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7964A -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7964A
KR20230037964A KR1020210121136A KR20210121136A KR20230037964A KR 20230037964 A KR20230037964 A KR 20230037964A KR 1020210121136 A KR1020210121136 A KR 1020210121136A KR 20210121136 A KR20210121136 A KR 20210121136A KR 20230037964 A KR20230037964 A KR 20230037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nstallation step
loess
coupl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화
Original Assignee
이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화 filed Critical 이정화
Priority to KR1020210121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7964A/ko
Publication of KR20230037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9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04F13/0887Adhesiv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adhesive foils or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ceramics or clays

Abstract

본 발명은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측부프레임을 벽면의 양측에 각각 결합시키는 측부프레임 설치단계와, 분할프레임을 상기 벽면에 결합시켜 상기 벽면을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프레임 설치단계와, 다수의 보조프레임을 상기 하부영역에 결합시켜 보조프레임 조립체를 형성시키는 보조프레임 설치단계와, 상기 보조프레임 조립체의 전면에 하나 이상의 외장패널을 결합시키는 외장패널 설치단계를 선택된 순서로 진행하는 1차 벽면 구조물 설치단계와, 상단과 하단에 결합홈이 형성된 황토블록을 상기 분할프레임의 상단에 다단으로 적층 결합시켜 상기 상부영역의 전방을 커버하는 황토블록 설치단계와, 상기 황토블록이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부프레임을 상기 상부영역의 상측에 결합시키는 상부프레임 설치단계를 선택된 순서로 진행하는 2차 벽면 구조물 설치단계 및, 수직마감패널을 상기 측부프레임의 전면에 각각 결합시키는 수직마감패널 설치단계와, 수평마감패널을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면과 상기 분할프레임의 전면과 상기 외장패널의 하단측 전면에 각각 결합시키는 수평마감패널 설치단계를 선택된 순서로 진행하는 3차 벽면 구조물 설치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Loess Block For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본 발명은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또는 실외측 벽면에 황토블록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황토에는 각종 천연광물이 함유되어 있어 원적외선이 방출된다는 보고에 힘입어 황토를 이용한 황토벽돌, 황토판재 이들을 이용한 황토방 구조물들이 여러 곳에서 인기리에 축조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황토방 구조물은 인체에 이로운 원적외선을 다량으로 방출시키는데, 원적외선은 침투력이 높은 특성을 갖고 침투된 곳에서 자기발열을 일으키는 특성을 가지므로 사용자의 혈액순환을 활성화시킬 수 있고,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건강을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황토방 구조물은 실내측 벽면 등에 황토를 일정 넓이로 미장하는 과정을 필요로 하므로 시공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고, 미장 후 건조하는 과정에서 황토의 표면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변형될 염려가 있어 황토 벽면의 시공 품질이 균일하지 않았으며, 황토 벽면의 균열 및 변형 등이 발생하는 경우 주기적인 관리를 필요로 하므로 유지관리의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9120호(2005년 10월 13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황토방 설치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또는 실외측 벽면에 황토블록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은 측부프레임을 벽면의 양측에 각각 결합시키는 측부프레임 설치단계와, 분할프레임을 상기 벽면에 결합시켜 상기 벽면을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프레임 설치단계와, 다수의 보조프레임을 상기 하부영역에 결합시켜 보조프레임 조립체를 형성시키는 보조프레임 설치단계와, 상기 보조프레임 조립체의 전면에 하나 이상의 외장패널을 결합시키는 외장패널 설치단계를 선택된 순서로 진행하는 1차 벽면 구조물 설치단계와, 상단과 하단에 결합홈이 형성된 황토블록을 상기 분할프레임의 상단에 다단으로 적층 결합시켜 상기 상부영역의 전방을 커버하는 황토블록 설치단계와, 상기 황토블록이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부프레임을 상기 상부영역의 상측에 결합시키는 상부프레임 설치단계를 선택된 순서로 진행하는 2차 벽면 구조물 설치단계 및, 수직마감패널을 상기 측부프레임의 전면에 각각 결합시키는 수직마감패널 설치단계와, 수평마감패널을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면과 상기 분할프레임의 전면과 상기 외장패널의 하단측 전면에 각각 결합시키는 수평마감패널 설치단계를 선택된 순서로 진행하는 3차 벽면 구조물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황토블록 설치단계는 상기 황토블록을 상기 분할프레임의 상단을 따라 적층시키는 1차 적층단계와, 좌우로 길이를 갖는 고정바의 하단을 상기 황토블록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에 안착시킨 후 상기 고정바를 상기 상부영역에 결합시키는 고정바 결합단계 및, 상기 황토블록을 추가 적층시켜 상기 고정바의 상단을 상기 황토블록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에 삽입시키는 2차 적층단계가 1회 이상 반복될 수 있다.
