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412A - 판매자를 위한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판매자를 위한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412A
KR20200129412A KR1020190053761A KR20190053761A KR20200129412A KR 20200129412 A KR20200129412 A KR 20200129412A KR 1020190053761 A KR1020190053761 A KR 1020190053761A KR 20190053761 A KR20190053761 A KR 20190053761A KR 20200129412 A KR20200129412 A KR 20200129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pping mall
product
inventory
integrated management
ret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선호
Original Assignee
아나나스 유한책임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나나스 유한책임회사 filed Critical 아나나스 유한책임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3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9412A/ko
Publication of KR20200129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412A/ko
Priority to KR1020220101753A priority patent/KR202201338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7Return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5Supply or demand aggre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국내외 쇼핑몰 서버와 상품 판매자를 연계하는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은 서로 다른 양식의 템플릿(포맷)을 사용하는 다수의 국내외 쇼핑몰 서버, 상기 쇼핑몰 서버와 판매자를 연계하되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연동방식을 이용하는 쇼핑몰 통합관리 서버 및 상기 쇼핑몰 서버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템플릿들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문서를 상기 쇼핑몰 통합관리 서버에 입력하는 판매자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쇼핑몰 통합관리 서버는 상품 등록 시 국가 및 쇼핑몰 별 제약조건 및 판매조건을 확인하는 상품 등록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다수의 상기 쇼핑몰 서버에 적절하게 분배하기 위한 상품 분배부, 실시간 재고 확인을 위한 재고 관리부 및 반품을 처리하기 위한 반품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판매자를 위한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Online store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sellers}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국내외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가 상품의 등록, 분배, 재고관리 및 반품 처리를 API 연동방식을 이용하여 수행함으로써 판매 효율 및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국내외 온라인 쇼핑몰은 판매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쇼핑몰에 등록하여 소비자에게 상품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광의의 전자상거래는 소비자와의 거래뿐만 아니라 거래와 관련된 공급자, 금융기관, 정부기관, 운송기관 등과 같이 거래에 관련되는 모든 기관과의 관련 행위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다양한 주체 간의 거래, 계약 등의 업무를 판매자가 일일이 처리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는 판매하려는 상품의 정보, 가격, 규격 등 관련 정보 및 데이터를 직접 입력하고 있으며, 상품의 정보 변경, 주문, 발송 등의 이슈가 발생할 때마다 쇼핑몰에 로그인하여 상품에 대한 정보 또는 송장번호를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처럼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여 상품을 판매하려는 자는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정보(이미지, 가격, 특징 등)를 다수의 쇼핑몰마다 일일이 수동으로 입력해야만 하고, 각 쇼핑몰마다 운영되고 있는 상품 등록 형식(Format) 또는 탬플릿이 다르므로 이에 대한 불편함이 존재한다.
설령, 모든 쇼핑몰(마켓)에 상품 등록이 완료되었다고 모든 문제가 끝나는 것은 아니다. 재고가 떨어지면 그 많은 쇼핑몰(마켓)을 일일이 찾아 다니면서 수정해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는 곧 매출 감소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선행특허 제10-09999165호는 다수의 종합쇼핑몰에 등록된 상품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나, 각 나라별 서로 다른 양식을 사용하는 글로벌 쇼핑몰 내에 입점한 판매자들의 효율적인 상품 관리를 위한 API 연동 관련 기술에 대한 내용은 제시되고 있지 않다.
