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4348A - 오토 초크 장치 - Google Patents

오토 초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4348A
KR20230034348A KR1020237003697A KR20237003697A KR20230034348A KR 20230034348 A KR20230034348 A KR 20230034348A KR 1020237003697 A KR1020237003697 A KR 1020237003697A KR 20237003697 A KR20237003697 A KR 20237003697A KR 20230034348 A KR20230034348 A KR 20230034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opening
engine
relationship information
opening deg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3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히로 이시야마
히로유키 나리타
겐타로 마키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코 메이키 엔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0211097A external-priority patent/JP7496302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코 메이키 엔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코 메이키 엔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34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43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1/00Carburettor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engine's starting or its idling below operational temperatures
    • F02M1/02Carburettor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engine's starting or its idling below operational temperatures the means to facilitate starting or idling being chokes for enriching fuel-air mix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1/00Carburettor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engine's starting or its idling below operational temperatures
    • F02M1/08Carburettor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engine's starting or its idling below operational temperatures the means to facilitate starting or idling becoming operative or inoperative automatically
    • F02M1/10Carburettor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engine's starting or its idling below operational temperatures the means to facilitate starting or idling becoming operative or inoperative automatically dependent on engine temperature, e.g. having thermost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ns For Warming Up And Starting Carburetor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오토 초크 장치는, 엔진의 흡기 통로에 설치된 초크 밸브의 개방도를 제어하기 위한 오토 초크 장치이며, 제 1 온도 센서가 계측하는 엔진 온도와, 제 2 온도 센서가 계측하는 외기 온도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부와, 엔진 온도 및 외기 온도에 기초해서, 초크 밸브의 개방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개방도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오토 초크 장치
본 개시는 엔진의 흡기 통로에 설치된 초크 밸브의 개방도를 제어하기 위한 오토 초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20년 12월 21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특허 출원 제 2020-211097 호에 근거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엔진의 시동에 실패하는 리스크를 저감하기 위해서 엔진의 흡기 통로에 설치된 초크 밸브의 개방도를 제어하는 오토 초크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엔진 시동시의 엔진 온도를 대표하는 온도 정보에 기초해서, 초크 밸브의 개방도를 결정하는 오토 초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엔진 온도에는, 윤활유 온도, 실린더 헤드 온도, 냉각수 온도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5-256757 호 공보
특허문헌 1과 같이 엔진 온도에만 기초해서 초크 밸브의 개방도를 제어하는 구성에서는, 엔진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외기 온도가 높아도 초크 밸브의 개방도를 통상보다 폐쇄로 하는 초크 동작이 작동한다. 본원 발명자 등의 지견에 의하면, 이러한 작동은 공연비를 시동에 적절한 적정값보다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그 결과, 점화 플러그의 파울링이 발생해 엔진의 시동에 실패할 우려가 있다. 또한, 엔진 운전 이력이 있기 때문에 엔진 온도가 이미 높아지고 있는 경우, 적절한 초크 밸브의 개방도로 설정할 수 없는 것에 의해, 엔진의 시동에 실패할 우려가 있다.
상술의 사정울 감안해서, 본 개시는 엔진의 시동의 실패 리스크를 저감 가능한 오토 초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오토 초크 장치는,
엔진의 흡기 통로에 설치된 초크 밸브의 개방도를 제어하기 위한 오토 초크 장치에 있어서,
제 1 온도 센서가 계측하는 엔진 온도와, 제 2 온도 센서가 계측하는 외기 온도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부와,
상기 외기 온도 또는 상기 외기 온도와 상기 엔진 온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초크 밸브의 개방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개방도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엔진의 시동의 실패 리스크를 저감 가능한 오토 초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오토 초크 장치를 구비하는 엔진의 전체 구성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오토 초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3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오토 초크 장치가 사용하는 관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오토 초크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의 일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해 일부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로서 기재되어 있는 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발명의 범위를 이것으로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고, 단순한 설명예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한 방향으로", "한 방향에 따라", "평행", "직교", "중심", "동심" 혹은 "동축" 등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그러한 배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동일 기능을 얻을 수 있는 정도의 각도나 거리를 가지고 상대적으로 변위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동일", "동일하다" 및 "균질" 등의 사물이 동일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동일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동일 기능을 얻을 수 있는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사각형상이나 원통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내는 표현은 기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에서의 사각형상이나 원통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동일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범위에서, 요철부나 모따기부 등을 포함한 형상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한편, 1개의 구성요소를 "갖는", "구성하는", "구비하는", "포함하는", 또는 "가지는"이라고 하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를 제외하는 배타적인 표현은 아니다.
