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6923A -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6923A
KR20230026923A KR1020210173889A KR20210173889A KR20230026923A KR 20230026923 A KR20230026923 A KR 20230026923A KR 1020210173889 A KR1020210173889 A KR 1020210173889A KR 20210173889 A KR20210173889 A KR 20210173889A KR 20230026923 A KR20230026923 A KR 20230026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user
fps
user terminal
acc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8290B1 (ko
Inventor
옥재윤
Original Assignee
옥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재윤 filed Critical 옥재윤
Priority to PCT/KR2022/01228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22512A1/ko
Publication of KR20230026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37Shooting of targ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1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using secure communication between game devices and game servers, e.g. by encrypting game data or authenticating p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06V40/23Recognition of whole body movements, e.g. for sport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76Shoo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 편의성이 고려된 체감형 게임 서비스로서, 가상공간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양 진영 중 어느 한편에 속하여 상대방을 제압하고, 체감형 FPS 워 게임 서비스에서 본인 인증 기능을 제공함과 아울러 계정, 닉네임 이외에 가상 공간에서 사용자를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례로, 착용한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복수의 센서가 탑재된 모션슈트; 상기 모션슈트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복수의 센서로부터 인식된 사용자의 동작을 전송 받는 사용자 단말;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고, 등급에 따라 복수개로 구분되는 게임 세션을 생성하여 사용자의 등급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게임 세션에 각 사용자 단말을 연결하고, 가상공간 상에서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진행되는 게임 콘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로부터 모션슈트를 착용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얼굴 이미지를 전송 받아 계정을 식별하고, 계정 생성시 등록된 인증 이미지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일정 주기로 본인인증을 수행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는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FPS WAR GAME SERVICE}
본 발명은 FPS 워 게임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하여 온라인 상에 구현된 가상공간에 다수의 사용자들이 접속하여 체감형 FPS 게임을 즐길 수 있는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응용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및 혼합현실(Mixed Reality) 기술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가상현실 기술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현실 세계에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공간을 구축하고, 그 가상공간을 현실처럼 느끼게 하는 기술로서, 현실 세계 위에 컴퓨터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덧붙여 표현하는 기술, 즉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를 결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을 말한다.
특히, 이러한 증강현실과 혼합현실 기술은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 및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응용 서비스로 구현되고 있으며, 증강현실 또는 혼합현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대표적인 서비스로서, 메타버스(Meta-verse)가 있다. 이 메타버스는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 세계를 의미한다.
메타버스는 기존의 가상현실 환경(Virtual reality environment)이라는 용어보다 진보된 개념으로서, 웹과 인터넷 등의 가상세계가 현실세계에 흡수된 증강 현실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가상현실 상에서 구현된 1인칭 슈팅 게임(First Person Shooting; FPS) 게임과 관련하여, 선행기술문헌인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6030호는 HMD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가상현실장치에 의해 생성된 복수개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컨텐츠들 중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고 그에 따른 캐릭터를 선택하는 단계, 모션인식장치에 의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하여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캐릭터의 동작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의 모션은 사용자에 장착된 센서들을 통해 측정하는 가상현실 FPS 게임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을 비롯하여 현재까지 제시된 가상현실 내지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들은 대부분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착용하고 가상공간에 구현된 그래픽을 둘러보는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메타버스의 개념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가상공간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FPS 기반 워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수준까지 도달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 게임 인구의 증가 및 저변 확대에 따라, 다양한 장르의 e-스포츠 대회가 개최하고 있는 중이며, 이러한 e-스포츠 분야에서는 크고 작은 게임 대회가 수시로 개최되곤 한다.
가상현실 기반 게임을 비롯하여 일반 FPS 게임 서비스에 있어서도, 다수의 게이머 들이 함께 파티를 이루어 대결하는 FPS 게임이 성행하고 있다.
특히, FPS 게임은 게이머가 자신만의 계정으로 캐릭터를 꾸미고, 게임 스코어에 따라 계급과 같은 등급을 높이며 게임을 즐기는 것이 일반화되었으며, 이러한 캐릭터 및 계급은 게이머가 게임상에서 자신의 게임 실력을 알리는 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몇몇의 게이머는 자신이 다소 낮은 실력임에도 불구하고, 지인 등에게 계정을 빌려주어 통한 대리 게임을 통해 캐릭터의 등급을 높이는 등의 꼼수를 쓰기도 한다. 이는 게임에서 본인 인증시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것 이외에 별도의 본인 인증 절차를 거치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상금 등의 직접적인 혜택이 주어지는 온라인 게임 대회에서 대리 게임은 단순 재미가 아닌 심각한 부정 행위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상금을 걸고 진행하는 게임 대회에 대한 공정성을 훼손하는 원인이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6030호(공개일자: 2019.05.07.)
