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230Y1 - 젤 타입의 액상물질의 저장용기 및 뚜껑 - Google Patents

젤 타입의 액상물질의 저장용기 및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230Y1
KR200230230Y1 KR2020010002264U KR20010002264U KR200230230Y1 KR 200230230 Y1 KR200230230 Y1 KR 200230230Y1 KR 2020010002264 U KR2020010002264 U KR 2020010002264U KR 20010002264 U KR20010002264 U KR 20010002264U KR 200230230 Y1 KR200230230 Y1 KR 2002302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tube
opening
packing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2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무호
Original Assignee
이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무호 filed Critical 이무호
Priority to KR20200100022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2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2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230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젤 타입의 액상물질을 저장하는 튜브형 저장용기 및 여기에 장착되는 뚜껑에 관한 고안으로, 일측 벽면에 형성된 제 1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물질의 유출이 가능한 제 1 추출 관이 형성된 튜브헤드와, 내부 상면에 유출홀을 가지고, 일측 벽면에 형성된 제 2 개구부를 통하여 제 1 추출관에 끼워져 90°회전으로 제 1 개구부와 일치되는 제 2 추출관이 형성된 뚜껑과, 상기 튜브 헤드와 뚜껑사이에 장착되어 저장물질을 유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일 방향으로만 물질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절곡 평면부를 가지는 실리콘 재질의 패킹을 제공하여, 적은 힘으로, 단순한 조작인 뚜껑의 90°회전만으로 개폐가 가능하며, 그 내부로 대기 또는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여 저장물질의 오염을 방지하는 개선된 튜브형 용기 및 뚜껑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젤 타입의 액상물질의 저장용기 및 뚜껑{Cap and tube case for gel type liquid}
본 고안은 저장용기에 관한 고안으로, 좀 더 자세하게는 점성이 큰 젤(gel) 형태의 액체물질을 저장하는 튜브형 저장용기 및 여기에 장착되는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점성이 큰 젤(gel) 타입의 액체물질은 화장품이나 치약 또는 연고 등 여러 가지 용도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들 젤 타입의 액체물질은 통상 대기로부터의 오염 및 부패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는 저장용기에 저장되는데, 이러한 저장용기에는 뚜껑이 체결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이 뚜껑을 열고 저장용기 내부의 물질을 자유로이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저장용기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지나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것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튜브형 저장용기이다. 이는원통 모양 튜브의 일측을 봉합하고, 타측에 관 형상의 돌출된 헤드를 포함하는 숄더를 구성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헤드에는 뚜껑이 체결되어, 사용자가 필요할 경우에 이 뚜껑을 열고 튜브형 저장용기를 짜서 그 내부의 물질을 외부로 유출시킴으로써 내용물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튜브형 저장용기의 뚜껑 체결방법은 다양하나,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은 나사선을 이용한 회전식 결합 방법인데, 이를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전술한 일반적인 나사선을 이용한 회전식 결합방법으로 체결되는 뚜껑 및 튜브형 저장용기(10)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는 튜브헤드(12)의 외벽에 일정한 유격을 가지는 나사산(14)을 형성하고, 이러한 헤드(12)의 나사선(14)과 결합되는 나사홈(16)을 뚜껑(18)의 내부에 형성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뚜껑(18)을 소정횟수 회전시켜 장착 또는 이탈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나사선을 이용한 체결방법에 따른 뚜껑을 가지는 저장용기(10)는, 사용자가 그 내부에 저장된 물질을 사용하고자 할 때마다 뚜껑(18)을 소정횟수 회전시켜야 하고, 사용이 끝나면 다시 뚜껑(18)을 회전하여 닫는 동작을 하여야 하므로, 저장물질이 일상생활에 자주 이용되는 경우에 다소 번거로운 체결방식이다.
또한 나사선 방식의 뚜껑(18)을 튜브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일정정도 이상의 파지력과 회전력이 요구되므로, 힘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에 사용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고, 사용 시 뚜껑(18)이 완전히 탈착되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내부 물질이 오염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위 '원터치 방식'으로 불리는 장착방법을 가지는 저장용기 및 뚜껑이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는 도 2 와 같이 서로 맞물리는 요철형상을 각각 뚜껑의 내부와 튜브헤드의 외부에 형성하여, 억지끼움 방식으로 체결된다.
