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543B1 - 인공 지능 치료 부스 - Google Patents

인공 지능 치료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543B1
KR102171543B1 KR1020200058407A KR20200058407A KR102171543B1 KR 102171543 B1 KR102171543 B1 KR 102171543B1 KR 1020200058407 A KR1020200058407 A KR 1020200058407A KR 20200058407 A KR20200058407 A KR 20200058407A KR 102171543 B1 KR102171543 B1 KR 102171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h
user
disease
artificial intelligenc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용일
김본수
Original Assignee
남용일
김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용일, 김본수 filed Critical 남용일
Priority to KR1020200058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A61G10/023Room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at over- or under-pressure or at a variabl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24F2011/000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to create overpressure in a ro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24F2011/0005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to create underpressure in a room, keeping contamination ins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 지능으로 자동 제어하여 질병을 조사하여 치료할 수 있는 인공 지능 치료 부스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조립부스로 입실하는 이용자의 기초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단계와 입력단계 후, 이용자의 질병정보를 기입하는 기입단계와 기입단계 후, 이용자를 검사하는 검사단계와 검사단계 후, 이용자의 질병 시료를 채취하는 채취단계와 채취단계 후, 이용자의 질병 정보를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단계와 전송단계 후, 메인서버에서 상기 조립부스를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인공 지능 치료 부스{Artificial Intelligence Treatment Booth}
본 발명은 인공 지능으로 자동 제어하여 질병을 조사하여 치료할 수 있는 인공 지능 치료 부스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설치된 공간의 지속적인 양압 또는 음압을 개별적으로 유지시키는 비례식 댐퍼 액츄에이터; 양압 정보 또는 음압 정보를 표시하는 차압(differential pressure) 공조 모니터링장치; 수술실, 양압 격리 병실 또는 음압 격리 병실 내에 설치되어 해당 공간의 공조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비례식 댐퍼 액츄에이터의 상태를 감시하거나 작동을 제어하는 로컬 관제 장치; 및 수술 통제실 또는 간호사실 내에 설치되어 수술실, 양압 격리 병실 또는 음압 격리 병실의 공조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비례식 댐퍼 액츄에이터들 각각의 상태를 원격 감시하거나 각각의 작동을 원격 제어하는 중앙 관제 장치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전염병 감염자나 또는 의심자 등을 격리시키면서 진료할 수 있으며 에어텐트 구조를 통해 이동과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에어텐트를 이용한 가설 음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에어텐트를 이용한 가설 음압 장치는 이중막 또는 에어빔 구조로 내부에 에어가 주입되며 일측에 출입구가 구성되고 음압이 형성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에어텐트본체; 상기 에어텐트본체에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주입부; 및 상기 에어텐트본체의 내부공간에 연결되어 음압이 형성 및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음압모듈;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병원에서의 환경 제어 방법으로서, 시간당 제1 환기 속도(rate of air change)로 상기 병원의 병실에 대한 환기 시스템(ventilation system)을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병원의 상기 병실에서 입실자(occupant)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 환자인 상기 입실자와 다른 유형의 입실자를 구분하는 단계; 상기 환자에 대한 환자 유형을 판정하는 단계; 상기 입실자의 존재 및 상기 입실자가 환자인 것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속도가 제2 속도로 변경되도록 상기 병실에 대한 상기 환기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 상기 제2 속도는 상기 환자 유형에 기초함 -; 상기 환자가 더 이상 상기 병실에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가 더 이상 상기 병실에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속도가 상기 제1 속도로 변경되도록 상기 병실에 대한 상기 환기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전후면에 각각 형성된 출입구에 자동 잠금 기능을 구비한 자동문이 각각 설치된 상태를 갖고 병원의 응급실 입구에 설치되는 사각 함체 형상의 부스와; 열 화상 카메라가 부스의 출구 측에서 입구 측을 향해 설치되어 입구를 통해 부스 내부로 들어온 응급환자들의 체온을 감지하여 제어반으로 전달하는 열 화상 감지장치와; 상기 부스의 일측면 전방 