또한, 해외 글로벌 쇼핑몰의 경우, 판매자들이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 각각의 국가의 쇼핑몰서버에 별도로 접속하여 상품, 주문 등을 관리해야 하고, 상품등록 시 상품별 카테고리에 맞는 포맷에 따라 양식을 만들어야 하는 문제가 있어 상품 등록 및 관리에 많은 시간과 인건비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국가 별 관세, 규정의 적용 문제, 언어의 상이함에 따른 판매자들의 불편함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재고의 실시간 관리가 잘 되지 않아 소비자가 재고 상태를 신뢰하여 상품 구매 시 쇼핑몰 별 재고상태의 상이함으로 인한 의도하지 않은 상품 부재로 소비자들부터 신뢰를 잃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10-2006-0054235호(2006.05.22.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판매자에게 API 연동방식의 개선된 통합관리 시스템(플랫폼)을 제공하여 효과적으로 상품을 등록, 분배, 재고관리 및 반품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국내외 쇼핑몰 서버와 상품 판매자를 연계하는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국내외 쇼핑몰 서버, 상기 쇼핑몰 서버와 판매자를 연계하되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연동방식을 이용하는 쇼핑몰 통합관리 서버 및 상기 쇼핑몰 서버의 템플릿(포맷)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상기 쇼핑몰 통합관리 서버에 입력하는 판매자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쇼핑몰 통합관리 서버는 상품 등록 시 국가 및 쇼핑몰 별 제약조건 및 판매조건을 확인하는 상품 등록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다수의 상기 쇼핑몰 서버에 적절하게 분배하기 위한 상품 분배부, 실시간 재고 확인을 위한 재고 관리부 및 반품을 처리하기 위한 반품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품 등록부는 상품의 수출입이 필요한 경우 경우 관세, 부가세를 자동으로 연산하여 제공하며, 국가 별 언어를 선택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품 분배부는 각각의 쇼핑몰 별 재고 수량과 판매 량을 비교 판단하여 쇼핑몰 별 예상 판매량을 추정하며 이에 따라 자동으로 상품을 쇼핑몰 별로 분배하고, 이를 위해 딥 러닝, 스마트 러닝의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고 관리부는 기 설정된 재고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 간의 재고수량을 실시간 파악하여 판매 진행율에 따라 재고 수량을 재 분배할 수 있으며, 상기 온라인 쇼핑몰에 분배된 잔여 재고수량에 따라 재고 소진 시 일시 품절 처리 가능하고, OCR 또는 QR 코드를 이용하여 물품과 QR 코드의 일대일 매칭을 통해 실시간 재고 파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품 처리부는 상품의 반품, 교환, 환불을 위해 기 설정된 반품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반송장 번호를 입력하면 택배사별 번호 매칭을 통해 원송장 번호를 자동으로 확인하고, 원송장 번호를 입력하면 쇼핑몰 별 API 호출을 통해 클레임 내용을 수집하며, 클레임 내용을 확인하면서 반품상품 검사 진행을 수행하고, 작성된 후처리 리스트를 자동으로 각각 온라인 쇼핑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품 배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품 배송부는 판매자의 상품 등록 이후 소비자의 주문정보가 확정되면 주문 정보를 기 설정된 운송장 출력 프로세스에 전달하고 상기 주문정보를 바탕으로 운송장 번호를 할당하고 주문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운송장을 출력하여 배송하며, 해외 배송의 경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주문정보와 운송장 번호를 바탕으로 수출입 신고서가 작성되면 관세청 통관시스템에 자동으로 신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국내외 쇼핑몰 서버와 상품 판매자를 연계하는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방법은 국가 및 쇼핑몰 별 제약조건과 판매조건을 확인하여 상품 및 상품정보를 등록하는 상품 등록단계,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다수의 상기 쇼핑몰 서버에 적절하게 분배하기 위한 상품 분배단계, 실시간 재고 확인을 위한 재고 관리단계, 주문정보에 따라 상품을 배송하는 상품 배송단계 및 필요 시 반품을 처리하기 위한 반품 처리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품 등록단계는 상품의 수출입이 필요한 경우 경우 관세, 부가세를 자동으로 연산하여 제공하는 단계, 국가 별 언어를 선택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 분배단계는 각각의 쇼핑몰 별 재고 수량과 판매 량을 비교 판단하여 쇼핑몰 별 예상 판매량을 추정하는 단계, 이에 따라 자동으로 상품을 쇼핑몰 별로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를 위해 딥 러닝, 스마트 러닝의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고 관리단계는 기 설정된 재고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 간의 재고수량을 실시간 파악하여 판매 진행율에 따라 재고 수량을 재 분배할 수 있으며, 상기 온라인 쇼핑몰에 분배된 잔여 재고수량에 따라 재고소진 시 일시 품절 처리가 가능하고, OCR을 이용하거나 QR 코드를 이용하여 물품과 QR 코드의 일대일 매칭을 통해 실시간 재고 파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품 처리단계는 상품의 반품, 교환, 환불을 위해 기 설정된 반품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반송장 번호를 입력하면 택배사별 번호매칭을 통해 원송장 번호를 자동으로 확인하고, 원송장 번호를 입력하면 쇼핑몰 별 API호출을 통해 클레임내용을 수집하며, 클레임내용을 확인하면서 반품상품검사 진행을 수행하고, 작성된 후처리 리스트를 자동으로 각각 온라인 쇼핑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품 배송단계는 판매자의 상품 등록 이후 소비자의 주문정보가 확정되면 주문 정보를 기 설정된 운송장 출력 프로세스에 전달하고 상기 주문정보를 바탕으로 운송장 번호를 할당하고 주문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운송장을 출력하여 배송하며, 해외 배송의 경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주문정보와 운송장 번호를 바탕으로 수출입 신고서가 작성되면 관세청 통관시스템에 자동으로 신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은 API를 연동하여 자료를 저장하고, 매핑된 통합 포맷을 통해 간편하게 상품을 등록할 수 있으며 등록 이후 상품의 분배, 재고관리 및 반품 처리를 API 연동방식을 이용하여 수행함으로써 판매 효율 및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동산담보대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쇼핑몰 통합관리 방법의 주요 과정을 요약한 순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쇼핑몰 통합관리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의 순서도,
