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018B1 -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018B1
KR102379018B1 KR1020210064491A KR20210064491A KR102379018B1 KR 102379018 B1 KR102379018 B1 KR 102379018B1 KR 1020210064491 A KR1020210064491 A KR 1020210064491A KR 20210064491 A KR20210064491 A KR 20210064491A KR 102379018 B1 KR102379018 B1 KR 102379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disinfection room
living space
indoor
indoor l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신도시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도시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신도시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10064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77Shelters for deconta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발명은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출입문(10)과 실내거주공간(20) 사이에 청정 및 소독실(100)이 설치되고 상기 청정 및 소독실(100)에 손세척기(30)가 설치되는 것으로,
본발명은 아파트나 주택의 출입문과 실내거주공간 사이에 설치되는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에 손세척기가 설치되어 외출에서 돌아온 후 세균과 이물질을 세척하여 소독하여 세균오염을 미리 예방하고 실내거주공간의 청결을 유지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 시스템{Indoor living space cleaning and disinfection room system}
본발명은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 등 주택의 출입문과 실내거주공간 사이인 현관에 설치되는 청정실에 손세척기가 설치되어 외출에서 돌아온 후 세균과 이물질을 세척하여 소독하는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로나, 미세먼지 등의 세균이나 이물질이 확대,만연되는 현대사회에서 주택, 아파트 주거공간내의 청결이 요구되는 실상이며, 종래특허기술의 일례로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7-0059251호에는 개별적으로 구분되는 실내주거공간 내에 배치되어 실내주거공간 내의 실내환경상태를 측정하여 실내주거공간의 환경상태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실내주거공간의 환경상태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내환경 측정장치;
각 실내환경 측정장치로부터 전송된 실내주거공간의 환경상태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해당 실내환경 측정장치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실내주거공간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실내주거공간정보 별로 실내주거공간의 환경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이를 바탕으로 실내주거공간별로 실내주거공간의 환경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 및 전송되도록 실내주거공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내주거공간 통합관리서버; 및
상기 실내주거공간 통합관리서버의 실내주거공간 통합관리 서비스를 통해 실내주거공간별로 실내주거공간의 환경상태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내환경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실내주거공간 통합관리 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947698호에는 청소업체의 주거 공간 친환경 청소 및 살균 청소방법에 사용되는 기능성 청소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실내 내부의 소독, 청결에 요지가 있고, 주거공간인 주택, 아파트에 귀가후, 바로 실내에 들어가면 가족등의 친인들의 감염 및 본인도 오염상태로 그대로 있어서 질병발생의 위험이 큰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아파트나 주택의 출입문과 실내거주공간 사이인 현관에 설치되는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에 손세척기가 설치되어 외출에서 돌아온 후 세균과 이물질을 세척하여 소독하여 세균오염을 미리 예방하고 실내거주공간의 청결을 유지하는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출입문(10)과 실내거주공간(20) 사이에 청정 및 소독실(100)이 설치되고 상기 청정 및 소독실(100)에 손세척기(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아파트나 주택의 출입문과 실내거주공간 사이에 설치되는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에 손세척기가 설치되어 외출에서 돌아온 후 세균과 이물질을 세척하여 소독하여 세균오염을 미리 예방하고 실내거주공간의 청결을 유지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 사시도
도 2는 본발명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 정면도
도 3은 본발명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 측면도
본발명은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출입문(10)과 실내거주공간(20) 사이에 청정 및 소독실(100)이 설치되고 상기 청정 및 소독실(100)에 손세척기(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세척기(30)는 세면기로서 세척용기(31)에 급수관과 배수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관은 드레인통에 연결되어 사용된 물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척용기(31)는 위생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용기(31) 상부벽면에는 자외선발생기(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용기(31)에는 마이크로버블발생기(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버블발생기(50)는 마이크로나노버블발생기가 함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 사시도, 도 2는 본발명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 정면도, 도 3은 본발명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 측면도이다.
본발명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 시스템은 출입문(10)과 실내거주공간(20) 사이에 청정 및 소독실(100)이 설치되고 상기 청정 및 소독실(100)에 손세척기(30)가 설치된다.
상기 손세척기(30)는 세척용기(31)에 급수관과 배수관이 설치되어서 물을 공급하고 또한 배수시킨다.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배수관은 끝단이 드레인통에 연결되어 사용된 물을 저장하게 하여 위생을 더욱 도모한다.
본발명의 세척용기(31)는 위생도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용기(31) 상부벽면에는 자외선발생기(40)가 설치되어 소독을 철저히 하게 한다. 더욱이 상기 세척용기(31)에는 마이크로버블발생기(50)가 설치되어 외출에서 귀가한 사람이 손을 씻을때 마이크로버블이 발생하여, 손을 깨끗하게 하며 음이온등이 발생하여 청정 및 소독실을 정화시킨다.
