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955B1 - 산소발생 기능이 구비된 시스템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산소발생 기능이 구비된 시스템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955B1
KR100719955B1 KR1020050127878A KR20050127878A KR100719955B1 KR 100719955 B1 KR100719955 B1 KR 100719955B1 KR 1020050127878 A KR1020050127878 A KR 1020050127878A KR 20050127878 A KR20050127878 A KR 20050127878A KR 100719955 B1 KR100719955 B1 KR 100719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body
function
oxygen generat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7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태훈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7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9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주택, 오피스텔 등과 같은 상업 및 주거시설에서, 실외공기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하는 실외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이용하여 기능성 공기(청정외기, 순산소, 웰빙에어)가 조성 및 공급 될 수 있도록 하는 산소발생 기능이 구비된 시스템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산소발생기능과 청정외기공급기능 그리고 혼합기능을 발휘하는 해당 구성 요소들이 본체 내부에 최적으로 배치되는 집합구조로 구성되고, 이와 같이 최적의 상태로 배치되는 구조적인 개선을 통해 소형화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일체화된 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의 전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배치되면서 공기의 유입을 위하여 형성되어진 흡입부의 내측에 흡입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제 1필터를 구비시킨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흡입부와 마주하는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가 모여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의 내부에 수용 결합되어 일부 공기가 통과하면서 정화될 수 있도록 갖추어지는 제 2필터와; 상기 본체 내의 하부 부분에 바닥으로부터 상향 굴곡되면서 설치되어 독립된 공간을 구획.형성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면서 제 2필터를 통과한 청정외기를 압축시켜 이송력을 제공하는 공기압축기와; 상기 챔버의 상면에 설치되어 공기압축기로부터 압축된 공기가 공급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일 옆에 배치.고정되어 통과한 청정외기의 공급과 차단 및 일정한 압력으로 유량이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레귤레이터유닛과; 상기 열교환기와 대응하는 챔버의 상면에 관통 설치되어, 공기의 흡입과 송풍력을 이용하여 냉각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챔버와 본체의 후미 사이에 배치되어 열교환기를 통과한 청정외기를 공급하여 순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부재와; 상기 산소발생부재로부터 상부에 배치되어 산소발생부재로부터 발생되는 순산소와 상기 레귤레이터를 통과하여 공급되는 청정외기를 혼합하고, 그 혼합공기를 개별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제어밸브를 구비하는 혼합유닛;으로 구성되는 산소발생 기능이 구비된 시스템 공기조화장치가 제공된다.
산소, 공기, 청정, 공급, 실내, 실외, 혼합, 배치, 완충

Description

산소발생 기능이 구비된 시스템 공기조화장치{System Air Conditioning Device Providing Oxygen Generating Function}
도 1a ~도 1d는 본 발명에 대한 산소발생 기능이 구비된 시스템 공기조화장치의 본체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 1a는 본체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체의 프레임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d은 본체의 바닥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대한 프론트 케이스가 오픈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2a는 정면 사시도이고, 2b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b의 일 측에서 바라본 측면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의 완충부분의 모습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대한 본체의 배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프론트 케이스
14 : 램프 16 : 조작키
18 : 콘트롤 판넬부 20 : 패널
22 : 흡입부 24 : 제 1필터
26 : 덕트 28 : 통공
30 : 공기압축기 32 : 레귤레이터유닛
34 : 제 2필터 36 : 스위치
38 : 고정바 40 : 걸림편
42 : 배출공 44 : 가이드부재
46 : 챔버 48 : 완충판넬
50 : 산소발생부재 52 : 완충수단
54 : 탄성스프링 56 : 볼트
58 : 너트 60 : 판재
62 : 열교환기 64 : 송풍팬
66 : 압력조절기 68 : 제어밸브
70 : 혼합유닛 72 : 개구부
74 : 연결관 76 : 질소배출공
본 발명은 산소발생 기능이 구비된 시스템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기능성 공기를 조성 및 공급하면서 질소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본체 내부에 산소발생기능과 청정외기공급기능 그리고 혼합기능을 발휘하는 해당 구성 요소들이 최적으로 집합 배치되어 일체화된 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재 대중 매체를 통하여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웰빙(well-being)'이란 용어는 말 그대로 건강함, 안락함, 만족함, 쾌적함 등에 대한 삶의 질 향상을 강조하는 용어이며, 점차 이러한 웰빙을 추구하려는 추세에 맞추어 각 분야에서 다양한 물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대기오염과 환경오염이 날로 심각해짐에 따라 공기가 탁해지면서 대다수의 사람들이 자연의 숲과 같이 맑고 깨끗하면서 신선한 공기를 제공받아 쾌적한 환경을 이루고자 산소발생장치 및 공기청정장치 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일반적인 산소발생장치 및 공기청정장치는 각 장치가 발휘하는 기능과 구성이 근본적으로 전혀 다르므로, 산소발생기능 및 공기정화기능을 발휘하는 해당 구성 요소들이 각각 독립된 본체로 구성된다.
