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6498A - 저장 장치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저장 장치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6498A
KR20230026498A KR1020237002707A KR20237002707A KR20230026498A KR 20230026498 A KR20230026498 A KR 20230026498A KR 1020237002707 A KR1020237002707 A KR 1020237002707A KR 20237002707 A KR20237002707 A KR 20237002707A KR 20230026498 A KR20230026498 A KR 20230026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unit
packaging
storage device
unit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2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르스 라이킹
스테판 제뮐러
마르코 데비츠
Original Assignee
중하인리히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하인리히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중하인리히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30026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4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71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ccess from bene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78Storage devices mechanical for matrix-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3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30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7/301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 B65G57/3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added articles being lifted to substantially stationary grippers or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유입 배송 컨테이너(inbound delivery container) 내의 제품(4)이 진입 제품 영역(2)에서 유입 배송 컨테이너로부터 제거되어 저장 장치(1)로 도입되고, 임시로 저장된 후, 저장 장치(1)로부터 제거되어 이탈 제품 영역(3)에서 유출 배송 컨테이너(outbound delivery container)에 미리 정해진 순서로 적재되게 하는 저장 장치(1)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유형의 저장 장치를 경제적으로 제작 및/또는 운용할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품(4)은 유입 배송 컨테이너로부터 적층가능한 패키징 유닛(5)으로 전달되고, 상기 패키징 유닛(5)은 블록 저장 유닛(7)에 임시로 저장되며, 상기 블록 저장 유닛(7)은 복수의 적층실(8)을 구비하고, 각 적층실(8)은 패키징 유닛(packaging unit)(5)의 적층체를 수용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품(4)은 이탈 제품 영역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상기 블록 저장 유닛(7)으로부터 제거된다.

Description

저장 장치의 운용 방법
본 발명은, 유입 배송 컨테이너 내에 있는 제품이 진입 제품 영역에서 유입 배송 컨테이너로부터 제거되어 저장 장치로 도입되고, 제품이 임시로 저장된 후, 제품이 저장 장치로부터 제거되어 이탈 제품 영역에서 미리 정해진 순서로 유출 배송 컨테이너 내에 적재되게 하는 저장 장치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예를 들어 음식 소매 분야에서의 저장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품은 하나 이상의 제조자들에 의해 배송되며, 유입 배송은 예컨데 팔레트(pallet)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각 팔레트는 단일 유형의 제품을 수납한다. 그 다음 제품은 유입 배송 컨테이너로부터 제거된다. 이와 같은 작업은 "디팔렛타이징(depalletizing)"이라고 호칭되기도 한다. 디팔렛타이징된 제품은 임시로 저장된다. 임시 저장은, 예를 들어 제품을 이송 컨테이너 또는 이송가능 트레이로 전달하고, 상기 이송 컨테이너 또는 트레이를 임시 저장 유닛에 저장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많은 경우들에 있어서, 임시 저장 유닛은 적층 크레인(stacker crane)을 구비한 고층 창고(high-bay warehouse)로서 설계된다. 적층 크레인은 고층 창고에 상기 이송 컨테이너 또는 트레이를 저장하고 이를 고층 창고로부터 제거한다.
이탈 제품 영역에서, 제품은 유출 배송 컨테이너 내에 미리 정해진 순서로 배치되어야 한다. 이 순서는 예를 들어 무거운 제품이 중력 방향에서 저부에 배치됨을 고려한다. 예를 들어 기계적으로 안정적이지 않은 제품은 중력 방향에서 가능한 높게 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품은 유출 배송 컨테이너 안에 특정 순서로 삽입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이것은 제품이 고층 창고 또는 애응되는 편평한 형태의 창고로부터 이탈 제품 영역으로 직접 이송되는 경우에 쉽게 가능하지 못하다. 따라서, 이탈 제품 영역 앞에는 버퍼 스테이션(buffer station)이 마련되는데, 여기에서는 제품들이 유출 배송 컨테이너 안에 올바른 순서로 넣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제품들이 임시로 저장된다. 이것은 설치 공간과 저장 장비를 필요로 하고, 이로 인하여 비용이 증가된다.