또한, 하단이 상기 고정바의 폭방향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고, 체결홀이 형성된 상단이 상기 상부영역에 밀착되는 고정클립 및, 상기 체결홀의 전방을 통해 상기 상부영역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마감패널 설치단계에서 상기 수직마감패널은 측부의 제1걸림단이 상기 측부프레임의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황토블록의 측부와 상기 외장패널의 측부를 전방에서 걸림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마감패널 설치단계의 상기 수평마감패널은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고, 하부의 제2걸림단이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황토블록의 상부를 전방에서 걸림 위치시키는 제1수평마감패널과, 상기 분할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부와 하부의 제3걸림단이 상기 분할프레임의 상부와 하부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황토블록의 하부와 상기 외장패널의 상부를 전방에서 걸림 위치시키는 제2수평마감패널 및, 상기 외장패널의 하단측 전면에 결합되는 제3수평마감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은 다수의 수직보조프레임과 수평보조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프레임 설치단계는 상기 수직보조프레임을 상기 하부영역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결합시키는 수직보조프레임 결합단계 및, 상기 수직보조프레임과 직교하도록 상기 수평보조프레임을 상기 하부영역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결합시켜 상기 보조프레임 조립체를 형성시키는 수평보조프레임 결합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은 측부프레임을 벽면의 양측에 각각 결합시키는 측부프레임 설치단계와, 하부프레임을 상기 벽면의 하측에 결합시키는 하부프레임 설치단계와, 상기 벽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를 선택된 순서로 진행하는 1차 벽면 구조물 설치단계와, 상단과 하단에 결합홈이 형성된 황토블록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단에 다단으로 적층 결합시켜 상기 벽면의 전방을 커버하는 황토블록 설치단계와, 상기 황토블록이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부프레임을 상기 벽면의 상측에 결합시키는 상부프레임 설치단계를 선택된 순서로 진행하는 2차 벽면 구조물 설치단계와, 상기 벽면의 전방에서 상기 황토블록의 사이 간격에 줄눈부재를 도포하는 줄눈부재 도포단계 및, 상기 황토블록의 전면에 코팅부재를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코팅층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황토블록 설치단계는 상기 황토블록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단을 따라 적층시키는 1차 적층단계와, 좌우로 길이를 갖는 고정바의 하단을 상기 황토블록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에 안착시킨 후 상기 고정바를 상기 벽면에 결합시키는 고정바 결합단계 및, 상기 황토블록을 추가 적층시켜 상기 고정바의 상단을 상기 황토블록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에 삽입시키는 2차 적층단계가 1회 이상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내 또는 실외측 벽면에 황토블록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황토블록의 결합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으며, 황토블록의 조립 및 해체 과정이 단순하므로 시공 및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황토블록 설치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보조프레임 설치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단열부재 설치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측부프레임 설치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분할프레임 설치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보조프레임 설치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외장패널 설치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에서 황토블록 설치단계의 1차 적층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에서 황토블록 설치단계의 고정바 결합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황토블록과 고정바와 고정클립 및 체결부재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에서 황토블록 설치단계의 2차 적층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에서 황토블록 설치단계의 2차 적층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에서 황토블록 설치단계의 고정바 결합단계가 반복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에서 황토블록의 설치를 완료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상부프레임 설치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에서 상부프레임의 설치를 완료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수직마감패널 설치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수평마감패널 설치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에서 수직마감패널과 수평마감패널의 설치를 완료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에서 수직마감패널과 수평마감패널의 설치를 완료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하부프레임 설치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에서 황토블록 설치단계의 1차 적층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에서 황토블록 설치단계의 고정바 결합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에서 황토블록 설치단계의 2차 적층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상부프레임 설치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줄눈부재 도포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코팅층 형성계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황토블록 설치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보조프레임 설치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단열부재 설치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측부프레임 설치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분할프레임 설치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보조프레임 설치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외장패널 설치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에서 황토블록 설치단계의 1차 적층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에서 황토블록 설치단계의 고정바 결합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황토블록과 고정바와 고정클립 및 체결부재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에서 황토블록 설치단계의 2차 적층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에서 황토블록 설치단계의 2차 적층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에서 황토블록 설치단계의 고정바 결합단계가 반복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에서 황토블록의 설치를 완료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상부프레임 설치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에서 상부프레임의 설치를 완료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수직마감패널 설치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수평마감패널 설치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에서 수직마감패널과 수평마감패널의 설치를 완료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에서 수직마감패널과 수평마감패널의 설치를 완료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한편,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하부프레임 설치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에서 황토블록 설치단계의 1차 적층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에서 황토블록 설치단계의 고정바 결합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에서 황토블록 설치단계의 2차 적층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상부프레임 설치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줄눈부재 도포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의 코팅층 형성계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은 측부프레임 설치단계(S100)와, 분할프레임 설치단계(S200)와, 보조프레임 설치단계(S300)와, 외장패널 설치단계(S400)가 선택된 순서로 진행되는 1차 벽면 구조물 설치단계(S1)와, 황토블록 설치단계(S500)와, 상부프레임 설치단계(S600)가 선택된 순서로 진행되는 2차 벽면 구조물 설치단계(S2) 및, 수직마감패널 설치단계(S700) 및, 수평마감패널 설치단계(S800)가 선택된 순서로 진행되는 3차 벽면 구조물 설치단계(S3)를 포함한다.
먼저, 측부프레임 설치단계(S100)는 도 1과 5에서처럼 상하로 길이를 갖는 측부프레임(100)을 벽면(10)의 좌우 방향에 각각 결합시키는 과정으로, 수직한 실내측 벽면(10) 또는 실외측 벽면(10)에 측부프레임(100)의 일면을 수직하게 결합시킨다. 이때 벽면(10)에 결합된 한 쌍의 측부프레임(100)은 좌우 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측부프레임(100)들의 사이 간격을 통해 벽면(10)이 노출된다.