위와 같이 산소발생장치 및 공기청정장치가 독립된 본체로 각각 구성되게 되면, 산소공급기능과 공기청정기능이 모두 필요한 경우, 개별적으로 이루어진 산소발생장치와 공기청정장치를 모두 구입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구입비용 및 유지비용에 대한 부담이 발생되고, 아울러 각각 독립된 구성으로 인하여 설치공간도 충분히 확보되어야만 하는 제약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체의 내부에 산소발생기능과 청정외기공급기능 그리고 혼합기능을 발휘하는 해당 구성 요소들이 최적으로 배치되어 일체화된 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점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의 전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배치되면서 공기의 유입을 위하여 형성되어진 흡입부의 내측에 흡입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제 1필터를 구비시킨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흡입부와 마주하는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가 모여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의 내부에 수용 결합되어 일부 공기가 통과하면서 정화될 수 있도록 갖추어지는 제 2필터와; 상기 본체 내의 하부 부분에 바닥으로부터 상향 굴곡되면서 설치되어 독립된 공간을 구획.형성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면서 제 2필터를 통과한 청정외기를 압축시켜 이송력을 제공하는 공기압축기와; 상기 챔버의 상면에 설치되어 공기압축기로부터 압축된 공기가 공급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일 옆에 배치.고정되어 통과한 청정외기의 공급과 차단 및 일정한 압력으로 유량이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레귤레이터유닛과; 상기 열교환기와 대응하는 챔버의 상면에 관통 설치되어, 공기의 흡입과 송풍력을 이용하여 냉각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챔버와 본체의 후미 사이에 배치되어 열교환기를 통과한 청정외기를 공급하여 순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부재와; 상기 산소발생부재로부터 상부에 배치되어 산소발생부재로부터 발생되는 순산소와 상기 레귤레이터를 통과하여 공급되는 청정외기를 혼합하고, 그 혼합공기를 개별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제어밸브를 구비하는 혼합유닛;으로 구성되는 산소발생 기능이 구비된 시스템 공기조화장치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에서 프론트 케이스의 전면 중앙부분에는 동작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면서, 동작모드를 조작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램프와 조작키를 갖춘 콘트롤 판넬부가 더 구비되는 구조가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덕트의 외면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어, 덕트로 모여지는 공기가 통공을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되면서 냉각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본체의 바닥에 하나 이상의 배출공을 형성하여 냉각기능을 수행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배출공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본체의 바닥 저면에 고정되어진 가이드부재에 의해 방향 전환되어 일 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가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챔버의 내부에는 공기압축기가 놓여지도록 완충판넬이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완충판넬과 본체의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수단의 완충기능에 의하여 공기압축기의 동작시 발생되는 흔들림을 완충하도록 구조가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 한다.
