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0044A -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 - Google Patents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0044A
KR20200060044A KR1020180145525A KR20180145525A KR20200060044A KR 20200060044 A KR20200060044 A KR 20200060044A KR 1020180145525 A KR1020180145525 A KR 1020180145525A KR 20180145525 A KR20180145525 A KR 20180145525A KR 20200060044 A KR20200060044 A KR 20200060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sulation
supply unit
heat insulating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민서
Original Assignee
주민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민서 filed Critical 주민서
Priority to KR1020180145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0044A/ko
Publication of KR20200060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0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69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ventilating
    • E04B1/7092Temporary mechanical ventilation of damp layers, e.g. insulation of a floating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0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fillings for cavity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은, 단열 유닛(10) 내부의 단열재 변형 조건을 진단하여 단열 유닛(10)의 내부 공간(18)을 찾고, 내부 공간(18)으로 공구를 투입하도록 하는 단열 유닛(10)에 인렛 홀(22)을 형성시키며,
인렛 홀(22)을 통하여 내부 공간(18)으로 에어 공급 유닛(30)을 집어넣고, 에어 공급 유닛(30)으로 열기를 불어 넣어 제1 단열재(16)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고,
제습 단계(S3)가 종료된 후에, 인렛 홀(22)을 통하여 내부 공간(18)으로 단열재 공급 유닛(40)을 집어넣어 단열재 공급 유닛(40)으로 새로운 제2 단열재(48)를 내부 공간(18)에 채우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Method for repair and reinforce of insulation walls}
본 발명은 낡은 건축물의 외벽 또는 지붕에서 단열 효과가 저하되었을 때, 단열 성능을 진단하고 보수 보강하여 단열 효과를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벽체와 지붕에 단열 시공하고, 이로써 열 손실을 방지하여 냉난방 효율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단열 시공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는, 벽체와 지붕에, 글라스 울, EPS, 우레탄 폼 등의 단열재를 사용할 수 있고, 글라스 울이 다른 단열재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될 수 있다.
단열 시공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습기에 노출될 수 있고, 그러한 습기 때문에 단열재가 수축할 수 있으며, 단열재의 변형으로 인하여 밀도와 유효 두께가 저하할 수 있고, 단열재의 자체 무게로 인하여 무너져 내릴 수 있으며, 이러한 단열재의 변형에 따라 어떤 부분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은 단열재가 비어있는 것으로써, 열 손실이 발생하여 단열 성능을 기대할 수 없고, 이로써 건축물의 냉난방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열재의 변형으로 인하여 냉난방 효율이 낮을 때는 벽체 또는 지붕에 대하여 보수 보강 등의 개축하여 냉난방 효율을 높이도록 시도할 수 있다.
종래에 알려진 일반적인 리모델링은 내부 마감재, 석고보드, 단열재 등의 구조물을 철거하고, 새로운 제2 단열재로 교체하며 석고보드 내부 마감재 등을 설치하는 과정을 거치고, 이러한 과정에서 폐기물이 발생하고, 많은 노동력, 시간 및 비용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개축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폐기물은 아직 완벽하게 처리하는 방안 마련되지 않아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등의 심각한 문제가 있다.