도 3은 판매자가 상품을 본 발명에 따른 통합관리 시스템에 등록한 경우 자동으로 국가목록 및 쇼핑몰을 선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4a는 국가별 등록과정 순서도,
도 4b는 쇼핑몰별 등록과정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서 상품의 재고 분배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상품의 재고 수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쇼핑몰 별 분배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판매 비율을 고려한 상품의 재고 분배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9a는 경우에 따라 반품이 필요한 경우 반품 처리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9b는 반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송장 이미지,
도 10은 반품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11은 소비자의 주문에 따라 상품을 배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12는 도 11에 따른 상품의 배송 및 운송장 출력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를 위한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란 라이브러리에 접근하기 위한 규칙을 말하는데, 프로그래밍 상 반복되는 부분을 함수로 만들고 이러한 함수 또한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위 함수를 다시 만들 필요 없이 원하는 기능의 라이브러리 함수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라이브러리에 접근하기 위한 규칙들을 정의한 것을 API라고 하는데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즉, 프로그래머가 라이브러리가 제공하는 여러 함수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해당 함수의 내부 구조는 알 필요 없이 단순히 API에 정의된 입력 값을 주고 결과 값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서버는 시스템, 단말, 단말기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범주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국내외 쇼핑몰 서버(100), 상기 쇼핑몰 서버(100)와 판매자를 연계하되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연동방식을 이용한 쇼핑몰 통합관리 서버(200, 시스템) 및 상기 쇼핑몰 서버(100)의 템플릿(포맷)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상기 쇼핑몰 통합관리 서버(200, 시스템)에 입력하기 위한 판매자 서버(300)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서버 내지 시스템은 별도의 단말을 다수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을 복수로 마련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가 접속하거나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클라우드 서버로 각각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판매자, 사용자, 소비자 및 관리자는 휴대용 단말(태블릿, 휴대폰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매자는 판매자 단말(310)을 통하여 상기 통합관리 서버(시스템, 200)에 상품의 판매에 관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쇼핑몰 통합관리 서버(200)는 상품 등록 시 국가 및 쇼핑몰 별 제약조건 및 판매조건을 확인하는 상품 등록부(210),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다수의 상기 쇼핑몰 서버(100)에 적절하게 분배하기 위한 상품 분배부(230), 실시간 재고 확인을 위한 재고 관리부(250) 및 반품을 처리하기 위한 반품 처리부(270)를 포함한다.
상기 상품 등록부(210)는 판매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관련 정보, 기타 서식, 포맷, 탬플릿 등 제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우선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진행한 후 상품의 등록이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로그인 및 회원가입은 생략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상품의 해외 수출입이 필요한 경우 경우 관세, 부가세를 자동으로 연산하여 제공하며, 국가 별 언어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상품을 해외에서 수입하거나 국내에서 해외로 수출하는 경우 이와 관련된 관세의 문제, 부가세의 문제 및 해외 제도 및 규정의 문제를 통합 관리서버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판매자가 쉽게 상품을 등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통합관리 시스템의 통합관리 서버(200)는 API 연동방식을 이용하는데 사용자는 상품 정보가 저장된 상품정보를 쇼핑몰 API 통합관리시스템에 입력한다. 상기 상품 정보는 각 셀에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엑셀(excel) 문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후, 통합관리 시스템이 상기 상품정보 내의 템플릿의 버전을 확인하고, 상기 상품정보 내의 템플릿의 컬럼 번호를 데이터베이스의 정렬고유번호에 매칭하여 저장한다. 상기 템플릿은 상품등록 및 수정 양식으로 국가별로 상이할 수 있다.
