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8567A - 완충기 - Google Patents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8567A
KR20230038567A KR1020237005435A KR20237005435A KR20230038567A KR 20230038567 A KR20230038567 A KR 20230038567A KR 1020237005435 A KR1020237005435 A KR 1020237005435A KR 20237005435 A KR20237005435 A KR 20237005435A KR 20230038567 A KR20230038567 A KR 20230038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passage
chamber
piston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5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키오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38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5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16F9/3481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characterised by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in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16F9/18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 F16F9/185Bitubula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60G13/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 B60G13/0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hydraul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16F9/512Means responsive to load action, i.e. static load on the damper or dynamic fluid pressure changes in the damper, e.g. due to changes in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16F9/512Means responsive to load action, i.e. static load on the damper or dynamic fluid pressure changes in the damper, e.g. due to changes in velocity
    • F16F9/5126Piston, or piston-like val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20Type of damper
    • B60G2202/24Fluid dam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12Fluid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는,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 내의 한쪽의 실로부터 작동 유체가 유출되는 제1 통로와, 제1 통로와 병렬로 마련되는 제2 통로와, 제1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디스크와, 디스크에 대한 압박력을,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변경 가능한 통형의 스풀 부재와, 제2 통로에 마련되고, 스풀 부재의 내주측에 있으며 스풀 부재에 디스크에 대한 압박력을 발생시키는 파일럿실과, 파일럿실로부터 다른 쪽의 실로의 흐름을 차단하고, 스풀 부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폐색 부재를 갖는다.

Description

완충기
본 발명은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20년 10월 9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2020-171046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피스톤 주파수에 따라 감쇠력이 가변이 되는 완충기가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국제 공개 제2017/047661호
완충기에 있어서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소형화가 가능한 완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완충기는,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2실 중 한쪽의 실로부터 작동 유체가 유출되는 제1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와 병렬로 마련되는 제2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에 대한 압박력을,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변경 가능한 통형의 스풀 부재와, 상기 제2 통로에 마련되고, 상기 스풀 부재의 내주측에 있으며 상기 스풀 부재에 상기 디스크에 대한 압박력을 발생시키는 파일럿실과, 상기 파일럿실로부터 2실 중 다른 쪽의 실로의 흐름을 차단하고, 상기 스풀 부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폐색 부재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완충기는,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2실 중 한쪽의 실로부터 작동 유체가 유출되는 제1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디스크와, 상기 실린더의 외주측에 마련되는 바닥을 갖는 통형의 외통과, 상기 외통의 바닥부에 마련되어 상기 외통 및 상기 실린더의 사이의 실과 상기 한쪽의 실을 구획하는 베이스 밸브를 갖는다. 상기 베이스 밸브에는, 상기 제1 통로와 병렬로 마련되는 제2 통로와, 상기 제2 통로에 마련되며, 상기 피스톤의 주파수에 따라 감쇠력을 가변으로 하는 주파수 감응 기구가 마련된다. 상기 주파수 감응 기구가 상기 베이스 밸브의 상기 바닥부측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완충기에 의하면,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나타내는 피스톤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나타내는 피스톤 주변의 한쪽 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나타내는 베이스 밸브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나타내는 베이스 밸브 주변의 한쪽 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나타내는 베이스 밸브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나타내는 베이스 밸브 주변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베이스 밸브에 의한 감쇠력 특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특성선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나타내는 베이스 밸브 주변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나타내는 베이스 밸브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나타내는 베이스 밸브 주변의 한쪽 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나타내는 베이스 밸브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나타내는 베이스 밸브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나타내는 베이스 밸브 주변의 한쪽 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나타내는 베이스 밸브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나타내는 베이스 밸브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나타내는 베이스 밸브 주변의 한쪽 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나타내는 베이스 밸브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 1~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도 5, 도 7, 도 9~도 11, 도 13, 도 14, 도 16, 도 17, 도 19에 있어서의 상측을 「상」으로 하고, 도면에 있어서의 하측을 「하」로 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위 복통형의 유압 완충기이다. 완충기(1)는,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 부재(2)를 갖고 있다. 실린더 부재(2)는, 원통형의 실린더(3)와, 이 실린더(3)보다 대직경이며 실린더(3)의 외주측에 실린더(3)를 덮도록 실린더(3)에 대하여 동심형으로 마련되는 바닥을 갖는 통형의 외통(4)과, 외통(4)의 상부 개구측을 덮는 커버(5)를 갖고 있다. 실린더 부재(2)에서는, 실린더(3)와 외통(4) 사이가 리저버실(6)로 되어 있다. 환언하면, 리저버실(6)은, 실린더(3)의 외주측에 마련되어 있다. 실린더(3) 내에는 작동 유체로서의 작동액인 오일액이 봉입되고, 리저버실(6)에는 작동 유체로서의 작동액인 오일액과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외통(4)은, 원통형의 몸통 부재(11)와, 몸통 부재(11)의 하부측에 감합 고정되어 몸통 부재(11)의 하부를 폐색하는 바닥 부재(12)를 포함하고 있다. 바닥 부재(12)에는, 몸통 부재(11)와는 반대의 외측에 부착 아이(13)가 고정되어 있다.
커버(5)는, 통형부(15)와, 통형부(15)의 상단측으로부터 반경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내(內)플랜지부(16)를 갖고 있다. 커버(5)는, 몸통 부재(11)의 상단 개구부를 내플랜지부(16)로 덮고 몸통 부재(11)의 외주면을 통형부(15)로 덮도록, 몸통 부재(11)에 씌워져 있다. 커버(5)는, 이 상태로, 통형부(15)의 일부가 반경방향 내방에 코킹됨으로써, 몸통 부재(11)에 고정되어 있다.
실린더 부재(2)의 실린더(3) 내에는, 피스톤(18)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 피스톤(18)은, 실린더(3) 내를 상실(19)과 하실(20)의 2실로 나누고 있다. 이들 상실(19) 및 하실(20)이 오일액으로 채워져 있다.
실린더 부재(2) 내에는, 피스톤 로드(21)가 삽입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1)에서는, 일단측이 피스톤(18)에 연결되며, 타단측이 실린더(3)를 포함하는 실린더 부재(2)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피스톤(18) 및 피스톤 로드(21)는 일체로 이동한다. 피스톤 로드(21)가 실린더 부재(2)로부터의 돌출량을 늘리는 신장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18)은 상실(19)측으로 이동한다. 피스톤 로드(21)가 실린더 부재(2)로부터의 돌출량을 줄이는 축소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18)은 하실(20)측으로 이동한다.
실린더(3) 및 외통(4)의 상단 개구측에는, 로드 가이드(22)가 감합되어 있고, 외통(4)에는 로드 가이드(22)보다 실린더 부재(2)의 외부측인 상측에 시일 부재(23)가 감합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22)와 시일 부재(23) 사이에는 마찰 부재(24)가 마련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22), 시일 부재(23) 및 마찰 부재(24)는, 모두 환형을 이루고 있다. 피스톤 로드(21)는, 이들 로드 가이드(22), 마찰 부재(24) 및 시일 부재(23)의 각각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있다.
여기서, 로드 가이드(22)는, 피스톤 로드(21)를, 그 반경방향 이동을 규제하면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이 피스톤 로드(21)의 이동을 안내한다. 시일 부재(23)는, 그 외주부에서 외통(4)에 밀착한다. 시일 부재(23)는, 그 내주부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 로드(21)의 외주부에 미끄럼 접촉하여, 실린더(3) 내의 오일액과, 외통(4) 내의 리저버실(6)의 고압 가스 및 오일액이 외부에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마찰 부재(24)는, 그 내주부에서 피스톤 로드(21)의 외주부에 미끄럼 접촉하여, 피스톤 로드(21)에 마찰 저항을 발생시킨다. 또한, 마찰 부재(24)는, 시일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로드 가이드(22)는, 그 외주부가, 하부보다 상부가 대직경이 되는 단차형을 이루고 있다. 로드 가이드(22)에서는, 소직경의 하부에 있어서 실린더(3)의 상단의 내주부에 감합하고, 대직경의 상부에 있어서 외통(4)의 상부의 내주부에 감합한다.
외통(4)의 바닥 부재(12) 상에는 하실(20)과 리저버실(6)을 획정하는 베이스 밸브(2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베이스 밸브(25)에, 실린더(3)의 하단의 내주부가 감합되어 있다. 외통(4)의 상단부는, 도시하지 않는 일부가 반경방향 내방에 코킹되어 있다. 이 코킹 부분과 로드 가이드(22)가, 시일 부재(23)를 협지하고 있다.
피스톤 로드(21)는, 주축부(27)와, 이것보다 소직경의 부착 축부(28)를 갖고 있다. 부착 축부(28)는 실린더 부재(2) 내에 배치되어 있다. 부착 축부(28)에는 피스톤(18) 등이 부착되어 있다. 주축부(27)의 부착 축부(28)측의 단부는, 주축부(27)의 축 직교 방향으로 넓어지는 축 단차부(29)로 되어 있다. 부착 축부(28)의 외주부에는, 축방향의 중간 위치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 홈(30)이 형성되어 있다. 부착 축부(28)의 외주부에는, 축방향의 주축부(27)와는 반대측의 선단 위치에 수나사(31)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1)의 중심 축선에 직교하는 면에서의 단면의 형상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D자형 중 어느 하나를 이루도록, 통로 홈(30)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1)에 있어서의, 주축부(27)의 피스톤(18)과 로드 가이드(22) 사이의 부분에는, 모두 원환형인 스토퍼 부재(32) 및 완충체(33)가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32)는, 내주측에 피스톤 로드(21)를 삽입 관통시키고 있다. 스토퍼 부재(32)는, 주축부(27)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방으로 움패는 고정홈(34)에 코킹되어, 주축부(27)에 고정되어 있다.
완충체(33)도, 내측에 피스톤 로드(21)를 삽입 관통시키고 있다. 완충체(33)는, 스토퍼 부재(32)와 로드 가이드(2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완충기(1)에서는, 예컨대 피스톤 로드(21)의 실린더 부재(2)로부터의 돌출 부분이 완충기(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돌출 부분이, 차체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한편, 실린더 부재(2)측의 부착 아이(13)가, 완충기(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부착 아이(13)는 차륜측에 연결된다.
이와는 반대로, 실린더 부재(2)측이 차체에 의해 지지되고, 피스톤 로드(21)가 차륜측에 연결되도록 하여도 좋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18)은, 피스톤 로드(21)에 지지되는 금속제의 피스톤 본체(35)와, 피스톤 본체(35)의 외주면에 일체로 장착되어 실린더(3) 내를 슬라이딩하는 원환형의 합성 수지제의 슬라이딩 부재(3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5)에는, 복수의 통로 구멍(38)과, 복수의 통로 구멍(39)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복수의 통로 구멍(38) 및 복수의 통로 구멍(39) 중, 단면으로 한 위치의 관계상, 각각 한 곳만을 나타낸다.
복수의 통로 구멍(38)은,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시킨다. 복수의 통로 구멍(38)은, 피스톤(18)의 상실(19)측으로의 이동, 즉 신장 행정에 있어서 상실(19)로부터 하실(20)을 향하여 오일액이 유출되는 통로를 내측에 형성한다.
복수의 통로 구멍(39)은, 피스톤(18)의 하실(20)측으로의 이동, 즉 축소 행정에 있어서 하실(20)로부터 상실(19)을 향하여 오일액이 유출되는 통로를 내측에 형성한다.
통로 구멍(38)은, 원주 방향에 있어서, 각각 사이에 1개소의 통로 구멍(39)을 두고 등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통로 구멍(38)에 있어서의 피스톤(18)의 축방향 일측(도 2의 상측)이, 반경방향 외측에 개구하고 있다. 통로 구멍(38)에 있어서의 피스톤(18)의 축방향 타측(도 2의 하측)이, 반경방향 내측에 개구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든 통로 구멍(38, 39) 중 반수의 통로 구멍(38)에 대하여, 감쇠력을 발생하는 감쇠력 발생 기구(41)가 마련되어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피스톤(18)의 축방향의 일단측인 하실(20)측에 배치되어, 피스톤 로드(21)에 부착되어 있다. 통로 구멍(38)은, 피스톤 로드(21) 및 피스톤(18)이 신장측(도 3의 상측)으로 이동할 때에 오일액이 통과하는 신장측의 통로를 내측에 형성하고 있다. 이들 반수의 통로 구멍(38)에 대하여 마련된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신장측의 통로 구멍(38) 내의 통로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신장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로 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에는, 주파수 감응 기구(43)가 부착되어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43)는, 감쇠력 발생 기구(41)에 있어서의 피스톤(18)과는 반대측에 인접하고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43)는, 신장 행정에서 피스톤(18)의 왕복동의 주파수(이하, 피스톤 주파수라고 칭함)에 감응하여, 감쇠력을 가변으로 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든 통로 구멍(38, 39) 중 나머지 반수를 구성하는 통로 구멍(39)은, 원주 방향에 있어서, 각각 사이에 1개소의 통로 구멍(38)을 두고 등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통로 구멍(39)에서는, 피스톤(18)의 축선 방향 타측(도 2의 하측)이, 반경방향 외측에 개구하고 있다. 피스톤(18)의 축선 방향 일측(도 2의 상측)이, 반경방향 내측에 개구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나머지 반수의 통로 구멍(39)에, 감쇠력을 발생하는 감쇠력 발생 기구(42)가 마련되어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피스톤(18)의 축방향의 타단측인 축선 방향의 상실(19)측에 배치되어, 피스톤 로드(21)에 부착되어 있다.
통로 구멍(39)은, 피스톤 로드(21) 및 피스톤(18)이 축소측(도 2의 하측)으로 이동할 때에 오일액이 통과하는 축소측의 통로를 내측에 형성하고 있다. 이들 반수의 통로 구멍(39)에 대하여 마련된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축소측의 통로 구멍(39) 내의 통로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축소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로 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5)는, 대략 원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피스톤 본체(35)의 반경방향의 중앙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감합 구멍(45)이 형성되어 있다. 감합 구멍(45)은,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를 감합시키기 위한 구멍이다.
피스톤 본체(35)의 축방향의 하실(20)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감합 구멍(45)과 통로 구멍(38) 사이의 부분이, 감쇠력 발생 기구(41)의 내주측을 지지하고 있다. 피스톤 본체(35)의 축방향의 상실(19)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감합 구멍(45)과 통로 구멍(39) 사이의 부분이, 감쇠력 발생 기구(42)의 내주측을 지지하고 있다.
피스톤 본체(35)의 축방향의 하실(20)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통로 구멍(38)의 하실(20)측의 개구보다 반경방향 외측에는, 감쇠력 발생 기구(41)의 일부인 환형의 밸브 시트부(4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 본체(35)의 축방향의 상실(19)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통로 구멍(39)의 상실(19)측의 개구보다 반경방향 외측에는, 감쇠력 발생 기구(42)의 일부인 환형의 밸브 시트부(49)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5)에 있어서, 밸브 시트부(47)의 감합 구멍(45)과는 반대측은, 밸브 시트부(47)보다 축선 방향 높이가 낮은 단차형을 이루고 있다. 이 단차형의 부분에, 축소측의 통로 구멍(39)의 하실(20)측의 개구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동일하게, 피스톤 본체(35)에 있어서, 밸브 시트부(49)의 감합 구멍(45)과는 반대측은, 밸브 시트부(49)보다 축선 방향 높이가 낮은 단차형을 이루고 있다. 이 단차형의 부분에, 신장측의 통로 구멍(38)의 상실(19)측의 개구가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장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압력 제어형의 밸브 기구이다.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축방향의 피스톤(18)측으로부터 순서대로, 1개의 디스크(51)와, 1개의 메인 밸브(52)와, 1개의 디스크(53)와, 1개의 디스크(54)와, 하나의 시트 부재(55)와, 1개의 디스크(56)와, 1개의 디스크(57)와, 1개의 디스크(58)와, 1개의 디스크(59)와, 1개의 디스크(60)와, 1개의 디스크(61)와, 1개의 디스크(62)를 갖고 있다.
디스크(51, 53, 54, 56~62) 및 시트 부재(55)는 금속제이다. 디스크(51, 53, 54, 56~62)는, 모두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를 감합 가능한, 일정 두께의 구멍을 갖는 원형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메인 밸브(52) 및 시트 부재(55)는, 모두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를 감합 가능한,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시트 부재(55)는, 축 직교 방향을 따라 넓어지는 구멍을 갖는 원판형의 바닥부(71)와, 바닥부(71)의 내주측에 형성된 축방향을 따르는 원통형의 내측 원통형부(72)와, 바닥부(71)의 외주측에 형성된 축방향을 따르는 원통형의 외측 원통형부(73)를 갖고 있다.
바닥부(71)는, 내측 원통형부(72) 및 외측 원통형부(73)에 대하여 축방향의 일측으로 틀어져 있다. 바닥부(71)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74)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 원통형부(72)의 내측에는, 축방향의 바닥부(71)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를 감합시키는 소직경 구멍부(75)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원통형부(72)의 내측에는, 축방향의 바닥부(71)와는 반대측에, 소직경 구멍부(75)보다 대직경의 대직경 구멍부(76)가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55)의 외측 원통형부(73)의 축방향의 바닥부(71)측의 단부는, 환형의 밸브 시트부(79)로 되어 있다. 관통 구멍(74)을 포함하는 시트 부재(55)의 내측은, 메인 밸브(52)에 피스톤(18)의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파일럿실(80)로 되어 있다.
디스크(51)는, 밸브 시트부(47)의 내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메인 밸브(52)는 금속제의 디스크(85)와, 디스크(85)에 고착되는 고무제의 시일 부재(85)를 포함하고 있다. 디스크(85)는,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를 감합 가능한 일정 두께의 구멍을 갖는 원형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디스크(85)는, 밸브 시트부(47)의 외경보다 약간 대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시일 부재(85)는, 디스크(85)의 피스톤(18)과는 반대의 외주측에 고착되어 있고,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디스크(85)에 있어서의, 시일 부재(85)보다 반경방향 내측에는, 관통 구멍(87)이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85)는 피스톤(18)의 밸브 시트부(47)에 착좌 가능하다. 메인 밸브(52)는, 피스톤(18)에 마련된 통로 구멍(38) 내의 통로와 시트 부재(55)에 마련된 파일럿실(80)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피스톤(18)의 신장측으로의 슬라이딩에 의해 생기는 오일액의 흐름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시일 부재(85)는, 시트 부재(55)의 외측 원통형부(73)의 내주면에 전체 둘레에 걸쳐 접촉하여, 메인 밸브(52)와 외측 원통형부(73)의 간극을 시일한다. 따라서, 메인 밸브(52)와 시트 부재(55) 사이의 상기한 파일럿실(80)은, 메인 밸브(52)에 피스톤(18)의 방향으로 내압을 작용시킨다. 상기 피스톤(18)의 방향은, 밸브 시트부(47)에 디스크(85)를 착좌시키는 밸브 폐쇄 방향이다. 디스크(85)의 관통 구멍(87) 내가, 파일럿실(80)에 실린더 부재(2) 내의 상실(19)로부터 통로 구멍(38) 내의 통로를 통해 오일액을 도입하는 통로로 되어 있다.
