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9310A -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등록 상품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등록 상품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9310A
KR20230029310A KR1020210111659A KR20210111659A KR20230029310A KR 20230029310 A KR20230029310 A KR 20230029310A KR 1020210111659 A KR1020210111659 A KR 1020210111659A KR 20210111659 A KR20210111659 A KR 20210111659A KR 20230029310 A KR20230029310 A KR 20230029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data
registration
domestic online
dome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4980B1 (ko
Inventor
이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씨디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씨디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씨디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10111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980B1/ko
Publication of KR20230029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9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해외 온라인 마켓과의 연동을 통해 상품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며, 상기 수집한 상품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셋(dataset)을 생성하여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관리하는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상기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상품 등록을 위한 등록용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품을 등록하는 복수의 국내 온라인 마켓에서의 상품 노출과 관련된 상품 관리 정책 데이터가 저장된 정책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복수의 국내 온라인 마켓에 접속하여 등록된 상품에 대한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수집한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와 상품 관리 정책 데이터간의 비교 분석하여 상기 등록한 상품에 대한 재등록이 필요한 국내 온라인 마켓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데이터 분석부와, 상기 재등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재등록용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재등록이 필요한 국내 온라인 마켓에 전송하여 재등록을 요청하는 재등록 요청부를 포함하는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등록 상품 관리 방법{Apparatus for interlocking a domestic online markets of an E-commerce integrated produ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registered produc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에서 국내 온라인 마켓 상에 등록된 상품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온라인 마켓에서는 국내 및 국외에 거주하고 있는 내국인과 외국인 고객을 대상으로 해외 배송이 가능한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온라인 마켓은 해외로 배송되는 상품에 대해서 수출신고품목으로 수출 신고를 하여야 하며 상품 금액에서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후에 판매해야 하는 등 절차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소규모 온라인 마켓을 운영하는 대다수의 판매자는 언어적 장벽과 익숙하지 않은 서비스 환경으로 인해 상품의 등록, 판매가 용이치 못해 오랜 시행착오를 거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상품을 관리하는 사업자들은 수작업으로 각 상품의 상태를 관리한다. 이 경우, 관리자의 실수 또는 마켓 운영자의 실수로 인해 상품의 상태가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는데, 이는 주요 고객의 이탈로 이어질 수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238503호(2021.04.05.등록)
본 발명은 국내 온라인 마켓에 등록된 상품을 주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등록 상품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국내 온라인 마켓의 시간대별 판매량에 의거하여 국내 온라인 마켓의 데이터 수집 시기 또는 시간을 설정한 후 이를 토대로 등록된 상품을 관리할 수 있는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등록 상품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는 복수의 해외 온라인 마켓과의 연동을 통해 상품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며, 상기 수집한 상품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셋(dataset)을 생성하여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관리하는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상품 등록을 위한 등록용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품을 등록하는 복수의 국내 온라인 마켓에서의 상품 노출과 관련된 상품 관리 정책 데이터가 저장된 정책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복수의 국내 온라인 마켓에 접속하여 등록된 상품에 대한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수집한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와 상품 관리 정책 데이터간의 비교 분석하여 상기 등록한 상품에 대한 재등록이 필요한 국내 온라인 마켓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데이터 분석부와, 상기 재등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재등록용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재등록이 필요한 국내 온라인 마켓에 전송하여 재등록을 요청하는 재등록 요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복수의 국내 온라인 마켓 각각에 대한 상기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의 수집 주기 및 수집 항목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수집 주기에 의거하여 국내 온라인 마켓에 접속하여 상기 수집 항목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수집한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등록한 상품에 대한 각 국내 온라인 마켓 상에서의 상품 노출 위치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 노출 위치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국내 온라인 마켓 각각의 상품 노출 변경 주기를 계산하며, 상기 상품 노출 변경 주기를 토대로 상기 국내 온라인 마켓 각각에 대한 수집 주기를 결정하여 상기 데이터 수집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국내 온라인 마켓 각각에 등록된 상품에 대한 상품 판매 현황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상기 국내 온라인 마켓 각각에 대한 수집 시간을 결정한 후 