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279U - 개방상태 유지가 용이한 일방향 밸브 - Google Patents

개방상태 유지가 용이한 일방향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279U
KR20190000279U KR2020170003842U KR20170003842U KR20190000279U KR 20190000279 U KR20190000279 U KR 20190000279U KR 2020170003842 U KR2020170003842 U KR 2020170003842U KR 20170003842 U KR20170003842 U KR 20170003842U KR 20190000279 U KR20190000279 U KR 201900002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hole
air
shoulder member
cap
elastic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8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성
Original Assignee
김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성 filed Critical 김문성
Priority to KR20201700038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279U/ko
Publication of KR201900002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27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8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 F16K15/182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 F16K15/1825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for 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16K15/18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방상태 유지가 용이한 일방향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쿠션 및 공기튜브 등과 같이 일방향으로 개방되는 밸브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임의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관 및 휴대 시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편리하게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개방상태 유지가 용이한 일방향 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방상태 유지가 용이한 일방향 밸브{ONE-WAY VALVE FOR EASILY KEEPING OPENING}
본 고안은 개방상태 유지가 용이한 일방향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쿠션 및 공기튜브 등과 같이 일방향으로 개방되는 밸브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임의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관 및 휴대 시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편리하게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개방상태 유지가 용이한 일방향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하는 에어쿠션, 공기튜브 등은 구획된 구역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개폐되는 밸브가 하나 이상 형성된다.
따라서, 밸브를 통해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탄력 및 충격을 완화하고, 부피를 증가시켜 물에 떠있을 수 있도록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또한,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부피가 작아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며, 공기의 주입량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크기에 따라 공기의 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주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량도 증가하게 되며, 여기서 공기를 주입할 때는 콤프레샤 등과 같은 다양한 에어를 공급하는 장치를 통해 편리하게 공기를 주입할 수 있으나, 밸브가 공기의 배출을 방지하고 있어 쉽게 주입된 공기를 배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46523호 "진공 배출식 에어폴 탠트"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텐트에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와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구가 각각 구비되며, 공기배출구에는 배출보조호스가 텐트의 내부로 문어발 형상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공기배출구에는 별도의 공기 주입 진공 배출기를 결합하여 주입된 공기를 흡입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구성이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하는 각각의 공기주입구와 공기배출구에 공기 주입 진공 배출기의 연결이 필요하며,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구의 조작을 통해 배출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내장된 배출보조호스에 의해 부피가 증가하고 배출되는 공기압에 의해 밀착되거나, 내부에서 절곡 등에 의해 공기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를 주입 및 배출하여 사용하는 제품에 설치하여 별도의 조작 없이 편리하게 주입된 유체를 배출할 수 있는 개방상태 유지가 용이한 일방향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간편한 조작을 통해 고정된 상태에서 유체를 장시간 배출할 수 있는 개방상태 유지가 용이한 일방향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이 또 다른 목적은, 유체의 주입이 편리하고, 주입된 후 임의조작과 외부의 충격 및 접촉 등에 의해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개방상태 유지가 용이한 일방향 밸브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부로 돌출되면서 중앙으로 토출공이 형성되는 입구부를 구비하는 숄더부재; 상기 토출공으로부터 유체 유입시에 상기 숄더부재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토출공을 개방하도록 상기 숄더부재의 하단에서 상기 토출공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장착되는 탄성막; 및 상기 숄더부재의 상단에서 상기 토출공을 폐쇄하도록 상기 입구부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공은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장공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의 일단에는, 상기 토출공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고, 상기 토출공을 통과하여 상기 탄성막을 밀어내어 상기 토출공을 개방가능하게 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토출공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토출공으로부터 임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걸림턱이 양측으로 형성된 개방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출공의 중앙에 대응하는 상기 탄성막의 상단에는, 상기 개방돌출부의 가압시 상기 개방돌출부의 진입 길이에 추가하여 상기 탄성막이 상대적으로 크게 개방되도록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구부의 상단은, 상기 토출공으로의 상기 개방돌출부의 진입을 유도하도록 상기 토출공으로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판상형으로 이루어지고 중단이 절곡된 상태로 일단은 상기 숄더부재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캡의 타단에 결합되는 연결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출공의 길이방향 선상으로 상기 캡의 일단 및 타단이 배치되도록 상기 캡은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숄더부재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막은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된 