이후에, 통합관리 시스템이 상기 템플릿을 피드 전송용 XML로 변환한다.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은 쇼핑몰 서버들에 상기 템플릿을 전송하기 위해 피드 전송용 XML로 변환한다. 이후에,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이 상기 피드 전송용 XML을 다수개의 쇼핑몰 서버에 전송한다. 즉, 쇼핑몰 서버에서 제공하는 API를 연동하여 자료를 저장하고, 매핑된 통합 템플릿 자료를 API를 통해 간편하게 등록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판매자가 상품의 등록, 분배, 재고관리 및 반품 처리 등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품 분배부(230)는 판매자의 상품을 국가별 또는 쇼핑몰별 분배하여 제공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쇼핑몰 별 재고 수량과 판매 량을 비교 판단하여 쇼핑몰 별 예상 판매량을 추정하며 이에 따라 자동으로 상품을 쇼핑몰 별로 분배한다.
즉, 판매자가 상품 등록을 위한 다양한 정보 등의 입력을 마치면 상품을 국가별, 쇼핑몰 별 분배하기 위해 기준을 찾거나 새로운 기준을 설정하게 되는데, 기 등록되어 있던 쇼핑몰의 재고 수량 및 판매 수량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순위를 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결과를 이용하여 국가별 쇼핑몰 별 차등하여 상품을 분배할 수 있는 것이다. 판매 비율이 높은 쇼핑몰에 보다 많은 상품을 분배하여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딥 러닝, 스마트 러닝의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가공할 수 있으며, 가공된 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정보는 판매자에게 제공됨으로써 판매자는 쇼핑몰 별 국가별 상품 등록의 준비를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재고 관리부(250)는 기 설정된 재고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 간의 재고수량을 실시간 파악하여 판매 진행율에 따라 재고 수량을 재 분배할 수 있으며, 상기 온라인 쇼핑몰에 분배된 잔여 재고수량에 따라 재고 소진 시 일시 품절 처리 가능하다.
즉, 예를 들어 현재 한 종류의 상품의 재고가 총 10개인데 3곳의 쇼핑몰에서 재고가 10개가 있다고 판단하고 모두 5개씩의 고객이 결제를 한다면 5개의 고객 주문은 품절이 발생한다. 이는 실시간 재고반영이 수행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재고 시스템상의 문제점으로 품절상품판매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고객의 컴플레인으로 인한 각각의 쇼핑몰에서의 패널티가 발생하고, 품절상품을 결제한 고객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중된 cs 업무가 동반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통합관리 시스템은 재고 관리를 OCR(광학적 문자 판독장치)을 이용하거나 QR 코드를 이용하여 물품과 QR 코드의 일대일 매칭을 통해 실시간 재고 파악을 수행하며 상기 QR 코드 이외에도 다양한 재고관리 툴을 이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재고 파악을 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품절로 인한 고객 불만의 문제를 제거할 수 있다.
소비자의 주문 확정 이후 배송이 진행되며 경우에 따라 소비자의 선택이나 요청에 의해 반품, 교환 등의 이슈가 발생한다. 상기 반품 처리부(270)는 상품의 반품, 교환, 환불을 위해 기 설정된 반품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반송장 번호를 입력하면 택배사별 번호 매칭을 통해 원송장 번호를 자동으로 확인하고, 원송장 번호를 입력하면 쇼핑몰 별 API 호출을 통해 클레임 내용을 수집하며, 클레임 내용을 확인하면서 반품상품 검사 진행을 수행하고, 작성된 후처리 리스트를 자동으로 각각 온라인 쇼핑몰에 전송한다. 즉, 기존에 원송장 번호조회나 후처리list를 쇼핑몰 사이트 별로 들어가서 처리해야 했던 것이 반품 프로세스 안에서 한번에 처리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관리 시스템은 상품 배송부(29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품 배송부(290)는 판매자의 상품 등록 이후 소비자의 주문정보가 확정되면 주문 정보를 기 설정된 운송장 출력 프로세스에 전달하고 상기 주문정보를 바탕으로 운송장 번호를 할당하고 주문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운송장을 출력하여 배송한다.
