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0515A - 게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 - Google Patents

게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0515A
KR20180090515A KR1020170015458A KR20170015458A KR20180090515A KR 20180090515 A KR20180090515 A KR 20180090515A KR 1020170015458 A KR1020170015458 A KR 1020170015458A KR 20170015458 A KR20170015458 A KR 20170015458A KR 20180090515 A KR20180090515 A KR 20180090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user
movement
signa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3836B1 (ko
Inventor
옥철식
Original Assignee
옥철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철식 filed Critical 옥철식
Priority to KR1020170015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836B1/ko
Priority to PCT/KR2018/001466 priority patent/WO2018143732A1/ko
Publication of KR20180090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특정구역내에서 모션인식 센서 및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체감형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실내공간내에 게임의 가상공간과 매칭되는 스테이지 영역을 정의하고, 스테이지 영역내에 헤드 마운티드 장치 및 착용수트를 착용한 사용자의 행위를 입력받거나 감지하여 게임을 진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실감나는 체감형 게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게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GAME CONTROL DEVICE AND VIRTUAL REALITY GAME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구역 내에서 모션인식 센서 및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체감형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게임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좌석에 앉아 화면상에서 벌어지는 상황에 따라 게임 콘트롤러에 구비된 버튼 또는, 간단한 조작기구를 사용함으로써 게임을 진행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의 게임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시각과 청각 이외의 체험을 제공하는 기능은 구현할 수 없었으며, 보다 다양한 공감각적인 체험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최근에는 사용자의 행위를 감지하여 게임에 반영하는 모션 동작인식 센서 등이 탑재된 다양한 형태의 체감형 게임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최근 제안된 체감형 게임 시스템은, 다양한 형태의 게임 콘트롤러와 피드백 수단을 제공하고, 게임진행 상황에 따라 게임내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들에 대한 속도 및 가속도 등의 물리량을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 함으로써 실제와 같은 체감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체감형 게임 시스템(1)을 나타낸 것으로, 종래의 FPS 체감형 게임 시스템은 사용자(user)가 총기형의 게임 콘트롤러 장치(3)를 소지하고, 디스플레이 장치(4)에서 제공하는 게임화면을 바라보며 게임을 진행하는 방식을 예시하고 있으며, 사용자(user)는 게임진행에 따른 전후 이동을 반영하고 피드백을 전달하기 위한 무빙패드 및 센서가 설치된 거치장치(5)상에 위치하여 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체감형 게임 시스템(1)은 게임상에서 상기 무빙패드의 구조적인 안전문제와 이동 시 발을 움직일 때 슬라이딩 또는 타원의 구조로 안으로 미끄러져 들어오게 되는 구조적 문제로 인해 자세의 중심이 흐트러져 사실상 뛰면서 게임을 하기가 매우 불편하다. 또한 거치장치(5)에 설치되는 고정형 벨트를 허리에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함에 따라 사용자(user)가 취할 수 있는 동작 및 자세 등에 제약이 크다.
허리센서 또는 발 미끄러짐 센서등의 감지오차로 인한 모션 딜레이 현상으로 이동의 오작동이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체감형 게임 시스템(1)은 거치장치(5)에 설치되는 센서 및 안전사고 예방장치 등으로 인한 제품의 제작단가가 높다는 단점이 있으며, FPS 게임의 진행을 위한 이동방향만을 인식할 뿐, 별도의 동작인식 기능이 없다는 한계가 있다.
