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8798A - 산소 밀도/습도 조절기능 및 유해가스 경보기능을 가진 - Google Patents

산소 밀도/습도 조절기능 및 유해가스 경보기능을 가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8798A
KR20010028798A KR1019990041238A KR19990041238A KR20010028798A KR 20010028798 A KR20010028798 A KR 20010028798A KR 1019990041238 A KR1019990041238 A KR 1019990041238A KR 19990041238 A KR19990041238 A KR 19990041238A KR 20010028798 A KR20010028798 A KR 20010028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xygen
humidity
atmosphere
d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1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정우
Original Assignee
함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정우 filed Critical 함정우
Priority to KR1019990041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8798A/ko
Publication of KR20010028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79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1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the additional use of mechanical effects, e.g. gravity
    • B03C3/155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6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adding oxy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청정기 내부에 장착된 상기저소음 팬(11)을 작동시켜 흡입한 후,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키고 산소 밀도 및 습도를 조절하며 유해가스를 경보하는 장치이다. 실내 공기 중의 산소 밀도를 알맞게 조절하기 위해 부족한 산소를 방출할 수 있도록 청정기의 내부 일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산소 발생장치(9)와, 오염된 실내 공기 중 먼지를 일차적으로 제거하는 항균 필터(2)와, 상기 항균 필터(2)를 통과한 공기 중에 잔재하는 세균류,미생물 또는 냄새 등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전기 집진기(4)와, 공기 중의 습도를 제거하기 위해서 제습 필터(6) 및 열전 냉각장치(7)로 구성된 제습장치(5)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 청정기는 공기 중의 산소 밀도를 측정하는 산소센서(10), 공기중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20), 및 유해가스의 유출여부를 감지하는 유해가스센서(30)를 포함하며, 상기 각 센서들(10,20,30)은 본체(1)의 한 내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항균 필터(2)와 전기 집진기(4)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센서들은 측정된 신호 또는 데이터들을 상기 콘트롤러부(40)에 보내며, 이 콘트롤러부(40) 내에서 이미 설정된 각 설정값들과 각각 비교하여 판별하게 된다.

Description

산소 밀도/습도 조절기능 및 유해가스 경보기능을 가진 공기 청정기{AIR CLEANER FOR CONTROLLING DENSITY OF OXYGEN AND HUMIDITY AND WARNING OF HARMFUL GASES IN AIR}
본 발명은 개선된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공기 중의 산소 밀도를 조절하고 오염된 실내공기를 정화시켜주며, 실내의 습도조절 및 유해가스 경보기능을 가진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공기 청정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공기 내의 먼지, 세균류, 냄새 등을 흡착하여 공기를 정화시켜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공기 청정기에는 공기내의 미립자를 제거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전기 집진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집진 방식의 공기 청정기 제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전압을 변압하여 고압을 발생하는 고압 발생회로(100)와, 상기 고압 발생회로(100)로부터 고압이 인가되면 고압을 방전하는 방전부(200)와 상기 방전된고압에 의해 대전된 먼지 입자가 집진되는 집진부(300)로 이루어진전기집진기(500)와; 운전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전기집진기(500)의 고압 발생회로(100)에 연결된 릴레이(RY)를 작동시켜서 고압 발생회로(100)에 입력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공기 청정기 콘트롤러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기 집진방식의 공기 청정기 제어장치는 사용자조작에 의해서 공기 청정기의 콘트롤러부(400)에 운전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공기청정기 콘트롤러부(400)는 릴레이를 작동시켜서 고압 발생회로(100)에 입력전압을인가시킨다. 상기 입력전압이 인가되면 고압 발생회로(100)는 입력전압을 변압하여 수 KV의 고압을 방전부(200)에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방전부(200)를 통과하는먼지는 대전되고 대전된 먼지 입자는 집진부(300)에 집진된다. 이와 같이 먼지를포함하는 오염된 공기가 전기집진기(500)를 통과하게 되면 먼지나 세균류 및 냄새등이 상기 집진부(300)에 집진되어 깨끗하고 정화된 공기로 바뀌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기 청정기의 콘트롤러부(400)는 운전신호의 유무에 따라서 입력전압을 고압 발생회로(100)에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것으로 운전신호가 인가되는동안에는 언제나 같은 크기의 입력전압이 상기 고압 발생회로(100)에 인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고압 발생회로(100)에서는 일정크기의 고압을 방전부(200)에 출력하며 방전부(200)와 집진부(300) 사이에는 설정크기의 방전전류가 흘러서 공기 내의 먼지를 집진부(300)에 집진시킨다.