저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열 화상 감지장치의 작동시 제어반의 제어를 받아 외부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자외선(UV) 살균시킨 후 환자가 있는 부스 내 타측면 측을 향해 불어주는 클린 급기 쿨러장치와; 상기 부스의 타측면 후방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열화상 감지장치의 작동시 제어반의 제어를 받아 부스 내의 공기 압력을 외부보다 낮게 만들어 주어 부스 내 공기가 항상 클린 급기 쿨러장치가 설치된 일측면에서 환자가 있는 타측면 측으로만 흐르도록 해 줌은 물론 헤파 필터를 통해 미세입자의 먼지나 부스 내 공기 중에 존재하는 각종 병원균을 포함한 세균을 제거하여 부스 내 오염을 방지하고 각종 병원균을 포함한 세균을 자외선(UV) 살균시켜 주는 클린 음압장치와; 상기 부스의 타측면 후방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반의 제어를 받아 상기 클린 음압장치를 통해 필터링되고 살균된 부스 내부 공기를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시켜 주는 클린 배기 쿨러장치와;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스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스 내부를 통과하는 응급환자 중 열 화상 감지장치를 통해 검출되는 체온이 감염증 의심 환자로 판단될 경우 출입구에 설치된 자동문을 강제로 닫아 해당 감염증 의심 환자를 부스 내에 격리시킴과 동시에 의료진 및 외부에 자동 통보하여 줌은 물론 감염방지에 필요한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반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1925554 B1 (2018년11월29일) KR 10-2014213 B1 (2019년08월20일) KR 10-2014-0069306 A (2014년06월09일) KR 10-1575233 B1 (2015년12월01일)
본 발명은 인공 지능으로 자동 제어하여 질병을 조사하여 치료할 수 있는 인공 지능 치료 부스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인공 지능 치료 부스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복수의 판넬로 조립되는 조립부스(100);, 상기 조립부스(100)에 형성되며, 압력 및 온도를 제어하는 설비장치(200); 상기 조립부스(100)에 형성되며, 이용자의 질병을 검사 및 치료하는 검사장치(300); 상기 조립부스(100)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설비장치(200) 및 상기 검사장치(300)를 제어하는 메인서버(400); 상기 메인서버(400)는 인공 지능으로 상기 조립부스(100)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인공 지능 치료 부스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상기 메인서버(400)에 제어되며, 상기 설비장치(200) 및 상기 검사장치(300)를 각각 제어하는 개별서버(41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조립부스(100)로 입실하는 이용자의 기초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단계(S1100); 상기 입력단계(S1100) 후, 이용자의 질병정보를 기입하는 기입단계(S1200); 상기 기입단계(S1200) 후, 이용자를 검사하는 검사단계(S1300); 상기 검사단계(S1300) 후, 이용자의 질병 시료를 채취하는 채취단계(S1400); 상기 채취단계(S1400) 후, 이용자의 질병 정보를 메인서버(400)로 전송하는 전송단계(S1500); 상기 전송단계(S1500) 후, 메인서버(400)에서 상기 조립부스(100)를 제어하는 제어단계(S16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상기 입력단계(S1100) 중, 이용자의 기초정보를 출입시 입력하는 출입단계(S1110);
상기 출입단계(S1110) 후, 이용자의 신체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단계(S11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상기 기입단계(S1200) 중, 이용자의 질병정보를 체크하는 체크단계(S1210); 상기 체크단계(S1210) 후, 이용자의 질병정보로 상기 검사단계(S1300)와 상기 채취단계(S1400)의 검사방법을 결정하는 결정단계(S12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상기 검사단계(S1300) 중, 이용자가 진입하는 진입단계(S1310); 상기 진입단계(S1310) 후, 이용자를 X-레이, 초음파 중 선택된 하나로 촬영하는 촬영단계(S13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상기 채취단계(S1400)에 형성되며, 이용자의 세포, 혈액, DNA 중 적어도 하나를 채취하는 것;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상기 제어단계(S1600) 전, 상기 메인서버(400)는 질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계(S1610); 상기 저장단계(S1610) 후, 저장된 질병 정보를 분류하는 분류단계(S1620); 상기 분류단계(S1620) 후, 이용자의 질병을 분석하는 분석단계(S1630); 상기 분석단계(S1630) 후, 질병의 처방전을 판단하는 처방단계(S164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실내 및 실외에 설치되어 음압 및 양압의 병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질병 조사에 따른 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용자가 직접 정보를 기입함에 따라 정확한 질병 예측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질병의 발병 횟수가 정확히 판단되므로 위험정도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질병의 종류 및 이용자의 상태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용자의 검사 및 시료 채취가 진행됨에 따라 정확한 조치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공지능으로 설비를 제어하므로 안전하게 질병조사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질병 시료를 채취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입력단계 