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252A - 정맥용 카테터 - Google Patents

정맥용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252A
KR20230039252A KR1020210122320A KR20210122320A KR20230039252A KR 20230039252 A KR20230039252 A KR 20230039252A KR 1020210122320 A KR1020210122320 A KR 1020210122320A KR 20210122320 A KR20210122320 A KR 20210122320A KR 20230039252 A KR20230039252 A KR 20230039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blood
scale
guide
intraven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수
Original Assignee
박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수 filed Critical 박현수
Priority to KR1020210122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9252A/ko
Priority to PCT/KR2022/010416 priority patent/WO2023043027A1/ko
Publication of KR20230039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53Interfaces between patient blood circulation and extra-corporal blood circuit
    • A61M1/3659Cannulae pertaining to extracorporeal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66Cardiac or cardiopulmonary bypass, e.g. heart-lu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5/003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to least one lumen located at the distal part of the catheter, e.g. filters, plugs or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4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multi-layered, e.g. co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5/007Side holes, e.g. their profiles or arrangements; Provisions to keep side holes unblock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8Catheters; Hollow probes having visible markings on its surface, i.e. visible to the naked eye, for any purpose, e.g. insertion depth markers, rotational markers or identification of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5/003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to least one lumen located at the distal part of the catheter, e.g. filters, plugs or valves
    • A61M2025/0031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to least one lumen located at the distal part of the catheter, e.g. filters, plugs or valves characterized by lumina for withdrawing or delivering, i.e. used for extracorporeal circuit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외막 순환장치 시술시 사용되는 정맥용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질환이나 사고로 호흡부전, 심장기능 부전 등의 증상을 보이는 중증 환자가 자발적으로 호흡이나 심장박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기계적인 호흡, 기계적인 혈액순환 등에서도 여러 지표와 생명유지 데이터가 적절한 수치에 현저하게 미치지 못하는 경우 혈액을 체외로 뽑아내어 가스 교환, 펌핑 기능을 상호 병행하여 환자의 혈액 순환을 돕는 체외 순환 장치 운영에 사용하되, 카테터의 선단부와 중단부에 흡입홀을 형성하여 우심방 뿐만 아니라 간정맥 및 간정맥의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의 혈액을 흡입할 수 있고, 카테터의 내측에 보조카테터를 형성하여 폐기능 보조와 신장기능 보조를 위한 혈액을 공급 또는 흡수할 수 있는 정맥용 카테터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정맥용 카테터{intravenous catheter}
본 발명은 체외막 순환장치 시술시 사용되는 정맥용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질환이나 사고로 호흡부전, 심장기능 부전 등의 증상을 보이는 중증 환자가 자발적으로 호흡이나 심장박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기계적인 호흡, 기계적인 혈액순환 등에서도 여러 지표와 생명유지 데이터가 적절한 수치에 현저하게 미치지 못하는 경우 혈액을 체외로 뽑아내어 가스 교환, 펌핑 기능을 상호 병행하여 환자의 혈액 순환을 돕는 체외 순환 장치 운영에 사용하되, 카테터의 선단부와 중단부에 흡입홀을 형성하여 우심방 뿐만 아니라 간정맥 및 간정맥의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의 혈액을 배출할 수 있고, 카테터의 내측에 보조카테터를 형성하여 폐기능 보조와 신장기능 보조를 위한 혈액을 공급 또는 흡수할 수 있는 정맥용 카테터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응급 치료에 있어서 심폐 소생이나, 순환 보조, 호흡 보조를 행하기 위해 경피적 심폐 보조법(PCPS: percutaneous cardio pulmonary support)에 의한 치료가 행해지고 있다. 상기 경피적 심폐 보조법이란, 체외 순환 장치를 사용하여 일시적으로 심폐 기능의 보조 및 대행을 행하는 방법이다.
상기 체외 순환 장치는 원심 펌프, 인공 폐, 탈혈로 및 송혈로 등으로 구성되는 체외 순환 회로를 구비하고, 탈혈된 혈액에 대하여 가스 교환을 행하여 송혈로로 송혈한다.
