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003A - 엘리베이터 케이지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003A
KR20230039003A KR1020210121805A KR20210121805A KR20230039003A KR 20230039003 A KR20230039003 A KR 20230039003A KR 1020210121805 A KR1020210121805 A KR 1020210121805A KR 20210121805 A KR20210121805 A KR 20210121805A KR 20230039003 A KR20230039003 A KR 20230039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transparent
elevator cage
transparent panel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4472B1 (ko
Inventor
방정호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1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472B1/ko
Publication of KR20230039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2Floor se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실내 공간에 별도의 투명 패널을 측벽 패널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함으로써, 투명 패널과 측벽 패널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고, 이러한 이격 공간에 의해 엘리베이터 사용자에게 깊이감을 제공하여 새롭고 신선한 미감을 연출할 수 있으며, 투명 패널에 식각 등을 이용한 패턴 문양을 형성함과 동시에 측벽 패널에도 이에 대응되는 패턴 문양을 형성함으로써, 투명 패널과 측벽 패널의 2중 패턴 문양을 통해 다양한 시각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고, 특히, 시야각 변화에 따라 다른 시각 이미지가 연출될 수 있어 더욱 다양한 실내 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케이지{Elevator Cag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공간에 별도의 투명 패널을 측벽 패널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함으로써, 투명 패널과 측벽 패널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고, 이러한 이격 공간에 의해 엘리베이터 사용자에게 깊이감을 제공하여 새롭고 신선한 미감을 연출할 수 있으며, 투명 패널에 식각 등을 이용한 패턴 문양을 형성함과 동시에 측벽 패널에도 이에 대응되는 패턴 문양을 형성함으로써, 투명 패널과 측벽 패널의 2중 패턴 문양을 통해 다양한 시각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고, 특히, 시야각 변화에 따라 다른 시각 이미지가 연출될 수 있어 더욱 다양한 실내 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도 및 업무용도 등으로 건축되는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는 해당 건물을 찾는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된다.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에 승강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와이어로프(wire rope)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균형추(counterweight)와, 승강로의 상측에 와이어로프와 마찰 접촉되어 정역 회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케이지 및 균형추를 승강 구동시키는 권상기 등을 구비한 형태로 구성된다.
엘리베이터 케이지는 내부에 승객이 탑승할 수 있는 구조로 일반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지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케이지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측벽과, 측벽의 상단 및 하단에 천장 및 바닥이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측벽, 천장 및 바닥이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전체적인 지지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케이지에는 실내 공간의 인테리어를 위해 측벽의 내측면에는 특정 문양 등이 형성된 전방 패널, 후방 패널, 좌측면 패널 및 우측면 패널이 배치되고, 천장 및 바닥의 내측면에도 마찬가지로 특정 문양이나 조명 등이 구비된 형태의 천장 패널 및 바닥 패널이 각각 배치된다.
최근에는 건물의 고급화 경향에 따라 엘리베이터에 대한 고급화 경향 또한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향에 따라 최근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부의 실내 공간에 대한 다양한 미감을 제공하거나 기능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실내 패널들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직육면체 내부 공간을 이루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구조적인 특성상 다양한 구조 변화가 어렵고, 실내 패널들에 대한 다양한 이미지 개발 또한 단순히 문양을 변형하는 정도에 불과하여 승객들에게 새롭고 신선한 이미지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등록특허 제10-2086247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공간에 별도의 투명 패널을 측벽 패널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함으로써, 투명 패널과 측벽 패널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고, 이러한 이격 공간에 의해 엘리베이터 사용자에게 깊이감을 제공하여 새롭고 신선한 미감을 연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층수 입력 장치 등을 투명 패널에 장착함으로써, 층수 입력 장치가 측벽 패널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공중에 떠 있는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새로움과 재미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투명 패널에 식각 등을 이용한 패턴 문양을 형성함과 동시에 측벽 패널에도 이에 대응되는 패턴 문양을 형성함으로써, 투명 패널과 측벽 패널의 2중 패턴 문양을 통해 다양한 시각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고, 특히, 시야각 변화에 따라 다른 시각 이미지가 연출될 수 있어 더욱 다양한 실내 