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326A - 점성액체 용기 캡에 탈부착되는 원터치식 반전 스탠드 - Google Patents

점성액체 용기 캡에 탈부착되는 원터치식 반전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326A
KR20230036326A KR1020210119055A KR20210119055A KR20230036326A KR 20230036326 A KR20230036326 A KR 20230036326A KR 1020210119055 A KR1020210119055 A KR 1020210119055A KR 20210119055 A KR20210119055 A KR 20210119055A KR 20230036326 A KR20230036326 A KR 20230036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tainer
viscous liquid
elastic cover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진
Original Assignee
장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진 filed Critical 장현진
Priority to KR1020210119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6326A/ko
Publication of KR20230036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3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mean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2External fitting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9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the closure being specifically formed for supporting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means for keeping contents in position, e.g. resilient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성액체 용기 캡에 탈부착되는 원터치식 반전 스탠드에 관련되며, 이때 점성액체 용기 캡에 탈부착되는 원터치식 반전 스탠드는 캡에 장착되어 점성액체가 입구측으로 모이도록 용기를 거꾸로 지지하고, 원터치 조작에 의해 형상이 반전되어 캡을 통하여 토출되는 점성액체가 간섭없이 위생적으로 토출되도록 편의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스탠드가 내용물의 도포 대상 또는 외부용기에 접촉되는 비위생적인 상황이 방지되도록 홀더관체, 탄성커버, 절곡링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점성액체 용기 캡에 탈부착되는 원터치식 반전 스탠드{One-touch reversing stand that attaches and detaches to the viscous liquid container cap}
본 발명은 점성액체 용기 캡에 탈부착되는 원터치식 반전 스탠드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캡에 장착되어 점성액체가 입구측으로 모이도록 용기를 거꾸로 지지하고, 원터치 조작에 의해 형상이 반전되어 캡을 통하여 토출되는 점성액체가 간섭없이 위생적으로 토출되도록 편의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스탠드가 내용물의 도포 대상 또는 외부용기에 접촉되는 비위생적인 상황이 방지되는 점성액체 용기 캡에 탈부착되는 원터치식 반전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주류, 음료 등의 유통 보관에 사용되는 용기는 개폐조작이 용이한 캡스크류 방식의 마개를 채택함으로써 보관 및 재사용의 편의성을 개선하고 있으나, 일단 개폐가 이루어진 이후에는 기밀성이 약화되어 내용물의 미세한 누출이 발생하므로 장기간 보관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용기를 거꾸로 세워서 수납할 수 있는 거치대(등록실용신안 제20-0253474호)나, 기존 용기의 마개를 대체함과 동시에 지지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스탠드(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3312호) 같은 다양한 거치수단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별도의 거치대는 사용하지 않을 때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고, 기존 용기의 마개를 대체하는 타입의 지지구조는 대체 결합되는 마개와 용기 사이에 미세한 공차로 인해 체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유격으로 내용물이 새어나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 개시된 등록실용신안 제20-0249635호에서는, 뚜껑이 닫혀진 용기를 거꾸로 세워 그 입구부분을 삽입 고정하는 수직의 결합공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결합공의 둘레에 방사방향으로 연장되고 지면에 접촉되어 상기 결합공에 고정된 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용기 스탠드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스탠드가 기존 용기 뚜껑에 끼워져 일체로 사용되는 구조로 인해 스탠드의 