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4384B1 -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 - Google Patents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4384B1
KR102624384B1 KR1020220181730A KR20220181730A KR102624384B1 KR 102624384 B1 KR102624384 B1 KR 102624384B1 KR 1020220181730 A KR1020220181730 A KR 1020220181730A KR 20220181730 A KR20220181730 A KR 20220181730A KR 102624384 B1 KR102624384 B1 KR 102624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lothing
waste
booth
cylinder
doff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1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연
Original Assignee
아이투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투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투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81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3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3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77Shelters for decontam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65D90/545Discharge end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염된 방호복을 입은 사용자가 탈의부스 안으로 들어가 탈의보조의자에 앉아 방호복을 탈의한 후 서랍 형태의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에 삽입된 방호복 폐기물함에 방호복을 넣고 실링캡을 삽입하고 스위치를 눌러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가 닫히면 상부에서 플레이트가 내려와 실링캡을 눌러 밀폐시키되, 실링캡 외주면에 형성된 절곡부에 의해 테이퍼진 방호복 폐기물함 내부에서 결합되고, 방호복 폐기물함 상부를 덮개로 고정하여 방호복을 자동으로 탈의 부스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Safe changing booth with protective clothing waste box}
본 발명은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염된 방호복을 입은 사용자가 탈의부스 안으로 들어가 탈의보조의자에 앉아 방호복을 탈의한 후 서랍 형태의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에 삽입된 방호복 폐기물함에 방호복을 넣고 실링캡을 삽입하고 스위치를 눌러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가 닫히면 상부에서 플레이트가 내려와 실링캡을 눌러 밀폐시키되, 실링캡 외주면에 형성된 절곡부에 의해 테이퍼진 방호복 폐기물함 내부에서 결합되고, 방호복 폐기물함 상부를 덮개로 고정하여 방호복을 자동으로 탈의 부스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에 관한 것이다.
인수공통전염병은 척추동물과 인간 사이에 상호 전파되는 병원체에 의하여 발생하는 질병이다. 인수공통전염병은 직접전파, 매개곤충 또는 기타 매개물에 의해서 다양하게 전파될 수 있으며, 인수공통전염병을 야기하는 병원체도 기생충, 세균, 바이러스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사람의 법정전염병과 가축의 법정전염병 중 공통되는 인수공통전염병은 탄저, 브루셀라증(브루셀라병), 조류인플루엔자, 렙토스피라증(소렙토스피라병), vCJD(variant Creutzfeldt-Jakob Disease ; 소해면상뇌증), 일본뇌염(돼지일본뇌염), 공수병(광견병), 바베시아증(바베시아병), 결핵(결핵병), 큐열 등이 있다.
가축이나 그 부산물들과 밀접하게 접촉하는 농부, 육가공, 직업적 또는 레크리에이션의 목적으로 자주 야외 환경에 노출되는 사람, 환자를 진료하는 의료인이나 검체, 부검과 관련된 실험실 요원, 그리고 야외에서 역학조사를 벌이는 역학자, 공중보건학자 등이 위험군에 속한다.
최근 세계적으로 신종 인수공통전염병이 증가·확산됨에 따라 국내에서도 인수공통전염병의 예방과 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위험군 중심의 인수공통전염병 관리 활동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특히 상기 위험군에 속하는 인원의 경우, 오염지역을 방역하거나 감염된 가축을 도축하고 내장을 처리하는 등 위험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위험작업을 할 때 반드시 안전보호복을 착용해야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여기서 안전보호복은 신체를 보호하는 각종 보호장구를 통칭해 표현하는 용어로써, 보호안경, 보호장갑, 보호헬멧 등을 모두 포함하며, 이러한 안전보호복을 착용 후 안전하게 폐기처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2021년부터 코로나-19에 대한 긴급대응으로 병원 및 공공기관에서 보호복(방호복, 방진복, 방제복) 사용이 늘어나고 있으며, 사용한 보호복은 바로 폐기처분 해야하므로 보호복을 착용한 의료진이 의료폐기물 봉지에 직접 넣어서 폐기하고 있어 처리가 불편하고 안전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코로나 확진자를 접하는 의료진이 입는 레벨C 보호복과, 선별진료소, 생활치료센터 등 확진전 환자를 접하는 의료진이 입는 레벨D 보호복은 착용하는 대상물과 그에 따라 탈의 방법이 다르며, 레벨C와 비교해서 순서가 간단하고 단독탈의가 가능하다는 레벨D 보호복도 혼자서 탈의가 어렵고 탈의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이에 감염우려를 차단하고 용이하고 안전하게 탈의하도록 돕는 보조장치가 요구된다.
KR 10-1817104 (등록번호) 2018.01.04. KR 10-2222135 (등록번호) 2021.02.24. KR 10-2016-0083421 (공개번호) 2016.07.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오염된 방호복을 입은 사용자가 탈의부스 안으로 들어가 탈의보조의자에 앉아 방호복을 탈의한 후 서랍 형태의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에 삽입된 방호복 폐기물함에 방호복을 넣고 실링캡을 삽입하고 스위치를 눌러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가 닫히면 상부에서 플레이트가 내려와 실링캡을 눌러 밀폐시키되, 실링캡 외주면에 형성된 절곡부에 의해 테이퍼진 방호복 폐기물함 내부에서 결합되고, 방호복 폐기물함 상부를 덮개로 고정하여 방호복을 자동으로 탈의 부스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개의 이격된 굴곡면을 갖는 절곡부가 형성된 실링캡이 방호복 폐기물함으로 삽입될때 굴곡면 사이가 좁아지고 내외 굴곡면이 서로 접촉하며 실링캡의 직경이 작아지되 절곡면 어느 하나가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져 계단식으로 위치되며 밀폐성이 높아진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방호복 폐기물함에 세 벌의 방호복을 수거하고 배출하므로 방호복을 폐기하는 과정을 간소화한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탈의부스 안에 탈의보조의자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탈의하고 측면의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에 삽입된 방호복 폐기물함을 이용해 간단하게 방호복을 폐기할 수 있는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탈의보조의자 끝단에 롤러가 구비되고, 롤러가 탈의보조의자 상부면으로 새로운 시트를 밀어내어 방호복을 탈의한 후 새로운 사용자가 들어왔을 때 위생적으로 깨끗한 시트에 앉을 수 있는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호복 폐기물함에 덮개가 올려진 상태에서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가 닫히면 하부의 제3실린더가 상승하여 덮개를 결합시키고, 이후 ㄱ자의 폐기물함 이송편이 장착된 보조실린더가 상승하여 방호복 폐기물함을 후방으로 밀어서 탈의부스 밖으로 이동시키는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구(101)와 출구(102)가 구비되는 탈의부스(100)와; 상기 탈의부스(100) 내벽면에서 돌출형성되고, 방호복을 벗을 때에 사용자가 앉는 탈의보조의자(110)와; 상기 탈의보조의자(110)의 측면에 설치되며, 오염된 방호복을 투입하는 방호복 폐기물함(130)이 안착되는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가 구비되는 폐기물처리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방호복 폐기물함(130)은 상광하협의 형상이며, 중심에서 방사방향으로 복수개의 굴곡면이 이격되는 절곡부(142)가 형성된 실링캡(140)이 방호복 위에 놓여진 상태에서,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 하부에서 수평으로 배치된 제1실린더(123)가 상기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를 당겨서 제1레일(124)을 따라 탈의부스(100)의 내벽면을 지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탈의부스(100) 내벽면 내부 상부에 위치된 제2실린더(125)가 하강하여 상기 제2실린더(125) 하단의 플레이트(126)가 방호복 폐기물함(130)에 놓여진 실링캡(140)을 가압하며; 상기 플레이트(126)의 가압에 의하여 실링캡(140)은 상기 절곡부(142)의 이격된 굴곡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며 상기 방호복 폐기물함(130)의 내벽면에 밀착된다.