상기 체외 순환 회로에 있어서, 탈혈로 및 송혈로에는 혈액이 유통되는 루멘을 구비하는 카테터가 사용되고 있고, 상기 카테터는 사용 시에 킹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체를 구비하며, 그 보강체를 수지로 피복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카테터에는 혈액을 탈혈 또는 송혈하기 위해 루멘과 연통되는 측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체외 순환 회로의 탈혈로에 사용되는 정맥용 카테터는 통상적으로 카테터의 선단부에 정맥의 혈액을 탈혈 즉, 흡수하는 측 구멍이 형성되어 심장 입구 즉, 우심방의 입구 또는 간정맥 입구 등에서 혈액을 밖으로 뽑아 체외 순환 장치를 통해 가스 교환과 산소 공급을 하고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체외 순환 장치는 폐기능이 저하된 상태에서는 혈액을 체표면적 당 70~100%, 심장기능 저하시에는 70% 이내를 체외로 뽑아서 가스 교환과 산소 공급을 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중증 환자로부터 최대한 많은 양의 혈액을 밖으로 뽑아내기 위해서는 카테터의 측 루멘이 적절한 위치 즉, 우심방의 입구 또는 간정맥의 입구 등에 충분하게 형성되어 있어야만 가능한 한 혈액을 심장과 폐를 통과시키지 않고 가스교환과 산소 공급을 중증 환자 전신에 충분한 혈액과 산소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다른 장기도 손상되지 않고 빨리 회복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정맥용 카테터는 측 루멘이 형성된 카테터의 선단부를 우심방의 입구 또는 간정맥의 입구 등에 각각 설치되거나 각각의 카테터를 삽입하여 위치를 조절해야 하였고, 충분한 혈액을 확보할 수 없어서 원하는 산소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정맥용 카테터는 환자의 혈관으로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카테터의 길이와 카테터 길이가 같아서 동시에 삽입되어야 함에도, 루멘의 외주면에 표기되어 있는 눈금이 10㎝ 단위로 적혀 있을 뿐만 아니라 시인성이 좋지 않아 과도하게 삽입되어 혈관 및 장기가 파손될 수 있는 위험도 있으며 원하는 양의 혈액 배출에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33400호(2018.12.14.)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현장에서 충분한 임상 경험 후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정맥용 카테터는 우심방의 입구 또는 간정맥의 입구 등에 각각 설치되거나 위치를 조절해야 하므로 충분한 혈액의 배출과 원하는 산소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어려운 문제와, 폐기능이 현저히 떨어져 폐로 가는 혈액이 아주 적게 흘러야 되고, 폐기능 또는 심장 기능 저하로 신장 기능 저하시 혈액에서 독소를 걸러주는 회로를 따로 설치해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충분한 혈액을 밖으로 공급받지 못하면 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진 폐와 심장은 기능이 더욱 상실되어 회복하기 어려워 진다.
이에 대한 해결점으로, 카테터의 선단부 및 중단부에 측 구멍 즉, 혈액을 흡수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흡수홀이 각각 형성되어 원활하게 혈액을 뽑아낼 수 있고, 카테터의 내측에 보조카테터를 형성하여 폐기능의 저하시 가스 교환이 이루어진 혈액을 공급함에 따라 폐기능을 보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장 기능 저하시 별도의 장치를 통해 혈액 내의 독소를 제거하기 위한 혈액 수급에도 사용할 수 있어 신장 기능을 보조할 수 있으며, 가이드카테터의 길이를 카테터보다 약 두배 가량 길게 형성하여 가이드카테터의 삽입 후 카테터를 보다 안전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한 정맥용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선단부에 우심방과 상행대정맥 사이의 위치에서 혈액을 회수하는 복수 개의 흡입홀이 형성된 루멘과 상기 루멘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보강체와 상기 보강체를 피복하도록 형성되는 수지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용 카테터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카테터의 외주면에 상기 카테터의 삽입길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눈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눈금부는 상기 카테터의 후단부에 적색으로 형성되는 위험눈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눈금부는 상기 카테터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10㎝ 간격으로 형성되는 대눈금과 상기 카테터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대눈금과 대눈금의 사이에 1㎜ 간격으로 형성되는 소눈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위험눈금은 45㎝ 이하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카테터는 상기 흡입홀과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상기 카테터의 중단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보조흡입홀과 상기 제1보조흡입홀과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상기 카테터의 중단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보조흡입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카테터는 후단부 외주연에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와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후방이 후단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보조카테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와이어가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카테터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카테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카테터는 상기 카테터보다 2.2배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카테터는 외주면에 삽입길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눈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눈금부는 상기 가이드카테터의 후단부에 적색으로 형성되는 가이드위험눈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정맥용 카테터는 루멘의 선단부 및 중단부에 측 구멍 즉, 정맥의 혈액을 탈혈 즉, 흡수할 수 있는 흡수홀을 형성하여 체외로 혈액을 원활하게 뽑아낼 수 있어 환자 전신에 충분한 혈액과 산소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와;