간섭으로 뚜껑의 개폐조작이 불편하고, 스탠드가 캡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용기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에 의해 쉽게 오염되므로 위생상 청결이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캡에 장착되어 점성액체가 입구측으로 모이도록 용기를 거꾸로 지지하고, 원터치 조작에 의해 형상이 반전되어 캡을 통하여 토출되는 점성액체가 간섭없이 위생적으로 토출되도록 편의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스탠드가 내용물의 도포 대상 또는 외부용기에 접촉되는 비위생적인 상황이 방지되는 점성액체 용기 캡에 탈부착되는 원터치식 반전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용기(B) 캡(C)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체결공(11)이 구비되는 홀더관체(10); 상기 홀더관체(10)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경사각으로 확장되어 받침링(21)을 형성하는 탄성커버(20); 상기 탄성커버(20) 내, 외주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음각라인으로 형성되는 절곡링(30);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커버(20)는 절곡링(30)을 기준으로 반전되어, 캡(C)을 감싸는 형태로 외향 반전시 용기(B)를 거꾸로 지지하는 거치 스탠드로 형성되고, 캡(C)이 노출되도록 내향 반전시, 점성액체가 탄성커버(20)에 간섭없이 토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홀더관체(10)는 탄성체로 형성되고, 내경이 탄력적으로 신축 조절되면서 규격이 상이한 캡(C)에 범용으로 적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커버(20)는 홀더관체(10) 일측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홀더관체(10)를 캡(C)에 설치하는 방향에 따라 절곡링(30)에 의한 탄성커버(20)가 반전되는 기준점이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원형의 절곡링을 따라 상하향 절곡되는 커버부가 구비되어 용기를 거꾸로 세워놓을 수 있는 스탠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스탠드 사용이 불필요한 경우에 분리할 필요없이 용기를 감싸도록 변형시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스탠드가 사용중에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이나 내용물의 도포 대상 또는 외부용기에 접촉되는 비위생적인 상황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 용기를 거꾸로 세워 남아있는 내용물이 마개쪽으로 모여 내용물을 낭비없이 알뜰하게 사용할 수 있는 부가적인 이점이 제공되므로, 캐첩이나 마요네즈, 샴프나 로션과 같이 점성이 높은 내용물을 보관할때에 보관성과 사용 편의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튜브타입과 같이 내용물 사용과정에서 수축변형이 발생하는 용기의 경우에도, 변형된 용기를 스탠드를 이용해 안정적으로 거치 가능해지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성액체 용기 캡에 탈부착되는 원터치식 반전 스탠드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성액체 용기 캡에 탈부착되는 원터치식 반전 스탠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성액체 용기 캡에 탈부착되는 원터치식 반전 스탠드의 홀더가 캡 삽입과정에서 확장되는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점성액체 용기 캡에 탈부착되는 원터치식 반전 스탠드 사용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점성액체 용기 캡에 탈부착되는 원터치식 반전 스탠드에 관련되며, 이때 점성액체 용기 캡에 탈부착되는 원터치식 반전 스탠드는 캡에 결합되어 용기를 거꾸로 세운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해주면서, 내용물을 사용할 때에는 스탠드 내외측이 반전되며 용기에 밀착되도록 형상 변형되어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이나 내용물의 도포 대상 또는 외부용기에 접촉이 방지되는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홀더관체(10), 탄성커버(20), 절곡링(3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홀더관체(10)는 용기(B) 캡(C)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체결공(11)이 구비되고, 상기 홀더관체(10)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경사각으로 확장되어 받침링(21)을 형성하는 탄성커버(2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2(a)와 같이 용기(B)의 캡(C)을 상술한 홀더관체(10)의 체결공(11)에 끼워넣게 되면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는 탄성커버(20)의 받침링(21)이 거꾸로 세워진 용기(B)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게 된다.
