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563Y1 - 경사로 - Google Patents

경사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563Y1
KR200496563Y1 KR2020220003017U KR20220003017U KR200496563Y1 KR 200496563 Y1 KR200496563 Y1 KR 200496563Y1 KR 2020220003017 U KR2020220003017 U KR 2020220003017U KR 20220003017 U KR20220003017 U KR 20220003017U KR 200496563 Y1 KR200496563 Y1 KR 2004965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inclined body
support member
ramp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30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231U (ko
Inventor
권우희
Original Assignee
권우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우희 filed Critical 권우희
Priority to KR20202200030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563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2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2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5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5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04F2011/007Ramps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설치하고자 하는 턱의 높이에 따라 적합하게 높이를 조절하여 설치하도록;
일측단부가 바닥으로부터 높이를 가지면서 돌출된 단턱에 이웃하여 배치되고 상면이 상기 단턱의 상단에서 바닥면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된 경사본체와; 상기 경사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단턱과 근접되는 상기 경사본체의 일부위를 바닥면에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경사본체의 최상단과 상기 단턱의 상단에 적합하게 선택하도록 된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사로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하단이 바닥면에 대하여 밀착지지하도록 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 부위를 상기 경사본체에서 높이를 조절하도록 된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경사본체에 배치되는 너트관과;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너트관에 대하여 나사결합되어 나사회전운동시 상기 너트관의 수직상 높이를 조절하도록 된 조절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사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경사로{runway}
본 고안은, 보도 또는 건물의 턱에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설치되어 휠체어 또는 유모차 및 노약자 등의 통행을 보조하도록 된 경사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설치하고자 하는 턱의 높이에 따라 적합하게 높이를 조절하여 설치하도록 됨에 따라, 사용품질이 향상된 경사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도에는 도로와 구분하도록 보도블럭이 설치되며, 건물의 입구에는 계단 등이 설치되어 출입하도록 되어 있다.
즉, 바닥에 대하여 소정 높이를 가지는 단턱이 형성되어 공간을 구획하거나 출입구를 형성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바닥에 대하여 소정 높이를 가지는 단턱들은, 보행자(특히, 아이들이나 노인)들이 걸려 넘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휠체어 등의 보조이동장치장치의 운행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자에는, 상기 단턱에 보행을 보조하도록 된 다양한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상기 단턱의 최상단과 바닥면을 연결하여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보행자 및 보조이동장치(휠체어, 전동차)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된 경사로들이 제안되고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84962호(명칭: 휠체어용 현관 습식경사로 및 그 시공방법/2015.06.16.)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현관으로 휠체어가 출입할 수 [0009] 있도록 현관 외부 계단 일측 지면에 설치하는 휠체어용 현관 습식경사로에 있어서,현관 외부 계단 일측에 이격되게 각각 설치되며 몸체가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부면 중 전방에 위치한 상부면은 하향으로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경사면에 일정간격으로 단턱이 형성된 양측면판과, 상기 양측면판이 설치된 내부에 모래, 자갈, 시멘트, 물이 혼합된 혼합물이 채워진 콘크리트와, 상기 양측면판의 경사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단턱 상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콘크리트와 밀착되게 설치되는 상판과, 상기 양측면판의 상부면 중 후방에 위치한 상부면과 내부 콘크리트와 밀착되게 설치되는 상부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양측면판의 경사면에 단턱상부가 평행하도록 단턱이 형성되고, 단턱 상부에 각각 설치된 인접 상판들의 상부와 상부 사이가 단턱에 의해 단차져 미끄럼방지용 단턱이 형성된 휠체어용 현관 습식경사로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8-0110451호(명칭: 경사로 형성 장치/2018.09.14.)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건물입구의 계단 또는 도로와 인도 사이의 턱전방 측에 설치되어 사용시 경사로를 형성하여 구름운동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수단이 상기 계단이나 턱에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계단 또는 턱 전방 측의 지면에 상방이 개방되게 매립설치되며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개방된 상단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계단 또는 턱에 이격된 일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동수단의 이동을 위한 경사로가 형성되게 타단이 상기 계단 또는 턱의 상단에 인접하게 상향경사지게 회동되며 미사용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단 또는 상기 지면에 나란하게 위치되는 경사로형성판과, 상기 경사로형성판의 타단이 상기 계단 또는 턱의 상단에 인접하거나 상기 경사로형성판이 지면에 나란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경사로 형성판을 회동조작하는 경사로조작유닛을 구비하는 경사로 형성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0-0035382호(명칭: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조통행로/2000.12.1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단의 높이에 따라 높이조절용핸들을 이용 그 높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게 하였고, 차량이동시