일반적인 억지끼움 체결방식을 가지는 뚜껑이 장착된 저장용기(20)는 헤드(22)의 외면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링 형상의 돌출된 걸림턱(24)을 형성하고, 뚜껑(28)의 내부에 이와 반대되는 요철형상을 가지는 우묵부인 걸림홈(26)을 형성하여 이들간의 결합으로 뚜껑(28)을 체결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체결방법을 가지는 뚜껑과 저장용기(20)는 일정정도 이상의 힘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가하여, 이들의 요철을 서로 맞물리도록 하거나 분리하여 장착, 이탈이 가능한데 이때 튜브와 뚜껑의 재질은 일정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전술한 억지끼움 방식의 튜브와 뚜껑 역시 그 내부에 저장된 물질을 사용하기 위하여 튜브로부터 뚜껑(28)을 분리하기 위하여 어느 정도의 힘을 필요로 하고, 사용 시 뚜껑(28)이 완전히 분리되므로 튜브헤드(22)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기나 이물질이 저장용기 내로 쉽게 침투하여 그 내부물질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적은 힘과 간단한 조작으로 계폐가 용이하고, 저장 튜브 내부로 외부공기 및 오염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보다 개선된 방식의 저장용기 및 이에 장착되는 체결방법을 가지는 뚜껑을 제공한다.
도 1, 도 2는 일반적인 저장용기 및 그 뚜껑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저장용기 및 그 뚜껑과, 그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의 분해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저장용기 헤드부분의 평면도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저장용기 헤드부분의 단면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패킹부분의 평면도와 저면도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패킹부분의 단면도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부분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부분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저장용기 및 그 뚜껑과, 그 내부에 장착되는 패킹이 결합된 구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8a, 8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저장용기의 개폐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저장용기 32 : 숄더
34 : 튜브헤드 36 : 제 1 추출부
38 : 제 2 추출부 40 : 개구부
42 : 장착부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측은 봉합되고 타측에는 타원형의 튜브숄더가 형성된, 젤 상태의 액체물질을 저장하는 튜브형 저장용기와 이에 체결되는 뚜껑으로서, 상기 튜브숄더 상에 돌출된 관 형상으로, 측벽에 내부 저장물질이 유출 가능한 제 1 개구부를 가지는 제 1 추출부와, 상기 제 1 추출부의 외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뚜껑이 체결되는 장착부로 이루어지는 튜브 헤드와; 내부에 돌출된 관 형상으로, 상기 제 1 추출부의 내부에 끼워지며, 회전에 의하여 제 1 개구부와 위치 맞춤되는 제 2 개구부를 측벽에 가지는 제 2 추출부와, 상기 제 1 개구부와 제 2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튜브의 저장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홀을 가진 뚜껑과; 상기 튜브헤드와 뚜껑의 사이에, 상기 제 1 추출부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제 1 개구부와 상기 제 2 개구부를 통하여 튜브로부터 유출되는 저장물질을 상기 유출홀로 유도하며, 상기 유출홀의 내부에 끼워져 저장물질의 유출은 가능하게 하고, 외부물질의 유입은 금지하는 절곡평면부를 가지는, 상기 뚜껑에 위치 고정되어 뚜껑과 같이 회전하는 실리콘 재질인 패킹을 포함하는 저장용기 및 뚜껑을제공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돌출된 관형상을 가지며, 측벽 외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링형상의 뚜껑체결돌출부와, 서로 90°의 각도를 이루며 이격되어 형성된 제 1 걸림턱과 제 2 걸림턱을 가지며, 상기 뚜껑의 내 측벽에, 상기 뚜껑체결돌출부와 대응하는 체결홈을 가지고 있어 상기 장착부에 억지끼움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상기 제 1 걸림턱과 제 2 걸림턱의 사이에 위치하여 뚜껑의 회전을 90°정도로 제한하는 측벽 돌출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킹의 상부에 형성된 타원형상의 돌출부인 제 1 고정부와, 상기 뚜껑의 내면에 상기 제 1 고정부를 외부에서 둘러싸면서 상기 패킹을 상기 뚜껑과 