상기 숄더부재의 상단에 대응하는 상기 숄더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개방상태 유지가 용이한 일방향 밸브에 따르면, 유체의 주입 및 배출하는 에어쿠션, 공기튜브 등의 제품에 장착하여 유체 주입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초기 조작을 통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가 주입되는 입구부를 보호하는 캡에 개방돌출부가 구비되어, 개방돌출부를 상기 입구부에 고정시켜 입구부를 개폐하는 탄성막을 항시 개방되어 내부 공기를 편리하게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개방상태 유지가 용이한 일방향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저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캡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캡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탄성막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개방상태 유지가 용이한 일방향 밸브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개방상태 유지가 용이한 일방향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저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캡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캡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탄성막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개방상태 유지가 용이한 일방향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쿠션 및 공기튜브 등과 같이 일방향으로 개방되는 밸브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임의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관 및 휴대 시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편리하게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개방상태 유지가 용이한 일방향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공기주입이 가능하고 임의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방향으로 개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시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숄더부재(10), 탄성막(20) 및 캡(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숄더부재(10)는 상부로 돌출되면서 중앙으로 토출공(12)이 형성되는 입구부(11)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막(20)은 상기 토출공(12)으로부터 유체 유입시에 상기 숄더부재(10)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토출공(12)을 개방하도록 상기 숄더부재(10)의 하단에서 상기 토출공(12)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장착된다.
상기 캡(30)은 상기 숄더부재(10)의 상단에서 상기 토출공(12)을 폐쇄하도록 상기 입구부(11)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숄더부재(10), 상기 탄성막(20) 및 상기 캡(30)의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캡(30)이 상기 토출공(12)을 통과하여 상기 탄성막(20)을 개방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토출공(12)은 상기 토출공(12)은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장공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캡(30)의 일단에는, 상기 토출공(12)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고, 상기 토출공(12)을 통과하여 상기 탄성막(20)을 밀어내어 상기 토출공(12)을 개방가능하게 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토출공(12)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토출공(12)으로부터 임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걸림턱(32)이 양측으로 형성된 개방돌출부(31)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캡(30)을 이탈시켜 상기 입구부(11)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돌출부(31)를 상기 토출공(12)에 삽입하여 상기 탄성막(20)을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캡(30)은 상기 토출공(12)의 긴 장공 형태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삽입한 후 90° 회전하여 상기 걸림턱(32)이 상기 토출공(12)에 걸려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는 교차되는 방향에서 힘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개방돌출부(31)는 상기 토출공(12)의 형상과 동일하되,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형상이 일치하는 방향으로 손쉽게 삽입하여 회전을 통해 고정할 수 있고, 과도한 힘을 가해 억지로 결합할 수 있도록 선택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숄더부재(10)의 상기 입구부(11)와 상기 캡(30)은 끼움결합, 나사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캡(30)과 상기 입구부(11)의 끼움결합은, 상기 캡의 하단에 상기 입구부(11)가 삽입되는 삽입부(33)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부(11)의 외주연에는 둘레를 감싸는 끼움돌기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삽입부(33)가 상기 입구부(11)에 삽입시 상기 끼움돌기에 의해 억지 끼움을 통해 고정되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결합은, 상기 입구부(11)의 외주연의 둘레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33)의 내주연의 둘레에는 상기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캡(30)을 회전시켜 수나사와 암나사의 결합을 통해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33)의 내부에는 고무판(34)이 형성되어 상기 입구부(11)의 상단과 밀착되어 상기 토출공(12)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숄더부재(10)의 하단에는 상기 탄성막(20)을 감싸도록 돌출된 지지체(14)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지지체(14)는 상기 탄성막(20)이 상기 숄더부재(10)의 하단에 정확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며, 에어쿠션 및 공기튜브에 결합시 상기 탄성막(20)이 외부의 간섭을 받지 않아 개방이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입구부(11)의 하단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확장된 함몰된 함몰부(13)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막(20)에는 상기 함몰부(13)와 대응되도록 돌출된 돌출부(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막(20)은 다단으로 돌출되어 내부의 공기가 임의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공기 주입시 입구가 확장되어 용이하게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공(12)의 중앙에 대응하는 상기 탄성막(20)의 상단에는, 상기 개방돌출부(31)의 가압시 상기 개방돌출부(31)의 진입 길이에 추가하여 상기 탄성막(20)이 상대적으로 크게 개방되도록 돌기(2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기(21)는 상기 개방돌출부(31)가 상기 입구부(11)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막(20)과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개방돌출부(31)를 삽입하여 상기 탄성막(20)을 개방시킬 때 상기 돌기의 돌출 높이만큼 상기 탄성막(20)이 더 크게 개방이 된다.
