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850A - 전자 팽창 밸브 - Google Patents

전자 팽창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2850A
KR20230032850A KR1020220061911A KR20220061911A KR20230032850A KR 20230032850 A KR20230032850 A KR 20230032850A KR 1020220061911 A KR1020220061911 A KR 1020220061911A KR 20220061911 A KR20220061911 A KR 20220061911A KR 20230032850 A KR20230032850 A KR 20230032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sleeve
nut seat
seat
connection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쥔 짜오
용하오 천
Original Assignee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32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8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4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5/00Details relating to contact between valve members and seats
    • F16K25/005Particular materials for seats or closur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1/00Details of ejectors not being used as compression device; Details of flow restrictors or expansion valves
    • F25B2341/06Details of flow restrictors or expansion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Valve Housing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 냉동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팽창 밸브에 관한 것이다. 전자 팽창 밸브에 있어서, 밸브 시트, 너트 시트 및 연결 슬리브를 포함한다. 너트 시트는 연결 슬리브에 관통 설치되고, 너트 시트와 연결 슬리브는 밸브 시트에 장착된다. 연결 슬리브는 서로 연결된 본체부 및 삽입부를 포함한다. 본체부는 너트 시트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삽입부는 너트 시트를 따라 연결 슬리브에 관통 설치되어 너트 시트에 삽입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즉, 연결 슬리브에 삽입부를 포함시킴으로써 삽입부가 너트 시트에 삽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슬리브와 너트 시트 사이의 연결 강도가 강화되었다. 또한 연결 슬리브와 밸브 시트 장착 시의 접촉 면적도 증가시키고 너트 시트, 연결 슬리브 및 밸브 시트의 세 요소 간의 결합 강도와 설치 수직도를 향상시켰다.

Description

전자 팽창 밸브{ELECTRONIC EXPANSION VAVLE}
본 발명은 공조 냉동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팽창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인버터 에어컨이 보급됨에 따라 전자 팽창 밸브는 인버터 에어컨의 주요 부품으로서, 그 성능이 에어컨의 쾌적성, 에너지 절약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종래의 전자 팽창 밸브 중의 연결 슬리브와 너트 시트 사이의 결합 면적이 작아, 너트 시트와 연결 슬리브 및 밸브 시트 사이의 연결 강도가 크게 낮아졌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너트 시트, 연결 슬리브 및 밸브 시트 사이 연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 팽창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기술적 해결책을 제공한다.
전자 팽창 밸브에 있어서, 밸브 시트, 너트 시트 및 연결 슬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연결 슬리브에 관통 설치된다. 상기 너트 시트와 상기 연결 슬리브는 상기 밸브 시트에 장착된다. 상기 연결 슬리브는 서로 연결된 본체부 및 삽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너트 시트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너트 시트를 따라 상기 연결 슬리브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너트 시트에 삽입된다.
본 출원은 상기 연결 슬리브에 상기 삽입부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삽입부가 상기 너트 시트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연결 슬리브와 상기 너트 시트 사이의 연결 강도를 강화시킴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슬리브와 상기 밸브 시트 장착 시 접촉 면적도 증가시키고 상기 너트 시트, 상기 연결 슬리브 및 상기 밸브 시트 세 요소 간의 결합 강도와 설치 수직도를 향상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일단에는 상기 너트 시트를 장착하기 위한 개구가 개설된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개구에서 먼 일단에 위치한다. 상기 삽입부는 환형이다. 상기 삽입부 상에는 제1 연결 홀이 개설된다. 상기 너트 시트 일단은 상기 개구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제1 연결 홀로부터 상기 연결 슬리브를 관통해 나간다.
상기 삽입부 상에 상기 너트 시트를 관통 연결하기 위한 상기 제1 연결 홀을 개설함으로써, 상기 연결 슬리브와 상기 너트 시트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 슬리브와 상기 밸브 시트 사이의 접촉 면적도 증가시킴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너트 시트, 상기 연결 슬리브 및 상기 밸브 시트 세 요소 사이의 연결 강도 및 설치 수직도가 향상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 상에는 제2 연결 홀이 더 개설된다. 상기 제2 연결 홀과 상기 제1 연결 홀은 서로 연통된다.
