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380A - 회전자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회전자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380A
KR20230039380A KR1020210122632A KR20210122632A KR20230039380A KR 20230039380 A KR20230039380 A KR 20230039380A KR 1020210122632 A KR1020210122632 A KR 1020210122632A KR 20210122632 A KR20210122632 A KR 20210122632A KR 20230039380 A KR20230039380 A KR 20230039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line
plate
hole
rot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2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9380A/ko
Priority to DE202022103701.9U priority patent/DE202022103701U1/de
Priority to CN202221715968.9U priority patent/CN218216843U/zh
Priority to US17/857,445 priority patent/US11894758B2/en
Publication of KR20230039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3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3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4Ro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Variable reluctance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rotating magnetic parts on to, or to, the roto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19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for machines with closed casing and closed-circuit cooling using a liquid cooling medium, e.g. 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the 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5/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2205/09Machines characterised by drain passages or by venting, breathing or pressure compensa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자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일 예에서 회전자 플레이트는, 가운데에 제1 홀이 형성된 제1 부분과, 가운데에 상기 제1 홀보다 직경이 큰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부분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 부분과 직교하는 축 방향 중 일 방향인 제1 방향 측에 연결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바디 및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외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자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ROTOR PLATE AND RO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회전자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의 구동을 위한 모터의 발열원은 전류가 흐르는 코일과 자속이 흐르는 코어이다. 모터 작동 시 해당 부품들의 온도가 상승하고, 이 상승이 과다해지면 기능 이상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모터를 냉각하는 냉각 방식이 중요한데 모터에서는 발열원에 오일을 직접 뿌려주는 유냉식, 하우징 수로 부에 냉각수를 흘려서 발열원을 간접적으로 냉각해 주는 수냉식 등이 있다.
그중 발열원에 오일을 뿌려주는 유냉식 냉각 방식은, 파이프에서 오일이 배출되어 고정자 코어 및 코일을 냉각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유냉식 냉각 방식은 부품 개수가 많고, 회전자 플레이트 및 고정자 코어/코일에 회전자 코어가 가려져 직접 냉각시키기 어려우며, 파이프에서 오일이 전 방향으로 나오지 않고 몇 개 홀에서 부분적으로 나오기 때문에 가장 온도가 높은 엔드 코일 부(코일의 끝단을 포함한 부분)의 냉각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냉각 성능 개선을 위해서는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냉각 성능이 개선될 수 있는 구조가 더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종래의 회전자 플레이트는 평평한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형상은 뿌려지는 오일을 엔드 코일로 잘 전달하지 못하였고, 또한 회전에 의한 토크를 오일에 잘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모터의 냉각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점을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오일을 엔드 코일로 잘 전달할 수 있고, 회전에 의한 토크를 오일에 잘 전달할 수 있는 회전자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회전자 플레이트는, 가운데에 제1 홀이 형성된 제1 부분과, 가운데에 상기 제1 홀보다 직경이 큰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부분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 부분과 직교하는 축 방향 중 일 방향인 제1 방향 측에 연결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바디 및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외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슬롯은, 상기 제1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갖는 폭이 증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슬롯은,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반경 외측 방향을 바라보도록 구비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의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외주면과 상기 제1 면을 연결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의 타 측에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상기 외주면과 상기 제1 면을 연결하는 제3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의 경계선인 제1 선이 향하는 방향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3 면의 경계선인 제2 선이 향하는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외주면과 상기 슬롯의 경계선인 제3 선이 향하는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3 선은 한 쌍이고, 상기 한 쌍의 제3 선 중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의 경계선인 제1 선에 인접한 제3 선과 상기 제1 선은 서로 평행하고, 상기 한 쌍의 제3 선 중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3 면의 경계선인 제2 선에 인접한 제3 선과 상기 제2 선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바라보는 면과 상기 제2 면의 경계선인 제4 선 및 상기 제2 부분에서 상기 제1 방향을 바라보는 면과 상기 제2 면의 경계선인 제5 선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플레이트 바디는, 상기 제1 부분 중 상기 제1 홀을 정의하는 영역인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홀의 반경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돌기부재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홀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한 쌍의 돌기부재는 서로 마주보게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1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슬롯은,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슬롯은 상기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회전자 어셈블리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유로가 형성되는 