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3676A -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676A
KR20190103676A KR1020180024384A KR20180024384A KR20190103676A KR 20190103676 A KR20190103676 A KR 20190103676A KR 1020180024384 A KR1020180024384 A KR 1020180024384A KR 20180024384 A KR20180024384 A KR 20180024384A KR 20190103676 A KR20190103676 A KR 20190103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isolation capsule
capsule
isolation
air pu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명오
이영주
함승희
최진우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4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3676A/ko
Publication of KR20190103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6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A61G10/023Room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at over- or under-pressure or at a variabl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CO or CO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46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tempera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는 격리 캡슐(10) 내부의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20); 상기 감지부(20)에 의해 감지되는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격리 캡슐(1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 장치(30); 및 상기 격리 캡슐(10)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정화 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 {APPARATUS FOR CONTROLLING PRESSURE AND AIR PURIFICATION OF ISOLATED CAPSULE}
본 발명은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염증 환자를 수용하는 격리 캡슐(1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고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감염증(전염성) 환자는 초기 증세가 위급하지 않아 활동에 지장이 없기 때문에 초기에 감염증을 선별하지 못하면 병원 내를 자유로이 이동하면서 원내의 사람들에게 감염증을 확산시키므로 초기에 체온 감지를 통해 감염 증세를 판단하여 격리 후 진료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감염증의 확산을 예방할 수 없다.
통상적으로 감염증의 초기 진단은 체온의 감지를 통한 일정온도 이상의 의심 환자의 선별인데, 환자의 체온을 측정함에 있어 내원 환자의 감염증 보유 여부를 초기에 인지하지 못하고, 의료진이 직접 체온을 측정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의료진이 직접 체온을 측정할 경우, 의료진이 감염될 위험이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체온 측정 방법으로, 열 화상 카메라를 통한 측정이 있으나, 의료진이 계속적인 모니터링을 하면서 일정체온 이상의 감염 의심자를 선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감염증 의심환자 발생시 감염을 방지하는 격리진료공간(음압병실)으로의 이동 간에 발생할 수 있는 감염에 대한 대비의 문제가 있고, 특히 최근에 발생된 메르스 감염과 같이 예기치 못한 감염증의 확산을 의료 행위가 이루어지는 현장에서 초기에 대응하여 감염의 확산을 막고 사스(SARS: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나 인플레인자, 변성 감기 등 감염증 발생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의료현장의 감염환자의 초기 대응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한 의료지원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감염증 환자를 수용하는 격리 캡슐(1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감염증 환자의 호흡 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고, 격리 캡슐(10)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감염증 환자에 의한 전염을 예방할 수 있는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는 격리 캡슐(10) 내부의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20); 상기 감지부(20)에 의해 감지되는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격리 캡슐(1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 장치(30); 및 상기 격리 캡슐(10)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정화 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20)는 상기 격리 캡슐(10)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센서; 상기 격리 캡슐(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상기 격리 캡슐(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조절 장치(30)는 상기 격리 캡슐(10) 내부에 양압을 공급하는 양압 발생기(31); 및 상기 격리 캡슐(10) 내부에 음압을 공급하는 음압 발생기(33);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정화 장치(40)는 상기 양압 발생기(31)로부터 상기 격리 캡슐(10) 내부로 양압을 공급하는 양압 파이프(32)에 설치되는 양압 필터(41); 및 상기 음압 발생기(33)로부터 상기 격리 캡슐(10) 내부로 음압을 공급하는 음압 파이프(34)에 설치되는 음압 필터(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압 발생기(31)와 상기 음압 발생기(33)를 통해 상기 격리 캡슐(1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양압 조절기(61)와 음압 조절기(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20)에 의해 감지되는 환경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에 의하면, 격리 캡슐(10) 내부의 환경 정보를 기초로 격리 캡슐(1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감염증 환자에 의한 전염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20)를 통해 감지된 격리 캡슐(10) 내부의 환경 정보를 기초로 하여 양압 발생기(31)에서 발생되는 양압과 음압 발생기(33)에서 발생되는 음압을 조절함으로써, 격리 캡슐(10) 내부의 환경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의 모니터부(5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 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는 감염증 환자를 수용하는 격리 캡슐(10) 내부의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20), 상기 감지부(20)에 의하여 감지되는 환경 정보를 기초로 격리 캡슐(1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 장치(30), 및 상기 격리 캡슐(10)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정화 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20)에 의해 감지되는 환경 정보는 격리 캡슐(10)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 격리 캡슐(10) 내부의 온도, 및 격리 캡슐(10) 내부의 압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부(20)는 상기 격리 캡슐(10)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센서, 상기 격리 캡슐(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격리 캡슐(10) 내부의 압력 및/또는 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20)에서 감지되는 격리 캡슐(10) 내부의 환경 정보는 후술할 제어기 및 모니터부(50)로 전송된다.
