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377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377A
KR20230024377A KR1020237001333A KR20237001333A KR20230024377A KR 20230024377 A KR20230024377 A KR 20230024377A KR 1020237001333 A KR1020237001333 A KR 1020237001333A KR 20237001333 A KR20237001333 A KR 20237001333A KR 20230024377 A KR20230024377 A KR 20230024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ner tank
material injection
injection device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1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쿤쿤 자오
잔잔 리우
펭 리
샤오빙 주
Original Assignee
칭다오 하이얼 리프리저레이터 컴퍼니 리미티드
하이얼 스마트 홈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칭다오 하이얼 리프리저레이터 컴퍼니 리미티드, 하이얼 스마트 홈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칭다오 하이얼 리프리저레이터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24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3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6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8Filling preformed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62Household appliances
    • B29L2031/7622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25D2201/126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cellula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상기 냉장고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된 내부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내부 탱크는 발포 공간을 한정하며, 여기서, 상기 냉장고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발포 공간 내에 위치한 재료 주입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료 주입 장치는 재료 주입구와 재료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재료 주입 장치는 상기 재료 주입구에 인접한 일단에 일부분의 경사부를 설치하고, 상기 경사부는 재료 주입구에 더 근접한 일단으로부터 재료 주입구를 멀리하는 일단으로 외경이 점점 작아진다. 본 발명은 냉장고를 제공하여, 재료 주입 장치가 진공 VIP 패널에 일정한 설치 공간을 제공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본 발명은 가전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케이스, 내부 탱크 및 케이스와 내부 탱크 사이에 위치한 발포층을 포함한다. 발포층의 발포를 실현하기 위해, 2019년 6월 7일자로 공개한 중국 발명 특허 출원 CN109849254A은 냉장고 자동 발포 누출 정지 밸브를 공개하였고, 누출 정지 밸브는 재료 주입관과 밀봉 커버를 포함한다. 재료 주입관의 내부 측단의 상단은 연결판을 통해 밀봉 커버와 힌지 결합되고, 재료 주입관의 상단에는 위치 제한 핀이 더 설치되고, 위치 제한 핀에는 밀봉 커버와 재료 주입관과 상호 매치하는 토션 스프링이 씌워지고, 토션 스프링은 밀봉 커버를 복귀시키도록 구성된다. 재료 주입관은 원기둥상이므로, 재료 주입관의 재료 출구는 발포 재료가 쉽게 쌓이게 되어, 발포 재료가 케이스 앞부분으로 진입하는데 영향을 주고, 발포 질량에 대대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외에, 재료 주입관이 너무 짧아서, 발포 재료가 케이스의 앞부분으로 추진되기가 더 힘들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 중에서, 또한 바닥 스틸에는 플라스틱 단방향 판이 설치되고, 뒤집힐수 있는 플라스틱 수단이 스프링과 조합되어 바닥 스틸에 설치되는 것이고, 재료 주입총으로 재료를 주입 완료한 후, 재료 주입홀에서 뽑아내면, 탄성 회복판은 탄성 회복되어 밀폐된다. 그러나 발포 재료가 앞쪽으로 낙점하는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당업자는 재료 주입량을 크게 하였지만, 이는 밀도를 너무 크게 할 수 있고, 원가가 높아지고, 발포 재료의 표면 상태가 불량하게 된다. 이로써 바닥 스틸의 발포 압력을 크게 하여, 밀봉 리스크가 크고, 재료 일출 등 문제가 쉽게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 중에서, 재료 주입관은 진공 VIP관의 설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재료 주입 장치가 진공 VIP 패널에 일정한 설치 공간을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발명의 목적 중의 하나를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은 냉장고를 제공하고, 상기 냉장고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된 내부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내부 탱크는 발포 공간을 한정하고, 상기 냉장고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발포 공간 내에 위치한 재료 주입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료 주입 장치는 재료 주입구와 재료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재료 주입 장치는 상기 재료 주입구에 인접한 일단에 일부분의 경사부를 설치하고, 상기 경사부는 재료 주입구에 더 근접한 일단으로부터 재료 주입구를 멀리하는 일단으로 외경이 점점 작아질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진일보 개진으로서, 상기 재료 주입구는 반원부와 상기 반원부와 서로 접하는 직사각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방식의 진일보 개진으로서, 상기 재료 주입 장치는 상기 재료 주입구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밀봉 커버를 더 포함하고, 외부힘이 상기 밀봉 커버에 작용할 때, 상기 밀봉 커버는 가동되어 상기 재료 주입구를 열리게 하고, 외부힘을 제거할 때, 상기 밀봉 커버는 상기 재료 주입구를 밀봉하는 위치로 회복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방식의 진일보 개진으로서, 상기 밀봉 커버는 탄성 시트로 설치되고, 상기 탄성 시트는 윗반원부와 윗반원부와 양단이 서로 연결된 아랫직사각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방식의 진일보 개진으로서, 상기 재료 주입 장치는 재료 진입관과 상기 재료 진입관과 서로 연결되고 또한 서로 연통되는 재료 주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재료 진입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방식의 진일보 개진으로서, 상기 재료 주입관은 세로 길이 방향에서 동일한 횡단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재료 주입관은 바닥 평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 평면부는 상기 케이스 또는 내부 탱크와 서로 받쳐질 수 있다.