본 발명의 상기 실링캡(140)은 중심에 가장 근접한 제1굴곡면(142a)이 형성되고, 상기 제1굴곡면(142a)의 외측으로 제2굴곡면(142b)이 형성되며, 상기 제2굴곡면(142b)의 외측으로 제3굴곡면(142c)이 형성되며; 상기 제1굴곡면(142a), 제2굴곡면(142b) 및 제3굴곡면(142c)은 서로 이격되되 상기 방호복 폐기물함(130) 삽입되어 상기 제2실린더(125) 하단의 플레이트(126)의 하강에 의하여 가압되며 눌려지면서 서로 거리가 가까워진다.
본 발명의 상기 폐기물처리부(120) 위에 설치된 폐기물처리스위치(122)가 눌리면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 하부에서 수평으로 배치된 제1실린더(123)가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를 당겨서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가 제1레일(124)을 따라 탈의부스(100) 내벽면 내부로 삽입되고; 정해진 실링캡의 개수가 놓여진 이후에 상기 방호복 폐기물함(130)의 상부면에 덮개(150)가 올려진 상태에서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가 닫히면 상기 제2실린더(125)가 하강하거나 또는 방호복 폐기물함(130) 하부에 배치된 제3실린더(127)가 상승하여 덮개(150)가 플레이트(126)에 밀착되되; 상기 방호복 폐기물함(l30) 외측 둘레에 돌출형성되는 제1쐐기(131)와, 상기 덮개(150)의 내측 둘레에 돌출형성되는 제2쐐기(151)가 결합되어 방호복 폐기물함(130)이 밀폐된다.
본 발명의 상기 탈의보조의자(110) 상부에 위치한 의자커버 스위치(111)가 눌리면 탈의부스(100)의 내벽면 내부에 위치한 롤러장치(112)가 안전시트(113)를 밀어내어 안전시트(113)가 탈의보조의자(110) 상부면 위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상기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에는 방호복 폐기물함(130)을 하부 양쪽에서 잡아주는 라운드진 제1고정대(121b1)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대(121b)에서 후방으로 이격되게 상기 방호복 폐기물함(130)을 하부 한쪽에서 잡아주는 제2고정대(121b2)이 형성되며, 상기 제3실린더(127)이 관통하는 장홈(121c)이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장홈(121c)에는 상기 제1고정대(121b1)과 제2고정대(121b2) 사이에서, ㄱ자의 형태의 폐기물함 이송편(128a)이 장착된 보조실린더(128)가 승하강할때에 통과하는 관통홈(121d)이 수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2고정대(121b2)의 높이는 제1고정대(121b1)의 높이보다 작으며; 상기 폐기물함 이송편(128a)의 최대 상승 높이가 상기 제2고정대(121b2)의 높이보다 위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덮개(150)가 결합된 방호복 폐기물함(130)은 제3실린더(127)의 상승에 의하여 상기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에서 분리되고; 상기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의 전진후에 제3실린더(127)가 하강하여 방호복 폐기물함(130)을 제2고정대(121b2)의 후방에 내려주며; 상기 폐기물함 이송편(128a)이 장착된 보조실린더(128)가 관통홈(121d)을 지나 상승하여 방호복 폐기물함(130)을 후방으로 밀어서 탈의부스(100) 외부로 이송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실링캡(140)의 절곡부(142)에는 복수개의 절개선(141)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는 오염된 방호복을 입은 사용자가 탈의부스 안으로 들어가 탈의보조의자에 앉아 방호복을 탈의한 후 서랍 형태의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에 삽입된 방호복 폐기물함에 방호복을 넣고 실링캡을 삽입하고 폐기물처리스위치를 눌러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가 닫히면 상부에서 플레이트가 내려와 실링캡을 눌러 밀폐시키되, 실링캡 외주면에 형성된 절곡부에 의해 테이퍼진 방호복 폐기물함 내부에서 결합되고, 방호복 폐기물함 상부를 덮개로 고정하여 방호복을 자동으로 탈의 부스 외부로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이격된 굴곡면을 갖는 절곡부가 형성된 실링캡이 방호복 폐기물함으로 삽입될때 굴곡면 사이가 좁아지고 내외 굴곡면이 서로 접촉하며 실링캡의 직경이 작아지되 절곡면 어느 하나가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져 계단식으로 위치되며 밀폐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방호복 폐기물함에 세 벌의 방호복을 수거하고 배출하므로 방호복을 폐기하는 과정을 간소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탈의부스 안에 탈의보조의자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탈의하고 측면의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에 삽입된 방호복 폐기물함을 이용해 간단하게 방호복을 폐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탈의보조의자 위에 의자커버스위치를 누르면 탈의보조의자 끝단에 구비된 롤러장치가 탈의보조의자 상부면으로 새로운 시트를 밀어내어 방호복을 탈의한 후 위생적으로 깨끗한 시트에 앉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은 방호복 폐기물함에 덮개가 올려진 상태에서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가 닫히면 하부의 제3실린더가 상승하여 덮개를 결합시키고, 이후 ㄱ자의 폐기물함 이송편이 장착된 보조실린더가 상승하여 방호복 폐기물함을 후방으로 밀어서 탈의부스 밖으로 이동시켜 방호복 폐기물함을 한 곳으로 모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에서 공기가 순환하는 모습을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에서 탈의부스의 내벽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에서 탈의부스 내벽면 내측에서 안전시트를 살균하고 밀어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에서 내벽면 내측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에서 폐기물처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 폐기물함에서 실링캡과 덮개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 폐기물함에 3개의 실링캡과 덮개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폐기물처리부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폐기물처리부의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1실링캡이 방호복 폐기물함에 삽입되고,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가 후진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제2실린더가 하강하여 플레이트가 제1실링캡을 