국내등록특허 10-1501632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한정된 공간 내에서 사용자의 동작 체감형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게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과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제어장치는, 액티브 영역 및 무빙 영역으로 정의되는 스테이지상에 사용자가 위치함에 따라 실행되는 게임 콘텐츠를 제공하는 게임 제어장치로서, 게임 콘트롤러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조작 수신부; 하나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이동 및 동작에 대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수신부; 상기 조작신호 및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에 매칭되는 게임 콘텐츠 내 아바타의 조작, 이동 및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상호 작용부; 연결된 헤드 마운티드 장치에 상기 게임 콘텐츠에 대응하는 화면신호를 전송하는 화면 제공부; 및 상기 게임 콘텐츠에 상기 제어신호를 반영하여 상기 게임 콘텐츠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현실 게임 시스템은, 액티브 영역이 정의되는 스테이지상에 사용자가 위치함에 따라 실행되는 게임 콘텐츠를 제공하는 가상 현실 게임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손에 의한 조작을 입력 받는 게임 콘트롤러; 상기 스테이지가 설치되는 부스 또는 사용자의 착용 수트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 동작 및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장치;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며, 게임 콘텐츠를 표시하는 헤드 마운티드 장치; 및 상기 게임 콘트롤러 및 센서장치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조작신호 및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게임 콘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게임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실내공간 내에 게임의 가상공간과 매칭되는 스테이지 영역을 정의하고, 스테이지 영역 내에 헤드 마운티드 장치 및 착용수트를 착용한 사용자의 모션 동작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거나 감지하여 게임을 진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실감나는 체감형 게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까운 거리 이외에 콘텐츠 상 부스의 동작인식 영역을 넘게 되는 영역을 이동할 경우 특정 이동명령을 위해 버튼입력, 제자리 걸음과 같은 특정 동작패턴 인식, 콘텐츠 미션 완료 시 자동이동 기능 등을 통해 부스공간 보다 큰 가상의 넓은 범위의 맵 공간을 실제로 돌아 다니며 게임을 할 수 있는 모션동작인식 FPS게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체감형 게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을 모식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의 구조를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에 포함되는 게임 제어장치를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에 적용되는 사용자의 행위를 게임 콘텐츠내에서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에 적용되는 사용자의 행위를 게임 콘텐츠내에서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어장치의 게임 제공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및 "...모듈(Module)"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 있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발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하드웨어 모두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인 '행위'는 사용자 및 그 사용자에 대응되는 게임 콘텐츠내의 아바타(avatar)가 취하는 모든 행동, 즉 도구 등의 조작, 이동 및 동작 등을 포괄하는 의미를 갖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을 모식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의 구조를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100)은 액티브 영역(A/A)이 정의되는 스테이지(50)상에 사용자(user)가 위치함에 따라 실행되는 게임 콘텐츠를 제공하는 가상 현실 게임 시스템으로서, 사용자(user)의 손에 의한 조작을 입력받는 게임 콘트롤러(110)와, 부스(10) 또는 사용자(user)의 착용수트(115)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고, 사용자(user)의 조작, 동작 및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121, 122)를 포함하는 센서장치(120), 사용자(user)가 머리에 착용하며, 게임 콘텐츠를 표시하는 헤드 마운티드 장치(130) 및, 상기 게임 콘트롤러(110) 및 센서장치(120)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조작신호 및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게임 콘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헤드 마운티드 장치(130)를 통해 표시하는 게임 제어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100)은 소정의 공간을 갖는 부스(10)내에 구축될 수 있으며, 그 부스(10)는 일측에 출입구(11)가 형성될 수 있고, 크기는 가로 및 세로가 각각 1,000 mm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부스(10)내 지면으로는 하나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스테이지(50)가 정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user)는 게임 콘트롤러(110)를 소지하고 착용수트(115) 및 헤드 마운티드 장치(130)를 착용한 상태로 부스(10)내 스테이지(50)상에 위치하여 별도의 하드웨어 패턴 실행명령을 통해 게임 콘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100)은 반복적인 특정 동작패턴 분석을 통한 이동 실행 명령 알고리즘이 적용된다.
게임 콘트롤러(Game Controller; 110)는 게임 콘텐츠를 진행하기 위해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게임 콘텐츠가 FPS 장르일 경우 트리거를 입력버튼으로 하는 총기형상일 수 있으며, 방향키, 복수의 스위치형 버튼 및 터치형 버튼을 구비하는 일반적인 게임 콘트롤러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게임 콘트롤러(1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게임 제어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게임 중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아 제임 제어장치(200)에 실시간으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게임 콘트롤러(110)는 게임 콘텐츠에서 아바타(Avatar)의 행위 중, 무기조작에 관련된 행위뿐만 아니라, 아바타의 이동 및 동작에 대한 행위를 구현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FPS 장르의 게임인 경우 게임 콘트롤러(110)는 사격 또는 장전 등의 아바타가 총기를 조작하는 행위에 주로 이용될 수 있고, 또는 시스템의 구성에 따라 아바타가 제자리에서 앉거나 특정 좌표로 이동하는 행위를 제어하는 데도 이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게임 콘트롤러(110)의 작동설정에 따라 2 가지의 아바타 제어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제어방식은 게임 콘트롤러(110)에 구비된 특정버튼을 누르거나 혹은 소정횟수 반복하여 버튼을 누르면 조작뿐만 아니라, 아바타가 가상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의 이동 및 특정동작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방식이고, 제2 제어방식은 게임 콘트롤러(110)는 아바타의 총기 등의 조작에만 이용되며, 이동 및 동작과 같은 행위는 사용자(user)가 직접 스테이지상의 영역을 이동하거나, 대응되는 동작을 행하면 이를 시스템에서 인식하여 아바타에게 반영하는 방식이다.
