한 환경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센서부에서 통보한 공기질 나쁨에 따라 청정명령을 발생시켜 상기 공기 청정기 또는 상기 보조 공기 청정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검사자와 피검사자 간의 직접적인 접촉 없이 피검사자에 대한 바이러스(예를 들어, 코로나19 등)의 감염 여부를 선별 검사할 수 있도록 구현한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피검사자에 대한 바이러스의 감염 여부를 선별 검사할 시에, 검사자와 피검사자 간의 접촉이 완전히 차단되어, 검사자를 거친 피검사자들 간 크로스 감염(cross-infection)도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검사자가 착용한 보호피복(protective clothing)에 의해서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마다 보호피복을 교체할 필요가 없으며, 아웃브레이크 상태(outbreak situation)에서도 보호피복의 여유가 있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검사자실을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피검사자실을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소독 챔버의 내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있는 소독 챔버의 닫힌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제어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있는 검사자실을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있는 피검사자실을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있는 소독 챔버의 내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3에 있는 소독 챔버의 닫힌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1000)은, 검사자실(100), 피검사자실(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검사자실(100)과 피검사자실(200)은 서로 접하게 설치되되, 서로 밀폐 분리 형성되어, 검사자와 피검사자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수행할 기회가 없도록 할 수 있다.
검사자실(100)은, 피검사자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자가 입실하는 곳으로, 피검사자실(200)로부터 피검사자의 시료(Specimen)를 채취하여 수집(collecting)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검사자실(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창(110)을 구비할 수 있다. 투명창(110)은, 검사자실(100)과 피검사자실(200) 사이(즉, 검사자실(100)과 피검사자실(200)이 서로 접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검사자와 피검사자 간에 서로 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검사자실(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블라인드(120)는, 투명창(1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필요시에 투명창(110)을 가리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검사자실(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바이러스 핸들링 글로브(virus handling glove)(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바이러스 핸들링 글로브(130)는, 투명창(110)에 형성된 두 개의 관통공과 밀폐 설치되고 투명창(110)에서 피검사자실(200) 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검사자의 손이 각각 삽입되어 피검사자의 시료를 핸들링하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검사자실(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청정기(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공기 청정기(140)는, 벽면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내부의 공기를 청정시켜 청정 공기를 내부에 공급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공기 청정기(140)는, 예를 들어 UVC 공기 청정기(air cleaner) 등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검사자실(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독제스위치(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소독제스위치(150)는, 소독제를 피검사자실(200)의 내부로 분사시키도록 소독제 분사기(220)에 제어 명령하기 위한 소독제분사명령을 발생시켜 피검사자실(200)로 전달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소독제스위치(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독제를 분사하고자 할 때에 검사자가 발로 밟으면 소독제분사명령을 발생시켜 소독제 분사기(220)로 전달하기 위한 발 스위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검사자실(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스위치(1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살균스위치(160)는, 살균광을 소독 챔버(210)의 내부에 조사시키도록 살균기(230)에 제어 명령하기 위한 살균명령을 발생시켜 피검사자실(200)로 전달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살균스위치(160)는, 살균광을 조사하고자 할 때에 검사자가 한 번의 터치로 살균기(230)가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5분) 동안 구동되도록 살균명령을 발생시켜 살균기(230)로 전달하기 위한 타임스위치(time switch)일 수 있으며, 이에 시스템 소독 시간(system disinfecting time)을 선별 검사 당 최소 3분 이내에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검사자실(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공기 청정기(1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보조 공기 청정기(170)는, 벽면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내부의 공기를 보조적으로 청정시켜 청정 공기를 내부에 공급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 공기 청정기(170)는, 예를 들어 헤파(hepa), ULPA 등의 필터(filter)를 사용하는 공기 청정기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검사자실(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화기(1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송수화기(180)는, 검사자와 피검사자 간의 통화를 수행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송수화기(180)는, 투 웨이 마이크폰/스피커 장치(two way microphone and speaker) 등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검사자실(100)은, 내부의 압력을 외부의 압력보다 높은 양압을 유지시켜 주기 위한 양압 유지 장치(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양압 유지 장치는, 외부압력센서, 내부압력센서, 양압제어기, 공기흡입기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압력센서는, 외부의 압력을 측정하고, 해당 측정한 외부 압력을 양압제어기로 전달해 준다.