여기서, 측부프레임(100)은 상하와 좌우 방향에 모서리가 형성된 직사각형 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측부프레임(100)의 상하 및 좌우 폭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나사 등)를 이용해 벽면(10)에 고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측부프레임(100)의 결합 방식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측부프레임(100)은 목재(편백나무 등)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측부프레임(100)들은 벽면(10)의 높이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분할프레임 설치단계(S200)는 도 1과 6에서처럼 좌우로 길이를 갖는 분할프레임(201)을 벽면(10)에 결합시키는 과정으로, 분할프레임(201)은 측부프레임(100)들의 사이 간격에 수평하게 위치되어 벽면(10)을 상부영역(S1)과 하부영역(S2)으로 분할하고, 분할프레임(201)의 길이방향 양측이 1측부프레임(100)들의 일측과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분할프레임(201)은 상하와 좌우 방향에 모서리가 형성된 직사각 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분할프레임(201)의 상하 및 좌우 폭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나사 등)를 이용해 벽면(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분할프레임(201)은 목재(편백나무 등)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은 도 1과 4에서처럼 측부프레임 설치단계(S100)의 이전에 단열부재 설치단계(S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측부프레임 설치단계(S100)의 측부프레임(100)들은 단열부재(2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단열부재(20)는 별도의 체결부재, 접착제 등에 의해 벽면(10)에 부착될 수 있으나, 단열부재(20)의 결합 방식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열손실이나 열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 소재(우레탄 등)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단열부재(20)의 형상, 면적, 두께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보조프레임 설치단계(S300)는 도 1과 7에서처럼 상하로 길이를 갖는 수직보조프레임(310)과 좌우로 길이를 갖는 수평보조프레임(320)을 하부영역(S2)에 결합시켜 보조프레임 조립체(300)를 형성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프레임 설치단계(S300)는 7에서처럼 다수의 수직보조프레임(310)을 하부영역(S2)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결합시키는 수직보조프레임 결합단계(S310) 및, 수직보조프레임(310)과 직교하도록 다수의 수평보조프레임(320)을 하부영역(S2)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결합시켜 보조프레임 조립체를 형성시키는 수평보조프레임 결합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보조프레임 결합단계(S310)는 수직보조프레임(310)을 하부영역(S2)의 양측에 2개를 수직하게 설치하고, 2개의 수직보조프레임(310) 사이에 1개의 수직 보조프레임(310)을 수직하게 설치할 수 있으나, 수직보조프레임(310)들의 개수와 간격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때 좌우 방향에 위치된 수직보조프레임(310)의 일측은 측부프레임(100)의 일측과 수직하게 밀착될 수 있다.
수직보조프레임(310)은 상하와 좌우 방향에 모서리가 형성된 직사각 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수직보조프레임(310)의 상하 및 좌우 폭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나사 등)를 이용해 벽면(10)의 하부영역(S2)에 결합시킬 수 있으나 수직보조프레임(310)은 다양한 결합 방식을 이용해 하부영역(S2)의 전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보조프레임(310)은 목재(편백나무 등)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수직보조프레임(310)은 후술될 수평보조프레임(32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격자 형상의 보조프레임 조립체를 형성한다.
수평보조프레임(320)은 상하와 좌우 방향에 모서리가 형성된 직사각형 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수평보조프레임(320)의 상하 및 좌우 폭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나사 등)를 이용해 벽면(10)의 하부영역(S2)에 결합시킬 수 있으나 수평보조프레임(320)은 다양한 결합 방식을 이용해 하부영역(S2)의 전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수평보조프레임(320)은 목재(편백나무 등)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수직보조프레임(310)은 후술될 수평보조프레임(32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격자 형상의 보조프레임 조립체를 형성하며, 수평보조프레임(320)과 수직보조프레임(310)은 동일 평면상에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외장패널 설치단계(S400)는 도 1과 8에서처럼 보조프레임 조립체의 전면에 하나 이상의 외장패널(400)을 결합시켜 하부영역(S2)의 전방을 커버한다. 외장패널(400)은 목재(편백나무 등)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외장패널(400)은 상하로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패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외장패널(400)의 상하 및 좌우 폭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나사 등)를 이용해 수직보조프레임(310)과 수평보조프레임(320)에 결합시킬 수 있으나 외장패널(400)은 다양한 결합 방식을 이용해 수직보조프레임(310)과 수평보조프레임(320)의 전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외장패널(400)은 하부영역(S2)의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배열될 수 있고, 외장패널(400)의 측부가 밀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하부영역(S2)의 좌우측에 설치된 외장패널(400)들은 일측이 측부프레임(100)들의 일측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고, 외장패널(400)들의 상단은 분할프레임(201)의 하단과 밀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외장패널(400)의 상하 및 좌우 폭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외장패널(400)의 외면에는 다양한 미감을 표현하기 위한 형상(음각, 양각 등)이 표현될 수 있고, 외장패널(400)의 전면에 그림 등의 인쇄층(그림, 글씨, 무늬 등)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외장패널(400)을 직사각형 패널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황토블록 설치단계(S500)는 도 1, 2, 9 내지 15에서처럼 황토블록(500)을 분할프레임(201)의 상단에 다수의 층으로 적층 결합시켜 상부영역(S1)의 전방을 커버한다.