본 발명은 낮은 비용으로 저장 장치를 제작 및/또는 운용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전술된 유형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품이 유입 배송 컨테이너로부터 적층가능한 패키징 유닛으로 전달되게 하고, 상기 패키징 유닛은 각각이 패키징 유닛(packaging unit)의 적층체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복수의 적층실을 구비한 블록 저장 유닛에 임시로 저장되며, 상기 제품이 이탈 제품 영역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상기 블록 저장 유닛으로부터 제거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블록 저장 유닛은 "적층체 저장 유닛" 또는 "컨테이너 적층체 저장 유닛"으로 호칭될 수도 있다. 블록 저장 유닛에서는, 복수의 적층실이 매트릭스 방식으로 행과 열을 이루어 배치된다. 복수의 패키징 유닛은 각 적층실 내에서 위아래로 배치된다. 이것은, 패키징 유닛들이 2차원이 아니라 3차원 구조로 배치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개별의 제품이 복수의 레벨로 위아래로 배치되더라도, 고층 창고는 단지 2차원의 구조를 갖는다. 각 레벨에서는 단지 제품의 2차원적인 배치가 존재하며, 세번째 차원은 적층 크레인에 의하여 레벨들에 접근함으로써만 얻어질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요망되는 위치에 대해 사용가능한 적층 크레인이 있는지 여부, 그리고 그러한 적층 크레인이 존재하더라도 그 적층 크레인이 고층 창고 내의 동일 통로에서 이동하는 다른 적층 크레인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지 여부를 항상 체크함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고층 창고 내의 소정 위치에 대한 임의적 접근이 달성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사항은 개별의 제품이 하나 이상의 레벨에서 편평하게 배치되는 다른 저장 장치에도 적용된다. 패키징 유닛은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패키징 유닛은 제품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하고, 다른 패키징 유닛 상에 적층됨으로써 제품이 수용된 상태에서 복수의 패키징 유닛들이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적층실 내의 패키징 유닛들이 동일 유형의 제품을 수납한다. 따라서, 매트릭스의 모든 지점, 즉 행과 열이 교차하는 모든 교차점들에는 위치와 제품 간의 고유한 할당(assignment)이 존재하게 된다. 이것은 제품을 요망되는 순서로 쉽게 집어서(pickup) 이탈 제품 영역으로 이동시킴을 가능하게 하며, 이로써 요망되는 순서화가 집음(pickup) 작업 동안에 이미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패키징 유닛들이 아래로부터 적층실들 안으로 도입된다. 원칙적으로, 블록 저장 유닛에 대한 공급은 위 또는 아래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적층실에 대한 공급이 아래로부터 이루어진다면, 즉 패키징 유닛들이 아래로부터 적층실들 안으로 도입되고 적층실들로부터 하방향으로 제거된다면, 패키징 유닛들은 블록 저장 유닛으로부터 벗어나는 레벨로 직접 이송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추가적인 전달 작업이 필요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패키징 유닛들이 적재 차량에 의하여 적층실들 안으로 도입되고 적층실들로부터 제거되며, 상기 적재 차량은 적층실들 아래의 적재실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적재 차량들에 의하여, 각 적층실에 어려움없이 접근함이 용이하게 된다.
이 점에 있어서, 상기 적재 차량이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적재 차량들은 적재실 내에서 각 적층실로 안내될 수 있고, 복수의 적재 차량이 사용되더라도 서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블록 저장 유닛으로부터 대응되는 제품을 구비한 패키징 유닛의 제거가 매우 유연하게 되는바, 이것은 이탈 제품 영역에서의 순서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
바람직하게는, 적재 차량들이 이탈 제품 영역의 상류측에 있는 순서화 장치에 패키징 유닛을 이송하는데 사용된다. 만일 블록 저장 유닛으로부터 패키징 유닛들을 제거하는 적재 차량들이 블록 저장 유닛 외부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면, 다른 전달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상기 방법이 적은 시간과 적은 기술적 장치로 실행될 수 있다.