상기 삽입부 상에 상기 제1 연결 홀과 서로 연통되는 상기 제2 연결 홀을 개설함으로써, 상기 너트 시트와 상기 연결 슬리브 사이의 접촉 면적을 더욱 증가시킴을 이해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너트 시트와 상기 연결 슬리브 사이의 연결 강도를 더욱 강화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복수의 돌출 리브이며, 복수의 상기 돌출 리브는 상기 본체부 내벽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다.
상기 본체부 내벽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상기 돌출 리브를 이격 설치함으로써, 상기 너트 시트와 상기 연결 슬리브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 시트와 상기 연결 슬리브 사이의 연결 강도를 강화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너트 시트는 서로 연결된 장착 구간 및 가이드 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구간은 상대적으로 상기 밸브 시트에 근접한 일단에 위치한다. 상기 장착 구간은 상기 연결 슬리브와 서로 맞닿는다. 상기 가이드 구간의 일단은 상기 제1 연결 홀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제1 연결 홀의 공경은 상기 가이드 구간의 외경보다 작다.
상기 제1 연결 홀의 공경을 상기 가이드 구간의 최대 직경보다 작게 함으로써, 상기 너트 시트와 상기 연결 슬리브 사이의 삽입 깊이를 증가시킴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 시트와 상기 연결 슬리브 사이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벽 상에는 나사산 구간이 설치된다. 상기 나사산 구간은 상기 본체부 내벽 둘레 방향을 따라 둘레를 돌아 설치된다.
상기 본체부 내벽 상에 상기 나사산 구간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너트 시트와 상기 연결 슬리브 사이 사출 성형의 결합 강도를 증가시킴을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슬리브의 경도는 상기 너트 시트의 경도보다 크고, 및/또는 상기 연결 슬리브의 경도는 상기 밸브 시트의 경도보다 크거나 같다.
상기 연결 슬리브의 경도를 상기 너트 시트의 경도보다 크게 함으로써, 상기 연결 슬리브가 상기 너트 시트의 무결성을 보호하고 너트 시트 나사산의 신뢰성을 향상시킴을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슬리브는 분말 야금 부재, 스테인리스강 부재 또는 구리 부재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슬리브의 내벽 상에는 노치가 개설된다. 상기 노치는 상기 연결 슬리브의 상기 밸브 시트에서 먼 일단에 위치한다. 상기 너트 시트 상에는 밸런스 홀이 설치된다. 상기 노치와 상기 밸런스 홀은 서로 연통된다.
상기 연결 슬리브의 내벽 상에 상기 밸런스 홀과 연통하는 상기 노치를 개설함으로써, 상기 전자 팽창 밸브 내의 매질 압력의 균형을 맞출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슬리브의 외벽 상에는 회전 정지부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 슬리브는 상기 밸브 시트에 장착된다. 상기 회전 정지부는 상기 밸브 시트와 매칭되어, 원주 방향으로 상기 연결 슬리브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슬리브의 외벽 상에 상기 회전 정지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연결 슬리브와 상기 밸브 시트 사이의 연결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본 출원은 상기 연결 슬리브에 상기 삽입부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삽입부를 상기 너트 시트에 삽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 슬리브와 상기 너트 시트 사이의 연결 강도를 강화하였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슬리브와 상기 밸브 시트 장착 시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상기 너트 시트, 상기 연결 슬리브 및 상기 밸브 시트 세 요소 간의 결합 강도와 설치 수직도를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시트와 연결 슬리브 조립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연결 슬리브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연결 슬리브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연결 슬리브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연결 슬리브의 평면 구조도이다.