도 1a ~도 1d는 본 발명에 대한 산소발생 기능이 구비된 시스템 공기조화장치의 본체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 1a는 본체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c는 본체의 프레임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d은 본체의 바닥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또한,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대한 프론트 케이스가 오픈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2a는 정면 사시도이고, 2b는 배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a는 도 1b의 일 측에서 바라본 측면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의 완충부분의 모습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대한 본체의 배면도이다.
상기 본체(10)는, 여러 개의 프레임이 서로 체결 및 결합되면서 사각형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전면에 별도로 이루어진 프론트 케이스(12)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2)의 전면 중앙부분을 살펴보면, 동작모드 및 동작상태에 대한 시각적인 표시와, 동작모드에 대한 선택 조작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고자 다수개의 램프(14),조작키(16) 등을 적절히 조합 배치시킨 콘트롤 판넬부(1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콘트롤 판넬부(18)로부터 이격된 상부 부분에는 일정면적을 가진 사각모양의 패널(20)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패널(20)의 각 변을 따라 그 내측에는 실외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흡입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패널(20)과 대응하는 프론트 케이스(12)의 내면에는 흡입부(22)를 통하여 흡입되어지는 외기를 1차적으로 여과할 수 있도록 제 1필터(24)가 구비되며, 이러한 제 1필터(24)의 주 기능에 의해 외기에 포함된 굵은 입자성분이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12)와 마주하는 본체(10)의 전면에는 제 1필터(24)를 통과한 공기 중 일부를 본체(10)의 내부로 유입시켜 냉각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박스형 형태의 덕트(26)가 결합.배치되어 있다.
상기 덕트(26)는, 전면이 개방되어 있고, 그 이외의 각 면에는 여러개의 통공(28)이 형성되어, 이 통공(28)을 통하여 외기가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덕트(26)의 내부에는 나머지 공기를 2차적으로 정밀 여과하기 위한 제 2필터(3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 2필터(34)의 주 기능에 의하여 항바이러스, 항균작용, 알레르겐, 분진, 미세먼지, 세균, 유기화합물, 포름알데히드, 일반악취 등이 제거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전면 하단에는 스위치(36)가 길이를 갖고 수평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 스위치(36)는 프론트 케이스(12)가 본체(10)에 밀착되는 상태로 결합 될 때, 눌러지는 상태가 되어 전원공급의 온 상태를 유지하다가, 프론트 케이스(12)가 본체(10)으로부터 분리시,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서 동작 중이라도 전원이 자동적으로 차단되는 기능을 발휘한다.
위와 같은 상기 스위치(36)로는 위의 기능이 발휘되도록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텍트 스위치의 사용이 바람직할 것이나, 반드시 텍트 스위치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위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면 어떠한 스위치의 사용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도 3a, 도 3b,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본체(10)의 바닥으로부터 높이를 가진 측면에는 고정바(38)가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바(38)의 일 측면은 본체(10)의 전면 내측에 면 밀착되는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체결.고정되고, 타측은 후면을 관통하면서 고정바(38)의 걸림편(40)이 본체(10) 외면에 걸림 밀착되는 상태로 체결.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바(38)는, 본체(10)의 외부 특히, 측면에서 충격이 가해지게 될 때, 그 충격에 따른 본체(10)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기능과, 가해지는 충격이 각종 부품에 미치지 않도록 하는 보호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위와 같이 배치된 구성에 의하여, 후술하는 송풍팬(64)과 공기압축기(30)의 동작에 의해 흡입 및 송풍되는 외기는 흡입부(22)를 통해 흡입되어 제 1필터(24)를 통과하게 되고, 제 1필터(24)를 통과한 공기 중 일부는 제 2필터(34)를 통과하여 후술하는 공기압축기(30)와 열교환기(6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제 2필터(34)로 유입되지 아니한 일부의 공기는 덕트(26)의 통공(28)을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어 각종 부품에서 발생되는 열을 공냉방식으로 식힌 다음, 본체(10)의 바닥에 형성된 배출공(4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공(42)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도 1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바닥 저면에 체결되어진 가이드부재(44)의 구조적 형상에 따라 배출흐름이 전환되어 화살표방향 같이 본체(10)의 후면으로 빠져나가는 흐름방향을 형성 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가이드부재(44)는 "U"모양의 단면을 형성하면서 일측 전면이 전부 막힌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하기에서는 상기 본체(10)의 내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본체(10)의 하부 부분에는 별도의 판재를 이용하여 독립된 공간이 구획.형성될 수 있도록 챔버(46)가 설치되어 있고, 이 챔버(46)의 내부 하단부분에는 본체(1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가지는 위치에 완충판넬(48)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완충판넬(48)의 상면에는 앞서 언급되었듯이 정화된 청정외기가 후술하는 산소발생부재(50)로 공급.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압축기(3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완충판넬(48)의 저면과 본체(10)의 바닥 사이에는 공기압축기(30)의 동작시, 진동에 의한 흔들림을 완충하여 본체(10)의 전체로 확산.전달되지 않도록 하면서, 그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복수개의 완충수단(52)이 구비되어 있다.