동시에 하나 초과의 패키징 유닛을 이송할 수 있는 적재 차량들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초기에 적재 차량은 적층실에 접근하고 적층실로부터 하나 이상의 패키징 유닛을 제거할 수 있다. 만일 이송 공간이 여전히 가용한 경우라면, 적재 차량은 다른 패키징 유닛을 집기(pickup) 위하여(탑재하기 위하여) 다른 적층실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재 차량은 패키징 유닛에 대한 각각의 집음 작업 이후에 순서화 장치로 이동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패키징 유닛들을 사전에 순서화시키기 위하여 적재 차량을 사용함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적재 차량은 블록 저장 유닛으로부터 상이한 패키징 유닛들을 제거할 수 있는바, 이것은 예를 들어 상이한 적층실에 접근하고 각 적층실로부터 하나 이상의 패키징 유닛을 제거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랙(rack)을 이송하는 적재 차량(6)이 사용되고, 상기 랙은 패키징 유닛들을 적층실들 안으로 도입시키며 적층실들로부터 패키징 유닛들을 제거한다.
바람직하게는, 패키징 유닛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하여 자체적인 승강 구동부(lifting drive)와 선택적으로 자체적인 동력 공급원을 구비한 랙이 상기 장치의 운용을 위하여 사용되는바, 이로써 적재 차량은 랙이 저장 및 인출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에 다른 곳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자신의 저장 및 인출 작업을 완료한 랙을 다시 탑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랙이 패키징 유닛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하여 자체적인 승강 구동부(lifting drive)를 구비하지 않고, 적합한 연결 장치에 의하여 적재 차량 내의 구동부에 연결되도록 구성함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적재 차량은 랙의 저장 또는 인출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제 위치를 유지한다.
승강 장치를 구비한 랙의 구동부 및 동력 공급원과 적재 차량에 대한 연결의 다른 조합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랙 내의 구동부와, 적재 차량을 거치거나 바닥 내의 접촉부들 또는 유도 루프들(inductive loops)을 거치는 접촉 기반식 또는 무선식 동력 공급원이 언급되어야 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랙은 적재 차량 또는 중앙 제어 시스템으로부터의 무선 또는 접촉 기반의 신호 전달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탑재/제거 방향을 구비한 패키징 유닛이 사용된다. 이로 인하여, 패키징 유닛 안으로의 제품 도입 및 패키징 유닛으로부터의 제품 제거가 더욱 유연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탑재/제거 방향은 중력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2 탑재/제거 방향은 중력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된다. 이에 의하면, 예를 들어 제품을 패키징 유닛 안으로 도입시킴에 있어서 위로부터, 즉 중력 방향으로 도입시키는 자동 기계 또는 자동 취급 장치를 사용함이 가능하게 된다. 제거 동안에는 상기 제품이 중력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패키징 유닛으로부터 제거 또는 밀려 나올 수 있게 되어서, 제품을 들어올리기 위한 힘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것은, 상기 제거를 수행하는 작업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또한 이것은 측방향으로의 도입 및 상방향으로의 제거, 또는 측방향 또는 상방향 중 어느 일 방향에서 동일 방향으로의 도입 또는 제거도 가능하게 한다.
아래에서는 하기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하는 바람직하고 예시적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에는 저장 장치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에는 저장 장치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에는 적재 차량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에는 적재 차량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에는 랙을 구비한 적재 차량이 도시되어 있다.