해외 배송의 경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주문정보와 운송장 번호를 바탕으로 수출입 신고서가 작성되면 관세청 통관시스템에 자동으로 신고될 수 있다. 따라서, 판매자는 별도로 통관시스템에 신고할 필요 없으므로 절차를 간소화하여 시간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다수의 국내외 쇼핑몰 서버와 상품 판매자를 연계하는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방법은 국가 및 쇼핑몰 별 제약조건과 판매조건을 확인하여 상품 및 상품정보를 등록하는 상품 등록단계(S10),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다수의 상기 쇼핑몰 서버에 적절하게 분배하기 위한 상품 분배단계(S30), 실시간 재고 확인을 위한 재고 관리단계(S50), 주문정보에 따라 상품을 배송하는 상품 배송단계(S70) 및 필요 시 반품을 처리하기 위한 반품 처리단계(S90)를 포함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쇼핑몰 통합관리 방법의 주요 과정을 요약한 순서도로서 상품 등록단계(S10), 상품 분배단계(S30), 상품재고 관리단계(S50), 상품 배송단계(S70)을 포함한다. 또한, 소비자의 반품 또는 관련 이슈가 발생하는 지 판단하는 단계(S80)를 더 포함하고 반품 또는 관련 이슈가 발생한 경우 반품 처리단계(S90)을 포함한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쇼핑몰 통합관리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의 순서도로서 로그인 단계(S100), 상품 등록단계(S200), 물건위탁 및 배송방법 결정단계(S300), 판매가능국가 리스트, 온라인 쇼핑몰 자동등록 단계(S400), 온라인 쇼핑몰 판매비율에 따른 재고분배 및 처리단계(S500), 주문수집, 확정 및 처리 단계(S600), 운송장 출력단계(S700), 배송단계(S800) 및 반품, 교환 처리단계(S900)을 포함한다.
상기 상품 등록단계(S10)는 상품의 수출입이 필요한 경우 경우 관세, 부가세를 자동으로 연산하여 제공하는 단계, 국가 별 언어를 선택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상품 분배단계(S30)는 각각의 쇼핑몰 별 재고 수량과 판매 량을 비교 판단하여 쇼핑몰 별 예상 판매량을 추정하는 단계, 이에 따라 자동으로 상품을 쇼핑몰 별로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를 위해 딥 러닝, 스마트 러닝의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다.
상기 재고 관리단계(S50)는 기 설정된 재고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 간의 재고수량을 실시간 파악하여 판매 진행율에 따라 재고 수량을 재 분배할 수 있으며, 상기 온라인 쇼핑몰에 분배된 잔여 재고수량에 따라 재고소진 시 일시 품절 처리가 가능하고, OCR 또는 QR 코드를 이용하여 물품과 QR 코드의 일대일 매칭을 통해 실시간 재고 파악을 수행한다.
상기 반품 처리단계(S90)는 상품의 반품, 교환, 환불을 위해 기 설정된 반품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반송장 번호를 입력하면 택배사별 번호매칭을 통해 원송장 번호를 자동으로 확인하고, 원송장 번호를 입력하면 쇼핑몰 별 API호출을 통해 클레임내용을 수집하며, 클레임내용을 확인하면서 반품상품검사 진행을 수행하고, 작성된 후처리 리스트를 자동으로 각각 온라인 쇼핑몰에 전송한다.
상기 상품 배송단계(S70)는 판매자의 상품 등록 이후 소비자의 주문정보가 확정되면 주문 정보를 기 설정된 운송장 출력 프로세스에 전달하고 상기 주문정보를 바탕으로 운송장 번호를 할당하고 주문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운송장을 출력하여 배송하며, 해외 배송의 경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주문정보와 운송장 번호를 바탕으로 수출입 신고서가 작성되면 관세청 통관시스템에 자동으로 신고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쇼핑몰 통합관리 방법은 다수의 국내외 쇼핑몰 서버를 API 연동방식으로 연계하여 상품등록, 분배, 재고관리 및 반품처리업무 및 쇼핑몰 위탁판매, 통계분석까지 간편해져 인건비와 시간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판매자가 상품을 본 발명에 따른 통합관리 시스템에 등록한 경우 자동으로 국가목록 및 쇼핑몰을 선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며, 도 4a는 국가별 등록과정, 도 4b는 쇼핑몰별 등록과정을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서 상품의 재고 분배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쇼핑몰 별 상품의 판매비율을 산출하여 인기가 있는 쇼핑몰, 기존에 동일 상품이 많이 팔린 쇼핑몰에 더 많은 상품 재고를 분배하는 것이다.
도 6은 상품의 재고 수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쇼핑몰 별 분배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등록상품을 다수의 온라인쇼핑몰에 판매 진행하는 과정에서 쇼핑몰 별 재고상황을 실시간 재고반영 프로그램을 통해 판매 진행중인 모든 온라인 쇼핑몰에 공유 및 반영하고 이에 따라 주문된 상품의 품절 발생 건 수를 줄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판매 비율을 고려한 상품의 재고 분배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상품의 재고를 온라인 쇼핑몰에서 분배하는 과정에 있어서 온라인 쇼핑몰 별 상품의 판매비율을 산출하여 인기가 있는 쇼핑몰, 기존에 동일상품이 많이 팔린 쇼핑몰에 더 많은 재고수량을 분배해주는 것을 보여준다.