메인 밸브(52)는 파일럿실(80)을 갖는 파일럿 타입의 감쇠 밸브이다. 디스크(85)가 피스톤(18)의 밸브 시트부(47)로부터 이격하여 개방되면, 통로 구멍(38) 내의 통로로부터의 오일액을, 피스톤(18)과 시트 부재(55)의 외측 원통형부(73)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넓어지는 통로(88)를 통해 하실(20)에 흐르게 한다. 신장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디스크(85)의 관통 구멍(87) 내의 통로를 통해 오일액의 흐름의 일부를 파일럿실(80)에 도입하여, 파일럿실(80)의 압력에 의해 메인 밸브(52)의 밸브 개방을 제어한다.
디스크(53)는 내측 원통형부(72)의 외경보다 소직경이며, 대직경 구멍부(76)의 내경보다 대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54)에는, 내주측에 절결(91)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91)은, 내측 원통형부(72)의 디스크(54)에의 접촉 부분을 반경방향으로 횡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절결(91) 내의 통로를 통해, 시트 부재(55)의 대직경 구멍부(76) 내의 통로와 파일럿실(80)이 상시 연통하고 있다.
디스크(56)는, 시트 부재(55)의 밸브 시트부(79)의 내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57)는, 밸브 시트부(79)의 외경보다 약간 대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57)는, 밸브 시트부(79)에 착좌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디스크(57)에는, 외주측에 절결(93)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93)은, 밸브 시트부(79)를 반경방향으로 횡단하고 있다.
디스크(58), 디스크(59) 및 디스크(60)는, 디스크(57)의 외경과 동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61)는, 디스크(60)의 외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62)는, 디스크(61)의 외경보다 대직경 또한 디스크(60)의 외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57~60)가, 밸브 시트부(79)에 착좌나 이격 가능하며, 밸브 시트부(79)로부터 이격한다. 이 구성에 의해, 파일럿실(80)과 하실(20)을 연통시키며 이들 사이의 오일액의 흐름을 억제하는, 디스크 밸브(99)가 구성된다. 파일럿실(80)은, 메인 밸브(52)와 시트 부재(55)와 디스크 밸브(99)로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57)의 절결(93)은, 디스크(57)가 밸브 시트부(79)에 접촉 상태에 있어도 파일럿실(80)을 하실(20)에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100)를 구성하고 있다.
디스크(62)는, 디스크 밸브(99)의 개방 방향으로의 변형 시에 디스크(60)에 접촉하여 디스크 밸브(99)의 변형을 억제한다.
피스톤(18)에 마련된 신장측의 통로 구멍(38) 내의 통로와, 개방 시의 메인 밸브(52)와 밸브 시트부(47)의 간극과, 피스톤(18)과 외측 원통형부(73)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넓어지는 통로(88)와, 디스크(85)에 마련된 관통 구멍(87)과, 파일럿실(80)과, 고정 오리피스(100)와, 개방 시의 디스크 밸브(99)와 밸브 시트부(79)의 간극이, 신장측의 제1 통로(101)를 구성하고 있다. 제1 통로(101)로서는, 신장 행정에서의 피스톤(18)의 이동에 의해, 상실(19)로부터 하실(20)을 향하여 오일액이 유출된다.
신장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이 신장측의 제1 통로(101)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소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축방향의 피스톤(18)측으로부터 순서대로, 1개의 디스크(111)와, 1개의 디스크(112)와, 복수 개의 디스크(113)와, 복수 개의 디스크(114)와, 1개의 디스크(115)와, 1개의 디스크(116)와, 1개의 환형 부재(117)를 갖고 있다.
디스크(111~116) 및 환형 부재(117)는 금속제이다. 디스크(111~116) 및 환형 부재(117)는 모두,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를 감합 가능한 일정 두께의 구멍을 갖는 원형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디스크(111)는, 피스톤(18)의 밸브 시트부(49)의 내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112)는, 피스톤(18)의 밸브 시트부(49)의 외경보다 약간 대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고, 밸브 시트부(49)에 착좌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디스크(112)에는, 외주측에 절결(121)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121)은, 밸브 시트부(49)를 반경방향으로 횡단하고 있다.
복수 개의 디스크(113)는, 디스크(112)의 외경과 동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복수 개의 디스크(114)는, 디스크(113)의 외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115)는, 디스크(114)의 외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116)는, 디스크(114)의 외경보다 대직경, 또한 디스크(113)의 외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환형 부재(117)는 디스크(116)의 외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환형 부재(117)는, 디스크(111~116)보다 두껍고, 고강성으로 되어 있다. 이 환형 부재(117)는 피스톤 로드(21)의 축 단차부(29)에 접촉하고 있다.
디스크(112~114)가, 밸브 시트부(49)에 착좌나 이격 가능하며, 밸브 시트부(49)로부터 이격한다. 이상의 구성이, 통로 구멍(39) 내의 통로를 상실(19)에 개방 가능하고, 상실(19)과 하실(20) 사이의 오일액의 흐름을 억제하는 디스크 밸브(122)를 구성하고 있다.
디스크(112)의 절결(121)은, 디스크(112)가 밸브 시트부(49)에 접촉 상태에 있어도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123)를 구성하고 있다. 환형 부재(117)는 디스크 밸브(122)의 개방 방향으로의 규정 이상의 변형을 규제한다.
피스톤(18)에 마련된 축소측의 통로 구멍(39) 내의 통로와, 고정 오리피스(123)와, 개방 시의 디스크 밸브(122)와 밸브 시트부(49)의 간극이, 축소측의 제1 통로(102)를 구성하고 있다.
축소측의 제1 통로(102)에서는, 축소 행정에서의 피스톤(18)의 이동에 의해, 하실(20)로부터 상실(19)을 향하여 오일액이 유출된다. 축소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이 축소측의 제1 통로(102)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도 3에 나타내는 신장측의 디스크 밸브(99) 및 축소측의 디스크 밸브(122)를 모두 내주 클램프의 디스크 밸브로 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크 밸브(99, 122)는 감쇠력을 발생하는 기구이면 좋다. 예컨대, 디스크 밸브를 코일 스프링으로 가압하는 리프트 타입의 밸브로 하여도 좋고, 또한 포핏 밸브여도 좋다.
주파수 감응 기구(43)는, 축방향의 감쇠력 발생 기구(41)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하나의 케이스 부재 본체(131)와, 1개의 디스크(132)와, 복수 개의 디스크(133) 및 1개의 구획 디스크(134)와, 1개의 디스크(135)와, 복수 개의 디스크(136)와, 덮개 부재(139)를 갖고 있다. 덮개 부재(139)의 감쇠력 발생 기구(41)와는 반대측에, 환형 부재(117)와 공통 부품인 환형 부재(175)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 본체(131), 디스크(132, 133, 135, 136), 환형 부재(175) 및 덮개 부재(139)는 금속제이다. 디스크(132, 133, 135, 136) 및 환형 부재(175)는, 모두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를 감합 가능한 일정 두께의 구멍을 갖는 원형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케이스 부재 본체(131) 및 덮개 부재(139)는, 모두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를 감합 가능한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덮개 부재(139)는 케이스 부재 본체(131)에 감합된다. 덮개 부재(139)는, 통형의 케이스 부재(140)를 케이스 부재 본체(131)로 구성한다. 덮개 부재(139)는, 덮개 본체부(165)와 통형부(166)를 갖는 덮개를 갖는 원통형이다. 덮개 본체부(165)에는 관통 구멍(167)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 본체(131)가 덮개 부재(139)의 통형부(166)에 감합되어, 통형의 케이스 부재(140)를 구성한다.
케이스 부재 본체(131)는, 축 직교 방향으로 넓어지는 구멍을 갖는 원판형의 기초부(141)와, 기초부(141)의 내주측에 형성된 기초부(141)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내측 원통형부(142)와, 기초부(141)의 내측 원통형부(142)보다 외주측에 형성된 기초부(141)의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원통형의 시트부(143)를 갖고 있다. 내측 원통형부(142)는, 기초부(141)로부터 축방향 양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시트부(143)는, 기초부(141)로부터 축방향 한쪽 편으로만 돌출하고 있다.
내측 원통형부(142)의 내측에는, 축방향에 있어서의 시트부(143)의 돌출 방향과는 반대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를 감합시키는 소직경 구멍부(145)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원통형부(142)의 내측에는, 축방향의 시트부(143)측에, 소직경 구멍부(145)보다 대직경의 대직경 구멍부(146)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 본체(131)의 시트부(143)는, 그 돌출 선단측의 단부에서, 구획 디스크(134)의 외주측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시트부(143)에는, 둘레 방향 부분적으로 절결(144)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 본체(131)에 있어서의 시트부(143)의 반경방향 내측과 반경방향 외측이, 상시 연통하고 있다.
디스크(132)는 시트부(143)의 내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132)에는, 내주측에 절결(151)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151)은, 내측 원통형부(142)의 디스크(132)에의 접촉 부분을 반경방향으로 횡단하고 있다. 디스크(133)는, 디스크(132)의 외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구획 디스크(134)는, 금속제의 디스크(155)와, 디스크(155)의 외주측에 고착되는 고무제의 시일 부재(156)를 포함하고 있다. 구획 디스크(134)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디스크(155)는, 내측에 디스크(133)와는 간극을 두고 배치 가능한 일정 두께의 구멍을 갖는 원형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디스크(155)는, 복수 개의 디스크(133)의 전체 두께보다 두께가 얇게 되어 있다. 디스크(155)는, 케이스 부재 본체(131)의 시트부(143)의 외경보다 대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시일 부재(156)는, 디스크(155)의 외주측에 원환형을 이루어 고착되어 있다. 시일 부재(156)는, 디스크(155)로부터 축방향의 케이스 부재 본체(131)측으로 돌출하는 원환형의 시일 본체부(158)와, 디스크(155)로부터 축방향의 케이스 부재 본체(131)와는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원환형의 돌출부(159)를 갖고 있다.
또한, 디스크(155)와, 덮개 부재(139)의 통형부(166) 사이에는, 환형의 간극이 마련되어 있다. 시일 부재(156)는, 그 간극을 통해 시일 본체부(158)와 돌출부(159)를 연결하고 있다. 시일 본체부(158)에 있어서, 디스크(155)측의 단부의 내경, 즉 최소 내경이, 시트부(143)의 외경보다 약간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획 디스크(134)의 디스크(155)가, 케이스 부재 본체(131)의 시트부(143)에 착좌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돌출부(159)에는, 그 디스크(155)와는 반대측에 개구하여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반경방향 홈(161)이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135)는, 구획 디스크(134)의 디스크(155)의 내경보다 대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획 디스크(134)의 내주측의 부분이, 디스크(132)와 디스크(135) 사이에 디스크(133)의 축방향 길이의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구획 디스크(134)에 있어서의 비지지측인 외주측에는, 케이스 부재(140)와의 사이를 시일하는 환형의 시일 부재(156)가 마련되어 있다. 시일 부재(156)가 케이스 부재(140)에 접촉하여, 구획 디스크(134)가 케이스 부재(140)에 대하여 센터링된다. 환언하면, 구획 디스크(134)의 내주측은, 양면측으로부터 클램프되지 않고 편면측만 디스크(135)에 지지되는 단순 지지 구조로 되어 있다.
복수 개의 디스크(136)는, 디스크(135)의 외경보다 외경이 대직경이다. 복수 개의 디스크(136)는, 덮개 부재(139)의 덮개 본체부(165)의 반경방향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167)보다 내측의 범위에 접촉하고 있다.
구획 디스크(134)의 시일 본체부(158)는, 덮개 부재(139)의 통형부(166)의 내주면에 전체 둘레에 걸쳐 접촉하고 있다. 시일 본체부(158)는 구획 디스크(134)와 통형부(166)의 간극을 시일한다. 즉, 구획 디스크(134)는 패킹 밸브이다.
시일 본체부(158)는, 구획 디스크(134)가 케이스 부재(140) 내에서 허용되는 범위로 변형하여도, 구획 디스크(134)와 통형부(166)의 간극을 상시 시일한다. 구획 디스크(134)의 시일 본체부(158)가 통형부(166)에 전체 둘레에 걸쳐 접촉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스 부재(140)에 대하여 센터링된다. 구획 디스크(134)는, 케이스 부재(140) 내를, 케이스 부재 본체(131)측의 용량 가변인 가변실(171)과, 덮개 부재(139)의 덮개 본체부(165)측의 용량 가변인 가변실(172)로 구획한다. 가변실(171)은, 디스크(132)의 절결(151) 내의 통로를 통해 케이스 부재 본체(131)의 대직경 구멍부(146) 내의 통로에 연통한다. 가변실(172)은, 덮개 부재(139)의 관통 구멍(167) 내의 통로를 통해 하실(20)에 연통한다.
피스톤 로드(21)에 있어서의 부착 축부(28)의 수나사(31)에는, 너트(176)가 나사 결합된다. 이에 의해, 환형 부재(117), 감쇠력 발생 기구(42), 피스톤(18), 감쇠력 발생 기구(41), 주파수 감응 기구(43) 및 환형 부재(175)가, 부착 축부(28)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피스톤 로드(21)에 부착된 상태로, 파일럿실(80)이, 디스크(54)의 절결(91) 내의 통로와, 시트 부재(55)의 대직경 구멍부(76) 내의 통로와,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홈(30) 내의 통로와, 케이스 부재 본체(131)의 대직경 구멍부(146) 내의 통로와, 디스크(132)의 절결(151) 내의 통로를 통해, 주파수 감응 기구(43)의 가변실(171)에 상시 연통한다. 또한, 주파수 감응 기구(43)의 가변실(172)은, 덮개 부재(139)의 관통 구멍(167)을 통해 하실(20)에 상시 연통한다. 관통 구멍(87) 내의 통로와, 파일럿실(80)과, 절결(91) 내의 통로와, 대직경 구멍부(76) 내의 통로와, 통로 홈(30) 내의 통로와, 대직경 구멍부(146) 내의 통로와, 절결(151) 내의 통로와, 가변실(171, 172)과, 관통 구멍(167) 내의 통로가, 상기한 신장측의 제1 통로(101)로부터 분기하고 있다. 이들 통로는, 분기 후에 제1 통로(101)와 병렬로 마련되는 신장측의 제2 통로(181)를 구성하고 있다.
구획 디스크(134)는, 내주측이 디스크(132)와 디스크(135) 사이에서 이동하고 외주측이 시트부(143)와 덮개 부재(139)의 덮개 본체부(165) 사이에서 이동하는 범위로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구획 디스크(134)의 디스크(155)의 외주측을 축방향 일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시트부(143)와 디스크(155)의 내주측을 축방향 타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디스크(135) 사이의 축방향의 최단 거리는, 디스크(155)의 축방향의 두께보다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가변실(171, 172)이 동압일 때, 디스크(155)는, 약간 변형한 상태로 시트부(143)와 디스크(135)에 자신의 탄성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압접하고 있다.
구획 디스크(134)는, 그 내주측이 전체 둘레에 걸쳐 디스크(135)에 접촉하는 상태에서는, 제2 통로(181)의 가변실(171, 172) 사이의 오일액의 유통을 차단한다. 구획 디스크(134)는, 가변실(171, 172)의 압력 상태에 관계없이, 그 전체 둘레를 상시 디스크(135)에 접촉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획 디스크(134)는, 가변실(171, 172) 사이의 연통을, 신장 행정에서는 차단하지만, 축소 행정에서는 허용한다.
이상의 구성의 피스톤(18)의 주변에 마련된 감쇠력 발생 기구(41, 42) 및 주파수 감응 기구(43)의 작동 등은, 국제 공개 제2017/047661호와 동일하다.
다음에, 도 4~도 9를 참조하여 베이스 밸브(25)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통(4)의 바닥 부재(12)는, 몸통 부재(11)에 감합하는 원통형의 감합부(191)와, 감합부(191)의 축방향 일단측을 폐색하는 바닥부(192)를 갖고 있다. 바닥 부재(12)의 바닥부(192)가, 외통(4)의 바닥부가 된다. 외통(4)의 바닥부(192)와 실린더(3) 사이에, 상기한 베이스 밸브(25)가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 밸브(25)는, 하실(20)과 리저버실(6)을 구획하는 베이스 밸브 부재(201)를 갖고 있다.
베이스 밸브 부재(201)는, 금속제이며 이음매 없이 성형된 일체 성형품이다. 베이스 밸브 부재(201)는, 구멍을 갖는 원판형의 베이스부(202)와, 베이스부(202)의 외주부로부터 축방향 일측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레그부(203)와, 레그부(203)의 축방향의 중간 위치로부터 반경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204)를 갖고 있다. 레그부(203)에 있어서, 축방향에 있어서의 플랜지부(204)보다 베이스부(202)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레그부(203)를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 홈(205)이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밸브 부재(201)는, 변형 곤란한 강체이다. 베이스 밸브 부재(201)는, 레그부(203)의 축방향의 베이스부(202)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있어서 외통(4)의 바닥부(192)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밸브 부재(201)는, 레그부(203)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플랜지부(204)보다 베이스부(202)측의 부분과 베이스부(202)가 각각의 외주부에 있어서, 실린더(3)에 감합되어 있다.
베이스 밸브 부재(201)는, 레그부(203)에 형성된 통로 홈(205)에 의해 바닥부(192)와의 사이의 공간을, 실린더(3)와 외통(4) 사이의 공간에 상시 연통시킨다. 따라서, 베이스 밸브 부재(201)와 바닥부(192) 사이의 공간도 리저버실(6)을 구성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밸브 부재(201)의 베이스부(202)에 있어서의 반경방향의 중앙에는, 관통 구멍(211)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밸브 부재(201)의 베이스부(202)는, 베이스부(202)를 주체적으로 구성하는 원판형의 베이스 본체부(212)와, 베이스 본체부(212)의 반경방향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211)측의 단가장자리부의 전체 둘레로부터 축방향의 레그부(203)와는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원환형의 상내측(上內側) 시트부(213)와, 베이스 본체부(212)의 반경방향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211)측의 단가장자리부의 전체 둘레로부터 축방향의 레그부(203)측으로 돌출하는 원환형의 하내측(下內側) 시트부(214)를 갖고 있다.
베이스 본체부(212), 상내측 시트부(213) 및 하내측 시트부(214)의 반경방향의 내측이, 관통 구멍(211)으로 되어 있다.
베이스 밸브 부재(201)의 베이스부(202)는, 베이스 본체부(212)의 반경방향에 있어서의 외단측의 부분으로부터 축방향의 레그부(203)와는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원환형의 상외측(上外側) 시트부(216)와, 베이스 본체부(212)의 반경방향에 있어서의 상외측 시트부(216)와 상내측 시트부(213) 사이 위치로부터 축방향의 레그부(203)와는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원환형의 중간 시트부(217)를 갖고 있다. 또한, 베이스부(202)는, 베이스 본체부(212)의 반경방향에 있어서의 레그부(203)와 하내측 시트부(214) 사이 위치로부터 축방향의 레그부(203)측으로 돌출하는 원환형의 하외측(下外側) 시트부(218)를 갖고 있다.