상기 마이크로버블발생기(50)는 마이크로나노버블발생기가 함께 설치되며, 마이크로나노버블발생기는 라디칼을 발생하여, 살균, 냄새를 제거하는 등 사람과 실내를 정화, 소독시킨다.
특히 본발명의 청정 및 소독실(100)은 칸막이(70)에 의해 실내공간과 격리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청정 및 소독실(100)에는 급기관과 배기관이 설치되며, 상기 배기관은 실외로 연결되어 배기되게 한다.
배기관에는 전기모터로 작동되는 팬이 설치되어 내부 공기를 배출하고 외부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켜 청정 및 소독실(100)을 정화시킨다.급기관의 끝단, 곧 유입구는 건물외부가 아니더라도 청정 및 소독실(100)과 칸막이에 의해 격리된 실내공간일수도 있다.이때 실내공간은 창문에 의해 충분히 환기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발명은 상기 배기관의 단부에는 필터가 설치되는 배기통이 설치되어 필터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후 실외로 배출되게 하여 주위환경오염우려가 없게 한다.
본발명은 이를 위한 제어수단으로서 상기 청정 및 소독실(100)에는 제어기와 인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사람이 들어오면 인감지센서는 이를 감지하고 신호로 제어부에 전송하면 제어부는 일정시간 팬을 구동시켜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배기시키게 된다.
그리고 외부의 미세먼지 농도를 제어기에는 통신모듈이 설치되어 제어부는 무선통신에 의해 기상청 공공데이타 미세먼지값을 API로 전송받아 미세먼지가 설정치 이상이면 제어부는 팬의 가동시간을 길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미세먼지가 설정치 이상이면 제어부는 자외선발생기(40)의 가동시간을 길게 하여 소독을 충분하게 한다. 자외선발생기(40)는 수동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
본발명의 제어기에는 제어부외 통신부, 저장부,비교부가 구성되어 위 기능들을 수행한다. 제어기는 벽면이나 천정등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발명은 청정 및 소독실(100)에는 살균수를 내장하는 살균기가 설치되어 인감지센서로부터의 사람이 들어온 신호에 의해 제어부는 살균기를 일정시간 작동시켜 살균수를 분사시키게 된다.
제어부는 미세먼지 수치가 설정치 이상이면, 마이크로버블발생기를 동작시켜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이다.
한편, 실내거주공간에는 유해가스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유해가스감지센서는 유해가스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송하며, 제어부는 상기 유해가스수치가 설정치 이상이면,마이크로나노버블발생기를 동작시키거나, 마이크로버블발생기와 마이크로나노버블발생기(60)를 동시에 동작시켜 음이온, 라디칼을 발생시켜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킨다. 한편, 자외선발생기 작동에 의해 혹시 발생될 오존등의 성분이 청정 및 소독실(100)내 설정치 이상일 경우를 대비하여 오존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제어부는 오존감지센서로부터의 오존수치가 설정치 이상이면, 팬을 작동시켜 청정 및 소독실(100)내 오존을 배출시키며, 또한 일정시간 오존발생기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이때는 손세척기의 급수관의 밸브가 개방되면 자동으로 오존감지센서를 작동시키는 모두로 설정되었더라도, 제어부는 일정시간 오존발생기의 동작을 우선적으로 중지시킨다.
본발명의 마이크로버블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마이크로버블은 물이 고압펌프에 의해 마이크로버블발생노즐을 통과하며 마이크로버블이 발생된다.
마이크로버블기는 원통형 몸체 후단에 물유입구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유출공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 일측에는 산소나 공기를 불어넣는 에어홀이 형성된다. 몸체 선단은 반구형으로 지름이 확장되어 있다.
상기 물은 펌프에 의해 공급되며, 산소 내지 공기는 산소발생기 내지 에어컴프레서에 의해 공급된다.
상기 유출구가 형성되는 몸체 전방 내부에는 마이크로버블발생을 위해 몸체 일측에는 이물질청소를 위한 청소부가 형성되어 캡이 결합되어 여닫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 전면에는 버블발생판이 결합되며 상기 버블발생판에는 다수개의 구멍들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의 에어홀 전방에는 스크류형상의 나선부가 삽입설치되어 와류를 형성하며 버블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버블발생판 내측에는 나노버블발생판이 결합되며, 상기 나노버블 발생판에는 합성수지 재질 와이어들이 결합된다.