이러한 종래의 공기 청정기는 팬을 작동시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한 후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전기집진기를 통과하므로써 정화된 후 다시 실내로 방출하여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쾌적하게 만들어 주는 장치로써, 사람의 주요 생활 공간인 가정이나 회사 등 주로 밀폐된 실내 공간에서 먼지 등에 의하여 공기가 오염되어 사람의 건강에 직접적으로 나쁜 영향을 가져오기 때문에 보다 쾌적한 환경을 유지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사람들이 대부분의 시간을 회사나 가정 등과 같은 밀폐된 실내 공간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단지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 이외의 부가적인 기능이 필요하게 되었다.
예컨데, 취침 중에는 창문 등이 닫혀 있어 대부분의 방이 밀폐된 상태가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 밀폐된 실내 공간 내에서 산소 밀도는 사람이 취침 중에 계속되는 호흡으로 인하여 감소되기 때문에 최적의 상태에서 호흡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발생한다. 또한, 무더운 날에는 실내 공간의 습도가 이상적인 기준치(사람에게 가장 적합한 습도 비율: 50% 내지 60%) 보다 높기 때문에 불쾌지수 또한 높아져불쾌감을 가져온다. 더 나아가, 실내에 일산화탄소 등의 유해한 가스도 취침 중에는 인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인체에 치명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은 사람들의 생활 공간중 실내에서 충분히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의 기술로는 단순히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켜주는 종래의 공기 청정기와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냉방기(제습기)를 사용해 왔고, 유해가스를 검출하기 위해 가스 검출장치가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장치들을 제각기 사용해야하는데, 이 경우 실내 공간을 크게 차지하며 장치를 각각 구입하는데 비용이 많이 드는 것은 물론이며, 전력 소모량도 매우 크다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된실내 공기를 정화시켜줄 뿐만 아니라, 공기 중의 산소 밀도 및 습도 비율을 알맞게조절하며, 또한 공기 중에 유해가스를 감지하여 이를 경보해주는 개선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범위 1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모터에 의해 팬이 회전하여 대기중 공기를 흡입한 후, 흡입된 공기를 항균 필터 및 전기집진장치를 통해 정화하여 대기로 방출하는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산소센서, 산소 발생수단; 및 콘트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산소센서를 통화하는 공기 중 산소 밀도를 측정한 후, 측정된 데이터를 상기 콘트롤러부 내에서 판별하여 측정된 산소 밀도의 수치가 소정의 설정치 보다 작은 경우에, 공기 청정기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상기 산소 발생수단에 산소 방출 신호를 대기로 산소를 방출시켜서 산소 밀도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터에 의해 팬이 회전하여 대기중 공기를 흡입한 후, 흡입된 공기를 항균 필터 및 전기 집진장치를 통해 정화하여 대기로방출시키는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습도센서, 제습필터, 열전 냉각수단, 저장수단;및 콘트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습도센서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습도 비율을 측정한 후, 측정된 데이터를 상기 콘트롤러부 내에서 판별하여 측정된 습도 비율의 수치가 소정의 설정치 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열전 냉각수단이 작동하여 발생하는 냉각열이 열전도율이 좋은 소재로 이루어진 상기 제습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중의 습도와 반응한 후, 상기 제습필터의 표면 상에서 응결되어 물로 변하게 되며, 이 물을 상기 제습필터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저장수단 내에 저장함으로써 대기 중 높은 습도를 소정의 설정치까지 낮추도록 되어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터에 의해 팬이 회전하여 대기중 공기를흡입한 후, 흡입된 공기를 항균 필터 및 전기 집진장치를 통해 정화하여 대기로 방출시키는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유해가스센서, 유해가스 경보부, 산소 발생수단,및 콘트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해가스센서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유해가스를 측정한 후, 측정된 데이터를 상기 콘트롤러부 내에서 판별하여 유해가스의 유출이검출된 경우에, 상기 유해가스 경보부 및 산소 발생수단에 각각 신호를 보내어 유해가스 유출을 알리도록 