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측벽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전방 패널, 후방 패널, 좌측면 패널 및 우측면 패널과, 천장 및 바닥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천장 패널 및 바닥 패널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있어서, 상기 전방 패널, 후방 패널, 좌측면 패널 및 우측면 패널로 이루어진 측벽 패널의 내측면으로부터 실내 공간을 향해 일정 간격 이격되게 결합되는 투명 재질의 투명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패널은 상기 측벽 패널의 전체 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그 상단 및 하단은 상기 천장 패널 및 바닥 패널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투명 패널은 상기 측벽 패널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패널에는 상기 투명 패널의 상단부가 상하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 부분 둘레를 따라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 패널의 상단부는 상기 천장 패널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패널의 상면에는 상기 관통홀에 관통 삽입된 투명 패널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 돌출부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별도의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투명 패널의 상단부가 상기 지지 돌출부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 패널에는 상기 투명 패널의 하단부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별도의 고정 클램프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 클램프는 상기 바닥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 둘레를 따라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패널에는 패턴 문양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 패널에는 상기 투명 패널의 패턴 문양과 대응되는 형태의 패턴 문양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행선층 입력이 가능하도록 층수 입력 버튼이 구비된 층수 입력 장치가 상기 투명 패널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측벽 패널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 공간에 별도의 투명 패널을 측벽 패널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함으로써, 투명 패널과 측벽 패널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고, 이러한 이격 공간에 의해 엘리베이터 사용자에게 깊이감을 제공하여 새롭고 신선한 미감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층수 입력 장치 등을 투명 패널에 장착함으로써, 층수 입력 장치가 측벽 패널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공중에 떠 있는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새로움과 재미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투명 패널에 식각 등을 이용한 패턴 문양을 형성함과 동시에 측벽 패널에도 이에 대응되는 패턴 문양을 형성함으로써, 투명 패널과 측벽 패널의 2중 패턴 문양을 통해 다양한 시각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고, 특히, 시야각 변화에 따라 다른 시각 이미지가 연출될 수 있어 더욱 다양한 실내 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 벽면에 대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또 다른 일부 벽면에 대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투명 패널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투명 패널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측벽과 투명 패널의 패턴 문양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 벽면에 대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투명 패널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투명 패널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측벽과 투명 패널의 패턴 문양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마찬가지로 실내 인테리어를 위한 복수의 패널을 포함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의 내측면에는 측벽 패널(100)이 배치되는데, 측벽 패널(100)은 도어(111)가 형성되는 전방 패널(110)과, 전방 패널(110)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후방 패널(120)과, 전방 패널(110) 및 후방 패널(120) 사이에 배치되는 좌측면 패널(130) 및 우측면 패널(140)로 이루어진다. 천장 및 바닥의 내측면에는 각각 천장 패널(200)과 바닥 패널(300)이 배치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는 전방 패널(110), 후방 패널(120), 좌측면 패널(130) 및 우측면 패널(140)로 이루어지는 측벽 패널(100)의 내측면으로부터 실내 공간을 향해 일정 간격 이격되게 결합되는 투명 재질의 투명 패널(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투명 패널(400)은 측벽 패널(100)의 전체 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그 상단 및 하단은 천장 패널(200) 및 바닥 패널(300)에 각각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투명 패널(400)은 측별 패널(10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패널(110), 후방 패널(120), 좌측면 패널(130) 및 우측면 패널(140)의 내측면과 각각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투명 패널(400)과, 각 투명 패널(400)의 상호 교차 부위에서 곡선 경로를 갖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만곡진 형태의 투명 패널(400) 등으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투명 패널(400)이 측별 패널(100)의 내부 공간에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투명 패널(400)과 측별 