회전자 샤프트, 상기 회전자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게 배치되는 회전자 코어 및 상기 회전자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게 배치되되, 상기 회전자 코어의 축 방향 끝부에 배치되는 회전자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자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바디 및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외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회전자 샤프트는, 상기 제1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샤프트 바디 및 상기 샤프트 바디의 일 지점에서 상기 샤프트 바디의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회전자 플레이트의 축 방향 측 면과 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플레이트 바디는, 가운데에 제1 홀이 형성된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 중 상기 제1 홀을 정의하는 영역인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홀의 반경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자 샤프트는, 상기 돌기부재의 위치에 대응되게 함몰 형성되어, 돌기부재가 삽입되게 마련되는 샤프트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일을 엔드 코일로 잘 전달할 수 있어 오일을 고르게 뿌려줄 수 있고, 회전에 의한 토크를 오일에 잘 전달할 수 있어 오일의 유속을 높일 수 있으므로 모터의 냉각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플레이트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종래의 회전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회전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의 회전자 샤프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선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플레이트(100)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플레이트(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플레이트(10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플레이트(100)는 모터에 사용되는 회전자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플레이트(100)는, 플레이트 바디(110), 슬롯(120) 및 플레이트 유로(13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바디(110)>
플레이트 바디(110)는 제1 부분(111)과 제2 부분(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111)은 가운데에 제1 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분(112)은 가운데에 제2 홀(H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홀(H2)은 제1 홀(H1)보다 직경이 클 수 있다. 또한, 제2 홀(H2)은 제1 방향(D1)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제2 부분(112)은 제1 부분(111)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며, 제1 부분(111)의 제1 방향(D1)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D1)이라 함은, 제1 부분(111)과 직교하는 축 방향 중 일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플레이트 바디(110)는, 돌기부재(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재(113)는 제1 영역(114)에서 제1 홀(H1)의 반경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114)은 제1 부분(111) 중 제1 홀(H1)을 정의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돌기부재(113)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돌기부재(113)는 후술할 회전자 어셈블리에서 회전자 샤프트(200, 도 8)의 샤프트 홈(240, 도 8)에 플레이트 바디(110)가 끼워지기 위한 구성요소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돌기부재(113)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돌기부재는 제1 홀(H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구비될 수 있다.
<슬롯(120)>
슬롯(120)은 플레이트 바디(110)의 외주면(115)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슬롯(120)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슬롯은 외주면(115)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즉, 전체적인 회전자 플레이트(100)의 형상은 일종의 톱니바퀴와 같은 형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슬롯(120)의 자세한 형상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플레이트(100)는 복수 개의 슬롯(120)이 형성됨으로 인해, 오일을 엔드 코일(EC, 도 7)로 잘 전달할 수 있고, 회전에 의한 토크를 오일에 잘 전달할 수 있어, 모터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을 가능케 하는 슬롯(120)의 자세한 형상을 상술한다.
<슬롯(120)의 구체적인 형상>
슬롯(120)은 제1 방향(D1)으로 갈수록, 플레이트 바디(1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갖는 폭이 증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슬롯(120)은 제1 내지 제3 면(121, 122, 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121)은 플레이트 바디(110)의 반경 외측 방향을 바라보도록 구비되는 면일 수 있다. 제2 면(122)은 제1 면(121)의 일 측에 구비되고 플레이트 바디(110)의 외주면(115)과 제1 면(121)을 연결하는 면일 수 있다. 제3 면(123)은 제1 면(121)의 타 측에 구비되고 플레이트 바디(110)의 외주면(115)과 제1 면(121)을 연결하는 면일 수 있다.
한편, 슬롯(120)에서, 제1 선(L1) 및 제2 선(L2)이 향하는 방향은 제1 방향(D1)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선(L1)은 제1 면(121)과 제2 면(122)의 경계선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 선(L2)은 제1 면(121)과 제3 면(123)의 경계선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슬롯(120)에서 제3 선(L3)은 제1 방향(D1)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선(L3)은 플레이트 바디(110)의 외주면(115)과 슬롯(120)의 경계선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3 선(L3)은 플레이트 바디(110)의 외주면(115)과 제2 면(122)의 경계선 및 플레이트 바디(110)의 외주면(115)과 제3 면(123)의 경계선을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선(L3)은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 선 중 제1 선(L1)에 인접한 제3 선과 제1 선(L1)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3 선 중 제2 선(L2)에 인접한 제3 선과 제2 선(L2)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부분(111)에서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D2)을 바라보는 면과 제2 면(122)의 경계선인 제4 선(L4) 및 제2 부분(112)에서 제1 방향(D1)을 바라보는 면과 제2 면(122)의 경계선인 제5 선(L5)은,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내용은, 제1 부분(111)에서 제2 방향(D2)을 바라보는 면과 제3 면(123)의 경계선 및 제2 부분(112)에서 제1 방향(D1)을 바라보는 면과 제3 면(123)의 경계선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면(121)과 제1 부분(111)에서 제2 방향(D2)을 바라보는 면의 경계선인 제6 선(L6)의 길이는, 제1 면(121)과 제2 부분 (112)에서 제1 방향(D1)을 바라보는 면의 경계선인 제7 선(L7)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회전자 플레이트(100)에 부딪힌 오일의 이동에 관하여 상술한다. 여기서는 일 예로서, 회전자 플레이트(100)의 회전에 따라 제2 면(122)에 오일이 부딪히게 되는 경우에 관하여 상술한다. 여기서 오일은, 오일 파이프에서 배출되는 오일이거나, 기존 모터 내부에 채워져 있던 오일일 수 있다.