베이스 본체부(212)에 있어서, 반경방향에 있어서의 상외측 시트부(216)와 중간 시트부(217) 사이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외측 통로 구멍(221)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 통로 구멍(221)은, 베이스 본체부(212)의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외측 통로 구멍(221)은, 베이스 본체부(212)의 반경방향에 있어서의 하외측 시트부(218)와 레그부(20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외측 통로 구멍(221)에 의해, 하실(20)과 리저버실(6)이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베이스 본체부(212)에는, 반경방향에 있어서의 상내측 시트부(213)와 중간 시트부(217) 사이에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내측 통로 구멍(222)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 통로 구멍(222)은, 베이스 본체부(212)의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내측 통로 구멍(222)은, 베이스 본체부(212)의 반경방향에 있어서의 하외측 시트부(218)와 하내측 시트부(21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내측 통로 구멍(222)에 의해, 하실(20)과 리저버실(6)이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베이스 밸브(25)는, 베이스 밸브 부재(201)의 관통 구멍(211)에 삽입 관통되는 축형의 핀 부재(231)(축 부재)를 갖고 있다. 핀 부재(231)는, 중공 형상의 볼트이다. 핀 부재(231)는, 체결 공구에 결합 가능한 헤드부(232)과, 헤드부(232)의 반경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연장되는, 헤드부(232)의 최소 외경보다 소직경의 원주형의 축부(233)를 갖고 있다.
축부(233)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헤드부(232)와는 반대측의 외주부에는, 수나사(234)가 형성되어 있다. 축부(233)에는, 헤드부(232)와는 반대측의 단부면으로부터 헤드부(232)의 근방의 소정 위치까지 축방향 통로 구멍(237)이 형성되어 있다. 축방향 통로 구멍(237)은, 축부(233)의 반경방향의 중앙에, 축부(233)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233)에 있어서의, 헤드부(232)의 근방의 소정 위치에는, 축부(233)를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반경방향 통로 구멍(238)이 형성되어 있다. 반경방향 통로 구멍(238)은, 축방향 통로 구멍(237)에 직교하고 있고, 축방향 통로 구멍(237)에 연통하고 있다.
베이스 밸브(25)는, 베이스 밸브 부재(201)의 축방향의 바닥부(192)와는 반대측에, 축방향의 베이스 밸브 부재(201)측으로부터 순서대로, 1개의 석션 밸브(241)와, 1개의 디스크(242)와, 1개의 스프링 디스크(243)와, 1개의 규제 디스크(244)를 갖고 있다. 석션 밸브(241), 디스크(242), 스프링 디스크(243) 및 규제 디스크(244)는, 모두 금속제이다. 석션 밸브(241) 및 디스크(242)는, 모두 내측에 핀 부재(231)의 축부(233)를 감합 가능한 일정 두께의 구멍을 갖는 원형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석션 밸브(241)는, 베이스 밸브 부재(201)의 상외측 시트부(216)의 외경보다 약간 대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석션 밸브(241)는, 휨 가능하고, 상내측 시트부(213), 상외측 시트부(216) 및 중간 시트부(217)에 접촉하여 외측 통로 구멍(221)을 폐색한다. 석션 밸브(241)에 있어서의, 반경방향의 상내측 시트부(213)와 중간 시트부(217) 사이에는, 석션 밸브(241)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 구멍(251)이 형성되어 있다. 석션 밸브(241)에는, 통로 구멍(251)이 석션 밸브(241)의 둘레 방향에 등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석션 밸브(241)에는, 외주측에 절결(252)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252)은, 상외측 시트부(216)의 석션 밸브(241)에의 접촉 부분을 반경방향으로 횡단하고 있다.
디스크(242)는, 베이스 밸브 부재(201)의 상내측 시트부(213)의 외경과 동등한 외경으로 되어 있는 디스크(242) 전체는, 석션 밸브(241)의 반경방향에 있어서의 통로 구멍(251)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 디스크(243)는, 내측에 핀 부재(231)의 축부(233)를 감합 가능한 일정 두께의 구멍을 갖는 원형 평판형의 기판부(255)와, 기판부(255)의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반경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스프링판부(256)를 갖고 있다.
스프링판부(256)는, 휨 가능하고, 기판부(255)의 둘레 방향에 등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기판부(255)는, 디스크(242)의 외경보다 약간 대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스프링판부(256)는, 기판부(255)의 반경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일수록 기판부(255)의 축방향에 있어서 기판부(255)로부터 멀어지도록, 기판부(255)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복수의 스프링판부(256)는, 모두 기판부(255)에 대하여 기판부(255)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동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프링 디스크(243)는, 기판부(255)에 있어서 디스크(242)에 접촉하고 있다. 스프링 디스크(243)는, 복수의 스프링판부(256)가 기판부(255)로부터 축방향의 석션 밸브(241)측으로 연장되어, 석션 밸브(241)의 반경방향에 있어서의 통로 구멍(251)보다 외측에 접촉하고 있다.
규제 디스크(244)는, 석션 밸브(241) 및 스프링 디스크(243)보다 두께가 두껍고 고강성이다. 규제 디스크(244)는, 내측에 핀 부재(231)의 축부(233)를 감합 가능한 일정 두께의 구멍을 갖는 원형 평판형의 주판부(261)와, 주판부(261)의 전체 외주로부터 반경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원환형의 외주판부(262)를 갖고 있다.
외주판부(262)는, 주판부(261)에 대하여 축방향 일측으로 약간 틀어져 형성되어 있다. 규제 디스크(244)는, 주판부(261)에 있어서 스프링 디스크(243)의 기판부(255)에 접촉하고 있다. 외주판부(262)가, 주판부(261)에 대하여 축방향의 석션 밸브(241)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주판부(261)에는, 반경방향의 중간 소정 위치에, 주판부(261)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 구멍(263)이 형성되어 있다. 주판부(261)에는, 통로 구멍(263)이 주판부(261)의 둘레 방향에 등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통로 구멍(263)은, 스프링 디스크(243)의 스프링판부(256) 사이의 간극과, 석션 밸브(241)의 통로 구멍(251)을 통해, 하실(20)을 베이스 밸브 부재(201)의 내측 통로 구멍(222)에 상시 연통시킨다.
베이스 밸브(25)는, 베이스 밸브 부재(201)의 베이스부(202)의 축방향의 바닥부(192)측에, 축방향의 베이스부(202)측으로부터 순서대로, 1개의 디스크(271)와, 복수 개, 구체적으로는 2개의 디스크(272)와, 1개의 디스크(273)와, 1개의 가압 디스크(274)와, 1개의 디스크(275)와, 1개의 디스크(276)와, 하나의 스페이서(277)와, 1개의 구획 디스크(278)(폐색 부재)와, 1개의 디스크(279)와, 1개의 디스크(280)와, 1개의 스토퍼 디스크(281)를 갖고 있다.
또한, 베이스 밸브(25)는, 디스크(272)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디스크(271)와는 반대측에, 통형의 스풀 부재(285)를 갖고 있다. 스풀 부재(285)는, 디스크(273, 275, 276, 279, 280), 가압 디스크(274), 스페이서(277), 구획 디스크(278) 및 스토퍼 디스크(281)를 반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있다.
디스크(271~273, 275, 276, 279, 280), 가압 디스크(274), 스페이서(277), 스토퍼 디스크(281) 및 스풀 부재(285)는, 모두 금속제이다. 디스크(271~273, 275, 276, 279, 280) 및 스토퍼 디스크(281)는, 모두 내측에 핀 부재(231)의 축부(233)를 감합 가능한 일정 두께의 구멍을 갖는 원형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가압 디스크(274), 스페이서(277) 및 구획 디스크(278)는, 모두 내측에 핀 부재(231)의 축부(233)를 감합 가능한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디스크(271)는, 베이스 밸브 부재(201)의 하외측 시트부(218)의 외경보다 약간 대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271)는 휨 가능하다. 디스크(271)는, 하내측 시트부(214) 및 하외측 시트부(218)에 접촉하여 내측 통로 구멍(222)을 폐색한다.
디스크(271)의 외주측에는 절결(291)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291)은, 하외측 시트부(218)의 디스크(271)에의 접촉 부분을 반경방향으로 횡단하고 있다. 절결(291)은, 디스크(271)의 둘레 방향에 등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272)는, 디스크(271)와 동등한 외경으로 되어 있고, 휨 가능하다. 디스크(273)는, 베이스 밸브 부재(201)의 하내측 시트부(214)의 외경보다 약간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가압 디스크(274)는 휨 가능하다. 조립 전의 자연 상태에 있어서의 가압 디스크(274)는, 구멍을 갖는 원형 평판형이다.
가압 디스크(274)의 외주측에는, 절결(295)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295)은, 가압 디스크(274)의 둘레 방향에 등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275)는, 디스크(273)와 공통의 부품이다.
디스크(276)는, 디스크(275)의 외경보다 대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276)에는, 내주측에 절결(298)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298)은, 디스크(276)의 반경방향에 있어서 디스크(275)의 외주부보다 외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절결(298)은, 디스크(276)의 둘레 방향에 등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277)는 변형 곤란한 강체이다. 스페이서(277)는, 내측에 핀 부재(231)의 축부(233)를 감합 가능한 원환형의 바닥부(301)와, 바닥부(301)의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바닥부(301)의 축방향 일측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통형부(302)를 갖고 있다.
스페이서(277)는, 통형부(302)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바닥부(301)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있어서, 디스크(276)에 접촉한다. 스페이서(277)에 있어서, 바닥부(301)의 외주부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통형부(302)와는 반대측에는, 모따기(303)가 형성되어 있다. 모따기(303)는, 축방향에 있어서의 통형부(302)와는 반대측일수록 외경이 소직경이 되는 테이퍼형이다.
구획 디스크(278)는, 금속제의 디스크(311)와, 디스크(311)의 외주측에 고착되는 고무제의 시일 부재(312)를 포함하고 있다. 구획 디스크(278)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일 부재(312)는, 디스크(311)에 베이킹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디스크(311)는, 내측에 핀 부재(231)의 축부(233)를 감합 가능하다. 디스크(311)는, 일정 두께의 구멍을 갖는 원형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디스크(311)는, 스페이서(277)의 최대 외경보다 대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시일 부재(312)는, 디스크(311)의 외주측에 원환형을 이루어 고착되어 있다. 시일 부재(312)는, 디스크(311)로부터 축방향 일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시일 부재(312)는, 디스크(311)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외경이 대직경이 되고, 디스크(311)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질수록 내경도 대직경이 된다.
구획 디스크(278)는, 디스크(311)에 있어서 스페이서(277)에 접촉하고 있다. 디스크(311)로부터 시일 부재(312)가, 축방향에 있어서, 스페이서(277)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시일 부재(312)는, 스페이서(277)와의 사이에 반경방향의 간극을 갖고 있고, 스페이서(277)를 그 반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고 있다. 시일 부재(312)의 축방향의 길이가, 스페이서(277)의 축방향의 길이보다 짧다. 따라서, 시일 부재(312)는, 디스크(276)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격하고 있다.
디스크(279)는, 디스크(311)의 외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280)는, 디스크(279)의 외경보다 대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스토퍼 디스크(281)는, 디스크(280)의 외경보다 대직경이며 디스크(311)의 외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스풀 부재(285)는 변형 곤란한 강체이다. 스풀 부재(285)는, 원통형의 통형부(321)와, 통형부(321)의 축방향의 일단부로부터 반경방향 내방으로 확대되면서 축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원환형의 환형부(322)와, 환형부(322)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통형부(321)와는 반대측의 내주부로부터 반경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내플랜지부(323)와, 환형부(322)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통형부(321)와는 반대측의 단부의 외주측으로부터 축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는 원환형의 압박부(324)를 갖고 있다.
통형부(321)는, 내경이 구획 디스크(278)의 디스크(311)의 외경보다 약간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환형부(322)는, 통형부(321)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질수록 내경이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내플랜지부(323)는 구멍을 갖는 원형 평판형이다. 내플랜지부(323)의 내경은 가압 디스크(274)의 외경보다 소직경이며, 디스크(273)의 외경보다 대직경이다.
압박부(324)에는, 압박부(324)를 반경방향으로 횡단하는 절결(326)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326)은, 압박부(324)의 둘레 방향에 등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스풀 부재(285)에는, 환형부(322)로부터 압박부(324)에 걸친 외주부에 모따기(328)가 형성되어 있다. 모따기(328)는, 축방향에 있어서의 통형부(321)와는 반대측일수록 외경이 소직경이 되는 테이퍼형이다.
베이스 밸브(25)는, 핀 부재(231)의 축부(233)를 각각의 내측에 삽입 관통시키고 있다. 베이스 밸브(25)에서는, 헤드부(232) 상에, 스토퍼 디스크(281), 디스크(280), 디스크(279), 구획 디스크(278), 스페이서(277), 디스크(276), 디스크(275), 가압 디스크(274) 및 디스크(273)가, 이 순서로 중첩된다.
이때, 구획 디스크(278)는, 디스크(311)로부터 시일 부재(312)가 축방향의 헤드부(232)와는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이 된다. 스페이서(277)는, 통형부(302)가 바닥부(301)로부터 축방향의 헤드부(232)와는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이 된다.
그리고, 구획 디스크(278), 스페이서(277), 디스크(276), 디스크(275), 가압 디스크(274) 및 디스크(273)를 내측에 삽입 관통시키도록 하여, 스풀 부재(285)를 이들에 씌운다. 그때에, 스풀 부재(285)는, 압박부(324)가 축방향의 헤드부(232)와는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이 된다.
스풀 부재(285)는, 내플랜지부(323)의 내경이 가압 디스크(274)의 외경보다 소직경이기 때문에, 내플랜지부(323)에 있어서 가압 디스크(274)에 접촉한다. 이 상태로, 구획 디스크(278)의 시일 부재(312)는, 스풀 부재(285)의 통형부(321)에 감합하여, 통형부(321)의 내주면에 전체 둘레에 걸쳐 접촉한다. 이에 의해 스풀 부재(285)는, 구획 디스크(278)에 대하여 센터링되고, 핀 부재(231)의 축부(233)에 대하여 센터링된다.
다음에, 핀 부재(231)의 축부(233)를 각각의 내측에 삽입 관통시키면서, 디스크(273) 및 스풀 부재(285) 상에, 복수 개의 디스크(272), 디스크(271), 베이스 밸브 부재(201), 석션 밸브(241), 디스크(242), 스프링 디스크(243) 및 규제 디스크(244)가, 이 순서로 중첩된다.
이때, 베이스 밸브 부재(201)는, 레그부(203)가 베이스부(202)로부터 축방향의 헤드부(232)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이 된다. 스프링 디스크(243)는, 기판부(255)로부터 스프링판부(256)가 축방향의 헤드부(232)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이 된다. 규제 디스크(244)는, 주판부(261)로부터 외주판부(262)가 축방향의 헤드부(232)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이 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 규제 디스크(244)로부터 축방향의 헤드부(232)와는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핀 부재(231)의 축부(233)의 수나사(234)에, 너트(341)를 암나사(342)에 있어서 나사 결합시킨다. 너트(341)를 핀 부재(231)에 대하여 체결함으로써, 헤드부(232)와 너트(341)로, 스토퍼 디스크(281), 디스크(280), 디스크(279), 구획 디스크(278), 스페이서(277), 디스크(276), 디스크(275), 가압 디스크(274), 디스크(273), 복수 개의 디스크(272), 디스크(271), 베이스 밸브 부재(201), 석션 밸브(241), 디스크(242), 스프링 디스크(243) 및 규제 디스크(244)가, 적어도 내주측의 부분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클램프된다.
이때, 스풀 부재(285)는, 압박부(324)에 있어서 디스크(272)에 접촉하여, 내플랜지부(323)의 축방향의 압박부(324)와는 반대측이, 가압 디스크(274)에 접촉한다. 너트(341)를 핀 부재(231)에 대하여 체결함으로써, 스풀 부재(285)는, 베이스 밸브 부재(201) 및 디스크(271, 272)로 압박되어 내플랜지부(323)가 가압 디스크(274)의 외주측을 축방향의 헤드부(232)측으로 탄성 변형시킨다. 그 결과, 스풀 부재(285)는, 가압 디스크(274)에 압박력으로 디스크(271, 272)의 방향으로 압박된다.
또한, 가압 디스크(274)는, 접촉하는 내플랜지부(323)에 의해 절결(295)이 폐색되는 일이 없도록 절결(295)의 크기가 설정되어 있다. 이 상태로, 디스크(271), 복수 개의 디스크(272), 스풀 부재(285) 및 구획 디스크(278) 등에 핀 부재(231)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된 베이스 밸브(25)가, 상기한 바와 같이 실린더(3)와 외통(4)의 바닥부(192) 사이에 조립된다. 그러면, 외통(4)의 바닥부(192)에 마련된 베이스 밸브(25)가, 외통(4) 및 실린더(3)의 사이의 리저버실(6)과 실린더(3) 내의 한쪽의 하실(20)을 구획한다.
이 상태에서, 베이스 밸브(25)에 있어서, 베이스 밸브 부재(201)의 하실(20)측에, 석션 밸브(241)가 배치된다. 베이스 밸브 부재(201)의 리저버실(6)측에, 디스크(271) 및 복수 개의 디스크(272)가 배치된다.
베이스 밸브(25)에 있어서, 석션 밸브(241)와 석션 밸브(241)가 접촉하는 중간 시트부(217) 및 상외측 시트부(216)가, 외측 통로 구멍(221)을 통해 리저버실(6)로부터 하실(20)에 오일액을 흐르게 하며, 외측 통로 구멍(221)을 통해 하실(20)로부터 리저버실(6)에의 오일액의 흐름을 억제하는 석션 밸브 기구(351)로 되어 있다.
외측 통로 구멍(221) 내의 통로와, 석션 밸브 기구(351)의 개방 시에 생기는 석션 밸브(241)와 상외측 시트부(216) 사이의 통로가, 신장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18)의 이동에 의해 리저버실(6)로부터 하실(20)을 향하여 오일액이 유출되는 신장측의 제1 통로(352)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1 통로(352)는, 베이스 밸브(25)에 마련되어 있다.
석션 밸브 기구(351)는, 이 제1 통로(352)에 마련되어 있다. 석션 밸브 기구(351)는, 완충기(1)의 신장 행정에 있어서 밸브 개방하여 리저버실(6)로부터 하실(20) 내에 오일액을 흐르게 한다.
또한, 석션 밸브 기구(351)는, 주로 피스톤 로드(21)의 실린더 부재(2)로부터의 신장에 의해 생기는 액의 부족분을 보충하기 위해 리저버실(6)로부터 하실(20)에 실질적으로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일없이 액을 흐르게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석션 밸브 기구(351)로 감쇠력을 발생시켜도 좋다.
석션 밸브(241)의 절결(252) 내의 통로는, 석션 밸브(241)가 중간 시트부(217) 및 상외측 시트부(216)에 접촉하여도 리저버실(6)과 하실(20)을 상시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353)로 되어 있다. 이 고정 오리피스(353)도 제1 통로(352)에 마련되어 있다.