누르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서 제1실링캡이 방호복 폐기물함에 결합된 상태에서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가 전진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서 방호복 폐기물함에 세 개의 실링캡과 덮개가 결합된 상태에서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가 후진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서 방호복 폐기물함의 위에서 제2실린더가 하강하여 플레이트로 덮개를 눌러 밀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서 방호복 폐기물함의 아래에서 제3실린더가 상승하고,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가 전진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서 방호복 폐기물함의 아래에서 제3실린더가 하강하여 방호복 폐기물함을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의 후방측에 배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서 전진한 상태의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의 후방측에서 제3실린더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서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가 후진하여 후방측에 배치된 방호복 폐기물함을 뒤로 이송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서 후진한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 후방측에 방호복 폐기물함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서 보조실린더가 상승하여 폐기물함 이송편이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의 관통홈을 관통하여 올라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서 보조실린더가 상승하여 폐기물함 이송편이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의 관통홈을 관통하여 올라온 상태의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서 보조실린더의 폐기물함 이송편이 방호복 폐기물함을 뒤로 밀어주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서 보조실린더의 폐기물함 이송편이 방호복 폐기물함을 밀어주기 위해 이동한 상태의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에서 폐기물처리부의 후방측에 위치하여 방호복 폐기물함을 외부로 배출하는 도어와 도어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세 개의 방호복을 폐기가능한 방호복 폐기물함(130)이 구비되어 안전하고 편리하게 방호복을 탈의하고 폐기할 수 있는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로서, 도 1 내지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101)와 출구(102)가 구비되고, 위에서 공기가 유입되고 아래에서 흡기하여, 오염된 공기를 일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외부 배출을 억제하는 탈의부스(100)와,
상기 탈의부스(100) 내벽면에서 돌출형성되고, 사용자가 앉아서 오염된 방호복을 벗는 탈의보조의자(110)와,
상기 탈의보조의자(110) 측면에 위치하며 탈의부스(100) 내벽면에서 슬라이딩되어 내벽면 내부로 들어가거나 또는 내벽면 외부로 돌출되며, 오염된 방호복을 투입하는 방호복 폐기물함(130)이 안착되는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가 구비되는 폐기물처리부(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전방은 탈의부스(100) 내벽면에서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을 의미하며, 후방은 탈의부스(100) 내벽면에서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고 레일, 실린더 및 보조실린더(128)가 설치된 방향을 의미한다. 전진은 전방으로의 이동을, 후진은 후방으로의 이동을 의미한다.
내벽면의 내부는 레일, 실린더 등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방호복을 벗을때에 노출되지 않아 확인할 수 없는 곳을 의미하며, 내벽면의 외부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상으로 사용자에게 노출된 곳을 의미한다. 이러한 내벽면의 내부와 외부는 모두 탈의부스(100) 내측이다.
본 발명에서 폐기물 안척용 베이스(121)는 내벽면의 외부 또는 내부에 위치하며, 열린 상태는 폐기물 안척용 베이스(121)가 내벽면에서 전방(외부)으로 이동된 상태, 닫힌 상태는 폐기물 안척용 베이스(121)가 내벽면에서 후방(내부)으로 이동된 상태를 의미하며, 방호복은 별도의 언급이 없으면 오염된 방호복을 의미한다.
상기 방호복 폐기물함(130)은 상광하협의 형상이며, 중심에서 방사방향으로 복수개의 굴곡면이 이격되는 절곡부(142)가 형성된 실링캡(140)이 방호복 위에 놓여진 상태에서,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 하부에서 수평으로 배치된 제1실린더(123)가 상기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를 당겨서 제1레일(124)을 따라 탈의부스(100)의 내벽면을 지나 내부로 삽입된다.
방호복 폐기물함(130)이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의 후진에 따라 상기 탈의부스(100) 내벽면으로 이동하면, 내부 상부에 위치된 제2실린더(125)가 하강하여 상기 제2실린더(125) 하단의 플레이트(126)가 방호복 폐기물함(130)에 놓여진 실링캡(140)을 가압하며, 상기 플레이트(126)의 가압에 의하여 실링캡(140)은 상기 절곡부(142)의 이격된 굴곡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며 상기 방호복 폐기물함(130)의 내벽면에 밀착된다.
실링캡(140)의 절곡부(142)는 중심에서 방사방향으로 동일거리에 위치하여 원형을 이루고, 복수개의 굴곡면이 서로 이격된 상태를 형성한다. 이러한 이격된 굴곡면은 방호복 폐기물함(130) 속에 삽입되어 밀폐력을 증가시키는 구성으로, 복수개로 구비된다. 이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굴곡면을 3개로 상정하여 설명한다. 굴곡면은 방호복 폐기물함(130)에 삽입되는 방호복의 개수와 대응되며, 굴곡면이 3개라면 방호복을 3벌까지 삽입할 수 있다.
실링캡(140)의 절곡부(142)는 원형을 이루며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이격된 굴곡면 사이에는 다음 굴곡면과 연결하는 절곡면이 존재한다. 따라서 절곡부(142)는 일체형으로 굴곡면, 절곡면, 굴곡면, 절곡면이 반복되어 굴곡면과 그 다음 굴곡면은서로 이격된다. 이러한 이격된 굴곡면은 방사방향에서의 가압에 의하여 좁아지고, 강한 가압에 의하여 연속된 굴곡면과 절곡면이 접촉하며 실링캡(140)의 외경이 축소된다.
따라서, 실링캡(140)이 방호복 폐기물함(130) 내에 삽입되어 제2실린더(125)의 하단에 설치된 플레이트(126)가 가압하면 연속된 굴곡면과 절곡면 사이가 좁아지며 접촉하게 되고, 이격된 굴곡면과 그 다음 굴곡면 사이의 간격도 좁아지게 된다.