도 3에서 AR1로 표시된 제1 화살표(AR1)는 오일이 회전자 플레이트(100)에 부딪히는 일 예시의 방향을 의미한다. 회전자 플레이트(100)에 부딪힌 오일은 제2 면(122)의 형상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제2 화살표(AR2)의 방향 및 제3 화살표(AR3)의 방향으로의 힘을 받게 된다. 결과적으로, 회전자 플레이트(100)에 부딪힌 오일은 제2 화살표(AR2)가 향하는 방향과 제3 화살표(AR3)가 향하는 방향의 합력 방향인 제4 화살표(AR4)의 방향으로 비산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4 화살표(AR4)의 방향은 엔드 코일(EC)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플레이트(100)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
도 4는 종래의 회전자 플레이트(100')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회전자 플레이트(100)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플레이트(100)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플레이트(100)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플레이트(100)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의 회전자 샤프트(2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플레이트(100)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에 관하여 상술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회전자 어셈블리는 회전자 플레이트(100), 회전자 샤프트(200) 및 회전자 코어(30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자 플레이트(100)는 회전자 샤프트(200)의 외주면을 감싸게 배치될 수 있고, 회전자 코어(300)의 축 방향 끝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축 방향은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중 어느 한 방향에 대응되는 개념일 수 있다. 자세하게는 축 방향은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 중 회전자 어셈블리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8에서 축 방향은 제1 방향(D1)과 일치할 수 있다.
회전자 플레이트(100)는 플레이트 바디(110) 및 슬롯(120)을 포함할 수 있다(도 1 및 도 2 참고). 회전자 플레이트(100)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내용을 참고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듯이, 회전자 샤프트(200)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회전자 샤프트(200)는 제1 유로(210)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로(210)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자 샤프트(200)는 샤프트 바디(220) 및 돌출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 바디(220)의 내부에는 제1 유로(210)가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 바디(220)에는 샤프트 홈(240)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재(230)는 샤프트 바디(220) 중 일 지점에서 샤프트 바디(220)의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재(230)는 회전자 플레이트(100)의 축 방향 측 면과 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회전자 코어(300)는 회전자 샤프트(200)의 외주면을 감싸게 배치될 수 있다. 회전자 코어(300)는 내부에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오일의 이동>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플레이트(100)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의 오일의 이동에 관하여 상술한다.
먼저, 비교를 위해,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종래의 회전자 플레이트(100')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의 오일의 이동에 관하여 상술한다.
종래의 회전자 플레이트(100')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의 경우, 회전자 샤프트(200') 및 회전자 코어(300')의 형상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회전자 플레이트(100')에 슬롯이 형성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를 갖는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의 회전자 플레이트(100')는 오일의 경로를 변경시키기 위한 슬롯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회전 시 오일을 특정한 방향 없이 마구잡이로 쳐내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플레이트(100)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의 경우, 오일 파이프에서 분사되거나, 모터 내부에 채워져 있던 오일이 회전자 플레이트(100)로 유입되는 경우, 오일은 회전자 플레이트(1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2 면(122) 또는 제3 면(123)과 충돌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오일은 제4 화살표(AR4)의 방향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제4 화살표(AR4)는 엔드 코일(EC)을 향하는 방향이므로, 이 과정에서 엔드 코일(EC)의 냉각이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에 따르면, 오일에 토크를 효율적으로 전달해 오일의 유속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오일에게 엔드 코일(EC)을 향하는 정확한 방향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되어, 엔드 코일의 냉각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100': 회전자 플레이트
110: 플레이트 바디
111: 제1 부분
112: 제2 부분
113: 돌기부재
114: 제1 영역
115: 플레이트 바디의 외주면
120: 슬롯
121: 제1 면
122: 제2 면
123: 제3 면
200, 200': 회전자 샤프트
210: 제1 유로
220: 샤프트 바디
230: 돌출부재
240: 샤프트 홈
300, 300': 회전자 코어
AR1: 제1 화살표
AR2: 제2 화살표
AR3: 제3 화살표
AR4: 제4 화살표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EC: 엔드 코일
H1: 제1 홀
H2: 제2 홀
L1: 제1 선
L2: 제2 선
L3: 제3 선
L4: 제4 선
L5: 제5 선
L6: 제6 선
L7: 제7 선

Claims (15)

  1. 가운데에 제1 홀이 형성된 제1 부분과, 가운데에 상기 제1 홀보다 직경이 큰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부분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 부분과 직교하는 축 방향 중 일 방향인 제1 방향 측에 연결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바디; 및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외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슬롯을 포함하는, 회전자 플레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제1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갖는 폭이 증가하게 형성되는, 회전자 플레이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반경 외측 방향을 바라보도록 구비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의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외주면과 상기 제1 면을 연결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의 타 측에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상기 외주면과 상기 제1 면을 연결하는 제3 면을 포함하는, 회전자 플레이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의 경계선인 제1 선이 향하는 방향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3 면의 경계선인 제2 선이 향하는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회전자 플레이트.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주면과 상기 슬롯의 경계선인 제3 선이 향하는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회전자 플레이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 선은 한 쌍이고,