KR 10-2011-0093152 A KR 10-1014230 B1 KR 10-2015-0109086 A KR 10-1596920 B1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열 기능이 낮아진 건축물에서, 벽체와 천장 등의 기초 구조물을 철거에 따른 폐기물의 발생 없이 최대한 유지한 상태로, 단열 성능을 향상하고, 단열 성능을 개선하는 데에 필요한 노동력과 비용 및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적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단열재에 고압 공기압과 보강단열재를 한꺼번에 작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열 유닛 내부에서 기존의 단열재가 추가로 수축할 여지를 없애어 단열층의 내구성을 현저하게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반영구적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은, 열화상 카메라로 벽체 또는 천장을 촬영하여 온도 분포에 따라 단열 유닛(10) 내부의 단열재 변형 조건을 진단하고, 상기 단열 유닛(10)의 내부 공간(18)을 찾는 진단 단계(S1);
상기 내부 공간(18)으로 공구를 투입하도록 상기 단열 유닛(10)에 인렛 홀(22)을 형성시키는 타공 단계(S2);
상기 인렛 홀(22)을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18)으로 에어 공급 유닛(30)을 집어넣고, 상기 에어 공급 유닛(30)으로 열기를 불어 넣어 제1 단열재(16)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 단계(S3); 및
상기 제습 단계(S3)가 종료된 후에, 상기 인렛 홀(22)을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18)으로 단열재 공급 유닛(40)을 집어넣어 상기 단열재 공급 유닛(40)으로 새로운 제2 단열재(48)를 상기 내부 공간(18)에 채우는 보강 단계(S4);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에서, 상기 단열재 변형 조건의 진단은, 촬영된 영상에서 온도가 높게 표시되는 제1 영역(A1) 쪽으로 제1 단열재(16)가 수축하고, 온도가 낮게 표시되는 제2 영역(A2) 쪽에 내부 공간(18)이 형성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에서, 상기 인렛 홀(22)은, 상기 제2 영역(A2)에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에서, 상기 인렛 홀(22)은,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 쪽에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에서, 상기 제1 영역(A1)에 형성되어 상기 단열 유닛(10)의 내부와 외부가 통하여 기체가 유통되도록 하는 벤트 홀(2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에서, 상기 에어 공급 유닛(30)은, 제1 호스 유닛(36)이 구부러진 변형할 수 있고, 상기 제1 호스 유닛(36)의 측면에 노즐 홀(38)이 형성되어 상기 열기가 상기 노즐 홀(38)을 통하여 상기 제1 단열재(16)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에서, 상기 에어 공급 유닛(30)은, 상기 제1 호스 유닛(36)의 양측에 배치된 복수의 제1 체인 링크(32);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제1 체인 링크(32)와 다른 하나의 제1 체인 링크(32)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체인 핀(3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인 핀(34)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체인 링크(32)가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제1 호스 유닛(36)이 구부려지는 방향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에서, 상기 단열재 공급 유닛(40)은, 제2 호스 유닛(46)의 양측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체인 링크(42);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제2 체인 링크(42)와 다른 하나의 제2 체인 링크(42)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체인 핀(44);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체인 핀(44)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체인 링크(42)가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제2 호스 유닛(46)이 구부려지는 방향을 제한하며, 상기 제2 호스 유닛(46)으로 상기 제2 단열재(48)를 운송하여 토출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은, 변형된 단열재에서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단열 성능을 복원시킬 수 있고, 진단을 통하여 단열재가 비어있는 공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써 공간에 새로운 제2 단열재를 채워 넣음으로써 단열 벽체의 단열 효과를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은, 종전에 리모델링을 수행하는 방법에 비교하여 폐기물 발생을 현저하게 줄이고, 노동력과 비용과 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은, 보강 단계에서 고압의 공기와 제2 단열재를 단열 유닛의 내부 공간으로 주입함으로써 기존의 단열재가 추가로 수축하거나 내려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단열 벽체가 정상적으로 단열 기능을 구현할 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단열 벽체에서 단열재가 변형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에서 진단을 통하여 벽체에 인렛 홀을 형성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에서 단열재의 성능을 복원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에서 새로운 공간에 새로운 제2 단열재를 채우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으로 마감된 단열 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에서 에어 공급 유닛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에서 단열재 공급 유닛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단열 상태가 정상인 단열 벽체를 설명한다. 