(엔진의 전체 구성)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오토 초크 장치(100)를 구비하는 엔진(1)의 전체 구성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엔진(1)은 소형 농기구, 예초기, 이양기, 경운기 등의 작업 기계의 엔진이어도 좋고, 차량의 엔진이어도 좋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1)의 실린더 헤드에는, 엔진(1)에 점화하기 위한 점화 플러그(3)와, 흡기량 및 배기량을 조정하기 위한 흡기 밸브(4) 및 배기 밸브(5)가 설치된다. 엔진(1)은 엔진 온도를 계측하기 위한 제 1 온도 센서(2)와, 외기 온도를 계측하기 위한 제 2 온도 센서(10)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제 1 온도 센서(2)는 점화 코일(13)의 온도를 엔진 온도로서 계측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엔진 온도는 엔진(1)의 대표 온도이면 좋고, 윤활유 온도, 실린더 헤드 온도, 점화 플러그(3)의 온도 등이어도 좋다.
흡기 밸브(4)가 설치된 흡기관(6)에는, 기화기(카뷰레터)(7)가 접속된다. 기화기(7)는 하류측에 배치된 스로틀 밸브(8)와, 그 상류에 배치된 초크 밸브(9)를 구비한다. 기화기(7)에는, 공기와 연료(도시하지 않음)가 공급된다. 엔진(1)의 흡기 통로에 설치된 초크 밸브(9)는 스텝 모터(11)에 의해 개폐 구동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1)은 엔진(1)으로 구동되는 것에 의해 교류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발전기(12)에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엔진(1)의 크랭크 축에는 수동 시동을 위한 리코일 스타터(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되어도 좋다.
오토 초크 장치(100)는 엔진(1)의 흡기 통로에 설치된 초크 밸브(9)의 개방도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다. 오토 초크 장치(100)는 스텝 모터(11)를 구동해서, 초크 밸브(9)의 개방도를 제어하여, 엔진(1)에의 공기의 유입량을 조정한다. 예를 들면, 오토 초크 장치(100)는 엔진 온도와 외기 온도의 계측값에 기초해서 초크 밸브(9)의 개방도를 제어해서, 적당한 공연비를 얻을 수 있도록 공기의 유입량을 조정한다.
(오토 초크 장치의 구성)
이하, 오토 초크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오토 초크 장치(100)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를 포함한 중앙 처리 장치(CPU),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리드온리 메모리(ROM), 및 I/O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하며, 마이크로 컴퓨터로서 구성된다.
도 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오토 초크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토 초크 장치(100)는 온도 계측값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부(110)와, 초크 밸브(9)의 개방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개방도 제어부(120)와, 복수의 관계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130)를 구비한다.
취득부(110)는 제 1 온도 센서(2)가 계측하는 엔진 온도와, 제 2 온도 센서(10)가 계측하는 외기 온도를 취득한다. 개방도 제어부(120)는, 엔진(1)의 시동시에 있어서, 취득부(110)가 취득한 엔진 온도 및 외기 온도에 기초해서, 초크 밸브(9)의 개방도를 제어한다. 개방도 제어부(120)는, 예를 들면 스텝 모터(11)에의 입력 펄스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초크 밸브(9)의 개방도를 제어한다.