본 발명은 사용자 편의성이 고려된 체감형 게임 서비스로서, 가상공간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양 진영 중 어느 한편에 속하여 상대방을 제압하는 메타버스 기반 체감형 FPS 워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감형 FPS 워 게임 서비스에서 본인 인증 기능을 제공함과 아울러 계정, 닉네임 이외에 가상 공간에서 사용자를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메타버스 기반 체감형 FPS 워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다른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은, FPS 워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고, 등급에 따라 복수 개로 구분되는 게임 세션을 생성하여 사용자의 등급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게임 세션에 각 사용자 단말을 연결하고, 가상공간 상에서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진행되는 게임 콘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얼굴 이미지를 전송 받아 계정을 식별하고, 계정 생성시 등록된 인증 이미지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본인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간 전투를 통해 사용자 상호 간의 포인트를 빼앗는 게임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착용한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복수의 센서가 탑재된 모션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모션슈트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복수의 센서로부터 인식된 사용자의 동작은 전송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서버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는 연동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제공하여 계정을 생성하고, 생성된 계정을 이용한 로그인 절차를 처리하는 회원 관리부; 로그인된 계정의 사용자에 대하여, 다수의 얼굴 학습 데이터를 통해 학습된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인증 이미지와 계정 생성시 입력된 얼굴 이미지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일정 주기로 사용자 본인여부를 인증하는 본인 인증부; 본인인증 결과에 따라, 식별된 사용자 계정을 연결 또는 차단하고, 연결된 계정의 레벨을 확인하고, 상기 레벨에 따라 구분된 복수의 게임 세션에 사용자 단말을 연결하여 가상공간을 제공하는 가상공간 제공부; 및 상기 가상공간 내에서 복수의 사용자간 파티를 형성하고, 캐릭터를 통해 임무를 수행하는 FPS 워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 진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게임 진행부는, 동일한 레벨끼리 게임을 하거나, 하위 레벨의 사용자가 상위 레벨의 사용자가 참여한 게임을 하도록 상기 레벨에 따라 가상공간의 입장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공간 제공부는, 본인 인증된 계정의 인증 이미지를 반영하여 상기 캐릭터의 얼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 진행부는, 게임 진행 중 사용자가 획득하는 점수에 비례하여 게임상에서 상기 캐릭터에 부여된 복수의 능력치를 포함하는 스테이터스에서 하나 이상의 능력치를 초기값에서 일정부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 진행부는, 상기 가상공간 내에서 캐릭터를 1인칭 시점으로 표시하되, 캐릭터의 필드 이동 시에는 3인칭 시점으로 자동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 서버는, 게임 진행 중, 사용자가 게임상에서 득점한 점수를 일정 요율에 따라 재화를 지급하는 리워드 지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화는, 현금충전 및 암호화폐 교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한 게임 포인트, 암호화폐 및 현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 진행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일정 수량 이상의 재화를 판매하고, 상기 게임 세션에 참가를 위한 권한을 부여하고, 사용자 각각이 보유한 재화를 서로 빼앗는 룰을 적용하여 멀티 플레이 게임을 진행하고, 상기 리워드 지급부는, 상기 멀티 플레이 게임 진행 중에 다수의 사용자들 간 전투를 통해 획득되는 점수에 따라 재화에 상응하는 리워드를 증가시키고, 상기 게임 진행부는, 누적된 리워드에 대응하여 캐릭터의 스테이터스 중에 체력 또는 전투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가 조작하는 방향 센서를 탑재한 총기 콘트롤러와 더 연결되고, 상기 게임 진행부는, FPS 워 게임 내 캐릭터의 시점을 상기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동기화하고, 상기 총기 콘트롤러의 격발 조작을 입력받아 게임 진행에 반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착용자의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캐릭터에 반영하는 전신형 모션슈트를 착용하고, 사용자 단말을 통해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모션슈트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동작을 캐릭터에 반영함으로써 보다 실감나는 체감형 게임을 경험할 수 있는 메타버스 기반 FPS 워 게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전신형 모션수트를 착용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기계 학습 모델을 통해 분석하여 사용자에 대한 본인 인증을 수행하고, 본인 인증된 캐릭터의 등급에 따라 게임 세션 또는 서버를 구분하여 연결함으로써, 비슷한 실력의 사용자들끼리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의 등급별 게임 세션을 지정하는 방법을 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하는 게임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서버(Server)",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 있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서버(Server)",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구현하는 각 기능은 모듈단위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메타버스 기반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의 용어는 설명의 편의상 "시스템"으로 약식 기재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은, 착용한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복수의 센서가 탑재된 모션슈트(10), 가상공간 내 캐릭터의 시점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 및, 게임 내 총기 조작을 위한 하나 이상의 버튼이 탑재되는 총기 콘트롤러(50)를 포함하고, 이러한 모션슈트(10) 등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복수의 센서로부터 인식된 사용자의 동작을 전송 받는 사용자 단말(100)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되고, 등급에 따라 복수개로 구분되는 게임 세션을 생성하여 사용자의 등급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게임 세션에 각 사용자 단말(100)을 연결하고, 가상공간 상에서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진행되는 게임 콘텐츠를 제공하는 운영서버(200)를 포함하고, 운영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120)로부터 모션슈트(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얼굴 이미지를 전송 받아 계정을 식별하고, 계정 생성시 등록된 인증 이미지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일정 주기로 본인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간 전투를 통해 사용자 상호 간의 포인트를 빼앗는 게임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메타버스 기반 체감형 FPS 워 게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해야 하며, 본 발명에서는 웨어러블 장치로서, 모션슈트(Motion suit; 10),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20) 및 총기 콘트롤러(Gun controller; 50) 등이 있다.