도 1은 단열 벽체가 정상적으로 단열 기능을 구현할 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열 벽체는 단열 유닛(10)이 수직으로 배치되어 벽체를 이룰 수 있고, 단열 유닛(10)이 벽체의 위쪽에 배치되어 천장을 이룰 수 있다. 한편, 천장은 도 1에 기울어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 유닛(10)은 겉에 제1, 2 판재(12, 14)가 갖춰지고, 제1 판재(12)와 제2 판재(14)의 사이에 제1 단열재(16)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단열 유닛(10)은 건축물을 시공한 직후에 내부에 공간이 없이 제1 단열재(16)가 꽉 채워질 수 있다. 이로써 단열재(16)에 의하여 냉난방할 때 실내의 온도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벽체의 구조물은 석고보드, 단열재, OSB, 투습 방습지, 마감층, 벽지 등의 마감재가 갖춰질 수 있다. 상기 천장 또는 지붕의 구조물은 석고보드, 단열재, OSB, 방수 시트, 외부 마감재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벽체 구조물 또는 지붕 구조물은 알려진 기술 사항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단열 벽체에서 단열재가 변형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에서 진단을 통하여 벽체에 인렛 홀을 형성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에서 단열재의 성능을 복원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에서 새로운 공간에 새로운 제2 단열재를 채우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으로 마감된 단열 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은, 진단 단계(S1), 타공 단계(S2), 제습 단계(S3) 및 보강 단계(S4)의 순서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진단 단계(S1)는, 열화상 카메라로 벽체 또는 천장을 촬영하여, 온도 분포에 따라 단열 유닛(10) 내부의 단열재 변형 조건을 진단하여 상기 단열 유닛(10)의 내부 공간(18)을 찾는 단계일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로 사물을 촬영하면, 온도 분포를 파악할 수 있고, 온도가 낮은 영역에 내부 공간(18)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도 4는 벽체를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예를 설명한 것으로써, 제1 영역(A1)은 다른 부분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온도 분포가 높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고, 제2 영역(A2)은 다른 부분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온도 분포가 낮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열재(16)는 유효 두께가 얇아질 수 있고, 측정하는 위치마다 유효 두께가 다를 수 있다.
한편으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열재(16)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수축할 수 있고, 자체 무게 때문에 아래쪽으로 처질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제1 단열재(16)를 시공할 때, 제1 단열재(16)의 한쪽 부분을 스터드에 고정하여 시공할 수 있고, 이러하더라도 제1 단열재(16)는 고정되지 않은 쪽에 내부 공간(18)이 생기고, 고정된 쪽으로 수축하여 집중될 수 있다.
상기 타공 단계(S2)는,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부 공간(18)으로 공구를 투입하도록 상기 단열 유닛(10)에 인렛 홀(22)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공구는 에어 공급 유닛(30) 또는 단열재 공급 유닛(40)일 수 있다.
구멍 뚫기 작업은 드릴 공구(20)를 이용할 수 있고, 제1 판재(12)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내부 공간(18)이 보이도록 작업할 수 있다. 드릴 공구(20)는 컵 형태의 드릴을 이용할 수 있고, 이로써 구멍이 형성된 후에, 부산물은 원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원반 형태의 부산물은 마감 단계(S5)에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인렛 홀(22)의 개수는 예를 들면, 스터드 간격이 대략 450mm이면 1~2곳, 대략 600mm이면 3~4곳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인렛 홀(22)의 개수는 래프터 간격이 대략 400mm이면 1~2곳, 대략 600mm이면 3~4곳으로 형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인렛 홀(22)의 개수는 현장 상황에 따라 더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인렛 홀(22)의 크기는 상기 공구의 사양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공구의 사용을 위하여 큰 구멍이 필요하면 인렛 홀(22)의 크기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습 단계(S3)는, 상기 인렛 홀(22)을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18)으로 에어 공급 유닛(30)을 집어넣고, 상기 에어 공급 유닛(30)으로 열기를 불어 넣어 제1 단열재(16)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단계일 수 있다.
건축물은 환경 요인에 의하여 습기에 노출될 수 있고, 그러한 습기는 제1 단열재(16)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로써 습기를 머금은 제1 단열재(16)는 단열 기능이 현저하게 저하될 수 있다.
에어 공급 유닛(3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렛 홀(22)을 통하여 단열 유닛(10)의 내부 공간(18)을 집어넣을 수 있다.