디스크(271) 및 복수 개의 디스크(272)가, 내측 통로 구멍(222)을 개폐하는 메인 밸브(360)(디스크)를 구성하고 있다. 메인 밸브(360)와, 메인 밸브(360)가 접촉하는 하외측 시트부(218)가, 석션 밸브(241)의 통로 구멍(251) 및 내측 통로 구멍(222)을 통해 하실(20)로부터 리저버실(6)에 오일액을 흐르게 하며, 내측 통로 구멍(222)을 통한 리저버실(6)로부터 하실(20)에의 오일액의 흐름을 억제하는 감쇠력 발생 기구(361)로 되어 있다.
통로 구멍(251) 및 내측 통로 구멍(222)의 통로와, 감쇠력 발생 기구(361)의 개방 시에 생기는 메인 밸브(360)와 하외측 시트부(218) 사이의 통로가, 축소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18)의 이동에 의해 하실(20)로부터 리저버실(6)을 향하여 오일액이 유출되는 축소측의 제1 통로(362)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1 통로(362)는, 베이스 밸브(25)에 마련되어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361)는, 이 제1 통로(362)에 마련되어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361)는, 완충기(1)의 축소 행정에 있어서 밸브 개방하여 하실(20)로부터 리저버실(6)에 오일액을 흐르게 하며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감쇠력 발생 기구(361)는, 제1 통로(362)에 마련된 메인 밸브(360)가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디스크(271)의 절결(291) 내의 통로는, 메인 밸브(360)가 하외측 시트부(218)에 접촉하여도 하실(20)과 리저버실(6)을 상시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363)로 되어 있다. 이 고정 오리피스(363)도 제1 통로(362)에 마련되어 있다.
핀 부재(231)의 축방향 통로 구멍(237)은, 하실(20)에 개구하고 있다. 따라서, 축방향 통로 구멍(237) 및 반경방향 통로 구멍(238)은, 하실(20)에 상시 연통하고 있다.
반경방향 통로 구멍(238)은, 핀 부재(231)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스페이서(277)의 통형부(302)와 맞추고 있고, 통형부(302)와 반경방향에 대향하고 있다. 스페이서(277)의 통형부(302)보다 반경방향 내측의 통로는, 반경방향 통로 구멍(238) 내의 통로와 상시 연통하고 있다. 또한, 스페이서(277)의 이 통로는, 디스크(276)의 절결(298) 내의 통로와 상시 연통하고 있다.
스풀 부재(285)와 구획 디스크(278)와 스페이서(277)와 디스크(276)와 디스크(275)와 가압 디스크(274)로 둘러싸인 범위가, 파일럿실(371)로 되어 있다. 파일럿실(371)은 스풀 부재(285)의 내주측에 있다. 디스크(276)의 절결(326) 내의 통로는, 축방향 통로 구멍(237) 및 반경방향 통로 구멍(238)을 통한 하실(20)의 오일액을 파일럿실(371)에 도입하는 오리피스(373)로 되어 있다. 파일럿실(371)은, 오리피스(373)를 통해 도입된 하실(20)의 액압을 스풀 부재(285)에 부여한다.
이때, 파일럿실(371)은, 스풀 부재(285)에 대하여, 메인 밸브(360)를 하외측 시트부(218)에 접촉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을 부여한다. 환언하면, 통형의 스풀 부재(285)는, 파일럿실(371) 내의 파일럿압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메인 밸브(360)에 대한 폐쇄 방향의 압박력을 변경 가능하다. 파일럿실(371)은, 스풀 부재(285)에 메인 밸브(360)에 대한 압박력을 발생시킨다.
구획 디스크(278)는, 항상 스풀 부재(285)에 접촉하여, 스풀 부재(285)와의 간극을 폐색하고 있다. 구획 디스크(278)는, 이 간극을 통한 파일럿실(371)과 리저버실(6)의 연통을 상시 차단한다. 구획 디스크(278)가 변형하면, 파일럿실(371)의 용적이 변한다. 구획 디스크(278)는, 파일럿실(371)의 내압을 받아, 파일럿실(371)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휜다.
스토퍼 디스크(281)는, 구획 디스크(278)가 파일럿실(371)의 용적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소정량 변형하면, 구획 디스크(278)의 디스크(311)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구획 디스크(278)의 변형을 규제한다.
가압 디스크(274)의 절결(295) 내의 통로는, 파일럿실(371)을, 디스크(273)와 디스크(272)와 스풀 부재(285)의 내플랜지부(323) 사이의 통로와, 스풀 부재(285)의 절결(326) 내의 통로를 통해 리저버실(6)에 연통시키는 오리피스(375)로 되어 있다.
여기서, 구획 디스크(278)는, 축소 행정에 있어서, 파일럿실(371)의 내압을 받아, 파일럿실(371)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휜다. 따라서, 축소 행정에 있어서, 파일럿실(371)의 도입측이 되는 오리피스(373)의 유로 단면적과, 배출측이 되는 오리피스(375)의 유로 단면적의 관계는, 오리피스(373)의 유로 단면적 쪽이 오리피스(375)의 유로 단면적보다 소정값 이상 크게 되어 있다.
오리피스(373)의 유로 단면적이 오리피스(375)의 유로 단면적 이하이면, 파일럿실(371)의 파일럿압이 오르지 않게 되어 버린다. 또한, 오리피스(373)의 유로 단면적 쪽이 오리피스(375)의 유로 단면적보다 커도, 그 차가 소정값 미만이면, 파일럿실(371)의 파일럿압의 승압이 부족해져 버린다. 파일럿실(371)의 파일럿압의 승압이 충분해지도록, 소정값이 설정되어 있다.
핀 부재(231)의 축방향 통로 구멍(237) 및 반경방향 통로 구멍(238) 내의 통로와, 스페이서(277) 내의 통로와, 디스크(276)의 오리피스(373)와, 파일럿실(371)과, 가압 디스크(274)의 오리피스(375)와, 디스크(273)와 디스크(272)와 스풀 부재(285)의 내플랜지부(323) 사이의 통로와, 스풀 부재(285)의 절결(326) 내의 통로가, 제2 통로(382)로 되어 있다.
제2 통로(382)는, 축소 행정에 있어서는, 하실(20)로부터 핀 부재(231)의 축방향 통로 구멍(237)에 들어간 오일액을, 오리피스(373)를 통해 파일럿실(371)에 도입한다. 또한, 제2 통로(382)는, 축소 행정에 있어서는, 오일액을, 파일럿실(371)로부터 오리피스(375)를 통해 배출하여, 스풀 부재(285)의 절결(326) 내의 통로를 통해 리저버실(6)에 흐르게 한다.
제2 통로(382)는, 제1 통로(352, 362)와는 병렬로 마련되어 하실(20)과 리저버실(6)을 연통시킨다. 제2 통로(382)는, 베이스 밸브(25)에 마련되어 있고, 그 일부가 핀 부재(231)에 형성되어 있다.
스풀 부재(285)와 구획 디스크(278)와 스페이서(277)와 디스크(273, 275, 276)와 가압 디스크(274)가, 파일럿실(371)의 압력에 의해 감쇠력 발생 기구(361)의 감쇠력을 조정하는 압력 제어형의 주파수 감응 기구(385)를 구성하고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385)는, 제2 통로(382)에 마련되어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385)는, 그 스풀 부재(285)를, 제1 통로(362)를 개폐하는 메인 밸브(360)에 접촉시켜 메인 밸브(360)의 밸브 개방압을 조정한다. 주파수 감응 기구(385)는, 피스톤(18)의 주파수인 피스톤 주파수에 따라 감쇠력 발생 기구(361)의 감쇠력을 가변으로 한다. 주파수 감응 기구(385)는, 베이스 밸브(25)의 베이스부(202)와 핀 부재(231)의 일단의 헤드부(232)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385)는, 베이스 밸브(25)의 바닥부(192)측에 마련되어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385)의 구획 디스크(278)는, 스풀 부재(285)와의 사이를 통한 하실(20)로부터 리저버실(6)에의 오일액의 흐름을 차단한다. 구획 디스크(278)는, 스풀 부재(285)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구획 디스크(278)는, 스풀 부재(285)의 통형부(321)에 대하여 밀착하면서 미끄럼 접촉하는 시일 부재(312)를 외주측에 갖는 패킹 밸브이다. 구획 디스크(278)에서는, 시일 부재(312)가 디스크(311)에 베이킹에 의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구획 디스크(278)를, 패킹 밸브가 아니라, 이하와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즉, 구획 디스크(278)를, 통형부(321)에 접촉하는 부분에 시일 부재로서의 O링을 가짐으로써, 통형부(321)에 대하여 밀착하면서 미끄럼 접촉하는 부품으로 변경하거나 하여도 좋다. 구획 디스크(278)를, 통형부(321)와의 사이를 폐색하는 시일 부재로서의 변형 가능한 다이어프램을 갖는 부품으로 변경하거나 하여도 좋다.
이상의 베이스 밸브(25)의 유압 회로도를 도 6에 나타낸다.
리저버실(6)과 하실(20)을 연통시키는 신장측의 제1 통로(352)에, 석션 밸브(241) 및 고정 오리피스(353)를 포함하는 석션 밸브 기구(351)가 마련되어 있다. 하실(20)과 리저버실(6)을 연통시키는 축소측의 제1 통로(362)에, 메인 밸브(360) 및 고정 오리피스(363)를 포함하는 감쇠력 발생 기구(361)가 마련되어 있다. 제1 통로(352, 362)에 대하여 병렬로 마련된 제2 통로(382)에, 주파수 감응 기구(385)가 마련되어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385)는 오리피스(373, 375) 및 파일럿실(371)을 갖고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385)는, 파일럿실(371)의 압력에 따른 힘을 메인 밸브(360)에 폐쇄 방향으로 부여한다.
다음에, 베이스 밸브(25)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피스톤 로드(21)가 축소측으로 이동하는 축소 행정에 있어서, 축소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361)만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피스톤(18)의 이동 속도(이하, 피스톤 속도라고 칭함)가 느릴 때, 하실(20)로부터의 오일액은, 주로 제1 통로(362)의 고정 오리피스(363)를 통해 리저버실(6)에 흐른다. 즉, 하실(20)로부터의 오일액은, 석션 밸브(241)의 통로 구멍(251) 내의 통로와, 베이스 밸브 부재(201)의 내측 통로 구멍(222) 내의 통로와, 메인 밸브(360)의 고정 오리피스(363)를 통해 리저버실(6)에 흐른다. 이 때문에, 오리피스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의 2승에 거의 비례함)에 기초한 감쇠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피스톤 속도 저속역에서의 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의 특성은,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하여 비교적 감쇠력의 상승률이 높아진다.
또한, 피스톤 속도가 빨라지면, 하실(20)로부터의 오일액은, 제1 통로(362)의 감쇠력 발생 기구(361)를 개방하여 리저버실(6)에 흐른다. 즉, 하실(20)로부터의 오일액은, 석션 밸브(241)의 통로 구멍(251) 내의 통로와, 베이스 밸브 부재(201)의 내측 통로 구멍(222) 내의 통로와, 변형하는 메인 밸브(360)와 베이스 밸브 부재(201)의 하외측 시트부(218)의 간극을 통해 리저버실(6)에 흐른다.
이 때문에, 밸브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에 거의 비례함)에 기초한 감쇠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피스톤 속도 중고속역에서의 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의 특성은,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한 감쇠력의 상승률이 상기한 저속역에 비해서 약간 내려간다.
피스톤 로드(21)가 신장측으로 이동하는 신장 행정에서는, 피스톤 속도가 느릴 때, 리저버실(6)로부터의 오일액은, 주로 신장측의 제1 통로(352)의 고정 오리피스(353)를 통해 하실(20)에 흐른다. 즉, 리저버실(6)로부터의 오일액은, 베이스 밸브 부재(201)의 외측 통로 구멍(221) 내의 통로와, 석션 밸브(241)의 고정 오리피스(353)를 통해 하실(20)에 흐른다.
이 때문에, 오리피스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의 2승에 거의 비례함)에 기초한 감쇠력이 발생한다. 피스톤 속도 저속역에서의 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의 특성은,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하여 비교적 감쇠력의 상승률이 높아진다.
또한, 피스톤 속도가 빨라지면, 리저버실(6)로부터의 오일액은, 신장측의 제1 통로(352)의 석션 밸브 기구(351)를 개방하여 하실(20)에 흐른다. 즉, 리저버실(6)로부터의 오일액은, 베이스 밸브 부재(201)의 외측 통로 구멍(221) 내의 통로와, 석션 밸브(241)와 베이스 밸브 부재(201)의 상외측 시트부(216)의 간극을 통해 하실(20)에 흐른다. 이 때문에, 밸브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에 거의 비례함)에 기초한 감쇠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피스톤 속도 중고속역에서의 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의 특성은,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한 감쇠력의 상승률이 상기한 저속역에 비해서 약간 내려간다.
이상이, 석션 밸브 기구(351) 및 감쇠력 발생 기구(361)만이 작용하는 경우의, 베이스 밸브(25)의 작동이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주파수 감응 기구(385)가, 피스톤 속도가 동일한 경우라도, 피스톤 주파수에 따라 감쇠력을 가변으로 한다.
즉, 피스톤 주파수가 낮을 때의 축소 행정에서는, 하실(20)의 압력이 높아져, 하실(20)의 오일액이, 도 7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통로(362)에 도입되어 리저버실(6)에 흐른다. 즉, 석션 밸브(241)의 통로 구멍(251) 내의 통로와, 내측 통로 구멍(222) 내의 통로와, 메인 밸브(360)와 하외측 시트부(218) 사이를 통해, 오일액이 리저버실(6)에 흐른다.
이에 더하여, 하실(20)의 오일액이 제2 통로(382)에 도입되어, 그 도중의 파일럿실(371)에 도입된다. 즉, 핀 부재(231)의 축방향 통로 구멍(237) 및 반경방향 통로 구멍(238) 내의 통로와, 스페이서(277) 내의 통로와, 디스크(276) 내의 오리피스(373)를 통해, 오일액이 파일럿실(371)에 도입된다. 오일액은, 파일럿실(371)로부터 가압 디스크(274) 내의 오리피스(375)를 통해 리저버실(6)에 흐른다.
이때, 오리피스(375)의 유로 단면적이 오리피스(373)의 유로 단면적보다 작고, 파일럿실(371)에 도입되는 오일액의 체적도 크다. 이 때문에, 파일럿실(371)에 저류되는 오일액의 체적이 커진다. 이 때문에, 하실(20)로부터 파일럿실(371)에 오일액이 도입되는 초기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획 디스크(278)가 크게 휘어 스토퍼 디스크(281)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변형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파일럿실(371)의 체적은 변화하지 않는 상태가 되어, 파일럿실(371)이 도입되는 오일액의 증가분을 흡수할 수 없게 된다.
그러면, 파일럿실(371)의 압력이 상승하여 고압이 되어, 파일럿실(371)의 압력에 의해 스풀 부재(285)가 메인 밸브(360)를 폐쇄 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메인 밸브(360)의 밸브 개방압이 올라, 감쇠력이 높아진다. 따라서, 도 8의 실선(X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쇠력이 비교적 높고 하드한 상태가 된다.
또한, 피스톤 주파수가 높을 때의 축소 행정에서는, 하실(20)의 압력이 높아져, 하실(20)의 오일액이, 도 9의 화살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석션 밸브(241)의 통로 구멍(251) 내의 통로와, 내측 통로 구멍(222) 내의 통로와, 메인 밸브(360)와 하외측 시트부(218)의 사이를 통해 리저버실(6)에 흐른다. 이에 더하여, 하실(20)의 오일액이, 제2 통로(382)에 도입되어, 그 도중의 파일럿실(371)에 도입된다. 즉, 핀 부재(231)의 축방향 통로 구멍(237) 및 반경방향 통로 구멍(238) 내의 통로와, 스페이서(277) 내의 통로와, 디스크(276)의 오리피스(373)를 통해, 파일럿실(371)에 오일액이 도입된다. 오일액은, 파일럿실(371)로부터 오리피스(375)를 통해 리저버실(6)에 흐른다.
이때, 오리피스(375)의 유로 단면적이 오리피스(373)의 유로 단면적보다 작지만, 파일럿실(371)에 저류되는 오일액의 체적이 작다. 따라서, 구획 디스크(278)는, 휨량도 작고 변형하기 쉽다. 이 때문에, 하실(20)로부터 파일럿실(371)에 도입되는 오일액의 증가분의 대부분을, 구획 디스크(278)가 휨으로써 흡수한다. 그 때문에, 파일럿실(371)은 저압이고, 파일럿실(371)의 압력에 의해 스풀 부재(285)로 메인 밸브(360)를 폐쇄 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높아지지 않아, 메인 밸브(360)의 밸브 개방압은 오르지 않는다.
이 때문에, 피스톤 주파수가 고주파일 때는, 도 8의 파선(X4)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 속도 저속역부터 고속역까지의 전체 영역에서, 도 8에 실선(X3)으로 나타내는 피스톤 주파수가 저주파수일 때보다 감쇠력이 낮고 소프트해진다. 따라서, 축소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주파수가 고주파수일 때의 감쇠력 특성은, 피스톤 주파수가 저주파수일 때의 감쇠력 특성과 비교하여, 피스톤 속도 저속역부터 고속역까지 감쇠력이 내려가 소프트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 밸브(25)에 있어서의 신장 행정 및 축소 행정 모두 피스톤 속도 저속역부터 고속역까지의 넓은 범위에서, 주파수 감응 기구(385)가, 피스톤 주파수가 고주파일 때에 저주파일 때보다 감쇠력을 소프트하게 한다. 이에 의해, 차륜이 노면으로부터 튀어 오를 때에 생기는 임팩트 쇼크를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승차감의 개선이 가능해진다.
또한, 완충기(1)는, 신장 행정 및 축소 행정 모두 밸런스 좋게, 피스톤 주파수가 고주파일 때의 진동의 차단 혹은 억제를 할 수 있게 되어, 승차감의 추가적인 개선이 가능해진다.
또한, 완충기(1)의 주파수 감응 기구(385)를 포함하는 베이스 밸브(25)는, 축 길이 희생이 작아, 댐퍼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고, 탑재성이 우수하다.