루멘의 내측에 보조카테터를 형성하여 탈혈된 혈액을 가스 교환 및 산소 공급 후에 탈혈과 동시에 공급되도록 하여 폐기능을 보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혈되는 혈액의 일부를 별도의 장치로 흡수하여 혈액의 독소를 제거한뒤 공급함으로써, 신장 기능을 보조할 수 있어 중증 환자의 상태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 및
응급상황에서 중증 환자에 형성된 천자 위치부터 카테타의 진입시 가이드카테터의 길이를 카테터보다 약 2배 가량 길게 형성하여 가이드와이어 삽입 후 가이드카테터의 삽입한 다음 안전하고 빠르게 카테터를 삽입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정맥용 카테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정맥용 카테터를 나타낸 다른 각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a) 및 카테터의 선단부("B-B"선 단면)를 나타낸 평단면도(b).
도 4는 도 2의 "C"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정맥용 카테터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D"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5의 "E" 부분 확대도.
도 8은 도 5의 "F" 부분 확대도.
도 9는 도 5의 "G" 부분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카테터의 부분 확대 평면 투영도.
본 발명은 체외막 순환장치 시술시 사용되는 정맥용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질환이나 사고로 호흡부전, 심장기능 부전 등의 증상을 보이는 중증 환자가 자발적으로 호흡이나 심장박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기계적인 호흡, 기계적인 혈액순환 등에서도 여러 지표와 생명유지 데이터가 적절한 수치에 현저하게 미치지 못하는 경우 혈액을 체외로 뽑아내어 가스 교환, 펌핑 기능을 상호 병행하여 환자의 혈액 순환을 돕는 체외 순환장치 운영에 사용하되, 상기 체외 순환장치에서 체외 순환회로의 탈혈로에 사용되는 정맥용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서, 카테터(10)의 선단부(11)와 중단부(12)에 흡입홀(14)과 보조흡입홀(14)을 형성하여 우심방 뿐만 아니라 간정맥 및 간정맥의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의 혈액을 보다 원활하게 탈혈 즉, 흡입하여 뽑아낼 수 있고, 카테터(10)의 내측에 보조카테터(60)를 형성함으로써, 가스 교환 및 산소 공급된 혈액을 송혈하여 폐기능을 보조하거나, 탈혈된 혈액에서 독소를 제거하여 신장 기능을 보조할 수 있어 한번의 시술로 환자의 처치와 회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정맥용 카테터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선단부(11)에 우심방과 상행대정맥 사이의 위치에서 혈액을 회수하는 복수 개의 흡입홀(14)이 형성된 카테터(10);와 상기 카테터(10)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보강체(20);와 상기 보강체(20)를 피복하도록 형성되는 수지층(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카테터(10)의 외주면에 상기 카테터(10)의 삽입길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눈금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눈금부(40)는 상기 카테터(10)의 후단부(13)에 적색으로 형성되는 위험눈금(4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눈금부(40)는 상기 카테터(10)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10㎝ 간격으로 형성되는 대눈금(41);과 상기 카테터(10)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대눈금(41)과 대눈금(41)의 사이에 1㎜ 간격으로 형성되는 소눈금(4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위험눈금(43)은 45㎝ 이하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카테터(10)는 상기 흡입홀(14)과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상기 카테터(10)의 중단부(12)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보조흡입홀(15);과 상기 제1보조흡입홀(15)과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상기 카테터(10)의 중단부(12)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보조흡입홀(1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카테터(10)는 후단부(13) 외주연에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50);와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후방이 후단부(13)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보조카테터(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와이어(미표시)가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카테터(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카테터(7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카테터(70)는 상기 카테터(10)보다 2.2배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카테터(70)는 외주면에 삽입길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눈금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눈금부(40)는 상기 가이드카테터(70)의 후단부에 적색으로 형성되는 가이드위험눈금(4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정맥용 카테터는 최대한 많은 양의 혈액을 뽑아낼 수 있도록 심장으로 돌아오는 혈액의 길목 즉, 우심방, 간정맥, 대퇴정맥 요소요소에 충분한 루멘을 형성하여 중증 환자의 대퇴정맥 천자의 위치로부터 