100은 전자 팽창 밸브, 10은 밸브 시트, 20은 너트 시트, 21은 장착 구간, 22는 가이드 구간, 23은 밸런스 홀, 30은 연결 슬리브, 31은 본체부, 311은 개구, 312는 나사산 구간, 313은 노치, 314는 장착 캐비티, 32는 삽입부, 321은 제1 연결 홀, 322는 제2 연결 홀, 33은 회전 정지부, 331은 협각 구간, 40은 밸브 니들, 50은 밸브 슬리브, 60은 회전자, 70은 스크류 로드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해결책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원에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방식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에 유의한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장착된다"고 설명된 경우, 이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장착되거나 중간에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설치된다"고 설명된 경우, 이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설치되거나 중간에 구성 요소가 동시에 존재할 수도 있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된다"고 설명된 경우, 이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고정되거나 중간에 구성 요소가 동시에 존재할 수도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수직의", "수평의", "좌", "우" 및 유사한 표현은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고유한 실시방식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출원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하다. 본원에서 본 출원의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또는/및"은 하나 이상의 관련하여 나열된 항목의 임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전자 팽창 밸브(100)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는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며, 조절 매개변수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 신호를 이용해, 전자 팽창 밸브(100) 상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액체 공급량을 조절하는 목적을 구현한다.
종래의 전자 팽창 밸브 중의 연결 슬리브와 너트 시트 사이의 결합 면적이 작아, 너트 시트와 연결 슬리브 및 밸브 시트 사이의 연결 강도가 크게 낮아졌다.
종래의 전자 팽창 밸브의 너트 시트, 연결 슬리브 및 밸브 시트 사이의 연결 강도가 낮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자 팽창 밸브(100)를 제공한다. 여기에는 밸브 시트(10), 너트 시트(20) 및 연결 슬리브(30)가 포함된다. 너트 시트(20)는 연결 슬리브(30)에 관통 설치되고, 너트 시트(20)와 연결 슬리브(30)는 밸브 시트(10)에 장착된다. 연결 슬리브(30)는 서로 연결된 본체부(31) 및 삽입부(32)를 포함한다. 본체부(31)는 너트 시트(20)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삽입부(32)는 너트 시트(20)를 따라 연결 슬리브(30)에 관통 설치되어 너트 시트(20)에 삽입된다.
본 출원은 연결 슬리브(30)에 삽입부(32)를 포함시킴으로써, 삽입부(32)를 너트 시트(20)에 삽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슬리브(30)와 너트 시트(20) 사이의 연결 강도를 강화시킨다. 또한 연결 슬리브(30)와 밸브 시트(10) 장착 시 접촉 면적도 증가시키고 너트 시트(20), 연결 슬리브(30) 및 밸브 시트(10)의 세 요소 간의 결합 강도와 설치 수직도를 향상시킨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팽창 밸브(100)는 너트 시트(20)에 관통 설치되는 밸브 니들(40)을 더 포함한다. 밸브 니들(40)은 너트 시트(20)에 대해 밸브 시트(10)의 축선을 따라 운동하여, 전자 팽창 밸브(100)에 대해 유량 조절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너트 시트(2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작한다. 이를 통해 너트 시트(20)의 중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출 가공 성형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 과정에서 너트 시트(20) 내의 나사산의 품질도 보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너트 시트(20)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henylenesulfide, PPS)로 제작한다. PPS는 자기 윤활성이 있어 밸브 니들(40)과 너트 시트(20) 사이의 마손을 감소시키고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너트 시트(20)는 분말 야금 등 재질로 가공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금속 재질을 사용해 가공한 너트 시트(20)는 절삭량이 많고 암나사산 가공 품질이 불안정함에 유의한다. 이러한 결함을 극복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너트 시트(20)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작한다. 그러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금속 재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드럽다. 따라서 너트 시트(20)를 밸브 시트(10)에 가압 조립하는 과정에서 너트 시트(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너트 시트(20)와 밸브 시트(10) 사이에 연결 슬리브(30)가 설치된다. 연결 슬리브(30)의 설치는 너트 시트(20)의 무결성을 보호하고 암나사산의 가공 품질을 충분히 안정적으로 만들어 제품의 품질을 보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슬리브(30)의 경도는 너트 시트(20)의 경도보다 크다. 및/또는 연결 슬리브(30)의 경도는 밸브 시트(10)의 경도보다 크거나 같다. 연결 슬리브(30)의 경도가 너트 시트(20)의 경도보다 크도록 함으로써, 연결 슬리브(30)가 너트 시트(20)의 무결성을 보호하도록 만들어 너트 시트 나사산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연결 슬리브(30)의 경도가 밸브 시트(10)의 경도보다 크거나 같도록 함으로써, 연결 슬리브(30)가 밸브 시트(10)에 가압 조립될 때 약간 변형되거나 기본적으로 변형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밸브 시트(10)는 황동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강이며, 일정한 변형이 허용되고, 내부의 인서트 치수의 안정성을 보호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슬리브(30)는 분말 야금 부재, 스테인리스강 부재 또는 구리 부재이다.
