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0311A - 블럭형 경사로 - Google Patents

블럭형 경사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0311A
KR20230020311A KR1020210102239A KR20210102239A KR20230020311A KR 20230020311 A KR20230020311 A KR 20230020311A KR 1020210102239 A KR1020210102239 A KR 1020210102239A KR 20210102239 A KR20210102239 A KR 20210102239A KR 20230020311 A KR20230020311 A KR 20230020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p
support
block
plate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종욱
Original Assignee
권종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종욱 filed Critical 권종욱
Priority to KR1020210102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0311A/ko
Publication of KR20230020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3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04F2011/007Ramps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면에 대한 단턱의 높이에 따라, 맞춤되는 경사각도를 가지도록 조절하도록 되어, 사용품질을 향상시키도록;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면과 단턱의 상단을 연결하는 경사로본체와;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경사로본체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된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블럭형 경사로에 있어서; 상기 경사로본체는, 넓이를 가지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며, 저면에 하단에서 상단측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고정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수단은, 바닥면에서 상부측 방향으로 높이를 가지는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고정레일과 결속되면서 지지하도록 된 결속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몸체는, 수직상으로 상단과 하단이 서로 끼움되면서 조립되는 다수의 블럭구조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블럭형 경사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블럭형 경사로{A block ramp}
본 발명은, 보도 또는 건물의 단턱에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설치되어 휠체어 또는 유모차 및 노약자 등의 통행을 보조하도록 된 경사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바닥면에 대한 단턱의 높이에 따라, 맞춤되는 경사각도를 가지도록 조절하도록 되어, 사용품질을 향상시키도록 된 경사로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생산성이 ?뗀?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있음은 물론, 설치작업이 블럭조립형태의 작업을 통해 이루어짐과 아울러, 경사각도의 선택적 조절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이 증대되는 블럭형 경사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도와 도로와의 사이에는, 보도블럭이 설치되어 구획하게 되며, 건물의 입구에는 계단 등이 설치되어 출입하도록 되어 있다.
즉, 바닥에 대하여 소정 높이를 가지는 단턱이 형성되어 공간을 구획하거나 출입구를 형성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바닥에 대하여 소정 높이를 가지는 단턱들은, 보행자(특히, 아이들이나 노인)들이 걸려 넘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휠체어 등의 보조이동장치의 운행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자에는, 상기 단턱에 보행을 보조하도록 된 다양한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상기 단턱의 최상단과 바닥면을 연결하여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보행자 및 보조이동장치(휠체어, 전동차)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된 경사로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84962호(명칭: 휠체어용 현관 습식경사로 및 그 시공방법/2015.06.16.)가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현관으로 휠체어가 출입할 수 [0009] 있도록 현관 외부 계단 일측 지면에 설치하는 휠체어용 현관 습식경사로에 있어서,현관 외부 계단 일측에 이격되게 각각 설치되며 몸체가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부면 중 전방에 위치한 상부면은 하향으로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경사면에 일정간격으로 단턱이 형성된 양측면판과, 상기 양측면판이 설치된 내부에 모래, 자갈, 시멘트, 물이 혼합된 혼합물이 채워진 콘크리트와, 상기 양측면판의 경사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단턱 상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콘크리트와 밀착되게 설치되는 상판과, 상기 양측면판의 상부면 중 후방에 위치한 상부면과 내부 콘크리트와 밀착되게 설치되는 상부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양측면판의 경사면에 단턱상부가 평행하도록 단턱이 형성되고, 단턱 상부에 각각 설치된 인접 상판들의 상부와 상부 사이가 단턱에 의해 단차져 미끄럼방지용 단턱이 형성된 휠체어용 현관 습식경사로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8-0110451호(명칭: 경사로 형성 장치/2018.09.14.)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건물입구의 계단 또는 도로와 인도 사이의 턱전방 측에 설치되어 사용시 경사로를 형성하여 구름운동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수단이 상기 계단이나 턱에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계단 또는 턱 전방 측의 지면에 상방이 개방되게 매립설치되며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개방된 상단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계단 또는 턱에 이격된 일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동수단의 이동을 위한 경사로가 형성되게 타단이 상기 계단 또는 턱의 상단에 인접하게 상향경사지게 회동되며 미사용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단 또는 상기 지면에 나란하게 위치되는 경사로형성판과, 상기 경사로형성판의 타단이 상기 계단 또는 턱의 상단에 인접하거나 상기 경사로형성판이 지면에 나란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경사로 형성판을 회동조작하는 경사로조작유닛을 구비하는 경사로 형성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0-0035382호(명칭: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조통행로/2000.12.1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단의 높이에 따라 높이조절용핸들을 이용 그 높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게 하였고, 차량이동시
