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7739A - 투명전극 제조를 위한 전사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투명전극 제조를 위한 전사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7739A
KR20230037739A KR1020210120368A KR20210120368A KR20230037739A KR 20230037739 A KR20230037739 A KR 20230037739A KR 1020210120368 A KR1020210120368 A KR 1020210120368A KR 20210120368 A KR20210120368 A KR 20210120368A KR 20230037739 A KR20230037739 A KR 20230037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transfer composition
isophorone diisocyanate
transparent electrod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3737B1 (ko
Inventor
김정수
김동현
김해찬
권용록
장세희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20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737B1/ko
Publication of KR20230037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7Polyurethanes; 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 C08G18/75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5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 C08G18/75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and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a secondary carbon atom of the cycloaliphatic ring, e.g. isophorone diisocyan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물질의 전사에 적합한 접착 및 이형강도를 갖도록 조절된 비율로 아크릴레이트 및 반응성 실란기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투명전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투명전극 제조를 위한 전사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ransferring used in preparation of transparent electrode}
본 발명은 전극물질의 전사에 적합한 접착 및 이형강도를 갖도록 조절된 비율로 아크릴레이트 및 반응성 실란기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투명전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투명전극 필름은 PET와 같은 범용 필름 상에 은 나노입자가 다양한 기능성 첨가제와 함께 패터닝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패터닝 된 은 나노입자는 PET 상에 일시적으로 보존되기 위하여 약한 수준의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전자소자 분야에 있어서, 롤투롤(roll-to-roll) 공정은 릴투릴(reel-to-reel) 공정 또는 R2R이라고도 하는 유연한 플라스틱, 금속 호일, 또는 유연한 유리 롤 상에 전자 장치를 생성하는 공정으로서, 대형 전자장치에 이를 적용함으로써 생산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전극물질 전사를 통한 투명전극의 제조에 롤투롤 공정을 적용하는 경우 완성품의 투명성, 전기특성, 대면적 저항 균일도, 유연성 등을 동시에 구현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공보 제10-2136397호 (2020.07.21.)
본 발명자들은, 유연한 투명전극을 제조하기 위하여, 적정 수준의 접착강도 및 이형강도를 나타낼 수 있는 광경화성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기반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아크릴레이트와 반응성 실란을 특정 몰 비율로 반응시켜 공유결합된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전극 전사에 요구되는 원하는 탈/부착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투과성이 높고 황색도는 낮은 투명한 전극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되는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할 수 없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통상의 실험만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대한 다수의 등가물을 인지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등가물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양태는 폴리카프로락톤 디올(polycaprolactone diol; PCLD); 이의 양 말단에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통해 결합된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IPDI); 및 상기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다른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통해 각각 (38.5 내지 76.9):(61.5 내지 23.1)의 몰비율로 결합된 아크릴레이트 및 반응성 실란기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사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아크릴레이트는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ydroxyethyl acryl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아크릴레이트기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와 결합 가능한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물질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반응성 실란기는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APTES)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폴리우레탄의 점도를 낮추어주는 희석제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경화 시간을 단축시키고 경화 후 표면의 경도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분자 내에 아크릴레이트기를 2개 이상 포함하는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유도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유도체는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acrylate; HDD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A)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양태는 전극을 형성하고자 하는 기재의 일면에 전사 조성물을 도포하는 제1단계; 상기 일면에 전사 조성물이 도포된 기재 상에, PET 필름 상에 은 나노입자가 패턴닝 된 투명전극 필름을 은 나노입자가 패터닝된 면과 상기 전사 조성물이 도포된 면이 접하도록 중첩시키는 제2단계; 자외선을 조사하여 전사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제3단계; 및 PET 필름을 제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사 조성물은 폴리카프로락톤 디올(polycaprolactone diol; PCLD); 이의 양 말단에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통해 결합된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IPDI); 및 상기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다른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통해 각각 (38.5 내지 76.9):(61.5 내지 23.1)의 몰비율로 결합된 아크릴레이트 및 반응성 실란기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투명전극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전사 조성물은 제1양태에 따른 전사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조절된 몰비율로 아크릴레이트기와 반응성 실란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전사 조성물은 전극 기재인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에 대해 2.5 MPa 이상, 예컨대, 2.5 내지 3.5 MPa의 높은 접착강도를 갖는 동시에, 은 나노입자가 패터닝 된 PET 필름에 대해서는 1 MPa 이하, 예컨대, 0.5 내지 1 MPa의 낮은 이형강도를 가지므로 우수한 전극 내구성을 가짐은 물론 은 나노입자 전사 후 PET 필름의 제거가 용이하므로 투명전극 제조에 적합한 물성을 갖는다. 한편, 전술한 수치에 비해 높은 비율로 반응성 실란기를 포함하는 경우 기재에 대한 접착강도가 낮아 전극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는 반면, 전술한 수치에 비해 낮은 비율로 반응성 실란기를 포함하는 경우 은 나노입자가 패터닝 된 PET 필름에 대한 이형강도가 높아져 PET 필름를 쉽게 제거할 수 없어 은 나노입자의 전사가 온전히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탈착시 전극면을 손상시킬 수 있다.