본 발명 실시방식의 진일보 개진으로서, 상기 재료 주입 장치는 상기 재료 주입관과 서로 연결되고 또한 서로 연통되는 재료 배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재료 진입관과 재료 배출 수단은 각각 상기 재료 주입관의 서로 상대하는 양단과 연결되고, 상기 재료 배출구는 상기 재료 배출 수단에 설치되고, 상기 재료 배출 수단은 재료 주입관에 더 근접한 부분으로부터 상기 재료 배출 수단의 말단으로 외경이 점점 커짐으로써, 점점 커지는 재료 배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방식의 진일보 개진으로서, 상기 재료 주입 장치는 재료 진입관과 상기 재료 진입관과 서로 연통되는 재료 가이드관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재료 진입관에 설치되고, 상기 재료 가이드관은 상기 재료 진입관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재료 진입관을 멀리하는 말단을 구비하고, 상기 재료 가이드관은 연결부에 더 근접한 부분으로부터 말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경이 점점 커짐으로써, 점점 커지는 재료 배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방식의 진일보 개진으로서, 상기 재료 주입 장치는 재료 진입관과 상기 재료 진입관과 서로 연통되는 재료 가이드관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재료 진입관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 탱크 상에는 상기 재료 가이드관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재료 가이드관과 상기 내부 탱크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방식의 진일보 개진으로서, 상기 내부 탱크는 냉장 내부 탱크와 냉동 내부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냉장 내부 탱크와 냉동 내부 탱크 사이는 서로 간격을 두고 중간 빔을 형성하며, 상기 중간 빔측에는 가림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재료 주입 장치의 그 연장 방향 상의 길이는 냉동 내부 탱크 높이의 절반보다 크고 또한 냉동 내부 탱크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종래 기술과 대비 시, 본 발명의 유리한 효과는, 본 발명에서 제공한 기술 수단에서 상기 재료 주입부는 재료 주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재료 배출부는 상기 재료 주입부에 더 근접한 일단으로부터 상기 재료 배출부의 말단을 따라 외경이 점점 커짐으로써, 점점 커지는 재료 배출구를 형성하고, 이로써 발포 재료를 분산시키는 작용을 하여, 발포 재료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발포 질량을 대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 제1실시방식의 냉장고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의 냉장고를 나타낸 저면도;
도3은 도2의 A-A 단면도;
도4는 도3의 B위치의 국부 확대도;
도5는 도1의 냉장고의 재료 주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도5의 재료 주입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7은 도5의 재료 주입 장치를 나타낸 세로 방향 단면도;
도8은 도7의 C위치의 국부 확대도;
도9는 도7의 D위치의 국부 확대도;
도10은 본 발명 제2실시방식의 냉장고를 나타낸 사시도;
도11은 도10의 냉장고 나타낸 가로 방향 단면도;
도12는 도11의 E위치의 국부 확대도;
도13은 도10의 냉장고 재료 주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14는 도13의 재료 주입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15는 도14의 F위치의 국부 확대도;
도16은 본 발명 제3실시방식의 냉장고를 나타낸 사시도;
도17은 도16의 재료 주입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18은 본 발명 제4실시방식의 냉장고 재료 주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아래에 도면에서 도시한 구체적 실시방식을 결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한 서술을 진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방식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고, 해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가 이러한 실시방식에 따라 진행한 구조, 방법 또는 기능 상의 변환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방식의 서술에서, 용어 "상", "하",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밑", "내", "외" 등이 의미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서 도시한 방위 또는 위치 관계를 기반으로 하고, 통상 냉장고가 정상적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참조로 하고, 그 지시하는 위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된 방위를 가지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1 내지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한 제1실시예는 냉장고를 공개하는 것으로, 냉장고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연결된 문을 포함하고, 케이스는 저장 공간을 정의하고, 문은 적어도 부분적인 저장 공간을 조작 가능하게 열거나 또는 닫는다. 여기서, 저장 공간은 다수개 저장실을 포함하고, 저장실의 수량과 구조 형식은 부동한 수요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 내에 설치된 내부 탱크(12)를 포함하고, 하우징(10)과 내부 탱크(21)는 발포 공간을 한정하며, 발포 공간은 내부에 발포 재료를 용납하도록 구성되어, 내부 탱크(12)가 보온하는 목적을 이루게 한다. 여기서, 냉장고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포 공간 내에 위치하는 재료 주입 장치(13)를 더 포함하고, 재료 주입 장치(13)는 재료 주입구(18)와 재료 배출구(20)를 구비하고, 재료 주입 장치(13)는 재료 주입구(18)에 인접한 일단에 일부분의 경사부(30)를 설치하고, 경사부는 재료 주입구(18)에 더 근접한 일단으로부터 재료 주입구(18)를 멀리하는 일단으로 외경이 점점 작아진다.