기억부(130)가 기억하는 관계 정보는 엔진 온도와 초크 밸브(9)의 개방도와의 관계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관계 정보는 맵이어도 좋고, 표이어도 좋고, 함수여도 좋다.
기억부(130)는, 오토 초크 장치(100)가 구비하는 ROM, 플래쉬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나, 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여도 좋고, 오토 초크 장치(100)에 접속된 외부 기억 장치여도 좋다. 또한, 기억부(130)는 후술하는 제어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어도 좋다.
도 3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오토 초크 장치(100)가 사용하는 관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관계 정보는,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 온도와 초크 밸브(9)의 개방도와의 관계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관계 정보의 엔진 온도는 점화 코일(13)의 온도이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기억부(130)에는, 제 1 관계 정보와 제 2 관계 정보를 포함한 2종류의 관계 정보가 기억된다. 파선(31)은 제 1 관계 정보를 나타내고, 실선(32)은 제 2 관계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제 2 관계 정보는, 제 1 관계 정보에 비해 엔진 온도가 동일 온도인 경우에 있어서의 초크 밸브(9)의 개방도가 큰 관계 정보이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관계 정보에서는, 초크 밸브(9)의 최저 개방도가 완전폐쇄 상태의 개방도(예를 들면, 완전폐쇄 또는 10% 이내의 완전폐쇄에 가까운 개방도)인데 대해, 제 2 관계 정보에서는, 초크 밸브(9)의 최저 개방도가 완전폐쇄 상태의 개방도는 아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관계 정보 및 제 2 관계 정보는 엔진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개방도가 작고, 엔진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개방도가 커져, 완전개방에 가까워지는 관계성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관계 정보 및 제 2 관계 정보에 있어서의 최고 개방도는 완전개방 상태의 개방도여도 좋다. 완전개방 상태는, 예를 들면 개방도 90% 내지 100%의 범위 내의 개방도이며, 개방도가 완전개방 또는 완전개방 근방인 상태를 의미한다. 완전개방 상태에 있어서의 개방도는 최고 개방도 또는 초크 동작 없음의 개방도라고 해석되어도 좋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관계 정보 및/또는 제 2 관계 정보는, 엔진 온도의 변화에 대해서 초크 밸브(9)의 개방도가 최저 개방도로 일정한 제 1 온도 영역(31A, 32A)과, 엔진 온도의 변화에 대해서 초크 밸브(9)의 개방도가 최고 개방도로 일정한 제 2 온도 영역(31B, 32B)과, 엔진 온도에 따라서 초크 밸브(9)의 개방도가 변화하는 제 3 온도 영역(31C, 32C)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도 3에는, 2종류의 관계 정보만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3종류 이상의 관계 정보가 사용되어도 좋다. 3종류 이상의 관계 정보를 사용하는 구성에서는, 예를 들면 외기 온도, 엔진 온도, 회전수 등의 상태량 등에 따라서, 관계 정보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어도 좋다.
개방도 제어부(120)는, 취득부(110)가 취득한 외기 온도 및 엔진 온도와의 비교 결과에 기초해서 복수의 관계 정보 중 하나의 관계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한 관계 정보에 기초해서 초크 밸브(9)의 개방도를 제어해도 좋다. 예를 들면, 개방도 제어부(120)는, 비교 결과에 있어서 엔진 온도가 외기 온도에 대해서 제 2 기준값 이상만큼 높은 온도가 아닌 경우에는, 제 1 관계 정보를 사용해서 초크 밸브(9)의 개방도를 제어해도 좋다. 제 2 기준값은 0.5℃ 이상 5℃ 이하의 범위 내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5℃이다.
개방도 제어부(120)는, 비교 결과에 있어서 엔진 온도가 외기 온도에 대해서 제 2 기준값 이상만큼 높은 온도이며, 또한 엔진 온도가 제 3 기준값보다 높은 온도인 경우에는, 제 2 관계 정보를 사용해서 초크 밸브(9)의 개방도를 제어해도 좋다. 제 3 기준값은 40℃ 이상 80℃ 이하의 범위 내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60℃이다.