착용수트(115)는 게임 중 사용자(115)가 착용하는 것으로, 부스(10)내 상방으로 설치되는 고정대(160)와 와이어(170)를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user)의 충돌방지 및 안전을 위해 이동거리를 제한하며, 헤드 마운티드 장치(130)를 착용함에 따라 실제 시야가 가려진 사용자(user)가 이동 및 동작 중에 스테이지(50)를 벗어나거나 부스(10)의 벽면에 부딪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로부터 사용자(user)를 보호하게 된다.
특히, 착용수트(115)에는 사용자(user)의 관절부 등에 대응하는 위치에 후술하는 모션센서(122)가 하나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동작 및 이동을 보다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센서장치(120)는 크게 부스(10)내 설치되어 사용자(user)를 촬영함으로써 그의 이동 및 동작을 감지하는 카메라 센서(121)와, 사용자(user)가 착용하는 착용수트(115)에 내장되어 사용자(user)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모션센서(122)로 구분되고, 카메라 센서(121) 및 모션센서(122)는 둘 다 설치되거나, 또는 어느 하나만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 센서(121)는 게임 콘텐츠 실행시, 부스(10)내 사용자(user)를 촬영하여 그 결과를 게임 제어장치(20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부스(10)의 상방 각 모서리에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센서(121)는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를 탑재하여 사용자(user)의 모습을 그대로 촬영하여 자연색의 영상을 획득하는 구성, 또는 이미지 센서 전면에 IR 필터를 구비하고 사용자(user)의 착용수트(115)에 복수의 IR 반사체를 부착하여 적외선 촬영을 통해 적외선 암영 영상을 획득하고 좌표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중 적외선 암영영상은 자연색의 영상보다 추후 영상처리에서 사용자의 동작 및 이동에 대한 인식률을 높이는 데 유리한 장점이 있다.
상기 IR 인식 방식 이외에도,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하여 인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실시간 삼차원 측정 방식기술을 이용하여 검출하고, 그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실시간 3D 형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모션 트래킹(Tracking)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센서(121)는 부스(10)내 천장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부착되는 복수의 마커를 촬영하여 X, Y 좌표를 보다 정밀하게 촬영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마커(Marker) 검출방식이 적용될 수 도 있다.
모션 센서(122)는 사용자의 이동 및 동작을 감지하는 것으로, 착용수트(115)에 구비되거나, 또는 별도의 센서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션 센서(122)로는 관성센서의 역할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헤드 마운티드 장치(Head Mounted Display Device; 130)는 게임 콘텐츠를 사용자(user)가 시청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역할을 하며, 사용자(user)는 머리에 헤드 마운티드 장치(130)를 착용하여 실시간으로 게임 콘텐츠의 진행에 따른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헤드 마운티드 장치(130)는 센서장치(120)와는 별도의 지자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을 탑재할 수 있으며, 사용자(user)가 바라보는 방향에 대응되는 게임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헤드 마운티드 장치(130)는 부스(10)의 상방 천장에 설치되는 고정대(160)를 통과하는 배선(131)을 통해 게임 제어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그 배선(131)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게임 콘텐츠의 실행에 따른 게임화면을 실시간으로 전송 받아 표시한다.
또는, 헤드 마운티드 장치(130)는 무선 스트리밍 방식으로 콘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전송 받거나, 모션트랙킹에 의해 산출된 각 신호 값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 도 있다.