먼저, 모션슈트(10)는 신체의 각 부분에 대응하는 복수의 센서를 탑재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상반신으로부터 양손 끝 및 무릎 이하까지 덮는 형태로 착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모션슈트(10)는 착용자의 몸의 기울어짐, 방향 등을 감지함과 아울러, 어깨부터 손가락까지의 각 관절이 움직이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100)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는 공지의 공간감을 갖는 3D 가상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얼굴을 덮는 형태로 착용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이 제공하는 게임 화면 등을 입체영상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는 머리의 방향 및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자기 센서 등이 탑재되어 게임 중,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른 게임 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총기 콘트롤러(50)는 사용자가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쥐고 캐릭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며, 특히 캐릭터가 소지한 가상 총기를 팔포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총기 콘트롤러(50)는 외관이 실제총기와 유사하게 디자인 될 수 있고, 격발에 대응하는 버튼이 방아쇠에 대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총기 콘트롤러(50)는 총기 형태가 아닌, 일반적인 게임패드로 대체될 수 있다.
전술한 모션슈트(10),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 및 총기 콘트롤러(50)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고, 센서를 통해 감지한 신호 또는 버튼의 눌림에 따른 신호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모션슈트(10)는 생략 가능하며, 일반적인 PC, VR 장치 등으로 게임 진행이 가능하며, 다만 이러한 경우 게임을 위한 디바이스 차이가 게임 결과에 영향을 미치므로, 동일한 디바이스끼리 게임을 할 수 있도록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슈트(10)를 착용한 경우 모션슈트(10)를 착용한 사용자 간의 게임이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모션슈트(10) 없이 PC, VR 장치 등 기존의 일반적인 장치를 이용할 경우 해당 장치를 구비한 사용자 간이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제한할 수 있다. 물론, 후술하겠으나 사용자의 게임 레벨에 따라서도 게임 참여를 위한 가상공간의 입장 제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운영서버(200)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요청함과 아울러, 상기의 장치들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운영서버(200)에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게임 진행에 따른 화면 및 데이터 등을 운영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장치들에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 및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탑재되는 장치 본체(110) 및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120)로 구분될 수 있다.
장치 본체(110)는 공지의 태블릿PC, 거치형PC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과 같은 연산 및 통신이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장치 본체(110)는 모션슈트(10)와 같은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고, 정보통신망을 통해 운영서버(200)에 접속하여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전술한 장치 본체(110)로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모바일 단말 장치 및 거치형PC, 노트북과 같은 공지의 다양한 컴퓨팅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20)은 장치 본체(110)내에 탑재되거나 장치 본체(110)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 특히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그 이미지를 운영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FPS 워 게임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계정 생성시 본인 인증을 위한 얼굴 이미지를 운영서버(200)에 등록해야 하며, 이에 카메라 모듈(120)은 모션슈트(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얼굴 이미지를 장치 본체(110)를 통해 운영서버(200)에 제공하여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은 게임 중, 수시로 현재 게임 중인 사용자에 대한 본인인증을 수행함으로써 게임 중간에 등록되지 않거나 현재 접속중인 계정의 소유자가 아닌 자에 의한 대리 게임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통한 본인인증 절차를 수시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120)은 게임 중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얼굴 이미지를 운영서버(200)에 제공하고 운영서버(200)는 해당 계정에 기 등록된 인증 이미지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현재 게임중인 사용자가 본인임을 인증할 수 있다.
운영서버(200)는 각 지역의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과 정보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100)에 메타버스에 기반한 FPS 워 게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정보통신망으로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같은 유선전화망뿐만 아니라, 데이터 통신망의 일 예로서,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가 이용될 수 있다.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망의 일 예로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5G 등)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운영서버(200)는 사용자의 등급별로 나누어 운영되는 복수의 게임서버 또는 게임서버로 구분될 수 있고, 계정을 이용한 접속 이후 각 계정별 등급에 맞는 게임 세션을 통해 게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서버(200)에서 제공하는 게임 서비스는 온라인에서 진행되는 메타버스 기반 FPS 워 게임 서비스로서, 원격지의 사용자들이 파티를 이루고 모션슈트(10)를 착용하고 그 동작에 따라 가상공간 상에 위치한 자신의 캐릭터를 조정하여 상태팀 파티원을 전부 제압하거나, 본거지를 제압하는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1인칭 FPS 장르의 게임일 수 있다.