상기한 특허문헌 1에는, 피스톤 주파수에 따라 감쇠력이 가변이 되는 완충기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완충기에 있어서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는, 피스톤(18)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3) 내의 한쪽의 하실(20)로부터 오일액이 유출되는 제1 통로(362)와, 제1 통로(362)와 병렬로 마련되는 제2 통로(382)와, 제1 통로(362)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메인 밸브(360)와, 메인 밸브(360)에 대한 압박력을,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변경 가능한 통형의 스풀 부재(285)와, 제2 통로(382)에 마련되고, 스풀 부재(285)의 내주측에 있으며 스풀 부재(285)에 메인 밸브(360)에 대한 압박력을 발생시키는 파일럿실(371)과, 파일럿실(371)로부터 다른 쪽의 리저버실(6)에의 오일액의 흐름을 차단하고, 스풀 부재(285)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구획 디스크(278)를 갖는다. 이에 의해, 완충기(1)는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고,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는, 파일럿실(371)로부터 리저버실(6)에의 오일액의 흐름을 차단하고, 스풀 부재(285)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구획 디스크(278)가, 스풀 부재(285)와의 사이에 시일 부재(312)를 갖는다. 이 때문에, 완충기(1)는, 구성을 더욱 간소화할 수 있고,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는, 구획 디스크(278)에 시일 부재(312)가 디스크(311)에의 베이킹에 의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완충기(1)는, 구성을 더욱 간소화할 수 있고,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는, 메인 밸브(360), 스풀 부재(285) 및 구획 디스크(278)에, 핀 부재(231)가 삽입 관통되고, 제2 통로(382)가 핀 부재(231)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완충기(1)는, 구성을 더욱 간소화할 수 있고,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는, 피스톤(18)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3) 내의 한쪽의 하실(20)로부터 오일액이 유출되는 제1 통로(362)와, 제1 통로(362)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메인 밸브(360)와, 실린더(3)의 외주측에 마련되는 바닥을 갖는 통형의 외통(4)과, 외통(4)의 바닥부(192)에 마련되어 외통(4) 및 실린더(3)의 사이의 리저버실(6)과 실린더(3) 내의 한쪽의 하실(20)을 구획하는 베이스 밸브(25)를 갖고 있다. 그리고, 베이스 밸브(25)에는, 제1 통로(362)와 병렬로 마련되는 제2 통로(382)와, 제2 통로(382)에 마련되고, 피스톤(18)의 주파수에 따라 감쇠력을 가변으로 하는 주파수 감응 기구(385)가 마련되고, 이 주파수 감응 기구(385)가 베이스 밸브(25)의 바닥부(192)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완충기(1)는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에 있어서, 오리피스(373, 375) 중 오리피스(375)만을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제2 실시형태를 주로 도 10~도 12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공통하는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 호칭,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1A)에 있어서는, 베이스 밸브(25A)가 제1 실시형태의 베이스 밸브(25)와 일부 다르다.
베이스 밸브(25A)도, 외통(4)의 바닥부(192)에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 밸브(25A)는, 외통(4) 및 실린더(3)의 사이의 리저버실(6)과 실린더(3) 내의 한쪽의 하실(20)을 구획한다.
베이스 밸브(25A)는, 베이스 밸브 부재(201) 대신에 베이스 밸브 부재(201A)를 갖고 있다. 베이스 밸브 부재(201A)는, 베이스 밸브 부재(201)에 대하여, 레그부(203)보다 축방향으로 긴 레그부(203A)를 갖는 점이 다르다.
베이스 밸브(25A)는, 핀 부재(231) 대신에 핀 부재(231A)(축 부재)를 갖고 있다. 핀 부재(231A)는, 핀 부재(231)에 대하여, 축부(233)보다 축방향으로 긴 축부(233A)를 갖는 점이 다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부재(231A)는, 축방향 통로 구멍(237)보다 길이가 긴 축방향 통로 구멍(237A)과, 모두 축부(233A)를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반경방향 통로 구멍(401A) 및 반경방향 통로 구멍(402A)을 갖고 있다.
축부(233A)의 축방향에 있어서, 반경방향 통로 구멍(402A)은, 반경방향 통로 구멍(401A)보다 헤드부(232)측에 배치되어 있다. 반경방향 통로 구멍(401A) 및 반경방향 통로 구멍(402A)은, 축방향 통로 구멍(237A)에 직교하고 있고, 축방향 통로 구멍(237A)에 연통하고 있다.
베이스 밸브(25A)는, 베이스 밸브 부재(201A)의 베이스부(202)의 축방향의 바닥부(192)측에, 축방향의 베이스부(202)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디스크(271)와 디스크(272)를 1개씩 갖고 있다. 베이스 밸브(25A)는, 디스크(272)의 축방향의 디스크(271)와는 반대측에, 제1 실시형태의 디스크(273, 275, 276, 279, 280), 가압 디스크(274), 스페이서(277), 구획 디스크(278), 스토퍼 디스크(281) 및 스풀 부재(285) 대신에, 1개의 구획 디스크(411A)와, 1개의 디스크(412A)와, 1개의 디스크(413A)와, 하나의 시트 부재(414A)와, 복수 개, 구체적으로는 3개의 디스크(415A)와, 1개의 디스크(416A)를 이 순서로 갖고 있다.
또한, 베이스 밸브(25A)는, 디스크(416A)의 축방향의 디스크(415A)와는 반대측에, 축방향의 디스크(416A)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케이스 부재 본체(421A)와, 복수 개의 디스크(422A) 및 구획 디스크(423A)와, 1개의 디스크(424A)와, 덮개 부재(425A)를 갖고 있다.
디스크(412A, 413A, 415A, 416A, 422A, 424A), 시트 부재(414A), 케이스 부재 본체(421A) 및 덮개 부재(425A)는, 모두 금속제이다.
디스크(412A, 413A, 415A, 416A, 422A, 424A)는, 모두 내측에 핀 부재(231A)의 축부(233A)를 감합 가능한 일정 두께의 구멍을 갖는 원형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구획 디스크(411A), 시트 부재(414A), 케이스 부재 본체(421A) 및 덮개 부재(425A)는, 모두 내측에 핀 부재(231A)의 축부(233A)를 감합 가능한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구획 디스크(423A)는, 내측에 핀 부재(231A)의 축부(233A)를 삽입 관통 가능한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구획 디스크(411A)는, 금속제의 디스크(431A)와, 디스크(431A)의 외주측에 고착되는 고무제의 시일 부재(432A)를 포함하고 있다. 구획 디스크(411A)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일 부재(432A)는, 디스크(431A)에 베이킹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디스크(431A)는, 내측에 핀 부재(231A)의 축부(233A)를 감합 가능한 일정 두께의 구멍을 갖는 원형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디스크(431A)는, 디스크(271, 272)의 외경과 동등한 외경으로 되어 있다.
시일 부재(432A)는, 디스크(431A)의 외주측에 원환형을 이루어 고착되어 있다.
시일 부재(432A)는, 디스크(431A)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시일 부재(432A)에서는, 디스크(431A)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외경이 대직경이 되고, 디스크(431A)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질수록 내경도 대직경이 된다. 구획 디스크(411A)는, 디스크(431A)의 시일 부재(432A)와는 반대측에 있어서 디스크(272)에 접촉하고 있다. 시일 부재(432A)는, 디스크(431A)로부터 디스크(272)와는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구획 디스크(411A)는, 디스크(271, 272)로, 베이스 밸브 부재(201A)의 내측 통로 구멍(222)을 개폐하는 메인 밸브(360A)를 구성하고 있다.
디스크(412A)는, 시일 부재(432A)의 최소 내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412A)는, 시일 부재(432A)와의 사이에 반경방향의 간극을 갖고 있다. 디스크(413A)는, 디스크(412A)의 외경보다 대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지만, 시일 부재(432A)와의 사이에 반경방향의 간극을 갖고 있다.
디스크(413A)의 내주측에는, 반경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절결(435A)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435A) 내의 통로는 오리피스(436A)를 구성하고 있다.
시트 부재(414A)는, 축 직교 방향으로 넓어지는 구멍을 갖는 원판형의 바닥부(441A)와, 바닥부(441A)의 내주측에 형성된, 바닥부(441A)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내측 원통형부(442A)와, 바닥부(441A)의 외주측에 형성된, 바닥부(441A)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외측 원통형부(443A)와, 바닥부(441A)의 외주측에 형성된 바닥부(441A)의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원환형의 밸브 시트부(444A)를 갖고 있다.
내측 원통형부(442A)는 바닥부(441A)로부터 축방향 양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외측 원통형부(443A)는, 바닥부(441A)의 외주단으로부터 축방향 일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밸브 시트부(444A)는, 바닥부(441A)의 외주측으로부터 축방향의 외측 원통형부(443A)와는 반대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바닥부(441A)에는, 내측 원통형부(442A)와 밸브 시트부(444A) 사이에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447A)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 원통형부(442A)의 반경방향 내측으로서, 축방향의 밸브 시트부(444A)측에, 핀 부재(231A)의 축부(233A)를 감합시키는 소직경 구멍부(448A)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원통형부(442A)의 반경방향 내측으로서, 축방향의 외측 원통형부(443A)측에, 소직경 구멍부(448A)보다 대직경의 대직경 구멍부(449A)가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 구멍부(449A)는, 핀 부재(231A)의 반경방향 통로 구멍(401A)과 축방향의 위치를 맞추고 있고, 반경방향 통로 구멍(401A)과 반경방향에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대직경 구멍부(449A) 내의 통로는, 반경방향 통로 구멍(401A) 내의 통로와 상시 연통하고 있다.
시트 부재(414A)에서는, 바닥부(441A)로부터 외측 원통형부(443A)가 구획 디스크(411A)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외측 원통형부(443A)의 내주면에, 구획 디스크(411A)의 시일 부재(432A)가 전체 둘레에 걸쳐 접촉하고 있다.
관통 구멍(447A)을 포함하는 시트 부재(55)의 내측은, 메인 밸브(360A)에 하외측 시트부(218)의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파일럿실(371A)로 되어 있다. 구획 디스크(411A)의 시일 부재(432A)는, 외측 원통형부(443A)와의 간극을 항상 전체 둘레에 걸쳐 폐색한다.
복수 개의 디스크(415A)는, 밸브 시트부(444A)의 외경보다 대직경의 외경이다. 복수 개의 디스크(415A)는, 하드 밸브(451A)를 구성하고 있다. 하드 밸브(451A)는, 밸브 시트부(444A)에 접촉하여 파일럿실(371A)을 폐색하며, 밸브 시트부(444A)로부터 이격하여 파일럿실(371)을 개방한다. 디스크(416A)는, 하드 밸브(451A)의 외경보다 외경이 소직경이다.
케이스 부재 본체(421A)는, 축 직교 방향으로 넓어지는 구멍을 갖는 원판형의 기초부(461A)와, 기초부(461A)의 내주측에 형성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내측 원통형부(462A)와, 기초부(461A)의 내측 원통형부(462A)보다 외주측에 형성된, 기초부(461A)의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원통형의 시트부(463A)와, 기초부(461A)의 외주단에 형성된, 기초부(461A)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외측 원통형부(464A)를 갖고 있다.
내측 원통형부(462A)는, 기초부(461A)로부터 축방향 양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시트부(463A)는, 기초부(461A)로부터 축방향 한쪽 편으로만 돌출하고 있다. 외측 원통형부(464A)는, 기초부(461A)로부터 축방향의 시트부(463A)와 동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외측 원통형부(464A)의 기초부(461A)로부터의 돌출 길이는, 시트부(463A)의 기초부(461A)로부터의 돌출 길이보다 길다. 내측 원통형부(462A)의 내측에 있어서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시트부(463A)의 돌출 방향과는 반대측에는, 핀 부재(231A)의 축부(233A)를 감합시키는 소직경 구멍부(465A)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원통형부(462A)의 내측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시트부(463A)측에는, 소직경 구멍부(465A)보다 대직경의 대직경 구멍부(466A)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 본체(421A)는, 기초부(461A)로부터 축방향의 하드 밸브(451A)와는 반대측에 시트부(463A) 및 외측 원통형부(464A)가 돌출하는 방향이 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 본체(421A)의 시트부(463A)는, 그 돌출 선단측의 단부에서, 구획 디스크(423A)의 외주측을 지지한다.
또한, 시트부(463A)에는, 둘레 방향 부분적으로 절결(468A)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468A)은, 케이스 부재 본체(421A)에 있어서의 시트부(463A)의 반경방향 내측과 반경방향 외측을 상시 연통시키고 있다.
내측 원통형부(462A)의 반경방향 내측의 대직경 구멍부(466A)는, 핀 부재(231A)의 반경방향 통로 구멍(402A)과 축방향의 위치를 맞추고 있다. 이 대직경 구멍부(466A)는, 반경방향 통로 구멍(402A)과 반경방향에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대직경 구멍부(466A) 내의 통로는, 반경방향 통로 구멍(402A) 내의 통로와 상시 연통하고 있다.
내측 원통형부(462A)에 있어서의, 기초부(461A)보다 축방향의 외측 원통형부(464A)측의 부분에는, 내측 원통형부(462A)를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반경방향 홈(47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반경방향 홈(475A)은, 대직경 구멍부(466A)와 축방향의 위치를 맞추고 있다. 따라서, 반경방향 홈(475A) 내의 통로는, 대직경 구멍부(466A) 내의 통로와 상시 연통하고 있다. 반경방향 홈(475A) 내의 통로는, 오리피스(476A)를 구성하고 있다.
디스크(422A)는, 내측 원통형부(462A)의 이것에 접촉하는 부분과 동직경이며 또한 시트부(463A)의 내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424A)는, 디스크(422A)의 외경보다 대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구획 디스크(423A)는, 금속제의 디스크(481A)와, 디스크(481A)의 외주측에 고착되는 고무제의 시일 부재(482A)와, 디스크(481A)의 외주측에 고착되는 고무제의 돌출 부재(483A)를 포함하고 있다. 구획 디스크(423A)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디스크(481A)는, 조립 전은 평판형이다. 디스크(481A)는, 내측에 디스크(422A)를 반경방향에 간극을 두고 배치 가능한 일정 두께의 구멍을 갖는 원형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디스크(481A)의 두께는, 복수 개의 디스크(422A)의 합계의 두께보다 얇게 되어 있다. 디스크(481A)는, 케이스 부재 본체(421A)의 시트부(463A)의 외경보다 대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시일 부재(482A)는, 디스크(481A)의 외주측의 축방향의 기초부(461A)측에 원환형을 이루어 고착되어 있다. 시일 부재(482A)는, 디스크(481A)로부터 축방향의 기초부(461A)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돌출 부재(483A)는, 디스크(481A)의 외주측의 축방향의 기초부(461A)와는 반대측에 고착되어 있다. 돌출 부재(483A)는, 디스크(481A)로부터 축방향의 기초부(461A)와는 반대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시일 부재(482A)에서는, 디스크(481A)측의 단부의 내경, 즉 최소 내경이 시트부(463A)의 선단부의 외경보다 약간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획 디스크(423A)의 디스크(481A)가, 케이스 부재 본체(421A)의 시트부(463A)에 착좌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돌출 부재(483A)에는,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도시 생략의 반경방향 홈이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424A)는, 구획 디스크(423A)의 디스크(481A)의 내경보다 대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획 디스크(423A)의 내주측이, 케이스 부재 본체(421A)의 기초부(461A)와 디스크(424A) 사이에 복수 개의 디스크(422A)의 전체 두께의 범위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구획 디스크(423A)의 비지지측인 외주측에는, 케이스 부재 본체(421A)의 외측 원통형부(464A)와의 사이를 시일하는 환형의 시일 부재(482A)가 마련되어 있다. 시일 부재(482A)가 외측 원통형부(464A)에 접촉하여, 시일 부재(482A)가 케이스 부재 본체(421A)에 대하여 센터링된다. 환언하면, 구획 디스크(423A)의 내주측은, 양면측으로부터 클램프되지 않고 한쪽 측만 디스크(424A)에 지지되는 단순 지지 구조로 되어 있다.
덮개 부재(425A)는, 케이스 부재 본체(421A)의 외측 원통형부(464A)의 반경방향 내측에, 반경방향의 간극을 두고 배치된다. 덮개 부재(425A)는, 케이스 부재 본체(421A)로 통형의 케이스 부재(491A)를 구성한다.
덮개 부재(425A)는, 내주측의 원통형의 통형부(495A)와, 통형부(495A)의 축방향의 중앙으로부터 반경방향 외방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496A)를 갖고 있다. 구획 디스크(423A)의 돌출 부재(483A)는, 덮개 부재(425A)의 플랜지부(496A)에 접촉한다. 덮개 부재(425A)에서는, 축방향에 있어서 통형부(495A)의 케이스 부재 본체(421A)와는 반대측의 부분이, 핀 부재(231A)의 헤드부(232)에 접촉한다.
구획 디스크(423A)의 시일 부재(482A)는, 케이스 부재 본체(421A)의 외측 원통형부(464A)의 내주면에 전체 둘레에 걸쳐 접촉하여, 구획 디스크(423A)와 외측 원통형부(464A)의 간극을 시일한다. 즉, 구획 디스크(423A)는 패킹 밸브이다. 시일 부재(482A)는, 구획 디스크(423A)가 케이스 부재(491A) 내에서 허용되는 범위로 변형하여도, 구획 디스크(423A)와 외측 원통형부(464A)의 간극을 상시 시일한다.
구획 디스크(423A)는, 그 시일 부재(482A)가 외측 원통형부(464A)에 전체 둘레에 걸쳐 접촉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스 부재(491A)에 대하여 센터링된다. 구획 디스크(423A)는, 케이스 부재(491A) 내를, 케이스 부재 본체(421A)의 기초부(461A)측의 용량 가변인 가변실(501A)과, 덮개 부재(425A)측의 용량 가변인 가변실(502A)로 구획한다. 가변실(501A)은, 케이스 부재 본체(421A)의 반경방향 홈(475A) 내의 통로를 통해 케이스 부재 본체(421A)의 대직경 구멍부(466A) 내의 통로에 연통한다. 가변실(502A)은, 덮개 부재(425A)와 외측 원통형부(464A)의 간극 내의 통로를 통해 리저버실(6)에 연통한다.
구획 디스크(423A) 내주측은, 디스크(424A)와 케이스 부재 본체(421A)의 기초부(461A)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획 디스크(423A)의 외주측은, 돌출 부재(483A)가 탄성 변형하는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시트부(463A)와 디스크(424A) 사이의 축방향의 최단 거리는, 디스크(481A)의 축방향의 두께보다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가변실(501A)과 가변실(502A)이 동압일 때, 디스크(481A)는, 약간 변형한 상태로 시트부(463A)와 디스크(424A)에 자신의 탄성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압접하고 있다.
구획 디스크(423A)는, 그 내주측이 전체 둘레에 걸쳐 디스크(424A)에 접촉하는 상태에서는, 가변실(501A)과 가변실(502A), 즉 리저버실(6)과의 사이의 오일액의 유통을 차단한다. 또한, 구획 디스크(423A)는, 그 내주측이 디스크(424A)로부터 이격하는 상태에서는, 가변실(502A), 즉 리저버실(6)과 가변실(501A) 사이의 오일액의 유통을 허용한다.
따라서, 구획 디스크(423A)의 내주측과 디스크(424A)는, 가변실(501A)로부터 가변실(502A) 및 리저버실(6)에의 오일액의 흐름을 규제하는 한편, 리저버실(6) 및 가변실(502A)로부터 가변실(501A)에의 오일액의 흐름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505A)를 구성하고 있다. 체크 밸브(505A)는, 그 밸브체인 구획 디스크(423A)의 전체가 축방향으로 클램프되지 않는, 프리 밸브이다.
규제 디스크(244)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스프링 디스크(243)와는 반대측에는, 너트(341)와는 일부 다른 너트(341A)가 마련되어 있다. 너트(341A)는, 핀 부재(231A)의 수나사(234)에 나사 결합되어 규제 디스크(244)에 접촉하는 너트 본체부(511A)와, 너트 본체부(511A)의 축방향의 규제 디스크(244)와는 반대측으로부터 규제 디스크(244)와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는 환형의 돌출부(512A)와, 돌출부(512A)의 축방향의 너트 본체부(511A)와는 반대측으로부터 반경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내플랜지부(513A)를 갖고 있다.