그리고 상기 입구부(11)의 상단은 상기 토출공(12)으로의 상기 개방돌출부(31)의 진입을 유도하도록 상기 토출공(12)으로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입구부(11)의 상단은 외주연에서 중앙부분을 향해 상기 개방돌출부(31)가 삽입되는 방향인 상부에서 상기 탄성막(20)이 위치한 하부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어 상기 개방돌출부(31)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판상형으로 이루어지고 중단이 절곡된 상태로 일단은 상기 숄더부재(10)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캡(30)의 타단에 결합되는 연결부재(40)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재(40)는 판형상으로 상기 숄더부재(10)와 상기 캡(30)에 양측 끝단이 결합되며, 판형상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숄더부재(10)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캡(30)을 자유롭게 이동 및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숄더부재(10)와 상기 연결부재(40)는 나사를 통해 결합하여 상기 연결부재(40)가 상기 숄더부재(10)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40)와 상기 숄더부재(10) 및 상기 연결부재(40)와 상기 캡(30)의 연결부분이 판형상으로 연결되어 튼튼하게 지지하고 절곡된 부분을 통해 이동 및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상기 캡(30)의 이동 및 회전의 반복적인 동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절단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공(12)의 길이방향 선상으로 상기 캡(30)의 일단 및 타단이 배치되도록 상기 캡(30)은 상기 연결부재(40)에 의해 상기 숄더부재(1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막(20)은 상기 연결부재(40)가 결합된 상기 숄더부재(10)의 상단에 대응하는 상기 숄더부재(10)의 하단에 결합된다.
즉, 상기 캡(30)은 개방돌출부(31)와 상기 연결부재(40)가 위치하는 일측과 타측방향이 상기 토출공(12)의 길이방향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재(40)도 상기 토출공(12)의 길이방향과 동일성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숄더부재(10) 및 상기 캡(30)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막(20)은 상기 숄더부재(10)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재(40)가 결합된 상기 숄더부재(10)의 상단에 대응하는 하단부분에 열융착 및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캡(30)을 기준으로 타측방향에 상기 연결부재(40)와 상기 탄성막(20)이 상기 숄더부재(10)의 상부와 하부의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되며, 일측방향에 상기 개방돌출부(31)가 위치하고 상기 탄성막(20)이 개방된다.
이때, 상기 탄성막(20)의 하부면은 상기 숄더부재(10)와 결합되는 부분에서 개방되는 부분으로 두께가 서서히 좁아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막(20)의 타측은 상기 숄더부재(10)와 결합되며 열융착 또는 나사결합이 용이하게 일정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방돌출부(31)가 의해 개방되는 일측은 타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서서히 좁아진다.