도 3b를 통해 상기 완충수단(52)을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완충판넬(48)의 저면과 본체(10)의 바닥 사이에 탄성스프링(54)이 완충판넬(48)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아울러 상기 탄성스프링(54)의 불안정한 탄성변형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10)의 바닥으로부터 탄성스프링(54)과 완충판넬(48)을 관통하는 볼트(56)는 너트(58)와 체결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완충수단(52)이 반드시 탄성스프링(54)을 이용한 완충구조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이는 본 발명을 쉽게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일 뿐이며, 상기 완 충판넬(48)을 완충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탄성수단의 사용도 무방할 것이다.
그러한 일 예로, 상기 완충판넬(48)과 본체(10)의 바닥 사이에 탄성체(예를들면, 고무, 우레탄, 실리콘, 합성수지, 스폰지)가 구비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될 것이다.
참고로, 상기 챔버(46)의 측면에는 공기압축기(30)가 밀폐되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별도의 판재(60)가 체결.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챔버(46)의 상면에는 앞서 언급되었던 열교환기(62)가 설치되어 있고, 열교환기(62)를 통과하는 청정외기 일부가 공급되게 되는 레귤레이터유닛(32)이 일 옆에 설치된다.
특히, 상기 열교환기(62)와 하향 대응하는 챔버(46)의 상면에는 외기에 대한 대한 흡입기능과, 본체(10)의 내부를 따라 흐름을 형성하여 각종 부품 등에서 발생되는 열을 식히고 배출될 수 있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팬(64)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챔버(46)의 일 측면과 본체(10)의 후미 사이에는 압력조절기(66)를 구비하는 산소발생부재(50)가 수직으로 배치되는데, 이 산소발생부재(50)는 상기 열교환기(62)를 통과하는 일부 청정외기가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열교환기(62)를 통과한 청정외기는 분기되어 레귤레이터유닛(32)과 산소발생부재(50)로 각각 공급.이송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면에서는 산소발생부재(50)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도시 되어 있지 만, 실제로 그 내부에는 질소와 순산소를 분리하는 복수개의 흡착베드 및 순산소를 저장하는 저장탱크가 내장되도록 구성되며, 또한 레귤레이터유닛(32)은 청정외기의 공급과 차단 및 일정한 압력으로 유량이 이송될 수 있도록 압력조절기, 유량조절기, 가변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산소발생부재(50)로부터 이격된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어밸브(68)를 구비하는 혼합유닛(70)이 본체(10) 후미의 내측면에 체결.고정되어 있다.
상기, 혼합유닛(70)은 상기 산소발생부재(50) 및 레귤레이터유닛(32)과 연결되어 각각 조성된 순산소와 청정외기의 혼합을 유도하게 되는 기능을 발휘하면서, 아울러 재실 공간으로 개별적인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급기능을 발휘한다.
