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431A - 오픈마켓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픈마켓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431A
KR20200025431A KR1020180102779A KR20180102779A KR20200025431A KR 20200025431 A KR20200025431 A KR 20200025431A KR 1020180102779 A KR1020180102779 A KR 1020180102779A KR 20180102779 A KR20180102779 A KR 20180102779A KR 20200025431 A KR20200025431 A KR 20200025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 market
seller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민
Original Assignee
뉴21커뮤니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21커뮤니티(주) filed Critical 뉴21커뮤니티(주)
Priority to KR1020180102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5431A/ko
Publication of KR20200025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4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오픈마켓 통합 관리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 및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통합 관리 서버는 둘 이상의 오픈마켓 서버와 통신하며, 미리 등록된 오픈마켓별 판매자의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각 오픈마켓 서버에 접속하여, 각 오픈마켓 서버에서 해당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 리스트 페이지를 스크롤링(scrolling)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판매자가 소지하는 판매자 단말에 오픈마켓별 상품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오픈마켓에 등록된 상품을 하나의 웹 페이지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오픈마켓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의 편의에 매우 크게 기여한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픈마켓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Tot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bout open market}
본 발명은 다수의 오픈마켓에 상품을 등록한 판매자에게 오픈마켓 통합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국내 및 해외의 오픈마켓에서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글로벌 오픈마켓 통합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온라인 쇼핑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추세에 있으며,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는 국내외 오픈마켓에 상품을 등록하여 판매하게 된다. 이때, 판매자는 1개의 제품을 하나의 오픈마켓에서 판매하는 경우는 드물며 제품에 대한 많은 노출과 매출을 위해 여러 오픈마켓에 등록하고 관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오픈마켓 판매자(셀러)들은 옥션, 지마켓, 11번가, 인터파크 등의 국내 오픈마켓과, 타오바오(중국), 티쿤(일본), 아마존(미국) 등의 해외 오픈마켓에 제품을 등록하고 관리하며, 판매를 진행한다.
이처럼, 여러 오픈마켓에 제품을 등록하다 보면 1개의 제품을 등록 한다고 해도 오픈마켓의 개수에 따라 기하 급수적으로 제품 관리가 늘어나게 된다. 예를 들어, 10개의 제품을 5개 오픈마켓에 등록 한다고 가정하면 50개의 제품을 관리하는 셈이 된다.
이에 따라, 판매자는 오픈마켓별 제품 판매, 제고관리, 광고 진행, 주문내역 등을 각 오픈마켓을 접속해서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소셜 서비스의 이용과 스마트 기기의 보유량이 늘어남에 따라 데이터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의미있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빅데이터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빅데이터는 기존의 관리, 분석시스템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막대한 양의 데이터집합과, 그러한 데이터집합에 대한 분석기법, 시각화 플랫폼 기술 등을 포괄한다. 기업은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된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를 획득하고 저장, 처리, 분석, 표현하는 프로세스를 거쳐 비로소 유의미한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6397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빅데이터 기술을 도입하여 다수의 오픈마켓에 산재되어 있는 상품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픈마켓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픈마켓 통합 관리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 및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통합 관리 서버는 둘 이상의 오픈마켓 서버와 통신하며, 미리 등록된 오픈마켓별 판매자의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각 오픈마켓 서버에 접속하여, 각 오픈마켓 서버에서 해당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 리스트 페이지를 스크롤링(scrolling)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판매자가 소지하는 판매자 단말에 오픈마켓별 상품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요청이 있으면, 각 오픈마켓 서버에서 해당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 리스트 페이지에서 데이터를 스크롤링하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특정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각 오픈마켓 서버에 접속하여, 각 오픈마켓 서버에서 해당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 리스트 페이지에서 데이터를 스크롤링하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오픈마켓별 제품 판매 현황 정보, 재고 관리 정보, 주문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관련 정보를 판매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픈마켓 통합 관리 방법에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판매자가 소지하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오픈마켓별 판매자의 로그인 정보를 등록받는 단계,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오픈마켓별 판매자의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각 오픈마켓 서버에 접속하여, 각 오픈마켓 서버에서 해당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 리스트 페이지를 스크롤링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수집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판매자가 소지하는 판매자 단말에 오픈마켓별 상품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요청이 있으면, 각 오픈마켓 서버에서 해당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 리스트 페이지에서 데이터를 스크롤링하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특정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각 오픈마켓 서버에 접속하여, 각 오픈마켓 서버에서 해당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 리스트 페이지에서 데이터를 스크롤링하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오픈마켓별 제품 판매 현황 정보, 재고 관리 정보, 주문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관련 정보를 판매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오픈마켓에 등록된 상품을 하나의 웹 페이지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오픈마켓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의 편의에 매우 크게 기여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다수의 오픈마켓에 대한 상품 정보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상품 트렌드를 예측하여 향후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마켓 통합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마켓 통합 관리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마켓 통합 정보가 표시된 웹 페이지를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마켓 통합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마켓 통합 관리 시스템은 오픈마켓 통합 관리 서버(200) 및 데이터베이스(210)를 포함한다.