상기 경보부의 LCD 점멸 및 경보음이 작동하면서 상기 산소 발생수단이 가동되어 산소를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 청정기의 콘트롤러부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의 콘트롤러부(CPU)에 관한 순서도(알고리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의 주요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 본체(1)는 실내의 공기가 전방그릴(13)를 통해 상기본체(1) 내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모터(12)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저소음 팬(11)이 내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본체(1)의 상부에는 조작스위치(42)가 배열된 콘트롤러부(40) 및 디스플레이부(5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청정기본체(1)의 후방면에는 정화된 공기 및 산소를 방출하는 후방그릴(14)이 있다.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청정기 내부에 장착된 상기저소음 팬(11)을 작동시켜 흡입한 후,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키고 산소 밀도 및 습도를 조절하며 유해가스를 경보하는 장치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공기 중의 산소 밀도를 알맞게 조절하기 위해 부족한 산소를 방출할 수 있도록 청정기의 내부 일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산소 발생장치(9)와, 오염된 실내 공기중 먼지를 일차적으로 제거하는 항균 필터(2)와, 상기 항균 필터(2)를 통과한 공기중에 잔재하는 세균류, 미생물 또는 냄새 등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전기 집진기(4)와, 공기 중의 습도를 제거하기 위해서 제습 필터(6) 및 열전 냉각장치(7)로 구성된 제습장치(5)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공기 청정기는 공기 중의 산소 밀도를 측정하는 산소센서(10), 공기 중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20), 및 유해가스의 유출여부를 감지하는 유해가스 센서(30)를 포함하며, 상기 각 센서들(10,20,30)은 본체(1)의 한 내측면에부착되고 상기 항균 필터(2)와 전기 집진기(4)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센서들은 측정된 신호 또는 데이터들을 상기 콘트롤러부(40)에 보내며, 이 콘트롤러부(40) 내에서 이미 설정된 각 설정값들과 각각 비교하여 판별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는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으로 공기 중의 산소 밀도를 측정하여 부족한 산소를 방출함으로써 산소 밀도를 이상적인 수치(공기 중의 산소 비율이 20% 내지 30% 인 경우)로 항상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공기 청정기는 공기 중의 산소 밀도를 측정하는 산소센서(10)와, 공기 중의 부족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발생장치(9)로 구성된다. 여기서, 산소 발생장치(9)는 본 실시예 및도면에서는 압축 산소통을 채용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산소를 발생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로도 대체 가능하다. 상기 산소센서(10)로 측정된 산소 밀도의 데이터는상기 콘트롤러부(CPU)(40)로 보내서 판별한 후, 공기 중 산소 밀도가 이상적인 기준치와 비교하여 소정의 설정치(공기 중의 산소 밀도가 20% 또는 15%, 이 설정치는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조정이 가능함)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산소 발생장치(9)로 신호를 보내어 산소를 공기 중으로 방출시킨다. 또한, 산소가 공기 중으로 방출된후 산소 밀도가 상기 설정치에 이르게 되면 이를 감지한 상기 산소센서(10)가 상기콘트롤러부(40)에 신호를 보내게 되어 산소 발생장치(9)의 작동이 멈추게 되므로써산소방출이 중단된다. 상기 산소 발생장치(9)는 공기 청정기(1)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며, 산소충전시기를 알 수 있도록 상기 산소 발생장치(9) 내의 산소잔류량을 측정하여 디스플레이부(15)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는 또한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종래의 기술로 오염된공기를 정화시켜주는 공기정화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종래의 기술로 일차적으로 먼지를 제거하는 항균 필터(2)와,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전기 집진기(4)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에 대해서는 그 기술이 일반적인 종래 기술이며, 앞선 본 발명의 종래의 기술에서 이미 전기 집진방식을 이용한 전기 집진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는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습도조절부는 공기 중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20)와, 측정된 습도가 소정의 설정치 보다 높은 경우 습도량을 설정치까지 낮추도록 습도를 제거하는 제습필터(6) 및 열전 냉각장치(7)로 구성된 제습장치(5)로 이루어 진다. 