고정대(160) 및 와이어(170)는 게임 중인 사용자(user)가 스테이지(50)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제약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고정대(160)는 부스(10)의 중앙부에서 상방 천장에 고정 설치되며, 이에 길이가 가변되는 와이어(170)의 일 끝단이 연결된다. 그리고, 와이어(170)의 타 끝단이 착용수트(115)의 일측에 고정되어 사용자(user)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특히, 와이어(170)는 그 길이가 가변적인 구조를 가지며 연장 가능한 최대길이가 스테이지(50)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17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고무 또는 스프링 구조로 제작되어 길이변형이 자유로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와이어(170)의 일 끝단에는 사용자(user)의 전, 후 이동에 따라 와이어(170)가 권취 또는 권출되는 원형 롤 장치(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와이어(170)의 일 영역에는 그 장력을 감지할 수 있는 별도의 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센서(미도시)는 게임 제어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현재 와이어(170)에 인가된 장력의 크기를 전송하고, 게임 제어장치(200)는 장력에 대응하여 사용자(user)의 현재 스테이지 상에서의 위치를 판단하여 스테이지(50)의 끝단과 인접할 경우, 게임 화면 또는 별도의 알림음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게임 제어장치(200)는 본 발명의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술한 게임 콘트롤러(110), 센서장치(120) 및 헤드 마운티드 장치(130)와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행위를 감지하고 게임 콘텐츠를 실행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어장치(200)는 게임 콘트롤러(110)에 입력되는 사용자(user)의 조작과, 부스(10)내 위치한 센서장치(120)로부터 사용자의 이동 및 동작에 대한 감지결과를 수신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그 제어신호를 게임 콘텐츠에 반영하여 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동시에, 게임 제어장치(200)는 실행중인 게임 콘텐츠에 대한 게임 화면을 헤드 마운티드 장치(130)에 전송하여 사용자(user)가 게임 화면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게임 제어장치(200)는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 및 기록매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의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은 소정의 너비를 갖는 스테이지상에서 사용자의 조작뿐만 아니라, 동작 및 이동에 따른 실감나는 게임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게임 제어장치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에 포함되는 게임 제어장치를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어장치(200)는, 액티브 영역 및 무빙 영역으로 정의되는 스테이지상에 사용자가 위치함에 따라 실행되는 게임 콘텐츠를 제공하는 게임 제어장치로서, 게임 콘트롤러(110)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조작 수신부(210), 하나이상의 센서(121, 122)를 포함하는 센서장치(120)로부터 사용자의 이동 및 동작에 대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수신부(220), 상기 조작신호 및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에 매칭되는 게임 콘텐츠내 아바타의 조작, 이동 및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상호 작용부(230), 연결된 헤드 마운티드 장치(130)에 상기 게임 콘텐츠에 대응하는 화면신호를 전송하는 화면 제공부(250) 및, 상기 게임 콘텐츠에 상기 제어신호를 반영하여 상기 게임 콘텐츠를 실행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수신부(210)는 사용자가 소지한 게임 콘트롤러(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게임 콘트롤러(110)의 구비된 하나이상의 트리거, 스위치형 버튼 및 터치형 버튼의 눌림에 대응하는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조작신호는 사용자가 조작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되며, 사용자가 게임 콘트롤러를 조작함으로써 발생하는 이벤트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조작신호는 게임 콘텐츠내 아바타가 도구를 사용하거나, 맵을 확인하는 등의 조작과 대응될 수 있다.
동작 수신부(220)는 부스내 설치된 하나이상의 카메라 센서(121) 및 모션 센서(122)를 포함하는 센서장치(120)로부터 사용자의 이동 및 동작에 따른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감지신호는 사용자가 스테이지 상의 특정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과, 제자리에 서있는 자세, 앉은 자세 또는 팔을 구부리는 자세 등의 동작을 취하는 것과 관련되며, 사용자가 이동 및 동작을 취함으로써 발생하는 이벤트에 대응될 수 있다. 즉, 감지신호는 게임 콘텐츠내 아바타가 맵을 이동하거나, 아바타가 취하는 동작과 대응될 수 있다.
상호 작용부(230)는 조작 수신부(210) 및 동작 수신부(220)로부터 조작신호 및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에 의해 조작한 버튼과, 사용자의 현재 위치, 이동방향 및 자세 등을 판단하고, 이를 게임 콘텐츠에 적용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는, 게임 콘텐츠의 실행시 사용자의 모든 행위는 게임에 반영되어야 하며, 상호 작용부(230)는 그러한 조작신호 및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게임 콘텐츠에 반영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상호 작용부(230)는 조작신호를 게임 콘텐츠내 설정된 키값을 매칭시키게 되며, 매칭된 키값은 제어신호는 제어부(240)에 의해 게임 콘텐츠에 입력되게 된다. 여기서 조작신호가 터치형 버튼에 의한 신호인 경우, 상호 작용부(230)는 그 입력조건에 따라 단계별로 다른 수치 값을 키값으로 매칭할 수 있다.