내플랜지부(513A)의 반경방향 내측의 통로는 오리피스(514A)로 되어 있다.
베이스 밸브 부재(201A)의 하외측 시트부(218)와, 이것에 접촉하여 베이스 밸브 부재(201A)의 내측 통로 구멍(222)을 개폐하는 메인 밸브(360A)가, 축소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361A)를 구성하고 있다. 베이스 밸브 부재(201A)의 내측 통로 구멍(222)과, 밸브 개방 시에 생기는 메인 밸브(360A)와 하외측 시트부(218) 사이의 통로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실(20)과 리저버실(6)을 연통 가능한 축소측의 제1 통로(362)를 구성하고 있다.
제1 통로(362)는, 피스톤(18)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3) 내의 한쪽의 하실(20)로부터 리저버실(6)을 향하여 오일액이 유출된다. 디스크(271)에 마련된 절결(291) 내의 통로는, 고정 오리피스(363)를 구성하고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361A)의 메인 밸브(360A)는, 제1 통로(362)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제1 통로(362)는 베이스 밸브(25A)에 마련되어 있다.
너트(341A) 내의 내플랜지부(513A)와 핀 부재(231A) 사이와, 핀 부재(231A)의 축방향 통로 구멍(237A) 및 반경방향 통로 구멍(401A, 402A) 내와, 시트 부재(414A)의 대직경 구멍부(449A) 내와, 케이스 부재 본체(421A)의 대직경 구멍부(466A) 내가, 중간실(521A)을 구성하고 있다.
너트(341A)의 내플랜지부(513A) 내의 오리피스(514A)와, 중간실(521A)과, 중간실(521A)로부터 한쪽으로 분기하는 디스크(413A)의 절결(435A) 내의 오리피스(436A)와, 파일럿실(371A)과, 밸브 개방 시에 생기는 하드 밸브(451A)와 밸브 시트부(444A)의 간극이, 제1 통로(362)와 병렬로 마련된 제2 통로(382A)를 구성하고 있다.
제2 통로(382A)는, 중간실(521A)로부터 다른 쪽으로 분기하는 케이스 부재 본체(421A)의 반경방향 홈(475A) 내의 오리피스(476A) 및 가변실(501A, 502A)을 포함하고 있다. 제2 통로(382A)는, 베이스 밸브(25A)에 제1 통로(362)와 병렬로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491A)와, 디스크(422A, 424A)와, 구획 디스크(423A)가, 피스톤(18)의 주파수에 따라 감쇠력을 가변으로 하는 주파수 감응 기구(385A)를 구성하고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385A)는 제2 통로(382A)에 마련되어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385A)는, 베이스 밸브(25A)의 바닥부(192)측에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 밸브(25A)의 유압 회로도를 도 12에 나타낸다.
하실(20)과 리저버실(6)을 연통시키는 축소측의 제1 통로(362)에, 메인 밸브(360) 및 고정 오리피스(363)를 포함하는 감쇠력 발생 기구(361A)가 마련되어 있다. 제1 통로(362)에 대하여 병렬로 마련된 제2 통로(382A)에, 오리피스(514A) 및 중간실(521A)이 마련되어 있다.
제2 통로(382A)는, 중간실(521A)로부터 한쪽으로 분기하고 있다. 제2 통로(382A)에는, 오리피스(436A)와, 파일럿실(371A)과, 하드 밸브(451A)가 마련되어 있다. 제2 통로(382A)는, 중간실(521A)로부터 다른 쪽으로 분기하고 있다. 제2 통로(382A)에는, 오리피스(476A)와, 가변실(501A, 502A)을 갖는 주파수 감응 기구(385A)와, 체크 밸브(505A)가 마련되어 있다.
파일럿실(371A)은, 그 압력을 감쇠력 발생 기구(361A)의 메인 밸브(360A)에 폐쇄 방향으로 부여한다. 메인 밸브(360A)는, 파일럿실(371A)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메인 밸브(360A)는 직접 파일럿압을 받아, 밸브 개방압이 제어된다.
다음에, 베이스 밸브(25A)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피스톤 로드(21)가 축소측으로 이동하는 축소 행정에 있어서, 주파수 감응 기구(385A)가 없다고 가정하면, 피스톤 속도가 느릴 때, 하실(20)로부터의 오일액은, 제1 통로(362) 및 제2 통로(382A)에 흐른다. 이때, 메인 밸브(360A)에 작용하는 힘(유압)의 관계가, 제1 통로(362)로부터 가해지는 개방 방향의 힘이 파일럿실(371A)로부터 가해지는 폐쇄 방향의 힘보다 작기 때문에, 주로 제1 통로(362)의 고정 오리피스(363)를 통해 리저버실(6)에, 오일액이 흐른다. 즉, 하실(20)로부터의 오일액은, 석션 밸브(241)의 통로 구멍(251) 내의 통로와, 베이스 밸브 부재(201A)의 내측 통로 구멍(222) 내의 통로와, 메인 밸브(360A)의 고정 오리피스(363)를 통해 리저버실(6)에 흐른다.
이 때문에, 오리피스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의 2승에 거의 비례함)에 기초한 감쇠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피스톤 속도 저속역에서의 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의 특성은,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하여 비교적 감쇠력의 상승률이 높아진다.
또한, 피스톤 속도가 빨라지면, 하실(20)로부터의 오일액은, 제2 통로(382A)의 오리피스(514A), 중간실(521A), 오리피스(436A), 파일럿실(371A)로부터, 하드 밸브(451A)를 개방하면서, 하드 밸브(451A)와 밸브 시트부(444A) 사이를 통과하여, 하실(20)에 흐르게 된다. 이때, 밸브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에 거의 비례함)에 기초한 감쇠력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피스톤 속도 중속역에서의 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의 특성은,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한 감쇠력의 상승률이 상기한 저속역에 비해서 약간 내려간 상태가 된다.
또한 피스톤 속도가 빨라지면, 메인 밸브(360A)에 작용하는 힘(유압)의 관계가, 제1 통로(362)로부터 가해지는 개방 방향의 힘이 파일럿실(371A)로부터 가해지는 폐쇄 방향의 힘보다 커진다. 따라서, 하실(20)로부터의 오일액은, 상기 흐름에 더하여, 제1 통로(362)의 메인 밸브(360A)를 개방하여 리저버실(6)에 흐른다. 즉, 하실(20)로부터의 오일액은, 석션 밸브(241)의 통로 구멍(251) 내의 통로와, 베이스 밸브 부재(201A)의 내측 통로 구멍(222) 내의 통로와, 변형하는 메인 밸브(360A)와 베이스 밸브 부재(201A)의 하외측 시트부(218)의 간극을 통해 리저버실(6)에 흐른다.
이 때문에, 밸브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에 거의 비례함)에 기초한 감쇠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피스톤 속도 고속역에서의 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의 특성은,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한 감쇠력의 상승률이 상기한 저속역에 비해서 약간 내려간 상태가 유지된다.
이상이, 축소 행정에 있어서 주파수 감응 기구(385A)가 없다고 가정한 경우이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주파수 감응 기구(385A)가, 피스톤 속도가 동일한 경우라도, 피스톤 주파수에 따라 감쇠력을 가변으로 한다.
즉, 피스톤 주파수가 낮을 때의 축소 행정에서는, 하실(20)로부터 제2 통로(382A)에 흐르는 오일액의 일부가, 중간실(521A)로부터 오리피스(476A)를 통해 가변실(501A)에 많이 도입된다. 이 때문에, 하실(20)로부터 가변실(501A)에 오일액이 도입되는 초기에, 구획 디스크(423A)가 크게 휘지만, 덮개 부재(425A)에 의해, 그 이상의 변형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가변실(501A)의 체적은 변화하지 않는 상태가 되고, 가변실(501A)에 오일액이 도입되지 않게 된다.
그러면, 상기한 바와 같이 감쇠력 발생 기구(361A) 및 하드 밸브(451A)를 통해 하실(20)로부터 리저버실(6)에 흐르는 오일액의 양이 줄지 않기 때문에, 주파수 감응 기구(385A)가 없을 때와 동일하게 높은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피스톤 주파수가 높을 때의 축소 행정에서는, 하실(20)로부터 제2 통로(382A)에 흐르는 오일액의 일부가, 중간실(521A)로부터 오리피스(476A)를 통해 가변실(501A)에 도입된다. 그러나, 그 양은 적기 때문에, 구획 디스크(423A)가 휘어, 이것을 흡수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감쇠력 발생 기구(361A) 및 하드 밸브(451A)를 통해 하실(20)로부터 리저버실(6)에 흐르는 오일액의 양이 감소하기 때문에, 피스톤 주파수가 낮을 때와 비교하여 감쇠력이 내려간다.
오리피스(514A)가 제2 통로(382A)의 하실(20)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 오리피스(514A)의 면적에 의해, 감쇠력의 컷오프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오리피스(514A)의 면적이 작으면, 핀 부재(231A) 속을 통과하여 가변실(501A)에 유입되는 오일액의 볼륨이 작아, 구획 디스크(423A)의 스트로크가 작다. 주파수 감응 기구(385A)는, 구획 디스크(423A)의 스트로크가 작을 때는 저스프링, 구획 디스크(423A)의 스트로크가 클 때는 고스프링이 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트로크가 작을 때는, 움직이기 쉬워, 가변실(501A)에 유입되는 오일액분의 체적 보상이 되어, 구획 디스크(411A)를 누르는 파일럿압의 승압이 억제된다. 하드하게 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대진폭(저주파)일 필요가 있기 때문에, 컷오프 주파수는 내려간다. 한편, 반대로 오리피스(514A)의 면적이 크면, 그 반대로 되어, 컷오프 주파수는 오른다.
이상의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1A)는, 피스톤(18)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3) 내의 한쪽의 실(20)로부터 오일액이 유출되는 제1 통로(362)와, 제1 통로(362)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메인 밸브(360A)와, 실린더(3)의 외주측에 마련되는 바닥을 갖는 통형의 외통(4)과, 외통(4)의 바닥부(192)에 마련되어 외통(4) 및 실린더(3)의 사이의 리저버실(6)과 실린더(3) 내의 한쪽의 실(20)을 구획하는 베이스 밸브(25A)를 갖고 있다. 그리고, 베이스 밸브(25A)에는, 제1 통로(362)와 병렬로 마련되는 제2 통로(382A)와, 제2 통로(382A)에 마련되고, 피스톤(18)의 주파수에 따라 감쇠력을 가변으로 하는 주파수 감응 기구(385A)가 마련되고, 이 주파수 감응 기구(385A)가 베이스 밸브(25A)의 바닥부(192)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완충기(1A)는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1A)는, 피스톤 속도 저속역부터 고속역까지, 넓은 속도역에서, 신장 행정 및 축소 행정 모두, 피스톤 주파수에 대하여 감쇠력을 가변(고주파로 감쇠력을 다운)시킬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에, 제3 실시형태를 주로 도 13~도 15에 기초하여 제2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와 공통하는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 호칭,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의 완충기(1B)에 있어서는, 베이스 밸브(25B)가 제2 실시형태의 베이스 밸브(25A)와 일부 다르다. 베이스 밸브(25B)도 외통(4)의 바닥부(192)에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 밸브(25B)는, 외통(4) 및 실린더(3)의 사이의 리저버실(6)과 실린더(3) 내의 한쪽의 하실(20)을 구획한다.
베이스 밸브(25B)는, 베이스 밸브 부재(201A) 대신에 베이스 밸브 부재(201B)를 갖고 있다. 베이스 밸브 부재(201B)는, 베이스 밸브 부재(201A)에 대하여, 레그부(203A)보다 축방향으로 긴 레그부(203B)를 갖는 점이 다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밸브(25B)는, 핀 부재(231A) 대신에 핀 부재(231A)와는 다른 핀 부재(231B)(축 부재)를 갖고 있다. 핀 부재(231B)는, 중공의 볼트이다. 핀 부재(231B)는, 체결 공구에 결합 가능한 헤드부(232B)와, 헤드부(232B)의 중앙으로부터 연장되는, 헤드부(232B)의 최소 외경보다 소직경의 원주형의 축부(233B)를 갖고 있다. 축부(233B)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헤드부(232B)와는 반대측의 외주부에는, 수나사(234B)가 형성되어 있다.
핀 부재(231B)에 있어서의 반경방향의 중앙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축방향 통로 구멍(237B)이 형성되어 있다. 축부(233B)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중간 소정 위치에는, 축부(233B)를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반경방향 통로 구멍(401B)이 형성되어 있다. 반경방향 통로 구멍(401B)은, 축방향 통로 구멍(237B)에 직교하고 있고, 축방향 통로 구멍(237B)에 연통하고 있다.
축방향 통로 구멍(237B)은, 축부(233B)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헤드부(232B)와는 반대측의 단부면으로부터 반경방향 통로 구멍(401B)을 통과하여 헤드부(232B)측까지 연장되는 대직경 구멍부(601B)와, 헤드부(232B) 내에 마련된, 대직경 구멍부(601B)보다 소직경의 소직경 구멍부(602B)를 갖고 있다.
소직경 구멍부(602B) 내의 통로는, 오리피스(603B)로 되어 있다. 핀 부재(231B)의 헤드부(232B)가, 규제 디스크(244)에 접촉한다. 핀 부재(231B)에서는, 축방향 통로 구멍(237B)이 하실(20)에 연통한다.
베이스 밸브(25B)는, 시트 부재(414A)와는 일부 다른 시트 부재(414B)를 갖고 있다. 시트 부재(414B)는, 내측 원통형부(442A)와는 일부 다른 내측 원통형부(442B)를 갖고 있다.
내측 원통형부(442B)에서는, 바닥부(441A)로부터 축방향에 있어서의 밸브 시트부(444A)와 동측으로의 돌출량이, 내측 원통형부(442A)보다 짧게 되어 있다. 핀 부재(231B)에서는, 반경방향 통로 구멍(401B)이, 시트 부재(414A)의 대직경 구멍부(449A) 내의 통로를 통해 파일럿실(371A)에 연통하고 있다.
베이스 밸브(25B)는, 시트 부재(414A)의 축방향의 디스크(413A)와는 반대측에, 디스크(415A, 416A) 대신에, 1개의 디스크(611B)와, 복수 개의 디스크(612B)와, 1개의 디스크(613B)와, 1개의 디스크(614B)와, 1개의 규제 디스크(615B)를 갖고 있다.
디스크(611B~614B) 및 규제 디스크(615B)는, 모두 금속제이다.
디스크(611B~614B) 및 규제 디스크(615B)는, 모두 내측에 핀 부재(231B)의 축부(233B)를 감합 가능한 일정 두께의 구멍을 갖는 원형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디스크(611B)는, 시트 부재(414B)의 밸브 시트부(444A)의 최소 내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복수 개의 디스크(612B)에는, 절결 통로(621B)가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613B)는, 디스크(611B)의 외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614B)는, 디스크(613B)의 외경보다 대직경이며 디스크(612B)의 외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규제 디스크(615B)는, 디스크(614B)의 외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규제 디스크(615B)는, 디스크(611B~614B)보다 두께가 두껍고 고강성으로 되어 있다.
복수 개의 디스크(612B)는, 밸브 시트부(444A)에 접촉하여 파일럿실(371A)을 폐색하며, 밸브 시트부(444A)로부터 이격하여 파일럿실(371)을 개방하는 하드 밸브(451B)를 구성하고 있다.
규제 디스크(615B)는, 디스크(614B)에 의해 하드 밸브(451B)의 밸브 개방 시의 소정량 이상의 변형을 억제한다. 디스크(611B) 및 복수 개의 디스크(612B)는, 절결 통로(621B)에 의해, 하실(20)로부터 파일럿실(371A)에의 오일액의 흐름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625B)로 되어 있다.
베이스 밸브(25B)는, 규제 디스크(615B)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디스크(614B)와는 반대측에, 주파수 감응 기구(385A) 대신에 주파수 감응 기구(385B)를 갖고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385B)는, 핀 부재(231B)의 수나사(234B)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385B)는, 핀 부재(231B)의 수나사(234B)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631B)가 형성된 덮개 부재(632B)와, 이 덮개 부재(632B)에 그 일단 개구측이 폐색되도록 부착되는 대략 원통형의 하우징 본체(633B)를 포함하는 하우징(634B)과, 이 하우징(634B)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프리 피스톤(636B)과, 모두 하우징(634B)과 프리 피스톤(636B) 사이에 개재된 탄성체인 O링(638B) 및 O링(639B)으로 구성되어 있다.
덮개 부재(632B)는, 금속제로서 절삭 가공을 주체로 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덮개 부재(632B)는, 대략 원통형의 덮개 내통부(641B)와, 이 덮개 내통부(641B)의 축방향의 단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원판형의 덮개 기판부(642B)와, 덮개 기판부(642B)의 외주측으로부터 축방향의 덮개 내통부(641B)와 동측으로 연장되는 덮개 외통부(643B)를 갖고 있다.
덮개 내통부(641B)의 내주부에는, 상기한 암나사(631B)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 외통부(643B)의 외주면에는, 수나사(616B)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633B)는, 금속제로서 절삭 가공을 주체로 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하우징 본체(633B)는, 원통형의 주체부(651B)와, 주체부(651B)의 축방향 일단으로부터 반경방향 내방으로 돌출하는 내측 환형 돌기(652B)를 갖고 있다.
주체부(651B)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내측 환형 돌기(652B)와는 반대측의 내주면에는, 암나사(653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우징 본체(633B)의 암나사(653B)에, 덮개 부재(632B)의 수나사(646B)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이들이 일체화되어 하우징(634B)이 된다.
프리 피스톤(636B)은, 금속제로서 절삭 가공을 주체로 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프리 피스톤(636B)은, 대략 원통형의 피스톤 통부(661B)와, 이 피스톤 통부(661B)의 축방향의 일측을 폐색하는 피스톤 폐쇄판부(662B)와, 피스톤 통부(661B)의 축방향의 중앙으로부터 반경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는 원환형의 외측 환형 돌기(663B)를 갖고 있다.
외측 환형 돌기(663B)의 축방향의 중앙 위치에는, 피스톤 통부(661B) 및 외측 환형 돌기(663B)를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 구멍(666B)이, 프리 피스톤(636B)의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 개소 형성되어 있다. 프리 피스톤(636B)은, 하우징(634B) 내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그리고, 프리 피스톤(636B)의 외측 환형 돌기(663B)와 덮개 부재(632B)의 덮개 외통부(643B) 사이에, O링(638B)이 마련되어 있다. 프리 피스톤(636B)의 외측 환형 돌기(663B)와 하우징 본체(633B)의 내측 환형 돌기(652B) 사이에, O링(639B)이 마련되어 있다.
