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2479A -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 - Google Patents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2479A
KR20230092479A KR1020210181906A KR20210181906A KR20230092479A KR 20230092479 A KR20230092479 A KR 20230092479A KR 1020210181906 A KR1020210181906 A KR 1020210181906A KR 20210181906 A KR20210181906 A KR 20210181906A KR 20230092479 A KR20230092479 A KR 20230092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frame
inner frame
eco
type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창환
Original Assignee
서창환
(주)더청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창환, (주)더청연 filed Critical 서창환
Priority to KR1020210181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2479A/ko
Publication of KR20230092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4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일을 고정바를 이용하여 격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내측프레임에 끼움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인해 시공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타일을 내측프레임에 끼움 즉, 조립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시멘트를 이용하여 벽체에 부착하는 종래의 장식 타일에 비해 시공이 편리하고, 시멘트에서 발생하는 독성물질이 없으며, 시공시 타일에 묻는 시멘트를 제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Eco-friendly prefabricated frame-type decorative tile}
본 발명은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타일을 고정바를 이용하여 격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내측프레임에 끼움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인해 시공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건물의 로비, 전철 역사의 벽면 및 가정의 거실 등에는 여러 가지 선이나 색채가 칠해진 타일을 맞추어 도안이나 회화 등으로 나타내거나 각종 조각품을 배치하여 내부의 실내장식을 도모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타일을 맞추어 도안이나 회화 등으로 나타내는 것을 보통 '장식 벽화 조각 타일'이라 한다.
이러한 벽면장식물은 통상의 타일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고, 단지 유약 처리시 전체적인 도안이나 회화에 맞추어 타일마다 그에 상응하는 여러 가지 선이나 색채를 칠하게 되며, 이들 타일을 대형건물의 로비, 전철역사의 벽면 및 가정의 거실 등에 전체적인 도안이나 회화에 맞게 조립하여 부착시킴으로써 일련의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벽면 장식물은 전체적인 도안이나 회화가 평면상에서 이루어지는 무형적인 표현기법으로 되어 있어, 조형예술인 조각품과 같이 입체적이고 사실적인 시각효과가 결여 됨으로써 실내장식의 극대화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실내장식의 극대화를 위해서 내부에 각종 조각품을 배치하게 되면 그 배치된 조각품이 내부 공간을 많이 점유하게 됨으로써 실내공간 활용의 비효율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고, 설치 이 후 이전설치가 불가능 하여 폐기를 하게 된다.
한편, 현재와 같이 경제와 문화가 발달한 현 사회에서는 도시나 농촌의 모든 건축물이나 담 등이 벽돌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바뀌면서 건축물의 외관이나 도시미관을 매우 중요시하여 왔으나 단순벽돌이나 콘크리트 구조물들은 그 색과 모양이 매우 침침하고 획일적이므로 도시환경을 저해하는 주 원인이 되었다. 그래서 현대에는 축조물이나 담벽 또는 바닥에 어떤 무늬나 벽화 등을 그려 넣어 도시 외관이나 환경의 개선에 힘을 쏟고 있으나 이는 벽돌을 다 쌓거나 깔은 다음에 시멘트층을 입히고, 이에 그림을 그려 넣거나 무늬가 있는 타일을 부착시켜 주고 있으나, 상기의 경우 보호 프레임이 없이 부착되므로 오랜 기간이 지나면 타일이 떨어져 외관상 보기에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출원인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 구조물을 미리 제작한 후 외벽에 설치한 후 그 안쪽에 모자이크 벽화타일을 선출원 하였는바, 상기의 기술은 외부의 충격으로 구조물이 뒤틀리거나 휘어져 파손되어 안쪽에 설치된 벽화 타일이 파손되거나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의 기술을 개량하여 구조물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내부에 설치된 타일의 부분 파손도 용이하게 교체, 필요시 이동 설치 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액자형 장식 타일을 개발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1 :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48087호(2021년 05월 03일 공개) 스테인리스 구조물을 이용한 벽화 제작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타일을 고정바를 이용하여 격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내측프레임에 끼움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인해 시공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특히, 타일을 내측프레임에 끼움 즉, 조립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시멘트를 이용하여 벽체에 부착하는 종래의 장식 타일에 비해 시공이 편리하고, 시멘트에서 발생하는 독성물질이 없으며, 시공시 타일에 묻는 시멘트를 제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측프레임(20)과; 격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외측프레임(20)의 내부에 위치되는 내측프레임(30)과; 상기 내측프레임(30)의 격자형상 상에 위치되는 타일(40)과; 상기 타일(40)을 상기 내측프레임(30)의 격자형상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바(50)와; 상기 외측프레임(20) 및 