또한, 상호 작용부(230)는 감지신호를 게임 콘텐츠내 아바타의 속성값에 매칭(Matching)시키게 된다. 속성값은 아바타를 이루는 신체부위 및 맵 상에서 아바타의 좌표정보를 포함하며, 속성값의 매칭에 따라 해당 아바타는 신체부위를 움직여 동작을 취하거나, 맵 상의 현재위치에서 목적지로 이동하게 된다.
특히, 상호 작용부(230)는 한정된 영역을 갖는 스테이지상에서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그보다 넓은 영역을 갖는 게임 콘텐츠 상의 맵을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는 조작신호 및 감지신호에 특정패턴이 포함될 경우 적용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게임을 진행중인 사용자가 실제 자신이 이동할 수 있는 거리보다 멀리 떨어진, 게임 콘텐츠내 맵 상의 위치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패턴에 대응하는 행위로서 게임 콘트롤러(110)에 구비된 이동버튼을 누르거나, 일정시간 동안 제자리 걸음을 수행하는 등의 행위를 취하면, 상호 작용부(230)는 조작신호 또는 감지신호에 포함된 상기 행위를 패턴으로 인식하여 아바타를 해당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상호 작용부(230)는 전술한 행위 이외에도, 스테이지에 정의된 영역상에 사용자가 진입하면 이를 패턴으로 간주하고 사용자의 직접 이동이 아닌 간접이동 형태로 아바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게임 콘텐츠를 실행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상호 작용부(230)이 생성한 제어신호를 실행중인 게임 콘텐츠에 반영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게임 콘텐츠의 실행에 따른 게임화면을 화면 제공부(250)에 요청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화면 제공부(250)는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착용한 헤드 마운티드 장치(130)에 게임 콘텐츠의 실행에 따른 게임화면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화면 제공부(250)는 도시된 헤드 마운티드 장치(130)뿐만 아니라, 별도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게임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이외에 타 관중들이 게임 화면을 함께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어장치는 스테이지가 설치된 부스와, 그 부스내 설치되는 하나이상의 센서와, 사용자가 소지 및 착용한 게임 콘트롤러, 착용수트 및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실감나는 체감형 게임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어장치는 사용자의 게임 콘트롤러의 조작뿐만 아니라, 스테이지상에서 취하는 동작 및 스테이지를 이동하는 등의 행위를 직, 간접적으로 게임 콘텐츠내 자신에 대응하는 아바타에 적용할 수 있다.
이는, 게임 중 아바타가 먼 영역으로 이동하거나, 혹은 이동시 걷는 것이 아닌 달리는 행위를 한정된 공간의 부스내에서 구현하기 어려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게임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은 단순히 사용자의 행위를 그대로 아바타에 반영하는 것이 아닌, 시스템에 미리 정의된 패턴들을 통해 구현이 어려운 행위를 구현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에 적용되는 사용자의 행위를 게임 콘텐츠내에서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에서는 소정너비의 스테이지(50)가 게임공간인 부스(10)내 지면상에 형성되며, 그 스테이지(50)는 시스템에 정의된 가상의 분할영역이며, 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 부스(10)의 가로 또는 세로 너비(d1)가 2,000m일 경우, 스테이지(50)의 원 지름(r1)은 이보다 좁은 2,000m 이하로 정의될 수 있고, 사용자는 그 범위내에서 게임을 진행할 수 있으며, 전진(f) 및 후진(b)을 통해 게임 콘텐츠내 아바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착용수트의 일 단은 와이어(170)에 의해 고정대(160)와 연결되어 있으며, 와이어(170)의 가변길이는 적어도
Figure pat00001
m 보다 적게 설정되어 사용자가 이동에 따라 스테이지(50)를 벗어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스테이지(50)는 전체영역이 액티브 영역(A/A)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액티브 영역내에서 사용자의 행위는 게임 콘텐츠에 반영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게임 콘텐츠의 맵 상에서 d1 이상의 영역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게임 콘트롤러(110)에 구비된 이동버튼을 조작하거나, 전후면 터치버튼을 스와이프(swipe)하여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을 이용한 이동에서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은 사용자의 착용수트에 구비되는 관성센서 등에 의한 감지신호를 이용하지 않고 자동으로 이동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게임 콘텐츠는 다수의 미션(Mission) 또는 퀘스트(Quest)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자동 이동기능은 어느 하나의 미션(Mission) 또는 퀘스트(Quest)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를 특정 위치로 자동 이동시키는 기능이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스테이지(50)영역을 둘 이상으로 구분하여 영역별로 사용자의 서로 다른 행위가 반영되도록 설정함으로써 행위를 구현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에 적용되는 사용자의 행위를 게임 콘텐츠내에서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게임공간인 부스(10)내 지면상에 액티브 영역(A/A) 및 무빙 영역(M/A)으로 구분되는 스테이지(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스(10)의 가로 또는 세로의 전체너비{d1+(d2