특히, 운영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회원 가입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요청하여 이를 인증 이미지로 등록하고, 이후 로그인시 및 게임 중 일정 주기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얼굴 이미지를 수신하여 등록된 인증 이미지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본인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운영서버(200)는 다수의 학습 데이터를 통해 기계 학습된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얼굴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최초 계정 등록시의 본인임을 확인하고 그 계정에 등급에 맞는 사용자끼리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들이 모션슈트를 착용하고 원격지에서 체감형 FPS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얼굴 이미지를 이용한 본인인증을 통해 타인에 의한 대리 게임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자 단말(100)이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은, 공지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HTML, javascript 등의 언어로 실행되거나, 혹은 운영서버(200)와 연동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100)은 별도의 카메라 모듈(120)과 연결되거나 혹은 카메라 모듈(120)이 내장될 수 있고, 정보통신망을 통해 운영서버(200)와 연결되어 게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기능으로서, 사용자 단말(100)은 연동 기능(150), 촬영 기능(160) 및 인터페이스 기능(170)을 제공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연동 기능(150)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운영서버(200)에 접속하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으로서, 사용자 단말(100)은 연동 기능(150)을 통해 카메라 모듈(120)이 촬영한 얼굴 이미지를 운영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고, 모션슈트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 연결된 총기 콘트롤러에 의한 제어신호 등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운영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고, 운영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가상공간에 대한 화면을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제공함으로써 게임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촬영 기능(160)은 사용자 단말(100)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120)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 기능(160)은 사용자의 최초 계정 생성시 또는, 게임 진행 중 운영서버(200)의 요청에 따라 수시로 활성화하여 되어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그 이미지를 운영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인터페이스 기능(170)은 사용자가 착용한 모션슈트, 총기 콘트롤러와 연결되어 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들을 운영서버(200)에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와 운영서버간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FPS 장르의 게임의 경우 프레임 단위로 승패가 갈림에 따라 인터페이스 기능(170)은 총기 콘트롤러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가 수 프레임 이상의 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운영서버(200)에 전달하는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서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서버(20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하는 연동부(210),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이에 연결되거나 탑재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제공하여 계정을 생성하고, 생성된 계정을 이용한 로그인 절차를 처리하는 회원 관리부(220), 로그인된 계정의 사용자에 대하여, 다수의 얼굴 학습 데이터를 통해 학습된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인증 이미지와 계정 생성시 입력된 얼굴 이미지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사용자 본인여부를 인증하는 본인 인증부(230), 본인인증 결과에 따라, 식별된 사용자의 계정을 연결 또는 차단하고, 연결된 계정의 레벨을 확인하고, 레벨에 따라 구분된 복수의 게임 세션에 사용자 단말(100)을 연결하여 가상공간을 제공하는 가상공간 제공부(240), 상기 가상공간 내에서 복수의 사용자간 파티를 형성하고, 캐릭터를 통해 임무를 수행하는 FPS 워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 진행부(250) 및, 게임 진행 중, 사용자가 게임상에서 득점한 점수를 일정 요율에 따라 재화를 지급하는 리워드 지급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재화는, 현금충전 및 암호화폐 교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한 게임 포인트, 암호화폐 및 현금 등을 다양한 재화를 포함할 수 있다.
연동부(21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각 지역의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연동부(210)는 사용자 단말(100)의 로그인 이후 사용자의 등급에 따른 게임 세션에 연결되면, 게임 서비스의 진행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회원 관리부(220)는 본 발명의 FPS 워 게임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회원 등록 절차를 수행하여 계정을 생성 및 등록하고, 등록된 계정을 이용하여 접속시도 하는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에 대한 본인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원 관리부(220)는 계정 등록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얼굴 이미지를 전송받아 인증 이미지로 회원DB(225)에 저장하고, 이후 사용자 단말(100)의 계정을 이용한 로그인 시도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현재 모션슈트를 착용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얼굴 이미지를 재차 전송받아 등록된 인증 이미지와의 학습 모델을 이용한 비교 분석을 통해 현재 게임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계정 등록된 사용자와 동일인 임을 인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게임 세션에 참가한 이후에도 반복적으로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이용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게임 대회 등에서 대리 게임과 같은 부정행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회원DB(225)는 회원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원DB(225)에는 사용자 이름, 계정, 패스워드뿐만 아니라, 등록시 입력한 인증 이미지와, 계정에 연결된 캐릭터 및 그의 레벨과, 게임을 통해 획득한 재화 잔액(게임 포인트 잔액, 암호화폐 잔액, 현금 잔액) 등이 저장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들은 서비스 제공시 타 구성부에 의해 참조될 수 있다.