내부압력센서는,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고, 해당 측정한 내부 압력을 양압제어기로 전달해 준다.
양압제어기는, 외부압력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외부 압력과 내부압력센서로부터 전달되는 내부 압력의 차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양압을 유지하기 위한 양압제어명령을 발생시켜 해당 발생시킨 양압제어명령을 공기흡입기로 전달해 준다.
공기흡입기는, 양압제어기로부터 전달되는 양압제어명령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공급하거나 중단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공기흡입기는, 보조 공기 청정기(170)일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청정시켜 실내로 공급해 줄 수 있다.
피검사자실(200)은, 검사자에게 검사를 받기 위한 피검사자가 입실하는 곳으로, 피검사자의 시료가 채취되어 검사자실(100) 측으로 수집되어진다.
일 실시 예에서, 피검사자실(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소독 챔버(disinfecting chamber)(210)를 구비할 수 있다. 소독 챔버(210)는, 투명창(110)의 양측에 각각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투명창(110)의 양측에서 각각 중앙으로 이동하여 투명창(110) 및 바이러스 핸들링 글로브(130)를 덮어 소독 및 살균을 진행하도록 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피검사자실(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레일(21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레일(211)은, 투명창(110)의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소독 챔버(210)를 각각 투명창(110)의 양측에서 중앙으로 이동시켜 준다. 이에 소독 챔버(210)는, 복수 개의 레일(211)을 따라 이동하여 투명창(110) 및 바이러스 핸들링 글로브(130)를 덮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피검사자실(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슬라이딩 베어링(sliding bearing)(21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딩 베어링(212)은, 소독 챔버(210)의 내면에 고정 설치되고 레일(211)과 각각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레일(211)을 따라 소독 챔버(210)를 슬라이딩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피검사자실(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역 표시기(213), 방역완료 표시기(2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방역 표시기(213)는, LED 등일 수 있으며, 소독 챔버(210)의 외면에 고정 설치되어, 현재 방역 중임(즉, 소독제 분사기(220) 및 살균기(230)가 구동하고 있음)을 표시해 준다.
방역완료 표시기(214)는, LED 등일 수 있으며, 소독 챔버(210)의 외면에 고정 설치되어, 현재 방역이 완료되어 시스템 사용 가능함을 표시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피검사자실(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독제 분사기(2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소독제 분사기(220)는, 투명창(110)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고정 설치되어, 소독제를 저장하고 있다가, 기 설정된 양을 피검사자실(200) 내부로 분사시켜 소독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소독제 분사기(220)는, 예를 들어 알코올(alcohol), 에탄올(ethanol) 등의 분사기일 수 있으며, 소독제스위치(150)로부터 소독제분사명령을 전달받아 소독제를 분사시켜 줄 수 있으며, 이에 투명창(110) 및 바이러스 핸들링 글로브(130)를 소독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피검사자실(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살균기(2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살균기(230)는, 소독 챔버(210)의 내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살균광을 발생시켜 피검사자실(200) 내부를 살균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살균기(230)는, UV 램프, UVC 254nm 램프, 엑스레이 빔(X-ray beam)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살균스위치(160)로부터 살균명령을 전달받아 살균광을 발생시켜 소독 챔버(210)의 내부에 조사해 줄 수 있으며, 이에 투명창(110) 및 바이러스 핸들링 글로브(130)를 살균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살균기(230)는, 소독 챔버(210)가 없는 경우에, 투명창(110)의 양측 또는 상측(또는, 하측)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검사자실(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화기(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송수화기(240)는, 검사자와 피검사자 간의 통화를 수행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송수화기(240)는, 투 웨이 마이크폰/스피커 장치 등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검사자실(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2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선반(250)은, 유리창(11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피검사자의 시료를 채취할 시에 시료병 홀더(specimen bottle holder)(251)를 올려 놓아준다.