이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 수집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를 이용한 등록 상품 관리 방법은 복수의 해외 온라인 마켓과의 연동을 통해 상품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며, 상기 수집한 상품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셋(dataset)을 생성하여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관리하는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에서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를 통해 등록 상품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는 상기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상품 등록을 위한 등록용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품을 등록하는 복수의 국내 온라인 마켓에서의 상품 노출과 관련된 상품 관리 정책 데이터가 저장된 정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국내 온라인 마켓에 접속하여 등록된 상품에 대한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한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와 상품 관리 정책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등록한 상품에 대한 재등록이 필요한 국내 온라인 마켓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재등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재등록용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재등록이 필요한 국내 온라인 마켓에 전송하여 재등록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등록 요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국내 온라인 마켓 각각에 대한 상기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의 수집 주기 및 수집 항목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수집 주기에 의거하여 국내 온라인 마켓에 접속하여 상기 수집 항목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한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등록한 상품에 대한 각 국내 온라인 마켓 상에서의 상품 노출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생성된 상기 상품 노출 위치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국내 온라인 마켓 각각의 상품 노출 변경 주기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상품 노출 변경 주기를 토대로 상기 국내 온라인 마켓 각각에 대한 수집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한 수집 주기에 의거하여 각 국내 온라인 마켓에 접속하여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국내 온라인 마켓 각각에 등록된 상품에 대한 시간대별 상품 판매 현황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상기 국내 온라인 마켓 각각의 수집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한 수집 시간에 의거하여 각 국내 온라인 마켓에 접속하여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국내 온라인 마켓에 등록된 상품을 주기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상품 판매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국내 온라인 마켓의 시간대별 판매량에 의거하여 국내 온라인 마켓의 데이터 수집 시기 또는 시간을 설정한 후 이를 토대로 등록된 상품을 관리함으로써, 등록 상품에 대한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에서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내외 온라인 마켓 기반의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가 국내 온라인 마켓에 등록된 상품을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가 데이터 수집 과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내외 온라인 마켓 기반의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에서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10)는 복수의 국내 온라인 마켓(210)과 연동되어 데이터를 수집한 후 이를 토대로 복수의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 등록된 상품을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국내 온라인 마켓(210) 각각의 상품 관리 정책 데이터가 저장된 정책 데이터베이스(12),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 접속하여 특정 상품에 대한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부(14), 수집된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와 상품 관리 정책 데이터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 등록된 정보의 변경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부(15) 및 정보 변경이 필요한 경우 재등록용 데이터를 생성하여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 전송하는 재등록 요청부(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품 관리 정책 데이터는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100)에서 상품을 등록한 국내 온라인 마켓(210)의 상품 노출과 관련된 데이터로서, 등록 요청 우선 순위 노출, 가격 우선 순위 노출, 이벤트 우선 순위 노출, 날짜 우선 순위 노출, 판매량 우선 순위 노출 등에 대한 정보를 들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14)는 각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 대한 데이터 수집 주기, 데이터 수집 항목 등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데이터 수집 주기에 의거하여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 접속하여 데이터 수집 항목에 따른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항목은 국내 온라인 마켓(210) 상에서의 상품 노출 위치, 상품 개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부(14)는 복수의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 접속하여 크롤링 방식을 통해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15)는 수집한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각 국내 온라인 마켓(210) 상에서 상품 노출 위치를 추출하며, 추출한 상품 노출 위치에 의거하여 각 국내 온라인 마켓(210) 상에의 상품 노출 위치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관리자측 단말기(도 2의 220)에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석 데이터베이스(18)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분석부(15)는 분석 데이터베이스(18)에 저장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집된 상품 노출 위치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품 노출 위치 변경 주기를 계산하며, 상품 노출 위치 변경 주기에 의거하여 데이터 수집 주기를 결정한 후 이를 토대로 데이터 수집부(14)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수집부(14)는 상품 노출 위치 변경 주기에 따라 결정된 데이터 수집 주기에 