오토 초크 장치(100)가 사용하는 관계 정보는 하나의 함수여도 좋고, 오토 초크 장치(100)는 그 함수에 포함되는 계수를 적당 변경해도 좋다. 오토 초크 장치(100)는, 이러한 계수의 변경에 의해, 복수의 관계 정보를 사용하는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실현해도 좋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개방도 제어부(120)는, 취득부(110)가 취득한 외기 온도가 제 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초크 밸브(9)의 개방도를 완전개방 상태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개방도 제어부(120)는, 취득부(110)가 취득한 외기 온도가 제 1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엔진 온도와 외기 온도의 비교 결과에 관계없이, 초크 동작을 실행하지 않고, 초크 밸브(9)의 개방도를 통상의 개방도(예를 들면, 완전개방 또는 최고 개방도)로 제어해도 좋다. 제 1 기준값은, 예를 들면 기온의 중에서도 높은 온도(예를 들면, 30℃)로 설정된다.
(처리의 흐름)
이하, 오토 초크 장치(100)가 실행하는 처리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오토 초크 장치(100)가 실행하는 처리의 일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 처리는 엔진(1)의 시동시에 실행된다. 엔진(1)의 시동 제어 개시시에는, 초크 밸브(9)는 운전 상태의 개방도, 즉 완전개방 상태로 되도록 제어되고, 그 개방도로부터 이후의 처리에 있어서 온도 계측값에 따른 개방도로 제어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제 1 관계 정보와 제 2 관계 정보의 2종류의 관계 정보를 이용한 제어에 대해 설명하지만, 오토 초크 장치(100)가 실행하는 처리는 이러한 제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엔진(1)의 시동은 리코일 스타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시동이어도 좋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토 초크 장치(100)의 취득부(110)는 제 1 온도 센서(2)와 제 2 온도 센서(10)로부터의 엔진 온도(Te)와 외기 온도(To)의 계측값을 취득한다(스텝 S1). 오토 초크 장치(100)는 취득한 외기 온도(To)가 제 1 기준값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2).
외기 온도(To)가 제 1 기준값 이상이라고 판별한 경우(스텝 S2; 예), 오토 초크 장치(100)의 개방도 제어부(120)는 초크 밸브(9)를 완전개방 상태로 개방도 제어한다(스텝 S3). 한편, 외기 온도(To)가 제 1 기준값 이상은 아니라고 판별한 경우(스텝 S2; 아니오), 오토 초크 장치(100)는, 취득한 엔진 온도(Te)가 외기 온도(To)에 대해서 제 2 기준값 이상만큼 높은 온도(즉, Te≥To+제 2 기준값)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4).
엔진 온도(Te)가 외기 온도(To)에 대해서 제 2 기준값 이상만큼 높은 온도는 아니라고 판별한 경우(스텝 S4; 아니오), 오토 초크 장치(100)의 개방도 제어부(120)는 제 1 관계 정보에 기초해서 초크 밸브(9)를 개방도 제어한다(스텝 S7). 한편, 엔진 온도(Te)가 외기 온도(To)에 대해서 제 2 기준값 이상만큼 높은 온도라고 판별한 경우(스텝 S4; 예), 오토 초크 장치(100)는 취득한 엔진 온도(Te)가 제 3 기준값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5).
엔진 온도(Te)가 제 3 기준값 이상은 아니라고 판별한 경우(스텝 S5; 아니오), 오토 초크 장치(100)의 개방도 제어부(120)는 제 1 관계 정보에 기초해서 초크 밸브(9)를 개방도 제어한다(스텝 S7). 한편, 엔진 온도(Te)가 제 3 기준값 이상이라고 판별한 경우(스텝 S5; 예), 오토 초크 장치(100)는 제 2 관계 정보에 기초해서 초크 밸브(9)를 개방도 제어한다(스텝 S6). 또한, 스텝 S3, S6, S7에 있어서, 시동이 성공한 후는, 개방도 제어부(120)는 초크 밸브(9)의 개방도를 크게 해서 통상의 엔진(1)의 운전 상태의 개방도로 제어한다.