상기 압력 조절 장치(30)는 격리 캡슐(10) 내부의 환자 상태(또는 환경 정보)에 따라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격리 캡슐(10) 내부로 대기압보다 높은 양압(positive pressure)와 대기압보다 낮은 음압(negative pressure)를 공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압력 조절 장치(30)는 격리 캡슐(10) 내부로 양압을 공급하는 양압 발생기(31), 및 격리 캡슐(10) 내부로 음압을 공급하는 음압 발생기(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압 발생기(31)와 상기 음압 발생기(33)는 팬(fan) 또는 컴프레서(compressor)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양압 발생기(31)와 격리 캡슐(10)은 양압 파이프(32)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음압 발생기(33)와 격리 캡슐(10)은 음압 파이프(34)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공기 정화 장치(40)는 격리 캡슐(10)과 외부로 유출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양압 파이프(32)에 설치되는 양압 필터(41), 및 상기 음압 파이프(34)에 설치되는 음압 필터(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압 필터(41)와 음압 필터(42)는 헤파 필터(HEPA filter)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헤파 필터는 오염확산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공기정화장비의 주기능은 오염확산 차단기능이며 압력조절을 이용하여 차단하는 것이다. 즉, 격리실 내부의 오염공기를 청정공기로 배출하기 위해 필터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시간 경과에 따라 생물제 오염 상황의 경우 오염제거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를 공기정화장비에서 해결하기 위해서 복잡한 장비설계가 필요하지만, 격리모듈 내 자외선 살균기능 등을 적용하여 생물제 오염 상황에 대한 제염기능을 부가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격리환경의 체적 및 환자유형별 호흡량을 고려하여 양·음압 제어환경을 제공한다.
필터는 외부틀 내에 여과재를 연속으로 삽입하는 방식으로 설계할 수 있다. 또는 미니폴리쯔 방식의 필터로 여과재 사이에 스페이서를 붙여 연속적으로 여과재에 유로를 확보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소형화 할수 있다.
상기 필터에는 추가로 활성탄필터를 구성할 수 있다. 분자단위의 가스나 냄새를 제한적으로 제거하고 탄소알갱이에 의한 공기저항으로 풍량 저하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감지부(20)에 의해 감지되는 환경 정보를 통해 격리 캡슐(10) 내부의 환경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의 모니터부(5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부(50)는 격리 캡슐(10)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표시하는 이산화탄소 표시부(51), 격리 캡슐(10) 내부의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 표시부(52), 및 격리 캡슐(10) 내부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 표시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양압 발생기(31)와 상기 음압 발생기(33)를 통해 격리 캡슐(1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양압 조절기(61)와 음압 조절기(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압 조절기(61)와 음압 조절기(62)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양압 발생기(31)와 음압 발생기(33)를 통한 격리 캡슐(10) 내부의 압력 조절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모니터부(50)에 표시되는 격리 캡슐(10) 내부의 환경 정보를 인지하여 설정된 환경 정보를 유지하도록 양압 조절기(61)와 음압 조절기(62)를 조작하여 격리 캡슐(10) 내부의 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양압 발생기(31)와 음압 발생기(33)는 별도의 제어기(controller)에 의해 동작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제어기는 상기 감지부(20)를 통해 감지되는 격리 캡슐(10) 내부의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양압 발생기(31)와 음압 발생기(33)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기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의 제어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격리 캡슐(10)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설정된 농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제어기는 양압 발생기(31)에 의한 양압의 크기를 크게 하고 음압 발생기(33)에 의한 음압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격리 캡슐(10) 내부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고 격리 캡슐(10)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한다.