같이 회전할 수 있도록 위치고정 하는 제 2 고정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통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젤 타입의 액상물질의 저장용기는 일측 벽면에 형성된 제 1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물질의 유출이 가능한 돌출된 제 1 추출관이 형성된 튜브헤드와, 내부의 상면에 유출홀을 가지고, 제 1 추출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90°회전으로 제 1 개구부와 일치되는, 일측 벽면에 제 2 개구부를 가지는 제 2 추출관이 형성된 뚜껑과, 상기 튜브 헤드와 뚜껑사이에 개재되며 저장물질을 유출관으로 유출되도록 유도하고, 일 방향으로만 물질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절곡 평면부를 가지는 실리콘 재질의 패킹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고안을 저장용기와, 뚜껑 및 그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의 분해사시도인 도 3과, 저장용기의 평면도인 도 4a 및 저장용기의 단면도인 도 4b와, 패킹의 평면도 및 저면도인 도 5a와 패킹의 단면도인 도 5b와, 뚜껑의 평면도 및 저면도인 도 6a와, 뚜껑의 단면도인 도 6b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저장용기(도 3과 도 4a, 4b 참조)(30)로는 튜브형 저장용기가 사용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등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튜브형 저장용기의 일측은 일반적인 튜브형 저장용기와 동일하게 봉합되어 있고, 타측에는 타원형상의 튜브숄더(32)가 형성되는데, 상기 튜브숄더(32)의 중앙에는 튜브의 내부까지 관통된, 튜브 숄더(3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관 모양의 튜브 헤드(34)가 위치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튜브 헤드(34)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상단인 제 1 추출부(36)와 하단(38)으로 구분되는데, 후술하는 패킹(50)을 관통하는 제 1 추출부(36)는 하단(38)보다 일정정도 작은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제 1 추출부(36)의 상단의 일 측면에는 튜브내의 내용물이 밖으로 유출될 수 있는 제 1 개구부(40)가 위치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튜브헤드(34)의 제 1 추출부(36)는 일측과 상면을 모두 개구부로 가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제 1 개구부(40)를 통하여 저장용기 내부에 저장된 젤 타입의 액상물질은 외부로 유출된다.
또한 본 고안은 튜브 숄더(32) 상에 위치하며, 튜브헤드(34)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장착부(42)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장착부(42)는 패킹(50)을 지지하는 역할과 동시에, 여기에 결합되는 뚜껑(70)의 이탈을 방지하고 일정 범위내에서만 뚜껑(7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즉, 장착부(42)의 일측 벽면에는 외주방향으로 제 1 걸림턱(44a)과 제 2 걸림턱(44b)이 외주 길이의 1/4 정도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뚜껑(70)의 측벽에 설치된 측면 돌출부(88)를 그 사이에 두고 뚜껑(70)의 회전을 제 1 걸림턱(44a)과 제 2 걸림턱(44b) 사이에서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장착부(42)의 측벽 외면에는 외주방향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된 뚜껑 체결턱(46)이 형성되어, 뚜껑(70)에 형성된 체결홈(89)과 요철형상으로 맞물려 뚜껑(7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장착부(42)의 하부 측벽에는 링 형상의 뚜껑고정턱(48)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뚜껑고정턱(48)은 뚜껑(70)의 하면과 접촉되어 뚜껑(7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보조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튜브 헤드(34)에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70)이 체결되는데, 특히 본 고안에서는 저장물질이 유출될 경우에 뚜껑(70)의 유출홀(74)로 이를 유도하는 역할을 하며, 유출홀(74)의 내부에 끼워져 저장 용기 내로의 대기 또는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절곡평면부(58)를 가지는 패킹(50)이 헤드(34)와 뚜껑(70)사이에 장착된다.
이러한 패킹(도 3과 도 5a, 5b참조)(50)은 바람직하게는 독성이 없어 인체에 무해하며 일정정도의 탄성을 가진 실리콘이나 고무등의 재질이 사용된다.