프리 피스톤(636B)이 하우징(634B)에 대하여 축방향의 덮개 부재(632B)측으로 이동하면, 그 외측 환형 돌기(663B)가 덮개 부재(632B)의 덮개 외통부(643B)로 O링(638B)을 사이에 끼워 탄성 변형시킨다. 또한, 프리 피스톤(636B)이 하우징(634B)에 대하여 축방향의 덮개 부재(632B)와는 반대측으로 이동하면, 그 외측 환형 돌기(663B)가 하우징 본체(633B)의 내측 환형 돌기(652B)로 O링(639B)을 사이에 끼워 탄성 변형시킨다.
주파수 감응 기구(385B)에서는, 덮개 부재(632B)와, 프리 피스톤(636B)의 덮개 부재(632B)측 사이가, 핀 부재(231B)의 축방향 통로 구멍(237B)을 통해 하실(20)에 연통하는 가변실(501B)로 되어 있다. 가변실(501B)은, 프리 피스톤(636B)의 통로 구멍(666B) 내의 통로와, O링(638B, 639B) 사이의 공간을 포함하고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385B)에서는, O링(639B)과 하우징 본체(633B)의 내측 환형 돌기(652B) 사이가, 리저버실(6)에 연통하는 가변실(502B)로 되어 있다. 가변실(501B)과 가변실(502B)은, O링(639B)으로 연통이 차단되어 있다.
베이스 밸브 부재(201B)의 하외측 시트부(218)와, 이것에 접촉하여 베이스 밸브 부재(201B)의 내측 통로 구멍(222)을 개폐하는 메인 밸브(360A)가,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축소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361A)를 구성하고 있다. 베이스 밸브 부재(201B)의 내측 통로 구멍(222)과, 밸브 개방 시에 생기는 메인 밸브(360A)와 하외측 시트부(218) 사이의 통로가, 제1,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실(20)과 리저버실(6)을 연통 가능한 축소측의 제1 통로(362)를 구성하고 있다.
제1 통로(362)에서는, 피스톤(18)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3) 내의 한쪽의 하실(20)로부터 리저버실(6)을 향하여 오일액이 유출된다. 디스크(271)에 마련된 절결(291) 내의 통로는, 고정 오리피스(363)를 구성하고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361A)의 메인 밸브(360A)는, 제1 통로(362)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제1 통로(362)는, 베이스 밸브(25B)에 마련되어 있다.
핀 부재(231B)의 축방향 통로 구멍(237B)의 오리피스(603B)보다 하실(20)과는 반대측, 반경방향 통로 구멍(401B) 내 및 시트 부재(414A)의 대직경 구멍부(449A) 내도, 가변실(501B)을 구성하고 있다. 오리피스(603B)와, 가변실(501B)과, 디스크(413A) 내의 오리피스(436A)와, 파일럿실(371A)과, 밸브 개방 시에 생기는 하드 밸브(451B)와 밸브 시트부(444A)의 간극이, 제1 통로(362)와 병렬로 마련된 제2 통로(382B)를 구성하고 있다.
제2 통로(382B)는, 가변실(502B)도 포함하고 있다. 제2 통로(382B)는, 베이스 밸브(25B)에 제1 통로(362)와 병렬로 마련되어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385B)는, 제2 통로(382B)에 마련되어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385B)는, 베이스 밸브(25B)의 바닥부(192)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상의 베이스 밸브(25B)의 유압 회로도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즉, 하실(20)과 리저버실(6)을 연통시키는 축소측의 제1 통로(362)에, 메인 밸브(360A) 및 고정 오리피스(363)를 포함하는 감쇠력 발생 기구(361A)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통로(362)에 대하여 병렬로 마련된 제2 통로(382B)는, 오리피스(603B)를 통해 하실(20)에 연통하고 있다. 제2 통로(382B)에 있어서의, 오리피스(603B)에 대하여 하실(20)과는 반대측에는, 주파수 감응 기구(385B)의 가변실(501B)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2 통로(382B)에는, 가변실(501B)로부터 연장되어 오리피스(436A)가 마련되어 있다. 오리피스(436A)를 통해, 파일럿실(371A)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2 통로(382B)에는, 파일럿실(371A)과 리저버실(6) 사이에 하드 밸브(451B) 및 체크 밸브(625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2 통로(382A)는, 주파수 감응 기구(385B)의 가변실(502B)를 통해 리저버실(6)에 연통하고 있다. 파일럿실(371A)은, 그 압력을 감쇠력 발생 기구(361A)의 메인 밸브(360A)에 폐쇄 방향으로 부여한다.
다음에, 베이스 밸브(25B)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피스톤 로드(21)가 축소측으로 이동하는 축소 행정에 있어서, 주파수 감응 기구(385B)가 없다고 가정하면, 피스톤 속도가 느릴 때, 하실(20)로부터의 오일액은, 제1 통로(362) 및 제2 통로(382B)에 흐른다. 메인 밸브(360A)에 작용하는 힘(유압)의 관계가, 제1 통로(362)로부터 가해지는 개방 방향의 힘이 파일럿실(371A)으로부터 가해지는 폐쇄 방향의 힘보다 작기 때문에, 주로 제1 통로(362)의 고정 오리피스(363)를 통해, 리저버실(6)에 오일액이 흐른다.
즉, 하실(20)로부터의 오일액은, 석션 밸브(241)의 통로 구멍(251) 내의 통로와, 베이스 밸브 부재(201B)의 내측 통로 구멍(222) 내의 통로와, 메인 밸브(360A)의 고정 오리피스(363)를 통해 리저버실(6)에 흐른다. 이 때문에, 오리피스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의 2승에 거의 비례함)에 기초한 감쇠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피스톤 속도 저속역에서의 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의 특성은,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하여 비교적 감쇠력의 상승률이 높아진다.
또한, 피스톤 속도가 빨라지면, 하실(20)로부터의 오일액은, 제2 통로(382B)의 오리피스(603B), 오리피스(436A), 파일럿실(371A)로부터, 하드 밸브(451B)를 개방하면서, 하드 밸브(451B)와 밸브 시트부(444A) 사이를 통과하여, 하실(20)에 흐르게 된다. 밸브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에 거의 비례함)에 기초한 감쇠력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피스톤 속도 중속역에서의 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의 특성은,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한 감쇠력의 상승률이 상기한 저속역에 비해서 약간 내려간 상태가 된다.
피스톤 속도가 더욱 빨라지면, 메인 밸브(360A)에 작용하는 힘(유압)의 관계가, 제1 통로(362)로부터 가해지는 개방 방향의 힘이 파일럿실(371A)로부터 가해지는 폐쇄 방향의 힘보다 커진다. 따라서, 하실(20)로부터의 오일액은, 상기 흐름에 더하여, 제1 통로(362)의 메인 밸브(360A)를 개방하여 리저버실(6)에 흐른다. 즉, 하실(20)로부터의 오일액은, 석션 밸브(241)의 통로 구멍(251) 내의 통로와, 베이스 밸브 부재(201B)의 내측 통로 구멍(222) 내의 통로와, 변형하는 메인 밸브(360A)와 베이스 밸브 부재(201B)의 하외측 시트부(218)의 간극을 통해, 리저버실(6)에 흐른다.
이 때문에, 밸브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에 거의 비례함)에 기초한 감쇠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피스톤 속도 고속역에서의 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의 특성은,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한 감쇠력의 상승률이 상기한 저속역에 비해서 약간 내려간 상태가 유지된다.
이상이, 축소 행정에 있어서 주파수 감응 기구(385B)가 없다고 가정한 경우이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주파수 감응 기구(385B)가, 피스톤 속도가 동일한 경우라도, 피스톤 주파수에 따라 감쇠력을 가변으로 한다.
즉, 피스톤 주파수가 낮을 때의 축소 행정에서는, 하실(20)로부터 제2 통로(382B)에 흐르는 오일액의 일부가, 가변실(501B)에 많이 도입된다. 이 때문에, 하실(20)로부터 가변실(501B)에 오일액이 도입되는 초기에, 프리 피스톤(636B)은, 가변실(501B)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크게 이동한다. 그러나, 프리 피스톤(636B)이 O링(639B)을 찌부러뜨린다. 이 때문에, 프리 피스톤(636B)의 그 이상의 이동이, O링(639B) 및 내측 환형 돌기(652B)로 규제된다.
이에 의해, 가변실(501B)의 체적은 변화하지 않는 상태가 되어, 가변실(501B)에 오일액이 도입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감쇠력 발생 기구(361A) 및 하드 밸브(451B)를 통해 하실(20)로부터 리저버실(6)에 흐르는 오일액의 양이 줄지 않게 된다. 주파수 감응 기구(385B)가 없을 때와 동일하게, 높은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피스톤 주파수가 높을 때의 축소 행정에서는, 하실(20)로부터 제2 통로(382B)에 흐르는 오일액의 일부가 가변실(501B)에 도입된다. 그러나, 그 양은 적기 때문에, 프리 피스톤(636B)이 가변실(501B)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것을 흡수한다. 따라서, 피스톤 주파수가 낮을 때와 비교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감쇠력 발생 기구(361A) 및 하드 밸브(451B)를 통해 하실(20)로부터 리저버실(6)에 흐르는 오일액의 양이 줄어, 감쇠력이 내려간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서는, 프리 피스톤부에 체크 밸브가 없다. 파일럿실(371A)에의 체크 밸브(625B)를, 하드 밸브(451B)의 역행정(신장 행정)측에 설치함으로써, 파일럿실(371A) 내에 리저버실(6)로부터 오일액이 다이렉트로 유입되어 보충된다. 이 때문에, 메인 밸브(360A)의 폐쇄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다음에, 제4 실시형태를 주로 도 16~도 18에 기초하여 제1, 제3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 제3 실시형태와 공통하는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 호칭,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 실시형태의 완충기(1C)에 있어서는, 베이스 밸브(25C)가, 제3 실시형태의 베이스 밸브(25B)와 일부 다르다. 베이스 밸브(25C)도, 외통(4)의 바닥부(192)에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 밸브(25C)는, 외통(4) 및 실린더(3)의 사이의 리저버실(6)과 실린더(3) 내의 한쪽의 하실(20)을 구획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밸브(25C)는, 핀 부재(231B) 대신에, 핀 부재(231C)(축 부재) 및 연결핀(702C)을 갖고 있다.
핀 부재(231C)는, 중공의 볼트이다. 핀 부재(231C)는, 체결 공구에 결합 가능한 헤드부(232C)와, 헤드부(232C)의 중앙으로부터 연장되는, 헤드부(232C)의 최소 외경보다 소직경의 원통형의 축부(233C)를 갖고 있다. 축부(233C)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헤드부(232C)와는 반대측의 외주부에는, 수나사(234C)가 형성되어 있다. 핀 부재(231C)에 있어서의 반경방향의 중앙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715C)이 형성되어 있다. 헤드부(232C)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축부(233C)와는 반대측에는,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 홈(717C)이 형성되어 있다. 통로 홈(717C)은, 삽입 관통 구멍(715C)에 직교하고 있다.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베이스 밸브 부재(201), 석션 밸브(241), 디스크(242), 스프링 디스크(243) 및 규제 디스크(244)가, 핀 부재(231C)의 축부(233C)에 감합하고 있다.
연결핀(702C)은, 중공의 볼트이다. 연결핀(702C)은, 체결 공구에 결합 가능한 헤드부(721C)와, 헤드부(721C)의 중앙으로부터 연장되는, 헤드부(721C)의 최소 외경보다 소직경의 원통형의 축부(722C)를 갖고 있다.
축부(722C)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헤드부(721C)측의 외주부에는, 수나사(723C)가 형성되어 있다. 축부(722C)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헤드부(721C)와는 반대측의 외주부에도, 수나사(724C)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핀(702C)에 있어서의 반경방향의 중앙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축방향 통로 구멍(725C)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핀(702C)에서는, 축부(722C)가, 핀 부재(231C)의 삽입 관통 구멍(715C)에 삽입 관통된다.
베이스 밸브(25C)는, 베이스 밸브 부재(201)의 베이스부(202)의 축방향의 바닥부(192)측에, 축방향의 베이스부(202)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1개의 디스크(271)와, 복수 개의 디스크(272)와 복수 개의 디스크(273)를 갖고 있다. 디스크(271~273)는, 핀 부재(231C)의 축부(233C)에 감합하고 있다.
베이스 밸브(25C)는, 디스크(273)의 축방향의 디스크(272)와는 반대측에, 제1 실시형태의 디스크(275, 276, 279, 280), 가압 디스크(274), 스페이서(277), 구획 디스크(278) 및 스토퍼 디스크(281) 대신에, 1개의 구획 디스크(278C)(폐색 부재)와, 1개의 디스크(279C)를 갖고 있다.
또한, 베이스 밸브(25C)는, 디스크(272)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디스크(271)와는 반대측에, 디스크(273), 구획 디스크(278C) 및 디스크(279C)를 반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도록 통형의 스풀 부재(285C)가 마련되어 있다. 스풀 부재(285C)는, 디스크(271, 272)를 포함하는 메인 밸브(360)에 대한 압박력을,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변경 가능하다.
디스크(279C) 및 스풀 부재(285C)는, 모두 금속제이다. 디스크(279C)는, 내측에 핀 부재(231C)의 축부(233C)를 감합 가능한 일정 두께의 구멍을 갖는 원형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디스크(279C)가, 핀 부재(231C)의 헤드부(232C)에 접촉한다. 구획 디스크(278C)는, 내측에 핀 부재(231C)의 축부(233C)를 감합 가능한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구획 디스크(278C)는, 금속제의 디스크(311C)와, 디스크(311C)의 외주측에 고착되는 고무제의 시일 부재(312C)를 포함하고 있다. 구획 디스크(278C)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일 부재(312C)는, 디스크(311C)에 베이킹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디스크(311C)는, 내측에 핀 부재(231C)의 축부(233C)를 감합 가능한 일정 두께의 구멍을 갖는 원형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디스크(311C)는, 디스크(273)의 외경보다 대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시일 부재(312C)는, 디스크(311C)의 외주측에 원환형을 이루어 고착되어 있다.
시일 부재(312C)는, 디스크(311C)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시일 부재(312C)에서는, 디스크(311C)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외경이 대직경이 되고, 디스크(311C)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질수록 내경도 대직경이 된다. 구획 디스크(278C)는, 디스크(311C)에 있어서 디스크(273, 279C)에 접촉하고 있다. 시일 부재(312C)가, 디스크(311C)로부터 축방향의 디스크(279C)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시일 부재(312C)는, 디스크(279C) 및 핀 부재(231C)의 헤드부(232C)와의 사이에 반경방향의 간극을 갖고, 이들을 이들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고 있다. 디스크(279C)는, 시일 부재(312C)의 최소 내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스풀 부재(285C)는, 변형 곤란한 강체이다. 스풀 부재(285C)는, 원통형의 압박부(324C)와, 압박부(324C)의 축방향의 일단부로부터 축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내플랜지부(323C)를 갖고 있다.
스풀 부재(285C)는, 압박부(324C)가 구획 디스크(278C)의 시일 부재(312C)에 전체 둘레에 걸쳐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스풀 부재(285C)는, 구획 디스크(278C)에 대하여 센터링되고, 핀 부재(231C)의 축부(233C)에 대하여 센터링된다.
압박부(324C)의 내경은, 구획 디스크(278C)의 디스크(311C)의 외경보다 약간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내플랜지부(323C)는, 구멍을 갖는 원형 평판형이다. 압박부(324C)에는, 축방향의 내플랜지부(323C)와는 반대측에, 압박부(324C)를 반경방향으로 횡단하는 절결(326C)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326C)은, 압박부(324C)의 둘레 방향에 등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내플랜지부(323C)에는, 내플랜지부(323C) 및 압박부(324C)를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홈(731C)이 형성되어 있다.
스풀 부재(285C)의 축방향의 디스크(272)와는 반대측에는, 서포트 디스크(734C)가 배치되어 있다. 서포트 디스크(734C)는, 금속제로서, 일정 두께의 구멍을 갖는 원형 평판형이다. 서포트 디스크(734C)의 반경방향 내측에는, 연결핀(702C)의 축부(722C)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서포트 디스크(734C)의 내주측은, 연결핀(702C)의 축부(722C)에 한 쌍의 너트(735C, 736C)로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너트(735C, 736C)는, 축부(722C)의 수나사(724C)에 나사 결합되어 서포트 디스크(734C)를 축방향 양측으로부터 협지하고 있다.
핀 부재(231C)의 축부(233C)의 수나사(234C)에는, 제3 실시형태의 주파수 감응 기구(385B)와는 일부 다른 주파수 감응 기구(385C)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385C)는, 핀 부재(231C)의 수나사(234C)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631C)가 형성된 하우징 본체(633C)와, 하우징 본체(633C)의 일단 개구측을 폐색하도록 부착되는 덮개 부재(632C)를 포함하는 하우징(634C)과, 이 하우징(634C)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프리 피스톤(636C)과, 프리 피스톤(636C)과 하우징(634C) 사이에 개재되는 O링(638B, 639B)을 갖고 있다.
덮개 부재(632C)는, 덮개 부재(632B)와는 일부 다르고, 원판형의 덮개 기판부(642C)와, 덮개 기판부(642C)의 외주측으로부터 축방향 일측으로 연장되는 덮개 부재(632B)와 동일한 덮개 외통부(643B)를 갖고 있다.
덮개 부재(632C)는, 덮개 부재(632B)에 대하여 덮개 내통부(641B)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덮개 기판부(642C)가 덮개 외통부(643B)의 반경방향 내측을 폐색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 덮개 외통부(643B)의 외주면에는, 덮개 부재(632B)와 동일한 수나사(646B)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633C)는, 금속제로서 절삭 가공을 주체로 하여 형성된다. 하우징 본체(633C)는, 원통형의 주체부(651C)와, 주체부(651C)의 축방향 일단으로부터 반경방향 내방으로 돌출하는 내측 환형 돌기(652C)와, 내측 환형 돌기(652C)의 축방향 일단으로부터 반경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751C)와, 연장부(751C)의 내주측으로부터 축방향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내측 통형부(752C)를 갖고 있다.
내측 환형 돌기(652C)에는,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755C)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755C) 내의 통로는, 오리피스(756C)로 되어 있다. 내측 통형부(752C)의 축방향에 있어서 연장부(751C)와는 반대측의 내주부에는, 원환형의 시일 홈(757C)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 통형부(752C)의 반경방향 내측에는, 연결핀(702C)의 축부(722C)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시일 홈(757C)에는, 축부(722C)와 내측 통형부(752C)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부재(761C)가 수용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633C)에 있어서, 주체부(651C)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내측 환형 돌기(652C)와는 반대측의 내주부에는, 암나사(65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암나사(653B)에, 덮개 부재(632C)의 수나사(646B)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이들이 일체화되어 하우징(634C)이 된다.
프리 피스톤(636C)은, 프리 피스톤(636B)과는 일부 다르다. 프리 피스톤(636C)은, 프리 피스톤(636B)과 동일한 피스톤 통부(661B) 및 외측 환형 돌기(663B)와, 피스톤 폐쇄판부(662B)와는 일부 다른 피스톤 폐쇄판부(662C)를 갖고 있다.