따라서, 상기 탄성막(20)을 개방시 고정된 부분을 기준으로 일측방향이 하부로 절곡되어 편리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및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숄더부재(10)의 하단에 탄성막(20)이 체결되고, 상기 캡(30)은 상기 연결부재(40)를 통해 연결한 후, 에어쿠션(100)의 공기를 주입하는 주입공(110)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주입공(110)은 상기 지지체(14)의 외주연에 밀착되며, 상기 숄더부재(10)의 하단이 상기 에어쿠션(100)의 외부면과 밀착시켜 결합한다.
따라서, 에어쿠션(100)의 주입공에 의해 상기 탄성막(20)의 개방시 간섭을 받지 않으며, 상기 숄더부재(10)의 하부면과 상기 지지체(14)의 둘레에 밀착되어 내부 공기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주입공(11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에어쿠션(100) 외에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하는 공기튜브 등에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숄더부재(10)에 상기 캡(30)을 결합하여 상기 입구부(11)를 폐쇄하고 외부의 접촉에 의해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30)의 상기 삽입부(33)의 내부 상단에는 고무판(34)을 형성하여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숄더부재(10)에 결합된 상태의 상기 캡(30)을 탈착시켜 상기 입구부(11)를 개방시킨 다음 콤프레샤 및 공기 주입기기 등을 통해 공기를 주입한다.
이때, 상기 탄성막(20)은 주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편리하게 공기를 주입되며, 상기 함몰부(13)에 의해 상기 입구부가 하부로 갈수록 확장되어 많은 양의 공기를 원활하게 주입할 수 있다.
그리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된 공기는 다음과 같이 배출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30)의 상기 개방돌출부(31)를 상기 토출공(12)의 길이방향과 일치시켜 진입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40)를 통해 상기 캡(30)은 한정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 및 회전하여 상기 토출공(12)에 삽입할 수 있으며, 상기 토출공(12)은 외주연에서 중앙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개방돌출부(31)를 상기 토출공(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를 통해 상기 개방돌출부(31)는 편리하게 상기 토출공(12)에 삽입시킨 후 상기 돌기(21)와 밀착되어 상기 탄성막(20)을 개방시킨다.
여기서 상기 탄성막(20)은 개방되는 일측의 두께가 고정된 타측보다 상대적 얇게 이루어져 상기 개방돌출부(31)의 삽입에 의해 용이하게 개방된다.
아울러, 상기 개방돌출부(31)는 상기 토출공(12)에 교차된 상태에서 힘에 의해 억지로 결합할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방돌출부(31)는 상기 토출공(12)의 길이방향에 일치시켜 삽입 후 90° 회전하여 상기 걸림턱(32)이 상기 토출공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캡(30)은 상기 입구부(11)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없이 상기 탄성막(20)을 항시 개방상태를 유지하여 공기를 완전히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와 같이 상기 캡(30)의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져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막(20)은 상기 개방돌출부(31)에 의해 개방된다.