및 기입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검사단계 및 채취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어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인공 지능 치료 부스에 있어서, 복수의 판넬로 조립되는 조립부스(100); 상기 조립부스(100)에 형성되며, 압력 및 온도를 제어하는 설비장치(200); 상기 조립부스(100)에 형성되며, 이용자의 질병을 검사 및 치료하는 검사장치(300); 상기 조립부스(100)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설비장치(200) 및 상기 검사장치(300)를 제어하는 메인서버(400); 상기 메인서버(400)는 인공 지능으로 상기 조립부스(100)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스(100)는 EPS, FRP, 합성수지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설비장치(200)에 형성되며, 상기 조립부스(100)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장치(210); 상기 조립부스(100)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온습도조절기(220); 상기 조립부스(100)에 형성되며, 이용자를 식별하는 식별장치(230);를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는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장치(210)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211); 상기 유입부(211)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212); 상기 유입부(211) 및 상기 배출부(212)에 형성되며, 공기를 여과하는 여과필터(213);를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는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설비장치(200)에 형성되며, 상기 조립부스(100) 내부를 방역하는 방역장치(2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인공 지능 치료 부스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치료 부스는 질병이 의심되거나 질병 및 상해가 발생한 이용자의 질병을 조사하기 위하여 인공 지능으로 치료 부스의 음압 및 방역을 진행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료 부스는 음압 및 양압으로 형성되어 내부의 공기가 멸균되어 질병이 유입되거나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치료 부스는 병실에 압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일반 병실을 치료 부스로 변경하는 공사 및 비용이 발생한다. 이러한 치료 부스와 달리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는 건물 내에 조립부스(100)를 설치하여 조립부스(100)의 압력 및 온습도를 조절하여 멸균 상태로 형성하는 것이다. 이는 음압 병실을 간단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질병의 종류에 따라 상황에 맞게 치료 부스를 생성한다. 조립부스(100)는 EPS, FRP, 합성수지를 서로 조립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조립부스(100)는 병원의 병실에 설치되어 음압 및 멸균 상태의 치료실(341)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치과, 안과 등과 같이 노출된 환경에서 치료를 진행할 때 프라이버시 문제 및 세균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병실에 조립부스(10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멸균 및 음압 환경에서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다. 조립부스(100)에는 압력 및 온습도를 제어하는 설비장치(200)가 형성되며, 설비장치(200)는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장치(210)가 형성된다. 압력조절장치(210)는 유입부(211)와 배출부(212)가 각각 형성되어 유입되는 압력보다 배출되는 압력이 클 경우 음압병실이 형성되는 것으로 인공지능으로 압력계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된다. 그리고 유입부(211)와 배출부(212)에는 여과필터(213)가 형성되어 조립부스(100) 내부로 공기가 여과되어 유입되고 질병 등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여과되어 배출되는 것이다. 온습도조절기(220)는 온도계와 습도계가 설치되며, 히터와 가습기에 의하여 온습도가 조절된다. 그리고 조립부스(100)를 이용하는 이용자를 식별하는 식별장치(230)는 조립부스(100)에 설치되는 카메라와 조립부스(100) 내부에서 이용자의 심신을 안정시키는 영상장치(231)와 음향장치가 형성된다. 그리고 방역장치(240)는 조립부스(100) 내부 및 외부를 방역하는 것이며, 식별장치(230)에서 이용자의 유무를 판단하여 메인서버(400)에서 조립부스(100) 내부를 방역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비장치(200)는 메인서버(400)에서 자동으로 제어되는 것으로 이용자의 유무에 따라 조립부스(100) 내부의 방역, 압력조절, 이용자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는 병실 내부에 조립부스(100)를 인공 지능으로 자동 제어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1-6)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스(100)에 형성되며, 상기 조립부스(100)에 출입하는 이용자의 기초정보가 입력되는 출입부(310); 상기 검사장치(300)에 형성되며, 이용자를 검사하는 검사부(320); 상기 검사장치(300)에 형성되며, 이용자의 질병 시료를 채취하는 채취부(330);를 포함한다.
(실시예 1-7)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는 실시예 1-6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320)에서 검사한 이용자의 질병에 따라 치료를 진행하는 치료부(340);를 포함한다.