위와 같이 재실 공간으로 조성된 공기가 공급될 때, 제어기능을 발휘하는 각각의 제어밸브(68)는 상기 혼합유닛(70)에 구비되며, 이러한 혼합유닛(70)에는 본체(10)의 후면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부(72)를 통하여 연결관(74)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실내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노즐수단에 연결되어, 순산소와 정화된 청정외기를 혼합시킨 웰빙에어가 해당 노즐수단을 통해 개별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72)로부터 하향 이격된 본체(10)의 하단 일측에는 산소발생부재(50)로부터 분리된 질소가 배출될 수 있도록 질소배출공(76)이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체(1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도 1a, 도 1b, 도2a, 도 2b, 도 3a에서 보듯이 먼저 실외에 본체(10)를 설치하고, 프론트 케이스 (12)에 구비되는 콘트롤 판넬부(18)를 조작하여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면, 우선 송풍팬(64)과 공기압축기(30)가 구동하게 되면서 동시에 흡입력과 송풍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흡입부(22)를 통해 흡입되는 외기는 제 1필터(24)를 통과한 후, 일부는제 2필터(34)로 공급되고, 나머지는 덕트(26)의 통공(28)을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우선, 상기 제 2필터(34)로 유입되면서 정밀 여과된 청정외기는 공기압축기(30)와, 열교환기(6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각각 분기되어 산소발생부재(50)와 레귤레이터유닛(32)으로 각각 공급된다.
이때, 상기 레귤레이터유닛(32)을 통과한 청정외기는 혼합유닛(70)으로 바로 공급되게 되고, 상기 열교환기(62)를 통과한 청정외기는 산소발생부재(50)를 거치면서 발생된 순산소를 혼합유닛(70)으로 공급시킨다.
그리고, 상기 혼합유닛(70)에서는 앞서 발생된 기능성 조성공기 즉, 순산소와 청정외기 및 혼합된 웰빙에어를 연결관(74)을 통해 재실 공간으로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의 본체(10)를 사용하게 되면, 산소발생기능과, 청정외기공급기능, 혼합기능을 발휘하는 해당 구성 요소들이 최적의 상태로 배치되는 구조적 개선 및 일체화된 구성을 가짐으로써,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산소발생장치 및 공기청정장치가 각각 독립적인 구성을 가짐으로 인한 구입 비용부담과 설치공간 확보 등에 대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사용하게 되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산소발생장치 및 공기청정장치가 각각 발휘하지 못하는 양자의 선택적 부분 기능, 예를 들면 탄산가스류 농도감소, 실외산소농도와 동일하게 재실공간으로 공급 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본체(10)를 사용하게 되면, 특히 실외의 공기를 흡입하여 순산소, 청정외기 및 이들의 혼합 공기인 웰빙에어를 재실 공간으로 공급하게 되는 방식이므로, 종래의 산소발생장치가 가지고 있는 분리된 질소의 재실 공간 배출과, 공기청정장치로 발휘될 수 없었던 밀폐된 실내의 산소농도 유지 및 향상과 혼합에 의한 청정 외기 도입을 실현 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 의하여 사용자는 맑고, 깨끗하고 신선하며 쾌적한 느낌을 더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문제점에서 제기되었듯이 질소가 실내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질소가 실외로 배출되므로, 사용자에게 심미적 감성적 및 육체적 유해함을 주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깨끗함, 신선함 및 쾌적함이 한층 향상되면서, 실내의 산소농도 유지와 산소농도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기능이 발휘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기를 흡입 이용하여 각각 발생되는 순산소와 청정외기를 혼합 후, 재실 공간으로 공급하는 산소발생기능과 청정외기공급기능 그리고 혼합기능에 해당하는 구성 요소들이 본체의 내부에 최적의 상태로 집합배치되어, 소형화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산소공급발생장치 및 공기 청정장치가 발휘하지 못하는 양자의 기능이 모두 발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사용하게 되면, 상기 질소가 재실 공간으로 배출됨에 따른 제반문제가 자연히 해소되면서, 밀폐된 실내에 산소농도 유지 및 산소농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효과로 인하여 사용자는 맑고, 깨끗하고 신선함을 가지는 쾌적한 느낌을 더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산소공급장치와 공기청정장치를 각각 개별적으로 구입하여야 하는 비용부담과 설치공간 확보 등에 대한 어려움 등을 해소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5)

