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3152A - 목조 주택의 단열 방법 - Google Patents

목조 주택의 단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3152A
KR20110093152A KR1020100013016A KR20100013016A KR20110093152A KR 20110093152 A KR20110093152 A KR 20110093152A KR 1020100013016 A KR1020100013016 A KR 1020100013016A KR 20100013016 A KR20100013016 A KR 20100013016A KR 20110093152 A KR20110093152 A KR 20110093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urethane
wooden house
insulation
insulat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봉
이국식
장길완
주대관
Original Assignee
김갑봉
장길완
주대관
이국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갑봉, 장길완, 주대관, 이국식 filed Critical 김갑봉
Priority to KR1020100013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3152A/ko
Publication of KR20110093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1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목조 주택의 단열 방법은 목조 주택의 벽체 및 지붕을 형성하기 위한 골조들에 외부 판넬을 부착 고정하는 과정 이후에, 실내 공간 측에서 상기 외부 판넬의 전면에 연질 우레탄을 발포하고 상기 연질 우레탄 상층으로 유리 섬유를 부착하는 과정을 연속 실시하고, 상기 골조들에 내부 판넬들을 고정하여 상기 외부 판넬 및 상기 내부 판넬들 사이 공간에 상기 연질 우레탄과 상기 유리 섬유가 조합된 단열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목조 주택 벽체의 외벽 및 내벽 사이의 공간에 우레탄 단열층 및 글라스울 단열층이 조합된 단열 구조를 형성하므로 목조 주택의 단열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목조 주택의 단열 방법{INSULATION PROCESS OF WOOD HOUSE}
본 발명은 목조 주택의 단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 효과가 향상될 수 있는 목조 주택의 단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삶의 질의 향상에 대한 욕구충족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목조 주택이 시공되고 있는 것인바, 이와 같은 목조 주택들은 목재의 형상에 따라 원주목 주택(log house)이나 각재목 주택(timber house) 또는 판재형태의 목조 주택으로 분류된다.
이들 목조 주택은 그 대부분이 주재료로서 통나무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통나무를 일정두께로 켠 판재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벽체의 구조가 단순히 다수의 통나무 원목을 조적하거나 일정두께의 판재를 이어 붙이는 식의 시공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벽체에 형성되는 틈새들로 인해 목조주택의 보온성이나 방음성 또는 방풍성은 현저히 나빠지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목조 주택의 시공시 벽체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보온성 및 방음성을 위해 내벽 및 외벽 사이의 공간에 글라스울을 채워서 목조 주택의 보온성 및 방음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목조 주택의 벽체 구조를 구성할 때 글라스울이 외벽 및 내벽과 그 사이에 구성되어 외벽 및 내벽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목재 지주가 연결 고정되는 틈새들에 완전히 채우는 것이 어려우므로 보온성 및 방음성이 향상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목조 주택의 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목조 주택의 단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목조 주택의 단열 방법은, 목조 주택의 벽체 및 지붕을 형성하기 위한 골조들에 외부 판넬을 부착 고정하는 과정 이후에, 실내 공간 측에서 상기 외부 판넬의 전면에 연질 우레탄을 발포하고 상기 연질 우레탄 상층으로 유리 섬유를 부착하는 과정을 연속 실시하고, 상기 골조들에 내부 판넬들을 고정하여 상기 외부 판넬 및 상기 내부 판넬들 사이 공간에 상기 연질 우레탄과 상기 유리 섬유가 조합된 단열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조 주택의 단열 방법에 의하면, 목조 주택 벽체의 외벽 및 내벽 사이의 공간에 우레탄 단열층 및 글라스울 단열층이 조합된 단열 구조를 형성하므로 목조 주택의 단열 효과가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목조 주택의 단열 방법에 의한 벽체 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목조 주택의 단열 방법에 의해 시공된 목조 주택의 벽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단면도.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목조 주택의 단열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목조 주택의 단열 방법에 의한 벽체 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목조 주택의 단열 방법에 의해 시공된 목조 주택의 벽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목조 주택의 단열 방법은, 목조 주택의 벽체 시공 및 지붕 시공과정에서 동시 적용되며, 이하에서는 벽체 시공 과정을 실시예로서 설명하도록 한다.
벽체 시공 과정은 목재 지주 설치 단계(101), 외벽 합판 고정 단계(102), 외벽 마감 단계(103), 우레탄 단열층 형성 단계(104), 글라스울 단열층 형성 단계(105), 내벽 형성 단계(106), 내벽 마감 단계(107)를 포함한다.
목재 지주 설치 단계(101)에서는 목조 주택이 시공되는 주택 시공 공간의 터파기 및 기초 옹벽 세우기 등의 과정으로 기초 토대가 완성되면 기초 토대의 외곽에 복수의 목재 지주(11)를 평행하게 세워서 목조 주택의 골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목재 지주(11)는 도 2와 같이 각진 형태의 두꺼운 각목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외곽 사방의 모서리에 세워지는 목재 지주(11)는 가장 두꺼운 것으로 세워질 수 있다.
외벽 합판 고정 단계(102)에서는 세워진 다수의 목재 지주(11)의 외측으로 외벽 합판(12)을 세워서 목재 지주(11)에 못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외벽 합판(12)으로는 직사각형 모양의 얇은 나무조각을 인체에 무해한 내수수지로 압착하여 강도와 밀도를 높인 판넬인 통상의 OSB(Oriented Strand Board)를 사용할 수 있다.
외벽 마감 단계(103)에서는 외벽 합판(12)의 외면에 방습지(13)를 부착한 후, 외벽 마감 부재(14)를 부착 고정한다.
외벽 마감 부재(14)로는 통상적으로 사이딩(Siding)이라 지칭되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이딩의 종류로는 우드 사이딩(Wood Siding), 시멘트 사이딩(Cement Siding)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사이딩 이외에 인조석 마감재 또는 적벽돌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방습지(13)는 통상 타이벡(Tyvek)이라 지칭되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외벽 합판(12) 외면 전체와 외벽 합판(12)들이 접하는 모서리 부분을 완전히 감싸도록 부착한다.
이하의 우레탄 단열층 형성 단계(104)와 글라스울 단열층 형성 단계(10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실시되는 목조 주택의 단열을 위한 과정으로서, 우레탄 단열층 형성 단계(104)에서는 마감 처리된 외벽의 외벽 합판(12) 내면에 연질 우레탄을 목재 지주(11)들 사이로 발포하여 연질 우레탄 단열층(15)을 형성시키며, 이때 연질 우레탄 단열층(15)의 두께는 75mm로 한다.
글라스울 단열층 형성 단계(105)에서는 우레탄 단열층 형성 단계(104)에서 형성된 우레탄 단열층(15) 상층으로 글라스울을 부착한다.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연질 우레탄 단열층(15)은 우레탄을 발포 형성하므로 그 표면은 고르지 못하고 돌출된 부위들이 형성되며, 글라스울은 어느 정도 부드러운 성질을 가지므로 연질 우레탄 단열층(15)에 글라스울을 부착하는 과정에서 우레탄 단열층(15) 표면의 돌출 부위들이 글라스울 표면에 밀착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우레탄 단열층(15)과 글라스울 단열층(16)은 매우 밀접하게 부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내벽 형성 단계(106)는 우레탄 단열층(15)과 글라스울 단열층(16)이 상호 부착 완료된 상태에서 실시하며, 글라스울 단열층(16) 측에서 목재 지주(11)들에 내벽 판넬, 즉 석고 보드(17)를 고정하여 목조 주택의 내벽을 형성한다.
내벽 마감 단계(107)에서는 석고 보드(17) 상에 내벽 마감재(18)를 사용하여 마감하는데, 실크 벽지 등을 도배하여 마감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루버(Louver)라 지칭되는 목재의 마감재를 석고 보드 상에 부착 고정하여 마감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목조 주택의 단열 공법에 의한 벽체 시공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이와 동일하게 지붕 시공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목조 주택의 단열 방법으로 시공된 목조 주택의 벽체 및 지붕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외벽 합판(12)과 내벽을 구성하는 석고 보드(17)의 사이 공간에 우레탄 단열층(15) 및 글라스울 단열층(16)이 조합된 단열 구조로 시공할 수 있으므로 단열 효과가 우수해질 수 있다.
11 : 목재 지주 12 : 외벽 합판
13 : 방습지 14 : 외벽 마감 부재
15 : 우레탄 단열층 16: 글라스울 단열층
17 : 석고 보드 18 : 내벽 마감재