본인 인증부(230)는 계정 등록시, 또는 게임 중인 사용자가 해당 계정의 실제 사용자인지를 기계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인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계정 등록시와 더불어 게임 중에서도 사용자 본인을 인증하는 절차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인 인증부(230)는 로그인 절차 등에서 요청시 회원DB(225)에 저장된 계정의 인증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본인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가상공간 제공부(240)는, 가상공간에서 다수가 개인 또는 파티를 맺고 임무를 수행하는 FPS 워 게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공간 상에서는 건물, 도로, 산, 나무 등 다양한 3D 형태의 배경객체가 존재할 수 있고, 사용자들은 자신의 캐릭터를 생성하고, 캐릭터가 소지한 총기를 이용한 FPS 게임을 즐길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임 내에서 캐릭터의 조작은 통상의 키보드, 마우스, 콘트롤러 등을 대체하여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모션수트 및 총기 콘트롤러에 의해 수행할 수 있고, 게임 화면 또한 통상의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가 아닌, 사용자가 얼굴에 착용하여 3D 입체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는 가상의 전장에서 보다 실감하는 체감형 FPS 게임을 즐길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시스템이 제공하는 FPS 워 게임은 다수의 사용자가 서로 파티를 결정하고, 상대 세력과의 전투를 통해 어느 한쪽만이 살아남거나, 또는 상대팀의 고지를 먼저 점령하는 팀이 승리하는 룰이 적용될 수 있으며, 파티원들은 상대 파티원을 적중시켜 득점하거나, 고지를 점령하여 득점할 수 있고, 이는 추후 등급 상승 및 재화 획득에 반영될 수 있다.
또한, 가상공간 제공부(240)는 본인 인증된 계정의 인증 이미지를 반영하여 캐릭터의 얼굴을 생성할 수 있다. 게임 상에서 캐릭터는 3D 폴리곤으로 이루어진 인간형 캐릭터일 수 있고, 그 캐릭터의 얼굴 형상은 사용자가 임의로 제작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획득된 얼굴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가상공간 제공부(240)는 초기 캐릭터 생성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입력 받을 수 있고, 탑재된 기계 학습 모델에 얼굴 이미지를 입력하여 도출되는 특징점에 기초하여 3D 모델링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와 유사한 얼굴을 갖는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다.
소스 저장부(245)는 가상공간 및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소스 및 그래픽 소스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상공간 제공부(240)는 서로 다른 디자인의 가상공간을 갖는 복수의 게임 세션을 생성하고, 게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의 배경, 도구 등을 생성하여 게임에 적용할 수 있다.
게임 진행부(250)는 게임 세션이 생성되고, 게임이 진행되는 필요한 최소 인원이 사용자들이 게임 세션에 접속하면, FPS 워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게임 진행부(250)는 각 게임 세션의 룰에 따라 승패가 결정될 때까지 게임을 진행하게 되며, 승패가 결정되면 결과를 종합하여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게임 진행을 위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가 조작하는 방향 센서를 탑재한 총기 콘트롤러와 더 연결될 수 있고, 게임 진행부(250)는 FPS 워 게임 내 캐릭터의 시점을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동기화하고, 상기 총기 콘트롤러의 격발 조작을 입력받아 게임 진행에 반영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임 진행부(250)는 운영서버(200)에 접속한 사용자들이 게임 세션에 참가하고자 할 때, 동일한 레벨끼리 게임을 하거나, 하위 레벨의 사용자가 상위 레벨의 사용자가 참여한 게임을 하도록 상기 레벨에 따라 가상공간의 입장을 제한할 수 있다. 즉, 각 사용자의 계정 또는 캐릭터에 부여된 레벨에 따라, 동일 내지 유사 정도의 레벨, 일 예로서 사용자의 등급이 LV 60이라 하면, 약 ±10 정도의 등급(LV 50 ~ LV 70)을 갖는 타 사용자들과 동일한 게임 세션을 지정하여 접속시키거나, 하위 레벨의 사용자가 상위 레벨의 사용자와 게임할 수 있도록 해당 가상공간의 입장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진행부(250)는 전술한 룰 이외에도 다양한 룰을 게임 세션에 적용하여 게임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진행부(250)는 게임 진행 중 사용자가 획득하는 점수에 비례하여 게임상에서 상기 캐릭터에 부여된 복수의 능력치를 포함하는 스테이터스에서 하나 이상의 능력치를 초기값에서 일정부분 상승 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게임에 참여하는 각 사용자의 캐릭터들은 통상의 FPS에서 지원하는 고유의 능력치인 스테이터스가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스테이터스는 게임 내 캐릭터의 체력, 공격력, 방어력, 회복력, 이동속도 및 조준정확도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게임 진행에 반영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캐릭터 생성 이후 초기 능력치들은 도구 등에 의해서 그 수치가 임시로 가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게임 진행부(250)는 게임상에서 사용자가 획득한 스코어에 비례하여 능력치 일부를 영구적으로 증가 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스테이터스는 캐릭터뿐만 아니라, 캐릭터가 사용하는 총기와 같은 도구에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게임 진행부(250)는, 가상공간 내에서 캐릭터를 1인칭 시점으로 표시하되, 캐릭터의 필드 이동 시에는 3인칭 시점으로 자동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1인칭 시점의 게임을 장시간 진행하는 경우, 1인칭 시점에 따른 화면 변화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면 사용자는 쉽게 피로를 느낄 수 있고, 이는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그 피로도가 휠씬 빠르고 크게 느껴짐에 따라,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게임 상에서 상대팀과 조인하여 전투 상황이 아닌 시점에 캐릭터의 이동시, 캐릭터의 시점에 대응하는 1인칭 시점이 아닌, 캐릭터와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캐릭터를 바라본 3인칭 시점으로 전환할 수 있다.