또한 본체부(31) 일단에는 너트 시트(20) 장착을 위한 개구(311)가 개설된다. 삽입부(32)는 본체부(31)의 개구(311)에서 먼 일단에 위치한다. 본체부(31)는 대체적으로 내부가 중공이고 양단이 관통되는 원기둥형이다. 삽입부(32)는 본체부(31)의 개구(311)에서 먼 일단에 위치하며 본체부(31) 반경 방향을 향해 연장된다. 물론 본체부(31)는 원기둥형으로 마련되는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체부(31)는 다른 형상일 수도 있으며 이는 여기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연결 슬리브(30)를 사출 몰드에 넣고 너트 시트(20)의 사출 성형을 수행한다. 너트 재료는 개구(311)로부터 연결 슬리브(30)로 연장 진입된다. 너트 시트(20)의 일부분은 연결 슬리브(30)의 장착 캐비티(314)에 위치하며, 다른 일부분은 상기 삽입부(32)로부터 관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너트 시트(20)와 연결 슬리브(30) 사이의 사출을 구현하기가 용이하며, 사출 완료된 너트 시트(20)와 연결 슬리브(30)를 일체로 이형시키기만 하면 된다.
또한 연결 슬리브(30)의 외벽 상에 회전 정지부(33)가 개설된다. 연결 슬리브(30)는 밸브 시트(10)에 장착된다. 회전 정지부(33)는 밸브 시트(10)와 매칭되어 원주 방향으로 연결 슬리브(30)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설명하자면, 대체적으로 원기둥형인 연결 슬리브(30)는 밸브 시트(10)와의 조립 과정에서 밸브 시트(10)에 상대적으로 회전하기 쉬우며, 이는 연결 슬리브(30)와 밸브 시트(10) 사이의 조립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연결 슬리브(30)의 외벽면 상에 연결 슬리브(30)가 밸브 시트(10)에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회전 정지부(33)를 설치해야 한다. 이를 통해 연결 슬리브(30)와 밸브 시트(10) 사이의 연결 강도와 설치 수직도를 강화한다.
구체적으로, 회전 정지부(33)는 연결 슬리브(30) 외벽 상에 설치된 평면 또는 호면이다. 여기에서 주의할 점은, 회전 정지부(33)가 호면으로 설치될 경우, 연결 슬리브(30) 외벽면과의 호면이 동심이 아니도록 설치하여, 연결 슬리브(30) 외벽면의 호면과 겹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회전 정지부(33)가 연결 슬리브(30) 외벽 상에 설치된 평면 또는 호면일 경우, 회전 정지부(33)와 연결 슬리브(30) 외벽면 사이에는 하나의 협각 구간(331)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슬리브(30)가 밸브 시트(10)에 상대적으로 회전하면, 협각 구간(331)이 밸브 시트(10) 상에 맞닿아 위치를 제한한다. 이는 연결 슬리브(30)가 밸브 시트(10)에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삽입부(32) 상에 제1 연결 홀(321)이 개설된다. 너트 시트(20)는 서로 연결된 장착 구간(21) 및 가이드 구간(22)을 포함한다. 가이드 구간(22)은 상대적으로 밸브 시트(10)에 근접한 일단에 위치한다. 장착 구간(21)은 장착 캐비티(314) 내에 위치한다. 가이드 구간(22)은 제1 연결 홀(321)로부터 연장되어 나온다.