상기, 받침링(21)은 탄성커버(20)의 확장된 일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바닥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변형없이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도록 탄성커버(20)의 벽면 두께와 대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변형방지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내부에 금속링과 같은 별도의 심재를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탄성커버 내, 외주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음각라인으로 형성되는 절곡링(30)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커버(20)는 절곡링(30)을 기준으로 반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도 2(a)와 같이 캡(C)을 감싸는 형태로 외향 반전시 용기(B)를 거꾸로 지지하는 거치 스탠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도 2(b)와 같이 캡(C)이 노출되도록 내향 반전시, 용기(B) 내부의 점성액체가 간섭없이 토출되고 사용중 탄성커버(20)가 도포대상이나 외부용기와의 접촉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탄성커버(20) 표면을 홈가공 하여 부분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절곡링(30)이 가공됨에 따라 탄성커버부(20)를 상하측 방향으로 뒤집는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홈가공을 통해 두께가 얇게 형성된 절곡링(30)으로 변형발생이 집중되도록 하여 변형이 이루어지는 구간을 특정부분으로 한정해 줌으로써, 탄성커버(20)의 나머지 부분들은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할 수 있게 되어 하중이 가해졌을 때 탄성소재임에도 쉽게 변형되지 않고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견고한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용기(B)를 보관할 때에는 도 2(a)에 도시된 것 처럼, 탄성커버(20)가 캡(C)이 끼워진 홀더관체(10)를 감싸는 상협하광의 지지구조를 형성하도록 절곡하게 되면 받침링(21)이 지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용기를 거꾸로 세워서 보관할 때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해지며, 용기(B) 내부의 내용물을 사용할 때에는 탄성커버(20)가 용기(B) 측을 향하도록 절곡시켜 캡(C)이 끼워진 홀더관체(10)를 외부로 노출시켜 줌으로써 캡(C)의 파지 및 개폐조작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용기(B)의 캡(C)이 각종 소스류나 샴프, 로션 등의 용기에 널리 사용되는 원터치 캡 방식을 채택한 경우, 도 2에 도시된 것 처럼 결합된 스탠드를 분리하지 않고 간섭없이 개폐조작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 개선이 이루어지며, 용기에 채워진 내용물이 배출되는 중에 탄성커버(20)에 묻는 상황이나, 용기의 내용물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캡(C) 둘레의 탄성커버(20)가 도포 대상 또는 외부용기 등에 접촉되어 오염되는 상황도 방지된다.
참고로, 상기 홀더관체(10)는 도 2(a)와 같이 끼움 결합된 용기(B)의 캡(C)이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거치된다. 상기 홀더관체(10)에 끼움 결합된 용기(B)의 캡(C)이 탄성커버(20)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되어 바닥면과 비접촉 상태로 거치됨에 따라, 오염물질이 존재할 수 있는 바닥면과의 접촉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며 사용중 캡(C)의 마개부(C2)가 바닥면에 부딛히며 충격에 의해 의도치 않게 개방되는 문제도 방지될 수 있다.
이때,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원터치캡에 적용시 홀더관체(10)가 캡(C)의 바디부(C1) 만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짧게 형성되면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마개부(C2)를 홀더관체(10)와의 접촉없이 개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홀더관체(10)는 탄성체로 형성되고, 내경이 탄력적으로 신축 조절되면서 규격이 상이한 캡(C)에 범용으로 적용되도록 구비된다.
용기(B)의 캡(C)은 용기에 채워진 내용물의 종류나 캡의 개폐방식, 제조업체의 디자인에 따라 형상과 크기에 조금씩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홀더관체(10)가 끼움결합되는 캡(C)의 형상에 따라 직경 및 형상이 변형이 가능한 탄성체로 이루어짐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캡(C)이 홀더관체(10)에 비해 크게 형성된 경우에도 홀더관체(10)의 직경이 신축 확장되어 캡(C)의 삽입이 가능해지므로,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캡(C)에 교체없이 적용할 수 있게 되어 범용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연질의 홀더관체(10)가 캡(C)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파지성능을 향상시켜주므로, 접촉면의 미끄러짐이 감소되어 캡(C)의 개폐조작이 손쉽게 이루어지므로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효과도 제공된다.
한편, 상기 탄성커버(20)는 홀더관체(10) 일측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홀더관체(10)를 캡(C)에 설치하는 방향에 따라 절곡링(30)에 의한 탄성커버(20)가 반전되는 기준점이 가변되도록 구비된다.
용기(B)와 캡(C)의 크기차이가 크지 않은 경우 상술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탄성커버(20)가 홀더관체(10)가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절곡된 상태에서 캡(C)에 결합되면 절곡이 이루어지는 기준점이 되는 절곡링(30)의 위치가 도면 기준으로 하향 위치되므로 무게중심이 안정적으로 확보되어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고 탄성커버(20)를 용기(B) 측으로 절곡시켰을 때에도 탄성커버(20)가 최대한 용기(B)측에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면, 캡(C)에 비해 용기(B)의 크기가 큰 경우, 도 4(a)와 같이 탄성커버(20)를 용기(B)측으로 절곡시키게 되면 받침링(21)이나 커버(20)가 용기(B)에 접촉되어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도 4(b)와 같이 홀더관체(1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탄성커버(20)가 절곡된 상태로 캡(C)에 결합되면 도시된 것처럼 절곡이 이루어지는 기준점인 절곡링(30)의 위치가 홀더관체(10)의 길이만큼 상향 이동되어 탄성커버(20)와 용기(B)사이에 추가적인 공간확보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내용물 사용을 위해 탄성커버(20)를 용기(B) 측으로 절곡했을 때 확보된 공간으로 인해 용기(B)와의 간섭없이 탄성커버(20)의 절곡이 가능해지게 되므로 다양한 크기의 용기(B)에 활용이 가능해지게 된다.