의거하여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 접속하여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분석부(15)는 국내 온라인 마켓(210) 각각의 상품 판매 현황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수집 시간을 결정하여 데이터 수집부(14)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분석부(15)는 각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서의 상품 판매 현황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상품 판매 현황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수집 시간을 결정한 후 이를 토대로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도록 데이터 수집부(14)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분석부(15)는 시간대별로 상품 판매 현황 데이터를 토대로 시간대별 상품 판매율을 계산한 후 이를 토대로 가장 높은 상품 판매율을 갖는 시간에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도록 데이터 수집부(14)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데이터 분석부(15)는 도 3의 주문 처리 서버(130)에 의해 생성된 주문 내역 데이터를 토대로 생성된 주문 관리 데이터베이스(132)의 분석을 통해 상품 판매 현황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품 판매 현황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수집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품 판매 현황 데이터에는 주문 내역 데이터의 주문 시간, 해당 국내 온라인 마켓, 상품 판매 가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재등록 요청부(16)는 데이터 분석부(15)의 분석 결과 등록된 상품에 대한 재등록이 필요한 국내 온라인 마켓(210)이 존재할 경우 동작하는 것으로서,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된 데이터셋, 즉 재등록이 필요한 상품에 대응되는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재등록용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재등록이 필요한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 전송하여 재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10)가 적용된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내외 온라인 마켓 기반의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 예컨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장치(100)와 연결되는 복수의 해외 온라인 마켓(200), 복수의 국내 온라인 마켓(2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해외 및 국내 온라인 마켓(200, 210)은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사용자의 온라인 접속을 지원하고, 온라인을 통해 상품 구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마켓 운영자에 의해 운용되는 웹 사이트일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해외 및 국내 온라인 마켓(200, 210)과 연동되는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장치(100)는 복수의 해외 온라인 마켓(200)과 연동하여 해외 온라인 마켓(200)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상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복수의 국내 온라인 마켓(210)을 통해 판매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장치(100)는 해외 온라인 마켓(200)을 통해 상품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국내 온라인 마켓(210)과의 연동을 통해 상품 등록, 상품 수정, 자동 품절 처리, 상품 현황 일괄 조회, 이상 상품 발견 프로세스, 주문 수집, 각종 지연 처리 확인(배송, 구매 결정 등) 등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10)를 통해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 등록된 상품을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장치(100)는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10)를 통해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서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를 토대로 재등록이 필요한지를 결정한 후 이를 토대로 재등록을 요청하여 등록된 상품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장치(100)는 복수의 해외 온라인 마켓(200)과의 연동을 통해 다양한 상품 정보를 수집하는 상품 정보 수집 서버(1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품 정보 수집 서버(110)는 복수의 해외 온라인 마켓(200)에 접속하여 소정의 데이터 수집 방법, 예컨대 크롤링을 통해 복수의 해외 온라인 마켓(200)에서 판매되는 상품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크롤링을 통해 수집되는 상품 정보는 브랜드, 상품명, 시즌, 원산지, 사이즈, 이미지, 카테고리, 상품 개수, 배송 가능일, 실측 사이즈, 재고 수량, 상품의 상세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수집 서버(110)는 상품 정보 내 각 인자, 즉 브랜드, 시즌, 원산지, 카테고리 등을 기 설정된 대표 코드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품 정보 수집 서버(110)는 상품 정보 내 각 인자 중 브랜드, 시즌, 원산지, 카테고리 등과 기 설정된 브랜드 대표 코드, 시즌 대표 코드, 원산지 대표 코드 및 카테고리 코드 등간을 비교하여 검증하고, 검증 결과 변환 가능한 인자들을 대표 코드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각 대표 코드에는 복수의 해외 온라인 마켓(200)에서 사용하는 복수의 브랜드 정보, 원산지 정보, 시즌 정보, 카테고리 정보 등의 데이터가 매칭되어 있다. 이를 통해 상품 정보 수집 서버(110)는 각 대표 코드에 매칭된 데이터와 수집한 상품 정보 내 각 인자간의 비교를 통해 변환이 필요한 인자를 선택하여 각 인자들을 대표 코드로 대표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품 정보 수집 서버(110)는 상품 정보에서 각 인자에 대한 검증을 통해 이미지, 사이즈 등의 누락건이 있을 경우 이미지, 사이즈 중 어느 하나가 누락된 상품 정보에 대한 보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품 정보 수집 서버(110)는 이미지, 사이즈 누락건에 대한 이미지 입력 및 사이즈 입력이 가능한 대시 보드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품 정보 수집 서버(110)는 수집, 대표화 및 수정을 통해 각 상품 정보에 대한 데이터셋(dataset)을 생성하여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12)를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데이터셋은 브랜드 대표 코드, 원산지 대표 코드, 시즌 대표 코드, 카테고리 대표 코드, 이미지, 사이즈, 배송 가능일, 상품 개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품 정보 수집 서버(110)는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동일한 상품을 병합하여 병합된 최종 데이터셋을 구성하여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12)를 구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품 정보 수집 서버(110)는 상품 정보 내 상품명을 토대로 동일한 상품명을 갖는 데이터셋을 추출한 후 이를 병합, 즉 상품 개수를 합치는 방법으로 병합 및 사이즈 정보를 병합하여 최종 데이터셋을 생성한 후 이를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12)를 저장하여 구축할 수 있다.