도 6 에는 패키징 유닛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에는 저장 장치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에는 진입 제품 영역(2) 및 이탈 제품 영역(3)을 포함하는 저장 장치(1)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진입 제품 영역(2)에서, 제품(4)은 저장 장치(1) 안으로 도입되고, 유입 배송 컨테이너(상세히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제거된다. 유입 배송 컨테이너는 예를 들어 복수의 유사한 제품(4)이 위에 놓여져 있는 팔레트(pallet)일 수 있다. 제품(4)은 유입 배송 컨테이너로부터 제거되어, 도 6 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패키징 유닛(5)으로 전달된다. 패키징 유닛(5)은, 운전자없는 이송 차량으로 설계된 적재 차량(6)에 의하여 블록 저장 유닛(7)으로 이송된다. 블록 저장 유닛(7)은 내부에 패키징 유닛(5)들이 적층될 수 있는 다중 적층실(8)을 구비한다. 다시 말하면, 각각의 적층실(8)은 복수의 패키징 유닛(5)들을 적층체의 형태로서 수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전제 조건은 패키징 유닛(5)들이 적층가능한 것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적층을 위하여, 패키징 유닛들은, 중력 방향에서 저부에 마련된 적층 기하형태(stacking geometry)를 가지며, 이 적층 기하형태는 중력 방향에서 다른 패키징 유닛의 상부에 제공된 적층 기하형태와 상호작용한다. 모든 패키징 유닛(5)들이 동일한 설계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키징 유닛(5)들은 개별의 적층실(8)의 하측 단부에서 유지 장치(holding device)(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된다. 이를 위하여, 저장될 패키징 유닛은 유지 장치를 통과할 때까지 상승된다. 이후의 하강 과정 동안, 유지 장치는 최하측의 패키징 유닛(5)을 파지하고 이를 제 위치에 유지시킨다.
인출을 위하여, 적재 차량(6)은 적층실(8)의 최하측 패키징 유닛이 유지 장치로부터 해제될 때까지 상승시킨다. 그 다음, 최하측 패키징 유닛이 유지 장치를 지나 하강될 때까지 유지 장치가 개방된 채로 유지되고, 최하측 패키징 유닛 위의 다음 패키징 유닛을 파지하며, 이로써 이전의 최하측에서 두번째인 패키징 유닛이 최하측 패키징 유닛(5)이 된다.
적층체로부터 복수의 패키징 유닛(5)을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요망되는 갯수의 패키징 유닛이 개별의 적층실(8)로부터 제거될 때까지 유지 장치를 개방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어 메카니즘이 제공되어야 한다.
적재 차량은 패키징 유닛(5)을 블록 저장 유닛(7)으로 도입시키는데에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적재 차량은 패키징 유닛(5)을 다시 블록 저장 유닛(7)로부터 제거하고, 이를 이탈 제품 영역(3)으로 진행시키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적재 차량(6)은 도 1 에서 "X" 및 "Z"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9) 상에서 두개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가장 단순한 경우로서, 서로 직각인 두 개의 방향만이 제시된다. 보다 정교한 실시예의 경우, 적재 차량(6)은 2차원에서 사실상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적재 차량(6)은 패키징 유닛(5)을 블록 저장 유닛(7) 밖으로 이동시키고 패키징 유닛(5)를 이탈 제품 영역(3)으로 이송하는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블록 저장 유닛(7)은 복수의 적층실(8)을 구비한다. 문자 "A", "B", "C", "D", 및 "E" 는, 각각의 패키징 유닛이 5가지 동일 유형의 제품(4)을 수납한다는 점을 단순한 형태로 나타낸다. 따라서 각 적층실은 "균일(homogeneous)"하다.
적층실(8)들은 매트릭스(matrix)와 유사하게 열(column) 및 행(row)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각 적층실(8)은 열과 행의 교차지점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거 또는 분리될 제품 A 내지 E 의 매트릭스 내 위치가 명확히 정의될 수 있다. 적재 차량(6)이 사실상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후속적인 이탈 제품 영역(3)에서의 제품(4)의 순서(sequencing)에 필요한 방식으로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이탈 제품 영역은 블록 저장 유닛(7)으로부터 패키징 유닛(5)들이 제거되는 순서를 특정한다.
적재 차량(6)이 아래로 이동할 수 있는 적재실(10)은 적층실(8) 아래에 위치한다. 적재 차량(6)은 패키징 유닛(5)을 적층실(8) 아래로부터 적층실(8) 안으로 도입시키며, 또한 패키징 유닛(5)을 적층실로부터 하방향으로 제거한다.
적재 차량(6)은 패키징 유닛(5)을 적층실(8) 안으로 도입시킬 뿐만 아니라 패키징 유닛(5)을 적층실(8)로부터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 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적재 차량(6)은 패키징 유닛(5)을 이탈 제품 영역(3)으로 이송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 에는 저장 장치(1)의 변형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서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된다.