즉, 판매 진행 중 센서 및 작업자의 변동에 의해 이벤트가 발생하면, 각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 별 판매량과 재고수량을 파악하고, 판매가 많이 진행된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 판매가 적게 진행된 온라인쇼핑몰 사이트의 재고를 전달하여 판매를 진행한다. 또한, 재고가 소진된 온라인쇼핑몰 사이트는 상품 품절 처리하고 정해진 판매 기간 및 재고소진까지 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것이다.
도 9a는 경우에 따라 반품이 필요한 경우 반품 처리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로서 반송장 번호를 입력하면 원송장 번호가 자동으로 매칭되고, API 연동을 통해 원송장 번호로 주문정보와 클레임 내용을 파악하고, 클레임 내용을 활용하여 반품상품을 검수하고, 반품 상품 검수 후 결과를 후처리 리스트에 입력하면, 이의 정보가 온라인 쇼핑몰로 전송되는 것이다.
도 9b는 위 반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송장 이미지로서 그림과 같이, 반품 상품의 반송장 바코드를 입력하면 프로그램에 원송장 번호, 주문정보, 클레임 내용이 자동 연결되어 프로그램 화면에 제공된다.
도 10은 위 반품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로서 기존의 반품 과정이 반품 상품검사 진행, 택배사 조회 사이트에 접속하여 반송장번호 입력, 원송장 번호를 확인, 원송장 번호를 통해 온라인쇼핑몰사이트에 접속하여 주문정보와 클레임내용을 확인, 후처리 리스트 작성, 후처리 리스트를 온라인쇼핑몰사이트에 접속하여 등록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통합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송장번호를 입력하면 택배사별 번호 매칭을 통해 원송장번호를 자동으로 확인, 원송장번호를 입력, 사이트별 API호출을 통해 클레임내용을 수집, 클레임내용을 확인하면서 반품상품검사 진행이 가능(정확한 원인파악이 가능함), 작성된 후처리 리스트를 자동으로 각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 전송한다. 이를 통해, 기존에 원송장 번호조회나 후처리 리스트를 사이트 별로 들어가서 처리해야 했던 것이 하나의 반품 프로세스 안에서 한번에 처리가 가능한 것이다.
도 11은 소비자의 주문에 따라 상품을 배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통합관리 시스템의 온라인 쇼핑몰 주문수집 버튼 한번의 클릭을 통해 내부 수집모듈부터 주문서 확정처리까지 자동으로 수행된다. 확정된 주문정보를 운송장 출력시스템에 전달하고, 주문정보를 바탕으로 운송장번호 할당하며, 주문정보 및 운송장정보 DB 저장한 후 운송장을 출력하고 배송한다. 이때 국내배송과 해외배송으로 구분한 후 해외 배송의 경우 주문정보와 운송장번호를 바탕으로 수출입신고서가 관세청 통관시스템에 자동으로 신고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상품의 배송 및 운송장 출력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방법은 각 나라별 서버에 로그인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통합 관리가 가능해져 오 배송, 배송 지연을 방지할 수 있고, 고객에게 보다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쇼핑몰 서버 계정을 통합 관리하여 계정 정보 보안에 용이하며, 백업자료 및 통합관리로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관리가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판매자의 상품 등록, 분배, 관리 및 반품처리를 API 연동방식을 이용하여 쉽게 진행하며 기존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이용될 수 있다.