일 실시 예에서, 검사자실(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 수집 덕트(specimen collecting duct)(2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시료 수집 덕트(260)는, 선반(250)에 형성된 시료 투입구(252)와 외부의 시료 컨테이너(specimen container) 간을 서로 연결 형성하여, 시료 투입구(252)로 투입되는 시료병 홀더(251)를 외부의 시료 컨테이너로 운반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검사자실(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염 쓰레기 저장통(infectious trash bins)(27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감염 쓰레기 저장통(270)은, 선반(250)에 형성된 쓰레기 투입구(253)와 연결 형성되고 선반(250)의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밀폐 형성되어, 쓰레기 투입구(253)로 투입되는 감염 쓰레기를 수집하여 저장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1000)은, 검사자실(100) 내로 입실한 검사자와 피검사자실(200) 내로 입실한 피검사자 간의 직접적인 접촉 없이 피검사자에 대한 바이러스(예를 들어, 코로나19 등)의 감염 여부를 선별 검사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피검사자에 대한 바이러스의 감염 여부를 선별 검사할 시에, 검사자와 피검사자 간의 접촉이 완전히 차단되어, 검사자를 거친 피검사자들 간 크로스 감염(cross-infection)도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검사자가 착용한 보호피복(protective clothing)에 의해서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마다 보호피복을 교체할 필요가 없으며, 아웃브레이크 상태(outbreak situation)에서도 보호피복의 여유가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10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자실(100) 내부나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어, 검사자실(100)과 피검사자실(200)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구동을 자동적으로 제어해 주기 위한 제어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제어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장치(300)는, 제어부(301), 메모리부(302)를 포함한다.
제어부(301)는, 소독제를 피검사자실(200)의 내부로 분사시키도록 소독제 분사기(220)에 제어 명령하기 위한 소독제분사명령과, 살균광을 소독 챔버(210)의 내부에 조사시키도록 살균기(230)에 제어 명령하기 위한 살균명령을 발생시켜 피검사자실(200)로 전달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301)는, 소독제분사명령을 발생시켜 소독제 분사기(220)로 전달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살균기(230)가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5분) 동안 구동되도록 살균명령을 발생시켜 살균기(230)로 전달해 줄 수 있다.
메모리부(302)는, 제어부(301)의 시스템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 내지 데이터를 기 설정해 저장해 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제어장치(300)는, 피검사자감지부(303), 출입문구동부(3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1)는, 피검사자감지부(303)로부터 통보되는 입구문 감지에 따라 입실명령을 발생시켜 출입문구동부(304)에 전달해 줄 수 있으며, 또한 피검사자감지부(303)로부터 통보되는 출구문 감지에 따라 퇴실명령을 발생시켜 출입문구동부(304)에 전달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301)는, 퇴실명령을 발생시켜 출입문구동부(304)에 전달하여 피검사자가 퇴실한 후에, 소독제분사명령을 발생시켜 소독제 분사기(220)로 전달하고 살균명령을 발생시켜 살균기(230)로 전달해 줄 수 있으며, 그런 다음에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분)이 경과한 후에 입실명령을 발생시켜 출입문구동부(304)에 전달하여 피검사자가 입실하도록 해 줄 수 있으며, 이에 한 번에 한 명의 피검사자가 피검사자실(200)에 출입하여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선별 검사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301)는, 입실명령을 발생시켜 출입문구동부(304)에 전달하여 피검사자가 입실한 후에, 블라인드오픈명령을 발생시켜 블라인드(120)(전동 블라인드의 경우)에 전달하여 블라인드(120)가 투명창(110)을 오픈하도록 해 줄 수 있으며, 또한 퇴실명령을 발생시켜 출입문구동부(304)에 전달하여 피검사자가 퇴실한 후에, 블라인드클로즈명령을 발생시켜 블라인드(120)에 전달하여 블라인드(120)가 투명창(110)을 가리도록 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301)는, 입실명령을 발생시켜 출입문구동부(304)에 전달하여 피검사자가 입실한 후에, 챔버오픈명령을 발생시켜 소독 챔버(210)(전동 구동이 가능한 소독 챔버의 경우)에 전달하여 소독 챔버(210)가 중앙에서 투명창(110)의 양측으로 이동해서 오픈하도록 해 줄 수 있으며, 또한 퇴실명령을 발생시켜 출입문구동부(304)에 전달하여 피검사자가 퇴실한 후에, 챔버클로즈명령을 발생시켜 소독 챔버(210)에 전달하여 소독 챔버(210)가 투명창(110)의 양측에서 각각 중앙으로 이동하여 투명창(110) 및 바이러스 핸들링 글로브(130)를 덮어 소독 및 살균을 진행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301)는, 소독제분사명령을 발생시켜 소독제 분사기(220)로 전달하고 살균명령을 발생시켜 살균기(230)로 전달한 후에, 방역표시온명령을 방역 표시기(213)에 전달하여 현재 방역 중임(즉, 소독제 분사기(220) 및 살균기(230)가 구동하고 있음)을 표시해 줄 수 있으며, 또한 방역 시작 후 기 설정된 시간 후에 방역완료표시온명령을 방역완료 표시기(214)에 전달하여 현재 방역이 완료되어 시스템 사용 가능함을 표시해 줄 수도 있다.