에어 공급 유닛(30)을 통하여 공기를 불어 넣을 수 있고, 이로써 제1 단열재(16)를 건조할 수 있다. 한편 공기는 현장 상황에 따라 습기가 다소 많다고 판단되거나 작업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공기 온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공기의 온도는 섭씨 40도 이상일 수 있고, 30초에서 40초 동안 불어 넣은 후에 2분 내지 3분 동안 멈추기를 3회에서 5회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에어 공급 유닛(30)은 히터 건을 이용할 수 있고, 이러하면 상기 공기는 온도 섭씨 60도로 30초에서 40초 동안 불어 넣은 후에 2분에서 3분 동안 멈추기를 4회에서 6회 반복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공기의 온도는 섭씨 150도 이하로 제한하거나 1분 이하로 불어 넣도록 제한할 수 있고, 이로써 과열로 인하여 제1 단열재(16)가 기형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단열재(16)에 대한 제습이 완료되면, 에어 공급 유닛(30)을 제거한다.
상기 보강 단계(S4)는 상기 제습 단계(S3)가 종료된 후에,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인렛 홀(22)을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18)으로 단열재 공급 유닛(40)을 집어넣어 상기 단열재 공급 유닛(40)으로 새로운 제2 단열재(48)를 상기 내부 공간(18)에 채우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2 단열재(48)는 유리섬유 혹은 종이 섬유 등을 작은 입자 형태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 제2 단열재(48)는 내부 공간(18)의 깊숙한 곳부터 채울 수 있고, 점차 인렛 홀(22)에 가까운 곳을 맨 나중에 채울 수 있다.
상기 제2 단열재(48)는 고압 공기 때문에 운송 및 토출됨으로써 내부 공간(18)에 빈틈없이 고밀도로 채워질 수 있고, 채워진 후에 단열 성능은 기존의 제1 단열재(16)에 대비하여 더욱 우수한 단열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제2 단열재는 성능 등급에 따라 가장 우수한 “가”등급 분사형 단열재를 사용할 수 있고, 건축물의 목적이나 주변 환경에 따라 “나”등급 또는 “다”등급의 유리섬유, 종이 섬유, 우레탄 폼, 수성 연질 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후, 마감 단계(S5)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렛 홀(22)에 마감 유닛(26)으로 마감할 수 있다. 마감 유닛(26)은 실내 장식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써, 도배하거나, 스티커를 부착하거나, 사용자의 소망에 따라 액세서리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 유닛(26)은 인렛 홀(22)을 형성할 때에 도려낸 부산물일 수 있고, 그러한 부산물을 인렛 홀(22)에 맞춰 넣은 후에, 표면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배를 하거나 스티커를 부착하거나, 사용자의 소망에 따라 액세서리를 부착하여 마감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은, 변형된 제1 단열재(16)에서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제1 단열재(16)의 단열 성능을 복원시킬 수 있고, 진단을 통하여 제1 단열재(16)가 비어있는 내부 공간(18)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써 내부 공간(18)에 새로운 제2 단열재(48)를 채워 넣음으로써 단열 벽체의 단열 효과를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은, 종전에 리모델링을 수행하는 방법에 비교하여 폐기물 발생을 현저하게 줄이고, 노동력과 비용과 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단열재 변형 조건의 진단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영된 영상에서 온도가 높게 표시되는 제1 영역(A1) 쪽으로 제1 단열재(16)가 수축하고, 온도가 낮게 표시되는 제2 영역(A2) 쪽에 내부 공간(18)이 형성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가 단열 유닛(10)을 크게 훼손하지 않고도 제1 단열재(16)가 어느 쪽으로 수축하거나 집중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고, 이로써 작업량을 가늠할 수 있다. 특히 작업량을 가늠함으로써,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을 위한 예상 비용을 거의 정확하게 추산할 수 있어 소비자와 시공업자 모두가 발생 비용에 대하여 불만 없이 수긍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인렛 홀(22)은, 상기 제2 영역(A2)에 형성시킬 수 있고, 이로써 인렛 홀(22)이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할 때, 최적의 위치에 형성할 수 있고, 습기를 제거하거나 새로운 제2 단열재(48)를 채우는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최적화할 수 있다.