100: 쇼핑몰 서버 200: 통합관리 서버(시스템)
210: 상품 등록부 230: 상품 분배부
250: 재고 관리부 270: 반품 처리부
290: 상품 배송부
300: 판매자 서버 310: 판매자 단말
S10: 상품 등록단계
S30: 상품 분배단계
S50: 상품 재고관리 단계
S70: 상품 배송 단계
S80: 반품 이슈 확인 단계
S90: 반품 처리단계

Claims (10)

  1. 다수의 국내외 쇼핑몰 서버와 상품 판매자를 연계하는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국내외 쇼핑몰 서버;
    상기 쇼핑몰 서버와 판매자를 연계하되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연동방식을 이용하는 쇼핑몰 통합관리 서버; 및
    상기 쇼핑몰 서버의 템플릿(포맷)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상기 쇼핑몰 통합관리 서버에 입력하는 판매자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쇼핑몰 통합관리 서버는,
    상품 등록 시 국가 및 쇼핑몰 별 제약조건 및 판매조건을 확인하는 상품 등록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다수의 상기 쇼핑몰 서버에 적절하게 분배하기 위한 상품 분배부, 실시간 재고 확인을 위한 재고 관리부 및 반품을 처리하기 위한 반품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등록부는 상품의 수출입이 필요한 경우 경우 관세, 부가세를 자동으로 연산하여 제공하며, 국가 별 언어를 선택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분배부는 각각의 쇼핑몰 별 재고 수량과 판매 량을 비교 판단하여 쇼핑몰 별 예상 판매량을 추정하며 이에 따라 자동으로 상품을 쇼핑몰 별로 분배하고, 이를 위해 딥 러닝, 스마트 러닝의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 관리부는 기 설정된 재고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 간의 재고수량을 실시간 파악하여 판매 진행율에 따라 재고 수량을 재 분배할 수 있으며, 상기 온라인 쇼핑몰에 분배된 잔여 재고수량에 따라 재고 소진 시 일시 품절 처리 가능하고, OCR을 이용하거나 QR코드를 이용하여 물품과의 일대일 매칭을 통해 실시간 재고 파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품 처리부는 상품의 반품, 교환, 환불을 위해 기 설정된 반품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반송장 번호를 입력하면 택배사별 번호 매칭을 통해 원송장 번호를 자동으로 확인하고, 원송장 번호를 입력하면 쇼핑몰 별 API 호출을 통해 클레임 내용을 수집하며, 클레임 내용을 확인하면서 반품상품 검사 진행을 수행하고, 작성된 후처리 리스트를 자동으로 각각 온라인 쇼핑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품 배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품 배송부는 판매자의 상품 등록 이후 소비자의 주문정보가 확정되면 주문 정보를 기 설정된 운송장 출력 프로세스에 전달하고 상기 주문정보를 바탕으로 운송장 번호를 할당하고 주문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운송장을 출력하여 배송하며, 해외 배송의 경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주문정보와 운송장 번호를 바탕으로 수출입 신고서가 작성되면 관세청 통관시스템에 자동으로 신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
  7. 다수의 국내외 쇼핑몰 서버와 상품 판매자를 연계하는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방법에 있어서,
    국가 및 쇼핑몰 별 제약조건과 판매조건을 확인하여 상품 및 상품정보를 등록하는 상품 등록단계;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다수의 상기 쇼핑몰 서버에 적절하게 분배하기 위한 상품 분배단계;
    실시간 재고 확인을 위한 재고 관리단계;
    주문정보에 따라 상품을 배송하는 상품 배송단계; 및
    필요 시 반품을 처리하기 위한 반품 처리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 통합관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등록단계는 상품의 수출입이 필요한 경우 경우 관세, 부가세를 자동으로 연산하여 제공하는 단계, 국가 별 언어를 선택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 분배단계는 각각의 쇼핑몰 별 재고 수량과 판매 량을 비교 판단하여 쇼핑몰 별 예상 판매량을 추정하는 단계, 이에 따라 자동으로 상품을 쇼핑몰 별로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를 위해 딥 러닝, 스마트 러닝의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 통합관리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 관리단계는 기 설정된 재고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 간의 재고수량을 실시간 파악하여 판매 진행율에 따라 재고 수량을 재 분배할 수 있으며, 상기 온라인 쇼핑몰에 분배된 잔여 재고수량에 따라 재고소진 시 일시 품절 처리가 가능하고, OCR을 이용하거나 QR 코드를 이용하여 물품과의 일대일 매칭을 통해 실시간 재고 파악을 수행하며,
    상기 반품 처리단계는 상품의 반품, 교환, 환불을 위해 기 설정된 반품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반송장 번호를 입력하면 택배사별 번호매칭을 통해 원송장 번호를 자동으로 확인하고, 원송장 번호를 입력하면 쇼핑몰 별 API호출을 통해 클레임내용을 수집하며, 클레임내용을 확인하면서 반품상품검사 진행을 수행하고, 작성된 후처리 리스트를 자동으로 각각 온라인 쇼핑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 통합관리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배송단계는 판매자의 상품 등록 이후 소비자의 주문정보가 확정되면 주문 정보를 기 설정된 운송장 출력 프로세스에 전달하고 상기 주문정보를 바탕으로 운송장 번호를 할당하고 주문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운송장을 출력하여 배송하며, 해외 배송의 경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주문정보와 운송장 번호를 바탕으로 수출입 신고서가 작성되면 관세청 통관시스템에 자동으로 신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 통합관리 방법.