본 개시는 상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실시형태에 변형을 더한 형태나, 복수의 실시형태를 적당 조합한 형태도 포함한다.
(요약)
상기 각 실시형태에 기재의 내용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파악된다.
(1) 본 개시에 따른 오토 초크 장치(100)는,
엔진(1)의 흡기 통로에 설치된 초크 밸브(9)의 개방도를 제어하기 위한 오토 초크 장치(100)에 있어서,
제 1 온도 센서(2)가 계측하는 엔진 온도와, 제 2 온도 센서(10)가 계측하는 외기 온도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부(110)와,
상기 외기 온도 또는 상기 외기 온도와 상기 엔진 온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초크 밸브(9)의 개방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개방도 제어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서는, 엔진 온도 뿐만이 아니라 외기 온도도 초크 밸브(9)의 개방도의 제어에 사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엔진 온도가 낮아도 외기 온도가 높으면 초크 동작을 작동시키지 않도록 초크 밸브(9)의 개방도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외기 온도와 엔진 온도의 비교에 의해, 엔진 운전 이력의 유무도 감안하여 초크 밸브(9)의 개방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초크 밸브(9)의 개방도 제어에 의해, 엔진(1)의 시동의 실패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다.
(2)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에 기재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외기 온도가 제 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개방도 제어부(120)는 상기 개방도를 완전개방 상태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과 같이 엔진 온도에만 주목해서 초크 밸브(9)의 개방도를 제어하는 구성이면 초크 밸브(9)의 개방도를 폐쇄로 제어하는 것 같은 낮은 엔진 온도여도, 상기 구성에서는, 외기 온도가 제 1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초크 밸브(9)의 개방도를 완전개방 상태로 제어한다. 그 때문에, 점화 플러그(3)의 파울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엔진(1)의 시동에 실패하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3)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엔진 온도와 상기 개방도와의 관계성을 나타내는 복수의 관계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130)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개방도 제어부(120)는, 상기 엔진 온도와 상기 외기 온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복수의 관계 정보로부터 하나의 상기 관계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한 상기 관계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개방도를 제어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엔진 온도와 외기 온도의 비교 결과에 따른 관계 정보를 사용해서 초크 밸브(9)의 개방도를 제어하기 때문에, 시동에 적절한 공연비가 되도록 초크 밸브(9)의 개방도를 제어해서 시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3)에 기재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계 정보는, 제 1 관계 정보와, 상기 제 1 관계 정보에 비해 상기 엔진 온도가 동일 온도인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개방도가 큰 관계 정보인 제 2 관계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엔진 온도와 외기 온도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제 1 관계 정보와 제 2 관계 정보를 구분하여 사용해서 초크 밸브(9)의 개방도를 제어한다. 그 때문에, 초크 밸브(9)의 개방도를 용이하게 적정값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5)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3) 또는 (4)에 기재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계 정보는 상기 초크 밸브(9)의 최저 개방도가 완전폐쇄 상태의 개방도인 제 1 관계 정보와, 상기 초크 밸브(9)의 최저 개방도가 상기 완전폐쇄 상태의 개방도가 아닌 제 2 관계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통상의 초크 동작으로 공연비가 적절한 경우에는, 제 1 관계 정보를 사용하고, 통상의 초크 동작에서는 공연비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 2 관계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불필요한 초크 동작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예를 들면 점화 플러그(3)의 파울링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6)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4) 또는 (5)에 기재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개방도 제어부(120)는, 상기 엔진 온도가 상기 외기 온도에 대해서 제 2 기준값 이상만큼 높은 온도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 1 관계 정보를 사용해서 상기 개방도를 제어한다.