(실시예 1-8)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는 실시예 1-7에 있어서, 상기 치료부(340)는 상기 조립부스(100)에 형성되며, 이용자의 치료를 진행하는 치료실(34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검사장치(3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검사장치(300)는 조립부스(100) 내부에 형성되어 이용자가 조립부스(100) 내부를 이동함에 따라 질병을 검사 및 치료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립부스(100) 내부의 검사장치(300)는 조립부스(100)에 형성되는 출입부(310)에 이용자의 기초정보를 입력하고, 이용자의 기초정보에 따라 이용자를 검사한다. 그리고 질병의 종류 및 질병 유무를 판단하기 위하여 채취부(330)에서 질병 시료를 채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용자의 질병을 검사한 후 치료부(340)에서 이용자의 치료를 진행한다. 치료부(340)는 채취부(330)와 대체되어 형성되거나 질병 시료를 채취한 후 안과, 치과 등과 같이 수술실이 아닌 치료실에서 치료가 진행된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인공 지능 치료 부스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400)에 제어되며, 상기 설비장치(200) 및 상기 검사장치(300)를 각각 제어하는 개별서버(4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메인서버(4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메인서버(400)는 조립부스(10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태블릿, PC, 휴대용 단말기로 형성되어 설비장치(200) 및 검사장치(300)에 형성되는 개별서버(410)를 제어한다. 개별서버(410)는 조립부스(100)의 설비장치(200)에 형성되는 압력조절장치(210), 온습도조절기(220), 식별장치(230), 방역장치(240)와 검사장치(300)에 형성되는 출입부(310), 검사부(320), 채취부(330)에 각각 설치된다. 개별서버(410)는 설비장치(200)와 검사장치(300)를 각각 제어하는 것이며, 메인서버(400)와 통신하여 제어된다. 메인서버(400)는 조립부스(100) 내부의 센서에 의하여 압력, 온습도, 방역 여부를 판단하며, 압력이 낮거나 높을 경우 메인서버(400)는 자동으로 설비장치(200)를 가동시켜 조립부스(100)를 제어한다. 그리고 이용자의 식별을 판단하여 질병을 검사 및 채취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1의 조립부스(100)로 입실하는 이용자의 기초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단계(S1100); 상기 입력단계(S1100) 후, 이용자의 질병정보를 기입하는 기입단계(S1200); 상기 기입단계(S1200) 후, 이용자를 검사하는 검사단계(S1300); 상기 검사단계(S1300) 후, 이용자의 질병 시료를 채취하는 채취단계(S1400); 상기 채취단계(S1400) 후, 이용자의 질병 정보를 메인서버(400)로 전송하는 전송단계(S1500); 상기 전송단계(S1500) 후, 메인서버(400)에서 상기 조립부스(100)를 제어하는 제어단계(S160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채취단계 후, 이용자의 질병에 따라 치료를 진행하는 치료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계(S1100) 전, 이용자를 소독하는 소독단계(S1010);를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은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기초정보는 이용자의 성별, 나이, 주소, 직업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스(100)는 음압 및 양압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메인서버(400)에 의하여 인공 지능으로 제어되는 치료 부스를 이용자가 이동하며 질병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용자는 조립부스(100)를 이용하기 전 외부 오염을 없애기 위해 소독하는 소독단계(S1010)가 형성되며, 소독단계(S1010)는 소화가스 등에 의하여 진행된다. 이때, 소독단계(S1010)는 입력단계(S1100)의 출입단계(S1110)에서 이용자가 출입할 때 이용자를 소독할 수 있다. 입력단계(S1100)는 이용자의 기초정보를 입력하는 것이며, 기초정보는 이용자의 성별, 나이, 주소 등으로 형성된다. 입력단계(S1100)는 이용자가 조립부스(100)를 출입할 때 자동으로 입력되는 것이며, 입력단계(S1100) 후, 이용자가 직접 질병정보를 기입한다. 이용자가 기입한 정보에 의하여 검사방법이 정해지고, 검사단계(S1300)에서 이용자를 검사한다. 그리고 이용자가 질병에 걸렸는지 의심되면 질병 시료를 채취한다. 또한, 이용자의 검사 및 질병 시료를 채취한 후 안과, 치과 등과 같이 간단하게 이용자의 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 치료단계(S1410)는 채취단계(S1400)에서 시료를 채취하는 공간에 대체되어 형성되거나 조립부스(100)의 단부에 형성되어 의사에게 치료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용자의 질병이 조사되면 이용자의 정보가 메인서버(400)로 전송되고, 메인서버(400)는 질병 여부에 따라 다음 이용자를 위하여 조립부스(100)의 설비들을 제어하여 방역 및 압력을 조절한다.