이때 굴곡면과 절곡면은 경성의 재질로 이루어져 실링캡(140)의 외경이 방호복 폐기물함(130) 내에서 좁아질 때 스텝으로 좁아지게 할 수 있어, 제2실린더(125)의 하강에 의하여 플레이트(126)가 하강할때에 방호복 폐기물함(130) 내에서의 위치를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굴곡면 또는 절곡면에는 절개선(141)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플레이트(126)가 하강할때에 방호복 폐기물함(13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하에서는 실링캡(140)의 절곡부(142)에서 굴곡면이 3개로 상정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폐기물처리부(120)에서 오염된 방호복을 폐기시키기 위하여 보관하는 상기 방호복 폐기물함(130)은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복이 삽입되고 둘레를 따라 굴곡면 또는 절곡면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절개선(141)과, 3단 굴곡면에 의한 절곡부(142)가 형성된 실링캡(140)이 삽입되되, 상기 방호복 폐기물함(130)에 첫 번째 방호복이 들어간 상태에서 제1실링캡(140a)을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진(상광하협) 방호복 폐기물함(130)으로 넣게 되면 제1실링캡(140a)의 절곡부(142) 중 가장 안쪽의 제1굴곡면(142a) 이외의 제2굴곡면(142b)와 제3굴곡면(142c)이 겹쳐지며 내벽면에 걸리고 제1실링캡(140a)의 최외곽부 직경이 가장 작은 상태가 되며, 상기 제1실링캡(140a) 위로 두 번째 방호복이 들어간 상태에서 제2실링캡(140b)을 방호복 폐기물함(130)으로 넣게 되면 상기 제2실링캡(140b)의 제1굴곡면(142a)과 제2굴곡면(142b) 외에 제3굴곡면(142c)가 펼쳐지며 내벽면에 걸리고 제2실링캡(140b)의 최외곽부 직경이 제1실링캡(140a)보다 큰 상태가 되며, 상기 제2실링캡(140b) 위로 세 번째 방호복이 들어간 상태에서 제2실링캡(140c)을 방호복 폐기물함(130)으로 넣게 되면 제3실링캡(140c)의 제3굴곡면(142c)이 내벽면에 걸려 제3실링캡(140c)의 최외곽부 직경이 제2실링캡(140b) 보다 큰 상태가 된다. 상기 제1굴곡면(142a), 제2굴곡면(142b), 제3굴곡면(142c) 사이의 도면 부호 없는 연결면이 절곡면이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링캡(140)은 제2실린더(125)의 하강으로 테이퍼진 방호복 폐기물함(130)으로 삽입될 때 둘레에 형성된 세 개의 굴곡면 사이 간격이 좁아지며, 세 개의 굴곡면의 내외 절곡면이 서로 접촉하면서 실링캡(140)의 외곽 직경이 작아진다. 그러면서 절곡면 또는 굴곡면은 단단한 재질이어서 제2실린더(125)의 하강시에 계단식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절곡부(142)는 손으로 절곡면이 좁아지지 않을 정도로 단단하게 벌어져 있게 된다. 이에 밀폐성이 올라가게 되며, 공기 배출을 위한 절개선(141)이 설치되어 실링캡(140)이 내려가면서 방호복 폐기물함(13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실링캡(140)은 중앙에 요철부(143)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143)에 의해 방호복 폐기물함(130) 내부의 진공시 발생할 수 있는 휨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실링캡(140)은 도 3과 같이, 상기 탈의부스(100) 내벽면에 형성된 실링캡보관부(109)에 노출하여 보관되며, 사용자가 방호복을 벗은 후 상기 방호복 폐기물함(130)으로 실링캡(140)을 올려 놓는 것은 탈의부스(100) 내벽면으로부터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가 전진하여 열린 상태에서 하고, 밀폐를 위한 가압 작업은 탈의부스(100) 내벽면 내부로 들어가(후진) 제2실린더(125)가 수행한다. 상기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는 방호복을 방호복 폐기물함(130)으로 넣을 수 있도록 전진한 열린 상태가 기본상태가 된다.
상기 방호복 폐기물함(130)은 세 개의 실링캡(140)이 삽입되고, 가장 상단에 덮개(150)가 결합되는데, 상기 덮개(150)는 도 3과 같이, 상기 탈의부스(100) 내벽면에 형성된 덮개보관부(108)에 노출하여 보관되며, 실링캡(140)과 마찬가지로 사람이 직접 올려놓고 폐기물처리스위치(122)를 누르면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가 후진하여 탈의부스(100) 내벽면 내부에서 덮개(150)를 눌러 완전 밀폐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가 전진하면 탈의부스(100)의 내벽면에서 외부로 나와 있는 상태로 열린 상태가 되고,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가 후진하면 탈의부스(100) 내벽면 내부로 들어가 있는 상태로 닫힌 상태가 된다.
이하에서는 방호복이 3벌 들어간 후 덮개를 밀폐시킨 후 방호복 폐기물함(130)을 탈의부스(100) 밖으로 자동 배출시키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폐기물처리부(120)의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가 열린 상태에서 폐기물처리스위치(122)를 누르면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 하부에서 수평으로 배치된 제1실린더(123)의 피스톤(123a)이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를 당겨서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 하단부에 설치된 레일(124)을 따라 탈의부스(100) 내벽면으로 내부로 삽입시키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의부스(100) 내벽면 내측 상부에 위치된 제2실린더(125)가 하강하여 제2실린더(125) 하부에 설치된 평평한 원형의 플레이트(126)가 방호복 폐기물함(130)에 삽입된 제1실링캡(140a), 제2실링캡(140b), 제3실링캡(140c), 즉 세 개의 실링캡(140)을 순차적으로 눌러주면 방호복 폐기물함(130)에 실링캡(140)이 빡빡하게 끼워지며 밀폐된다.
이때, 상기 제2실린더(125)는 하부에 배치된 플레이트(126)를 이용해 실링캡(140)을 누르되, 상기 방호복 폐기물함(130)에서 가장 아래에 배치되는 제1실링캡(140a)을 누를 때와, 상기 제1실링캡(140a) 상부에 배치되는 제2실링캡(140b)을 누를 때와, 상기 제2실링캡(140b) 상부에 배치되는 제3실링캡(140c)을 누르는 깊이를 다르게 설정한다.
제2실린더(125)가 하강하여 방호복 폐기물함(130)에 실링캡(140)을 결합하고 상승하면, 상기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는 전진하여 내벽면 외부로 나와 열린 상태로 대기하며 다음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하나의 방호복 폐기물함(130)에 3번째 방호복이 들어가고 상기 제3실링캡(140c)이 밀착된 상태에서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가 전진하여 열리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복 폐기물함(130)의 개방된 상부면에 덮개(150)가 올려진 상태에서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가 닫히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린더(125)가 하강하여 덮개(150)를 눌러주어 방호복 폐기물함(130)에 결합시키거나, 방호복 폐기물함(130) 하부에 배치된 제3실린더(127)가 상승하여 덮개(150)가 플레이트(126)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방호복 폐기물함(130)은 제1실링캡(140a), 제2실링캡(140b), 제3실링캡(140c), 그리고 덮개(150)까지 올라간 상태에서 플레이트(126)가 눌러주면 완전 밀폐되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호복 폐기물함(l30) 외측 둘레에 돌출형성되는 제1쐐기(131)와, 상기 덮개(150)의 내측 둘레에 돌출형성되는 제2쐐기(151)가 맞물리며 결합되므로 방호복 폐기물함(130)이 완전 밀폐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의부스(100)는 가로 3042mm, 세로 1170mm, 높이 2275mm의 칸막이 형태의 격자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들어가고 나가는 입구(101)와 출구(10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입구(101)와 출구(102)에는 센서로 자동 개폐되는 도어가 구비된다.