이에 부연해 설명하면,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은 건축물마다 외부 환경 또는 내부 환경이 다르므로, 제1 단열재(16)가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수축할지 알 수 없고, 매번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은, 인렛 홀(22)을 최적의 위치에 형성시키도록 할 수 있으므로 노동력과 작업 시간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기 인렛 홀(22)은,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 쪽에 형성시킬 수 있다. 제1 단열재(16)는 수축하여 처짐이 발생할 수 있고, 자체 무게 때문에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인렛 홀(22)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내부 공간(18)과 통할 때 좀 더 넓은 내부 공간(18)과 통할 수 있고, 이로써 작업 공간 확보에 유리하므로 에어 공급 유닛(30) 또는 단열재 공급 유닛(40)을 단열 유닛(10)의 내부로 좀 더 쉽게 집어넣거나 꺼낼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벤트 홀(24)은 상기 제1 영역(A1)에 형성되어 상기 단열 유닛(10)의 내부와 외부가 통하여 기체가 유통되도록 할 수 있다.
벤트 홀(24)은 제습 단계(S3)에서 제습할 때 에어 공급 유닛(30)으로 공급된 공기가 신속하게 배기 되도록 함으로써 제1 단열재(16)를 좀 더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고, 이로써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의 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기 에어 공급 유닛(30)은, 도 6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호스 유닛(36)이 구부러진 변형할 수 있고, 상기 제1 호스 유닛(36)의 측면에 노즐 홀(38)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에서 에어 공급 유닛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로써 열기가 상기 노즐 홀(38)을 통하여 상기 제1 단열재(16)에 제공될 수 있고, 특히 노즐 홀(38)을 여러 곳에 형성함으로써 제1 단열재(16)의 전반에 걸쳐 골고루 건조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기 에어 공급 유닛(30)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체인 링크(32) 및 복수의 제1 체인 핀(34)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체인 링크(32)는 상기 제1 호스 유닛(36)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호스 유닛(36)이 밴드, 와이어 등으로 제1 체인 링크(32)에 묶일 수 있다.
상기 제1 체인 핀(34)은, 상기 어느 하나의 제1 체인 링크(32)와 다른 하나의 제1 체인 링크(32)를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제1 체인 핀(34)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체인 링크(32)가 회전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제1 호스 유닛(36)이 구부려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체인 링크(32)와 상기 제1 체인 핀(34)은 구부려지는 방향이 제한됨으로써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에어 공급 유닛(30)의 전방 끝부분을 소망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에어 공급 유닛(30)은 단열 유닛(10)의 내부로 진입된 후에 제2 판재(14)에 닿으면서 구부려질 수 있고, 일부분이 구부려진 상태이더라도 계속 밀어 넣으면 제2 판재(14)에 접촉하는 부분은 굴절되고, 제2 판재(14)를 지나 내부 공간(18)을 주행할 때에는 구부려진 부분이 펼쳐질 수 있다.
즉, 에어 공급 유닛(30)은, 폭이 좁은 공간이더라도 깊숙하게 진입할 수 있고, 이로써 인렛 홀(22)에서 상대적으로 먼 위치이더라도 제1 단열재(16)를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기 단열재 공급 유닛(40)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체인 링크(42)와 복수의 제2 체인 핀(44)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에서 단열재 공급 유닛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복수의 제2 체인 링크(42)는, 제2 호스 유닛(46)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호스 유닛(46)이 밴드, 와이어 등으로 제2 체인 링크(42)에 묶일 수 있다.
복수의 제2 체인 핀(44)은, 상기 어느 하나의 제2 체인 링크(42)와 다른 하나의 제2 체인 링크(42)를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제2 체인 핀(44)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체인 링크(42)가 회전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제2 호스 유닛(46)이 구부려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체인 링크(42)와 상기 제2 체인 핀(44)은 구부려지는 방향이 제한됨으로써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단열재 공급 유닛(40)의 전방 끝부분을 소망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단열재 공급 유닛(40)은 단열 유닛(10)의 내부로 진입된 후에 제2 판재(14)에 닿으면서 구부려질 수 있고, 일부분이 구부려진 상태이더라도 계속 밀어 넣으면 제2 판재(14)에 접촉하는 부분은 굴절되고, 제2 판재(14)를 지나 내부 공간(18)을 주행할 때에는 구부려진 부분이 펼쳐질 수 있다.