여기에서, 블록 저장 유닛(7)도 제품 A 내지 E 가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적층실(8)을 구비한다. 여기에서도 각각의 적층실(8)은 균일하다.
도 1 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여기에서 적층실(8)들은 위로부터 적재된다. 이를 위하여, 중력 방향에서 블록 저장 유닛(7)의 상측에서 이동할 수 있는 적재 차량(6')이 제공된다.
제품(4)이 제공되어 있는 패키징 유닛(5)을 이송하기 위하여 다른 적재 차량(6)이 제공되는바, 이것은 바닥(9) 상에서 이동가능하고 패키징 유닛(5)을 진입 제품 영역(2)으로부터 스테이징 스테이션(staging station)(11)으로 이송한다. 적재 차량(6')은 스테이징 스테이션(11)에서 패키징 유닛(5)을 집어서 이를 상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일단 패키징 유닛(5)이 블록 저장 유닛(7) 위에 도달하면, 이것은 개별의 적층실(8)로 배분될 수 있다.
유사하게, 블록 저장 유닛(7)의 타측에는 디스펜싱 스테이션(dispensing station)(12)이 제공되는바, 디스펜싱 스테이션에서는 적재 차량(6')이 적재 차량(6)으로부터 제거된 패키징 유닛(5)을 토출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패키징 유닛(5)은 다른 적재 차량(6)에 의하여 이탈 제품 영역(3)으로 이송될 수 있다.
여기에서, 스테이징 스테이션(11) 및 디스펜싱 스테이션(12)은 명확성을 위하여 블록 저장 유닛(7)의 상이한 측부에 배치된다. 이 두 가지 스테이션들은 블록 저장 유닛(7)의 동일한 측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이 스테이션들은 블록 저장 유닛(7)의 서로 직각을 이루는 측부들에도 배치될 수 있다.
도 3 에는 "X" 및 "Z" 로 표시되는 두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적재 차량(6)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이 방향들은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의 방향(방향 "X")과, 도면 평면에 대해 직각인 방향(방향 "Z")이다. 적재 차량(6)은 승강 장치(13)를 구비하는바, 제품(4)을 구비한 패키징 유닛(5)은 상기 승강 장치(13)에 의하여 화살표 "Y"로 표시된 중력 방향 및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만일 적재 차량(6)이 블록 저장 유닛(7)의 상측으로 이동한다면, 패키징 유닛(5)의 이송은 저장을 위하여 하방향으로, 그리고 인출을 위하여는 상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이 도 3 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3 에 도시된 적재 차량(6)은 단일의 패키징 유닛(5)을 블록 저장 유닛(7)에 저장하고, 패키징 유닛(5)을 블록 저장 유닛(7)으로부터 제거하고, 패키징 유닛(5)을 이송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변형된 실시예의 경우, 적재 차량(6)은 동시에 두 개의 패키징 유닛을 이송할 수 있다. 방향들은 도 3 의 방향들에 상응한다.
또한, 적재 차량(6)은 개방기(14)를 구비하는바, 개방기(14)는 요망되는 갯수의 패키징 유닛(5)이 제거될 때까지 전술된 유지 장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방향(Y')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 에는 패키징 유닛(5)을 이송하기 위한 다른 선택안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적재 차량(6)은 랙(15)을 이송하고, 랙(15)은 적층실(8)에 패키징 유닛(5)을 저장하거나, 적층실(8)로부터 패키징 유닛(5)을 제거한다. 방향들은 도 3 의 방향들에 상응한다.
적재 차량(6)에는 모터(미도시)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 모터는 승강 장치(13)를 작동시킬 수 있다.
랙(15)은 "능동 랙"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닛(16)은 랙에 부착된 모터이고 이것은 동력 공급원을 포함한다. 이로써, 랙은 차량에 의한 보조적인 구동부없이 자율적으로 제거 및 토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바, 모터(M)는 기계적 동력 전달 장치(미도시)에 의하여, 패키징 유닛(5) 아래에서, 랙(15)에 연결된 승강 장치(13')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랙(15)은 "피동 랙"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닛(16)은 연결 장치로서 설계되며, 승강 장치(13')의 움직임을 위한 구동력 및 동력 공급원은 차량(6)에 의하여 상기 연결 장치를 거쳐서 제공된다. 대응되는 차량 부품이 유닛(16)에 연결되고, 이로 인하여 기계적 동력 전달 장치(미도시)에 의하여, 패키징 유닛(5) 아래에서, 랙(15)에 연결된 승강 장치(13')가 이동한다.