상기 탈의부스(100)는 사용자가 입구(101)를 통해 입장하면 진입구간에서 전신소독이 가능하고, 정화된 공기를 순환시키며, 천장에 설치된 UVC 램프로 실내를 살균하고, 바닥면(103)에 설치된 풋클리너(미도시)로 오염된 신발을 소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탈의부스(100)는 헤파필터를 설치하고, 실내 하방기류 발생으로 공기와류를 최소화하며, 탈의된 방호복이 투입된 방호복 폐기물함(130)으로부터 바이러스 비산을 막는 석션기능이 내장된다. 이와 같이 상기 탈의부스(100)는 자동 멸균 및 신속환기 기능이 적용된다.
상기 탈의부스(100) 외부에는 제1공기흡입구(104a), 제2공기흡입구(104b), 제1공기배출구(105a), 제2공기배출구(105b)가 구비되며, 상기 제1공기흡입구(104a)는 천장에서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탈의부스(100) 내부의 사용자가 있는 공간으로 에어커튼을 통해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제1공기배출구(105a)는 탈의부스(100)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고 외부로 배출시켜 정화된 공기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제2공기흡입구(104b)는 탈의부스(100)의 내벽면 내측에 위치된 공간에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흡기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2공기배출구(105b)는 탈의부스(100)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켜 배출한다.
상기 탈의부스(100)는 외벽면에 컨트롤패널(106)이 구비되어 다양한 기능을 조작할 수 있고, QR code가 프린트되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탈의부스(100)의 내부에서 상부면에는 제1공기흡입구(104a)를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하부면에서는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제1공기배출구(105a)를 통해 배출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면 내측에는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한 한 후 배출하기 위한 음압기(16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탈의부스(100) 내벽면 내측에는 소독약품통(170)이 배치되어 소독이 필요한 곳으로 약품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탈의부스(100) 내벽면에는 탈의보조의자(110)가 설치되고, 방호복 폐기물함(130)이 삽입되는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가 구비된 폐기물처리부(120)가 설치되며, 내벽면 내부에는 탈의보조의자(110)의 새로운 안전시트(113)가 슬라이딩되며 삽입되고 배출될 수 있도록 롤러장치(112)와, 상기 폐기물처리부(120)에서 방호복 폐기물함(130)을 밀폐시키기 위한 제2실린더(125)와, 탈의부스(100) 밖으로 배출 이송하기 위한 제3실린더(127) 및 보조실린더(128)가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탈의보조의자(110)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아서 방호복을 탈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오염된 방호복을 벗고 탈의보조의자(110) 상부에 위치한 의자커버스위치(111)를 누르면 롤러장치(112)가 내부에서 안전시트(113)를 밀어내어 새로운 안전시트(113)가 탈의보조의자(110) 상부면에 배치된다. 이에 사용자는 오염된 방호복을 벗은 후에는 위생적으로 깨끗한 안전시트(113)에 앉을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의보조의자(110) 상부면으로 안전시트(113)를 외부로 밀어내는 롤러장치(112)는 롤러장치(112)를 구동하는 롤러장치모터(112a)와, 상기 롤러장치모터(112a)와 연결되어 회전하고 롤러가 장착된 회전축(112b)이 구비되며, 상기 안전시트(113)의 상부와 하부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안전시트(113)가 슬라이딩되며 탈의보조의자(110) 상부면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탈의부스(100)의 내벽면에는 탈의보조의자(110)가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부면에 안전시트(113)가 슬라이딩되며 전후진하도록 안전시트 배출공(114)이 형성되며, 내벽면 내부에는 제1UV램프(115)가 설치된다. 상기 안전시트(113)는 사용자가 앉았던 상태에서 탈의부스(100) 내벽면 안전시트 배출공(114)을 통해 내측으로 삽입되면 상부에 위치한 제1UV램프(115)에서 살균처리된다. 이에 다음 사용자는 살균된 안전시트(113)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폐기물처리부(120)는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호복 폐기물함(130)이 안착되는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와, 상기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의 전후진을 위한 제1실린더(123)와, 상기 방호복 폐기물함(130)에 결합되는 실링캡(140) 및 덮개(150)를 밀착시키는 제2실린더(125)와, 상기 덮개(150)를 방호복 폐기물함(130)에 결합하거나 상기 방호복 폐기물함(130)을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의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상승시켜줄 제3실린더(127)와, 상기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의 후방측으로 이동한 방호복 폐기물함(130)을 밀어서 탈의부스(100)로부터 밖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보조실린더(1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폐기물처리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의보조의자(110) 일측에서 탈의부스(100) 내벽면에서 돌출되되, 슬라이딩되는 서랍형태의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가 구비되며, 상기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에 오염된 방호복을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한 방호복 폐기물함(130)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는 방호복 폐기물함(130)이 삽입되는 주변부의 오염된 공기를 빨아들이는 흡기구(121a)가 구비된다.
상기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가 전진하여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방호복 폐기물함(130)에 오염된 방호복과 제1실링캡(140a)을 순차적으로 넣은 후 폐기물처리스위치(122)를 누르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가 제1실린더(123)에 의해 레일(124)을 따라 후진하여 닫힌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폐기물처리부(12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린더(125) 하부에 설치되어 제2실린더(125)와 함께 하강하는 플레이트(126)를 이용해 제1실링캡(140a)을 눌러 방호복 폐기물함(130)에 결합시키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린더(123)를 이용해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를 전진시켜 다음 사용자가 방호복을 넣을 수 있는 대기 상태가 된다. 다음 사용자가 탈의부스(100)로 들어와 전신 소독 후 탈의보조의자(110)에 앉아 방호복을 벗은 후 방호복 폐기물함(130)에 방호복을 넣고 제2실링캡(140b)을 넣은 후 폐기물처리스위치(122)를 누르면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가 제1실린더(123)에 의해 레일(124)을 따라 후진하여 닫힌 상태가 되며, 상기 제2실린더(125)에 의해 하강하는 플레이트(126)를 이용해 제2실링캡(140b)을 눌러 방호복 폐기물함(130)에 결합시키며 제1실린더(123)를 이용해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를 전진시켜 방호복 폐기물함(130)에 세 번째 방호복이 담길 수 있도록 준비한다.