피검사자감지부(303)는, 피검사자가 피검사자실(200)의 입구문 또는 출구문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해당 입구문 감지 또는 출구문 감지를 제어부(301)에 통보해 준다.
출입문구동부(304)는, 제어부(301)로부터 전달되는 입실명령에 따라 입구문을 개방시킨 후에 피검사자가 입실하면 입구문을 폐쇄시키며, 또한 제어부(301)로부터 전달되는 퇴실명령에 따라 출구문을 개방시킨 후에 피검사자가 퇴실하면 출구문을 폐쇄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제어장치(300)는, 환경센서부(3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환경센서부(305)는, 예를 들어 공기 질 감지 센서, 미세먼지 농도 감지 센서, 유해가스(CO2, VOC, HCHO, CO, 라돈 등) 농도 감지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해당 센서들을 이용하여 검사자실(100)의 내부 공기질을 감시하여 해당 감시한 공기질이 기 설정된 표준 공기질보다 낮은 경우에 공기질 나쁨을 제어부(301)에 통보해 준다.
제어부(301)는, 환경센서부(305)로부터 통보되는 공기질 나쁨에 따라 청정명령을 발생시켜 공기 청정기(140) 또는 보조 공기 청정기(170)에 전달하여 공기 청정기(140) 또는 보조 공기 청정기(170)로 하여금 검사자실(100) 내부의 공기를 청정시켜 청정 공기를 내부에 공급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0: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
100: 검사자실
110: 투명창
120: 블라인드
130: 바이러스 핸들링 글로브
140: 공기 청정기
150: 소독제스위치
160: 살균스위치
170: 보조 공기 청정기
180: 송수화기
200: 피검사자실
210: 소독 챔버
211: 레일
212: 슬라이딩 베어링
213: 방역 표시기
214: 방역완료 표시기
220: 소독제 분사기
230: 살균기
240: 송수화기
250: 선반
251: 시료병 홀더
252: 시료 투입구
253: 쓰레기 투입구
260: 시료 수집 덕트
270: 감염 쓰레기 저장통
300: 제어장치
301: 제어부
302: 메모리부
303: 피검사자감지부
304: 출입문구동부
305: 환경센서부

Claims (5)

  1. 검사자가 입실하는 검사자실과, 피검사자가 입실하는 피검사자실을 포함하되, 상기 검사자실은, 상기 피검사자실과 서로 접하면서 밀폐 분리 형성되어, 상기 피검사자실로부터 피검사자의 시료를 채취하여 수집해 주며; 상기 검사자실은, 내부의 압력을 외부의 압력보다 높은 양압을 유지시켜 주기 위한 양압 유지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양압 유지 장치는, 외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외부압력센서;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내부압력센서; 상기 외부압력센서에서 측정한 압력과 상기 내부압력센서에서 측정한 내부 압력을 비교하여 기 설정된 양압을 유지하기 위한 양압제어명령을 발생시키는 양압제어기; 및 상기 양압제어기에서 발생시킨 양압제어명령에 따라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공급하거나 중단하는 공기흡입기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자실은, 상기 피검사자실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검사자와 피검사자 간에 서로 볼 수 있도록 해 주기 위한 투명창; 상기 투명창에 형성된 두 개의 관통공과 밀폐 설치되고 상기 투명창에서 상기 피검사자실 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검사자의 손이 각각 삽입되어 피검사자의 시료를 핸들링하도록 해 주기 위한 두 개의 바이러스 핸들링 글로브를 구비하며;
    상기 피검사자실은, 상기 투명창의 양측에 각각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투명창의 양측에서 각각 중앙으로 이동하여 상기 투명창 및 상기 바이러스 핸들링 글로브를 덮어 소독 및 살균을 진행하도록 하기 위한 두 개의 소독 챔버; 상기 투명창의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소독 챔버를 각각 상기 투명창의 양측에서 중앙으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복수 개의 레일; 및 상기 소독 챔버의 내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레일과 각각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소독 챔버를 슬라이딩시켜 주기 위한 복수 개의 슬라이딩 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자실은,
    상기 투명창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필요시에 상기 투명창을 가리도록 해 주기 위한 블라인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자실은,
    벽면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내부의 공기를 청정시켜 청정 공기를 내부에 공급해 주기 위한 공기 청정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