황토블록(500)은 황토를 이용해 블록 형태로 제작한 것으로, 황토블록(500)는 상하와 좌우 방향에 모서리가 형성된 사각형, 직사각형 등의 블록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황토블록(500)이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개수 및 폭과,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개수 및 폭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황토블록(500)의 상단과 하단에는 후술될 고정바(600)를 결합시키기 위해 결합홈(510)이 오목하게 각각 형성된다. 결합홈(510)은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결합홈(510)의 길이방향은 황토블록(500)의 좌우 방향으로 개방된다. 결합홈(510)의 바닥면은 폭방향으로 오목한 곡률을 형성할 수 있으나 결합홈(51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황토블록(500)의 내부에는 좌우로 관통된 관통홀(520)이 형성될 수 있고, 관통홀(520)은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즉 황토블록(500)의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므로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황토블록(500)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외부의 소음이 벽면(1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통홀(520)에 의해 통기성이 확보되므로 황토블록(500) 제조시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황토블록(500)의 휨과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토블록 설치단계(S500)는 황토블록(500)을 분할프레임(201)의 상단을 따라 적층시키는 1차 적층단계(S510)와, 좌우로 길이를 갖는 고정바(600)의 하단을 황토블록(500)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홈(510)에 안착시킨 후 고정바(600)를 상부영역(S1)에 결합시키는 고정바 결합단계(S520) 및, 황토블록(500)을 추가 적층시켜 고정바(600)의 상단을 황토블록(500)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홈(510)에 삽입시키는 2차 적층단계(S520)가 1회 이상 반복될 수 있다.
1차 적층단계(S510)는 도 9에서처럼 분할프레임(201)의 상단에 황토블록(500)을 1열로 적층시키고, 분할프레임(201)의 좌우 방향을 따라 동일 높이로 배열할 수 있으며, 황토블록(500)이 배열되는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때 황토블록(500)의 상단은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고, 황토블록(500)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홈(510)이 좌우 방향을 따라 동일 선상에서 연결될 수 있다.
고정바 결합단계(S520)는 도 10, 11, 13, 14에서처럼 좌우로 길이를 갖는 고정바(600)의 하단을 1열로 배열된 황토블록(500)들의 결합홈(510)에 대응되게 안착시킨 후, 고정바(600)를 상부영역(S1)의 전면에 고정적으로 결합시킨다. 이때 고정바(600)의 상단은 황토블록(500)의 상단으로 돌출되고, 고정바(600)의 상단은 2차 적층단계(S520)에서 적층되는 황토블록(500)의 결합홈(510)에 대응되게 삽입된다.
여기서, 고정바(600)는 스테인레스(stainless), 알루미늄(Aluminum) 등의 금속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고, 고정바(600)의 폭방향은 결합홈(510)에 대응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고정바(60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고정바(600)의 외면에는 황토블록(500)들의 사이 간격(G)으로 노출시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도료(페인트 등)가 도포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바(600)는 고정클립(610) 및 체결부재(620)에 의해 상부영역(S1)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클립(610)은 하단이 고정바(600)의 폭방향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고, 체결홀(611)이 형성된 상단이 상부영역(S1)의 전면에 밀착되며, 고정바(6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고정클립(610)은 고정바(600)의 폭방향을 감싼 후 양단을 상부영역(S1)의 전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벤딩 변형이 가능하도록 스테인레스(stainless), 알루미늄(Aluminum) 등의 금속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나, 고정클립(610)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체결부재(620)는 체결홀(611)의 전방을 통해 상부영역(S1)에 결합되고,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상부영역(S1)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620)의 전단에 형성된 나사부를 체결홀(611)을 통해 상부영역(S1)에 결합시키고, 체결부재(620)의 후단에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 머리부가 고정클립(610)의 전면과 밀착된 상태로 걸림 위치될 수 있다.
2차 적층단계(S520)는 도 12에서처럼 분할프레임(201)의 상단에 1열로 적층된 황토블록(500)의 상단에 황토블록(500)을 추가로 적층시키는 과정으로, 1층에 적층된 황토블록(500)의 상부에 황토블록(500)을 1열로 적층시키고, 2층에 적층된 황토블록(500)은 좌우 방향을 따라 동일 높이로 배열할 수 있으며, 2층에 적층된 황토블록(500)이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때 2층에 적층된 황토블록(500)의 상단은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고, 황토블록(500)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홈(510)이 좌우 방향을 따라 동일 선상에서 연결될 수 있다.
즉, 1차 적층단계(S510)와 고정바 결합단계(S520) 및 2차 적층단계(S520)를 1회 이상 반복하여 황토블록(500)을 상부영역(S1)의 전면에 다수의 층으로 설치할 수 있고, 황토블록(500)들이 고정빔(60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황토블록(500)은 벽면(10)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인체에 이로운 원적외선 등이 실내 또는 실외에 다량으로 방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프레임 설치단계(S600)는 도 1과 16 및 17에서처럼 좌우로 길이를 갖는 상부프레임(700)을 상부영역(S1)의 상측에 결합시켜 황토블록(500)의 상단에 위치시킨다. 상부프레임(700)은 상하와 좌우 방향에 모서리가 형성된 직사각 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부프레임(700)의 상하 및 좌우 폭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나사 등)를 이용해 상부영역(S1)의 전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700)은 목재(편백나무 등)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상부프레임(700)의 하단이 최상층에 위치된 황토블록(500)의 상단과 밀착될 수 있으며, 상부프레임(700)의 길이방향 양측이 측부프레임(100)들의 일측과 밀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직마감패널 설치단계(S700)는 도 1과 18에서처럼 상하로 길이를 갖는 수직마감패널(800)을 측부프레임(100)의 전면에 각각 결합시키는 과정으로, 수직마감패널(800)들은 상하와 좌우 방향에 모서리가 형성된 직사각형 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하 및 좌우 폭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나사 등)를 이용해 측부프레임(100)들의 전면에 각각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수직마감패널(800)들은 목재(편백나무 등)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수직마감패널(800)들의 길이방향은 측부프레임(100)의 길이방향과 동일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수직마감패널(800)은 측부의 제1걸림단(810)이 측부프레임(100)의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황토블록(500)의 측부와 외장패널(400)의 측부를 전방에서 걸림 위치시킨다.