우심방과 상행대정맥까지 시술되어 체외 순환 장치와 연결됨에 따라 탈혈 즉, 정맥의 혈액을 충분하게원활히 뽑아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체외 순환 장치는 펌프를 작동시켜 환자의 정맥(대정맥)으로부터 탈혈 즉, 혈액을 뽑아내어 인공 폐에 의해 혈액 중의 가스 교환을 행하여 혈액의 산소화 즉, 산소를 공급한 후에, 이 혈액을 다시 환자의 동맥(대동맥)으로 되돌리는 정맥-동맥 방식(Veno-Arterial, VA)의 체외 순환을 행하여 심장과 폐의 보조를 행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정맥용 카테터는 상기 체외 순환 장치의 순환 회로에서 사용되고, 상기 정맥용 카테터를 제외한 상기 체외 순환 장치의 다른 구성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선단부(11)는 혈관에 삽입되는 측 및 그 주변을 포함하는 일정한 범위를 의미하고, 중단부(12)는 상기 선단부(11)로부터 인접한 부분 및 그 주변을 포함하는 일정한 범위를 의미하며, 후단부(13)는 상기 선단부(11)와 반대되는 측 즉, 상기 중단부(12)로부터 인접한 부분 및 일정한 범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카테터(10)는
선단부(11)에 우심방과 상행대정맥의 위치에서 혈액을 회수하는 복수 개의 흡입홀(14)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중증 환자의 대퇴정맥에 형성된 천자의 위치로부터 삽입되어 우심방과 상행대정맥의 위치까지 시술되고, 선단부(11)가 우심방과 상행대정맥의 사이에 위치에서 상기 선단부(11)에 형성된 복수 개의 흡입홀(14)을 통해 정맥의 혈액이 탈혈 즉,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카테터(10)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카테터(10)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가이드카테터(70)에 의해 시술된 후 상기 가이드카테터(70)가 제거될 때 킹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강체(20)를 보호하고, 혈액에 상기 보강체(20)가 노출되어 혈액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강체(20)를 피복하도록 형성되는 수지층(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때, 상기 흡입홀(14)은 보강체(20)가 형성되지 않은 카테터(10)와 수지층(30)에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보강체(20)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1흡입홀(14)과 흡입홀(14)의 사이 및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2흡입홀(14)과 제1흡입홀(14)의 사이에 형성되어, 카테터(10)의 킹크 발생을 방지하고, 상기 제1흡입홀(14)과 흡입홀(14)의 사이와 상기 제2흡입홀(14)과 제1흡입홀(14)의 사이의 보강체(20)는 상기 흡입홀(14), 제1흡입홀(14), 제2흡입홀(14)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나선의 간격이 크게 형성되는 연결부(미표시)가 형성되어 카테터(10)의 킹크 발생을 최소화 하며, 상기 연결부 또한 수지층(30)에 의해 피복됨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눈금부(40)는
상기 카테터(10)의 외주면에 상기 카테터(10)의 삽입길이 즉, 상기 카테터(10)의 길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카테터(10)와 수지층(30)의 사이에 인쇄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시술자가 삽입된 길이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시술의 안전성 및 신속한 시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눈금부(40)는 상기 카테터(10)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10㎝ 간격으로 형성되는 대눈금(41)과, 상기 카테터(10)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대눈금(41)과 상기 대눈금(41)과 인접한 대눈금(41)의 사이에 1㎜ 간격으로 형성되는 소눈금(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눈금부(40)는 시술자가 상기 대눈금(41)을 확인하여 신속하게 시술을 한 후, 카테터(10)의 선단부(11)가 시술하고자 하는 위치에 근접한 경우 상기 소눈금(42)을 확인하여 보다 정밀하고 안전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눈금부(40)는 상기 카테터(10)의 후단부(13)에 적색으로 형성되는 위험눈금(4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위험눈금(43)은 적색으로 형성되어 시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시술자가 상기 위험눈금(43)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보다 정밀하고 안전하게 카테터(10)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러한 상기 위험눈금(43)은 카테터(10)의 선단으로부터 45㎝ 이하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신체 구조상 대퇴정맥으로부터 우심방과 상행대정맥 사이의 위치가 대략 45㎝ 이상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카테터(10)는 상기 흡입홀(14)과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상기 카테터(10)의 중단부(12)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보조흡입홀(1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보조흡입홀(15)은 상기 카테터(10)의 선단으로부터 약 10 ~ 20㎝ 범위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우심방과 상행대정맥 사이의 위치로부터 약 10 ~ 15㎝의 위치에 간정맥이 위치되어 이어 간정맥의 혈액이 원활하게 탈혈 즉, 원활하게 흡입되어 뽑아내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의 카테터(10)는 선단부(11)에 형성된 흡입홀(14)과 중단부(12)에 형성된 제1보조흡입홀(15)을 통해 우심방과 상행대정맥의 사이와 간정맥에서 혈액을 보다 원활하게 뽑아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개의 정맥용 카테터의 시술을 통해 보다 많은 양의 혈액을 뽑아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카테터(10)는 상기 제1보조흡입홀(15)과 이격되어 즉, 상기 제1보조흡입홀(15)과 후단부(13)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상기 