피스톤 폐쇄판부(662C)에 있어서의 반경방향의 중앙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771C)이 형성되어 있다. 프리 피스톤(636C)은, 피스톤 폐쇄판부(662C)가, 덮개 부재(632C)의 덮개 기판부(642C)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하우징(634C) 내에 마련되어 있다. 프리 피스톤(636C)은, 하우징(634C) 내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그리고, 프리 피스톤(636C)의 외측 환형 돌기(663B)와 덮개 부재(632B)의 덮개 외통부(643B) 사이에, O링(638B)이 마련되어 있다. 프리 피스톤(636C)의 외측 환형 돌기(663B)와 하우징 본체(633C)의 내측 환형 돌기(652C) 사이에, O링(639B)이 마련되어 있다.
프리 피스톤(636C)이 하우징(634C)에 대하여 축방향의 덮개 부재(632C)측으로 이동하면, 그 외측 환형 돌기(663B)가 덮개 부재(632C)의 덮개 외통부(643B)로 O링(638B)을 사이에 끼워 탄성 변형시킨다. 또한, 프리 피스톤(636C)이 하우징(634C)에 대하여 축방향의 덮개 부재(632C)와는 반대측으로 이동하면, 그 외측 환형 돌기(663B)가 하우징 본체(633C)의 내측 환형 돌기(652C)로 O링(639B)을 사이에 끼워 탄성 변형시킨다.
주파수 감응 기구(385C)에서는, 하우징(634C)이 암나사(631C)에 있어서 핀 부재(231C)의 수나사(234C)에 나사 결합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634C)이, 핀 부재(231C)의 헤드부(232C)와 함께, 규제 디스크(244), 스프링 디스크(243), 디스크(242), 석션 밸브(241), 베이스 밸브 부재(201), 디스크(271), 복수 개의 디스크(272), 복수 개의 디스크(273), 구획 디스크(278C) 및 디스크(279C)의 적어도 내주측을 축방향으로 클램프한다.
주파수 감응 기구(385C)에서는, 프리 피스톤(636C)의 피스톤 폐쇄판부(662C)의 관통 구멍(771C) 및 내측 통형부(752C)의 반경방향 내측에, 연결핀(702C)의 축부(722C)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프리 피스톤(636C)의 피스톤 폐쇄판부(662C)가, 연결핀(702C)의 헤드부(721C)와, 연결핀(702C)의 헤드부(721C)측의 수나사(723C)에 나사 결합된 너트(775C)에 의해 축방향으로 협지된다. 이에 의해, 연결핀(702C)에는, 축부(722C)의 축방향의 헤드부(721C)측에 프리 피스톤(636C)이 고정되어 있다.
연결핀(702C)에 있어서의 축부(722C)의 축방향의 헤드부(721C)와는 반대측에는, 서포트 디스크(734C)가 고정되어 있다. 환언하면, 서포트 디스크(734C)는, 연결핀(702C)을 통해 프리 피스톤(636C)에 연결되어 있다. 서포트 디스크(734C)는, 연결핀(702C)과 너트(735C, 736C, 775C)와 함께 주파수 감응 기구(385C)를 구성하고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385C)의 서포트 디스크(734C)가, 베이스 밸브(25C)의 바닥부(192)측에 마련되어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385C)에서는, 하우징 본체(633C)와, 프리 피스톤(636C)의 축방향의 연장부(751C)측이, 하우징 본체(633C)의 관통 구멍(755C) 내의 오리피스(756C)를 통해 하실(20)에 연통하는 파일럿실(501C)로 되어 있다. 파일럿실(501C)은, 프리 피스톤(636C)의 통로 구멍(666B) 내의 통로와, O링(638B, 639B) 사이의 공간을 포함하고 있다.
파일럿실(501C)은 프리 피스톤(636C), 연결핀(702C) 및 서포트 디스크(734C)를 통해, 스풀 부재(285C)에 메인 밸브(360)에 대한 폐쇄 방향의 압박력을 발생시킨다.
주파수 감응 기구(385C)에서는, O링(638B)과 덮개 부재(632C)의 덮개 외통부(643B) 사이와, 프리 피스톤(636C)과 덮개 부재(632C)의 덮개 기판부(642C) 사이와, 연결핀(702C)의 축방향 통로 구멍(725C) 내의 통로가, 리저버실(6)에 연통하는 리저버 연통실(502C)로 되어 있다. 리저버 연통실(502C)과 파일럿실(501C)은, O링(638B)으로 연통이 차단되어 있다.
베이스 밸브 부재(201)의 하외측 시트부(218)와, 이것에 접촉하여 베이스 밸브 부재(201)의 내측 통로 구멍(222)을 개폐하는 메인 밸브(360)가, 축소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361)를 구성하고 있다. 석션 밸브(241)의 통로 구멍(251) 내의 통로와, 베이스 밸브 부재(201)의 내측 통로 구멍(222) 내의 통로와, 밸브 개방 시에 생기는 메인 밸브(360)와 하외측 시트부(218) 사이의 통로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실(20)과 리저버실(6)을 연통 가능한 축소측의 제1 통로(362)를 구성하고 있다.
제1 통로(362)에서는, 피스톤(18)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3) 내의 한쪽의 하실(20)로부터 리저버실(6)을 향하여 오일액이 유출된다. 디스크(271)에 마련된 절결(291) 내의 통로는, 고정 오리피스(363)를 구성하고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361)의 메인 밸브(360)는, 제1 통로(362)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제1 통로(362)는, 베이스 밸브(25C)에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633C)의 오리피스(756C)와, 파일럿실(501C)과, 리저버 연통실(502C)과, 연결핀(702C)의 축방향 통로 구멍(725C) 내의 통로가, 제1 통로(362)와 병렬로 마련된 제2 통로(382C)를 구성하고 있다.
제2 통로(382C)는 베이스 밸브(25C)에 제1 통로(362)와 병렬로 마련되어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385C)는 제2 통로(382C)에 마련되어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385C)의 서포트 디스크(734C)는 베이스 밸브(25C)의 바닥부(192)측에 마련되어 있다. 구획 디스크(278C)는 스풀 부재(285C)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다. 구획 디스크(278C)는, 스풀 부재(285C)와의 사이의 간극을 통한 오일액의 흐름을 차단한다.
이상의 베이스 밸브(25C)의 유압 회로도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즉, 하실(20)과 리저버실(6)을 연통시키는 축소측의 제1 통로(362)에, 메인 밸브(360)와 고정 오리피스(363)를 포함하는 감쇠력 발생 기구(361)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통로(362)에 대하여 병렬로 마련된 제2 통로(382C)는, 오리피스(756C)를 통헤 주파수 감응 기구(385C)의 파일럿실(501C)에 연통하고 있다. 제2 통로(382C)의 리저버 연통실(502C)은, 리저버실(6)에 연통하고 있다. 파일럿실(501C)은, 그 압력을 메인 밸브(360)에 폐쇄 방향으로 부여한다.
다음에, 베이스 밸브(25C)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피스톤 주파수가 저주파수에서의, 축소 행정에 있어서는, 파일럿실(501C)에 들어가는 오일액의 볼륨이 크다. 프리 피스톤(636C)과 일체화된 연결핀(702C)이 바닥부(192)와는 반대측으로 움직여져, 연결핀(702C)과 일체화된 서포트 디스크(734C)에 의해 눌린 스풀 부재(285C)가 메인 밸브(360)에 접촉하면, 프리 피스톤(636C)의 움직임이 멈춘다. 파일럿실(501C)의 파일럿압이, 상승한다.
이 파일럿압이 오름으로써, 프리 피스톤(636C)을 위로 밀어 올리는 힘이 커진다. 그 결과로서, 메인 밸브(360)의 밸브 개방압이 상승하여, 축소측의 감쇠력은 하드가 된다.
한편, 피스톤 주파수가 고주파에서의 입력에 대해서는, 프리 피스톤(636C) 및 연결핀(702C)의 이동량이 작다. 스풀 부재(285C)가 메인 밸브(360)에 접촉하지 않거나, 혹은 접촉하여도 메인 밸브(360)에의 폐쇄 방향의 부하 하중이 충분히 작다. 이 때문에, 메인 밸브(360)의 밸브 개방압이 낮아, 축소측의 감쇠력은 소프트 특성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주파수 감응 기구(385C)의 일부를 하실(20)에 수납한 구조라도, 제1~제3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축소측 감쇠력의 주파수 의존성(고주파이며 소프트한 감쇠력)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예]
또한, 도 19에 제1 실시형태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린더(3) 내의 한쪽의 실인 상실(19)과 리저버실(6)을 접속하는 제3 통로(801)와, 이 제3 통로(801)의 작동액의 흐름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조정하는 감쇠력 조정 기구(802)를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감쇠력 조정 기구(802)는, 외통(4)에 외장할 수 있다. 감쇠력 조정 기구(802)는, 상실(19)로부터 리저버실(6)에의 원웨이로 오일액을 흐르게 하는 구조이다. 감쇠력 조정 기구(802)는, 상실(19)과 리저버실(6) 사이의 유로를 전류에 의해 제어하여 감쇠력을 조정한다. 감쇠력 조정 기구(802)는, 전류에 의해 밸브 개방 압력을 컨트롤함으로써, 노면의 상황·차체 거동에 따라 소프트부터 하드까지 감쇠력을 조정 가능하다.
이 감쇠력 조정 기구(802)를 마련한 경우, 실린더(3) 내의 다른 쪽의 실인 하실(20)과 리저버실(6)을 획정하는 제1~제4 실시형태의 베이스 밸브(25, 25A, 25B, 25C)는, 각각의 주파수 감응 기구(385, 385A, 385B, 385C)가, 감쇠력 조정 기구(802)와는 연계하지 않고, 기계적으로 감쇠력 조정을 행한다. 이 경우, 감쇠력 조정 기구(802)의 전자 제어에 의한 소프트~하드의 감쇠력의 가변에 더하여, 고주파 입력의 감쇠력 저감을, 신장 행정 및 축소 행정을 독립적으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감쇠력 조정 기구(802)를 탑재함으로써, 차량이 일반 도로에 있는 것 같은 미소한 고주파 입력이 섞인 꾸불꾸불한 노면을 주행할 때에, 저주파에 대하여 확실한 감쇠감을 내어 스프링 상의 플랫감을 내면서, 미소한 고주파 입력(진동)을 차단하는, 일반적인 제어 서스펜션이 목표로 하는 바와 같은 성능을 염가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제4 실시형태의 베이스 밸브(25, 25A~25C)의 구조를, 피스톤(18) 및 피스톤 로드(21)에 마련하여도 좋다. 이 경우, 피스톤 로드(21)가 축 부재가 된다.
이상에 서술한 실시형태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완충기는,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마련되고, 상기 실린더 내를 2실로 나누는 피스톤과, 일단측이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며 타단측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2실 중 한쪽의 실로부터 작동 유체가 유출되는 제1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와 병렬로 마련되는 제2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에 대한 압박력을,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변경 가능한 통형의 스풀 부재와, 상기 제2 통로에 마련되고, 상기 스풀 부재의 내주측에 있으며 상기 스풀 부재에 상기 디스크에 대한 압박력을 발생시키는 파일럿실과, 상기 파일럿실로부터 상기 2실 중 다른 쪽의 실로의 흐름을 차단하고, 상기 스풀 부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폐색 부재를 갖는다. 이에 의해,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제2 양태는,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폐색 부재는, 상기 스풀 부재와의 사이에 시일 부재를 갖는다.
제3 양태는, 제2 양태에 있어서, 상기 폐색 부재는, 상기 시일 부재가 베이킹에 의해 마련되어 있다.
제4 양태는, 제1 내지 제3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상기 스풀 부재 및 상기 폐색 부재에는, 축 부재가 삽입 관통되고, 상기 제2 통로는, 상기 축 부재에 형성된다.
제5 양태는,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외주측에 마련되어 작동액 및 가스가 봉입되는 리저버실과, 상기 한쪽의 실과 상기 리저버실을 접속하는 제3 통로와, 상기 다른 쪽의 실과 상기 리저버실을 획정하는 베이스 밸브와, 상기 제3 통로의 작동액의 흐름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조정하는 감쇠력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통로 및 상기 제2 통로는, 상기 베이스 밸브에 마련된다.
제6 양태는,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마련되고, 상기 실린더 내를 2실로 나누는 피스톤과, 일단측이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며 타단측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2실 중 한쪽의 실로부터 작동 유체가 유출되는 제1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디스크와, 상기 실린더의 외주측에 마련되는 바닥을 갖는 통형의 외통과, 상기 외통의 바닥부에 마련되어 상기 외통 및 상기 실린더의 사이의 실과 상기 실린더 내의 한쪽의 실을 구획하는 베이스 밸브를 갖고, 상기 베이스 밸브에는, 상기 제1 통로와 병렬로 마련되는 제2 통로와, 상기 제2 통로에 마련되고, 상기 피스톤의 주파수에 따라 감쇠력을 가변으로 하는 주파수 감응 기구가 마련되고, 상기 주파수 감응 기구가 상기 베이스 밸브의 상기 바닥부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화가 가능한 완충기를 제공할 수 있다.
1, 1A~1C : 완충기 3 : 실린더
4 : 외통 6 : 리저버실(다른 쪽의 실)
18 : 피스톤 19 : 상실
20 : 하실(한쪽의 실) 21 : 피스톤 로드
25, 25A~25C : 베이스 밸브 192 : 바닥부
231, 231A~231C : 핀 부재 231 : 축 부재
278, 278C : 구획 디스크(폐색 부재) 285, 285C : 스풀 부재
312, 312C : 시일 부재 360, 360A : 메인 밸브
362 : 제1 통로 371, 501C : 파일럿실
382, 382A, 382B, 382C : 제2 통로
385, 385A~385C : 주파수 감응 기구 801 : 제3 통로
802 : 감쇠력 조정 기구

Claims (6)

  1.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마련되고, 상기 실린더 내를 2실로 나누는 피스톤과,
    일단측이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며 타단측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2실 중 한쪽의 실로부터 작동 유체가 유출되는 제1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와 병렬로 마련되는 제2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에 대한 압박력을,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변경 가능한 통형의 스풀 부재와,
    상기 제2 통로에 마련되고, 상기 스풀 부재의 내주측에 있으며 상기 스풀 부재에 상기 디스크에 대한 압박력을 발생시키는 파일럿실과,
    상기 파일럿실로부터 상기 2실 중의 다른 쪽의 실로의 흐름을 차단하고, 상기 스풀 부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폐색 부재
    를 포함하는 완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 부재는 상기 스풀 부재와의 사이에 시일 부재를 갖는 것인 완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 부재는, 상기 시일 부재가 베이킹에 의해 마련되어 있는 것인 완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상기 스풀 부재 및 상기 폐색 부재에는, 축 부재가 삽입 관통되고, 상기 제2 통로는 상기 축 부재에 형성되는 것인 완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외주측에 마련되어 작동액 및 가스가 봉입되는 리저버실과,
    상기 한쪽의 실과 상기 리저버실을 접속하는 제3 통로와,
    상기 다른 쪽의 실과 상기 리저버실을 획정하는 베이스 밸브와,
    상기 제3 통로의 작동액의 흐름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조정하는 감쇠력 조정 기구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통로 및 상기 제2 통로는 상기 베이스 밸브에 마련되는 것인 완충기.
  6.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마련되고, 상기 실린더 내를 2실로 나누는 피스톤과,
    일단측이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며 타단측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2실 중의 한쪽의 실로부터 작동 유체가 유출되는 제1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디스크와,
    상기 실린더의 외주측에 마련되는 바닥을 갖는 통형의 외통과,
    상기 외통의 바닥부에 마련되어 상기 외통 및 상기 실린더의 사이의 실과 상기 한쪽의 실을 구획하는 베이스 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밸브에는,
    상기 제1 통로와 병렬로 마련되는 제2 통로와,
    상기 제2 통로에 마련되고, 상기 피스톤의 주파수에 따라 감쇠력을 가변으로 하는 주파수 감응 기구가 마련되고,
    상기 주파수 감응 기구는 상기 베이스 밸브의 상기 바닥부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인 완충기.
KR1020237005435A 2020-10-09 2021-09-21 완충기 KR202300385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71046 2020-10-09
JPJP-P-2020-171046 2020-10-09
PCT/JP2021/034555 WO2022075055A1 (ja) 2020-10-09 2021-09-21 緩衝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567A true KR20230038567A (ko) 2023-03-20

Family

ID=81126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5435A KR20230038567A (ko) 2020-10-09 2021-09-21 완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49440A1 (ko)
JP (1) JP7412587B2 (ko)
KR (1) KR20230038567A (ko)
CN (1) CN116419858A (ko)
DE (1) DE112021005363T5 (ko)
WO (1) WO20220750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019925A (zh) * 2021-12-07 2024-05-10 日立安斯泰莫株式会社 缓冲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47661A (ja) 2015-09-04 2017-03-09 オムロン株式会社 転写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5340A (ja) * 1981-10-15 1983-04-19 Kayaba Ind Co Ltd 油圧緩衝器
JPS61109933A (ja) * 1984-10-31 1986-05-28 Kayaba Ind Co Ltd 油圧緩衝器
JP4902470B2 (ja) * 2007-09-14 2012-03-21 株式会社ショーワ 油圧緩衝器の減衰力調整構造
JP2009085245A (ja) * 2007-09-27 2009-04-23 Showa Corp 油圧緩衝器の減衰力調整構造
BR112018004699B1 (pt) 2015-09-14 2023-03-14 Hitachi Astemo, Ltd Amortecedor
JP6701242B2 (ja) * 2018-02-21 2020-05-27 Kyb株式会社 バルブおよび緩衝器
JP7076502B2 (ja) 2020-07-01 2022-05-27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基地局、通信方法、集積回路、および端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47661A (ja) 2015-09-04 2017-03-09 オムロン株式会社 転写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12587B2 (ja) 2024-01-12
JPWO2022075055A1 (ko) 2022-04-14
CN116419858A (zh) 2023-07-11
WO2022075055A1 (ja) 2022-04-14
US20230349440A1 (en) 2023-11-02
DE112021005363T5 (de) 202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642B1 (ko)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CA2630100C (en) Shock absorber
JP5684925B2 (ja) 緩衝器
US8157065B2 (en) Shock absorber
JP7224383B2 (ja) 緩衝器
JP6078635B2 (ja) 緩衝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両
KR102523320B1 (ko) 완충기
JP2014194259A (ja) 緩衝器
KR20230038567A (ko) 완충기
JP2010151301A (ja) 減衰力可変ダンパ
JP2020034068A (ja) 流体圧緩衝器
JP7109293B2 (ja) 緩衝器
JP6800056B2 (ja) 緩衝器
CN112360913B (zh) 液压阻尼器和用于液压阻尼器组件的活塞
JP7470076B2 (ja) バルブおよび緩衝器
JP7330384B2 (ja) 緩衝器
WO2022075056A1 (ja) 緩衝器
US20240151290A1 (en) Shock absorber and frequency sensitive mechanism
US20230272835A1 (en) Shock absorber
WO2024116546A1 (ja) 緩衝器および減衰力発生機構
JP7154166B2 (ja) 緩衝器
US20220065321A1 (en) Shock absorber
CN117916489A (zh) 缓冲器
JP2013204779A (ja) 緩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