리워드 지급부(260)는, 완료된 게임 세션에 대하여, 그 승패에 따라 리워드인 재화를 각 사용자가 획득한 스코어에 대응하여 지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FPS 워 게임 서비스는 사용자들이 FPS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게임 승패 결과에 따라 외부에서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재화를 지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워드 지급부(260)는 각 게임 세션이 종료되면, 게임 결과에 따라 각 캐릭터들이 승패를 결정하는데 기여한 정도에 비례하여 시스템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재화를 지급할 수 있다.
리워드로 지급되는 재화는 회원DB(225)에 저장된 사용자의 전자 지갑 또는 외부 전자 지갑에 송금될 수 있고, 그 송금을 위한 트랜잭션은 재화 플랫폼(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게임 진행부(250)는 리워드 지급부(260)와 연계하여 게임 참가 권한을 부여하고, 게임 상에서 획득할 수 있는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게임 진행부(250)는,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일정 수량 이상의 재화(현금충전 및 암호화폐 교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한 게임 포인트, 암호화폐 및 현금 등)를 판매하고, 게임 세션에 참가를 위한 권한을 부여하고, 사용자 각각이 보유한 재화를 서로 빼앗는 룰을 적용하여 멀티 플레이 게임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때, 리워드 지급부(260)는, 멀티 플레이 게임 진행 중에 다수의 사용자들 간 전투를 통해 획득되는 점수에 따라 재화에 상응하는 리워드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게임 진행부(250)는, 누적된 리워드에 대응하여 게임 캐릭터의 스테이터스 중에 체력 또는 전투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게임 진행부(250)는 게임 세션의 생성 시 입장료에 갈음하는 재화(상기 재화는, 현금충전 및 암호화폐 교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한 게임 포인트, 암호화폐 및 현금 등)을 통해 판매할 수 있고, 이에 게임에 참가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일정 개수 이상의 재화를 구매함으로써 게임 세션에 참가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진다. 이때, 재화(현금충전 및 암호화폐 교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한 게임 포인트, 암호화폐 및 현금 등) 구매 또는 충전 후 충전된 게임 포인트, 암호화폐, 현금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게임 참가를 위해 사용 가능하며, 게임을 통해 획득한 재화는 아이템 베이 등의 P2P 사이트를 통해 판매 또는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게임 내에서 재화를 보유한 상태에서 전투를 벌이게 되며 게임 중 상대방에 대한 저격에 따라, 상대방이 소지한 암호화폐를 득점으로서 탈취하여 축적할 수 있고, 아울러 상대방에게 피격되었을 때 자신이 소지한 재화를 빼앗기는 룰의 게임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간에 서로 재화를 뺏고 빼앗는 형태로 게임이 진행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게임 룰에 따르면, 상대방에 대한 저격에 성공하였을 때 획득되는 재화 량은 피격 부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대방이 보유한 재화 량이 100이라 할 때 팔, 다리의 경우 30, 몸통의 경우 50, 머리의 경우 100으로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들은 보다 높은 득점을 획득하기 위해 게임에 집중하게 된다.
또한, 게임 진행부(250)는, 파티원 전투 이외에도 멀티 플레이 방식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이 서로 간에 경쟁을 통해 점수를 획득하는 룰에서, 사용자의 캐릭터는 획득하여 누적되는 재화 량에 대응하여 게임 캐릭터의 체력, 공격력, 방어력, 조준력 및 회피력 중 하나 이상의 스테이터스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캐릭터를 성장시켜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재화를 획득하는 룰이 적용된 경우, 다수의 상대방을 처치함에 따라 다수의 재화를 소지한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보다 적은 재화를 소지한 사용자에 대비하여 볼 때, 기대할 수 있는 재화 량이 적은 반면 잃을 수 있는 재화 량이 많아짐에 따라 밸런스 문제가 발생하며, 상대방의 표적이 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밸런스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게임 제공부(250)는 상대방의 저격에 성공하여 재화를 획득한 사용자에게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테이터스 상승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장시간 게임 밸런스를 유지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자신의 캐릭터의 성능을 높이며 이를 통해 자신이 획득한 재화를 탈취당하지 않고 보다 더 많은 재화를 획득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게임시작 초기에 많은 재화를 획득한 사용자도 중도에 게임을 포기하지 않고, 장시간 보다 흥미 있는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시스템에 의한 메타버스 기반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각 단계별 실행주체는 별도의 기재가 없는 한 전술한 본 발명의 운영서버 및 그 구성부가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방법에 따르면, 먼저 운영서버에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는 단계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모션슈트를 착용하고, 사용자 단말을 조작하여 원격지의 운영서버에 접속을 요청할 수 있고, 이에 운영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연결을 승인한다(S100).
다음으로, 최초 계정 생성 단계로서, 사용자 단말은 연결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그 얼굴 이미지를 운영서버에 전송하고, 이에 운영서버가 그 이미지를 인증 이미지로 저장하고, 해당 사용자에 대한 계정을 생성 및 등록한다(S110).