내측프레임(30)을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브라켓(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에서 상기 내측프레임(30)은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공간(31)이 형성된 몸체(32)를 갖고, 상기 몸체(32)의 양끝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3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에서 상기 고정바(50)는 상기 내측프레임(30)의 격자형상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단부(51)는 상기 타일(40)의 전측에 위치되며, 후단부(52)는 상기 내측프레임(30)의 절곡부(33)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32)의 내부공간(31)에 위치되며, 상기 전단부(51)와 후단부(52) 사이에 상기 타일(40)이 삽입되는 삽입홈(5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에서 상기 고정바(50)의 후단부(52)는 외면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에서 상기 고정바(50)의 양측 끝단의 전단부(51)와 후단부(52)는 내측으로 절개되어 절개부(5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에 의하면, 타일을 고정바를 이용하여 격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내측프레임에 끼움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인해 시공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타일을 내측프레임에 끼움 즉, 조립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시멘트를 이용하여 벽체에 부착하는 종래의 장식 타일에 비해 시공이 편리하고, 시멘트에서 발생하는 독성물질이 없으며, 시공시 타일에 묻는 시멘트를 제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기존의 장식타일은 부착 후 이동설치가 불가능하여 폐기를 하는데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은 이전설치도 가능하여 자원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의 단면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2 내지 도 5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10)은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측프레임(20)과, 격자형상으로 이루어져 외측프레임(20)의 내부에 위치되는 내측프레임(30)과, 내측프레임(30)의 격자형상 상에 위치되는 타일(40)과, 타일(40)을 내측프레임(30)의 격자형상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바(50)와, 외측프레임(20) 및 내측프레임(30)을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브라켓(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외측프레임(20)은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전면에서 내측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외측프레임(20)은 체결수단에 의해 벽체에 고정될 수 있지만, 고정브라켓(60)에 의해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체결수단은 볼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프레임(30)은 외측프레임(20)의 내부에 위치되고, 격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공간(31)이 형성된 몸체(32)를 갖고, 몸체(32)의 양끝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33)를 갖는다. 즉, 절곡부(33) 사이는 개방되어 고정바(50)가 관통하여 삽입후 절곡부(33)에 걸려 고정되도록 한다.
타일(40)은 전측 외면에 원하고자 하는 도형, 문양, 회화 등이 형성된 것으로, 내측프레임(30)의 격자형상 상에 위치되는 것이다.
고정바(50)는 타일(40)을 내측프레임(3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내측프레임(30)의 격자형상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단부(51)는 타일(40)의 전측에 위치되며, 후단부(52)는 내측프레임(30)의 절곡부(33) 사이를 관통하여 내측프레임(30)의 몸체(32)의 내부공간(31)에 위치되며, 전단부(51)와 후단부(52) 사이에 타일(40)이 삽입되는 삽입홈(53)이 형성되어 진다. 이때, 삽입홈(53)은 타일(40)의 두께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진다. 이는 타일(40)이 고정바(50)의 삽입홈(53)에 삽입후 고정바(50)가 내측프레임(30)의 절곡부(33)를 관통하여 삽입시 고정바(50)의 후단부(52)가 내측프레임(30)의 몸체(32)의 내부공간(31) 상에 위치되고, 절곡부(33)에 걸리기 때문이다.
한편, 고정바(50)의 후단부(52)는 외면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진다. 이는 고정바(50)의 후단부(52)가 내측프레임(30)의 절곡부(33) 사이를 관통하여 삽입시 내측프레임(30)의 절곡부(33)가 반원형상의 외면에 밀착되어 걸리지 않고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고정바(50)는 후단부(52)가 내측프레임(30)의 절곡부(33) 사이를 관통하여 삽입시 전면에서 후면으로 밀어서 삽입하게 되고, 고정바(50)의 후단부(52)는 절곡부(33)에 걸린 상태로 내측프레임(30)의 몸체(32)의 내부공간(31)에 위치하여 타일(4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한편, 고정바(50)의 양측 끝단의 전단부(51)와 후단부(52)는 내측으로 절개되어 절개부(54)가 형성되어 진다. 이는 고정바(50)의 삽입홈(53)에 타일(40)이 삽입시 모서리 부분이 간섭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절개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바(50)의 양측 끝단을 절개하여 타일(40)이 삽입되도록 하면 고정바(50)의 양측 끝단이 만나는 부분에는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이 공간 상에는 별도의 마감부재(70)가 형성되어 진다.
고정브라켓(60)은 외측프레임(20) 및 내측프레임(30)을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벽체에 체결수단(100)에 의해 고정되도록 고정홀(61)이 형성되는 고정판(62)과, 일측이 고정판(62)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판(63)과, 수평판(63)의 타측에서 수직되게 형성되는 수직판(6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판(62)을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앵커볼트로 이루어지고, 수직판(64)은 내측프레임(30)의 몸체(32)의 후측이 결합되어 진다.