따라서, 조립부스(100)는 이용자가 출입하여 배출되도록 양 단부에 도어가 형성되며, 이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질병을 조사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있어서, 상기 입력단계(S1100) 중, 이용자의 기초정보를 출입시 입력하는 출입단계(S1110); 상기 출입단계(S1110) 후, 이용자의 신체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단계(S112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출입단계(S1110) 전, 이용자의 출입장치에 기초정보를 설정하는 설정단계(S1020);를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은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S1020) 중, 상기 출입장치는 휴대용 단말기, 출입카드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출입단계(S1110) 중, 조립부스(100)의 입구에 형성되는 출입부(310)에 상기 출입장치는 적외선으로 통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출입부(310)와 상기 출입장치가 통신함에 따라 상기 출입장치에 설정된 기초정보가 전달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입력단계(S11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이용자가 조립부스(100)를 출입할 때 기초정보를 입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입력단계(S1100)는 출입단계(S1110) 전 이용자가 출입장치에 기초정보를 설정한다. 기초정보는 성별, 나이, 주소 등으로 형성되며, 휴대용 단말기, 출입다크 등의 출입장치에 사전에 설정한다. 출입장치를 조립부스(100) 도어에 설치되는 출입부(310)에 접촉시키면 적외선 통신으로 기초정보가 입력되는 것이다. 그리고 출입단계(S1110)에서 이용자가 출입하면 측정단계(S1120)에서 이용자의 몸무게, 키 등의 기초정보를 측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입력단계(S1100)는 이용자가 조립부스(100)를 출입할 때 출입부(310)에 출입장치를 접촉시킴에 따라 메인서버(400)로 이용자의 기초정보가 전달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4-6)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측정단계(S1120)는 상기 조립부스(100)의 입구에 형성되며, 이용자의 키, 체지방, 몸무게 중 선택된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장치;를 포함한다.
(실시예 4-7)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은 실시예 4-6에 있어서, 상기 측정장치는 입구의 문턱에 형성되는 체중계; 상기 체중계의 상부에 형성되어 이용자의 키를 측정하는 신장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측정단계(S1120)에 대한 것이며, 측정장치는 조립부스(100)의 입구에 소정의 폭으로형성되어 이용자의 키, 몸무게, 체지방 등을 측정한다. 측정장치는 몸무게를 측정하도록 입구의 하단에 형성되는 체중계와 이용자의 키를 측정하기 위하여 센서 및 접촉에 의하여 측정하는 신장계가 형성된다. 접촉에 의하여 이용자의 키를 측정할 때는 입구의 상단에서 하부로 하강하여 이용자의 머리 상단에 접촉하는 것이다. 그리고 입구에 체지방을 측정하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이용자가 손잡이를 잡으면 체지방이 측정되는 것이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있어서, 상기 기입단계(S1200) 중, 이용자의 질병정보를 체크하는 체크단계(S1210); 상기 체크단계(S1210) 후, 이용자의 질병정보로 상기 검사단계(S1300)와 상기 채취단계(S1400)의 검사방법을 결정하는 결정단계(S122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체크단계(S1210) 중, 이용자의 안정을 위하여 영상을 표출하는 표출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은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체크단계(S1210)는 이용자의 발병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은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체크단계(S1210)는 설문지, 태블릿, PC 중 선택된 하나로 이용자의 질병 정보를 체크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5)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S1220)는 상기 체크단계(S1210)에서 이용자의 질병 종류에 따라 검사방법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입단계(S12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기입단계(S1200)는 이용자의 질병정보를 기입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입단계(S1200)는 질병정보를 체크 및 기입하는 체크단계(S1210)가 형성되며, 체크단계(S1210)에서 체크된 이용자의 질병정보에 의하여 검사방법이 결정된다. 체크단계(S1210)에서 이용자의 질병의 상태, 발병정보, 이용자의 이상 상태 등을 체크할 때는 설문지, 태블릿, PC 등 기입장치가 형성되어 이용자가 직접 터치하여 설문조사에 체크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이용자의 질병이 발병할 경우 조이용자가 섭취한 음식의 종류와 설사, 발열, 구토, 복통 등의 발병정보를 조사하는 기초정보가 생성된다. 그리고 호흡기 관련 질병이 발병할 경우 기침, 두통, 발열 등 호흡기에 관련된 발병정보를 조사하는 기초정보가 생성된다 그리고 기입장치를 기입할 때 이용자의 폐쇄 공포 등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하여 영상이 표출장치에 의하여 표출된다. 