10 : 홀더 11 : 체결공
20 : 탄성커버 30 : 절곡링
B : 용기 C : 캡

Claims (3)

  1. 용기(B) 캡(C)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체결공(11)이 구비되는 홀더관체(10);
    상기 홀더관체(10)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경사각으로 확장되어 받침링(21)을 형성하는 탄성커버(20);
    상기 탄성커버 내, 외주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음각라인으로 형성되는 절곡링(30);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커버(20)는 절곡링(30)을 기준으로 반전되어, 캡(C)을 감싸는 형태로 외향 반전시 용기(B)를 거꾸로 지지하는 거치 스탠드로 형성되고, 캡(C)이 노출되도록 내향 반전시, 점성액체가 탄성커버(20)에 간섭없이 토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액체 용기 캡에 탈부착되는 원터치식 반전 스탠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관체(10)는 탄성체로 형성되고, 내경이 탄력적으로 신축 조절되면서 규격이 상이한 캡(C)에 범용으로 적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액체 용기 캡에 탈부착되는 원터치식 반전 스탠드.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커버(20)는 홀더관체(10) 일측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홀더관체(10)를 캡(C)에 설치하는 방향에 따라 절곡링(30)에 의한 탄성커버(20)가 반전되는 기준점이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액체 용기 캡에 탈부착되는 원터치식 반전 스탠드.
KR1020210119055A 2021-09-07 2021-09-07 점성액체 용기 캡에 탈부착되는 원터치식 반전 스탠드 KR202300363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055A KR20230036326A (ko) 2021-09-07 2021-09-07 점성액체 용기 캡에 탈부착되는 원터치식 반전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055A KR20230036326A (ko) 2021-09-07 2021-09-07 점성액체 용기 캡에 탈부착되는 원터치식 반전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326A true KR20230036326A (ko) 2023-03-14

Family

ID=85502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055A KR20230036326A (ko) 2021-09-07 2021-09-07 점성액체 용기 캡에 탈부착되는 원터치식 반전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63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8146985A (ru) Колпачок и закрытый контейнер
RU94041951A (ru) Резьбовая горловина для отверстий емкостей из листовой стали для жидкостей
HUP0303572A2 (hu) Flexibilis műanyag záróelem, főként palackokhoz
CA2172526A1 (en) Preform with closure
SE8401483D0 (sv) Tear open closure assembly
RU2012129983A (ru) Крышка для контейнеров для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их растворов
EA200700128A1 (ru) Крышка с видимыми последствиями повреждения для бутылок, содержащих дорогие напитки
WO2004010038A3 (en) Sealing mechanisms for use in liquid-storage containers
IL174974A0 (en) Reclosable beverage can (can,cap,& cup)
KR20230036326A (ko) 점성액체 용기 캡에 탈부착되는 원터치식 반전 스탠드
JP2011131922A (ja) 詰め替え容器
JPH082118Y2 (ja) 蓋付き注出栓の液跳ね・液垂れ防止装置
JP6739877B2 (ja) キャップ付き容器
DE60306761D1 (de) Spenderkappe für flüssigkeitsbehälter
RU61259U1 (ru) Повторно закрываемый металлический контейнер
EP0261047A1 (en) A multi-use screw-on bottle cap and stopper
JP2010105707A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0296157Y1 (ko) 절약용 용기
JP7062538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H0661747U (ja) 合成樹脂キャップ
SK18512002A3 (sk) Uzatváracie viečko
KR20130001809U (ko) 액체 용기 캡
KR20090095540A (ko) 튜브 클로저
KR200230230Y1 (ko) 젤 타입의 액상물질의 저장용기 및 뚜껑
JP7161837B2 (ja) 排出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