몸체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고정용앵커볼트를 이용하여 바닥에 장입,고정하게끔 하였으며, 또한 단턱부위에도 단의 너비에 따라 너비조절이 자유로운 브라켓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게 하였고, 몸체경사로부분에는 차륜 및 보행자의 미끄럼방지를 위하여 미끄럼방지홈을 형성하였고, 몸체자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저면에 몸체미끄럼방지홈을 형성하고, 몸체결합용체결구멍을 이용하여 이동로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각 몸체를 연결사용 할 수 있도록 하였고, 차량이동시 충격흡수를 위하여 충격흡수용구멍을 형성하였고, 몸체저면에 이동전선의 보호 및 배수의 목적으로 배수및전선관이동로(대, 소)를 형성한 보조통행로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8-0017145호(명칭: 철도차량의 출입문 발판부재/2008.12.26.)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출입문의 하측 받침턱과 실내측 저면의 단차를 커버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되, 상면에 논슬립홈이 음각형성되는 슬로프 판넬부; 및 상기 슬로프 판넬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받침턱의 상면을 커버하되, 상부에 동일선상을 따라 출입문의 하단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간격을 가지고 배치된 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받침턱에 체결되는 커버판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슬로프 판넬부의 하측에는 상기 실내측 저면에 고정되고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슬로프 판넬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 판넬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 판넬은 상기 슬로프 판넬부의 하면에 대응되는 경사로 전면으로 면접촉되는 경사받침부와, 상기 경사받침부의 경사방향으로 상기 저면과 접촉되게 상호 상이한 길이를 갖는 지지부들과, 상기 지지부들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저면과 체결되는 저면체결부를 포함하는 출입문 발판부재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84962호(2015.06.16.)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8-0110451호(2018.09.14.)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0-0035382호(2000.12.18.)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8-0017145호(2008.12.26.)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종래의 경사로들은, 사용하고자 하는 단턱에 대하여 설치된 상태를 항상 유지하도록 됨에 따라, 시설하고자 하는 바닥면에 대하여 단턱의 높이가 상이할 경우에는, 맞춤되게 대응하지 못하여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전체구조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조가 구조적으로 불편하여 비경제적임은 물론, 단턱의 형태에 따라, 각각 맞춤되는 형태의 구조를 각각 제공해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도 또는 건물의 단턱에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설치되어 휠체어 또는 유모차 및 노약자 등의 통행을 보조하도록 된 것으로, 바닥면에 대한 단턱의 높이에 따라, 맞춤되는 경사각도를 가지도록 조절하도록 되어, 사용품질을 향상시키도록 된 블럭형 경사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생산성이 ?뗀?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작업이 블럭조립형태의 작업을 통해 이루어짐과 아울러, 경사각도의 선택적 조절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이 증대되는 블럭형 경사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블럭형 경사로는,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면과 단턱의 상단을 연결하는 경사로본체와;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경사로본체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된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블럭형 경사로에 있어서; 상기 경사로본체는, 넓이를 가지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며, 저면에 하단에서 상단측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고정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수단은, 바닥면에서 상부측 방향으로 높이를 가지는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고정레일과 결속되면서 지지하도록 된 결속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몸체는, 수직상으로 상단과 하단이 서로 끼움되면서 조립되는 다수의 블럭구조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블럭형 경사로는, 보도 또는 건물의 단턱에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설치되어 휠체어 또는 유모차 및 노약자 등의 통행을 보조함은 물론, 지지수단의 지지몸체들을 구성하는 블럭구조체들의 조립형태에 따라, 경사로본체의 경사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되어 바닥면에 대한 단턱의 높이에 따라, 맞춤되는 경사각도를 형성함으로써, 사용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지지수단이 블럭형태의 조립물로 이루어짐에 따라,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생산성이 ?뗀?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작업이 블럭조립형태의 작업을 통해 이루어짐과 아울러, 경사각도의 선택적 조절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단턱의 형태에 따라, 지지몸체를 구성하는 블럭구조체들의 조립형태를 통해 각각 맞춤되는 형태의 구조로 형성하여 각각 제공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럭형 경사로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럭형 경사로를 보인 개략 결합 사시 예시도.