이와 같은 고정브라켓(60)은 외측프레임(20)의 내부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진다. 이는 내측프레임(30)이 외측프레임(20)의 내부에서 설치시 벽체와 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외측프레임(20)의 내부에서 내측프레임(30)이 비틀리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고정브라켓(60)은 내측프레임(30)을 외측프레임(20)의 내부에서 벽체에 고정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고, 외측프레임(20)을 고정시에는 수직판(64)의 상부에 후측으로 절곡되어 외측프레임(20)와 밀착되는 밀착판(6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에 의하면, 타일을 고정바를 이용하여 격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내측프레임에 끼움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인해 시공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타일을 내측프레임에 끼움 즉, 조립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시멘트를 이용하여 벽체에 부착하는 종래의 모자이크 타일에 비해 시공이 편리하고, 시멘트에서 발생하는 독성물질이 없으며, 시공시 타일에 묻는 시멘트를 제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기존의 장식타일은 부착 후 이동설치가 불가능하여 폐기를 하는데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은 이전설치도 가능하여 자원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10)의 시공과정을 설명하면, 내측프레임(30)의 격자형상 중 좌측 상부에서 우측 상부로 타일을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외측프레임(20)과 내측프레임(30)을 벽체에 고정하게 된다. 이후, 제1타일(40)의 상하좌우를 고정바(50)의 삽입홈(53)에 삽입 후 고정바(50)의 후단부(52)를 내측프레임(30)의 절개부(33) 사이로 밀어넣어 제1타일(40)을 고정하게 된다. 좌측 상부에 제1타일(40)이 고정후 제2타일(40)의 상하우측을 고정바(50)의 삽입홈(53)에 삽입 후 제1타일(40)의 좌측을 먼저 고정된 고정바(50)의 삽입홈(53)에 삽입하여 제2타일(40)의 상하우측의 고정바(50)를 내측프레임(30)의 절개부(33) 사이로 밀어넣어 제2타일(40)을 고정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반복하면서 타일(40)을 내측프레임(30)의 격자형상 상에 고정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
20 : 외측프레임 30 : 내측프레임
31 : 내부공간 32 : 몸체
33 : 절곡부 40 : 타일
50 : 고정바 51 : 전단부
52 : 후단부 53 : 삽입홈
54 : 절개부 60 : 고정브라켓

Claims (5)

  1.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측프레임(20)과;
    격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외측프레임(20)의 내부에 위치되는 내측프레임(30)과;
    상기 내측프레임(30)의 격자형상 상에 위치되는 타일(40)과;
    상기 타일(40)을 상기 내측프레임(30)의 격자형상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바(50)와;
    상기 외측프레임(20) 및 내측프레임(30)을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브라켓(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프레임(30)은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공간(31)이 형성된 몸체(32)를 갖고, 상기 몸체(32)의 양끝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3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50)는 상기 내측프레임(30)의 격자형상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단부(51)는 상기 타일(40)의 전측에 위치되며, 후단부(52)는 상기 내측프레임(30)의 절곡부(33)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32)의 내부공간(31)에 위치되며, 상기 전단부(51)와 후단부(52) 사이에 상기 타일(40)이 삽입되는 삽입홈(5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50)의 후단부(52)는 외면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50)의 양측 끝단의 전단부(51)와 후단부(52)는 내측으로 절개되어 절개부(5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
KR1020210181906A 2021-12-17 2021-12-17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 KR202300924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906A KR20230092479A (ko) 2021-12-17 2021-12-17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906A KR20230092479A (ko) 2021-12-17 2021-12-17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479A true KR20230092479A (ko) 2023-06-26

Family

ID=86947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906A KR20230092479A (ko) 2021-12-17 2021-12-17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247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087A (ko) 2019-10-23 2021-05-03 (주)더청연 스테인리스 구조물을 이용한 벽화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087A (ko) 2019-10-23 2021-05-03 (주)더청연 스테인리스 구조물을 이용한 벽화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7738B2 (en) Pre-cast concrete veneer system with insulation layer
EP2129843B1 (en) Cladding system
US8893450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making a building block for mortar-free construction
US5406763A (en) Tiling networks with geometrical and ornamental patterns
US20080236086A1 (en) Cavity Wall
CN203729523U (zh) 墙面装饰板
KR20230092479A (ko) 친환경 조립식 액자형 장식타일
KR100619093B1 (ko) 단열보드를 이용한 외장 시공 방법
CN215889028U (zh) 一种具有装饰线条的装配式墙面系统
US20180119427A1 (en) Mixed stucco block
US2049428A (en) Tile mounting
KR100363524B1 (ko) 건축용외장패널
CN208486478U (zh) 墙体装饰系统
KR20130003853U (ko) 스크린 타입 루버의 조립구조
KR200346095Y1 (ko) 교체가 가능한 모자이크 벽화
CN110670787A (zh) 一种天棚石膏板吊顶专用凹槽型材及其安装方法
KR100821338B1 (ko)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 및 그 시공 방법
RU165594U1 (ru) Декоративная панель с невидимым креплением
KR100821903B1 (ko) 건축물 벽체의 조립식 기와장식 구조
CN212336485U (zh) 一种蜂窝板错层搭接型材
RU98023U1 (ru) Облицовка наруж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CN217079495U (zh) 一种建筑用混凝土预制清水挂板
KR20000007044A (ko) 건축용 복합판넬
CN2389948Y (zh) 建筑用砖
CN214696273U (zh) 一种装配式石膏内隔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