상기제습필터(6)는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과 같은 열전도율이 좋은 소재로 만들어지며, 공기 중의 습도를 제거하기 위해서 제습필터(6)의 뒷부분에 약 0℃까지 냉각이가능한 열전 냉각장치(7)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흡입된 공기 중의 습도를 습도센서(20)가 측정한 후, 측정된 데이터를 상기 콘트롤러부(40)에 보내어 판별한후, 공기중의 습도가 이상적인 수치(공기 중의 습도가 50% 내지 60% 인 경우)와 비교하여 소정의 설정치(이 설정치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조정이 가능함)보다 높은경우 상기 열전 냉각장치(7)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 열전 냉각장치(7)가 작동하게되면 약 0℃까지 냉각되기 때문에 제습필터(6)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습도는 상기제습필터(6)의 표면 상에 상기 냉각장치(7)의 냉각열과 반응하여 응결이 되어 물로변하게 되므로써, 제습작용을 한다. 상기 제습필터(6)의 표면에 생기는 물은 표면아래로 흘러 상기 제습필터(6) 우측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물받이기구(8)에저장된다. 또한, 상기 물받이기구(8) 내에 저장된 물의 양을 알 수 있도록, 상기콘트롤러부(40)에 의해 물받이기구(8)에 물이 가득찬 경우 물 수위 센서(미도시)에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5)에 물을 비울 시기임을 표시한다. 습도가 상기 설정치로 떨어지게 되면, 습도센서(20)가 이를 감지하여 다시 신호를 상기 콘트롤러부(40)에 보내어 상기 열전 냉각장치(7)의 동작을 오프(off)시킨다. 또한, 내부에 물이 가득한 경우에 상기 물받이기구(8)를 교체할 때 물이 흘러 넘칠 수 있으므로, 본체(1)의 밑부분에 물받침대(15)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는 유해가스가 공기 중에 유출된 경우 이를 경보해주는 유해가스 경보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해가스 경보부는 공기 중의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유해가스센서(30)와, 상기 가스센서(30)와 연결되어 유해가스유출을알려주는 경보장치(31)로 구성된다. 실내 공기중의 유해가스 존재여부를 상기 유해가스센서(30)가 감지하면, 이를 상기 콘트롤러부(40)를 통해 경보장치(31)에 신호가 전달되고, 신호를 받은 상기 경보장치(31)는 LCD 점멸과 동시에 경보음을 작동시킨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부(40)에서는 상기 산소 발생장치(9)를 작동시켜 산소를 방출시킴으로써, 임시적으로 유해가스로부터 사람을 보호하다.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는 또한 콘트롤러부(40)와 디스플레이부(50)를 포함 한다. 상기 콘트롤러부(40)는 공기중의 산소 밀도, 오염 상태, 습도 및 유해가스존재여부를 각각의 기능을 갖춘 상기 산소센서(10), 습도센서(20), 및 유해가스 센서(30)들로 측정하고 감지한 후,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소정의 설정치와비교하여 판별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콘트롤러부(40)와 각각 연결된 상기 산소 발생장치(9), 전기 집진기(4), 및 열전 냉각장치(7)에 신호를 보내어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2)는 공기 청정기의 본체(1) 상단에 부착되고, 상기 콘트롤러부(40)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콘트롤러부(40)에서 상기 산소 발생장치(9) 내의 잔류량을 검출하여 이 수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에 보내며, 수신된수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에서 상기 산소 발생장치(9)의 충전시기를 표시한다.그 결과, 사용자는 상기 산소 발생장치(9)의 산소 충전시기를 미리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콘트롤러부(40)의 제어방법을 도 3에 도시된 순서도와 함께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상기 공기 청정기의 본체(1)의 상부에 장착된 조작 스위치(main switch: on/off)(42)를 온(on)으로 작동시키면, 상기 저소음 팬(11)이 회전하여 공기를 공기 청정기 내부로 흡입하고, 동시에 상기 집진장치(4)와 각종 센서들이 0N 상태로 작동하여 흡입된 공기를 측정 및 감지한다 (스텝 S10).
다음으로, 상기 산소센서(10)로 흡입된 공기 중 산소 밀도를 측정한 후, 측정된 수치와 소정의 설정치(공기 중의 산소 비율이 15% 또는 20%로, 이 수치는 사용자에 따라 조정이 가능함)와 비교하여 측정값이 상기 설정치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산소 발생장치(9)를 작동시켜 산소를 방출한다. 또한, 산소충전시기를 알 수 있도로 상기 산소 발생장치(9) 내의 산소 잔류량을 검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한다 (스텝 S20).