    상기 한 쌍의 제3 선 중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의 경계선인 제1 선에 인접한 제3 선과 상기 제1 선은 서로 평행하고,
    상기 한 쌍의 제3 선 중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3 면의 경계선인 제2 선에 인접한 제3 선과 상기 제2 선은 서로 평행한, 회전자 플레이트.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바라보는 면과 상기 제2 면의 경계선인 제4 선 및 상기 제2 부분에서 상기 제1 방향을 바라보는 면과 상기 제2 면의 경계선인 제5 선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회전자 플레이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바디는,
    상기 제1 부분 중 상기 제1 홀을 정의하는 영역인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홀의 반경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기부재를 더 포함하는, 회전자 플레이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재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홀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한 쌍의 돌기부재는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회전자 플레이트.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1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는, 회전자 플레이트.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슬롯은 상기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회전자 플레이트.
  12.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유로가 형성되는 회전자 샤프트;
    상기 회전자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게 배치되는 회전자 코어; 및
    상기 회전자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게 배치되되, 상기 회전자 코어의 축 방향 끝부에 배치되는 회전자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자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바디; 및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외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슬롯을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 샤프트는,
    상기 제1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샤프트 바디; 및
    상기 샤프트 바디의 일 지점에서 상기 샤프트 바디의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회전자 플레이트의 축 방향 측 면과 접하게 마련되는, 회전자 어셈블리.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바디는,
    가운데에 제1 홀이 형성된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 중 상기 제1 홀을 정의하는 영역인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홀의 반경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자 샤프트는,
    상기 돌기부재의 위치에 대응되게 함몰 형성되어, 돌기부재가 삽입되게 마련되는 샤프트 홈을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
KR1020210122632A 2021-07-05 2021-09-14 회전자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 KR2023003938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632A KR20230039380A (ko) 2021-09-14 2021-09-14 회전자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
DE202022103701.9U DE202022103701U1 (de) 2021-07-05 2022-07-04 Rotorplatte und Rotoranordnung mit dieser Rotorplatte
CN202221715968.9U CN218216843U (zh) 2021-07-05 2022-07-05 转子板及转子组件
US17/857,445 US11894758B2 (en) 2021-07-05 2022-07-05 Rotor plate and ro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632A KR20230039380A (ko) 2021-09-14 2021-09-14 회전자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380A true KR20230039380A (ko) 2023-03-21

Family

ID=85801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632A KR20230039380A (ko) 2021-07-05 2021-09-14 회전자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93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3783B2 (en) Rotor of rotary electric machine
JP4660406B2 (ja) 回転電機
US7705503B2 (en) Rotating electrical machine
EP0866542B1 (en) Rotor of rotary machine having claw poles and auxiliary permanent magnets
KR102474505B1 (ko) 직접 냉각 방식의 차량용 구동 모터
CN110247497B (zh) 旋转电机的转子
JP2005184957A (ja) 永久磁石式リラクタンス型回転電機
US10361597B2 (en) Electric machine for a motor vehicle, coil carrier for an electric machine, and motor vehicle
JP2007259674A (ja) 回転電機の回転子
CN107710565A (zh) 电动机
KR101836259B1 (ko) 구동모터의 냉각유닛
CN111641281B (zh) 旋转电机的转子
CN111082559B (zh) 转子
KR20230039380A (ko) 회전자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
CN112087105A (zh) 旋转电机
KR20230007036A (ko) 회전자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
KR20230007039A (ko) 회전자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
CN114759734A (zh) 用于马达的磁体的油冷却结构以及马达
KR20230024410A (ko) 모터
US10784749B2 (en) Cooling structure of rotary electric machine and rotary electric machine
CN218216843U (zh) 转子板及转子组件
CN117691781A (zh) 转子结构、电机和车辆
KR102674700B1 (ko) 모터의 코일 냉각구조
KR20190030890A (ko) 전동 펌프
KR102618055B1 (ko) 로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