KR1020190053761A 2019-05-08 2019-05-08 판매자를 위한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2941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761A KR20200129412A (ko) 2019-05-08 2019-05-08 판매자를 위한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101753A KR20220133824A (ko) 2019-05-08 2022-08-16 판매자를 위한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761A KR20200129412A (ko) 2019-05-08 2019-05-08 판매자를 위한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753A Division KR20220133824A (ko) 2019-05-08 2022-08-16 판매자를 위한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412A true KR20200129412A (ko) 2020-11-18

Family

ID=7369801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761A KR20200129412A (ko) 2019-05-08 2019-05-08 판매자를 위한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101753A KR20220133824A (ko) 2019-05-08 2022-08-16 판매자를 위한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753A KR20220133824A (ko) 2019-05-08 2022-08-16 판매자를 위한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12941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163B1 (ko) * 2021-05-20 2022-05-03 김규섭 판매시점 관리 장치, 판매시점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판매시점 관리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KR20220093039A (ko) * 2020-12-21 2022-07-05 쿠팡 주식회사 리소스를 보존하기 위하여 영구 데이터 요청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03020A (ko) * 2021-01-14 2022-07-21 쿠팡 주식회사 프로세스 능률화와 확장성 향상을 위해 선택 요청을 쪼개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52874A (ko) 2021-05-10 2022-11-17 주식회사 엠포스 쇼핑 피드 가공시스템 및 방법
KR20230030203A (ko) 2021-08-25 2023-03-06 김재원 쇼핑몰의 환불 판매 시스템
KR102583580B1 (ko) * 2022-05-25 2023-10-05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판매를 위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009B1 (ko) * 2022-12-29 2023-04-06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접속 대기 화면의 정보 제공을 위한 대기열 관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4235A (ko) 2006-04-12 2006-05-22 주식회사 제로로 통합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4235A (ko) 2006-04-12 2006-05-22 주식회사 제로로 통합관리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3039A (ko) * 2020-12-21 2022-07-05 쿠팡 주식회사 리소스를 보존하기 위하여 영구 데이터 요청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1665257B2 (en) 2020-12-21 2023-05-30 Coupang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perpetual data requests to conserve resources
KR20220103020A (ko) * 2021-01-14 2022-07-21 쿠팡 주식회사 프로세스 능률화와 확장성 향상을 위해 선택 요청을 쪼개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52874A (ko) 2021-05-10 2022-11-17 주식회사 엠포스 쇼핑 피드 가공시스템 및 방법
KR102394163B1 (ko) * 2021-05-20 2022-05-03 김규섭 판매시점 관리 장치, 판매시점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판매시점 관리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KR20230030203A (ko) 2021-08-25 2023-03-06 김재원 쇼핑몰의 환불 판매 시스템
KR102583580B1 (ko) * 2022-05-25 2023-10-05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판매를 위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824A (ko)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29412A (ko) 판매자를 위한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8689096B2 (en) Computer-based method, software modul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cessing information in transaction-tax related applications
US20020046053A1 (en) Web based ris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050043998A1 (en) Computer- based transaction tax processing system service modul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transaction tax services
US200900891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inancial Transactions
RU2003124304A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данных деловых операций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9345327B (zh) 一种用于提升优质服务的供应商信息智能管控平台
WO2008070546A2 (en) Methodologies and systems for trade execution and recordkeeping in a fund of hedge funds environment
US20030105687A1 (en) Methods, data record, software interface, data warehouse module and software application for exchanging transaction- tax-related data
RU2642378C2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осуществления закупок и продаж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интерактивной облачной системы
GB2406923A (en) Computer implemented trading system
CN108885762B (zh) 用于在数据市场中分配价格发现机制的方法和系统
US20050131805A1 (en) Software interfa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duct for linking a business application to a component of a computer-based transaction tax processing system
US8620777B2 (en) Methods, software modules and software application for logging transaction-tax-related transactions
KR20210133510A (ko) 건축물 촬상 이미지 기반의 실시간 자동견적 제공방법 및 그 견적서 제공시스템
US20160110807A1 (en) Container shipping contract exchange system
KR20120130106A (ko) 부동산 신탁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8694394B2 (en) Methods, data record, software interface, data warehouse module and software application for exchanging transaction-tax-related data
Janssen et al. Evaluating the information architecture of an electronic intermediary
US20050010575A1 (en) Transactional processing system
KR20220134245A (ko) 사내 시스템과 연동 가능한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
US20170186095A1 (en) Centralized GAAP approach for multidimensional accounting to reduce data volume and data reconciliation processing costs
KR101046602B1 (ko) 사업자 간의 유통 절차 관리 시스템
CA2286151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collateral monitoring and control
US20060015419A1 (en) Method for determining sales tax in automated purchasing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