또한, 흡인된 공기 중 유해가스의 유출 여부를 상기 유해가스 센서(30)로 검지한 후, 만약 유해가스가 검출된 경우에는 경보장치(31)에 LCD 점멸과 동시에 경보음이 울려 유해가스 유출을 경보해 주며, 상기 산소 발생장치(9)를 작동시켜 산소를 신속히 방출한다 (스텝 S30).
흡입된 공기 중의 습도를 상기 습도센서(20)로 측정한 후, 이 측정값과 소 정의 설정치(공기 중의 습도 비율이 60% 또는 65% 인 경우로, 이 수치는 사용자에따라 조정이 가능함)를 비교하여 상기 측정값이 상기 설정치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습장치(5)의 열전 냉각장치(7)를 ON 시킨다. 상기 열전 냉각장치(7)는 ON 된후 공기 중의 습도가 상기 설정치에 이르면 OFF 상태로 된다. 또한, 물받이기구(8)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도록, 상기 기구(8) 내에 저장된 물의 양을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한다 (스텝 S40).
상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단계들은 콘트롤러부(40)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정이나 업소 등의 실내에 설치함으로써,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중의 먼지나 미생물 등을 고압 대전에 의해 순간적으로 집진시켜서 실내의 공기를 순환 정화시켜 청정공기를 확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 공기 중 산소 밀도를 측정하여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저장된 신선한 ``산소를 기준치에 이를 때까지 방출함으로써 실내에서 사람들이 호흡할 때 충분한 산소의 량이 함유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어 건강에 유익함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특히, 사람들이 장시간 동안에 밀폐된 실내 공간에서 취침하는 경우, 반복되는 호흡으로 인해 공기 중의 산소 함유량이 부족한 상태가 발생되는데, 이 경우 인간의 체내에서 신진대사가 원활히 활동하는데 필요한 산소량이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여 건강에 나쁜 영향 주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실내 중의 유해가스를 검출하여 경보해 주기 때문에 가스 중독을 피할수 있으며, 특히 실내에서 취침 중에 있을 때 일산화탄소 등의 유해한 가스 등을 인지할 수 있어 유해가스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간이 살아가는데 가장 밀접한 공기 중에서 사람의 주요 생활 공간인 가정이나 회사 등이 주로 밀폐된 실내 공간에서도 맑고 신선한 공기로 호흡할수 있어 오염된 공기로 인하여 발생되는 여러 가지 질병들을 방지할 수 있는 가장큰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Claims (3)

  1. 모터에 의해 팬이 회전하여 대기중 공기를 흡입한 후, 흡입된 공기를 항균 필터 및 전기집진장치를 통해 정화하여 대기로 방출하는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산소센서;
    산소 발생수단; 및
    콘트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산소센서를 통화하는 공기 중 산소 밀도를 측정한 후, 측정된 데이터를상기 콘트롤러부 내에서 판별하여 측정된 산소 밀도의 수치가 소정의 설정치 보다작은 경우에, 공기 청정기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상기 산소 발생수단에 산소 방출 신호를 대기로 산소를 방출시켜서 산소 밀도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2. 모터에 의해 팬이 회전하여 대기중 공기를 흡입한 후, 흡입된 공기를 항균 필터 및 전기 집진장치를 통해 정화하여 대기로 방출시키는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습도센서;
    제습필터;
    열전 냉각수단;
    저장수단; 및
    콘트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습도센서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습도 비율을 측정한 후, 측정된 데이터를 상기 콘트롤러부 내에서 판별하여 측정된 습도 비율의 수치가 소정의 설정치 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열전 냉각수단이 작동하여 발생하는 냉각열이 열전도율이 좋은 소재로 이루어진 상기 제습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중의 습도와 반응한 후, 상기 제습필터의 표면 상에서 응결되어 물로 변하게 되며, 이 물을 상기 제습필터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저장수단 내에 저장함으로써 대기 중 높은 습도를 소정의 설정치까지 낮추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3. 모터에 의해 팬이 회전하여 대기중 공기를 흡입한 후, 흡입된 공기를 항균 필터 및 전기 집진장치를 통해 정화하여 대기로 방출시키는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유해가스센서;
    유해가스 경보부;
    산소 발생수단; 및
    콘트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해가스센서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유해가스를 측정한 후, 측정된 데이터를 상기 콘트롤러부 내에서 판별하여 유해가스의 유출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유해가스 경보부 및 산소 발생수단에 각각 신호를 보내어 유해가스 유출을 알리도록 상기 경보부의 LCD 점멸 및 경보음이 작동하면서 상기 산소 발생수단이 가동되어 산소를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KR1019990041238A 1999-09-22 1999-09-22 산소 밀도/습도 조절기능 및 유해가스 경보기능을 가진 KR200100287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1238A KR20010028798A (ko) 1999-09-22 1999-09-22 산소 밀도/습도 조절기능 및 유해가스 경보기능을 가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1238A KR20010028798A (ko) 1999-09-22 1999-09-22 산소 밀도/습도 조절기능 및 유해가스 경보기능을 가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798A true KR20010028798A (ko) 2001-04-06