도 4 의 것과 유사한 개방기(14)는 랙(15)에 부착되어 전술된 기능을 수행한다.
도 6 에는 내부에 제품(4)이 수용된 패키징 유닛(5)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패키징 유닛은 제품(4)이 안착되는 베이스(17)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상에는 전방 측의 스트럿(strut)(19)과 후방 벽(2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는 두 개의 측벽(18)이 직립한다. 후방 벽(20)도 다른 스트럿(19)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다. 측벽(8)들은 제품(4)보다 높으며, 따라서 복수의 패키징 유닛(5)이 서로 상하로 적층될 수 있다. 가장 단순한 경우, 패키징 유닛(5)의 저부 측은 평면형 기하형태를 형성하며, 이것은 다른 패키징 유닛의 상측부에서 대응되는 평면형 기하형태와 협동하여 함께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트럿(19)에는 힌지 벽이 부착될 수 있다.
베이스(17)는 제품(4)을 위한 미끄럼 방지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거 동안에 제품(4)을 승강시킬 수 있는 통합된 하강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베이스(17)에는 적재 취급 장치가 맞물릴 수 있는 슬롯, 또는 승강 아암이 삽입됨을 허용하는 다른 형태의 요부가 구비될 수 있다.
패키징 유닛(5)은 서로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두 개의 탑재/제거 방향(21, 22)을 갖는다. 탑재/제거 방향(21)에서는, 예를 들어 파지기(gripper)에 의하여, 제품(4)이 위로부터 패키징 유닛(5) 안으로 도입되거나 제품이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다른 탑재/제거 방향(22)은 탑재/제거 방향(21)과 중력 방향에 대해 직각을 이룬다. 이것은 제품(4)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제품(4)이 패키징 유닛(5) 안으로 도입됨과 패키징 유닛(5)으로부터 제거됨을 가능하게 한다.
도 7 에는 저장 장치(1)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기능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되었다.
저장 장치(1)는 내부에 패키징 유닛(5)들이 적층될 수 있는 복수의 적층실(8)을 구비한 블록 저장 유닛(7)을 구비한다. 패키징 유닛(5)들 각각이 상이한 품목 또는 제품을 수납하고 있다는 점은 상이한 해칭에 의하여 나타난다. 따라서, 각 적층실(8)에는 단 한 가지 유형의 제품 또는 품목이 배치된다. 적층실(8)은 유형 별로 분류된다.
여기에서 적층실(8)들 아래에 있는 적재실(10)은, 적층실(8)들 아래에서 복수의 패키징 유닛(5)을 구비한 적재 차량(6)이 앞뒤로 이동함을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다수의 장점을 갖는다.
도 7 의 좌측 절반 부분에서 알 수 있듯이, 적재 차량(6)은 진입 제품 영역(2)으로부터 유사한 패키징 유닛(5) 복수개를 제거하여 이들을 적층실(8)로 이송할 수 있다. 따라서, 유사한 패키징 유닛(5)들을 적층실(8)에 탑재함이 더 짧은 시간 내에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화살표 A 로 표시되어 있다.
도 7 의 우측 절반 부분에는 인출 작업이 도시되어 있다.
적재 차량(6)은 화살표(B)의 방향으로 지점(C)까지 적재실(10) 안으로 구동되고, 여기에서 적재 차량(6)은 첫 번째 패키징 유닛(5)을 적재할 수 있다. 예시적인 본 실시예에서, 적재 차량(6)은 두 개의 패키징 유닛(5)을 적재한다.