상기 패킹(50)은 전술한 장착부(42)와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있어 후술하는뚜껑(70)의 측벽과 유격없이 밀착하게 되는데, 이러한 패킹(50)의 중앙에는 헤드(34)의 제 1 추출부(36)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고, 튜브헤드(34)의 제 1 추출부(36)에 관통 설치되는 패킹홀(5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패킹(50)의 하면에, 패킹홀(52)을 관통하는 제 1 추출부(34)를 감싸면서 헤드(34)의 하단(38)에 지지되어, 패킹(50)의 장착높이를 고정하는 관 형상의 보호부(54)를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보호부(54)에 의하여 패킹(50)은 제 1 추출부(36)에 형성된 제 1 개구부(40)의 아래쪽으로 위치 고정된다.
또한 상기 패킹(50)의 상면에는 제 1 개구부(40)를 통하여 유출된 저장물질을 뚜껑(70)의 유출홀(74)로 유도하면서, 뚜껑(70)에 형성되고 제 1 추출부를 그 내부에 끼우게 되는 제 3 고정부(76)를 외부에서 둘러싸면서, 패킹(50)을 뚜껑과 같이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유출홀(74)방향으로 일 방향이 열려 있는 관 형상의 제 1 고정부(56)를 가지고 있다.
이때 이러한 제 1 고정부(56)가 열려있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앞부분에는 돌출된 수직봉(57)이 위치하는데, 이러한 수직봉(57)의 상단에는, 전술한 제 1 추출부(36)로부터 유출된 저장물질이 제 1 고정부(56)의 열린부분으로 유도되어 뚜껑(70)의 유출홀(74)을 통하여 유출될 경우에 이를 허용하고, 외부로부터 공기 또는 불순물의 유입은 금지하는 절곡평면부(58)가, 상기 수직봉(57)에 일측이 지지되면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절곡 평면부(58)는 바람직하게는 뚜껑(70)에 형성된 유출홀(74)과 동일 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에 끼워져 전술한 일 방향 밸브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1 고정부(56)를 보조하기 위한 제 2 고정부(60)가, 전술한 제 1 고정부(56)와 수직봉(57)을 내부에 포함하면서 돌출된 관 모양으로 패킹(50)의 상면 외주방향에 타원형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 2 고정부(60)는 뚜껑(70)에 형성된 제 4 고정부(82)를 외부에서 감싸게 된다.
미설명부호 59는 패킹(50)을 뚜껑(70)에 위치맞춤하기 위한 홈으로 이러한 홈 사이에 뚜껑의 수직 돌출부(88)가 끼워진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저장용기에 장착되는 뚜껑(도 3과 도 6a, 6b 참조)(70)은, 상면에 유출홀(74)과, 제 1 추출부에 끼워져 90°회전으로 튜브헤드(34)의 제 1 추출부(36)에 형성된 제 1 개구부(40)와 일치되는 제 2 개구부(80)를 가지는 제 2 추출관(78)이 형성되어 있어 뚜껑(70)의 90°회전으로 내용물의 유출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뚜껑(70)은 벨자(bell-jar)의 형태를 가지는데, 그 측벽은 전술한 패킹(50)과, 그 하단에 위치하는 장착부(42)의 외면을 유격없이 둘러싸게 된다.
또한 그 내부 상면의 중앙에는 상기 튜브(30)의 제 1 추출부(36)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있어, 제 1 추출부(36)의 내부로 유격없이 끼워지는, 수직으로 돌출된 제 2 추출관(78)이 위치하는데, 이러한 제 2 추출관(78)의 일측 옆면에는 뚜껑의 회전에 의하여, 튜브(30)의 제 1 추출부(4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개구부(80)가 형성되어 있어, 저장된 물질이 튜브헤드(34)의 제 1 추출관(36)의 제 1 개구부(40)와, 뚜껑(70)의 제 2 추출관(78)의 제 2 개구부(80)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또한 뚜껑(70)에는 전술한 패킹(50)을, 뚜껑(70)의 회전에 의하여 같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패킹(50)에 관통된 제 1 추출부(36)와, 그 외부의 일 방향으로 열린 제 1 고정부(56)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고정부(76)와, 패킹(50)의 제 1 고정부(56)와 제 2 고정부(60) 사이에 위치하는 타원형의 제 4 고정부(82)가 형성된다.
이때 이러한 제 3 고정부(76)와 제 4 고정부(82)는 바람직하게는 원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지는 돌출된 관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제 3 고정부는 저장물질의 유출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작은 높이를 가진다.