통상적으로, 하우징(10)과 내부 탱크(12) 사이에는 진공 VIP 패널이 설치되고, 재료 주입 장치(13)에 설치된 경사부(30)는 진공 VIP 패널에게 설치 공간을 양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료 주입 장치(13)는 재료 진입관(32)과 상기 재료 진입관(32)과 서로 연결되고 또한 서로 연통되는 재료 주입관(22)을 포함하고, 재료 주입구(18)와 경사부(30)는 모두 재료 진입관(32)에 설치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재료 진입관(32)과 재료 주입관(22)은 단독으로 제조된 후, 재료 진입관(32)과 재료 주입관(22)을 연결시키고, 구체적으로, 재료 진입관(32)과 재료 주입관(22)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렇게 설치함으로써, 재료 진입관(32)과 재료 주입관(22)의 제조에 편리를 주고, 주형을 단순하게 하여, 재료 진입관(32)과 재료 주입관(22)의 제조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당연하게, 재료 진입관(32)과 재료 주입관(22)을 일체로 성형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재료 주입구(18)는 반원부(34)와 반원부(34)와 서로 접하는 직사각형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재료 진입관(32)과 재료 주입관(22)은 스냅 연결을 진행하고, 당연하게, 재료 주입관(22)과 재료 배출 수단(24) 사이는 기타 연결 방식, 즉 납땜 연결, 접합 연결과 같은 기타 연결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경사부(30)는 재료 진입관(32)에 설치되고, 재료 진입관(32)은 재료 주입관(22)과 서로 연결되는 맞춤부(38)를 구비하고, 맞춤부(38)의 단면 형상은 재료 주입관(22)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고, 맞춤부(38)의 외경은 재료 주입관(22)의 외경보다 작고, 맞춤부(38)는 재료 주입관(22) 중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세하게는, 맞춤부(38)의 횡단면은 동일하게 반원형으로 설치된다.
재료 주입관(22)은 세로길이 방향에서 동일한 횡단면을 따라 연장되고, 재료 주입관(22)은 바닥 평면부(40)를 포함하고, 바닥 평면부(40)와 하우징(10) 또는 내부 탱크(12)는 서로 받쳐진다. 이렇게 설치함으로써, 재료 주입관(22)은 더 안정하게 하우징(10) 또는 내부 탱크(12) 상에 지지될 수 있다.
나아가, 재료 주입관(22)은 바닥 평면부(40)와 상대하고 또한 서로 연결되는 원호부(42)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원호부(42)는 반원형으로 설치되고, 다시 말하면, 재료 주입관(22)은 세로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반원형관이다.
맞춤부(38)와 재료 주입관(22) 중의 하나 상에는 걸림홈(44)이 설치되고, 맞춤부(38)와 재료 주입관(22) 중의 다른 하나 상에는 걸림홈(44)과 서로 매치하는 걸림 돌기(46)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세하게는, 걸림 돌기(46)는 맞춤부(38) 상에 설치되고, 걸림홈(44)은 재료 주입관(22) 상에 설치된다. 당연하게, 걸림 돌기(46)는 재료 주입관(22) 상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응하게, 걸림홈(44)은 맞춤부(38) 상에 설치된다. 재료 진입관(32), 재료 주입관(22) 및 재료 배출 수단(24)은 모두 플라스틱 수단이고, 당연하게, 재료 진입관(32), 재료 주입관(22) 및 재료 배출 수단(24)은 기타 재질을 적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걸림 돌기(46)는 맞춤부(38)의 바닥 평면부 상에 설치되고, 상응하게, 걸림홈(44)은 재료 주입관(22)의 바닥 평면부(40) 상에 설치되며, 이로써 재료 진입관(32)과 재료 주입관(22) 사이의 연결은 더 안정하고 신뢰성이 있게 된다.
재료 진입관(32)과 재료 주입관(22) 사이의 조립을 더 편리하고 신뢰성이 있게 하기 위해, 맞춤부(38)의 경사부(30)에 근접한 외주는 외부로 연장되어 정지부(47)가 설치되고, 재료 진입관(32)과 재료 주입관(22)를 조립할 때, 맞춤부(38)를 재료 주입관(22) 내에 위치하게 하고, 더 움직일 수 없을 때까지 내부로 추진시키면, 재료 주입관(22)과 정지부(47)는 바로 서로 받쳐지고, 이때 걸림 돌기(46)과 걸림홈(44)은 서로 매치 결합된다.