세 번째 사용자가 탈의부스(100) 안으로 들어와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에 삽입된 방호복 폐기물함(130)으로 방호복을 넣고 제3실링캡(140c)을 넣은 후 폐기물처리스위치(122)를 누르면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는 후진하고 플레이트(126)가 하강하여 제3실링캡(140c)을 눌러 방호복 폐기물함(130)에 결합시키며 다시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를 전진시켜 개방된 방호복 폐기물함(130) 상부면에 덮개(150)를 배치하도록 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번째 사용자가 방호복 폐기물함(130)에 덮개(150)를 배치한 상태에서 폐기물처리스위치(122)를 눌러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가 후진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호복 폐기물함(130)에 덮개(150)를 밀착시키기 위해 제2실린더(125)가 하강하거나,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복 폐기물함(130)이 제3실린더(127)에 의해 상승한다.
상기 제3실린더(127)에 의해 방호복 폐기물함(130)이 상승하면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가 전진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린더(127)가 하강하여 방호복 폐기물함(130)을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의 후방측에 내려준다. 이때에는 방호복 폐기물함(130)이 제1고정대(121b1)에서 벗어나 도 18과 같이 제2고정대(121b2)에 의하여 고정되고,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가 후진하면 도 21 및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린더(127) 후방측의 위치한 ㄱ자 형태의 폐기물함 이송편(128a)이 장착된 보조실린더(128)가 상승하여 도 23 및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복 폐기물함(130)을 후방으로 밀어서 부스 밖으로 이송한다.
상기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에는 방호복 폐기물함(130)을 하부 양쪽에서 잡아주는 라운드진 제1고정대(121b1)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대(121b)에서 후방으로 이격되게 상기 방호복 폐기물함(130)을 하부 한쪽에서 잡아주는 제2고정대(121b2)이 형성되며, 상기 제3실린더(127)이 관통하는 장홈(121c)이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장홈(121c)에는 상기 제1고정대(121b1)과 제2고정대(121b2) 사이에서, ㄱ자의 형태의 폐기물함 이송편(128a)이 장착된 보조실린더(128)가 승하강할때에 통과하는 관통홈(121d)이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고정대(121b2)의 높이는 제1고정대(121b1)의 높이보다 작으며, 상기 폐기물함 이송편(128a)의 최대 상승 높이가 상기 제2고정대(121b2)의 높이보다 위에 구비되어 폐기물함 이송편(128a)이 상기 제2고정대(121b2) 위를 지나 방호복 폐기물함(130)을 밀어낼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실린더(128)는 하부에 구비된 제2레일(129)을 따라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에서 방호복 폐기물함(130)을 뒤로 밀어서 탈의부스(100) 부스 밖으로 배출하도록 하는데, 상기 탈의부스(100) 외부에는 테라스처럼 방호복 폐기물함(130)이 집하되는 폐기물함 집하장(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탈의부스(100) 내부에는 방호복 폐기물함(130)이 나가는 도어(107)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107)는 도어개폐장치(107a)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며 방호복 폐기물함(130)이 나갈 때 상승하여 열리고 나간 후 하강하여 닫힌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07)는 폐기물처리부(120)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개폐장치(107a)인 실린더의 끝단에 도어결합부(107b)가 도어(107)에 결합되어 승강되며 도어(107)의 하단에서 도어(107)를 잡아당기고 끌어내리도록 한다.
상기 폐기물처리부(120)에서 제1실린더(123)는 피스톤(123a)으로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 하단부를 당겨서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가 레일(124)을 따라 탈의부스(100) 내벽면 내부로 이동시키고, 제2실린더(125)는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에 담긴 방호복 폐기물함(130) 내부로 플레이트(126)를 삽입하여 실링캡(140) 및 덮개(150)을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3실린더(127)는 방호복 폐기물함(130)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서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에서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보조실린더(128)는 폐기물함 이송편(128a)을 이용해 후방측에 위치된 방호복 폐기물함(130)을 뒤로 밀어서 이송하도록 한다. 상기 제2실린더(125)는 제1실링캡(140a), 제2실링캡(140b), 제3실링캡(140c) 및 덮개(150)를 누를 때 이동하는 거리가 다르게 된다. 상기 제2실린더(125)는 제2실린더(125)를 구동하는 제2실린더모터(125a)와, 제2실린더(125) 주변에서 제2실린더(125)를 지지하며 동시에 승강하는 제2실린더지지대(125b)와, 상기 제2실린더(125)와 제2실린더지지대(125b)가 슬라이딩되는 제2실린더레일(125c)과, 상기 제2실린더지지대(125b)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실린더지지판(125d)이 구비되며, 하부에는 플레이트(126)가 설치되어 실링캡(140)과 덮개(150)를 눌러 방호복 폐기물함(130)에 밀착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는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복 폐기물함(130)이 안착되도록 라운드 형성되는 상부면 둘레를 따라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121a)가 형성되고, 하부에 베이스바닥판(121f)이 구비되며, 방호복 폐기물함(130) 하부측에서 방호복 폐기물함(130)을 고정하는 제1고정대(121b)가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대(121b)는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에서, 상기 베이스바닥판(121f) 전방측에서 방호복 폐기물함(130) 하단부 전후면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방호복을 넣는 과정에서 방호복 폐기물함(130)이 흔들릴 수 있으므로 높게 위치시켜 안전하게 고정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바닥판(121f)에는 전방에서 후방까지 양측에 장홈(121c)이 형성되어 상기 장홈(121c)으로 상승한 제3실린더(127)의 상부에 위치한 폐기물함 고정판(127a)이 관통하게 되며, 상기 폐기물함 고정판(127a)은 상기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가 전진시 상승한 상태에서 방호복 폐기물함(130)을 들고 있다가 하강하여 베이스바닥판(121f)의 후방측에(제2고정대(121b2)에 맞닿게) 방호복 폐기물함(130)을 안착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폐기물함 고정판(127a)에는 4방향에 제3고정대(127b)가 구비되어 방호복 폐기물함(130)을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에는 보조실린더(128)가 상승시 관통하는 관통홈(121d)이 상기 장홈(121c)에 수직하게 구비되며, 상기 관통홈(121d)은 장홈(121c)에서 전방측과 후방측 사이에 설치되어 보조실린더(128)의 상부에 설치된 ㄱ자 형태의 폐기물함 이송편(128a)이 관통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고, 보조실린더(128)가 일측 장홈(121c)에서 제2레일(129)을 따라 이동하며 방호복 폐기물함(130)을 후방측으로 길게 밀어주어 부스 외부로 배출하게 한다.