즉, 수직마감패널(800)의 제1걸림단(810)이 황토블록(500)의 측부와 외장패널(400)의 측부를 전방에서 걸림 위치시키므로, 황토블록(500)과 외장패널(400)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측부프레임(100)과 황토블록(500) 및 측부프레임(100)과 외장패널(400)의 사이 구간이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아 심플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으며, 측부프레임(100)과 황토블록(500) 및 측부프레임(100)과 외장패널(400)의 사이 구간에 이물질 등이 유입되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최종적으로, 수평마감패널 설치단계(S800)는 도 1과 19에서처럼 좌우로 길이를 갖는 수평마감패널(910)(920)을 상부프레임(700)의 전면과 분할프레임(201)의 전면과 외장패널(400)의 하단측 전면에 각각 결합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마감패널(900)은 상부프레임(700)의 전면에 결합되고, 하부의 제2걸림단(911)이 상부프레임(700)의 하부로 돌출되어 황토블록(500)의 상부를 전방에서 걸림 위치시키는 제1수평마감패널(910)과, 분할프레임(201)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부와 하부의 제3걸림단(921)이 분할프레임(201)의 상부와 하부로 각각 돌출되어 황토블록(500)의 하부와 외장패널(400)의 상부를 전방에서 걸림 위치시키는 제2수평마감패널(920) 및, 외장패널(400)의 하단측 전면에 결합되는 제3수평마감패널(9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수평마감패널(910)은 상하와 좌우 방향에 모서리가 형성된 직사각형 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하 및 좌우 폭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나사 등)를 이용해 상부프레임(700)의 전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수평마감패널(910)은 목재(편백나무 등)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제1수평마감패널(910)의 길이방향은 상부프레임(700)의 길이방향과 동일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제1수평마감패널(910)은 하부의 제2걸림단(911)이 상부프레임(700)의 하부로 돌출되어 최상층에 위치된 황토블록(500)의 상단은 전방에서 걸림 위치시킨다.
즉, 제1수평마감패널(910)의 제2걸림단(911)이 황토블록(500)의 상부를 전방에서 걸림 위치시키므로, 다단으로 적층 결합된 황토블록(500)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부프레임(700)과 황토블록(500)의 사이 구간에 이물질 등이 유입되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제2수평마감패널(920)은 상하와 좌우 방향에 모서리가 형성된 직사각형 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하 및 좌우 폭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나사 등)를 이용해 분할프레임(201)의 전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수평마감패널(920)은 목재(편백나무 등)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제2수평마감패널(920)의 길이방향은 분할프레임(201)의 길이방향과 동일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제2수평마감패널(920)은 상부와 하부의 제3걸림단(921)이 분할프레임(201)의 상부와 하부로 각각 돌출되어 최하층에 위치된 황토블록(500)의 하단과 외장패널(400)의 상단을 전방에서 걸림 위치시킨다.
즉, 제2수평마감패널(920)의 제3걸림단(921)이 상부영역(S1)과 하부영역(S2)으로 각각 돌출되어 황토블록(500)의 하단과 외장패널(400)의 상단을 전방에서 걸림 위치시키므로, 황토블록(500)과 와장패널(400)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분할프레임(201)과 황토블록(500)의 사이 구간 및 분할프레임(201)과 외장패널(400)의 사이 구간에 이물질 등이 유입되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제3수평마감패널(930)은 상하와 좌우 방향에 모서리가 형성된 직사각형 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하 및 좌우 폭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나사 등)를 이용해 외장패널(400)의 전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제3수평마감패널(930)은 목재(편백나무 등)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제3수평마감패널(930)은 하부영역(S2)의 하측에 수평하게 위치되고, 제2수평마감패널(910)과 제1수평마감패널(920) 및 제3수평마감패널(930)은 폭방향이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으며, 제3수평마감패널(930)의 하단은 벽면(10)의 하부 바닥면에 수평하게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수평마감패널(930)이 바닥면과 밀착된 상태로 위치되므로 바닥 청소시 청소도구와 접촉되는 걸레받이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즉, 제3수평마감패널(930)이 외장패널(400)과 바닥면 사이 구간에 위치되므로, 외장패널(400)의 하단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장패널(400)들의 폭방향을 상호 연결시키므로 외장패널(400)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2 내지 29를 참조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은 측부프레임 설치단계(S120)와, 하부프레임 설치단계(S130)와, 접착제 도포단계(S140)가 선택된 순서로 진행되는 1차 벽면 구조물 설치단계(S10)와, 황토블록 설치단계(S150)와, 상부프레임 설치단계(S160)가 선택된 순서로 진행되는 2차 벽면 구조물 설치단계(S20)와, 줄눈부재 도포단계(S170) 및, 코팅층 형성단계(S180)를 포함한다.