즉, 단열재 공급 유닛(40)은, 폭이 좁은 공간이더라도 깊숙하게 진입할 수 있고, 이로써 인렛 홀(22)에서 상대적으로 먼 위치이더라도 제2 단열재(48)를 운송하고 토출하여 효과적으로 채워 넣을 수 있다.
한편, 단열재 공급 유닛(40)은 도 7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렛 홀(22)에서 먼 위치부터 제2 단열재(48)를 채우고, 단열재 공급 유닛(40)을 점차 끄집어내면서 제2 단열재(48)를 채울 수 있다. 이로써 보수 보강 전에 내부 공간(18)의 빈 곳에 빠짐없이 제2 단열재(48)를 밀도가 높게 채울 수 있고, 단열 효과를 현저하게 향상할 수 있다.
상기 제1, 2 호스 유닛(36, 46)은 재질이 스테인리스로 제공될 수 있고, 복수의 호스 부품이 연달아 연결될 수 있으며, 호스 부품은 겉면이 구면이 내부에 구멍이 형성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호스 부품과 다른 하나의 호스 부품은 구면 접촉하여 임의 방향으로 굴절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제1, 2 호스 유닛(36, 46)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공됨으로써 녹 발생이 없고, 굽힘이 있으나 강도를 보장할 수 있어야 하며, 안 지름이 최소 10mm 이상일 수 있고, 14mm 이상이 바람직하며, 피복 열처리가 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호스 유닛(36)의 노즐 홀(38)은 지름이 최소 3mm 이상 크기로 100mm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지름이 5mm 크기로 300mm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해당 업계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은, 단열 효과가 저하된 단열 벽체를 보수 보강하여 단열 효율을 향상하고 냉난방 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 단열 유닛 A1, A2: 제1, 2 영역
12, 14: 제1, 2 판재 16, 48: 제1, 2 단열재
18: 내부 공간 20: 드릴 공구
22: 인렛 홀 24: 벤트 홀
26: 마감 유닛
30: 에어 공급 유닛 40: 단열재 공급 유닛
32, 42: 제1, 2 체인 링크 34, 44: 제1, 2 체인 핀
36, 46: 제1, 2 호스 유닛

Claims (7)

  1. 열화상 카메라로 벽체 또는 천장을 촬영하여 온도 분포에 따라 단열 유닛(10) 내부의 단열재 변형 조건을 진단하고, 상기 단열 유닛(10)의 내부 공간(18)을 찾는 진단 단계(S1);
    상기 내부 공간(18)으로 공구를 투입하도록 상기 단열 유닛(10)에 인렛 홀(22)을 형성시키는 타공 단계(S2);
    상기 인렛 홀(22)을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18)으로 에어 공급 유닛(30)을 집어넣고, 상기 에어 공급 유닛(30)으로 열기를 불어 넣어 제1 단열재(16)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 단계(S3); 및
    상기 제습 단계(S3)가 종료된 후에, 상기 인렛 홀(22)을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18)으로 단열재 공급 유닛(40)을 집어넣어 상기 단열재 공급 유닛(40)으로 새로운 제2 단열재(48)를 상기 내부 공간(18)에 채우는 보강 단계(S4);
    를 포함하는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 변형 조건의 진단은,
    촬영된 영상에서 온도가 높게 표시되는 제1 영역(A1) 쪽으로 제1 단열재(16)가 수축하고, 온도가 낮게 표시되는 제2 영역(A2) 쪽에 내부 공간(18)이 형성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인렛 홀(22)은, 상기 제2 영역(A2)에 형성시키는 것;
    을 포함하는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렛 홀(22)은,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 쪽에 형성시키는 것;
    을 포함하는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A1)에 형성되어 상기 단열 유닛(10)의 내부와 외부가 통하여 기체가 유통되도록 하는 벤트 홀(24);
    을 포함하는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공급 유닛(30)은,
    제1 호스 유닛(36)이 구부러진 변형할 수 있고, 상기 제1 호스 유닛(36)의 측면에 노즐 홀(38)이 형성되어 상기 열기가 상기 노즐 홀(38)을 통하여 상기 제1 단열재(16)에 제공되는 것;
    을 포함하는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공급 유닛(30)은,
    상기 제1 호스 유닛(36)의 양측에 배치된 복수의 제1 체인 링크(32);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제1 체인 링크(32)와 다른 하나의 제1 체인 링크(32)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체인 핀(3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인 핀(34)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체인 링크(32)가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제1 호스 유닛(36)이 구부려지는 방향을 제한하는 것;
    을 포함하는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 공급 유닛(40)은,