또는, 격리 캡슐(10)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제어기는 양압 발생기(31)에 의한 양압의 크기를 크게 하고 음압 발생기(33)에 의한 음압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격리 캡슐(10) 내부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여 격리 캡슐(10) 내부의 온도를 적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는, 격리 캡슐(10) 내부의 압력이 최대 압력보다 높으면, 제어기는 격리 캡슐(10) 내부로 공급되는 양압의 크기를 작게(또는 음압의 크기를 크게) 제어하여 격리 캡슐(10) 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범위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격리 캡슐(10) 내부의 압력이 최소 압력보다 낮으면, 제어기는 격리 캡슐(10) 내부로 공급되는 양압의 크기를 크게(또는 음압의 크기를 작게) 제어하여 격리 캡슐(10) 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범위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격리 캡슐(10) 내부에 감염증 환자가 수용되어 이송되는 경우, 감지부(20)는 격리 캡슐(10) 내부의 환경 정보(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농도, 온도, 및 압력)를 감지하고, 감지된 격리 캡슐(10) 내부의 환경 정보는 제어기와 모니터부(50)로 전송된다.
모니터부(50)는 감지부(20)에 의해 감지되는 환경 정보(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농도, 온도, 및 압력)를 표시하고, 사용자는 모니터부(50)에 표시된 환경 정보를 기초로 양압 조절기(61)와 음압 조절기(62)를 통해 양압 발생기(31)와 음압 발생기(33)에서 발생되는 양압과 음압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격리 캡슐(1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격리 캡슐(10) 내부의 환경(예를 들어, 압력, 온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가 적정한 수준이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양압 발생기(31)에 의해 발생되는 양압이 양압 파이프(32)를 통해 격리 캡슐(10)로 공급될 때 양압 필터(41)를 통해 정화되기 때문에 격리 캡슐(10) 내부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제어기는 감지부(20)에 의해 감지되는 환경 정보(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농도, 온도, 및 압력)를 기초로 양압 발생기(31)와 음압 발생기(33)를 제어하여 격리 캡슐(1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격리 캡슐(10) 내부의 환경(예를 들어, 압력, 온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가 적정한 수준이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음압 발생기(33)에 의해 발생되는 음압이 음압 파이프(34)를 통해 격리 캡슐(10)로 공급될 때 음압 필터(42)를 통해 정화되기 때문에 격리 캡슐(10) 내부에서 오염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에 의하면, 감지부(20)를 통해 감지된 격리 캡슐(10) 내부의 환경 정보를 기초로 하여 양압 발생기(31)에서 발생되는 양압과 음압 발생기(33)에서 발생되는 음압을 조절함으로써, 격리 캡슐(10) 내부의 환경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격리 캡슐
20: 감지부
30: 압력 조절 장치
31: 양압 발생기
32: 양압 파이프
33: 음압 발생기
34: 음압 파이프
40: 공기 정화 장치
41: 양압 필터
42: 음압 필터
50: 모니터부
51: 이산화탄소 표시부
52: 온도 표시부
53: 압력 표시부
61: 양압 조절기
62: 음압 조절기

Claims (6)

  1. 격리 캡슐(10) 내부의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20);
    상기 감지부(20)에 의해 감지되는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격리 캡슐(1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 장치(30); 및
    상기 격리 캡슐(10)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정화 장치(40);
    를 포함하는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20)는
    상기 격리 캡슐(10)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센서;
    상기 격리 캡슐(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상기 격리 캡슐(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를 포함하는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 장치(30)는
    상기 격리 캡슐(10) 내부에 양압을 공급하는 양압 발생기(31); 및
    상기 격리 캡슐(10) 내부에 음압을 공급하는 음압 발생기(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 장치(40)는