먼저, 측부프레임 설치단계(S120)는 상하로 길이를 갖는 측부프레임(100)을 벽면(10)의 좌우 방향에 각각 결합시키는 과정으로, 수직한 실내측 벽면(10) 또는 실외측 벽면(10)에 측부프레임(100)의 일면을 수직하게 결합시킨다. 이때 벽면(10)에 결합된 한 쌍의 측부프레임(100)은 좌우 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측부프레임(100)들의 사이 간격을 통해 벽면(10)이 노출된다.
여기서, 측부프레임(100)은 상하와 좌우 방향에 모서리가 형성된 직사각형 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측부프레임(100)의 상하 및 좌우 폭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나사 등)를 이용해 벽면(10)에 고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측부프레임(100)의 결합 방식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측부프레임(100)은 목재(편백나무 등)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측부프레임(100)들은 벽면(10)의 높이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하부프레임 설치단계(S130)는 도 23에서처럼 좌우로 길이를 갖는 하부프레임(202)을 벽면(10)의 하측에 결합시키는 과정으로, 하부할프레임(202)은 측부프레임(100)들의 사이 간격에 수평하게 위치되고, 하부프레임(202)의 길이방향 양측이 측부프레임(100)들의 일측과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프레임(202)은 상하와 좌우 방향에 모서리가 형성된 직사각 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하부프레임(202)의 상하 및 좌우 폭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나사 등)를 이용해 벽면(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프레임(202)은 목재(편백나무 등)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은 도 1에서처럼 측부프레임 설치단계(S120)의 이전에 단열부재 설치단계(S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측부프레임 설치단계(S120)의 측부프레임(100)들은 단열부재(2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단열부재(20)는 별도의 체결부재, 접착제 등에 의해 벽면(10)에 부착될 수 있으나, 단열부재(20)의 결합 방식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열손실이나 열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 소재(우레탄 등)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단열부재(20)의 형상, 면적, 두께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접착제 도포단계(S140)는 벽면(10)에 접착제(미도시)를 일정 넓이와 두께로 도포하는 과정으로, 접착제는 후술 될 황토블록(500)을 벽면(10)에 부착시킬 수 있는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벽면(10)에 단열부재(20)를 부착시키는 경우 접착제는 단열부재(20)의 전면에 도포될 수 있다.
다음으로, 황토블록 설치단계(S150)는 도 24 내지 26에서처럼 황토블록(500)을 하부프레임(202)의 상단에 다수의 층으로 적층 결합시켜 벽면(10)의 전방을 순차적으로 커버한다.
황토블록(500)은 황토를 이용해 블록 형태로 제작한 것으로, 황토블록(500)는 상하와 좌우 방향에 모서리가 형성된 사각형, 직사각형 등의 블록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황토블록(500)이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개수 및 폭과,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개수 및 폭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황토블록(500)의 상단과 하단에는 후술될 고정바(600)를 결합시키기 위해 결합홈(510)이 오목하게 각각 형성된다. 결합홈(510)은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결합홈(510)의 길이방향은 황토블록(500)의 좌우 방향으로 개방된다. 결합홈(510)의 바닥면은 폭방향으로 오목한 곡률을 형성할 수 있으나 결합홈(51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황토블록(500)의 내부에는 좌우로 관통된 관통홀(520)이 형성될 수 있고, 관통홀(520)은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즉 황토블록(500)의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므로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황토블록(500)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외부의 소음이 벽면(1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통홀(520)에 의해 통기성이 확보되므로 황토블록(500) 제조시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황토블록(500)의 휨과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토블록 설치단계(S150)는 황토블록(500)을 하부프레임(202)의 상단을 따라 적층시키는 1차 적층단계와, 좌우로 길이를 갖는 고정바(600)의 하단을 황토블록(500)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홈(510)에 안착시킨 후 고정바(600)를 벽면(10)에 결합시키는 고정바 결합단계 및, 황토블록(500)을 추가 적층시켜 고정바(600)의 상단을 황토블록(500)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홈(510)에 삽입시키는 2차 적층단계가 1회 이상 반복될 수 있다.
1차 적층단계는 도 24에서처럼 하부프레임(202)의 상단에 황토블록(500)을 1열로 적층시키고, 하부프레임(202)의 좌우 방향을 따라 동일 높이로 배열할 수 있으며, 황토블록(500)이 배열되는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때 황토블록(500)의 상단은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고, 황토블록(500)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홈(510)이 좌우 방향을 따라 동일 선상에서 연결될 수 있다.
고정바 결합단계는 도 25에서처럼 좌우로 길이를 갖는 고정바(600)의 하단을 1열로 배열된 황토블록(500)들의 결합홈(510)에 대응되게 안착시킨 후, 고정바(600)를 벽면(10)에 고정적으로 결합시킨다. 이때 고정바(600)의 상단은 황토블록(500)의 상단으로 돌출되고, 고정바(600)의 상단은 2차 적층단계(S520)에서 적층되는 황토블록(500)의 결합홈(510)에 대응되게 삽입된다.