  1. 본체의 전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배치되면서 공기의 유입을 위하여 형성되어진 흡입부의 내측에 흡입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제 1필터를 구비시킨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흡입부와 마주하는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가 모여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의 내부에 수용 결합되어 일부 공기가 통과하면서 정화될 수 있도록 갖추어지는 제 2필터와;
    상기 본체 내의 하부 부분에 바닥으로부터 상향 굴곡되면서 설치되어 독립된 공간을 구획.형성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면서 제 2필터를 통과한 청정외기를 압축시켜 이송력을 제공하는 공기압축기와;
    상기 챔버의 상면에 설치되어 공기압축기로부터 압축된 공기가 공급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일 옆에 배치.고정되어 통과한 청정외기의 공급과 차단 및 일정한 압력으로 유량이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레귤레이터유닛과;
    상기 열교환기와 대응하는 챔버의 상면에 관통 설치되어, 공기의 흡입과 송풍력을 이용하여 냉각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챔버와 본체의 후미 사이에 배치되어 열교환기를 통과한 청정외기를 공급하여 순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부재와;
    상기 산소발생부재로부터 상부에 배치되어 산소발생부재로부터 발생되는 순산소와 상기 레귤레이터를 통과하여 공급되는 청정외기를 혼합하고, 그 혼합공기를 개별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제어밸브를 구비하는 혼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전면 중앙부분에는 동작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면서, 동작모드를 조작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램프와 조작키를 갖춘 콘트롤 판넬부가 구비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 기능이 구비된 시스템 공기조화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외면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어, 덕트로 모여지는 공기가 통공을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되면서 냉각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 기능이 구비된 시스템 공기조화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바닥에 하나 이상의 배출공을 형성하여 냉각기능을 수행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배출공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본체의 바닥 저면에 고정되어진 가이드부재에 의해 방향 전환되어 일 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 기능이 구비된 시스템 공기조화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내부에는 공기압축기가 놓여지도록 완충판넬이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완충판넬과 본체의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수단의 완충기능에 의하여 공기압축기의 동작시 발생되는 흔들림을 완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 기능이 구비된 시스템 공기조화장치.
KR1020050127878A 2005-12-22 2005-12-22 산소발생 기능이 구비된 시스템 공기조화장치 KR100719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878A KR100719955B1 (ko) 2005-12-22 2005-12-22 산소발생 기능이 구비된 시스템 공기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878A KR100719955B1 (ko) 2005-12-22 2005-12-22 산소발생 기능이 구비된 시스템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9955B1 true KR100719955B1 (ko) 2007-05-21

Family

ID=38277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7878A KR100719955B1 (ko) 2005-12-22 2005-12-22 산소발생 기능이 구비된 시스템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9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6892A (ko) * 2015-12-24 2017-07-05 주식회사 비엠티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생산라인의 공기조화장치
