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514Y1 -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 - Google Patents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514Y1
KR200238514Y1 KR2020010010982U KR20010010982U KR200238514Y1 KR 200238514 Y1 KR200238514 Y1 KR 200238514Y1 KR 2020010010982 U KR2020010010982 U KR 2020010010982U KR 20010010982 U KR20010010982 U KR 20010010982U KR 200238514 Y1 KR200238514 Y1 KR 200238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
panel
infrared
ocher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9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일
Original Assignee
김경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일 filed Critical 김경일
Priority to KR20200100109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5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514Y1/ko

Link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내장이나 가정용 및 대중용 사우나에 한번에 조립하여 마감할 수 있도록 규격화된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은 보강용 판(1)에 경질발포 폴리우레탄(2)과, 전열 및 온수용 도관(5)과, 원적외선 황토타일(3)을 일체로 형성하여 서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은 서로 맞물려 조립될 수 있도록 패널의 양측부에 삽입구(8)와 돌기부(9)가 연속하여 상하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널의 상부에는 돌출부(10)가 하부에는 오목홈(11)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은 보강용 판에 보온재인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과 전열 및 온수용 도관 그리고 원적외선 황토타일이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일정한 규격으로 제작되어 조립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시공시 숙련자가 아닌 미숙련자라도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또한, 건식시공방법이기 때문에 종래의 습식시공방법과 비교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시공시 주변이 지저분해지지 않으며 계절에 관계없이 언제나 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Prefabricated far infrared yellowsoil panel}
본 고안은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내장이나 가정용 및 대중용 원적외선 사우나에 한번에 조립하여 마감할 수 있도록 규격화된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보강용 판에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과 벽판 가온용 도관을 장착하고 마감재로서 원적외선 황토타일을 일체로 형성한 패널을 건식으로 손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형성한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건축물의 내장이나 가정용 및 대중용 원적외선 사우나의 벽면에 타일이나 석재 등과 같은 마감재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접착제나 시멘트와 모래 및 물을 혼합하여 반죽한 몰탈로 부착하여 시공하는 습식시공방법을 주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습식시공방법은 원자재를 현장으로 반입한 후 현장에서 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전의 준비작업인 시멘트와 모래 및 물을 혼합하기 위한 작업공간이 필요하였고, 또 혼합과정 중 날리는 시멘트가루나 모래 등으로 인하여 주변환경이 지저분해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시공하는 데에도 자재운반 및 시멘트혼합 등을 위해서는 인력이 많이 소모되었고, 낱장의 자재를 일일이 하나씩 벽체에 붙여가면서 시공을 해야 했기 때문에 공사에 소요되는 시간도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작업이 번거로웠으며, 숙련자가 아니면 마감공사를 깨끗하고 아름답게 시공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던 것이다. 더우기, 습식시공은 항상 일정한 온도이상의 따뜻한 기온을 유지하는 계절에만 시공이 가능하고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낮은 때에는 시공이 어렵기 때문에 계절에 관계없이 시공하는데 어려움이 따랐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안출한 것으로, 건물의 내장 또는 인테리어용을 겸한 건강패널로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황토타일을 합판, 철판 또는 석고판 등의 보강용 판에 경질발포 폴리우레탄과 일체로 형성하여 규격화된 패널을 제작함으로써 시공시 습식시공이 아닌 건식시공으로 건물의 기둥이나 보 등에 손쉽고 깨끗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타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보강용 판과 원적외선 황토타일 사이에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을 일체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시공후 방음, 방습, 단열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더우기, 원적외선 방출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황토타일과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층 사이에 전열 또는 온수가 통할 수 있도록 도관을 설치함으로써 이상적인 벽패널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은 상하좌우가 서로 맞물려 조립될 수 있도록 