그리고 마이크로나노버블 자체는 관용의 기술로 잘알려진바와 같이, 초미세나노기포를 발생시켜서, 상기 초미세기포에 활성화된 기포물이 냄새제거, 항균효과, 피로회복 등의 유익한 기능을 가진다.
한편, 본발명은 세척기 상부에 열전소자를 사용해 만들어진 관용의 히터와 냉방기 겸용 장치가 벽면에 또는 바닥 구석부분에 전기선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열전소자는 알려진 바와 같이, 전기를 통하면 한쪽은 열을 발생하고 다른쪽은 냉각된다. 그러므로 청정 및 소독실이 칸막이에 의해 실내거주공간과 구분되면서도 여름에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게 제어부가 제어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청정 및 소독실 벽 내지 칸막이에는 온도센서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발명은 청정 및 소독실에는 카메라가 설치되고 카메라는 카메라 모듈과 연결된다. 카메라 모듈은 영상입력부,영상처리부, 저장부, 제어부로 구성되며, 카메라는 사람이 들어왔는지, 사람과 애완견이 같이 들어왔는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카메라모듈은AI부가 구성되어 기계학습에 의해 카메라모듈은 영상처리결과를 판단하여 사람인지 애완견인지 판단한다. 그리고 사람만이 들어왔을때는 1모드로 운전하는 것으로, 천정배기구로 공기가 배기되게 한다. 사람과 개가 같이 들어왔을때는 2모드로 운전하는 것으로, 먼저 개전용 클리너를 씌운후, 개에 묻은 먼지와 털과 세균을 제거하는 것으로, 개전용클리너에 연결된 플렉시블관을 통해 배기관 흡입팬의 분기 닥트와 연결되어 배기된다. 그리고 흡입공기는 개전용 클리너는 돔형상으로서, 돔형 하부바닥으로부터 급기관에 연결되는 분기관으로 청정 및 소독실의 공기가 흡입되게 한다. 개전용 클리너에는 별도의 개전용 살균액 스프레이를 분사하는 장치가 내장되어 있어서, 개에게 뿌려진 살균액이 청정 및 소독실에 잔존하지 않게 한다. 개전용클리너에서 소독된 애완견을 꺼낸후, 1모드와 동일한 운전이 실시된다. 한편, 1모드에는 하부소독판을 더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하부소독판은 사람과 개의 신발 내지 발바닥을 소독하는 것으로 직사각형 함체형의 하부소독판의 상면은 다공성이며 브러쉬가 설치되며 내부에는 배기관흡입팬과 연결되는 분기관이 설치되어, 떨어지는 먼지를 흡입하여 배기관을 통해 배출시킨다.하부소독판에는 배기관에 연결되는 별도의 보조송풍기를 설치하여, 흡입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발명은 아파트나 주택의 출입문과 실내거주공간 사이에 설치되는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에 손세척기가 설치되어 외출에서 돌아온 후 세균과 이물질을 세척하여 소독하여 세균오염을 미리 예방하고 실내거주공간의 청결을 유지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 출입문 20 : 실내거주공간
30 : 손세척기 40 : 자외선발생기
50 : 마이크로버블발생기 60 : 마이크로나노버블발생기
70 : 칸막이 80 : 열전소자 냉난방기
100 : 청정 및 소독실

Claims (3)

  1. 출입문(10)과 실내거주공간(20) 사이에 청정 및 소독실(100)이 설치되고 상기 청정 및 소독실(100)에 손세척기(30)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청정 및 소독실(100)에는 급기관과 배기관이 설치되되, 배기관에는 흡입팬이 설치되어 내부공기를 배출하는 것이며, 상기 청정 및 소독실(100)에는 자외선발생기(40)가 설치되어 내부를 살균하는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손세척기(30)는 세척용기(31)에 급수관과 배수관이 설치되어서 물을 공급하고 또한 배수시키며, 상기 세척용기(31)에는 마이크로버블발생기(50)가 설치되어 외출에서 귀가한 사람이 손을 씻을때 마이크로버블이 발생하여, 손을 깨끗하게 하며 음이온등이 발생하여 청정 및 소독실을 정화시키며, 상기 마이크로버블발생기(50)는 마이크로나노버블발생기가 함께 설치되며, 마이크로나노버블발생기는 라디칼을 발생하여, 살균, 냄새를 제거하며, 사람과 실내를 정화, 소독시키며,
    상기 청정 및 소독실(100)은 칸막이(70)에 의해 실내공간과 격리되게 되며, 상기 배기관의 단부에는 필터가 설치되는 배기통이 설치되어 필터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후 실외로 배출되게 하며,
    제어수단으로서 상기 청정 및 소독실(100)에는 제어기와 인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사람이 들어오면 인감지센서는 이를 감지하고 신호로 제어부에 전송하면 제어부는 일정시간 팬을 구동시켜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배기시키게 되고, 제어기에는 통신모듈이 설치되어 제어기의 제어부는 무선통신에 의해 기상청 공공데이타 미세먼지값을 API로 전송받아 미세먼지가 설정치 이상이면 제어부는 팬의 가동시간을 길게 하는 것이며, 미세먼지가 설정치 이상이면 제어부는 자외선발생기(40)의 가동시간을 길게 하여 소독을 충분하게 하며, 제어부는 미세먼지 수치가 설정치 이상이면, 마이크로버블발생기를 동작시켜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이되, 제어기에는 제어부외 통신부, 저장부,비교부가 구성되어 있으며, 제어기는 벽면이나 천정에 설치하며,