삽입부(32) 상에 너트 시트(20)를 관통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 홀(321)을 개설함으로써, 연결 슬리브(30)와 너트 시트(20)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연결 슬리브(30)와 밸브 시트(10) 사이의 접촉 면적도 증가시킴에 유의한다. 따라서 너트 시트(20), 연결 슬리브(30) 및 밸브 시트(10) 세 요소 사이의 연결 강도 및 설치 수직도가 향상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삽입부(32)는 환형이다. 이때 연결 슬리브(30) 축방향 단면을 따라, 연결 슬리브(30)의 단면이 "L"형이다. "L'형의 긴 변은 본체부(31)이며, "L"형의 짧은 변은 둥근 환형의 삽입부(32)이다. 단면이 "I"형인 연결 슬리브(30)에 비해, "L"형의 연결 슬리브(30)는 삽입부(32)의 구조가 추가된다. 상기 구조의 추가는 연결 슬리브(30)와 너트 시트(20)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연결 슬리브(30)와 밸브 시트(10) 사이의 접촉 면적도 증가시킨다. 접촉 면적 증가는 결합 면적도 증가시키며 너트 시트(20), 연결 슬리브(30) 및 밸브 시트(10) 세 요소 사이의 연결 강도와 설치 수직도를 강화시킨다.
또한 본체부(31)의 내벽 상에는 나사산 구간(312)이 설치된다. 나사산 구간(312)은 본체부(31) 내벽 둘레 방향을 따라 둘레를 돌아 설치되며, 나사산 구간(312)과 본체부(31)는 동축으로 설치된다. 연결 슬리브(30)를 너트 시트(20) 상에 사출하면, 나사산 구간(312)은 매칭 면적을 증가시켜 연결 슬리브(30)를 더욱 안정적으로 너트 시트(20) 상에 연결시킬 수 있다.
본체부(31)의 내벽 상에 나사산 구간(312)을 설치하는 것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환형 오목홈 등 다른 구조를 설치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연결 슬리브(30)를 너트 시트(20) 상에 사출할 수 있을 때 너트 시트(20)와 연결 슬리브(30)의 매칭 면적을 증가시켜, 연결 슬리브(30)를 더욱 안정적으로 너트 시트(20) 상에 연결할 수만 있으면 된다. 여기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너트 시트(20)와 연결 슬리브(30)를 일체로 사출 성형한 후 밸브 시트(10)에 조립할 때, 제1 연결 홀(321)의 공경은 가이드 구간(22)의 외경보다 작다. 제1 연결 홀(321)의 공경이 가이드 구간(22)의 외경보다 작다는 것은, 삽입부(32)가 이미 너트 시트(20)에 삽입되었으며, 너트 시트(20)와 보다 견고한 연결을 형성하였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너트 시트(20)와 연결 슬리브(30) 사이의 연결 강도와 설치 수직도를 크게 향상시킨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삽입부(32) 상에는 제2 연결 홀(322)이 더 개설된다. 제2 연결 홀(322)은 제1 연결 홀(321)과 서로 연통된다. 제2 연결 홀(322)은 긴 띠형이며, 제2 연결 홀(322)의 길이는 제1 연결 홀(321)의 공경보다 크다. 이러한 방식으로 너트 시트(20)가 연결 슬리브(30)에 사출될 때 연결 슬리브(30)와 너트 시트(20) 사이의 접촉 면적을 더욱 증가시키고, 너트 시트(20)와 연결 슬리브(30) 사이의 연결 강도와 설치 수직도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물론 제2 연결 홀(322)은 긴 띠형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원형, 삼각형 등 기타 형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제1 연결 홀(321)이 개설되는 것을 기반으로 너트 시트(20)와 연결 슬리브(30)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만 있으면 된다. 여기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삽입부(32)는 복수의 돌출 리브이며, 복수의 돌출 리브는 본체부(31) 내벽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다. 물론 삽입부(32)가 복수의 돌출 리브일 때, 연결 슬리브(30)의 축방향을 따라 절개하며, 연결 슬리브(30)의 단면은 여전히 "L"형이다. 복수의 돌출 리브가 이격 설치되므로, 너트 시트(20)가 연결 슬리브(30)에 사출될 때 돌출 리브 사이의 갭도 너트 시트(20)와 연결 슬리브(30)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며, 너트 시트(20)와 연결 슬리브(30) 사이의 연결 강도와 설치 수직도가 더 강화됨을 나타낸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삽입부(32)는 다른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다. 너트 시트(20)와 연결 슬리브(30)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만 있기만 하면 되므로, 여기에서 일일이 나열하지 않기로 한다.