상품 등록 관리 서버(120)는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된 데이터셋 및 최종 데이터셋을 토대로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 상품을 등록시키는 상품 등록 관리 및 등록된 상품을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품 등록 관리 서버(120)는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된 데이터셋 또는 최종 데이터셋을 토대로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 등록될 수 있는 등록용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한 후 이를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 전송하여 상품 등록을 요청함으로써, 상품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등록용 데이터는 브랜드 대표 코드, 원산지 대표 코드 등과 사이즈 정보, 배송 가능일, 상품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품 등록 관리 서버(120)는 등록용 데이터 생성 시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된 데이터셋을 배송 가능일을 기준으로 분류한 후 기 설정된 범위 내의 배송 가능일이 갖는 데이터셋들을 이용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등록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품 등록 관리 서버(120)는 기 설정된 범위 내의 배송 가능일이 갖는 데이터셋을 검색한 후 검색한 데이터셋을 원산지 대표 코드로 분류하며, 분류한 원산지 대표 코드를 갖는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해당 상태에 대한 등록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라는 상품에 대한 복수의 데이터셋에서 10∼12일의 배송 가능일을 갖는 데이터셋을 분류하고, 분류한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등록용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10∼12일의 배송 가능일을 갖는 데이터셋에서 동일한 원산지 대표 코드를 갖는 데이터셋을 분류한 후 이를 토대로 등록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등록용 데이터는 상품명, 브랜드, 배송 가능일, 사이즈 정보,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 등록 관리 서버(120)는 등록된 상품을 수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수정용 데이터를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 전송하여 등록된 상품 정보를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등록 관리 서버(120)는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12)의 모니터링을 통해 데이터셋 또는 최종 데이터셋의 변경 여부를 체크하고, 변경이 발생되는 경우 수정용 데이터를 자동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자의 필요 또는 국내 온라인 마켓(210)의 요청에 의거하여 수정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 후 이를 토대로 입력된 데이터를 토대로 수정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품 등록 관리 서버(120)는 등록용 데이터의 생성과 더불어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10)와의 연동을 통해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를 수집한 후 이를 분석 데이터베이스(18)에 저장하며, 국내 온라인 마켓(210)과의 연동을 통해 등록된 상품을 관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등록 관리 서버(120)는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10)의 실행을 통해 국내 온라인 마켓(210)과 연결되어 크롤링 방법을 통해 등록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등록된 상품에 대한 노출 관리뿐만 아니라 가격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10)는 데이터 수집부(14)를 통해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로 등록된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수집하고, 데이터 분석부(15)를 통해 수집한 가격 정보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가격 변경이 필요한 국내 온라인 마켓(210)이 존재한지를 판단한 후 가격 변경이 필요한 국내 온라인 마켓(210)이 존재할 경우 재등록 요청부(16)를 통해 가격 부분이 변경된 재등록용 데이터를 생성하여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수집 서버(110)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또는 실시간으로 해외 온라인 마켓(200)과 연동하여 상품 정보를 수집하며, 수집한 상품 정보를 토대로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된 데이터셋 또는 최종 데이터셋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주문 처리 서버(130)는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서 소정의 상품에 대한 주문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동작하는 것으로서, 주문 요청한 상품(이하, '주문 상품'이라고함)을 판매하는 해외 온라인 마켓(200)에 자동으로 주문 상품을 주문할 수 있다.
또한, 주문 처리 서버(130)는 주문 상품에 대한 주문 내역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주문 관리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문 내역 데이터는 주문 상품에 대한 배송 날짜(주문 상품에 대응되는 데이터셋의 배송 가능일을 기반으로 결정된 배송 날짜), 주문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송 날짜는 해외 배송을 통해 국내에 도착하는 국내 도착 일자 및 국내에서 주문자에게 도착하는 주문지 도착 일자로 구성될 수 있다.