상기 결정단계(S1220)에서는 체크단계(S1210)에서 체크한 이용자의 발병정보에 의하여 검사방법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이용자에게 발병한 질병의 종류에 따라 검사방법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입단계(S1200)에서 기입한 정보는 메인서버(400)로 전달되어 다른 이용자의 질병 상태와 비교되거나 새로운 설문지를 생성하는데 참고된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있어서, 상기 검사단계(S1300) 중, 이용자가 진입하는 진입단계(S1310); 상기 진입단계(S1310) 후, 이용자를 X-레이, 초음파 중 선택된 하나로 촬영하는 촬영단계(S1320);를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은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진입단계(S1310)는 상기 촬영단계(S1320)에서 촬영하는 이용자의 노출을 방지하는 노출방지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검사단계(S1300)에 대한 것이다. 검사단계(S1300)는 이용자가 폐쇄된 공간에 진입하여 이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검사단계(S1300)는 이용자가 진입하는 진입단계(S1310)가 형성되며, 진입단계(S1310)는 조립부스(100) 내부에 형성되는 촬영공간이 노출방지판에 의하여 구획되며, 이용자를 촬영할 때 발생하는 방사선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진입단계(S1310)에서 이용자가 진입하면 기입단계(S1200)에서 결정된 검사방법에 따라 이용자를 X-레이, 초음파 중 선택된 방법으로 촬영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검사단계(S1300)에서 촬영한 정보는 메인서버(400)로 전달되어 질병 시료 채취 방법을 결정한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있어서, 상기 채취단계(S1400)에 형성되며, 이용자의 세포, 혈액, DNA 중 적어도 하나를 채취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채취단계(S1400)는 이용자와 채취자가 구획판(500)에 의하여 구획되어 배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7-3)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500)은 채취자의 팔을 수용하여 이용자의 시료를 채취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채취단계(S1400)에 대한 것이다. 채취단계(S1400)는 검사단계(S1300)에서 검사한 질병에 따라 이용자의 세포, 혈액, DNA 등 적어도 하나를 채취한다. 이때, 채취단계(S1400)는 채취자에 의하여 이용자의 시료를 채취하는 것이며, 채취자와 이용자는 구획판(500)에 의하여 구획된다. 구획판(500)은 투명하게 형성되며, 채취자의 팔이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형성되어 이용자의 시료를 채취할 수 있다.
따라서, 채취단계(S1400)는 채취자가 이용자의 질병 시료를 측정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8-1) 본 발명은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있어서, 상기 제어단계(S1600) 전, 상기 메인서버(400)는 질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계(S1610); 상기 저장단계(S1610) 후, 저장된 질병 정보를 분류하는 분류단계(S1620); 상기 분류단계(S1620) 후, 이용자의 질병을 분석하는 분석단계(S1630); 상기 분석단계(S1630) 후, 질병의 처방전을 판단하는 처방단계(S1640);를 포함한다.
(실시예 8-2)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은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처방단계(S1640) 후, 상기 처방단계(S1640)에서 처방된 정보를 다수의 병원으로 제공하는 통신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8-3)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은 실시예 8-2에 있어서, 상기 분류단계(S1620)는 상기 저장단계(S1610)에서 저장된 질병의 종류, 발병 시간에 따라 분류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8-4)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은 실시예 8-3에 있어서, 상기 분석단계(S1630)는 상기 분류단계(S1620)에서 분류한 질병에 따라 이용자의 위험정도를 자동으로 분석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어단계(S16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제어단계(S1600)는 조립부스(100)에 형성되는 복수의 개별제어기에서 전달되는 이용자의 질병 정보를 저장하여 분석 및 처방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단계(S1600)는 조립부스(100)의 설비장치(200) 및 검사장치(300)에 각각 형성되는 개별제어기에 의하여 이용자의 질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질병 정보는 저장장치에 저장되며, 분류단계(S1620)에서 분류된다. 분류단계(S1620)는 저장장치에 저장된 질병 정보 중 이용자의 질병 종류 및 발병횟수와 나이 및 신체정보를 시간에 따라 분류한다. 그에 따라 질병의 위험정도를 분석단계(S1630)에서 분석할 수 있다. 분석단계(S1630)에서 위험으로 판단한 경우 처방단계(S1640)에서 격리 및 입원 등 다양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처방단계(S1640)에서 처방된 정보는 다양한 병원 및 질병 본부로 전달되어 이용자를 입원조치시킬 수 있다.
(실시예 9-1) 본 발명은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8-1에있어서, 상기 제어단계(S1600) 중, 상기 조립부스(100)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제어단계(S1700);, 상기 제어단계(S1600) 중, 상기 조립부스(100)의 내부를 방역하는 방역제어단계(S1800);를 포함한다.