또한 본체부(31) 상에는 노치(313)가 개설된다. 노치(313)는 연결 슬리브(30)의 개구(311)에 근접한 일단에 위치한다. 너트 시트(20) 상에는 밸런스 홀(23)이 설치되며, 노치(313)와 밸런스 홀(23)은 서로 연통된다. 연결 슬리브(30)의 내벽 상에 밸런스 홀(23)과 연통되는 노치(313)를 개설함으로써, 전자 팽창 밸브(100) 내의 매질 압력의 균형을 맞춘다.
전자 팽창 밸브(100)에 있어서, 용이한 장착을 위해 본 실시예 중의 연결 슬리브(30)는 너트 시트(20) 외벽 상에 사출한다. 먼저 하나의 간단한 금속 연결 슬리브(30)를 가공한다. 그 다음 PPS 재질의 너트 시트(20)와 금속 연결 슬리브(30)를 함께 하나의 전체로 사출한다. 그 후 일체로 밸브 시트(10)에 끼워맞춤 압입하여 고정된다. 압입 시 금속 연결 슬리브(30) 상에 힘이 인가된다.
전자 팽창 밸브(100)는 밸브 슬리브(50), 회전자(60), 스크류 로드(70) 및 코일(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회전자(60)는 너트 시트(20)에 연결된다. 밸브 슬리브(50)는 너트 시트(20) 밖을 덮도록 설치되며, 밸브 시트(10)와 용접된다. 스크류 로드(70)는 너트 시트(20) 내에 설치되고 너트 시트(20)와 나사산 연결된다. 스크류 로드(70)는 밸브 니들(40)과 회전 연결된다. 코일은 밸브 슬리브(50) 밖에 설치된다. 코일이 통전되면 회전자(60)가 회전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으며, 회전자(60)는 스크류 로드(70)를 회전시킨다. 너트 시트(20)가 밸브 시트(10)에 의해 위치가 제한되기 때문에, 너트 시트(20)는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크류 로드(70)가 축방향으로 운동하도록 구동하며, 밸브 니들(40)이 너트 시트(20)의 축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동한다.
전술한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은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설명하지 않았으나, 기술적 특징의 조합에 모순이 없는 한 이는 모두 본 발명에 기술된 범위로 간주되어야 한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출원의 다양한 실시예를 표현한 것으로 설명이 비교적 구체적이고 상세하나, 본 출원 특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출원이 속한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수정 및 개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 특허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Claims (10)

  1. 전자 팽창 밸브에 있어서,
    밸브 시트(10), 너트 시트(20) 및 연결 슬리브(30)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 시트(20)는 상기 연결 슬리브(30)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너트 시트(20)와 상기 연결 슬리브(30)는 상기 밸브 시트(10)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 슬리브(30)는 서로 연결된 본체부(31) 및 삽입부(32)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31)는 상기 너트 시트(20)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삽입부(32)는 상기 너트 시트(20)를 따라 상기 연결 슬리브(30)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너트 시트(20)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31) 일단에는 상기 너트 시트(20)를 장착하기 위한 개구(311)가 개설되고, 상기 삽입부(32)는 상기 본체부(31)의 상기 개구(311)에서 먼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삽입부(32)는 환형이고, 상기 삽입부(32) 상에는 제1 연결 홀(321)이 개설되고, 상기 너트 시트(20) 일단은 상기 개구(311)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 홀(321)로부터 상기 연결 슬리브(30)를 관통해 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32) 상에는 제2 연결 홀(322)이 더 개설되고, 상기 제2 연결 홀(322)과 상기 제1 연결 홀(321)은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32)는 복수의 돌출 리브이고, 복수의 상기 돌출 리브는 상기 본체부(31) 내벽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시트(20)는 서로 연결된 장착 구간(21) 및 가이드 구간(22)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구간(22)은 상대적으로 상기 밸브 시트(10)에 근접한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장착 구간(21)은 상기 연결 슬리브(30)와 서로 맞닿고, 상기 가이드 구간(22)의 일단은 상기 제1 연결 홀(321)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연결 홀(321)의 공경은 상기 가이드 구간(22)의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31)의 내벽 상에는 나사산 구간(312)이 설치되고, 상기 나사산 구간(312)은 상기 본체부(31) 내벽 둘레 방향을 따라 둘레를 돌아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슬리브(30)의 경도는 상기 너트 시트(20)의 경도보다 크고,