    청정 및 소독실(100)에는 살균수를 내장하는 살균기가 설치되어 인감지센서로부터의 사람이 들어온 신호에 의해 제어부는 살균기를 일정시간 작동시켜 살균수를 분사시키게 되며,
    실내거주공간에는 유해가스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유해가스감지센서는 유해가스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송하며, 제어부는 상기 유해가스수치가 설정치 이상이면,마이크로나노버블발생기를 동작시키거나, 마이크로버블발생기와 마이크로나노버블발생기(60)를 동시에 동작시켜 음이온, 라디칼을 발생시켜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키며, 오존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제어부는 오존감지센서로부터의 오존수치가 설정치 이상이면, 팬을 작동시켜 청정 및 소독실(100)내 오존을 배출시키며, 또한 일정시간 오존발생기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10064491A 2021-05-20 2021-05-20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 시스템 KR102379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491A KR102379018B1 (ko) 2021-05-20 2021-05-20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491A KR102379018B1 (ko) 2021-05-20 2021-05-20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9018B1 true KR102379018B1 (ko) 2022-03-25

Family

ID=80935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491A KR102379018B1 (ko) 2021-05-20 2021-05-20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0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942B1 (ko) * 2017-08-23 2018-02-13 주식회사 동양 다용도 클린부스
KR20210002245A (ko) * 2019-06-28 2021-01-07 김병순 타겟 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스마트 클리닝 부스 및 출입자 청결관리방법
KR102209633B1 (ko) * 2020-04-22 2021-02-02 권경현 1인용 클린 게이트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942B1 (ko) * 2017-08-23 2018-02-13 주식회사 동양 다용도 클린부스
KR20210002245A (ko) * 2019-06-28 2021-01-07 김병순 타겟 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스마트 클리닝 부스 및 출입자 청결관리방법
KR102209633B1 (ko) * 2020-04-22 2021-02-02 권경현 1인용 클린 게이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8905B2 (ja) 換気兼用空気清浄器
KR100890797B1 (ko) 천장 매립형 공기 살균 및 소독장치
KR20200121118A (ko) 엘리베이터 버튼용 자동 살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522571B1 (ko) 자동 손 살균 소독 장치
KR20190134152A (ko) 인체 감지형 공기 제균 시스템
KR102537999B1 (ko)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
KR101477253B1 (ko) 공기정화 및 손소독 복합기
KR102379018B1 (ko)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 시스템
KR102349290B1 (ko) 실내거주공간 청정 및 소독실 시스템 동작방법
KR101083478B1 (ko) 살균장치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KR100903404B1 (ko) 엘리베이터용 공기청정기
JP2014028143A (ja) 装置に収容された枕やその他の物を消毒する装置
JP5246471B2 (ja) 除菌清浄システム
US202302110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infecting plumbing fixtures and rooms with plumbing fixtures
KR100481060B1 (ko) 송풍기를 이용한 건물 출입용 무균 소독 시설
KR100468386B1 (ko) 공동주택 실내 출입용 인체 소독기구 박스 설치 구조
KR20190134151A (ko) 영상 인식 기술을 이용한 공기 제균 시스템
KR200406718Y1 (ko) 벽부착형 냄새제거기
KR102204144B1 (ko) 양손과 휴대폰을 동시에 자동으로 소독·건조하는 장치
KR200379898Y1 (ko) 클린룸
KR20120050886A (ko) 이동 형 클린룸 살균장치
KR20110048761A (ko) 복합 살균 공기정화기
JP2003190260A (ja) 殺菌装置
KR102432450B1 (ko) 중소형 룸용 살균 및 초미세먼지 제거 공조시스템
CN111569134A (zh) 一种空气净化微波消毒器和空气净化微波消毒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