한편, 상기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는 방호복 폐기물함(130) 양측에서 전후진시 방호복 폐기물함(130)을 안정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가이드(121e)가 더 배치되는데, 상기 가이드(121e)의 높이가 높아서 측면도에서 방호복 폐기물함(130)의 하단부가 가려지므로 측면도에서는 가이드를 빼고 도시한다.
상기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는 하부에 레일(124)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124)을 거치하는 레일지지대(124b)가 구비되는 베이스지지대(124a)에 의해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탈의보조의자(110) 하부에는 센서(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가 몇 번째 전진 또는 후진하는지 확인하고, 방호복 폐기물함(130)이 나왔는지 아닌지 확인하여 가득 찬 방호복 폐기물함(130)을 외부로 배출하는 정보를 얻는다.
한편, 상기 폐기물처리부(120)가 탈의부스(100) 내벽면으로 삽입되었을 때는 방호복 폐기물함(130) 주변으로 소독약이 뿌려지고, 측면에 설치되는 제2UV램프(120a)와, 상부에 설치되는 제3UV램프(120b)에 의해 살균처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는 오염된 방호복을 입은 사용자가 탈의부스(100) 안으로 들어가 탈의보조의자(110)에 앉아 방호복을 탈의한 후 서랍 형태의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에 삽입된 방호복 폐기물함(130)에 방호복을 넣고 실링캡(140)을 삽입하고 폐기물처리스위치(122)를 눌러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가 닫히면 상부에서 제2실린더(125)와 함께 플레이트(126)가 내려와 실링캡을 눌러 밀폐시키되, 실링캡 외주면에 형성된 절곡부에 의해 테이퍼진 방호복 폐기물함 내부에서 결합되고, 방호복 폐기물함 상부를 덮개로 고정하여 방호복을 자동으로 탈의 부스 외부로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이격된 굴곡면을 갖는 절곡부가 형성된 실링캡이 방호복 폐기물함으로 삽입될때 굴곡면 사이가 좁아지고 내외 굴곡면이 서로 접촉하며 실링캡의 직경이 작아지되 절곡면 어느 하나가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져 계단식으로 위치되며 밀폐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방호복 폐기물함(130)에 세 벌의 방호복을 수거하고 배출하므로 방호복을 폐기하는 과정을 간소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탈의부스 안에 탈의보조의자(110)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탈의하고 측면의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에 삽입된 방호복 폐기물함(130)을 이용해 간단하게 방호복을 폐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탈의보조의자(110) 위에 의자커버스위치(111)를 누르면 탈의보조의자 끝단에 구비된 롤러장치(112)가 탈의보조의자(110) 상부면으로 새로운 안전시트(113)를 밀어내어 방호복을 탈의한 후 위생적으로 깨끗한 안전시트(113)에 앉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은 방호복 폐기물함에 덮개가 올려진 상태에서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가 닫히면 하부의 제3실린더가 상승하여 덮개를 결합시키고, 이후 ㄱ자의 폐기물함 이송편이 장착된 보조실린더가 상승하여 방호복 폐기물함을 후방으로 밀어서 탈의부스 밖으로 이동시켜 방호복 폐기물함을 한 곳으로 모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100 : 탈의부스 101 : 입구
102 : 출구 103 : 바닥면
104 : 공기흡입구 105 : 공기배출구
106 : 컨트롤패널 107 : 도어
107a : 도어개폐장치 107b : 도어결합부
108 : 덮개보관부 109 : 실링캡보관부
110 : 탈의보조의자 111 : 의자커버스위치
112 : 롤러장치 112a : 롤러장치모터
112b : 회전축 113 : 안전시트
114 : 안전시트 배출공 115 : 제1UV램프
120 : 폐기물처리부 120a : 제2UV램프
120b : 제3UV램프 121 :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
121a : 흡기구 121b1 : 제1고정대
121b2 : 제2고정대
121c : 장홈 121d : 관통홈
121e : 가이드 121f : 베이스바닥판
122 : 폐기물처리스위치 123 : 제1실린더
123a : 피스톤 124 : 제1레일
124a : 베이스지지대 124b : 레일지지대
125 : 제2실린더 125a : 제2실린더모터
125b : 제2실린더지지대 125c : 제2실린더레일
125d : 제2실린더지지판 126 : 플레이트
127 : 제3실린더 127a : 폐기물함 고정판
127b : 제3고정대 128 : 보조실린더
128a : 폐기물함 이송편 129 : 제2레일
130 : 방호복 폐기물함 131 : 제1쐐기
140 : 실링캡 140a : 제1실링캡
140b :제2실링캡 140c : 제3실링캡
141 : 절개선 142 : 절곡부
142a : 제1굴곡면 142b : 제2굴곡면
142c : 제3굴곡면 143 : 요철부
150 : 덮개 151 : 제2쐐기
160 : 음압기 170 : 소독약품통

Claims (8)

  1. 입구(101)와 출구(102)가 구비되는 탈의부스(100)와;
    상기 탈의부스(100) 내벽면에서 돌출형성되고, 방호복을 벗을 때에 사용자가 앉는 탈의보조의자(110)와;
    상기 탈의보조의자(110)의 측면에 설치되며, 오염된 방호복을 투입하는 방호복 폐기물함(130)이 안착되는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가 구비되는 폐기물처리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방호복 폐기물함(130)은 상광하협의 형상이며, 중심에서 방사방향으로 복수개의 굴곡면이 이격되는 절곡부(142)가 형성된 실링캡(140)이 방호복 위에 놓여진 상태에서,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 하부에서 수평으로 배치된 제1실린더(123)가 상기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를 당겨서 제1레일(124)을 따라 탈의부스(100)의 내벽면을 지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탈의부스(100) 내벽면 내부 상부에 위치된 제2실린더(125)가 하강하여 상기 제2실린더(125) 하단의 플레이트(126)가 방호복 폐기물함(130)에 놓여진 실링캡(140)을 가압하며;
    상기 플레이트(126)의 가압에 의하여 실링캡(140)은 상기 절곡부(142)의 이격된 굴곡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며 상기 방호복 폐기물함(130)의 내벽면에 밀착되는;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캡(140)은 중심에 가장 근접한 제1굴곡면(142a)이 형성되고, 상기 제1굴곡면(142a)의 외측으로 제2굴곡면(142b)이 형성되며, 상기 제2굴곡면(142b)의 외측으로 제3굴곡면(142c)이 형성되며;
    상기 제1굴곡면(142a), 제2굴곡면(142b) 및 제3굴곡면(142c)은 서로 이격되되 상기 방호복 폐기물함(130) 삽입되어 상기 제2실린더(125) 하단의 플레이트(126)의 하강에 의하여 가압되며 눌려지면서 서로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처리부(120) 위에 설치된 폐기물처리스위치(122)가 눌리면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 하부에서 수평으로 배치된 제1실린더(123)가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를 당겨서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가 제1레일(124)을 따라 탈의부스(100) 내벽면 내부로 삽입되고;