또한 뚜껑(70)에는 저장물질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유출홀(74)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유출홀(74)은, 전술한 패킹(50)의 수평 절곡부(58)가 내부에 끼워질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뚜껑(70)에는 바람직하게는 그 내부에, 상면으로부터 분기한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는 수직돌출부(82)가 포함되어 패킹(50)의 수직봉(57)을 패킹홀(52)방향에서 지지, 보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뚜껑(70)의 내측 벽면에는 튜브(30)의 장착부(42)에 형성된 뚜껑체결턱(46)에 대응하는 링 형상의 체결홈(89)과, 일측에 수직 설치된 수직 돌출부(88)가 형성되어 억지끼움식으로 튜브의 장착부(42)에 장착되며, 뚜껑(70)을 90°만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튜브(30)와, 뚜껑(70) 및 그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50)이 장착된 형태는, 이를 종단면으로 도시한 도 7과, 종단면으로 도시한도 8a, 8b와 같은데, 튜브 헤드(도면에 흰색으로 표시된 부분)의 제 1 추출관(40)이 패킹(도면에 하향 대각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관통하고, 뚜껑(도면에 상향 대각선으로 표시된 부분)의 내면 상단에서 분기한 제 2 추출관(78)이 그 내부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제 1 추출관(36)과 패킹의 제 1 고정부(56) 사이에는 뚜껑에 위치한 제 3 고정부(76)가 끼워지며, 패킹의 제 1 고정부(56)와 제 2 고정부(60)의 사이에는 뚜껑의 제 4 고정부(82)가 끼워지게 되므로, 패킹은 뚜껑과 같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패킹의 제 1 고정부(56)에 열려 있는 일방향은 뚜껑에서 분기한 제 2 추출관(78)에 형성된 제 2 개구부(80)와 위치맞춤되어 있다.(도 3 참조)
따라서 뚜껑의 회전에 의하여 뚜껑에 위치한 제 2 추출관(78)의 제 2 개구부(80)와, 그 외부를 둘러싸는 튜브헤드의 제 1 추출부(36)의 제 1 개구부(40)와, 패킹의 제 1 고정부(76)의 열린 부분은 위치 맞춤되어 튜브내의 저장물질은 뚜껑의 유출홀(74)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도 8a 참조)
또한 이러한 유출구(74)에는 일방향 밸브의 역할을 하는 패킹의 평면절곡부(58)가 끼워져 있으므로, 내용물은 밖으로 유출될 수 있으나, 외부의 이물 또는 대기는 튜브 내로 유입될 수 없다.
이후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저장용기 및 이에 장착되는 뚜껑을 닫는 방법은 도 8b와 같이 뚜껑을 회전함으로써 가능하게 되는데, 이러한 뚜껑의 회전은 뚜껑의 수직돌출부(88)와, 장착부의 제 1 걸림턱(44a)과 제 2 걸림턱(44b)에 의하여 90°로 제한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저장용기 및 그 뚜껑은 90°회전으로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은, 튜브 헤드의 뚜껑 고정턱(46)과, 뚜껑에 형성된 고정홀(89)을 억지끼움 식으로 끼워 장착된다.