Claims (1)

  1. 목조 주택의 단열 방법에 있어서,
    목조 주택의 벽체 및 지붕을 형성하기 위한 골조들에 외부 판넬을 부착 고정하는 과정 이후에,
    실내 공간 측에서 상기 외부 판넬의 전면에 연질 우레탄을 발포하고 상기 연질 우레탄 상층으로 유리 섬유를 부착하는 과정을 연속 실시하고, 상기 골조들에 내부 판넬들을 고정하여 상기 외부 판넬 및 상기 내부 판넬들 사이 공간에 상기 연질 우레탄과 상기 유리 섬유가 조합된 단열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주택의 단열 방법.
KR1020100013016A 2010-02-11 2010-02-11 목조 주택의 단열 방법 KR201100931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016A KR20110093152A (ko) 2010-02-11 2010-02-11 목조 주택의 단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016A KR20110093152A (ko) 2010-02-11 2010-02-11 목조 주택의 단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152A true KR20110093152A (ko) 2011-08-18

Family

ID=44929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016A KR20110093152A (ko) 2010-02-11 2010-02-11 목조 주택의 단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31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044A (ko) 2018-11-22 2020-05-29 주민서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044A (ko) 2018-11-22 2020-05-29 주민서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272B1 (ko) 건축용 조립식 복합 판넬 및 그 시공방법
US20110036048A1 (en) Building that uses composite light-weight panels for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0957494B1 (ko) 마감패널의 용이한 고정구조를 갖는 방수와 단열 및 방음벽체
KR100994783B1 (ko) 생태재료를 활용한 조립식 생태건축용 단위패널 및 이에 의한 생태건축물
JP2011256536A (ja) 木造建築物の外壁構造
RU150460U1 (ru) Быстровозводимое энергоэффективное мал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KR20110093152A (ko) 목조 주택의 단열 방법
JP2021059852A (ja) 建築用プラスチック板材の構造
KR20130110285A (ko) 건식 일체형 단열 벽체
RU134556U1 (ru) Соединение строительных стеновых блоков
RU94601U1 (ru)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KR20090132717A (ko) 벽체용 칸막이 및 그 시공방법
RU2422603C1 (ru)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перекрытия
RU169083U1 (ru) Каркас деревянного дома на основе конструктивных элементов
RU79903U1 (ru)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JP3686346B2 (ja) 外張り断熱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RU57771U1 (ru) Перекрытие,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перекрытия и элемент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перекрытия
JP4567529B2 (ja) 耐震補強断熱改修工法
KR20150117016A (ko) 컨테이너를 이용한 가설건물시공방법
JP7202210B2 (ja) 外壁のリフォーム方法
KR20130061340A (ko) 기밀성이 보강된 벽체
RU63823U1 (ru)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CN210342223U (zh) 一种装配式建筑
RU75205U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сипф"
RU162491U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