패널(100)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이격 공간에 의해 엘리베이터 사용자에게 깊이감을 제공하여 새로운 미감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부에는 사용자의 행선층 입력이 가능하도록 층수 입력 버튼이 구비되는 별도의 층수 입력 장치(500)가 결합되는데, 이러한 층수 입력 장치(500)는 종래 일반적인 기술에 따른 측별 패널(100)의 내측면에 장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층수 입력 장치(500)가 투명 패널(400)의 일측에 외부 노출되게 결합되어 측별 패널(100)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층수 입력 장치(500)가 측별 패널(100)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공중에 떠 있는 구조를 연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새로움과 신선함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층수 입력 장치(500)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운행 정보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한 투명 패널(400)에 장착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장치도 공중에 떠 있는 구조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부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레일(600)이 장착되는데, 이러한 손잡이 레일(600)은 측별 패널(100)에 결합 고정되며, 투명 패널(400)을 관통하여 실내 공간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별도의 투명 패널(400)이 측별 패널(100)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만으로 투명 패널(400)을 통한 시각 효과를 통해 사용자에게 깊이감을 전달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투명 패널(400)의 일측면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패턴 문양(P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턴 문양(P2)은 투명 패널(400)의 후면, 즉, 측별 패널(100)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투명 패널(400)을 일부 부식하거나 연마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측별 패널(100)의 내측면에도 투명 패널(400)의 패턴 문양(P2)과 대응되는 형태의 패턴 문양(P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측별 패널(100)의 패턴 문양(P1)과 투명 패널(400)의 패턴 문양(P2)은 그 형성 위치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별 패널(100)의 패턴 문양(P1)과 투명 패널(400)의 패턴 문양(P2)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됨으로써, 측별 패널(100)의 패턴 문양(P1) 또한 투명 패널(400)을 통해 실내 공간에서 잘 보일 수 있고, 그 시야각에 따라서는 상호 패턴 문양(P1,P2)이 서로 겹쳐보이는 등의 효과로 더욱 새로운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는 별도의 투명 패널(400)을 측별 패널(100)과 이격되게 배치함으로써, 새롭고 신선한 이미지를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투명 패널(400)의 고정 결합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투명 패널(400)은 상단 및 하단이 천장 패널(200) 및 바닥 패널(300)에 각각 고정되는데, 이를 위해 천장 패널(200)에는 투명 패널(400)의 상단부가 상하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 부분 둘레를 따라 관통홀(201)이 형성된다. 투명 패널(400)의 상단부는 천장 패널(200)의 관통홀(201)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천장 패널(200)에 고정 결합된다.
또한, 천장 패널(200)의 상면에는 관통홀(201)에 관통 삽입된 투명 패널(4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지지 돌출부(202)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지지 돌출부(202)는 그 내측면이 관통홀(201)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관통홀(201)의 외곽 둘레를 따라 연속 형성된다.
따라서, 투명 패널(400)의 상단부는 천장 패널(200)의 관통홀(201)을 상향 관통 결합한 상태에서 지지 돌출부(202)와 밀착 접촉하며 지지 돌출부(202)에 의해 지지되는데, 이 상태에서 별도의 고정 수단(203)에 의해 투명 패널(400)의 상단부가 지지 돌출부(202)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고정 수단(203)은 지지 돌출부(202)와 투명 패널(400)을 동시에 관통하는 고정 볼트로 적용될 수도 있고, 이들을 양측에서 가압 고정하는 클램프로 적용될 수도 있는 등 그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바닥 패널(300)에는 투명 패널(400)의 하단부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별도의 고정 클램프(320)가 결합되고, 고정 클램프(320)는 바닥 패널(300)의 가장자리 부분 둘레를 따라 연속되게 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바닥 패널(300)의 가장자리 부분 둘레를 따라 오목홈(310)이 형성되고, 고정 클램프(320)는 이러한 바닥 패널(300)의 오목홈(31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고정 클램프(320)는 도 5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패널(400)이 끼워맞춤 삽입되도록 중심부에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의 결합홈(322)이 형성된 결합부(321)와, 결합부(321)의 일측단으로부터 측별 패널(100)을 향해 수평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323)와, 수평 연장부(323)의 일측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는 수직 지지부(3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직 지지부(324)가 바닥 패널(300)의 오목홈(310)에 삽입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투명 패널(400)의 하단부는 고정 클램프(320)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고정 클램프(320)의 형상에 의해 측별 패널(100)을 향해 단턱지게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신발 등이 투명 패널(400)을 직접적으로 접촉하거나 가압하는 것을 방지하여 투명 패널(400)의 청결 상태를 계속해서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측벽 패널