    상기 양압 발생기(31)로부터 상기 격리 캡슐(10) 내부로 양압을 공급하는 양압 파이프(32)에 설치되는 양압 필터(41); 및
    상기 음압 발생기(33)로부터 상기 격리 캡슐(10) 내부로 음압을 공급하는 음압 파이프(34)에 설치되는 음압 필터(42);
    를 포함하는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압 발생기(31)와 상기 음압 발생기(33)를 통해 상기 격리 캡슐(1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양압 조절기(61)와 음압 조절기(62);
    를 더 포함하는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20)에 의해 감지되는 환경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부(50);
    를 더 포함하는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
KR1020180024384A 2018-02-28 2018-02-28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 KR201901036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384A KR20190103676A (ko) 2018-02-28 2018-02-28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384A KR20190103676A (ko) 2018-02-28 2018-02-28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676A true KR20190103676A (ko) 2019-09-05

Family

ID=67949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384A KR20190103676A (ko) 2018-02-28 2018-02-28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367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543B1 (ko) * 2020-05-15 2020-10-30 남용일 인공 지능 치료 부스
WO2021177636A1 (ko) * 2020-03-04 2021-09-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감염병 진료소
CN113567065A (zh) * 2021-07-27 2021-10-29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负压隔离舱的故障监测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7636A1 (ko) * 2020-03-04 2021-09-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감염병 진료소
KR102171543B1 (ko) * 2020-05-15 2020-10-30 남용일 인공 지능 치료 부스
CN113567065A (zh) * 2021-07-27 2021-10-29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负压隔离舱的故障监测系统
CN113567065B (zh) * 2021-07-27 2024-01-30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负压隔离舱的故障监测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6536Y1 (ko) 인공지능형 공기차압장치를 이용한 바이오 클린룸의 세균오염방지 시스템
KR20190103676A (ko) 격리 캡슐의 압력 조절 및 공기 정화 장치
JP2020054791A (ja) 感染症病室および給排気制御装置
JP4883184B2 (ja) 補給空気を調節下に供給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7520910B2 (en) Modular air purification unit
EP2830671B1 (en) Gas sterilization/disinfection system and method for fluid conduits
JP2015503388A (ja) 一体化されたフィルタを有する呼吸測定装置
KR20200044741A (ko) 다기능 공압기
KR101350852B1 (ko) 바이오 클린룸의 세균오염 방지시스템
US11813201B2 (en) Booth-type mobile infectious disease clinic
KR101624697B1 (ko) 인공지능형 공기차압장치를 이용한 바이오 클린룸의 세균오염방지 시스템
KR101678412B1 (ko) 인공지능형 공기차압장치를 이용한 바이오 클린룸의 세균오염방지 시스템
CN212671339U (zh) 一种用于治疗传染病患者的负压隔离帐篷
CN108692391A (zh) 组装式智能隔离病房
KR101362401B1 (ko) 바이오 클린룸의 세균오염 방지시스템
KR20220047058A (ko) 공기 살균 장치
CN102101062B (zh) 用于气溶胶实验的气溶胶微环境密闭舱室
US11771610B2 (en) Tent-type mobile infectious disease clinic
KR102171543B1 (ko) 인공 지능 치료 부스
JP2010240282A (ja) 気圧制御装置及び気圧制御装置の制御方法
Mousavi et al. Design and in-vitro testing of a portable patient isolation chamber for bedside aerosol containment and filtration
KR20010028798A (ko) 산소 밀도/습도 조절기능 및 유해가스 경보기능을 가진
KR101362397B1 (ko) 바이오 클린룸의 세균오염 방지시스템
CN207849572U (zh) 一种用于药物配置间的空气净化系统
KR101678129B1 (ko) 바이오 클린룸의 세균오염 방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