품절 처리 서버(140)는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12)의 데이터셋 내 상품 개수를 토대로 품절 처리가 필요한 상품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며, 품절 처리가 필요한 상품이 발생됨에 따라 해당 상품이 등록된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 해당 상품의 품절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특히, 품절 처리 서버(140)는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개수, 즉 주문 내역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출된 실시간 상품 판매 개수와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12)의 데이터셋 내 상품 개수의 실시간 변화량을 기반으로 품절 가능성이 있는 상품(이하, '품절 가능 상품'이라고 함)을 예측하며, 예측한 품절 가능 상품에 대한 품절 처리를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품절 처리 서버(140)는 국내 온라인 마켓(210)과의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장치(100)간의 각종 요청과 응답에 대한 처리 시간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며, 처리 시간을 기반으로 품절 가능 상품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장치(100)의 요청을 국내 온라인 마켓(210)이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경우 품절 처리 서버(140)는 해당 품절 가능 상품 예측 시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12)의 데이터셋 내 상품 개수의 실시간 변화량을 기반으로 품절 가능 상품을 예측하고, 예측한 품절 가능 상품에 대한 품절 처리를 해당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 요청할 수 있다.
지연 처리 서버(150)는 주문 관리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된 주문 내역 데이터 내 배송 날짜를 기반으로 지연 처리된 주문 내역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며, 주문 내역이 존재할 경우 이를 관리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연 처리 서버(150)는 주문 상품에 대한 배송 조회 서비스를 통해 주문 관리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된 배송 날짜 내 국내 도착 일자에 맞춰서 주문 상품이 도착할 수 있는지를 체크한 후 이를 기반으로 주문지 도착 일자까지 주문 상품 도착할 수 있는지를 체크하며, 체크 결과에 의거하여 주문지까지의 도착이 불확실한 경우 이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관리자측 단말기(220)에 제공할 수 있다.
재무/회계 관리 서버(160)는 매입장 관리, 재고 관리(예컨대, 바코드 관리, 로케이션, 입출고 관리, 권한 설정, 매입 검증), 매출 관리, 부가가치세 자료 자동 생성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마케팅 관리 서버(170)는 주문 내역 데이터 내 구매자의 접속 경로 정보를 수집하며, 수집한 접속 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각종 마케팅 채널별 비용과 효율을 체크한 후 이를 기반으로 효율 개선 방안을 관리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주문 처리 서버(130)는 주문 내역 데이터 생성 시 해당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 접속한 주문자의 접속 경로 정보를 체크하며, 접속 경로 정보를 포함한 주문 내역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주문 관리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케팅 관리 서버(170)는 주문 내역 데이터 내 접속 경로 정보를 분석하여 각 마케팅 채널별 효율성을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장치(100)의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10)가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 등록된 상품을 관리하는 과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가 국내 온라인 마켓에 등록된 상품을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10)는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 수집 단계(S400), 수집한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의 분석 단계(S410) 및 재등록이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S4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 수집 단계(S400)는 데이터 수집 주기에 의거하여 국내 온라인 마켓(210)의 접속 계정을 이용하여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 접속(S402)한 후 데이터 수집 항목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를 생성(S404)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 수집 단계(S400)는 크롤링 방법을 통해 데이터 수집 항목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분석 단계(S410)는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해당 상품(즉, E-커머스 시스템에 의해 국내 온라인 마켓에 등록된 상품)에 대한 재등록이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석 단계(S410)는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품 노출 위치 데이터 또는 가격 데이터를 생성(S412)한 후 상품 노출 위치 데이터 또는 해당 상품의 가격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상품의 재등록이 필요한 국내 온라인 마켓이 존재하는지를 판단(S414)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판단하는 단계(S414)는 해당 상품에 대한 가격 데이터(즉 E-커머스 통합 시스템에 의해 각 국내 온라인 마켓에 등록된 해당 상품의 가격 정보를 포함함)를 기반으로 가격 변경이 필요한 국내 온라인 마켓이 존재하는지 또는 상품 노출 위치 데이터를 토대로 노출 위치 변경이 필요한 국내 온라인 마켓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하여 재등록이 필요한 국내 온라인 마켓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판단하는 단계(S414)는 각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서의 해당 상품의 판매량을 기준으로 가격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상품의 가격 변경이 필요한 국내 온라인 마켓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단하는 단계(S414)는 판매량이 높은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 등록된 가격 정보를 기반으로 판매량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하인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 등록된 가격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상품의 가격 변경이 필요한 국내 온라인 마켓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판단하는 단계(S414)는 복수의 국내 온라인 마켓(210)의 상품 관리 정책 데이터, 가격 데이터 및 상품 노출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재등록이 필요한 국내 온라인 마켓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S414의 판단 결과, 재등록이 필요한 국내 온라인 마켓(이하, '재등록 필요 국내 온라인 마켓'이라고 함)이 존재할 경우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10)는 재등록용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재등록 필요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 전송하여 재등록을 요청한다(S42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10)가 데이터 수집 과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10)는 주문 내역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시간대별 상품 판매 현황 데이터를 생성하고(S500), 상품 노출 위치 데이터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생성한다(S502).