Figure pat00002
2)}가 2000 m일 경우, 중앙에 해당하는 액티브 영역(A/A)의 너비(d1)는 1,500m 이하, 이를 둘러싸는 양측의 무빙영역(M/A)의 너비(d2)는 각각 250m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테이지(51)의 원 지름{r1+(r2
Figure pat00003
2)}은 부스(10)의 전체너비보다 적은 길이로 2,000m 이하로 정의될 수 있고, 사용자는 그 범위내에서 전진(f) 및 후진(b)을 통해 게임 콘텐츠내 아바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스테이지(51)의 액티브 영역(A/A)내에서 사용자의 행위, 특히 이동은 게임 콘텐츠에 직접 반영될 수 있고, 사용자가 무빙 영역(M/A)으로 진입하는 경우, 액티브 영역(A/A)에서 구현할 수 없는 영역으로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게임 콘텐츠내에서 아바타를 스테이지(51) 영역보다 먼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무빙 영역(M/A)으로 진입한 상태를 유지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그 상태를 아바타의 원거리 이동으로 인식하여 해당 좌표로 아바타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시스템은 부스(10)내 설치되는 카메라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무빙 영역(M/A)에 진입하였음을 인식하고 아비타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무빙 영역(M/A)은, 지면으로부터 액티브 영역(A/A)보다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고, 액티브 영역(A/A)에 대하여 경사 또는 단차를 갖도록 형성되어 실제 시야가 제한된 사용자가 이동시 발에 닿는 높이 또는 경사를 스스로 인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무빙 영역(A/A)은 액티브 영역(A/A)과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질감을 갖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현재 영역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라, 본 발명의 가상현실 시스템은 스테이지상에 위치한 사용자의 조작, 이동 및 동작 등의 행위를 관성센서 또는 카메라센서를 통해 감지하고 이를 게임진행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테이지를 두 영역으로 분할하여 정의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아바타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에 포함되는 게임 제어장치의 게임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어장치의 게임 제공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게임 제공방법은 게임 콘트롤러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조작신호 및 하나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이동 및 동작에 대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00), 상기 조작신호 및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에 매칭되는 게임 콘텐츠내 아바타의 조작, 이동 및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10), 게임 콘텐츠에 상기 제어신호를 반영하여 상기 게임 콘텐츠를 실행하는 단계(S120) 및, 연결된 헤드 마운티드 장치에 상기 게임 콘텐츠에 대응하는 화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게임 콘트롤러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조작신호 및 하나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이동 및 동작에 대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00)는 게임제어 장치의 조작 및 동작 수신부가 사용자의 행위에 따른 입력 및 감지결과를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수신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조작신호 및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에 매칭되는 게임 콘텐츠내 아바타의 조작, 이동 및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10)는 게임 제어장치의 상호 작용부가 각 수신부로부터 제공되는 조작신호 및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게임내 아바타의 행위에 반영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본 S110 단계에서는 조작신호는 키값으로 매칭되고, 감지신호는 아바타의 속성값으로 매칭될 수 있다.