카테터(10)의 중단부(12)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보조흡입홀(1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보조흡입홀(16)은 상기 제1보조흡입홀(15)로부터 약 10 ~ 20㎝ 범위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우심방과 상행대정맥 사이의 위치 및 간정맥의 위치보다 더 낮은 위치의 정맥으로부터 혈액을 탈혈 즉, 뽑아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원활하고 많은 양의 혈액을 뽑아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제2보조흡입홀(16)은 상기 흡입홀(14)과 상기 제1보조흡입홀(15)보다 갯수가 적게 형서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간정맥의 위치보다 더 낮은 위치의 혈액의 양이 적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의 카테터(10)는 앞서 설명된 흡입홀(14)과 제1보조흡입홀(15) 및 제2보조흡입홀(16)을 통해 보다 많은 양의 혈액을 원활하게 뽑아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개의 정맥용 카테터의 시술을 통해 충분한 혈액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카테터(10)는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후방이 후단부(13)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보조카테터(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보조카테터(60)는 수지층(30)과 일체로 형성되되, 앞서 설명된 흡입홀(14), 제1보조흡입홀(15), 제2보조흡입홀(16)이 형성되지 않은 수지층(30)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흡입홀(14), 제1보조흡입홀(15), 제2보조흡입홀(16)을 통해 탈혈 즉, 혈액이 흡수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카테터(60)는 상기 카테터(10)의 내주면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카테터(10)의 직격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카테터(10)의 직경보다 1/3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보조카테터(60)는 폐기능이 저하된 환자의 경우 가스 교환 및 산소 공급이 되지 않은 혈액이 폐로 지속적으로 이동되는 경우 폐기능이 점차 악화될 수 있는 우려가 있어 상기 카테터(10)를 통해 흡수되어 뽑아내어진 혈액이 가스 교환 및 산소 공급된 후 다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심실을 통해 폐에 가스 교환 및 산소 공급된 혈액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폐기능을 보조할 수 있어 폐기능이 저하된 환자의 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카테터(60)는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의 경우 신장을 통해 혈액의 독소를 제거하기 어려워 신장 기능이 점차 악화될 수 있는 우려가 있고, 상기 카테터(10)를 통해 흡수되어 뽑아내어진 혈액은 그 양이 많고 순환 속도가 빨라 별도의 독소 제거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카테터(10)보다 작은 직경으로 느린 혈류 속도로 혈액을 흡수하여 뽑아낸 후 독소가 제거된 혈액을 환자에게 다시 송혈 해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보조카테터(60)는 폐와 신장의 기능을 보조할 수 있도록 정맥의 혈액을 송출 즉, 공급 또는 작은 혈류 속도로 탈혈 즉, 흡수함으로써, 환자에게 필요한 처치 방법에 따라 별도의 추가 루멘을 설치하지 않고도 원활한 순환을 통해 회복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데, 카테터(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카테터(10)를 통한 탈혈 즉, 혈액의 흡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앞서 설명된 효과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정맥용 카테터는 카테터(10)의 설치를 위한 가이드와이어가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카테터(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카테터(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가이드와이어를 먼저 삽입 후 상기 가이드카테터(70)를 삽입함으로써, 이후에 카테터(10)가 원활하게 삽입되어 시술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가이드카테터(70)는 일반적으로 카테터(10)와 유사한 길이를 갖고 있어 종래에 가이드와이어의 삽입 후 카테터(10)와 거의 동시에 삽입이 이루어진 후 제거됨에 따라 보다 신중하고 정확하게 삽입하기 위해서는 시술이 빠르게 진행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가이드카테터(70)는 상기 카테터(10)보다 2배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가이드카테터(70)가 가이드와이어를 통해 먼저 삽입이 완료된 후 후단에 구비되어 있는 카테터(10)가 상기 가이드카테터(70)를 따라 이동되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상기 카테터(10)의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카테터(70)는 외주면에 삽입길이를 확인할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눈금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가이드눈금부(40)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앞서 설명된 카테터(10)와 마찬가지로 과도한 삽입으로 인한 혈관 즉, 정맥 및 다른 장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눈금부는 앞서 설명된 카테터(10)의 위험눈금(43)과 마찬가지로, 상기 가이드카테터(70)의 후단부(미표시)에 적색으로 형성되는 가이드위험눈금(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적색표기로 인해 시인성이 향상된 상기 가이드위험눈금을 통해 가이드카테터(70)의 삽입길이의 인지력을 상승시켜 과도한 삽입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보다 신속하고 정밀한 위치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가이드위험눈금은 앞서 설명된 위험눈금(43)과 마찬가지로 45㎝ 이상의 