상기 구성에서는, 엔진(1)의 운전 이력에 의해 엔진 온도가 외기 온도에 대해서 제 2 기준값 이상만큼 높아지지 않은 경우는, 제 1 관계 정보를 사용해서 초크 밸브(9)의 개방도가 비교적 작아지도록 제어된다. 그 때문에, 엔진(1)의 운전 이력에 의해 엔진 온도가 높아지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도 적절한 초크 밸브(9)의 개방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7)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4)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개방도 제어부(120)는, 상기 엔진 온도가 상기 외기 온도에 대해서 제 2 기준값 이상만큼 높은 온도이며, 또한 상기 엔진 온도가 제 3 기준값보다 높은 온도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관계 정보를 사용해서 상기 개방도를 제어한다.
상기 구성에서는, 엔진(1)의 운전 이력에 의해 엔진 온도가 외기 온도에 대해서 제 2 기준값 이상만큼 높고, 또한 엔진 온도가 제 3 기준값보다 높은 온도인 경우에는, 제 2 관계 정보를 사용해서 초크 밸브(9)의 개방도가 비교적 커지도록 제어된다. 그 때문에, 온도 상태에 엔진(1)의 운전 이력의 영향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적절한 초크 밸브(9)의 개방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8)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4)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계 정보 및/또는 상기 제 2 관계 정보는,
상기 엔진 온도의 변화에 대해서 상기 개방도가 최저 개방도로 일정한 제 1 온도 영역과,
상기 엔진 온도의 변화에 대해서 상기 개방도가 최고 개방도로 일정한 제 2 온도 영역과,
상기 엔진 온도에 따라서 상기 개방도가 변화하는 제 3 온도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엔진 온도에 적절한 초크 밸브(9)의 개방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9)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엔진 온도는 상기 엔진(1)에 점화하기 위한 점화 코일(13)의 온도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초크 밸브(9)의 개방도를 고정밀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점화 코일(13)의 온도에 기초한 다른 제어와 조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1: 엔진 2: 제 1 온도 센서
3: 점화 플러그 4: 흡기 밸브
5: 배기 밸브 6: 흡기관
7: 기화기 8: 스로틀 밸브
9: 초크 밸브 10: 제 2 온도 센서
11: 스텝 모터 12: 발전기
13: 점화 코일 31: 파선
32: 실선 100: 오토 초크 장치
110: 취득부 120: 개방도 제어부
130: 기억부

Claims (9)

  1. 엔진의 흡기 통로에 설치된 초크 밸브의 개방도를 제어하기 위한 오토 초크 장치에 있어서,
    제 1 온도 센서가 계측하는 엔진 온도와, 제 2 온도 센서가 계측하는 외기 온도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부와,
    상기 외기 온도와 상기 엔진 온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초크 밸브의 개방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개방도 제어부를 구비하는
    오토 초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온도가 제 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개방도 제어부는 상기 개방도를 완전개방 상태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오토 초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온도와 상기 개방도와의 관계성을 나타내는 복수의 관계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개방도 제어부는 상기 엔진 온도와 상기 외기 온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복수의 관계 정보로부터 하나의 상기 관계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한 상기 관계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개방도를 제어하는
    오토 초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계 정보는, 제 1 관계 정보와, 상기 제 1 관계 정보에 비해 상기 엔진 온도가 동일 온도인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개방도가 큰 관계 정보인 제 2 관계 정보를 포함하는
    오토 초크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계 정보는 상기 초크 밸브의 최저 개방도가 완전폐쇄 상태의 개방도인 제 1 관계 정보와, 상기 초크 밸브의 최저 개방도가 상기 완전폐쇄 상태의 개방도가 아닌 제 2 관계 정보를 포함하는
    오토 초크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도 제어부는, 상기 엔진 온도가 상기 외기 온도에 대해서 제 2 기준값 이상만큼 높은 온도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 1 관계 정보를 사용해서 상기 개방도를 제어하는
    오토 초크 장치.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도 제어부는, 상기 엔진 온도가 상기 외기 온도에 대해서 제 2 기준값 이상만큼 높은 온도이며, 또한 상기 엔진 온도가 제 3 기준값보다 높은 온도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관계 정보를 사용해서 상기 개방도를 제어하는
    오토 초크 장치.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계 정보 및/또는 상기 제 2 관계 정보는,
    상기 엔진 온도의 변화에 대해서 상기 개방도가 최저 개방도로 일정한 제 1 온도 영역과,
    상기 엔진 온도의 변화에 대해서 상기 개방도가 최고 개방도로 일정한 제 2 온도 영역과,
    상기 엔진 온도에 따라서 상기 개방도가 변화하는 제 3 온도 영역을 포함하는
    오토 초크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온도는 상기 엔진에 점화하기 위한 점화 코일의 온도인
    오토 초크 장치.