그 다음 적재 차량(6)은 (화살표(D)의 방향으로) 다른 위치(E)까지 이동하고, 여기에서 적재 차량(6)은 상이한 유형의 제품 또는 품목을 수납하고 있는 상이한 패키징 유닛(5)을 적재한다. 이로써 상이한 패키징 유닛들(동일 유형의 패키징 유닛 두 개와 상이한 패키징 유닛 하나)의 적층체가 (화살표(F)의 방향으로) 이탈 제품 영역까지 이동될 수 있다. 이것은 패키징 유닛(5)들이 수집되는 동안에 패키징 유닛들의 순서화(sequencing)를 이미 수행함을 가능하게 하며, 따라서 이탈 제품 영역(3)에서의 적재가 더 단순화되고 가속될 수 있게 된다.
모든 실시예들에서, 적층실(8)들에 유사한 패키징 유닛(5)이 수납되는 것, 즉 유형에 따라 분류되는 방식의 수납이 바람직하다.
그러나,"혼합식" 적층실(8)도 가능한데, 이로써 적재 차량(6)은 재배치에 의하여 적층실(8)의 하측 단부에 위치하지 않은 적층체 내의 패키징 유닛(5)에 대해 접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저장 체적의 활용이 적재 차량 당 짧은 이동 시간 및 순서보다 더 중요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블록 저장 유닛(7)에 의하면, 추가적인 버퍼 저장 공간 없이 그리고 추가적인 공간 요구 없이 제품의 순서화를 구현함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2)

  1. 유입 배송 컨테이너(inbound delivery container) 내의 제품(4)이 진입 제품 영역(2)에서 유입 배송 컨테이너로부터 제거되어 저장 장치(1)로 도입되고, 임시로 저장된 후, 저장 장치(1)로부터 제거되어 이탈 제품 영역(3)에서 유출 배송 컨테이너(outbound delivery container)에 미리 정해진 순서로 적재되게 하는 저장 장치(1)의 운용 방법으로서,
    상기 제품(4)은 유입 배송 컨테이너로부터 적층가능한 패키징 유닛(5)으로 전달되고, 상기 패키징 유닛(5)은 각각이 패키징 유닛(packaging unit)(5)의 적층체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복수의 적층실(8)을 구비한 블록 저장 유닛(7)에 임시로 저장되며, 상기 제품(4)은 이탈 제품 영역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상기 블록 저장 유닛(7)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장치의 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각 적층실(stacking compartment)(8) 내의 패키징 유닛(5)들은 동일 유형의 제품(4)을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장치의 운용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유닛(5)은 아래로부터 적층실(8) 안으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장치의 운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유닛(5)은 적재 차량(loading vehicle)(6)에 의하여 적층실(8) 안으로 도입되고 또한 적층실(8)로부터 제거되며, 상기 적재 차량(6)은 적층실(8)들 아래에 있는 적재실(loading compartment)(10)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장치의 운용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차량(6)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장치의 운용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차량(6)은 패키징 유닛(5)을 이탈 제품 영역(3)의 상류측에 있는 순서화 장치(sequencing device)로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장치의 운용 방법.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초과의 패키징 유닛(5)을 동시에 이송할 수 있는 적재 차량(6)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장치의 운용 방법.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랙(rack)(15)을 이송하는 적재 차량(6)이 사용되고, 상기 랙(15)은 패키징 유닛(5)을 적층실(8) 안으로 도입시키며 적층실(8)로부터 패키징 유닛(5)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장치의 운용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패키징 유닛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하여 자체적인 승강 구동부(lifting drive)와 선택적으로 자체적인 동력 공급원을 구비한 랙이 상기 장치의 운용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장치의 운용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패키징 유닛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하여 연결 장치(coupling device)에 의하여 적재 차량 내의 구동부에 연결되는 랙이 상기 장치의 운용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장치의 운용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탑재/제거 방향(21, 22)을 구비한 패키징 유닛(5)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장치의 운용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탑재/제거 방향(21)은 중력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2 탑재/제거 방향(22)은 중력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장치의 운용 방법.