도 3은 실시 예에 의한 블럭형 경사로를 보인 개략 저면 사시 예시도.
도 4 및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럭형 경사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럭형 경사로를 구성하는 지지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 및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럭형 경사로의 적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럭형 경로를 구성하는 블럭구조체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블럭형 경사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럭형 경사로(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럭형 경사로(1)는, 하측은 바닥에 지지되며 상측은 바닥으로부터 높이를 가지면서 돌출된 단턱(10)에 이웃하여 고정배치되어 상면이 바닥에서 상기 단턱(10)을 연결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에 적용된다.
즉, 바닥과 계단의 단턱(10)을 경사면으로 연결하여 휠체어 또는 유모차 및 노약자 등의 통행을 보조하는 것에 적용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럭형 경사로(1)는,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면과 단턱(10)의 상단을 연결하는 경사로본체(2)와;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경사로본체(2)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된 지지수단(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바닥에 상기 지지수단(3)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수단(3)의 상부에 상기 경사로본체(2)가 얹어지면서 상단의 상기 단턱(10)에 지지되고 하단은 바닥면에 지지되어 경사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수단(3)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바닥에 대한 단턱(10)의 높이에 맞춤되도록 상기 경사로본체(2)의 경사각도를 맞춤되게 형성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경사로본체(2)가 설치하고자 하는 보도 또는 건물 계단의 단턱(10)에 경사면을 형성되면서 설치되어 휠체어 또는 유모차 및 노약자 등의 통행을 보조하여 보행의 안정성을 구현하게 된다.
아울러, 미사용시에는, 상기 경사로본체(2)와 상기 지지수단(3)을 분리하여 경사로를 해체한 후, 해체된 상기 경사로본체(2) 및 상기 지지수단(3)을 별도로 보관하면 된다.
상기에서 경사로본체(2)는, 상면이 '판(板;PLATE)'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판재'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그 상면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럭형 경사로(1)에서, 상기 지지수단(3)은, 바닥면에서 상부측 방향으로 높이를 가지는 지지몸체(31)와; 상기 지지몸체(31)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고정레일(41)과 결속되면서 지지하는 상기 안내지지브라켓트(42)가 구비된 결속몸체(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지지수단(3)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된 상기 지지몸체(31)와 상기 경사로본체(2)와 결속되는 상기 결속몸체(32)의 조립을 통해 상기 지지수단(3)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몸체(31)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상기 지지수단(3)의 전체높이를 선택적으로 형성하게 될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 지지몸체(31)와 상기 결속몸체(32)는, '끼움결합구조'를 통해 결합조립되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지지몸체(31)와 상기 결속몸체(32)를 결합조립하는 '끼움결합구조'는, 상기 지지몸체(31)와 상기 결속몸체(32)의 각각의 결합면들에 각각 형성되는 결속돌기(33)들과 상기 결속돌기(33)들이 각각 끼움결속되는 끼움요홈(34)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결속돌기(33)들과 상기 끼움요홈(34)들이 각각 끼움결속을 통해 조립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럭형 경사로(1)에서, 상기 지지몸체(31)는, 수직상으로 상단과 하단이 서로 끼움되면서 조립되는 '끼움결합구조'가 형성된 다수의 블럭구조체(35)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다수의 상기 블럭구조체(35)들의 결합을 통해 상기 지지몸체(31)를 형성하게 됨에 따라, 조립되는 상기 블럭구조체(35)들의 갯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게 되면, 상기 지지몸체(31)의 전체 높이를 선택적으로 형성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경사로본체(2)의 경사각도를 시설되는 단턱(10)에 따라 맞춤되는 경사각도를 각각 선택적으로 형성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럭형 경사로(1)에서, 상기 경사로본체(2)는, 넓이를 가지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며, 저면에 하단에서 