이때, 은 나노입자는 크기가 작고 분포된 밀도가 높을 수록 전극으로서의 사용 효과가 높다.
예컨대, 상기 기재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또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으로 된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같이 유연하며 투명한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얇고 유연하면서도 투명한 전극을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유연한 투명 전극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s)를 포함한 다양한 광전자 소자(optoelectronic devices)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박막 태양전지, 터치스크린 등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은 나노입자는 표면에 히드록시기를 포함함으로써 조성물 중의 반응성 실란과 공유결합을 형성하여 이의 전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의 투명전극 제조방법은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유연한 기재를 사용하여 롤투롤 공정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사 조성물은, 전극물질의 전사에 적합한 상대적으로 높은 접착강도 및 낮은 이형강도를 갖도록, 조절된 비율로 아크릴레이트 및 반응성 실란기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므로 투명전극의 제조, 예컨대, 롤투롤 공정을 이용하는 유연한 투명 전극의 제조에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란기가 도입된 광경화성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기반 조성물을 이용한 은 나노입자 전사에 의한 유연 투명전극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란기가 도입된 광경화성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기반 조성물 중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구조식을 예시한 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과 2, 및 비교예 1과 2: 소정의 몰 비율로 반응성 실란기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기반 전사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몰 비율로 PCLD, IPDI, HEMA, 또는 HEA 및 APTES를 반응시켜 공중합체를 준비하고,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인 HDDA 및 TMPTA를 첨가하여 전극전사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구체적으로, 교반기, 환류 냉각기, 질소주입구가 장착된 합성기를 사용하여, 실리콘 오일에서 중탕 가열하여 합성을 진행하였다. 상기 반응기에 폴리올(PCLD)과 이소시아네이트(IPDI)를 반응기에 넣고 80℃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촉매인 DBTDL(dibutytin dilaurate)을 투입하여 3시간 더 반응시켜 우레탄을 합성하였다. 이후 사슬연장 및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캡핑을 위하여, 히드록실 아크릴레이트(HEMA 또는 HEA)와 실란커플링제(APTES)를 차례로 반응시켜 반응을 종결하였다. 이때, 히드록실 아크릴레이트와 실란커플링제를 동시에 투입하는 경우 서로 반응할 수 있으므로, 히드록실 아크릴레이트를 먼저 투입하여 6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실란커플링제를 투입하여 55℃에서 충분히 반응시켜 반응을 완결하였다. 이상과 같이 고분자에 관능기가 결합된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이후 나노입자와 결합히 보다 우수하고 안정적인 분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조성
PUA(몰 비율)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phr)
PCLD IPDI HEMA HEA APTES HDDA TMPTA
비교예 1 0.06 0.12 0.043 - 0.087 100 100
실시예 1 0.06 0.12 0.065 - 0.065 100 100
실시예 2 0.06 0.12 0.087 - 0.043 100 100
비교예 2 0.06 0.12 0.104 - 0.026 100 100
비교예 3
(상업용 PUA)
- - - - - - -
비교예 4 0.06 0.12 0.13 - - 100 100
비교예 5 0.06 0.12 - 0.13 - 100 100
*약어
- PCLD: polycaprolactone diol
- IPDI: isophorone diisocyanate
- HEMA: hydroxyethyl methacrylate
- HEA: hydroxyethyl acrylate
- APTES: (3-aminopropyl)triethoxysilane
- HDDA: 1,6-hexanediol diacrylate
- TMPTA: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 phr: parts per hundred resin
비교예 3 내지 5: 반응성 실란기를 불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기반 전사 조성물의 제조
상업용 PUA(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 아크릴 희석제 및 igucure 184 함유, QF1818, (주)큐엔탑)로 비교예 3의 시료를 준비하였다. 아울러, 표 1에 함께 개시한 조성에 따라,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한 비율의 PCLD, 및 IPDI를 포함하되, APTES를 불포함하고 해당 비율만큼 HEMA를 더 포함하여 비교예 4의 시료를, HEMA 대신에 동일한 비율의 HEA를 포함하여 비교예 5의 시료를 각각 준비하였다.