이후, 사용자가 자신의 계정을 이용하여 게임에 참가하고자 하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운영서버에 접속하고, 이에 운영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연결된 카메라 서버로부터 현재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제공받아 저장된 얼굴 이미지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본인인증을 수행하고 계정을 식별한다(S120).
다음으로, 운영서버는 식별된 계정의 계정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등급을 확인하고, 등급에 따라 현재 활성화된 복수의 게임 세션 중 어느 하나에 사용자 단말을 연결한다(S130).
이때, 운영서버는 사용자와 동일 내지 유사 등급의 사용자들이 속한 게임 센서를 자동 지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의 등급별 게임 세션을 지정하는 방법을 표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복수의 게임 세션(#1 ~ #4)을 개설하고, 사용자가 이중 어느 하나에 접속하여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어떤 사용자의 계정 등급이 LV 22라면, 사용자는 '게임세션 #1'에 자동 배정되어 게임에 참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PS 워 게임은 복수의 사용자 들의 서로 파티를 맺고 상대편을 쓰러뜨리는 등의 게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는 해당 게임 세션에 어느 하나의 파티에 임의로 참여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사용자 계정이 'auyu111'인 사용자가 게임 세션 #1의 레드팀으로 참여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운영서버는 게임 세션에서 복수의 사용자간 파티를 형성하고, 캐릭터를 통해 임무를 수행하는 FPS 워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S140)로서, 시스템이 각 게임 세션별로 일정시간 경과 이후, 또는 필요 최소인원을 만족하는 게임 세션에서의 게임을 시작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하는 게임화면의 예시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하는 게임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하는 맵(500)을 예시한 것으로, 일정 크기를 갖는 가상공간을 제공하고 그 가상공간 안에서 복수의 사용자들의 캐릭터들이 전투를 벌이고 임무를 수행하는 FPS 방식의 워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가상공간 내 상에는 다양한 형태의 3D 지형 지물이 구현되어 있고, 사용자는 자신의 캐릭터를 조작하여 파티원과 함께 자신의 고지(510)를 지키는 동시에 맵(500) 상에서 이동하여 상대방의 고지(510)를 점령하거나, 상대 파티원(530)을 전부 아웃 시킴으로서 승리하는 방식의 룰로 진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하는 게임 화면(600)을 예시한 것으로, 게임 화면(600)의 일측으로 크기를 축소한 미니 맵(500)을 제공할 수 있고, 자신의 캐릭터(610)를 중심으로 1인칭 또는 3인칭 시점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캐릭터(610)는 파티원 캐릭터(610)와 맵(500)을 이동하여 적의 고지를 점령할 수 있고, 맵(500)상을 이동하며 상대 파티의 캐릭터(621, 622)를 발견하고 총기 콘트롤러를 조작하여 전투를 벌이며 스코어를 획득함으로써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 : 모션슈트 20 :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
50 : 총기 콘트롤러 100 : 사용자 단말
110 : 장치 본체 120 : 카메라 모듈
200 : 운영서버 210 : 연동부
220 : 회원 관리부 230 : 본인 인증부
235 : 회원DB 240 : 가상공간 제공부
245 : 소스 저장부 250 : 게임 진행부
260 : 리워드 지급부 300 : 재화 플랫폼
500 : 맵 600 : 게임 화면

Claims (9)

  1. FPS 워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고, 등급에 따라 복수 개로 구분되는 게임 세션을 생성하여 사용자의 등급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게임 세션에 각 사용자 단말을 연결하고, 가상공간 상에서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진행되는 게임 콘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얼굴 이미지를 전송 받아 계정을 식별하고, 계정 생성시 등록된 인증 이미지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본인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간 전투를 통해 사용자 상호 간의 포인트를 빼앗는 게임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착용한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복수의 센서가 탑재된 모션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모션슈트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복수의 센서로부터 인식된 사용자의 동작은 전송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는 연동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제공하여 계정을 생성하고, 생성된 계정을 이용한 로그인 절차를 처리하는 회원 관리부;
    로그인된 계정의 사용자에 대하여, 다수의 얼굴 학습 데이터를 통해 학습된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인증 이미지와 계정 생성시 입력된 얼굴 이미지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일정 주기로 사용자 본인여부를 인증하는 본인 인증부;
    본인인증 결과에 따라, 식별된 사용자 계정을 연결 또는 차단하고, 연결된 계정의 레벨을 확인하고, 상기 레벨에 따라 구분된 복수의 게임 세션에 사용자 단말을 연결하여 가상공간을 제공하는 가상공간 제공부; 및
    상기 가상공간 내에서 복수의 사용자간 파티를 형성하고, 캐릭터를 통해 임무를 수행하는 FPS 워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 진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게임 진행부는,
    동일한 레벨끼리 게임을 하거나, 하위 레벨의 사용자가 상위 레벨의 사용자가 참여한 게임을 하도록 상기 레벨에 따라 가상공간의 입장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공간 제공부는,
    본인 인증된 계정의 인증 이미지를 반영하여 상기 캐릭터의 얼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진행부는,
    게임 진행 중 사용자가 획득하는 점수에 비례하여 게임상에서 상기 캐릭터에 부여된 복수의 능력치를 포함하는 스테이터스에서 하나 이상의 능력치를 초기값에서 일정부분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진행부는,