이어서, 게임 콘텐츠에 상기 제어신호를 반영하여 상기 게임 콘텐츠를 실행하는 단계(S120)는 게임 제어장치의 제어부가 제어신호를 실행중인 게임 콘텐츠에 입력하여 아바타의 행위를 제어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연결된 헤드 마운티드 장치에 상기 게임 콘텐츠에 대응하는 화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130)는 제어부가 게임 콘텐츠를 실행함에 따라 출력되는 게임 화면을 화면 제공부가 사용자가 착용중인 헤드 마운티드 장치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단계이다. 본 S130 단계에 따라, 사용자는 게임 화면을 확인하여 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전술한 단계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어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행위를 게임 콘텐츠에 반영하고 실시간으로 게임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실감나는 체감형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 : 부스 11 : 출입구
50 : 스테이지 100 :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
110 : 게임 콘트롤러 115 : 착용수트
120 : 센서장치 121 : IR 카메라
122 : 모션센서 130 : 헤드 마운티드 장치
160 : 고정대 170 : 와이어
200 : 게임 제어장치 user : 사용자

Claims (12)

  1. 액티브영역이 정의되는 스테이지상에 사용자가 위치함에 따라 실행되는 게임 콘텐츠를 제공하는 게임 제어장치로서,
    게임 콘트롤러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조작 수신부;
    하나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이동 및 동작에 대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수신부;
    상기 조작신호 및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에 매칭되는 게임 콘텐츠내 아바타의 조작, 이동 및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상호 작용부;
    연결된 헤드 마운티드 장치에 상기 게임 콘텐츠에 대응하는 화면신호를 전송하는 화면 제공부; 및
    상기 게임 콘텐츠에 상기 제어신호를 반영하여 상기 게임 콘텐츠를 실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게임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액티브 영역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게임 콘텐츠내 상기 액티브 영역과 매칭되는 범위내에서 상기 아바타를 제어하는 게임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스테이지에 정의된 무빙 영역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게임 콘텐츠내 상기 스테이지 보다 확장된 범위에서 상기 아바타를 제어하는 게임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작용부는,
    상기 감지신호에 사용자가 행하는 특정 동작에 대하여 미리 정의된 패턴이 포함되면, 해당 패턴에 따라 설정된 동작 또는 이동을 상기 아바타가 구현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게임 제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에 사용자가 상기 액티브 영역 내에 이동거리에 대하여 미리 정의된 패턴이 포함되면, 해당 패턴에 따라 설정된 동작 또는 이동을 상기 아바타가 구현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게임 제어장치.
  6. 액티브 영역이 정의되는 스테이지상에 사용자가 위치함에 따라 실행되는 게임 콘텐츠를 제공하는 가상 현실 게임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손에 의한 조작을 입력받는 게임 콘트롤러;
    상기 스테이지가 설치되는 부스 또는 사용자의 착용수트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 동작 및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장치;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며, 게임 콘텐츠를 표시하는 헤드 마운티드 장치; 및
    상기 게임 콘트롤러 및 센서장치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조작신호 및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게임 콘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게임 제어장치
    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제어장치는,
    상기 게임 콘트롤러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조작 수신부;
    하나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이동 또는 특정 패턴의 동작에 대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수신부;
    상기 조작신호 및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에 매칭되는 게임 콘텐츠내 아바타의 조작, 동작 및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상호 작용부;
    상기 헤드 마운티드 장치에 상기 게임 콘텐츠에 대응하는 화면신호를 전송하는 화면 제공부; 및
    상기 게임 콘텐츠에 상기 제어신호를 반영하여 상기 게임 콘텐츠를 실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장치는,
    상기 착용수트에 구비되는, 관성센서 또는 지자기 검출센서의 기능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 및
    상기 부스의 일 영역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적외선 카메라 또는 3D 카메라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수트는
    상기 착용수트와 길이가 가변되는 와이어를 통해 상기 부스의 중앙의 상방에 설치되는 고정대에 연결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길이 가변 범위가 적어도 상기 스테이지상에 정의되는 무빙 영역내로 설정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액티브 영역을 둘러싸는 무빙 영역이 더 정의되고,
    상기 무빙 영역은,
    지면으로부터 상기 액티브 영역보다 더 높거나, 상기 액티브 영역에 대하여 경사 또는 단차를 갖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액티브 영역을 둘러싸는 무빙 영역이 더 정의되고,
    상기 무빙 영역은,
    상기 액티브 영역과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질감을 갖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
KR1020170015458A 2017-02-03 2017-02-03 게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 KR101993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458A KR101993836B1 (ko) 2017-02-03 2017-02-03 게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
PCT/KR2018/001466 WO2018143732A1 (ko) 2017-02-03 2018-02-02 게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458A KR101993836B1 (ko) 2017-02-03 2017-02-03 게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515A true KR20180090515A (ko) 2018-08-13