상단측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고정레일(41)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수단(3)의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고정레일(41)과 수용되면서 결속되어 지지하도록 된 안내지지브라켓트(4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지지브라켓트(42)가 상기 가이드고정레일(41)을 수용하면서 지지하게 됨은 물론, 상기 경사로본체(2)의 저면에서 상기 지지수단(3)의 배치위치에 따라, 상기 가이드고정레일(41) 상에서 안내되면서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경사로본체(2)에 대한 상기 지지수단(3)의 지지하는 지점에 따라 상기 경사로본체(2)의 경사각도가 형성됨으로써, 시설되는 단턱(10)에 따라 맞춤되는 경사각도를 각각 선택적으로 형성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치작업 및 사용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 경사로본체(2)는, 다수의 '조립판재'들이 상기 가이드고정레일(41)을 통해 연속적으로 고정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경사로본체(2)가 다수의 '조립판재'들과 상기 가이드고정레일(41)의 조립을 통해 형성되도록 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설치하고자 하는 단턱(10)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맞춤되는 크기(넓이)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안내지지브라켓트(42)는, 상기 결속몸체(32)의 상면에 고정되며 서로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고정레일(41)이 수용되는 간격을 형성하면서 배치되는 한 쌍의 'L' 형상으로 절곡된 프레임구조체들이 '┛┗' 형상으로 각각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럭형 경사로(1)에서, 상기 지지수단(3)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적층되면서 배치되며 상면에 상기 지지몸체(31)의 저면이 끼움결속되는 다수의 '끼움결합구조'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3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6)의 상부에 상기 지지몸체(31)가 결속고정되면서 배치되도록 됨에 따라, 바닥면에 대한 마찰력을 증대시켜, 상부에서 인가되는 하중에 의해 상기 지지수단(3)이 무단으로 밀리거나 구조적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럭형 경사로(1)에서, 상기 지지수단(3)을 구성하는 상기 결속몸체(32)와 상기 지지몸체(31)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6)는, '레고형태의 블럭구조'에 의한 '끼움결합구조'를 통해 조립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수단(3)이 사용자에 의한 레고조립작업을 통해 형성되어, 제조가 용이하여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작업현장에서의 작업이 간편하여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럭형 경사로(1)에서, 상기 지지몸체(31)를 구성하는 '블럭구조체'(35)는, 도 9 내지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끼움요홈(34)들이 형성된 '(板;plate)'형상의 지지하부판(351)과; 상기 지지하부판(351)의 상부에 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되며 상면에 상기 끼움요홈(34)들이 맞춤되면서 끼움결속되는 상기 결속돌기(33)들이 형성된 '판(板;plate)'형상의 지지상부판(352)과; 하단은 상기 지지하부판(351)에 결속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지지상부판(352)에 결속고정되는 'ㄷ'형상의 '절곡판체'로 이루어지는 지지탄성판(353)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지지탄성판(353)들이 상기 지지하부판(351)과 상기 지지상부판(352)의 사이에서 탄성지지하도록 되어, 상부에서 인가되는 하중에 대하여 탄성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에서 인가되는 하중이 안정적으로 상쇄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더욱 확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럭형 경사로(1)에서, 상기 결속몸체(32)를 구성하는 '블럭구조체'(35)는, 저면에 상기 지지몸체(31)를 구성하는 상기 지지상부판(352)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돌기(33)들에 맞춤되면서 끼움결합되는 상기 끼움요홈(34)들이 형성된 '(板;plate)'형상의 결속하부판(354)과; 상기 결속하부판(354)의 상부에 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되며 상면에 상기 안내지지브라켓트(42)들이 구비된 '판(板;plate)'형상의 결속상부판(355)과; 하단은 상기 결속하부판(354)에 결속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결속상부판(355)에 결속고정되는 'ㄷ'형상의 '절곡판체'로 이루어지는 결속탄성판(356)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결속탄성판(356)들이 상기 결속하부판(354)과 상기 결속상부판(355)의 사이에서 탄성지지하도록 되어, 상부에서 인가되는 하중에 대하여 탄성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에서 인가되는 하중이 안정적으로 상쇄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더욱 확보될 수 있다.