위치에 형성된 가이드눈금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가이드눈금부 또한 위험눈금(43)과 마찬가지로 대눈금(미도시)와 소눈금(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위험눈금(43)과 가이드위험눈금의 색상은 시인성이 확보되는 색이면 어떠한 색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함은 자명할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카테터(70)는 앞서 설명된 보조카테터(60)가 형성된 경우 외측면에 상기 보조카테터(60)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보조홈(7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보조홈(71)을 통해 가이드카테터(70)의 외주면과 카테터(10)의 내주면이 밀착됨으로써, 상기 카테터(10)의 삽입시 혈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카테터(10)가 상기 가이드카테터(70)를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카테터(10)는 후단부(13) 외주연에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고정부(50)는 환자의 피부에 상기 카테터(10)의 후단부(13)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홀(미표시)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카테터(10)의 시술 후 안정적으로 시술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정맥용 카테터는 가이드카테터(70)의 길이를 종래보다 길게하여 먼저 가이드카테터(70)의 삽입 후 카테터(10)를 신속하게 삽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험눈금(43)을 구비하는 눈금부(40)를 통해 빠르고 안전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하고, 흡입홀(14)과 제1보조흡입홀(15) 및 제2보조흡입홀(16)을 통해 다수의 카테터를 설치하지 않고도 많은 양의 혈액을 원활하게 탈혈 즉, 뽑아내어 순환시킬 수 있어, 원활한 혈액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카테터(10)의 내측에 보조카테터(60)를 형성하여 환자의 증세 중 폐기능 또는 신장 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 이에 맞춰 혈액을 공급하거나 회수하여 폐와 신장의 기능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회복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카테터 11 : 선단부
12 : 중단부 13 : 후단부
14 : 흡입홀 15 : 제1보조흡입홀
16 : 제2보조흡입홀 20 : 보강체
30 : 수지층 40 : 눈금부
41 : 대눈금 42 : 소눈금
43 : 위험눈금 50 : 고정부
60 : 보조카테터 70 : 가이드카테터
71 : 보조홈

Claims (10)

  1. 선단부(11)에 우심방과 상행대정맥 사이의 위치에서 혈액을 회수하는 복수 개의 흡입홀(14)이 형성된 카테터(10);와
    상기 카테터(10)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보강체(20);와
    상기 보강체(20)를 피복하도록 형성되는 수지층(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용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맥용 카테터는
    상기 카테터(10)의 외주면에 상기 카테터(10)의 삽입길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눈금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눈금부(40)는
    상기 카테터(10)의 후단부(13)에 적색으로 형성되는 위험눈금(4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용 카테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부(40)는
    상기 카테터(10)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10㎝ 간격으로 형성되는 대눈금(41);과
    상기 카테터(10)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대눈금(41)과 대눈금(41)의 사이에 1㎜ 간격으로 형성되는 소눈금(4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용 카테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눈금(43)은
    45㎝ 이하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용 카테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10)는
    상기 흡입홀(14)과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상기 카테터(10)의 중단부(12)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보조흡입홀(1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용 카테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10)는
    상기 제1보조흡입홀(15)과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상기 카테터(10)의 중단부(12)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보조흡입홀(1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용 카테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10)는
    후단부(13) 외주연에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용 카테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10)는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후방이 후단부(13)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보조카테터(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용 카테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맥용 카테터는
    가이드와이어가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카테터(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카테터(7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카테터(70)는
    상기 카테터(10)보다 2배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용 카테터.