실험예 1: 반응성 실란기를 포함 또는 불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기반 전사 조성물의 물성 확인
상기 실시예 1 및 2, 그리고 비교예 1 내지 5의 시료에 대해 경화 전 단순 혼합된 조액 상태의 점도, 및 상기 조액에 UV를 조사하여 경화시킨 후의 투과도 및 황색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크릴레이트와 반응성 실란을 0.065:0.065 및 0.087:0.043의 몰비율로 포함하는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에서 적정 점도를 나타내었으며, 높은 투과도 및 낮은 황색도를 나타내므로 투명전극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점도(viscosity cp) 투과도(transmittance, %) 황색도(yellowness, E 313)
비교예 1 76.8 91.2 2.02
실시예 1 75.0 87.6 2.07
실시예 2 78.0 87.4 2.08
비교예 2 79.8 86.9 2.10
비교예 3 576.0 86.5 6.02
비교예 4 79.8 86.7 2.04
비교예 5 83.4 86.8 2.06
또한, 전단 접착강도 미 이형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Tinius Olsen사, H5KT Benchtop tester)을 사용하고, ASTM D1002 시험법을 적용하였다. 시편은 상기 조액을 각각 PC 필름 사이에, PC 필름과 은 나노입자가 결합된 PET 필름(Ag/PET 필름) 사이에 접착제로 사용하여 적층하고, UV로 경화시켜 샌드위치 구조를 형성한 후, 탈착시키면서 접착강도와 이형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사용한 PC 필름은 두께 1.5t의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Ag/PET 필름은 도프사로부터 제공받은 필름을 10 cm×2.5 cm 크기로 사용하였다.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필름은 PC에 대해 높은 접착강도를 갖는 동시에 PET에 대한 낮은 이형강도를 가지므로 PET에 패터닝 된 Ag 나노입자의 전사에 유리함을 확인하였다.
접착강도(adhesive strength) 이형강도(peeling strength)
PC/PUA_S/PC(MPa) PET/Ag/PUA_S/PC(MPa)
비교예 1 2.2 0.4
실시예 1 2.9 0.7
실시예 2 3.1 0.9
비교예 2 3.0 1.2
비교예 3 2.2 0.7
비교예 4 2.2 1.1
비교예 5 1.9 1.3
나아가, Ag/PET 필름 상에 표 1의 조성으로 된 조액을 도포하고, 그 위에 PC 필름을 덮은 후 UV를 조사하여 경화시켰다. 이후 PET 필름을 제거하여 수득한 Ag가 전사된 Ag/PC 필름 표면에 대한 면저항 값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상기 측정은 Mitsubishi chemical 사의 MCP-T360를 사용하여 4핀 프로브로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전사 전 Ag/PET 필름과 전사 후 Ag/PC 필름에 대한 측정값을 비교하였으며, 각각 3개 포인트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기입하고, 측정은 저항 값의 변화가 없을 때까지 수행하였다.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은 나노입자를 전사한 경우에만 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수준의 저항이 측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저항(resistance, Ω)
Ag/PET Ag/PU/PC
비교예 1 33.8 -
실시예 1 44.8 55.4
실시예 2 48.2 49.5
비교예 2 37.5 >200
비교예 3 40.9 -
비교예 4 45.5 -
비교예 5 45.5 -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폴리카프로락톤 디올(polycaprolactone diol; PCLD); 이의 양 말단에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통해 결합된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IPDI); 및 상기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다른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통해 각각 (38.5 내지 76.9):(61.5 내지 23.1)의 몰비율로 결합된 아크릴레이트 및 반응성 실란기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는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ydroxyethyl acryl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유래된 것인, 전사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실란기는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APTES)로부터 유래된 것인, 전사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분자 내에 아크릴레이트기를 2개 이상 포함하는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유도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전사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유도체는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acrylate; HDD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A)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인, 전사 조성물.
  6. 전극을 형성하고자 하는 기재의 일면에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전사 조성물을 도포하는 제1단계;
    상기 일면에 전사 조성물이 도포된 기재 상에, PET 필름 상에 은 나노입자가 패턴닝 된 투명전극 필름을 은 나노입자가 패터닝된 면과 상기 전사 조성물이 도포된 면이 접하도록 중첩시키는 제2단계;
    자외선을 조사하여 전사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제3단계; 및
    PET 필름을 제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사 조성물은 폴리카프로락톤 디올(polycaprolactone diol; PCLD); 이의 양 말단에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통해 결합된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IPDI); 및 상기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다른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통해 각각 (38.5 내지 76.9):(61.5 내지 23.1)의 몰비율로 결합된 아크릴레이트 및 반응성 실란기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투명전극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또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으로 된 필름인 것인,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은 나노입자는 표면에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롤투롤 공정에 의해 구현되는 것인, 제조방법.