재료 주입 장치(13)는 재료 주입관(22)과 서로 연결되고 또한 서로 연통되는 재료 배출 수단(24)을 포함하고, 재료 진입관(32)과 재료 배출 수단(24)은 각각 재료 주입관(22)의 서로 상대하는 양단과 연결되고, 재료 배출구(20)는 재료 배출 수단(24)에 설치된다. 해당 실시예에서, 재료 진입관(32), 재료 주입관(22)과 재료 배출 수단(24)은 모두 강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재료 주입관(22)과 재료 배출 수단(24)은 단독으로 제조된 후, 재료 주입관(22)과 재료 배출 수단(24)을 연결시킨다. 이렇게 설치함으로써, 재료 주입관(22)과 재료 배출 수단(24)의 제조에 편리를 주고, 주형을 단순하게 하여, 재료 주입관(22)과 재료 배출 수단(24)의 제조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당연하게, 재료 주입관(22)과 재료 배출 수단(24)을 일체로 성형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재료 배출 수단(24)은 재료 주입관(22)에 더 근접한 부분으로부터 상기 재료 배출 수단(24)의 말단으로 외경이 점점 커짐으로써, 점점 커지는 재료 배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재료 배출구(20)는 점점 커지는 구조 형식으로 설치되어, 발포 재료를 분산시키는 작용을 하고, 재료 주입 밀도를 감소하고, 발포 압력을 감소하여, 발포 재료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발포 질량을 대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당연하게, 재료 배출구는 점점 확대되는 구조로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고, 아래의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바람직하게는, 재료 배출구(20)는 나팔형으로 설치된다. 당연하게, 재료 배출구(20)는 기타 구조 형상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점점 커지는 구조 형식으로 설치된다. 또한, 반원형 또는 직사각형 등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재료 주입관(22)과 재료 배출 수단(24)는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재료 주입관(22)과 재료 배출 수단(24) 사이는 스냅 연결을 적용하고, 당연하게, 재료 주입관(22)과 재료 배출 수단(24) 사이는 기타 연결 방식, 즉 납땜 연결, 접합 연결 등과 같은 기타 연결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재료 배출 수단(24)은 재료 주입관(22)과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26)와 재료 배출부(16)를 구비하고, 나팔형 재료 배출구(20)는 재료 배출부(16)에 설치된다. 부분 연결부(26)는 부분 재료 주입관(22)의 외주를 감싸고, 이렇게 설치함으로써, 재료 배출 수단(24)과 재료 주입관(22) 사이의 연결은 더 신뢰성이 있게 된다. 연결부(26)의 내측과 재료 배출부(16)의 내측은 오목부(28)를 형성하고, 재료 주입관(22)은 오목부(28)에 위치하고, 또한 재료 주입관(22)의 내표면으로부터 재료 배출부(16) 내표면의 재료 주입관(22)에 인접한 부분까지 평활하게 과도하고, 바람직하게는, 재료 주입관(22)의 내표면으로부터 재료 배출부(16) 내표면의 재료 주입관(22)에 인접한 부분까지는 서로 일치하다. 이렇게 설치함으로써, 재료 주입관(22)으로부터 재료 배출 수단(24)까지 발포 재료의 유동은 더 순조롭고, 정체되지 않는다.
재료 주입 장치(13)는 재료 주입구(18)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밀봉 커버(48)를 더 포함하고, 외부힘이 밀봉 커버(48)에 작용할 때, 상기 밀봉 커버(48)는 가동되어 상기 재료 주입구(18)를 열리게 하고, 외부힘을 제거할 때, 상기 밀봉 커버(48)는 재료 주입구(18)의 위치로 회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밀봉 커버(48)는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탄성 시트이고, 상기 탄성 시트는 재료 진입관(32) 상에 설치되어, 재료 주입구(18)를 커버한다. 탄성 시트와 재료 진입관(32) 사이의 연결 방식은 접합 연결, 스냅 연결 또는 납땜 연결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당연하게, 탄성 시트와 재료 진입관(32) 사이는 기타 연결 방식도 적용할 수 있다. 재료 주입구(18)의 형상과 서로 대응하게, 탄성 시트는 상반원부와 상반원부의 양단과 서로 연결되는 아랫직사각형부를 구비한다. 이렇게 설치함으로써, 탄성 시트의 뒤집힘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재료 주입관(22)의 길이는 구체적인 설계에 따라 조절을 진행함으로써, 발포 시의 부동한 낙점 거리의 수요를 만족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바닥부(50)와 정상부(52)를 포함하고, 재료 주입구(18)는 재료 배출구(20)보다 바닥부(50)에 더 인접하고, 다시 말하면, 재료 주입 시, 발포 재료는 바닥부(50)로부터 정상부(50)에 근접한 방향을 따라 유동한다. 내부 탱크(12)는 냉장 내부 탱크(58)와 냉동 내부 탱크(56)를 포함하고, 냉장 내부 탱크(58)와 냉동 내부 탱크(56) 사이는 서로 간격을 두고 중간 빔(54)을 형성하며, 중간 빔(54) 위치에는 가림 장치(미도시)가 설치되며, 재료 주입 장치(13)의 그 연장 방향 상의 길이는 냉동 내부 탱크 높이의 절반보다 크고 또한 냉동 내부 탱크의 높이보다 작다. 이로써 재료 주입 발포하는 과정에서, 발포 재료는 중간 빔(54) 내부에 직접 진입되지 않으므로, 중간 빔(54) 내부의 발포 밀도는 과도로 높아지지 않으며, 전반적인 발포 과정 중의 발포 재료의 밀도가 보다 균형을 이루게 할 수 있다.