KR1020237003697A 2020-12-21 2021-12-15 오토 초크 장치 KR202300343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211097A JP7496302B2 (ja) 2020-12-21 オートチョーク装置
JPJP-P-2020-211097 2020-12-21
PCT/JP2021/046183 WO2022138356A1 (ja) 2020-12-21 2021-12-15 オートチョーク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348A true KR20230034348A (ko) 2023-03-09

Family

ID=82159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3697A KR20230034348A (ko) 2020-12-21 2021-12-15 오토 초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34348A (ko)
WO (1) WO202213835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6757A (ja) 2004-03-12 2005-09-22 Honda Motor Co Ltd オートチョー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72A (en) * 1979-01-11 1980-01-08 Yamaha Motor Co Ltd Choke valve control system
JPH04116256A (ja) * 1990-09-04 1992-04-16 Kubota Corp 電子ガバナー
JPH09280113A (ja) * 1996-04-10 1997-10-28 Mitsubishi Heavy Ind Ltd オートチョーク弁付気化器
JP4641462B2 (ja) * 2005-07-29 2011-03-02 ハスクバーナ・ゼノア株式会社 携帯型作業機用エンジンのオートチョーク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990838B2 (ja) * 2008-04-25 2012-08-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汎用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3204533A (ja) * 2012-03-29 2013-10-07 Hitachi Koki Co Ltd エンジン作業機
JP2016118156A (ja) * 2014-12-20 2016-06-30 日立工機株式会社 エンジン作業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6757A (ja) 2004-03-12 2005-09-22 Honda Motor Co Ltd オートチョー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8356A1 (ja) 2022-06-30
JP2022097866A (ja)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458290B (sv) Anordning foer styrning av laddtrycket i en turboladdad foerbraenningsmotor
US8000880B2 (en) Fuel quality detection using torque and engine speed
JP2009191666A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US9657635B2 (en) Wastegate actuator gain adjustment
RU2631583C2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ТЕМПЕРАТУРЫ ДВИГАТЕЛЯ (варианты)
JP2010024991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10006349B2 (en) Wastegate control
JP4760554B2 (ja) 内燃機関の制御システム
KR20230034348A (ko) 오토 초크 장치
JP2006183539A5 (ko)
EP1323911A2 (en) Engine fuel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requested idle air quantity
JP7496302B2 (ja) オートチョーク装置
JP5246046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4457361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4654946B2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US20060219222A1 (en) Fuel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20094532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5045601B2 (ja) エンジンシステムの異常診断装置
JP4696797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20230037624A (ko) 시동 실패 판정·검지 장치 및 시동 실패 판정·검지 방법
JP2017008721A (ja) ブローバイガス制御装置
JP4353022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4143969A (ja) 内燃機関の冷却制御装置
JP5327084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7487091B2 (ja) ハンチング検知装置及びハンチング検知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