패널의 양측부에는 삽입구와 돌기부가 연속하여 상하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널의 상부에는 돌출부가 하부에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개체 패널과 패널을 조립시 연결부위가 두드러지게 표시나지 않고 일체형으로 보이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강용 판에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과 도관 및 원적외선 황토타일을 일체로 제조형성함으로써 여러번에 결쳐서 시공되는 공정을 단 한번에 조립하여 시공함으로써 미숙련자라도 간단하고 손쉽게 건식으로 시공할 수 있으므로, 공기가 단축되고 시공 주변이 지저분해지지 않으며, 계절에 관계없이 시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의 각 개체 패널과 패널의 연결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을 벽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을 건물벽에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보강용 판 2.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
3. 원적외선 황토타일 4. 원적외선 황토사
5. 도관 6. 비스
7. 건물벽 8. 삽입구
9. 돌기부 10. 돌출부
11. 오목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보강용 판(1)에는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2)과, 전열 및 온수용 도관(5), 그리고 원적외선 황토타일(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원적외선 황토타일(3)들 사이의 줄눈에는 원적외선 황토사(4)가 충전되어 있다. 이 때, 보강용 판(1)으로는 합판, 철판, 석고판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본 고안의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의 정면도인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은 서로 맞물려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패널의 양측부에 삽입구(8)와 돌기부(9)가 연속하여 상하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널의 상부에는 돌출부(10)가 하부에는 오목홈(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립시 각 패널과 패널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서로 끼워 맞춘 후, 필요에 따라 코킹으로 처리 후 줄눈용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황토사(4)로 메워서 표시가 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을 또 다른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과 끼워 맞춰 조립하고 비스(6)로 고정시킴으로써건물벽(7)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우선, 지그(Jig)의 하판에 미리 설계된 모양에 따라 원적외선 황토타일(3)을 배열하여 놓고 프레스 하판에 장착한다. 이 때, 원적외선 황토타일(3)은 배면이 위로 향하게 한다.
원적외선 황토타일(3)과 원적외선 황토타일(3)사이의 간격에는 줄눈이 미려하게 형성되도록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황토사(4)를 충전한다. 이 때, 줄눈이 없도록 하려면 황토타일과 황토타일을 서로 붙여서 간격이 생기지 않도록 지그에 배열하면 된다.
그리고 나서, 원적외선 황토타일(3)위에 황토벽패널을 가온하기 위한 전열 또는 온수용 도관(5)을 장착한다. 그 후, 원하는 두께가 되도록 4면에 두께조절용 지그를 장착하고, 적절히 배합된 폴리우레탄 원료를 충전한다. 그리고, 폴리우레탄이 부풀어 오르기 시작하면 그 위에 합판, 철판 및 석고판과 같은 보강용 판(1)을 올려놓고,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2)이 형성될 때 발생하는 압력을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스상판으로 내려 덮는다.
프레스 상판과 하판의 압력은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2)의 두께, 셀(cell)의 상태가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유압으로 고정하며, 하판은 여러가닥이 병렬로 된 튜브에 적당한 압력의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조정하여 조작한다.
그리고 나서, 일정시간이 지나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이 형성되면, 지그로부터 그것을 빼어냄으로써 본 고안의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의 완성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본 고안의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을 시공하려면 먼저 건물의 골조인 기둥이나 보에 황토벽패널이 서로 잘 조립될 수 있도록 수평을 맞춘 후, 황토벽패널의 배면에 형성된 보강용 판(1)을 건물의 기둥이나 보에 밀착하여 맨 하단에 장착한다.
상기와 같이 건물의 기둥이나 보의 하단에 하나의 패널을 장착하고 나면, 패널들을 횡방향으로 계속해서 짜맞추어 조립하여 설치한다. 이 때, 패널의 양측부에는 계단식으로 이루어진 삽입구(8)와 돌기부(9)가 연속하여 상하로 엇갈리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조립시 옆으로 살짝 밀어넣으면 먼저 설치되어 있는 패널의 삽입구(8)에는 나중에 설치한 또 다른 패널의 돌기부(9)가 삽입되며, 먼저 설치되어 있는 패널의 돌기부(9)는 나중에 설치한 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구(8)에 삽입되도록 조립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타일을 횡으로 조립시에는 패널의 양측단에 형성된 삽입구(8)와 돌기부(9)가 서로 맞물리고, 단부에서는 꺾여지게 결합되기 때문에, 조립후에도 외부에서 발생하는 누수가 내부로 스며들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조립시 보강용 판(1)과 보강용 판(1) 사이에 생기는 틈새나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2)과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2) 사이에 생기는 틈새를 코킹으로 처리하면 더욱 정교하게 맞추어져 조립이 된다.