KR101993836B1 KR101993836B1 (ko) 2019-06-28

Family

ID=63040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458A KR101993836B1 (ko) 2017-02-03 2017-02-03 게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3836B1 (ko)
WO (1) WO201814373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872A (ko) * 2019-01-18 2020-07-2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 콘텐츠를 체험하는 사용자의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방법 및 장치
WO2023022512A1 (ko) * 2021-08-18 2023-02-23 옥재윤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
KR20230026923A (ko) * 2021-08-18 2023-02-27 옥재윤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048B1 (ko) 2020-06-29 2020-11-05 김성일 게임 조작 장치
KR102175043B1 (ko) 2020-06-29 2020-11-05 김성일 게임 조작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92087A1 (en) * 2013-01-09 2014-07-10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rtual immersive environment
KR101501632B1 (ko) 2013-11-29 2015-03-12 주식회사 비주얼리액터 인터랙티브 오감형 라이더 비행 배틀 레이싱 장치
KR20170006247A (ko) * 2015-07-07 2017-01-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현실 게임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445B1 (ko) * 2012-05-08 2012-12-13 (주)아레스 고공강하 모의훈련 및 가상현실 체험을 위한 시뮬레이터 장치
KR101436914B1 (ko) * 2012-07-23 2014-09-11 대구광역시 달서구 가상 체험 시스템
KR101689330B1 (ko) * 2016-02-22 2016-12-26 조세희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92087A1 (en) * 2013-01-09 2014-07-10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rtual immersive environment
KR101501632B1 (ko) 2013-11-29 2015-03-12 주식회사 비주얼리액터 인터랙티브 오감형 라이더 비행 배틀 레이싱 장치
KR20170006247A (ko) * 2015-07-07 2017-01-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현실 게임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Omnidirectional treadmill", 온라인 위키피디아 용어 게시글(2016.11.11.)* *
"VR내에서의 이동 방식 정리", 인터넷 VR연구소 포스트 게시글(2016.06.24.)*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872A (ko) * 2019-01-18 2020-07-2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 콘텐츠를 체험하는 사용자의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방법 및 장치
WO2023022512A1 (ko) * 2021-08-18 2023-02-23 옥재윤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
KR20230026923A (ko) * 2021-08-18 2023-02-27 옥재윤 Fps 워 게임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3836B1 (ko) 2019-06-28
WO2018143732A1 (ko)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3836B1 (ko) 게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
US9599821B2 (en) Virtual reality system allowing immersion in virtual space to consist with actual movement in actual space
JP6684559B2 (ja) 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生成装置
US9884248B2 (en) Display control method for head-mounted display (HMD) and image generation device
JP5058335B2 (ja) 画面表示システム及び画面表示プログラム
US9599818B2 (en) Obstacle avoidance apparatus and obstacle avoidance method
US8427426B2 (en) Remote input device
US8723794B2 (en) Remote input device
KR20230047184A (ko) 3차원 환경들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디바이스들, 방법들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EP2243525A2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shared game space for a networked game
JP7045218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6340464B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頭部装着型表示装置、情報処理装置
CN108463839B (zh) 信息处理装置和用户指南呈现方法
US20190204909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for natural, anti-motion-sickness interaction towards synchronized Visual Vestibular Proprioception interaction including navigation (movement control) as well as target selection in immersive environments such as VR/AR/simulation/game, and modular multi-use sensing/processing system to satisfy different usage scenarios with different form of combination
CN107233731B (zh) 模拟控制装置
JP6470859B1 (ja) ユーザの動きをアバタに反映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当該プログラムを実行するための情報処理装置、およびアバタを含む映像を配信するための方法
US2019029100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8124826A (ja) 情報処理方法、装置、および当該情報処理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US20220362667A1 (en) Image processing system,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23099570A (ja) 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JP6769697B2 (ja) 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装置
JP3138335U (ja) 疑似輪投げ遊戯装置
JP7351638B2 (ja) 画像生成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示方法
JP7455345B2 (ja) プログラム
CN111589099A (zh) 一种激光感应系统及激光感应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