본 고안은 뚜껑의 90°의 회전을 통하여 뚜껑을 분리하지 않고도 내부 저장물지의 사용이 가능하며, 저장용기와 뚜껑의 사이에 개재되는 일방향 밸브의 역할을 하는 패킹을 통하여 내부의 액체 물질의 유출은 가능하나 외부로부터 튜브용기 내로의 이물 및 대기의 침투를 방지하여 보다 개선된 내부물질의 저장 및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3)

  1. 일측은 봉합되고 타측에는 타원형의 튜브숄더가 형성된, 젤 상태의 액체물질을 저장하는 튜브형 저장용기와 이에 체결되는 뚜껑으로서,
    상기 튜브숄더 상에 돌출된 관 형상으로, 측벽에 내부 저장물질이 유출 가능한 제 1 개구부를 가지는 제 1 추출부와, 상기 제 1 추출부의 외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뚜껑이 체결되는 장착부로 이루어지는 튜브 헤드와;
    내부에 돌출된 관 형상으로, 상기 제 1 추출부의 내부에 끼워지며, 회전에 의하여 제 1 개구부와 위치 맞춤되는 제 2 개구부를 측벽에 가지는 제 2 추출부와, 상기 제 1 개구부와 제 2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튜브의 저장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홀을 가진 뚜껑과;
    상기 튜브헤드와 뚜껑의 사이에, 상기 제 1 추출부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제 1 개구부와 상기 제 2 개구부를 통하여 튜브로부터 유출되는 저장물질을 상기 유출홀로 유도하며, 상기 유출홀의 내부에 끼워져 저장물질의 유출은 가능하게 하고, 외부물질의 유입은 금지하는 절곡평면부를 가지는, 상기 뚜껑에 위치 고정되어 뚜껑과 같이 회전하는 실리콘 재질인 패킹
    을 포함하는 저장용기 및 뚜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돌출된 관형상을 가지며, 측벽 외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링형상의 뚜껑체결돌출부와, 서로 90°의 각도를 이루며 이격되어 형성된 제 1 걸림턱과 제 2 걸림턱을 가지며,
    상기 뚜껑의 내 측벽에, 상기 뚜껑체결돌출부와 대응하는 체결홈을 가지고 있어 상기 장착부에 억지끼움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상기 제 1 걸림턱과 제 2 걸림턱의 사이에 위치하여 뚜껑의 회전을 90°정도로 제한하는 측벽 돌출부
    를 더욱 포함하는 저장용기 및 뚜껑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패킹의 상부에 형성된 타원형상의 돌출부인 제 1 고정부와,
    상기 뚜껑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제 1 고정부를 외부에서 둘러싸면서, 상기 패킹을 상기 뚜껑과 같이 회전할 수 있도록 위치고정 하는 제 2 고정부
    를 더욱 포함하는 저장용기 및 뚜껑
KR2020010002264U 2001-01-31 2001-01-31 젤 타입의 액상물질의 저장용기 및 뚜껑 KR2002302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264U KR200230230Y1 (ko) 2001-01-31 2001-01-31 젤 타입의 액상물질의 저장용기 및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264U KR200230230Y1 (ko) 2001-01-31 2001-01-31 젤 타입의 액상물질의 저장용기 및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230Y1 true KR200230230Y1 (ko) 2001-07-19

Family

ID=73062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264U KR200230230Y1 (ko) 2001-01-31 2001-01-31 젤 타입의 액상물질의 저장용기 및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2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20595A (zh) * 2017-08-29 2019-03-05 上海艾鲲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型工业胶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20595A (zh) * 2017-08-29 2019-03-05 上海艾鲲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型工业胶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0422C2 (ru) Укупорочное 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комплект для розлива жидкости с дозированием
JP2009505920A (ja) 液漏れ防止閉蓋具
US7040499B1 (en) Container with primary closure and a secondary closure
RU67550U1 (ru)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ES2317559T3 (es) Cierre giratorio que puede volver a cerrarse.
KR200230230Y1 (ko) 젤 타입의 액상물질의 저장용기 및 뚜껑
JPH0335731Y2 (ko)
JPH082118Y2 (ja) 蓋付き注出栓の液跳ね・液垂れ防止装置
JP3536729B2 (ja) 液体容器の栓装置
US20210300639A1 (en) Resealable closure for a beverage container
WO2010004252A2 (en) Closure element a fluid container
JP2002068263A (ja) クリーム状物等注出容器
RU2002116662A (ru) Пробка для разлива вязких жидкостей
JP4518296B2 (ja) 液注出容器
JPH0437086Y2 (ko)
JP4107360B2 (ja) 注出容器
JPH0523490Y2 (ko)
JP4803579B2 (ja) 計量・注出用装置を有する閉蓋具
CN219506613U (zh) 一种防止导液槽位置偏离的包装瓶
US6138829A (en) Beverage containment device
JPS6238929Y2 (ko)
RU30726U1 (ru) Колпачок для укупорки бутылок
KR940002881Y1 (ko) 용기의 뚜껑부 회전 개폐장치
JP5373554B2 (ja) 注出栓
RU40627U1 (ru) Бутылка и пробка для не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