200: 천장 패널
201: 관통홀
202: 지지 돌출부
203: 고정 수단
300: 바닥 패널
320: 고정 클램프
400: 투명 패널
500: 층수 입력 장치
600: 손잡이 레일

Claims (7)

  1. 측벽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전방 패널, 후방 패널, 좌측면 패널 및 우측면 패널과, 천장 및 바닥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천장 패널 및 바닥 패널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있어서,
    상기 전방 패널, 후방 패널, 좌측면 패널 및 우측면 패널로 이루어진 측벽 패널의 내측면으로부터 실내 공간을 향해 일정 간격 이격되게 결합되는 투명 재질의 투명 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패널은 상기 측벽 패널의 전체 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그 상단 및 하단은 상기 천장 패널 및 바닥 패널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패널은 상기 측벽 패널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분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패널에는 상기 투명 패널의 상단부가 상하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 부분 둘레를 따라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 패널의 상단부는 상기 천장 패널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패널의 상면에는 상기 관통홀에 관통 삽입된 투명 패널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 돌출부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별도의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투명 패널의 상단부가 상기 지지 돌출부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패널에는 상기 투명 패널의 하단부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별도의 고정 클램프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 클램프는 상기 바닥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 둘레를 따라 연속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패널에는 패턴 문양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 패널에는 상기 투명 패널의 패턴 문양과 대응되는 형태의 패턴 문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7. 제 1 항에 있어서,
    행선층 입력이 가능하도록 층수 입력 버튼이 구비된 층수 입력 장치가 상기 투명 패널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측벽 패널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KR1020210121805A 2021-09-13 2021-09-13 엘리베이터 케이지 KR102574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805A KR102574472B1 (ko) 2021-09-13 2021-09-13 엘리베이터 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805A KR102574472B1 (ko) 2021-09-13 2021-09-13 엘리베이터 케이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003A true KR20230039003A (ko) 2023-03-21
KR102574472B1 KR102574472B1 (ko) 2023-09-06

Family

ID=85800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805A KR102574472B1 (ko) 2021-09-13 2021-09-13 엘리베이터 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4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2575A (ja) * 1983-10-26 1985-05-24 三菱電機株式会社 計算機室の入室管理方法
JPH1179613A (ja) * 1997-09-01 1999-03-23 Toshiba Corp エレベータ
KR200400601Y1 (ko) * 2005-08-06 2005-11-08 유천종 전망용 승강기의 유리 고정구조
KR102086247B1 (ko) 2018-09-06 2020-03-0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케이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2575A (ja) * 1983-10-26 1985-05-24 三菱電機株式会社 計算機室の入室管理方法
JPH1179613A (ja) * 1997-09-01 1999-03-23 Toshiba Corp エレベータ
KR200400601Y1 (ko) * 2005-08-06 2005-11-08 유천종 전망용 승강기의 유리 고정구조
KR102086247B1 (ko) 2018-09-06 2020-03-0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케이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472B1 (ko) 202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2014B2 (ja) 建物の空間構造
KR102574472B1 (ko) 엘리베이터 케이지
JP2009243260A5 (ko)
CA2410818C (en) Office forming equipment
JP5297216B2 (ja) 照明機能を有する建築材
JP2007224499A (ja) 通気・採光用床構造
KR102574473B1 (ko) 엘리베이터 케이지
JP7120705B2 (ja) 建物
US20230257230A1 (en) Elevator system
JP2016079557A (ja) 浴室
CN214905613U (zh) 一种智能展示台
JP7484361B2 (ja) 建築物
JP3180981U (ja) 三角型の玄関ユニット
JP6958715B1 (ja) エレベーターの発光器具
JP7202829B2 (ja) 室内壁構造および室内壁構造の施工方法
JP2021147770A (ja) パーティション
CA2410822A1 (en) Living space forming equipment
JP2023061168A (ja) 建物
JP2018108122A (ja) 家具
KR20180054312A (ko) 개방형 스마트 액자
JPH04159986A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ー
JP2023010282A (ja) 建物
JP2022169982A (ja) フレーム式災害用ボックス及びフレーム式災害用ボックス組立体
JP2020200628A (ja) ブース
JP5496741B2 (ja) 保育施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