(실시예 9-2)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은 실시예 9-1에 있어서, 상기 압력제어단계(S1700)는 상기 조립부스(100)에 설치되는 압력계의 결과에 따라 압력조절장치(210)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9-3) 본 발명의 인공 지능 치료 부스를 활용한 질병 치료 방법은 실시예 9-2에 있어서, 상기 방역제어단계(S1800)는 상기 조립부스(100)의 방역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어단계(S1600)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단계(S1600)는 조립부스(100)의 압력 및 방역 여부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단계(S1600)는 조립부스(100)의 압력이 조절되어 음압 및 양압으로 형성되도록 압력제어단계(S1700)가 형성된다. 압력제어단계(S1700)는 조립부스(100)에 형성되는 압력조절장치(210)에 설치되는 개별제어기에 의하여 조립부스(1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한다. 이때, 음압으로 형성할 경우 압력계에 의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보다 외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많도록 한다. 그리고 방역제어단계(S1800)는 방역장치(240)에 의하여 조립부스(100) 내부를 방역하는 것이며, 방역장치(240)에 형성되는 개별제어기에 의하여 메인제어기와 통신한다. 이때, 방역장치(240)는 조립부스(100)의 식별장치(230)에 의하여 조립부스(100)에 이용자가 없다고 판단되면 방역을 진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메인제어기는 방역장치(240)의 방역시간을 조절하거나 타이머에 의하여 일정시간마다 방역을 진행하도록 한다.
100: 조립부스 200: 설비장치
210: 압력조절장치 211: 유입부
212: 배출부 213: 여과필터
220: 온습도조절기 230: 식별장치
231: 영상장치 240: 방역장치
300: 검사장치 310: 출입부
320: 검사부 330: 채취부
340: 치료부 341: 치료실
400: 메인서버 410: 개별서버
500: 구획판 S1010: 소독단계
S1020: 설정단계 S1100: 입력단계
S1110: 출입단계 S1120: 측정단계
S1200: 기입단계 S1210: 체크단계
S1220: 결정단계 S1300: 검사단계
S1310: 진입단계 S1320: 촬영단계
S1400: 채취단계 S1410: 치료단계
S1500: 전송단계 S1600: 제어단계
S1610: 저장단계 S1620: 분류단계
S1630: 분석단계 S1640: 처방단계
S1700: 압력제어단계 S1800: 방역제어단계

Claims (8)

  1. 복수의 판넬로 조립되는 조립부스(100);,
    상기 조립부스(100)에 형성되며, 압력 및 온도를 제어하는 설비장치(200);
    상기 조립부스(100)에 형성되며, 이용자의 질병을 검사 및 치료하는 검사장치(300);
    상기 조립부스(100)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설비장치(200) 및 상기 검사장치(300)를 제어하는 메인서버(400);
    상기 조립부스(100)에 형성되며, 상기 조립부스(100)로 출입하는 이용자의 기초정보가 입력되는 출입부(310);
    상기 검사장치(300)에 형성되며, 이용자를 검사하는 검사부(320);
    상기 검사장치(300)에 형성되며, 이용자의 질병 시료를 채취하는 채취부(330);
    상기 조립부스(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이용자를 식별하는 식별장치(230);
    상기 식별장치(230)에 형성되며, 상기 조립부스(100) 내부에서 이용자의 심신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영상을 재생하는 영상장치(231);
    상기 설비장치(200)에 형성되며, 상기 조립부스(100) 내부를 방역하는 방역장치(240);
    상기 메인서버(400)에 제어되며, 상기 설비장치(200) 및 상기 검사장치(300)를 각각 제어하는 개별서버(410);
    상기 메인서버(400)는 인공 지능으로 상기 조립부스(100)를 제어하는 것;
    을 포함하는 인공 지능 치료 부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058407A 2020-05-15 2020-05-15 인공 지능 치료 부스 KR102171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407A KR102171543B1 (ko) 2020-05-15 2020-05-15 인공 지능 치료 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407A KR102171543B1 (ko) 2020-05-15 2020-05-15 인공 지능 치료 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543B1 true KR102171543B1 (ko) 2020-10-30

Family

ID=73048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407A KR102171543B1 (ko) 2020-05-15 2020-05-15 인공 지능 치료 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5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106A (ko) * 2020-11-17 2022-05-24 주식회사 하나지엔씨 감염병 호흡기 질환 클리닉 시스템 및 감염병 호흡기 질환 클리닉 방법