나아가, 냉동 내부 탱크(56)와 냉장 내부 탱크(58)는 수직 방향을 따라 분포되어, 중간 빔(54)은 가로 방향을 따라 배포되고, 가림 장치도 가로 방향을 따라 배포되고 또한 냉동 내부 탱크(56)와 냉장 내부 탱크(58) 사이에 고정된다. 또한, 가림 장치는 세로 방향에서 호형으로 연장되고, 가림 장치는 하우징(10) 방향으로 돌출된다.
재료 주입 장치(13) 상에는 재료 익출홀(미도시)이 설치되어, 발포 과정에서 압력이 과도로 커져 재료 주입 장치(13)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재료 익출홀의 위치는 제한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재료 주입 장치(13)의 세로 길이 연장 방향에서, 재료 익출홀은 재료 주입 장치(13)의 중간 위치에 설치되거나 또는 재료 주입구(18)에 더 근접한 앞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재료 익출홀은 재료 주입관(22) 상에 설치된다.
재료 주입 시, 재료 주입총의 헤드를 재료 주입구(18)에 조준하고, 재료 주입 총의 헤드를 추진시킴에 따라, 탄성 시트는 내부로 뒤집히고, 이로써 재료 주입 총의 헤드는 재료 주입 장치(13) 중으로 진입하고, 적당한 위치까지 추진한 후 정지되고, 나아가 발포액은 재료 주입 장치(13)의 내벽을 따라 하우징(10)과 내부 탱크(12) 사이에 진입하여, 재료 주입이 완료된 후,
재료 주입총의 헤드를 외부로 이동하고, 재료 주입총의 헤드가 뽑힘에 따라, 탄성 시트는 복귀하여 재료 주입구(18)가 밀봉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재료 주입구(18)의 윗부분은 반원형으로 설치되고, 그 아랫부분은 직사각형으로 설치되어, 탄성 시트의 뒤집힘을 더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시트는 합금강을 적용한다. 당연하게, 탄성 시트는 기타 일정한 변형 회복 기능을 가지는 기타 재질을 적용할 수도 있다.
도10 내지 도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한 제2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 실시예의 재료 주입 장치(59)는 재료 진입관(60)과 재료 진입관(60)과 서로 연통되는 재료 가이드관(62)을 포함하고, 경사부(64)는 재료 진입관(60)에 설치된다. 여기서, 재료 진입관(60)과 밀봉 커버(66)의 형식은 제1실시예와 완전히 동일하고, 여기서 더 상세하게 전개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제1실시예와 상이한 것은, 재료 주입 장치(59)는 서로 연결된 두개 부분으로 설치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재료 진입관(60)과 서로 연통된 재료 가이드관(62)은 유연성 재료 가이드관으로 설치된다. 당연하게, 재료 가이드관(62)은 일정한 강성을 가지는 경질성 재료 가이드관을 설치할 수도 있다. 재료 가이드관(62)은 유연성 재료 가이드관을 적용함으로써, 재료 주입 시, 재료 가이드관(62)은 하우징(68)과 내부 탱크(70) 사이의 공간 형상에 따라 스스로 적응하고, 재료 가이드관(62)이 하우징(68)과 내부 탱크(70) 사이의 기타 구조의 간섭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재료 가이드관(62)은 하우징(68)과 내부 탱크(70) 사이의 공간 형상에 따라 적응성 변형을 진행하여, 재료 주입 장치(59)의 적용 범위를 대대적으로 크게 하고, 재료 가이드관(62)이 하우징(68)과 내부 탱크(70) 사이의 기타 구조에 의해 간섭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재료 진입관(60)과 재료 가이드관(62)은 단독 제조된 후, 재료 진입관(60)과 재료 가이드관(62)을 연결한다. 이렇게 설치함으로써, 재료 지입관(60)과 재료 가이드관(62)은 제조가 편리하고, 주형이 단순하여, 재료 진입관(60)과 재료 가이드관(62)의 제조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재료 가이드관(62)과 재료 진입관(60) 사이의 연결 방식은 접착제로 접합하거나 테이프로 묶는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재료 가이드관(62)의 벽 두께는 50um~100um이다.