즉, 타측은 상기 숄더부재(10)에 고정된 상태에서 탄성에 의해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확장되면서 개방이 이루어져 원활히 공기를 배출할 수 있고, 상기 개방돌출부(31)를 이탈시키면 탄성 및 내부 공기압에 의해 상기 숄더부재(10)에 밀착되어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숄더부재 11: 입구부
12: 토출공 13: 함몰부
14: 지지체 20: 탄성막
21: 돌기 22: 돌출부
30: 캡 31: 개방돌출부
32: 걸림턱 33: 삽입부
34: 고무판 40: 연결부재
41: 절개부 100: 에어쿠션
110: 주입공

Claims (5)

  1. 상부로 돌출되면서 중앙으로 토출공(12)이 형성되는 입구부(11)를 구비하는 숄더부재(10);
    상기 토출공(12)으로부터 유체 유입시에 상기 숄더부재(10)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토출공(12)을 개방하도록 상기 숄더부재(10)의 하단에서 상기 토출공(12)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장착되는 탄성막(20); 및
    상기 숄더부재(10)의 상단에서 상기 토출공(12)을 폐쇄하도록 상기 입구부(11)에 결합되는 캡(30);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공(12)은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장공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30)의 일단에는, 상기 토출공(12)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고, 상기 토출공(12)을 통과하여 상기 탄성막(20)을 밀어내어 상기 토출공(12)을 개방가능하게 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토출공(12)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토출공(12)으로부터 임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걸림턱(32)이 양측으로 형성된 개방돌출부(3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상태 유지가 용이한 일방향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공(12)의 중앙에 대응하는 상기 탄성막(20)의 상단에는, 상기 개방돌출부(31)의 가압시 상기 개방돌출부(31)의 진입 길이에 추가하여 상기 탄성막(20)이 상대적으로 크게 개방되도록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상태 유지가 용이한 일방향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11)의 상단은, 상기 토출공(12)으로 상기 개방돌출부(31)의 진입을 유도하도록 상기 토출공(12)으로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상태 유지가 용이한 일방향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판상형으로 이루어지고 중단이 절곡된 상태로 일단은 상기 숄더부재(10)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캡(30)의 타단에 결합되는 연결부재(4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상태 유지가 용이한 일방향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공(12)의 길이방향 선상으로 상기 캡(30)의 일단 및 타단이 배치되도록 상기 캡(30)은 상기 연결부재(40)에 의해 상기 숄더부재(1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막(20)은 상기 연결부재(40)가 결합된 상기 숄더부재(10)의 상단에 대응하는 상기 숄더부재(10)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상태 유지가 용이한 일방향 밸브.
KR2020170003842U 2017-07-24 2017-07-24 개방상태 유지가 용이한 일방향 밸브 KR201900002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842U KR20190000279U (ko) 2017-07-24 2017-07-24 개방상태 유지가 용이한 일방향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842U KR20190000279U (ko) 2017-07-24 2017-07-24 개방상태 유지가 용이한 일방향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279U true KR20190000279U (ko) 2019-02-01

Family

ID=65364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842U KR20190000279U (ko) 2017-07-24 2017-07-24 개방상태 유지가 용이한 일방향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27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1907A (ko) 2022-07-19 2024-01-29 이우종 우레탄 튜브 일체형 에어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1907A (ko) 2022-07-19 2024-01-29 이우종 우레탄 튜브 일체형 에어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5217B2 (en) Spuit-type container cap for automatic filling and fixed-amount dispensing
US9609936B2 (en) Cream-type cosmetic container
US8875951B2 (en) Aerosol cap and system for dispensing a fluid from a canister
EP3409610B1 (en) Water bottle with self-closing valve
BRPI0610525A2 (pt) sistema de válvula aerossol de auto-purga
US8490948B2 (en) Apparatus for flow control and shutoff
KR20070069001A (ko) 음료용기용 캡 및 음료용기
EP3898444B1 (en) Vented spout for a liquid storage container
US9532634B2 (en) Nail polish bottle
KR20180007663A (ko) 정수 필터
KR20190000279U (ko) 개방상태 유지가 용이한 일방향 밸브
US20140014660A1 (en) Fuel inlet device with a cap member for a fuel tank
BR102016005101A2 (pt) dispositivo para transferir um fluido
JP2006342958A (ja) 流体注入/排出バルブ装置
JP3655151B2 (ja) フィルタ付きホースコネクタ
JP4514692B2 (ja) 液体容器の中栓構造
US20080268990A1 (en) Toy Ball
KR200475865Y1 (ko) 가스기구 연결 어댑터
JP2018083656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収納容器
JPH11244749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KR101468504B1 (ko) 음용수병에 장착되는 캡슐장치
EP2904931A1 (en) Cream type cosmetic container
KR101628328B1 (ko) 압축 비닐팩용 공기밸브
KR20240011907A (ko) 우레탄 튜브 일체형 에어밸브
KR930004575Y1 (ko) 기체의 흡 · 배출용 캡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