상기와 같이 건물의 벽을 따라 맨하부에 본 고안의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이 횡으로 장착되고 나면, 그 위로 또 다른 황토벽패널을 종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다시 횡으로 설치한다. 따라서, 종으로 설치할 때에는 건물벽의 하단에 장착된 황토벽패널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0)가 그 바로 위에 종으로 조립되어 연결될 황토벽패널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홈(11)에 삽입되어 조립됨으로써 서로 연결되게 된다.
즉, 배면에 장착된 보강용 판(1)의 하부에 오목홈(11)이 형성되어 있어서 하단에 설치된 황토벽패널의 보강용 판(1)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0)가 삽입이 되면서 종으로 조립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단에 설치된 황토벽패널에 종방향으로 상부 황토벽패널을 설치하고 다시 횡방향으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황토벽패널들을 조립함으로써 손쉽고 간단하게 건물의 내장을 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건물의 벽면이나 주변환경 혹은 취향 등에 따라서 마감재인 원적외선 황토타일(3)을 다이아몬드형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배열하여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은 이미 황토벽패널 제작시에 원적외선 황토타일(3)과 원적외선 황토타일(3) 사이의 줄눈도 마감처리가 되어 있어 황토벽패널 표면이 미려하게 나타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은 보강용 판에 보온재인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과 전열 및 온수용 도관 그리고 원적외선황토타일이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일정한 규격으로 제작되어 조립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시공시 숙련자가 아닌 미숙련자라도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또한, 건식시공방법이기 때문에 종래의 습식시공방법과 비교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시공시 주변이 지저분해지지 않으며 계절에 관계없이 언제나 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보강용 판(1)에 경질발포 폴리우레탄(2)과, 전열 및 온수용 도관(5)과, 원적외선 황토타일(3)을 일체로 형성하여 서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 패널이 서로 맞물려 조립될 수 있도록 패널의 양측부에 삽입구(8)와 돌기부(9)가 연속하여 상하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널의 상부에는 돌출부(10)가 하부에는 오목홈(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황토타일(3)과 원적외선 황토타일(3) 사이의 줄눈에는 원적외선 황토사(4)를 충전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
KR2020010010982U 2001-04-18 2001-04-18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 KR2002385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982U KR200238514Y1 (ko) 2001-04-18 2001-04-18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982U KR200238514Y1 (ko) 2001-04-18 2001-04-18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514Y1 true KR200238514Y1 (ko) 2001-10-11

Family

ID=73099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982U KR200238514Y1 (ko) 2001-04-18 2001-04-18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5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302249B2 (en) Panel, kit and method for forming a masonry wall
US4299069A (en) Prefabricated wall facing panels
US5855102A (en) Molded brick module
AU2002302249A1 (en) Panel, kit and method for forming a masonry wall
WO1993009308A1 (de) System-, verbundbaustoffe und fertigbauelement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zur bauseitigen anwendung
KR20120012932A (ko) 단열재와 섬유시트가 결합된 복합단열패널 및 그 복합단열패널을 이용한 외단열 시공 방법
KR100346230B1 (ko) 콘크리트 판넬 및 그 제조방법
GB2345924A (en)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wall cladding
KR101311880B1 (ko)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의 제작방법
KR100828432B1 (ko) 초경량 단열블록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주택
KR20120002908U (ko) 조립식 타일마감재
KR200238514Y1 (ko) 조립식 원적외선 황토벽패널
KR200201821Y1 (ko) 조립식단열벽패널
KR101466825B1 (ko)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1808482B1 (ko) 조립식 건축용 판넬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80263982A1 (en) Insulated stone, wall structure using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a wall structure
KR20020037002A (ko) 가구식 건축물의 조립식 한옥 건축방법 및 그 한옥구조
KR100400697B1 (ko) 조립식 온돌 패널
KR200168591Y1 (ko) 콘크리트 판넬
KR100463671B1 (ko) 건축물의 비내력 벽체용 조립식 패널
KR200336814Y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100354718B1 (ko) 폴리우레탄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
KR100579766B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JP3238213U (ja) 内窓枠の周囲に四周板が付設された外断熱建築物の壁構造
KR100354717B1 (ko)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