나아가, 재료 가이드관(62)은 재료 진입관(60)에 연결되는 연결부(72)와 재료 진입관(60)을 멀리하는 말단을 구비하고, 재료 가이드관(62)은 연결부(72)에 더 근접한 부분으로부터 말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경이 점점 커짐으로써, 점점 커지는 재료 배출구(74)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설치함으로써, 발포 재료를 분산시키는 작용을 하여, 재료 주입 밀도를 감소하고, 발포 압력을 감소하여, 발포 재료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발포 질량을 대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재료 배출구(74)는 나팔형이다. 당연하게, 재료 배출구(74)는 기타 형상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연결부(72)에 더 근접한 부분으로부터 말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경을 점점 커지게 설치하여, 발포 재료를 분산시키는 작용을 하면 된다.
재료 가이드관(62)은 연결부(72)와 서로 연결되는 재료 배출부(76)를 더 포함하고, 재료 주입 시, 재료 가이드관(62)은 부푼 상태에 있고, 이때, 재료 배출부(76)는 서로 평행되는 상표면과 하표면, 일정 협각을 이룬 좌표면과 우표면을 구비하고, 상표면, 좌표면, 하표면과 우표면은 서로 차례대로 연결된다. 나아가, 재료 가이드관(62)이 부푼 상태에 있을 때, 좌표면과 우표면이 이루는 협각은 예각이다. 하표면은 일 평면이고, 내부 탱크(70) 상에 지지된다. 당연하게, 재료 가이드관(62)의 재료 배출구(76)는 기타 형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재료 가이드관(62)의 재질은 나일론, 폴리우레탄 또는 PE일 수 있다. 당연하게, 재료 가이드관(62)은 상기 재질에 제한되지 않고, 재료 가이드관(62)도 마찬가지로 기타 일정한 유연성을 가진 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발포를 진행하기 전에, 재료 가이드관(6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재료 가이드관(62)을 내부 탱크(70) 상에 고정하여, 재료 가이드관(62)이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써 발포 시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재료 가이드관(62)은 발포 전에, 내부 탱크(70) 상에 접착제로 접착하거나 또는 클램프로 고정할 수 있다. 당연하게, 기타 고정 방식을 적용하여 재료 가이드관(62)을 내부 탱크(70) 상에 고정할 수도 있다.
재료 가이드관(62)의 길이는 구체적인 설계에 따라 조절을 진행함으로써, 발포 시의 부동한 낙점 거리의 수요를 만족할 수 있다.
재료 주입 장치(59) 상에는 재료 익출홀(미도시)이 설치되어, 발포 과정에서 압력이 과도로 커져 재료 주입 장치(59)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재료 익출홀의 위치는 제한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재료 주입 장치(59)의 세로 길이 연장 방향에서, 재료 익출홀은 재료 주입 장치(59)의 중간 위치에 설치되거나 또는 재료 주입구(18)에 더 근접한 앞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재료 익출홀은 재료 가이드관(62) 상에 설치되고, 또한 익출홀은 재료 가이드관(62)의 재료 진입관(60)에 더 인접한 일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재료 주입 시, 재료 주입총의 헤드(미도시)를 재료 주입구(18)에 조준하고, 재료 주입 총의 헤드를 추진시킴에 따라, 탄성 시트는 내부로 뒤집히고, 이로써 재료 주입 총의 헤드는 재료 주입 장치(59) 중으로 진입하고, 적당한 위치까지 추진한 후 정지되고, 나아가 발포액은 재료 주입 장치(59)의 내벽을 따라 진입하고, 발포액의 진입에 따라, 재료 가이드관(62)은 부풀고, 발포액을 분산하여 하우징(68)과 내부 탱크(70) 사이에 주입한다. 주입 완료 후, 재료 주입총의 헤드를 외부로 이동하고, 재료 주입총의 헤드가 뽑힘에 따라, 탄성 시트는 복귀하여 재료 주입구(18)가 밀봉된다.
재료 진입관(60)은 재료 가이드관(62)과 서로 연결되는 맞춤부를 구비하고, 맞춤부의 단면 형상은 반원형이다. 재료 가이드관(62)의 연결부(72)는 맞춤부의 외측에 씌워져 설치된다.
도16 내지 도1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한 제3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2의 실시예와 동일한 것은, 재료 주입 장치(77)는 마찬가지로 이단(좃뙈)식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재료 주입 장치(77)는 재료 진입관(78)과 재료 진입관(78)과 서로 연통되는 재료 가이드관(80)을 포함하고, 재료 진입관(78)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고, 재료 진입관(78)은 마찬가지로 경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재료 진입관(78)과 밀봉 커버(81)의 형식은 제1실시예와 완전히 동일하고, 여기서 더 상세하게 전개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제2실시예와 상이한 것은, 재료 가이드관(80)의 형상이다.