여기서, 고정바(600)는 스테인레스(stainless), 알루미늄(Aluminum) 등의 금속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고, 고정바(600)의 폭방향은 결합홈(510)에 대응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고정바(60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고정바(600)의 외면에는 황토블록(500)들의 사이 간격(G)으로 노출시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도료(페인트 등)가 도포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바(600)는 고정클립(610) 및 체결부재(620)에 의해 벽면(10)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클립(610)은 하단이 고정바(600)의 폭방향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고, 체결홀(611)이 형성된 상단이 벽면(10)에 밀착되며, 고정바(6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고정클립(610)은 고정바(600)의 폭방향을 감싼 후 양단을 벽면(10)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벤딩 변형이 가능하도록 스테인레스(stainless), 알루미늄(Aluminum) 등의 금속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나, 고정클립(610)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체결부재(620)는 체결홀(611)의 전방을 통해 벽면(10)에 결합되고,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벽면(1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620)의 전단에 형성된 나사부를 체결홀(611)을 통해 벽면(10)에 결합시키고, 체결부재(620)의 후단에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 머리부가 고정클립(610)의 전면과 밀착된 상태로 걸림 위치될 수 있다.
2차 적층단계는 도 26에서처럼 하부프레임(202)의 상단에 1열로 적층된 황토블록(500)의 상단에 황토블록(500)을 추가로 적층시키는 과정으로, 1층에 적층된 황토블록(500)의 상부에 황토블록(500)을 1열로 적층시키고, 2층에 적층된 황토블록(500)은 좌우 방향을 따라 동일 높이로 배열할 수 있으며, 2층에 적층된 황토블록(500)이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때 2층에 적층된 황토블록(500)의 상단은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고, 황토블록(500)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홈(510)이 좌우 방향을 따라 동일 선상에서 연결될 수 있다.
즉, 1차 적층단계와 고정바 결합단계 및 2차 적층단계를 1회 이상 반복하여 황토블록(500)을 벽면(10)에 다수의 층으로 설치할 수 있고, 황토블록(500)들이 고정빔(60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황토블록(500)은 벽면(10)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인체에 이로운 원적외선 등이 실내 또는 실외에 다량으로 방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프레임 설치단계(S160)는 도 27에서처럼 좌우로 길이를 갖는 상부프레임(700)을 벽면(10)의 상측에 결합시켜 황토블록(500)의 상단에 위치시킨다. 상부프레임(700)은 상하와 좌우 방향에 모서리가 형성된 직사각 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부프레임(700)의 상하 및 좌우 폭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나사 등)를 이용해 상부영역(S1)의 전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700)은 목재(편백나무 등)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상부프레임(700)의 하단이 최상층에 위치된 황토블록(500)의 상단과 밀착될 수 있으며, 상부프레임(700)의 길이방향 양측이 측부프레임(100)들의 일측과 밀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줄눈부재 도포단계(S170)는 도 28에서처럼 상부프레임 설치단계(S160)의 이후에 벽면(10)의 전방에서 황토블록(500)의 사이 간격(G)에 줄눈부재(30)를 도포하는 과정으로, 실외측 벽면(10)을 시공할 때 줄눈부재 도포단계(S170)가 진행될 수 있고, 최하층에 적층된 황토블록(500)과 하부프레임(202)의 사이 간격(G)에 줄눈부재(30)를 도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줄눈부재(30)는 모르타르(mortar), 실리콘(silicone) 등의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줄눈부재(30)에 의해 황토블록(500)과 하부프레임(202)의 사이 간격과 황토블록(500)들의 사이 간격(G)이 채워지므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황토블록(5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코팅층 형성단계(S180)는 도 29에서처럼 황토블록(500)의 전면에 코팅부재(40)를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과정으로, 벽면(10)에 다단으로 적층 결합된 황토블록(500)들의 전면에 코팅부재(40)를 전체적으로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고, 코팅부재(40)를 도포하는 영역은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코팅층 형성단계(S180)는 실외측 벽면(10)을 시공할 때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코팅부재(40)은 수분 등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소재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코팅부재(40)가 황토블록(500)의 외면을 보호하므로 수분 등의 침투에 의해 황토블록(500)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황토블록(500)들의 사이 간격(G)으로 이물질이 유입 및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실내 또는 실외측 벽면(10)에 황토블록(500)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황토블록(500)의 결합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으며, 황토블록(500)의 조립 및 해체 과정이 단순하므로 시공 및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벽면 20: 단열부재
30: 줄눈부재 40: 코팅부재
100: 측부프레임 201: 분할프레임
202: 하부프레임 310: 수직보조프레임
320: 수평보조프레임 400: 외장패널
500: 황토블록 510: 결합홈
520: 관통홀 600: 고정바
610: 고정클립 611: 체결홀
620: 체결부재 700: 상부프레임
800: 수직마감패널 810: 제1걸림단
910: 제1수평마감패널 911: 제2걸림단
920: 제2수평마감패널 921: 제3걸림단
930: 제3수평마감패널 S1: 상부영역
S2: 하부영역 G: 간격

Claims (8)

  1. 측부프레임을 벽면의 양측에 각각 결합시키는 측부프레임 설치단계와, 분할프레임을 상기 벽면에 결합시켜 상기 벽면을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프레임 설치단계와, 다수의 보조프레임을 상기 하부영역에 결합시켜 보조프레임 조립체를 형성시키는 보조프레임 설치단계와, 상기 보조프레임 조립체의 전면에 하나 이상의 외장패널을 결합시키는 외장패널 설치단계를 선택된 순서로 진행하는 1차 벽면 구조물 설치단계;
    상단과 하단에 결합홈이 형성된 황토블록을 상기 분할프레임의 상단에 다단으로 적층 결합시켜 상기 상부영역의 전방을 커버하는 황토블록 설치단계와, 상기 황토블록이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부프레임을 상기 상부영역의 상측에 결합시키는 상부프레임 설치단계를 선택된 순서로 진행하는 2차 벽면 구조물 설치단계; 및