KR102618511B1 (ko) * 2023-02-07 2023-12-27 (주)아하 산소 발생 효율이 증가된 산소 발생기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5426A (ja) * 1987-10-27 1989-05-08 Seibu Denki Kogyo Kk 酸素添加空気清浄器
KR940002829Y1 (ko) * 1991-08-03 1994-04-23 주식회사 금성사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의 회전헤드드럼장치
JPH10234836A (ja) * 1997-02-26 1998-09-08 Sanyo Electric Co Ltd 空質活性機
KR20010028798A (ko) * 1999-09-22 2001-04-06 함정우 산소 밀도/습도 조절기능 및 유해가스 경보기능을 가진
KR20020095514A (ko) * 2001-06-14 2002-12-27 주식회사 부성에이스 산소공급수단이 구비된 공기조화기기
KR20030009720A (ko) * 2001-07-23 2003-02-0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산소발생 겸용 공기정화기
KR20040021835A (ko) * 2002-09-05 2004-03-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산소발생 기능이 부가된 공기청정기
KR20050022217A (ko) * 2003-08-25 2005-03-07 크린에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산소 발생부 내장형 공기 청정기
KR100503283B1 (ko) * 2002-12-13 2005-07-26 주식회사 케이피씨 산소발생 기능이 부가된 공기정화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5426A (ja) * 1987-10-27 1989-05-08 Seibu Denki Kogyo Kk 酸素添加空気清浄器
KR940002829Y1 (ko) * 1991-08-03 1994-04-23 주식회사 금성사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의 회전헤드드럼장치
JPH10234836A (ja) * 1997-02-26 1998-09-08 Sanyo Electric Co Ltd 空質活性機
KR20010028798A (ko) * 1999-09-22 2001-04-06 함정우 산소 밀도/습도 조절기능 및 유해가스 경보기능을 가진
KR20020095514A (ko) * 2001-06-14 2002-12-27 주식회사 부성에이스 산소공급수단이 구비된 공기조화기기
KR20030009720A (ko) * 2001-07-23 2003-02-0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산소발생 겸용 공기정화기
KR20040021835A (ko) * 2002-09-05 2004-03-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산소발생 기능이 부가된 공기청정기
KR100503283B1 (ko) * 2002-12-13 2005-07-26 주식회사 케이피씨 산소발생 기능이 부가된 공기정화기
KR20050022217A (ko) * 2003-08-25 2005-03-07 크린에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산소 발생부 내장형 공기 청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6892A (ko) * 2015-12-24 2017-07-05 주식회사 비엠티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생산라인의 공기조화장치
KR102000649B1 (ko) * 2015-12-24 2019-10-02 주식회사 비엠티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생산라인의 공기조화장치
KR102618511B1 (ko) * 2023-02-07 2023-12-27 (주)아하 산소 발생 효율이 증가된 산소 발생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1709B1 (ko) 산소발생기 겸용 공기청정장치
US6328776B1 (en) Air-purifying system
JP4533411B2 (ja) 空気調和機
KR100719955B1 (ko) 산소발생 기능이 구비된 시스템 공기조화장치
JP2007296524A (ja) 空気調和機
KR20200067525A (ko) 차량용 암레스트형 공기청정기
KR100719954B1 (ko) 산소발생 기능이 구비된 공기조화 시스템
KR20090084474A (ko) 공기조화기
KR200308486Y1 (ko) 공기청정기를 갖는 침대
KR102115775B1 (ko) 공기청정기용 착탈구조
KR102261751B1 (ko) 환기 청정공기 공급장치
KR100575316B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조립체 구조
KR100540694B1 (ko) 실내공기질 제어를 위한 창호 일체형 환기장치
KR20040056152A (ko) 공기청정기
CN218645654U (zh) 一种净化组件可拆卸的空调
KR100556313B1 (ko) 환기시스템
KR20030073187A (ko) 진공청소기 겸용 공기청정기
JPH0742980A (ja) 空気清浄器及び空気清浄装置
KR20060109161A (ko) 공기 조화기의 필터 장착 장치
KR20200025986A (ko) 물을 이용한 다용도 무균 공기 청정기
CN219510959U (zh) 一种环绕进风空气净化器
KR200206882Y1 (ko) 농축산소공급장치
KR102067232B1 (ko) 벽부형 전열교환기
KR200419810Y1 (ko) 공기 청정기
KR20220145559A (ko) 공기청정기능을 가진 의료용 산소발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