해당 실시예에서, 재료 가이드관(80)은 일정한 강성을 가지는 경질성 재료 가이드관이다. 다시 말하면, 재료를 주입하거나 주입하지 않은 경우, 재료 가이드관(80)은 항상 동일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료 가이드관(80)은 세로 길이 방향에서 동일한 횡단면을 따라 연장되고, 재료 배출구(82)는 재료 가이드관(80) 상에 위치하고, 이로써, 해당 실시예에서, 재료 배출구는 나팔형이 아니다. 재료 가이드관(80)의 횡단면은 반원형으로 설치된다. 당연하게, 재료 가이드관(80)의 횡단면은 기타 형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내부 탱크(84) 상에는 지지 수단(86)이 더 설치되고, 지지 수단(86)은 재료 가이드관(8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재료 가이드관(80)과 내부 탱크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을 구비하여, 재료 가이드관(80)은 내부 탱크(84)에 직접 접촉되지 않는다. 재료 가이드관(80)의 아래평면부는 지지 수단(86) 상에 받쳐진다.
도1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한 제4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 실시예와 제3실시예가 동일한 것은, 재료 주입 장치는 마찬가지로 이단식으로 설치된다. 해당 실시예와 제3실시예가 상이한 것은, 재료 진입관(88)의 형상 및 지지 수단(90)의 형상이다.
해당 실시예에서, 재료 진입관(88)은 세로 길이 방향에서 마찬가지로 동일한 횡단면을 따라 연장되고, 재료 진입관(88)의 횡단면은 원형으로 설치된다. 다시 말하면, 재료 진입관(88)은 원기둥형이다.
나아가, 내부 탱크에는 마찬가지로 재료 진입관(88)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수단(90)이 설치되고, 재료 가이드관(88)과 내부 탱크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을 구비하여, 재료 가이드관(88)은 내부 탱크에 직접 접촉되지 않는다. 지지 수단(90)은 재료 가이드관(88)의 외주 형상과 서로 매치하는 원호 지지부(92)를 구비한다.
응당 이해할 것은, 본 명세서는 실시방식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매개 실시방식이 단지 하나의 독립된 기술수단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고, 명세서의 이러한 서술 방식은 단지 명확성을 목적으로 할 뿐, 해당 분야 당업자라면 응당 명세서를 하나의 일체로 보아야 하고, 각 실시방식 중의 기술 수단은 해당 분야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기타 실시방식으로 적절한 조합을 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열거된 일련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실행 가능한 실시방식의 구체적 설명일 뿐,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진행한 동등한 실시방식 또는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된 내부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내부 탱크는 발포 공간을 한정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발포 공간 내에 위치한 재료 주입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료 주입 장치는 재료 주입구와 재료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재료 주입 장치는 상기 재료 주입구에 인접한 일단에 일부분의 경사부를 설치하고, 상기 경사부는 재료 주입구에 더 근접한 일단으로부터 재료 주입구를 멀리하는 일단으로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주입구는 반원부와 상기 반원부와 서로 접하는 직사각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주입 장치는 상기 재료 주입구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밀봉 커버를 더 포함하고, 외부힘이 상기 밀봉 커버에 작용할 때, 상기 밀봉 커버는 가동되어 상기 재료 주입구를 열리게 하고, 외부힘을 제거할 때, 상기 밀봉 커버는 상기 재료 주입구를 밀봉하는 위치로 회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커버는 탄성 시트로 설치되고, 상기 탄성 시트는 윗반원부와 윗반원부와 양단이 서로 연결된 아랫직사각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주입 장치는 재료 진입관과 상기 재료 진입관과 서로 연결되고 또한 서로 연통되는 재료 주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재료 진입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주입관은 세로 길이 방향에서 동일한 횡단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재료 주입관은 바닥 평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 평면부는 상기 케이스 또는 내부 탱크와 서로 받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주입 장치는 상기 재료 주입관과 서로 연결되고 또한 서로 연통되는 재료 배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재료 진입관과 재료 배출 수단은 각각 상기 재료 주입관의 서로 상대하는 양단과 연결되고, 상기 재료 배출구는 상기 재료 배출 수단에 설치되고, 상기 재료 배출 수단은 재료 주입관에 더 근접한 부분으로부터 상기 재료 배출 수단의 말단으로 외경이 점점 커짐으로써, 점점 커지는 재료 배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주입 장치는 재료 진입관과 상기 재료 진입관과 서로 연통되는 재료 가이드관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재료 진입관에 설치되고, 상기 재료 가이드관은 상기 재료 진입관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재료 진입관을 멀리하는 말단을 구비하고, 상기 재료 가이드관은 연결부에 더 근접한 부분으로부터 말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경이 점점 커짐으로써, 점점 커지는 재료 배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주입 장치는 재료 진입관과 상기 재료 진입관과 서로 연통되는 재료 가이드관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재료 