KR1020237002707A 2020-06-24 2021-06-21 저장 장치의 운용 방법 KR202300264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81836.6A EP3929106A1 (de) 2020-06-24 2020-06-24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lageranordnung
EP20181836.6 2020-06-24
PCT/EP2021/066743 WO2021259821A1 (de) 2020-06-24 2021-06-21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lageranordn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498A true KR20230026498A (ko) 2023-02-24

Family

ID=71138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2707A KR20230026498A (ko) 2020-06-24 2021-06-21 저장 장치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249910A1 (ko)
EP (1) EP3929106A1 (ko)
JP (1) JP2023531658A (ko)
KR (1) KR20230026498A (ko)
CN (1) CN115734925A (ko)
AU (1) AU2021294929A1 (ko)
CA (1) CA3187144A1 (ko)
WO (1) WO20212598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29312B (zh) * 2022-01-21 2023-09-19 清华大学 一种货物搬运方法、装置、服务器和存储介质
EP4238898A1 (de) * 2022-03-03 2023-09-06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Blocklageranordnung
EP4238904A1 (de) * 2022-03-03 2023-09-06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Blocklager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22148A1 (de) * 1982-06-11 1983-12-15 Albert 5600 Wuppertal Fischbach Vollautomatisches regallager
DE102013009340B4 (de) * 2013-06-04 2020-07-09 Extor Gmbh 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Ein- und Auslagern von stapelbaren Behältern
US9656806B2 (en) * 2015-02-13 2017-05-23 Amazon Technologies, Inc. Modular, multi-function smart storage containers
AT520860B1 (de) * 2018-01-19 2019-11-15 Tgw Logistics Group Gmbh Kommissioniersystem zum Lagern und Kommissionieren von Packeinheiten sowie Ladungsträger für die Packeinheiten
WO2019238697A1 (en) * 2018-06-12 2019-12-19 Autostore Technology AS Automated storage system
NO344944B1 (en) * 2018-10-12 2020-07-27 Autostore Tech As An access station for picking storage containers
DE102018127567A1 (de) * 2018-11-05 2020-05-07 Werner Gasper Verfahren zur Automatisierung von Warenströmen in einem Warenlager
CN110861865A (zh) * 2019-11-02 2020-03-06 王燏斌 一种带有阻挡器的仓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31658A (ja) 2023-07-25
CA3187144A1 (en) 2021-12-30
AU2021294929A1 (en) 2023-02-02
CN115734925A (zh) 2023-03-03
WO2021259821A1 (de) 2021-12-30
EP3929106A1 (de) 2021-12-29
US20230249910A1 (en) 2023-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53538B1 (en) Transport vehicle and transport facility
KR20230026498A (ko) 저장 장치의 운용 방법
US9694975B2 (en) Lift interface for storage and retrieval systems
KR102462888B1 (ko) 로봇형 물품 취급 시스템, 장치 및 방법
ES2270206T4 (es) Sistema automatizado y procedimiento para el almacenamiento y el picking de artículos
US8342792B2 (en) Article separation directly on storage and retrieval device
US20120213617A1 (en) Angular load support as well as storage and order-picking system having an angular load support being applicable universally
KR102465387B1 (ko) 물품 적재 설비
CN110902366A (zh) 用于处理存放单元的装置和方法
JP2022545665A (ja) コンテナを輸送する送達システム、自動倉庫システム、および方法
TW200938475A (en) Transfer vehicle, particularly in air transport, to storage and retrieval of cargo containers
CN115123719A (zh) 自动存取系统
JP7425408B2 (ja) 物品収容設備
CN112469646B (zh) 卸载设备和卸载站以及从储存容器卸载物项的方法
JP3521473B2 (ja) ピッキング用移載装置付き自動倉庫
CN216637692U (zh) 货架装置及分拣系统
JP6621430B2 (ja) 自動倉庫システム
JPH08113314A (ja) パレタイズ機能を持つ自動倉庫
JPH06115632A (ja) 自動倉庫システム
JP2019210152A (ja) 自動倉庫システム
JP7203183B2 (ja) 自動倉庫システム
CN112707074B (zh) 堆垛存放组件
EP4186820A1 (en) A method for automatically handling a plurality of product containers and a related system
JP2023157704A (ja) 搬送システム
JPH0940116A (ja) 物品保管設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