    수직마감패널을 상기 측부프레임의 전면에 각각 결합시키는 수직마감패널 설치단계와, 수평마감패널을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면과 상기 분할프레임의 전면과 상기 외장패널의 하단측 전면에 각각 결합시키는 수평마감패널 설치단계를 선택된 순서로 진행하는 3차 벽면 구조물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블록 설치단계는,
    상기 황토블록을 상기 분할프레임의 상단을 따라 적층시키는 1차 적층단계와,
    좌우로 길이를 갖는 고정바의 하단을 상기 황토블록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에 안착시킨 후 상기 고정바를 상기 상부영역에 결합시키는 고정바 결합단계 및,
    상기 황토블록을 추가 적층시켜 상기 고정바의 상단을 상기 황토블록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에 삽입시키는 2차 적층단계가 1회 이상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하단이 상기 고정바의 폭방향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고, 체결홀이 형성된 상단이 상기 상부영역에 밀착되는 고정클립 및,
    상기 체결홀의 전방을 통해 상기 상부영역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마감패널 설치단계에서 상기 수직마감패널은,
    측부의 제1걸림단이 상기 측부프레임의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황토블록의 측부와 상기 외장패널의 측부를 전방에서 걸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마감패널 설치단계의 상기 수평마감패널은,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고, 하부의 제2걸림단이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황토블록의 상부를 전방에서 걸림 위치시키는 제1수평마감패널과,
    상기 분할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부와 하부의 제3걸림단이 상기 분할프레임의 상부와 하부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황토블록의 하부와 상기 외장패널의 상부를 전방에서 걸림 위치시키는 제2수평마감패널 및,
    상기 외장패널의 하단측 전면에 결합되는 제3수평마감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은,
    다수의 수직보조프레임과 수평보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프레임 설치단계는,
    상기 수직보조프레임을 상기 하부영역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결합시키는 수직보조프레임 결합단계 및,
    상기 수직보조프레임과 직교하도록 상기 수평보조프레임을 상기 하부영역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결합시켜 상기 보조프레임 조립체를 형성시키는 수평보조프레임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
  7. 측부프레임을 벽면의 양측에 각각 결합시키는 측부프레임 설치단계와, 하부프레임을 상기 벽면의 하측에 결합시키는 하부프레임 설치단계와, 상기 벽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를 선택된 순서로 진행하는 1차 벽면 구조물 설치단계;
    상단과 하단에 결합홈이 형성된 황토블록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단에 다단으로 적층 결합시켜 상기 벽면의 전방을 커버하는 황토블록 설치단계와, 상기 황토블록이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부프레임을 상기 벽면의 상측에 결합시키는 상부프레임 설치단계를 선택된 순서로 진행하는 2차 벽면 구조물 설치단계;
    상기 벽면의 전방에서 상기 황토블록의 사이 간격에 줄눈부재를 도포하는 줄눈부재 도포단계; 및
    상기 황토블록의 전면에 코팅부재를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코팅층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블록 설치단계는,
    상기 황토블록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단을 따라 적층시키는 1차 적층단계와,
    좌우로 길이를 갖는 고정바의 하단을 상기 황토블록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에 안착시킨 후 상기 고정바를 상기 벽면에 결합시키는 고정바 결합단계 및,
    상기 황토블록을 추가 적층시켜 상기 고정바의 상단을 상기 황토블록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에 삽입시키는 2차 적층단계가 1회 이상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
KR1020210121136A 2021-09-10 2021-09-10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 KR202300379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136A KR20230037964A (ko) 2021-09-10 2021-09-10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136A KR20230037964A (ko) 2021-09-10 2021-09-10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964A true KR20230037964A (ko) 2023-03-17

Family

ID=85872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136A KR20230037964A (ko) 2021-09-10 2021-09-10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79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7738B2 (en) Pre-cast concrete veneer system with insulation layer
US20180135309A1 (en) Panel veneer systems
US20110173909A1 (en) Modular stone panel
US9388583B2 (en) Building board and method of mounting
US8028481B2 (en) Caisson ceiling system
KR20230037964A (ko) 내외장재용 황토블록 시공방법
AU2003216789A1 (en) Modular flooring system with framed tiles
KR102277884B1 (ko) 목재블록벽체
KR101243606B1 (ko) 한옥 구조물의 누마루 시공방법
JP3867661B2 (ja) 吸音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40629B1 (ko) 건축물의 방음과 단열이 가능한 타일 적층식 단열구조물
RU2791831C1 (ru) Металлическая доска
KR200169879Y1 (ko) 건축용 목질판재
RU2721989C1 (ru)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деревянного здания
JP3203628U (ja) 木質化粧板
JP2011069044A (ja) 装飾面構築用タイル及びこれを用いた装飾面構成体、並びにこれを用いた装飾面の構築方法
CN2514059Y (zh) 复合式止水壁板结构
KR200481633Y1 (ko) 철골구조를 이용한 황토방
KR20230092479A (ko)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
JPH0960250A (ja) Alc外壁の改修構造
TWM639217U (zh) 格柵
KR200238514Y1 (ko)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
KR20110093152A (ko) 목조 주택의 단열 방법
KR200224373Y1 (ko) 건축용 목질판재
JP2001090327A (ja) 床仕上げ材、床仕上げ方法及びユニット建物の床仕上げ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