그런 다음,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10)는 상품 노출 위치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각 국내 온라인 마켓(210)의 상품 노출 위치 변경 주기를 계산하며(S504), 계산한 상품 노출 위치 변경 주기를 토대로 각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 대한 데이터 수집 주기를 설정한다(S506).
한편,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10)는 시간대별 각 국내 온라인 마켓(210)의 상품 판매 현황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간대별 각 국내 온라인 마켓(210)의 상품 판매율을 계산(S508)한 후 시간대별 각 국내 온라인 마켓(210)의 상품 판매율을 기반으로 각 국내 온라인 마켓(210)의 데이터 수집 시간을 설정한다(S510).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들을 통해 설정된 데이터 수집 주기 및 데이터 수집 시간을 기반으로 데이터 수집부(14)는 각 국내 온라인 마켓(21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수집 시간 및 데이터 수집 주기를 설정할 때,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10)는 각 국내 온라인 마켓(210)의 상품 관리 정책 데이터를 반영하여 데이터 수집 시간 및 데이터 수집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
12 : 정책 데이터베이스
14 : 데이터 수집부
15 : 데이터 분석부
16 : 재등록 요청부
18 : 분석 데이터베이스

Claims (9)

  1. 복수의 해외 온라인 마켓과의 연동을 통해 상품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며, 상기 수집한 상품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셋(dataset)을 생성하여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관리하는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상품 등록을 위한 등록용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품을 등록하는 복수의 국내 온라인 마켓에서의 상품 노출과 관련된 상품 관리 정책 데이터가 저장된 정책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복수의 국내 온라인 마켓에 접속하여 등록된 상품에 대한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수집한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와 상품 관리 정책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등록한 상품에 대한 재등록이 필요한 국내 온라인 마켓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데이터 분석부와,
    상기 재등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재등록용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재등록이 필요한 국내 온라인 마켓에 전송하여 재등록을 요청하는 재등록 요청부를 포함하는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복수의 국내 온라인 마켓 각각에 대한 상기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의 수집 주기 및 수집 항목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수집 주기에 의거하여 국내 온라인 마켓에 접속하여 상기 수집 항목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를 수집하는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수집한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등록한 상품에 대한 각 국내 온라인 마켓 상에서의 상품 노출 위치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 노출 위치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국내 온라인 마켓 각각의 상품 노출 변경 주기를 계산하며, 상기 상품 노출 변경 주기를 토대로 상기 국내 온라인 마켓 각각에 대한 수집 주기를 결정하여 상기 데이터 수집부를 제어하는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국내 온라인 마켓 각각에 등록된 상품에 대한 상품 판매 현황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상기 국내 온라인 마켓 각각에 대한 수집 시간을 결정한 후 이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 수집부를 제어하는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
  6. 복수의 해외 온라인 마켓과의 연동을 통해 상품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며, 상기 수집한 상품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셋(dataset)을 생성하여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관리하는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에서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를 통해 등록 상품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는 상기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상품 등록을 위한 등록용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품을 등록하는 복수의 국내 온라인 마켓에서의 상품 노출과 관련된 상품 관리 정책 데이터가 저장된 정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국내 온라인 마켓에 접속하여 등록된 상품에 대한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한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와 상품 관리 정책 데이터간의 비교 분석하여 상기 등록한 상품에 대한 재등록이 필요한 국내 온라인 마켓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재등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재등록용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재등록이 필요한 국내 온라인 마켓에 전송하여 재등록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등록 요청부를 포함하는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를 이용한 등록 상품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국내 온라인 마켓 각각에 대한 상기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의 수집 주기 및 수집 항목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수집 주기에 의거하여 국내 온라인 마켓에 접속하여 상기 수집 항목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를 이용한 등록 상품 관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한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등록한 상품에 대한 각 국내 온라인 마켓 상에서의 상품 노출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생성된 상기 상품 노출 위치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국내 온라인 마켓 각각의 상품 노출 변경 주기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상품 노출 변경 주기를 토대로 상기 국내 온라인 마켓 각각에 대한 수집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한 수집 주기에 의거하여 각 국내 온라인 마켓에 접속하여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를 수집하는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를 이용한 등록 상품 관리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국내 온라인 마켓 각각에 등록된 상품에 대한 시간대별 상품 판매 현황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상기 국내 온라인 마켓 각각의 수집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한 수집 시간에 의거하여 각 국내 온라인 마켓에 접속하여 상품 등록 현황 데이터를 수집하는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를 이용한 등록 상품 관리 방법.