통합 관리 서버(200)는 둘 이상의 오픈마켓 서버(300)와 통신한다. 그리고, 미리 등록된 오픈마켓별 판매자의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각 오픈마켓 서버에 접속하여, 각 오픈마켓 서버에서 해당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 리스트 페이지를 스크롤링(scrolling)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한다. 여기서 오픈마켓별 판매자의 로그인 정보는 오픈마켓별 ID,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통합 관리 서버(200)는 수집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판매자가 소지하는 판매자 단말(100)에 오픈마켓별 상품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판매자 단말(100)은 판매자(셀러)가 소지하는 단말로서, 통합 관리 서버(20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판매자 단말(100)은 데스크탑 PC, 랩탑 컴퓨터, 스마트 폰, 핸드폰, 휴대폰, 태블릿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통합 관리 서버(200)는 웹 페이지 형식으로 특정 판매자의 오픈마켓별 상품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판매자는 PC 또는 스마트 폰 등으로 상기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오픈마켓별 상품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통합 관리 서버(200)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오픈마켓별 상품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판매자는 스마트 폰에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서 오픈마켓별 상품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통합 관리 서버(200)는 판매자 단말(100)로부터 요청이 있으면, 그 때마다 각 오픈마켓 서버에서 해당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 리스트 페이지에서 데이터를 스크롤링하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통합 관리 서버(200)는 특정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각 오픈마켓 서버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각 오픈마켓 서버에서 해당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 리스트 페이지에서 데이터를 스크롤링하여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다.
통합 관리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오픈마켓별 제품 판매 현황 정보, 재고 관리 정보, 주문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관련 정보를 판매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마켓 통합 관리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합 관리 서버(200)는 판매자가 소지하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오픈마켓별 판매자의 로그인 정보를 등록받는다(S210).
그리고, 통합 관리 서버(200)는 오픈마켓별 판매자의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각 오픈마켓 서버에 접속하여, 각 오픈마켓 서버에서 해당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 리스트 페이지를 스크롤링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한다(S220).
그리고, 통합 관리 서버(200)는 수집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한다(S230).
그리고, 통합 관리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판매자가 소지하는 판매자 단말(100)에 오픈마켓별 상품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S2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통합 관리 서버(200)는 판매자 단말(100)로부터 요청이 있으면, 그 때마다 각 오픈마켓 서버에서 해당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 리스트 페이지에서 데이터를 스크롤링하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통합 관리 서버(200)는 특정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각 오픈마켓 서버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각 오픈마켓 서버에서 해당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 리스트 페이지에서 데이터를 스크롤링하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오픈마켓별 제품 판매 현황 정보, 재고 관리 정보, 주문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관련 정보를 판매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마켓 통합 정보가 표시된 웹 페이지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통합 관리 서버는 웹 페이지에 상품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서 웹 페이지에 세 개의 오픈마켓별 “판매량”, “재고”, “주문 내역” 등의 상품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예이며, 실시예에 따라서 “광고 진행 상황” 등 다양한 상품 관련 정보를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오픈마켓에 흩어져 있는 판매자의 상품 관련 정보를, 하나로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판매자의 편의에 기여하며, 보다 효율적으로 오픈마켓 판매 상품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상품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상품 트렌드를 예측하고 마케팅에 활용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8)

  1. 데이터베이스; 및
    둘 이상의 오픈마켓 서버와 통신하며, 미리 등록된 오픈마켓별 판매자의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각 오픈마켓 서버에 접속하여, 각 오픈마켓 서버에서 해당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 리스트 페이지를 스크롤링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판매자가 소지하는 판매자 단말에 오픈마켓별 상품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오픈마켓 통합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요청이 있으면, 각 오픈마켓 서버에서 해당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 리스트 페이지에서 데이터를 스크롤링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마켓 통합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특정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각 오픈마켓 서버에 접속하여, 각 오픈마켓 서버에서 해당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 리스트 페이지에서 데이터를 스크롤링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마켓 통합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오픈마켓별 제품 판매 현황 정보, 재고 관리 정보, 주문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관련 정보를 판매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마켓 통합 관리 시스템.