    상기 가상공간 내에서 캐릭터를 1인칭 시점으로 표시하되, 캐릭터의 필드 이동 시에는 3인칭 시점으로 자동 전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게임 진행 중, 사용자가 게임상에서 득점한 점수를 일정 요율에 따라 재화로 지급하는 리워드 지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화는, 현금충전 및 암호화폐 교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한 게임 포인트, 암호화폐 및 현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진행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일정 수량 이상의 재화를 판매하고, 상기 게임 세션에 참가를 위한 권한을 부여하고, 사용자 각각이 보유한 재화를 서로 빼앗는 룰을 적용하여 멀티 플레이 게임을 진행하고,
    상기 리워드 지급부는,
    상기 멀티 플레이 게임 진행 중에 다수의 사용자들 간 전투를 통해 획득되는 점수에 따라 재화에 상응하는 리워드를 증가시키고,
    상기 게임 진행부는,
    누적된 리워드에 대응하여 캐릭터의 스테이터스 중에 체력 또는 전투력을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가 조작하는 방향 센서를 탑재한 총기 콘트롤러와 더 연결되고,
    상기 게임 진행부는,
    FPS 워 게임 내 캐릭터의 시점을 상기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동기화하고, 상기 총기 콘트롤러의 격발 조작을 입력받아 게임 진행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
KR1020210173889A 2021-08-18 2021-12-07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 KR102608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2284 WO2023022512A1 (ko) 2021-08-18 2022-08-17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08950 2021-08-18
KR1020210108950 2021-08-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923A true KR20230026923A (ko) 2023-02-27
KR102608290B1 KR102608290B1 (ko) 2023-12-01

Family

ID=85329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889A KR102608290B1 (ko) 2021-08-18 2021-12-07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29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180A (ko) * 2008-07-22 2010-02-01 주식회사 미래인식 개인 접속 정보와 얼굴 인식 정보 비교를 통한 사이버 인증방법 및 시스템
KR20140101069A (ko) * 2013-02-07 2014-08-19 (주)네오위즈게임즈 게임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게임 제공 서버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20180090515A (ko) * 2017-02-03 2018-08-13 옥철식 게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
KR20190046030A (ko) 2017-10-25 2019-05-07 (주)유니즈소프트 타격감 개선 시스템을 이용한 1인칭 슈팅 게임 방법
KR20190087907A (ko) * 2018-01-17 2019-07-25 주식회사 엠게임 멀미가 감소된 가상현실 게임 제공 방법 및 가상현실 게임 단말기
KR102084697B1 (ko) * 2019-09-17 2020-03-04 주식회사 라이브메이커스 개인 제작 캐릭터의 온라인 게임 연계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180A (ko) * 2008-07-22 2010-02-01 주식회사 미래인식 개인 접속 정보와 얼굴 인식 정보 비교를 통한 사이버 인증방법 및 시스템
KR20140101069A (ko) * 2013-02-07 2014-08-19 (주)네오위즈게임즈 게임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게임 제공 서버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20180090515A (ko) * 2017-02-03 2018-08-13 옥철식 게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
KR20190046030A (ko) 2017-10-25 2019-05-07 (주)유니즈소프트 타격감 개선 시스템을 이용한 1인칭 슈팅 게임 방법
KR20190087907A (ko) * 2018-01-17 2019-07-25 주식회사 엠게임 멀미가 감소된 가상현실 게임 제공 방법 및 가상현실 게임 단말기
KR102084697B1 (ko) * 2019-09-17 2020-03-04 주식회사 라이브메이커스 개인 제작 캐릭터의 온라인 게임 연계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8290B1 (ko) 202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2081B2 (en) Promoting competitive balance in multiplayer gaming
US9280871B2 (en) Gaming systems with authentication token support
US8821288B2 (en) Method of determining gifts of each friend user
US8070573B2 (en) Video game apparatus and video game program
JP5989621B2 (ja) ゲームシステム、サー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5989373B2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ゲーム装置、およびサーバシステム
US11167215B2 (en) Game system,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match-up game, and method of executing match-up game
US11666829B1 (en) Utilizing gaming behavior in user authentication
JP6235669B1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5818215B2 (ja) ゲーム制御装置、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
CN117083111A (zh) 用于动态任务生成的方法和系统
KR102608290B1 (ko)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
WO2022222597A1 (zh) 一种游戏进程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17131322A (ja) 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
JP2020044103A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WO2023022512A1 (ko)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
JP2018043018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830932B2 (ja) ゲームシステム
KR102410721B1 (ko) 증강현실 기반 바둑 게임 시스템 및 방법
JP7121776B2 (ja) ゲーム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処理方法
JP6940802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4087935A1 (zh) 虚拟对象的控制方法、装置、设备、介质及产品
KR100745838B1 (ko) 멀티캐릭터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JP6737853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JP7232603B2 (ja) 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ゲー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