Family

ID=19612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1238A KR20010028798A (ko) 1999-09-22 1999-09-22 산소 밀도/습도 조절기능 및 유해가스 경보기능을 가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8798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589A (ko) * 2002-08-28 2004-03-0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청정필터와 산소발생기를 이용한 공기청정장치
KR100719955B1 (ko) * 2005-12-22 2007-05-2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산소발생 기능이 구비된 시스템 공기조화장치
KR100753028B1 (ko) * 2001-04-11 2007-08-3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산소부화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산소부화공기 공급기 제어 방법
US7291205B2 (en) 2003-12-22 2007-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leaner
KR100778669B1 (ko) * 2007-01-09 2007-11-22 한국기계연구원 듀얼 정화방식의 공기청정기
CN105783169A (zh) * 2016-05-17 2016-07-20 南宁市茂宏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有氧加湿装置
CN109069971A (zh) * 2016-04-18 2018-12-21 首尔伟傲世有限公司 空气净化器
KR20200073107A (ko) * 2018-12-13 2020-06-23 키넷 주식회사 사용자 안전 및 편의성이 향상된 산소발생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028B1 (ko) * 2001-04-11 2007-08-3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산소부화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산소부화공기 공급기 제어 방법
KR20040019589A (ko) * 2002-08-28 2004-03-0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청정필터와 산소발생기를 이용한 공기청정장치
US7291205B2 (en) 2003-12-22 2007-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leaner
KR100719955B1 (ko) * 2005-12-22 2007-05-2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산소발생 기능이 구비된 시스템 공기조화장치
KR100778669B1 (ko) * 2007-01-09 2007-11-22 한국기계연구원 듀얼 정화방식의 공기청정기
CN109069971A (zh) * 2016-04-18 2018-12-21 首尔伟傲世有限公司 空气净化器
CN105783169A (zh) * 2016-05-17 2016-07-20 南宁市茂宏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有氧加湿装置
KR20200073107A (ko) * 2018-12-13 2020-06-23 키넷 주식회사 사용자 안전 및 편의성이 향상된 산소발생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8964A (en) Control for air quality machine
US5255556A (en) Air quality indicator and control for air quality machine
US6680028B1 (en) Portable air purifier apparatus and system
CN100529563C (zh) 空气净化器和控制其操作的方法
KR102238936B1 (ko) 공기 청정 시스템
KR102132859B1 (ko) 필터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US10005019B2 (e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controll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EP2090841A1 (en) An air purifier with co2 sensor
US20040007000A1 (en) Air refining device and ion generator used for the device
KR102000707B1 (ko) 교실용 공기정화장치
KR20070044808A (ko) 화학약품 및 아산화질소 검출장치
JP2020065945A (ja) 二酸化炭素除去装置
CN112178866A (zh) 空气净化方法、空气净化装置、空调器及其控制方法
KR20010028798A (ko) 산소 밀도/습도 조절기능 및 유해가스 경보기능을 가진
KR20080050552A (ko) 인명보호용 다기능챔버
KR101258639B1 (ko) 제습장치
CN206055873U (zh) 一种室内环境监测及空气调节系统
KR101347650B1 (ko) 공기정화 및 에너지 절약형 흡연방
JP5800617B2 (ja) 空気清浄機
JP2000005628A (ja) 空気清浄器および空質調和装置
KR20190105391A (ko) 라돈의 유입을 억제하는 압축 공기를 이용한 공기 관리 장치
CN112345699A (zh) 一种环境空气和废气检测用干燥装置
JP2007311227A (ja) 空気清浄機
WO1995035123A1 (en) Portable air purifier apparatus and system
US20240191891A1 (en) Disinfectant, gas accumulation and combustion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