상기에서 지지탄성판(353) 및 상기 결속탄성판(356)은, '금속재질의 밴드형상의 판재'가 'ㄷ'형상으로 절곡형성되어, 구조적으로 탄성력을 형성하도록 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지지탄성판(353) 및 상기 결속탄성판(356)들은, 각각의 상단 및 하단이 각각 결속되는 각각의 상기 지지하부판(351)과 상기 지지상부판(352) 및 상기 결속하부판(354)과 상기 결속상부판(355)들에 각각 억지끼움결속되어 결합되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지지하부판(351)과 상기 지지상부판(352) 및 상기 결속하부판(354)과 상기 결속상부판(355)들에는, 상기 지지탄성판(353) 및 상기 결속탄성판(356)의 각각의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억지끼움결속되는 결속고리(357)들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결속고리(357)들에 상기 지지탄성판(353) 및 상기 결속탄성판(356)의 각각의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억지끼움결속되어, 상기 결속몸체(32) 및 상기 지지몸체(31)를 각각 구성하는 '블럭구조체'(35)를 각각 형성하게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럭형 경사로(1)는, 상기 지지수단(3)의 상기 지지몸체(31)들을 구성하는 '블럭구조체'(35)의 조립형태에 따라, 상기 지지수단(3)의 전체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경사로본체(2)의 경사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블럭형 경사로 10 : 단턱
2 : 경사로본체
3 : 지지수단 31 : 지지몸체
32 : 결속몸체 33 : 결속돌기
34 : 끼움요홈 35 : 블럭구조체
351 : 지지하부판 352 : 지지상부판
353 : 지지탄성판 354 : 결속하부판
355 : 결속상부판 356 : 결속탄성판
357 : 결속고리 36 : 베이스플레이트
41 : 가이드고정레일 42 : 안내지지브라켓트

Claims (1)

  1.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면과 단턱의 상단을 연결하는 경사로본체와;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경사로본체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된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블럭형 경사로에 있어서;
    상기 경사로본체는,
    넓이를 가지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며, 저면에 하단에서 상단측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고정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수단은,
    바닥면에서 상부측 방향으로 높이를 가지는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고정레일과 결속되면서 지지하도록 된 결속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몸체는,
    수직상으로 상단과 하단이 서로 끼움되면서 조립되는 다수의 블럭구조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형 경사로.
KR1020210102239A 2021-08-03 2021-08-03 블럭형 경사로 KR202300203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239A KR20230020311A (ko) 2021-08-03 2021-08-03 블럭형 경사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239A KR20230020311A (ko) 2021-08-03 2021-08-03 블럭형 경사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311A true KR20230020311A (ko) 2023-02-10

Family

ID=85223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239A KR20230020311A (ko) 2021-08-03 2021-08-03 블럭형 경사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031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4962A (ko) 2012-11-13 2015-07-22 인비스타 테크놀러지스 에스.에이 알.엘. 반응 사출 성형에 의한 폴리우레탄 발포체
KR20180110451A (ko) 2017-03-29 2018-10-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4962A (ko) 2012-11-13 2015-07-22 인비스타 테크놀러지스 에스.에이 알.엘. 반응 사출 성형에 의한 폴리우레탄 발포체
KR20180110451A (ko) 2017-03-29 2018-10-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202B1 (ko) 교량 확장 인도
KR101271446B1 (ko) 교량용 가설 인도교 설치에서의 신축력 흡수와 접합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 플레이트 구조물
KR101534833B1 (ko) 통행로 폭이 증가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US6539678B1 (en) Vehicle service bay
JP2013047453A (ja) 歩道橋
KR100960725B1 (ko) 도로의 경사면에 설치되어지는 자전거 및 보행자 전용도로
KR101295823B1 (ko)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552276B1 (ko) 도로용 보도의 침하방지구조
KR20230020311A (ko) 블럭형 경사로
KR101457633B1 (ko) 높낮이 조절 및 경사로에 대응되는 틸팅기능을 갖는 보도용 난간
KR20180070002A (ko) 경사로 가변 계단
KR102634990B1 (ko) 가변형 경사로
KR200496563Y1 (ko) 경사로
KR102658727B1 (ko)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KR102569882B1 (ko) 접이식 경사로
JP4348158B2 (ja) 吊り足場
KR101753245B1 (ko) 도로면 가장자리용 인도교의 관절형 하부 구조물 및 시공방법
KR20220161707A (ko) 광고기능을 가지는 경사로
EP1355020A2 (en) Self-supported modular vehicle parking structure
KR101757427B1 (ko) 강관을 이용한 친환경 켄틸레버 인도교 및 그 인도교의 형성 방법
KR200201249Y1 (ko) 조립식경사로장치
KR200495803Y1 (ko) 조립식 울타리
KR200278119Y1 (ko) 육교 양쪽 경사면 하부에 경제활동을 위한 공간인 상가를갖는 육교
CN213869058U (zh) 一种旧楼楼梯改造加装电梯平层入户结构
KR200212303Y1 (ko) 차도용 회전식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