진입관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 탱크 상에는 상기 재료 가이드관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재료 가이드관과 상기 내부 탱크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탱크는 냉장 내부 탱크와 냉동 내부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냉장 내부 탱크와 냉동 내부 탱크 사이는 서로 간격을 두고 중간 빔을 형성하며, 상기 중간 빔측에는 가림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재료 주입 장치의 그 연장 방향 상의 길이는 냉동 내부 탱크 높이의 절반보다 크고 또한 냉동 내부 탱크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237001333A 2020-07-13 2021-04-12 냉장고 KR202300243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667415.X 2020-07-13
CN202010667415.XA CN113932541A (zh) 2020-07-13 2020-07-13 冰箱
PCT/CN2021/086447 WO2021213202A1 (zh) 2020-07-13 2021-04-12 冰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377A true KR20230024377A (ko) 2023-02-20

Family

ID=78270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333A KR20230024377A (ko) 2020-07-13 2021-04-12 냉장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88133A1 (ko)
EP (1) EP4180747A4 (ko)
JP (1) JP2023534690A (ko)
KR (1) KR20230024377A (ko)
CN (1) CN113932541A (ko)
AU (1) AU2021260298A1 (ko)
WO (1) WO2021213202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32382A (en) * 1962-09-13 1964-05-12 Gen Electric Resin foam insulated cabinet
GB2140143B (en) * 1983-04-29 1986-03-26 Hotpoint Ltd Method of filling a cavity with foamed material
JP2007309564A (ja) * 2006-05-17 2007-11-29 Sharp Corp 断熱箱体、冷蔵庫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CN201950762U (zh) * 2010-11-30 2011-08-31 海尔集团公司 冰箱门体的发泡导流装置及具有该装置的冰箱
US8678530B2 (en) * 2011-04-25 2014-03-25 General Electric Company Foam manifold for injection molding consumer appliance case, foamed-in case, and related method
US9970701B2 (en) * 2014-01-07 2018-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having a heating pipe
EP3186055B1 (en) * 2014-08-29 2019-04-10 Arçelik Anonim Sirketi Improved foam injection plug assembly for use in a refrigeration appliance
KR102442071B1 (ko) * 2015-10-19 2022-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CN205300095U (zh) * 2015-12-24 2016-06-08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冷藏装置门体
CN105466099B (zh) * 2015-12-24 2018-05-1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
CN109696022A (zh) * 2018-04-24 2019-04-30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用于箱体保温层发泡的注料辅助组件及配有该组件的冰箱
CN109702950A (zh) * 2018-11-09 2019-05-0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用发泡导流管和冰箱
CN109849254A (zh) 2018-11-21 2019-06-07 合肥雪祺电气有限公司 一种冰箱自动发泡堵漏装置
CN209335953U (zh) * 2018-12-30 2019-09-03 广东瑞福密封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泡棉生产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88133A1 (en) 2023-09-14
CN113932541A (zh) 2022-01-14
JP2023534690A (ja) 2023-08-10
EP4180747A1 (en) 2023-05-17
AU2021260298A1 (en) 2023-02-23
EP4180747A4 (en) 2023-12-13
WO2021213202A1 (zh)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0212B1 (ko) 청소기의 노즐
JP6291084B2 (ja) 食洗機
JP2986459B2 (ja) 液体あるいは半液体状の生成物用のポンプタイプ貯蔵ユニット
US10500530B2 (en) Water purifying filter
KR20210035146A (ko) 청소기의 노즐
US20050067930A1 (en) Mounting structure of door basket for refrigerator
US20140283542A1 (en) Refrigerator
CN109477680A (zh) 净水过滤器
US10946737B2 (en) Fuel valve
US20180128288A1 (en) Accumulator
KR20230024377A (ko) 냉장고
US20120227433A1 (en) Refrigerator
CN110131154B (zh) 双密封单向阀及装有该单向阀的柱塞泵
CN106196851A (zh) 一种冰箱化霜水排水接头及冰箱
CN212378350U (zh) 冰箱
CN110243129B (zh) 一种制冷设备
KR100420366B1 (ko) 냉장고의 디스펜서부 구조
JPH11262704A (ja) 正倒立両用の液体噴出器
CN114209091A (zh) 雾化器
US20240136690A1 (en) Electrolyte injection device
JPH0811961A (ja) 泡噴出容器
CN213975249U (zh) 一种乳液罐用泵头结构
KR20190000279U (ko) 개방상태 유지가 용이한 일방향 밸브
CN219962174U (zh) 排气装置及香水分装瓶
CN218519519U (zh) 防塌陷结构、车门密封总成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