    제2 호스 유닛(46)의 양측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체인 링크(42);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제2 체인 링크(42)와 다른 하나의 제2 체인 링크(42)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체인 핀(44);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체인 핀(44)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체인 링크(42)가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제2 호스 유닛(46)이 구부려지는 방향을 제한하며,
    상기 제2 호스 유닛(46)으로 상기 제2 단열재(48)를 운송하여 토출하는 것;
    을 포함하는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
KR1020180145525A 2018-11-22 2018-11-22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 KR202000600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525A KR20200060044A (ko) 2018-11-22 2018-11-22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525A KR20200060044A (ko) 2018-11-22 2018-11-22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044A true KR20200060044A (ko) 2020-05-29

Family

ID=70911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525A KR20200060044A (ko) 2018-11-22 2018-11-22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0044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230B1 (ko) 2010-11-22 2011-02-14 주식회사 월드와이즈월 외벽단열 건축물 외벽 보수보강 시공공법
KR20110093152A (ko) 2010-02-11 2011-08-18 김갑봉 목조 주택의 단열 방법
KR20150109086A (ko) 2014-03-19 2015-10-0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물의 단열보강 시공방법
KR101596920B1 (ko) 2015-04-07 2016-02-22 (주)윈가람 추가 발포를 이용한 단열재 충전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3152A (ko) 2010-02-11 2011-08-18 김갑봉 목조 주택의 단열 방법
KR101014230B1 (ko) 2010-11-22 2011-02-14 주식회사 월드와이즈월 외벽단열 건축물 외벽 보수보강 시공공법
KR20150109086A (ko) 2014-03-19 2015-10-0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물의 단열보강 시공방법
KR101596920B1 (ko) 2015-04-07 2016-02-22 (주)윈가람 추가 발포를 이용한 단열재 충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389616B2 (en) Metal roofing member, and roofing structure and roofing method using same
JP5301851B2 (ja) スリーブ形成シート及び貫通部構造の形成方法
US20130068487A1 (en) Fire protection element
KR20200060044A (ko) 단열 벽체의 보수 보강 방법
KR101044414B1 (ko)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CA2797316C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sipating an electric charge while insulating a structure
ITVI20080250A1 (it) Serranda tagliafuoco con alloggiamenti per il perno realizzato dall'unione di due elementi tubolari e metodo di montaggio della suddetta serranda tagliafuoco
JP3606796B2 (ja) コンクリート養生装置
CN211974039U (zh) 一种便于拼接的建筑用砖
JP2010047952A (ja) 基礎貫通スリーブ
KR101141753B1 (ko) 선박용 내벽 단열재 시공방법
KR101609568B1 (ko) 내화성 망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20160003864U (ko) 공기유동홈이 형성된 건축용 보온단열패널
JP7366475B1 (ja) 断熱層の形成方法
ITMI20100562A1 (it) Scatola di derivazione da incasso
JP4688219B2 (ja) トンネル覆工内面への耐火材吹き付け施工方法
Kaczorek Hygrothermal assessment of internally insulated brick wall based on numerical simulation
JP2007085151A (ja) 外断熱パネル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6535207B2 (ja) 縦目地構造及び縦目地の施工方法
JP6768286B2 (ja) 耐火被覆構造及び耐火被覆方法
EP2322836A1 (en) Method to carry out a branching point of a pipe line under repair
JP2005171599A (ja) 被覆材厚確認具および被覆材被覆施工法
CN113622949B (zh) 一种盾构管片修补及加固方法
US10158215B1 (en) System for protecting wall voids against construction debris
KR100634425B1 (ko) 내벽 단열재와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