KR1020210120368A 2021-09-09 2021-09-09 투명전극 제조를 위한 전사용 조성물 KR102553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368A KR102553737B1 (ko) 2021-09-09 2021-09-09 투명전극 제조를 위한 전사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368A KR102553737B1 (ko) 2021-09-09 2021-09-09 투명전극 제조를 위한 전사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739A true KR20230037739A (ko) 2023-03-17
KR102553737B1 KR102553737B1 (ko) 2023-07-12

Family

ID=85872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368A KR102553737B1 (ko) 2021-09-09 2021-09-09 투명전극 제조를 위한 전사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73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8040A (ko) * 2015-01-26 2017-09-26 헨켈 아이피 앤드 홀딩 게엠베하 재생가능 물질로부터 제조된 관능화된 폴리우레탄
KR20170125721A (ko) * 2016-05-04 2017-1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막,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및 상기 막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KR101961196B1 (ko) * 2017-09-27 2019-03-22 주식회사 에스나노텍 은나노와이어 투명전극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투명전극
KR102136397B1 (ko) 2019-12-23 2020-07-21 주식회사 도프 나노실버 투명전극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나노실버 투명전극 필름
KR20210085326A (ko) * 2019-12-30 2021-07-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광경화형 스트레처블 우레탄계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8040A (ko) * 2015-01-26 2017-09-26 헨켈 아이피 앤드 홀딩 게엠베하 재생가능 물질로부터 제조된 관능화된 폴리우레탄
KR20170125721A (ko) * 2016-05-04 2017-1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막,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및 상기 막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KR101961196B1 (ko) * 2017-09-27 2019-03-22 주식회사 에스나노텍 은나노와이어 투명전극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투명전극
KR102136397B1 (ko) 2019-12-23 2020-07-21 주식회사 도프 나노실버 투명전극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나노실버 투명전극 필름
KR20210085326A (ko) * 2019-12-30 2021-07-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광경화형 스트레처블 우레탄계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737B1 (ko) 202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83932B (zh) 用于光学元件的丙烯酸组合物,用于光学元件的保护膜,偏光片和液晶显示器
CN108102558B (zh) 一种高强度湿、光双重固化聚氨酯粘合剂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KR101142804B1 (ko) 자외선 경화형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제조방법
KR101771776B1 (ko) 광학용 점착 필름용 경화성 수지 조성물, 광학용 점착 필름, 터치 스크린 패널용 적층체, 광학용 점착 필름용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터치 스크린 패널용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
WO2019104317A1 (en) Polysiloxane urethane compounds and optically transparent adhesive compositions
CN106634791A (zh) 一种聚酯型导电压敏胶的制备方法
KR102553737B1 (ko) 투명전극 제조를 위한 전사용 조성물
KR20170128743A (ko)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161014B1 (ko)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 이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변색 수지 조성물, 및 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해 절연처리된 전자부품
JPWO2020071328A1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EP3421542B1 (en) Compound and curable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pound
KR102147778B1 (ko) 광학용 점착 조성물 및 점착 시트
CN114787284B (zh) 树脂组合物、由该树脂组合物形成的树脂膜、具备该树脂膜的玻璃叠层体
JP2009155539A (ja) 接着性樹脂組成物
CN110105895B (zh) 用于硅晶片切割工艺的uv光致可剥离胶带的制备方法
KR100934272B1 (ko)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 방법, 아크릴계 점착제 및 이를이용한 디스플레이 소자의 편광판
KR102649772B1 (ko) 수소화 자일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기반 가교제를 포함하는 감압성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감압성 점참제 필름
CN114096584A (zh) 导电性高分子和树脂组合物
KR102664212B1 (ko) 점착소재 및 이의 이용
KR20140111393A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점착필름
KR101904585B1 (ko) 변성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고무, 이의 제조방법 및 경화물
KR102661529B1 (ko) 점착소재 및 이의 이용
CN108690548B (zh) 无溶剂型粘合剂组合物、粘合剂和粘合片
CN117327246A (zh) 一种天冬聚脲弹性体及其制备方法、抗冲保护膜
KR20150112818A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경화물, 접착제 및 적층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