KR102670442B1 (ko) * 2021-11-05 2024-05-30 박동일 감염병 호흡기 질환자 검사실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4354A (ja) * 2004-02-12 2005-08-25 Terumo Corp 健康管理支援システム
KR20140069306A (ko) 2011-09-30 2014-06-09 지멘스 인더스트리, 인크. 입실에 의해 구동되는 환자 병실 환경 제어
KR101575233B1 (ko) 2015-09-01 2015-12-08 경도메디칼시뮬레이션 주식회사 감염증 환자 선별 통제 시스템
KR101649600B1 (ko) * 2015-12-31 2016-08-19 주식회사 엠케이엘 이동형 음압격리병동 시스템
KR101818074B1 (ko) * 2017-07-20 2018-01-12 (주)제이엘케이인스펙션 인공지능 기반 의료용 자동 진단 보조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925554B1 (ko) 2018-07-19 2018-12-05 전영운 병원 공조 설비 자동 제어 시스템
KR102014213B1 (ko) 2019-05-08 2019-08-27 주식회사 스페이스업 에어텐트를 이용한 가설 음압 장치
KR20190103676A (ko) * 2018-02-28 2019-09-0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4354A (ja) * 2004-02-12 2005-08-25 Terumo Corp 健康管理支援システム
KR20140069306A (ko) 2011-09-30 2014-06-09 지멘스 인더스트리, 인크. 입실에 의해 구동되는 환자 병실 환경 제어
KR101575233B1 (ko) 2015-09-01 2015-12-08 경도메디칼시뮬레이션 주식회사 감염증 환자 선별 통제 시스템
KR101649600B1 (ko) * 2015-12-31 2016-08-19 주식회사 엠케이엘 이동형 음압격리병동 시스템
KR101818074B1 (ko) * 2017-07-20 2018-01-12 (주)제이엘케이인스펙션 인공지능 기반 의료용 자동 진단 보조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90103676A (ko) * 2018-02-28 2019-09-0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
KR101925554B1 (ko) 2018-07-19 2018-12-05 전영운 병원 공조 설비 자동 제어 시스템
KR102014213B1 (ko) 2019-05-08 2019-08-27 주식회사 스페이스업 에어텐트를 이용한 가설 음압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106A (ko) * 2020-11-17 2022-05-24 주식회사 하나지엔씨 감염병 호흡기 질환 클리닉 시스템 및 감염병 호흡기 질환 클리닉 방법
KR102482380B1 (ko) * 2020-11-17 2022-12-29 주식회사 하나지엔씨 감염병 호흡기 질환 클리닉 시스템 및 감염병 호흡기 질환 클리닉 방법
KR102670442B1 (ko) * 2021-11-05 2024-05-30 박동일 감염병 호흡기 질환자 검사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0588B2 (en) Clean air apparatus
MX2010005977A (es) Aparato y metodo para medir, registrar y transmitir indicadores de salud primarios.
CN107106079A (zh) 用于筛查感染性疾病的呼吸分析系统及方法
US10233481B2 (en) Multi-sample laser-scatter measurement instrument with incubation feature and systems for using the same
KR102171543B1 (ko) 인공 지능 치료 부스
US11813201B2 (en) Booth-type mobile infectious disease clinic
CN112245177A (zh) 一种医疗舱
KR20230112693A (ko) 이동형 진단 구조물
CN113284023A (zh) 公共卫生防控综合监测管控平台
US11771610B2 (en) Tent-type mobile infectious disease clinic
CN213607734U (zh) 一种医疗舱
GB2595258A (en) Non-Contact disease screening device
Nicas et al. Isolation rooms for tuberculosis control
Dabisch et al. Characterization of a head-only aerosol exposure system for nonhuman primates
KR102557700B1 (ko) 차량용 이동식 바이러스 검진시스템
KR102335025B1 (ko) 비대면 클리닉과 비대면 클리닉을 위한 글로브 박스
KR102557698B1 (ko) 차량용 이동식 바이러스 검진시스템
KR102256382B1 (ko) 피검사자 선별 검사 시스템
KR20210133349A (ko) 컨테이너형 선별 진료 구조물
US11850190B2 (en) Vehicle-type mobile infectious disease clinic
Zemelka-Wiacek et al. Symptom assessment of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using an allergen exposure chamber
KR102571764B1 (ko) 감염병 진단 플랫폼이 구축된 음압 컨테이너 시스템
TR2021014071A2 (tr) Hastalik teşhi̇si̇ne yöneli̇k yapay zeka destekli̇ elektroni̇k tani ci̇hazi
KR102482380B1 (ko) 감염병 호흡기 질환 클리닉 시스템 및 감염병 호흡기 질환 클리닉 방법
JP5630524B2 (ja) 入退域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