  5. 데이터베이스 및 둘 이상의 오픈마켓 서버와 통신하는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오픈마켓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의 오픈마켓 통합 관리 방법에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판매자가 소지하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오픈마켓별 판매자의 로그인 정보를 등록받는 단계;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오픈마켓별 판매자의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각 오픈마켓 서버에 접속하여, 각 오픈마켓 서버에서 해당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 리스트 페이지를 스크롤링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수집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판매자가 소지하는 판매자 단말에 오픈마켓별 상품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픈마켓 통합 관리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요청이 있으면, 각 오픈마켓 서버에서 해당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 리스트 페이지에서 데이터를 스크롤링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마켓 통합 관리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특정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각 오픈마켓 서버에 접속하여, 각 오픈마켓 서버에서 해당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 리스트 페이지에서 데이터를 스크롤링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마켓 통합 관리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오픈마켓별 제품 판매 현황 정보, 재고 관리 정보, 주문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관련 정보를 판매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마켓 통합 관리 방법.
KR1020180102779A 2018-08-30 2018-08-30 오픈마켓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254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779A KR20200025431A (ko) 2018-08-30 2018-08-30 오픈마켓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779A KR20200025431A (ko) 2018-08-30 2018-08-30 오픈마켓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431A true KR20200025431A (ko) 2020-03-10

Family

ID=69800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779A KR20200025431A (ko) 2018-08-30 2018-08-30 오픈마켓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543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254A (ko) 2020-08-06 2022-02-15 김진선 오픈마켓 상품 페이지의 저작권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220018278A (ko) 2020-08-06 2022-02-15 주식회사 그늘 오픈마켓 상품 페이지의 키워드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230017591A (ko) * 2021-07-28 2023-02-06 주식회사 비씨디코퍼레이션 국내외 온라인 마켓 기반의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30029310A (ko) * 2021-08-24 2023-03-03 주식회사 비씨디코퍼레이션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등록 상품 관리 방법
KR102545604B1 (ko) * 2022-06-16 2023-06-20 주식회사 엘케이알 오픈마켓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974B1 (ko) 2014-05-26 2014-11-26 (주)시엠아이코리아 마케팅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974B1 (ko) 2014-05-26 2014-11-26 (주)시엠아이코리아 마케팅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254A (ko) 2020-08-06 2022-02-15 김진선 오픈마켓 상품 페이지의 저작권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220018278A (ko) 2020-08-06 2022-02-15 주식회사 그늘 오픈마켓 상품 페이지의 키워드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230017591A (ko) * 2021-07-28 2023-02-06 주식회사 비씨디코퍼레이션 국내외 온라인 마켓 기반의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30029310A (ko) * 2021-08-24 2023-03-03 주식회사 비씨디코퍼레이션 E-커머스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국내 온라인 마켓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등록 상품 관리 방법
KR102545604B1 (ko) * 2022-06-16 2023-06-20 주식회사 엘케이알 오픈마켓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45280B (zh) 信息推送的方法和装置
KR20200025431A (ko) 오픈마켓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5847915B1 (ja) 評価装置、評価方法及び評価プログラム
US201901470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nformation
US103185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 data management
US202200050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ustering platform sessions and user accounts associated with the platform sessions
AU201821121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difying a webpage
JP2023533475A (ja) キーワード推薦のための人工知能
JP2022517891A (ja) パターン認識を使用するイベントストリームの処理
CN102957722A (zh) 一种用于生成个性化推荐的网络服务方法及其系统
US201500814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Next Best Offer
US9460163B1 (en) Configurable extractions in social media
US10453091B2 (en) System and method to build external facing information platform to generate target list of entities
CN103854206A (zh) 一种分析人群特征的方法和设备
JP2016136436A (ja) 評価装置、評価方法及び評価プログラム
US2024000752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centralized detection of software platforms operating on website pages
JP6400067B2 (ja) 評価装置、評価方法及び評価プログラム
JP6062100B1 (ja) 評価装置、評価方法及び評価プログラム
CN107357847B (zh) 数据处理方法及其装置
JP2022523649A (ja) 購入行動を使用したリアルタイムユーザマッチング
CN110827044A (zh) 提取用户兴趣模式的方法和装置
KR100975724B1 (ko) 실시간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US9009174B1 (en) Consumer action mining
JP6356738B2 (ja) 提供装置、提供方法及び提供プログラム
KR101684582B1 (ko) 키워드 광고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