    정해진 실링캡의 개수가 놓여진 이후에 상기 방호복 폐기물함(130)의 상부면에 덮개(150)가 올려진 상태에서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가 닫히면 상기 제2실린더(125)가 하강하거나 또는 방호복 폐기물함(130) 하부에 배치된 제3실린더(127)가 상승하여 덮개(150)가 플레이트(126)에 밀착되되;
    상기 방호복 폐기물함(l30) 외측 둘레에 돌출형성되는 제1쐐기(131)와, 상기 덮개(150)의 내측 둘레에 돌출형성되는 제2쐐기(151)가 결합되어 방호복 폐기물함(130)이 밀폐되는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의보조의자(110) 상부에 위치한 의자커버 스위치(111)가 눌리면 탈의부스(100)의 내벽면 내부에 위치한 롤러장치(112)가 안전시트(113)를 밀어내어 안전시트(113)가 탈의보조의자(110) 상부면 위로 배치되는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에는 방호복 폐기물함(130)을 하부 양쪽에서 잡아주는 라운드진 제1고정대(121b1)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대(121b1)에서 후방으로 이격되게 상기 방호복 폐기물함(130)을 하부 한쪽에서 잡아주는 제2고정대(121b2)이 형성되며, 상기 제3실린더(127)이 관통하는 장홈(121c)이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장홈(121c)에는 상기 제1고정대(121b1)과 제2고정대(121b2) 사이에서, ㄱ자의 형태의 폐기물함 이송편(128a)이 장착된 보조실린더(128)가 승하강할때에 통과하는 관통홈(121d)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대(121b2)의 높이는 제1고정대(121b1)의 높이보다 작으며;
    상기 폐기물함 이송편(128a)의 최대 상승 높이가 상기 제2고정대(121b2)의 높이보다 위에 구비되는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50)가 결합된 방호복 폐기물함(130)은 제3실린더(127)의 상승에 의하여 상기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에서 분리되고;
    상기 폐기물 안착용 베이스(121)의 전진후에 제3실린더(127)가 하강하여 방호복 폐기물함(130)을 제2고정대(121b2)의 후방에 내려주며;
    상기 폐기물함 이송편(128a)이 장착된 보조실린더(128)가 관통홈(121d)을 지나 상승하여 방호복 폐기물함(130)을 후방으로 밀어서 탈의부스(100) 외부로 이송하는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캡(140)의 절곡부(142)에는 복수개의 절개선(141)이 형성되는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
KR1020220181730A 2022-12-22 2022-12-22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 KR102624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730A KR102624384B1 (ko) 2022-12-22 2022-12-22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730A KR102624384B1 (ko) 2022-12-22 2022-12-22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4384B1 true KR102624384B1 (ko) 2024-01-12

Family

ID=8954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1730A KR102624384B1 (ko) 2022-12-22 2022-12-22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38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952Y1 (ko) * 2002-02-07 2002-04-27 이석호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KR20100010732U (ko) * 2009-04-23 2010-11-02 광림 컴팩 주식회사 쓰레기 압축기
KR20160083421A (ko) 2014-12-31 2016-07-12 (주)우정비에스씨 안전보호복 자동탈의 시스템
KR101817104B1 (ko) 2017-09-14 2018-01-11 (주)우정비에스씨 안전보호복 자동탈의 기능을 갖춘 멸균시스템
KR20210002245A (ko) * 2019-06-28 2021-01-07 김병순 타겟 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스마트 클리닝 부스 및 출입자 청결관리방법
KR102222135B1 (ko) 2020-04-14 2021-03-02 오윤경 출입구 설치형 접이식 차폐 및 소독 부스
KR20220165376A (ko) * 2021-06-08 2022-12-15 아이투엠 주식회사 좌식 탈의 보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952Y1 (ko) * 2002-02-07 2002-04-27 이석호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KR20100010732U (ko) * 2009-04-23 2010-11-02 광림 컴팩 주식회사 쓰레기 압축기
KR20160083421A (ko) 2014-12-31 2016-07-12 (주)우정비에스씨 안전보호복 자동탈의 시스템
KR101817104B1 (ko) 2017-09-14 2018-01-11 (주)우정비에스씨 안전보호복 자동탈의 기능을 갖춘 멸균시스템
KR20210002245A (ko) * 2019-06-28 2021-01-07 김병순 타겟 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스마트 클리닝 부스 및 출입자 청결관리방법
KR102222135B1 (ko) 2020-04-14 2021-03-02 오윤경 출입구 설치형 접이식 차폐 및 소독 부스
KR20220165376A (ko) * 2021-06-08 2022-12-15 아이투엠 주식회사 좌식 탈의 보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1495B1 (ko) 비대면 양압식 선별 진료소
KR101575233B1 (ko) 감염증 환자 선별 통제 시스템
US6497840B1 (en) Ultraviolet germicidal system
KR101817104B1 (ko) 안전보호복 자동탈의 기능을 갖춘 멸균시스템
KR20180093679A (ko) 병실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51700B1 (ko) 진료 부스
KR102180927B1 (ko) 검체 채취 장치
JP6787618B1 (ja) 医療用コンテナ
JPH07461A (ja) 患者隔離装置
CN210947910U (zh) 医用负压标本采样舱
US5782045A (en) Dental treatment unit
KR102624384B1 (ko) 방호복 폐기물함이 구비된 방호복 안심 탈의부스
Palenik et al. Strategies for dental clinic infection control
EP1462076B1 (en) Operation unit
US20190159951A1 (en) Patient care room with reduction of spread of pathogens
WO1994008633A1 (en) Ultraviolet germicidal system
KR102553654B1 (ko) 좌식 탈의 보조 시스템
KR102464658B1 (ko) 듀얼타입 워크스루 검체 채취 장치
US10982486B1 (en) Aerosol reduction system
KR102346479B1 (ko) 진료 부스
KR102420034B1 (ko) 외부에서 심폐소생술이 가능한 이동형 음압백
CN212224770U (zh) 传染病专用诊疗室
JP3230337U (ja) 防護服殺菌装置
US20220117817A1 (en) Simplified examination room and simplified examination room assembly set
JP4231143B2 (ja) 医療検査用安全キャビ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