  1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카테터(70)는
    외주면에 삽입길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눈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눈금부는
    상기 가이드카테터(70)의 후단부에 적색으로 형성되는 가이드위험눈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용 카테터.
KR1020210122320A 2021-09-14 2021-09-14 정맥용 카테터 KR2023003925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320A KR20230039252A (ko) 2021-09-14 2021-09-14 정맥용 카테터
PCT/KR2022/010416 WO2023043027A1 (ko) 2021-09-14 2022-07-18 정맥용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320A KR20230039252A (ko) 2021-09-14 2021-09-14 정맥용 카테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252A true KR20230039252A (ko) 2023-03-21

Family

ID=85603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320A KR20230039252A (ko) 2021-09-14 2021-09-14 정맥용 카테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39252A (ko)
WO (1) WO202304302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3400A (ko) 2016-04-05 2018-12-14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경피 카테터 및 경피 카테터용 튜브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64422B2 (ja) * 2005-02-22 2012-06-27 株式会社カネカ 脱血用カテーテル
CN101687087B (zh) * 2007-04-16 2014-06-25 C.R.巴德有限公司 导丝辅助型导管放置系统
JP5013380B2 (ja) * 2009-10-29 2012-08-29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医療用チューブ、及び、これを用いたカテーテル
JP2017512587A (ja) * 2014-03-31 2017-05-25 クリアストリーム・テクノロジーズ・リミテッド 血管内手術中に蛍光透視法の使用を低減するためのカテーテル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3400A (ko) 2016-04-05 2018-12-14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경피 카테터 및 경피 카테터용 튜브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43027A1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38467B2 (ja) 肺動脈換気を行うva ecmo
US71350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ltrafiltration utilizing a peripheral access dual lumen venous cannula
US4790825A (en) Closed chest cannulation method and device for atrial-major artery bypass
US3788328A (en) Cardiovascular catheter
US9789240B2 (en) Ambulatory lung assist device with implanted blood pump and oxygenator
US7824357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contrast associated nephropathy
US20110230821A1 (en) Manual assembly for cardio-circulatory resuscitation
CN107684659A (zh) Ecmo用双腔双心房插管
US11484691B2 (en) Cannula assembly for fitting a flow cannula for introducing, circulating or diverting flow media, and method for extracorporeal support of a patient with pulmonary hypertension or pulmonary insufficiency
WO2011119060A2 (en) Manual assembly for cardio-circulatory resuscitation
KR20230039252A (ko) 정맥용 카테터
KR102596967B1 (ko) 동맥용 카테터
US20110017218A1 (en) Treatment system
WO2018009241A9 (en) Catheter for portable lung assist device
KR20220100685A (ko) 체외 막 산소 공급을 위한 양방향 동맥 캐뉼러 및 이러한 캐뉼러를 사용하는 방법
US20230149698A1 (en) Selective perfusion device and method
CN219231202U (zh) 泵血装置及泵血导管系统
JP2020049034A (ja) 血液循環装置、及び血液循環装置組立方法
CN220125349U (zh) 左心室循环辅助系统
CN218961584U (zh) 一种结合血管内瘘的体表接口系统
US11793919B2 (en) Extracorporeal oxygenation system for low flow rates and methods of use
US20230095678A1 (en) Transformable dual lumen cannula into a single lumen cannula and methods of use
JPH0392170A (ja) カテーテル
JPH04200474A (ja) 補助循環用カニューレ装着補助具
KR20230115732A (ko) 동맥 캐뉼라 및 이를 포함하는 에크모용 캐뉼라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