KR1020210111659A 2021-08-24 2021-08-24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등록 상품 관리 방법 KR102574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659A KR102574980B1 (ko) 2021-08-24 2021-08-24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등록 상품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659A KR102574980B1 (ko) 2021-08-24 2021-08-24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등록 상품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310A true KR20230029310A (ko) 2023-03-03
KR102574980B1 KR102574980B1 (ko) 2023-09-06

Family

ID=85510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659A KR102574980B1 (ko) 2021-08-24 2021-08-24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등록 상품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98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978B1 (ko) * 2018-02-09 2019-04-22 주식회사 클라우드앤티나 상품 카테고리별 추천 키워드 추출 방법
KR20200025431A (ko) * 2018-08-30 2020-03-10 뉴21커뮤니티(주) 오픈마켓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1173A (ko) * 2018-10-11 2020-04-21 더글로벌트레이딩 주식회사 다수의 오픈 마켓에의 상품 정보 일괄 등록 시스템 및 등록 방법
KR20210007632A (ko) * 2019-07-12 2021-01-20 주식회사 고스트레이트 상품별 등록 스케쥴을 기반으로 온라인 마켓 api 연동을 통해 상품의 등록 관리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38503B1 (ko) 2019-12-18 2021-04-08 김효진 해외 구매 대행 기능을 갖는 온라인 마켓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978B1 (ko) * 2018-02-09 2019-04-22 주식회사 클라우드앤티나 상품 카테고리별 추천 키워드 추출 방법
KR20200025431A (ko) * 2018-08-30 2020-03-10 뉴21커뮤니티(주) 오픈마켓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1173A (ko) * 2018-10-11 2020-04-21 더글로벌트레이딩 주식회사 다수의 오픈 마켓에의 상품 정보 일괄 등록 시스템 및 등록 방법
KR20210007632A (ko) * 2019-07-12 2021-01-20 주식회사 고스트레이트 상품별 등록 스케쥴을 기반으로 온라인 마켓 api 연동을 통해 상품의 등록 관리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38503B1 (ko) 2019-12-18 2021-04-08 김효진 해외 구매 대행 기능을 갖는 온라인 마켓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980B1 (ko) 202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0966B1 (ko) 전달 네트워크를 관리 및 최적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818618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구매예측 통합솔루션시스템
KR101950996B1 (ko) 택배서비스 운영 방법 및 장치, 통합 택배 서비스 시스템
KR100985644B1 (ko)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44568B1 (ko) 수요 공급 예측을 통한 물류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08794B1 (ko) 하이퍼미디어 요소들을 갖는 동적 웹사이트들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20200129412A (ko) 판매자를 위한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8321255B1 (en) Resource management and planning in a distributed manufacturing environment
KR102576458B1 (ko) 요식업 빅데이터 기반 식/부자재 주문관리 시스템
KR20090000702A (ko) 온라인 쇼핑몰 통합 공급망 관리시스템
KR102574980B1 (ko)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등록 상품 관리 방법
KR101569661B1 (ko) 로컬 푸드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540227B1 (ko) 국내외 온라인 마켓 기반의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928234B1 (ko) 가변적 상품 유통 가격 기반의 유통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유통 가격 관리 방법
JP6696946B2 (ja) 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0067990A (ja) 買い物代行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2203096A (ja) 販売支援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40117260A1 (en) Point management method, management computer,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computer data signal
JP2004234220A (ja) 受発注管理装置、受発注管理装置に用いるプログラム、商品の受発注方法
JP2001202450A (ja) 電子カタログアグリ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20110087371A (ko) 제휴 상품정보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JP2002288493A (ja) 電子調達システム,電子調達支援装置及び電子調達方法
JP2020068005A (ja) 買い物代行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627675B (zh) 一种物料清单物料价格计算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KR20030079339A (ko)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는 쇼핑몰 구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