    및/또는 상기 연결 슬리브(30)의 경도는 상기 밸브 시트(10)의 경도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슬리브(30)는 분말 야금 부재, 스테인리스강 부재 또는 구리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슬리브(30)의 내벽 상에는 노치(313)가 개설되고, 상기 노치(313)는 상기 연결 슬리브(30)의 상기 밸브 시트(10)에서 먼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너트 시트(20) 상에는 밸런스 홀(23)이 설치되고, 상기 노치(313)와 상기 밸런스 홀(23)은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슬리브(3)의 외벽 상에는 회전 정지부(33)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 슬리브(30)는 상기 밸브 시트(10)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 정지부(33)는 상기 밸브 시트(10)와 매칭되어 원주 방향으로 상기 연결 슬리브(30)의 위치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KR1020220061911A 2021-08-31 2022-05-20 전자 팽창 밸브 KR202300328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22091282.9U CN215983359U (zh) 2021-08-31 2021-08-31 电子膨胀阀
CN202122091282.9 2021-08-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850A true KR20230032850A (ko) 2023-03-07

Family

ID=80521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911A KR20230032850A (ko) 2021-08-31 2022-05-20 전자 팽창 밸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319429B2 (ko)
KR (1) KR20230032850A (ko)
CN (1) CN21598335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9366819U (zh) * 2022-01-28 2023-07-18 浙江盾安禾田金属有限公司 螺母座及电子膨胀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0123018U (zh) * 2019-06-12 2020-03-03 浙江盾安禾田金属有限公司 电子膨胀阀
JP7123020B2 (ja) * 2019-09-03 2022-08-22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弁及び冷凍サイクルシステム
CN112576762A (zh) * 2019-09-27 2021-03-30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电动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19429B2 (ja) 2023-08-01
CN215983359U (zh) 2022-03-08
JP2023035813A (ja) 202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1974B2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
US7871059B2 (en) Valve for adjusting the flow-rate of fluids, particularly refrigeration fluids
US20080180200A1 (en) Double acting electro-magnetic actor
JP5632406B2 (ja) 流量制御弁
KR20230032850A (ko) 전자 팽창 밸브
WO2012048581A1 (zh) 一种电动阀
JP2023551273A (ja) 電子膨張弁及び冷却機器
WO2018062376A1 (ja) 電動弁
CN113294528A (zh) 电子膨胀阀和制冷设备
CN116697055A (zh) 阀针组件、电子膨胀阀和制冷设备
JP6240243B2 (ja) 電動弁及び電動弁の製造方法
JP6643450B2 (ja) 電動弁
CN109219716A (zh) 电动阀
CN113566460A (zh) 电子膨胀阀
CN215983357U (zh) 电子膨胀阀
WO2022100569A1 (zh) 电动阀
JP2018025308A (ja) 電動弁及び電動弁の製造方法
CN110836562A (zh) 电子膨胀阀及使用该电子膨胀阀的空调系统
CN113566459A (zh) 电子膨胀阀
WO2021059470A1 (ja) バルブコア
CN213711919U (zh) 一种可靠且安装简易的电子膨胀阀
CN110836269B (zh) 电子膨胀阀及使用该电子膨胀阀的空调系统
CN213711918U (zh) 一种电子膨胀阀
JP2015017663A (ja) 流量制御弁及びヒートポンプ装置
CN215983358U (zh) 电子膨胀阀及其空调机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