KR1020200048436A 2020-04-22 2020-04-22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 KR102256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436A KR102256382B1 (ko) 2020-04-22 2020-04-22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436A KR102256382B1 (ko) 2020-04-22 2020-04-22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6382B1 true KR102256382B1 (ko) 2021-05-25

Family

ID=76145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436A KR102256382B1 (ko) 2020-04-22 2020-04-22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38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000A (ja) * 1991-05-08 1994-02-01 Kawaju Bosai Kogyo Kk 無菌ベッド装置
JPH09222247A (ja) * 1996-02-16 1997-08-26 Sanki Eng Co Ltd 無菌治療室ユニット
KR101649600B1 (ko) * 2015-12-31 2016-08-19 주식회사 엠케이엘 이동형 음압격리병동 시스템
KR101810424B1 (ko) 2017-03-02 2017-12-19 신진메딕스(주) 검사실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20180093679A (ko) * 2017-02-14 2018-08-22 (주)이에스 병실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90120318A (ko) 2017-02-28 2019-10-23 베크만 컬터, 인코포레이티드 상호 운용 질병 관리 시스템
CN210370055U (zh) * 2020-03-10 2020-04-21 北京中医药大学深圳医院(龙岗) 采样隔离防护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000A (ja) * 1991-05-08 1994-02-01 Kawaju Bosai Kogyo Kk 無菌ベッド装置
JPH09222247A (ja) * 1996-02-16 1997-08-26 Sanki Eng Co Ltd 無菌治療室ユニット
KR101649600B1 (ko) * 2015-12-31 2016-08-19 주식회사 엠케이엘 이동형 음압격리병동 시스템
KR20180093679A (ko) * 2017-02-14 2018-08-22 (주)이에스 병실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90120318A (ko) 2017-02-28 2019-10-23 베크만 컬터, 인코포레이티드 상호 운용 질병 관리 시스템
KR101810424B1 (ko) 2017-03-02 2017-12-19 신진메딕스(주) 검사실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CN210370055U (zh) * 2020-03-10 2020-04-21 北京中医药大学深圳医院(龙岗) 采样隔离防护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101B1 (ko) 음압 격리실을 갖춘 진료 장치
US10350588B2 (en) Clean air apparatus
JPH0448267A (ja) 自動分析装置
CN113230425B (zh) 能够提供容器中的被灭菌手术器械是否被正确灭菌的提示的灭菌容器
US10675369B1 (en) Rotating object holder for multi-function sanitization,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in a cabinet
CN111265683A (zh) 一种具备检测消毒功能的通道及检测消毒方法
CN111513744A (zh) 医疗扫描装置、控制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KR20220027339A (ko) 감염 방지용 비접촉 바이러스 채취 및 무인 객담 채취 부스
KR102256382B1 (ko)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
US9949713B2 (en) System for monitoring cleaning efforts of care givers using stethoscopes
US10716871B1 (en) Rotating object holder for multi-function sanitization,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in a cabinet
CN112816241A (zh) 移动式采样检测站
CN112245177A (zh) 一种医疗舱
CN208465956U (zh) 一种检验医学专用试管储存装置
KR102464282B1 (ko) 스마트 음압 선별 진료소 살균 및 소독 시스템
US10524876B2 (en) System for monitoring cleaning efforts of caregivers using stethoscopes
KR102171543B1 (ko) 인공 지능 치료 부스
CN213607734U (zh) 一种医疗舱
US20230213540A1 (en) Testing system
KR102482380B1 (ko) 감염병 호흡기 질환 클리닉 시스템 및 감염병 호흡기 질환 클리닉 방법
CN220070248U (zh) 一种内镜清洗消毒系统
KR20220078883A (ko) 이동식 의료 수단과 이를 이용한 이동식 의료 시스템
JP3651845B2 (ja) 自動蓄尿検査装置
CN112315703B (zh) 基于云服务器追溯系统的新冠肺炎病人护理系统
KR102557700B1 (ko) 차량용 이동식 바이러스 검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