몸체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고정용앵커볼트를 이용하여 바닥에 장입,고정하게끔 하였으며, 또한 단턱부위에도 단의 너비에 따라 너비조절이 자유로운 브라켓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게 하였고, 몸체경사로부분에는 차륜 및 보행자의 미끄럼방지를 위하여 미끄럼방지홈을 형성하였고, 몸체자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저면에 몸체미끄럼방지홈을 형성하고, 몸체결합용체결구멍을 이용하여 이동로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각 몸체를 연결사용 할 수 있도록 하였고, 차량이동시 충격흡수를 위하여 충격흡수용구멍을 형성하였고, 몸체저면에 이동전선의 보호 및 배수의 목적으로 배수및전선관이동로(대, 소)를 형성한 보조통행로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8-0017145호(명칭: 철도차량의 출입문 발판부재/2008.12.26.)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출입문의 하측 받침턱과 실내측 저면의 단차를 커버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되, 상면에 논슬립홈이 음각형성되는 슬로프 판넬부; 및 상기 슬로프 판넬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받침턱의 상면을 커버하되, 상부에 동일선상을 따라 출입문의 하단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간격을 가지고 배치된 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받침턱에 체결되는 커버판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슬로프 판넬부의 하측에는 상기 실내측 저면에 고정되고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슬로프 판넬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 판넬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 판넬은 상기 슬로프 판넬부의 하면에 대응되는 경사로 전면으로 면접촉되는 경사받침부와, 상기 경사받침부의 경사방향으로 상기 저면과 접촉되게 상호 상이한 길이를 갖는 지지부들과, 상기 지지부들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저면과 체결되는 저면체결부를 포함하는 출입문 발판부재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84962호(2015.06.16.)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8-0110451호(2018.09.14.)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0-0035382호(2000.12.18.)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8-0017145호(2008.12.26.)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경사로들은,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짐은 물론, 보관 및 운반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을러, 설치하고자 하는 턱의 높이에 따라 적합하게 높이를 조절하여 설치하지 못함에 따라, 사용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대량생산에 적합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조립 및 분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져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특히, 설치하고자 하는 턱의 높이에 따라 적합하게 높이를 조절하여 설치하도록 됨에 따라, 사용품질이 향상됨과 아울러, 작업성이 향상되어 사용효율이 극대화되도록 된 경사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경사로는, 일측단부가 바닥으로부터 높이를 가지면서 돌출된 단턱에 이웃하여 배치되고 상면이 상기 단턱의 상단에서 바닥면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된 경사본체와; 상기 경사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단턱과 근접되는 상기 경사본체의 일부위를 바닥면에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경사본체의 최상단과 상기 단턱의 상단에 적합하게 선택하도록 된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사로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하단이 바닥면에 대하여 밀착지지하도록 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 부위를 상기 경사본체에서 높이를 조절하도록 된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경사본체에 배치되는 너트관과;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너트관에 대하여 나사결합되어 나사회전운동시 상기 너트관의 수직상 높이를 조절하도록 된 조절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경사로는, 그 구조가 단순하여 대량생산에 적합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설치하고자 하는 단턱의 높이에 따라, 높이조절수단을 통해 적합한 높이를 가지도록 조절하여 설치하도록 됨에 따라, 사용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경사로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경사로를 구성하는 높이조절수단의 일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경사로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경사로를 구성하는 높이조절수단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경사로를 구성하는 높이조절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경사로를 구성하는 높이조절수단의 또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경사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경사로(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경사로(1)는, 일측단부가 바닥으로부터 높이를 가지면서 돌출된 단턱(10)에 이웃하여 배치되고 상면이 상기 단턱(10)의 상단에서 바닥면(100)으로 경사면(21)을 형성하도록 된 경사본체(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경사본체(2)가 상기 단턱(10)의 최상단과 바닥면을 연결하면서 보행면(상면)을 경사면(21)으로 형성함으로써, 보행자 및 휠체어 등과 같은 보조이동장치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하게 된다.
상기에서 경사본체(2)는, 상기 단턱(10)과 접하는 면의 최상단을 꼭지점으로 하며 상기 단턱(10)과 접하는 면을 직선수직면으로 하고 상면을 경사면(21)으로 하는 단면형상이 '직삼각형' 형상으로 가지는 '성형구조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금속'을 재질로 하여 상기 단턱(10)과 접하는 면의 최상단을 꼭지점으로 하며 상기 단턱(10)과 접하는 면을 직선수직면으로 하고 상면을 경사면으로 하는 절곡형성된 '프레임구조체'로 이루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구조가 단순하여 대량생산에 적합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경사로(1)는, 상기 경사본체(2)에 구비되며 상기 단턱(10)과 근접되는 상기 경사본체(2)의 일부위를 바닥면에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경사본체(2)의 최상단과 상기 단턱(10)의 상단에 적합하게 선택하도록 된 높이조절수단(3);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설치하고자 하는 단턱(10)의 바닥면(100)에 대한 높이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수단(3)을 통해 상기 경사본체(2)의 일부위의 높이를 적합한 높이를 가지도록 조절하여 설치하도록 되어, 상기 단턱(10)과 상기 경사본체(2)의 상단의 높이를 일치하도록 됨에 따라, 사용품질이 향상된다.
상기에서 높이조절수단(3)은, 상기 경사본체(2)에서 상기 직선수직면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단의 꼭지점과 상기 단턱(10)의 높이를 일치시켜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수단(3)은, 상기 경사본체(2)에서 상기 직선수직면과 근접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경사로(1)에서, 상기 높이조절수단(3)은, 하단이 바닥면(100)에 대하여 밀착지지하도록 된 지지부재(31)와; 상기 지지부재(31)의 일 부위를 상기 경사본체(2)에서 높이를 조절하도록 된 조절부재(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경사본체(2)상에서 상기 지지부재(31)의 하단이 바닥면(100)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부재(32)를 통해 상기 지지부재(31)의 일 부위에 대하여 상기 경사본체(2)에서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바닥면(100)에 대하여 상기 경사본체(2)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턱(10)에 대하여 상기 직선수직면의 높이가 작더라도, 이를 조절하여 상기 경사면(21)의 상단 꼭지점과 이와 접하는 상기 단턱(10)의 상단의 높이를 일치시켜 보행자 및 휠체어 등과 같은 보조이동장치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경사로(1)에서, 상기 조절부재(32)는, 상기 경사본체(2)에 배치되는 너트관(321)과;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되며 상기 너트관(321)에 대하여 나사결합되어 나사회전운동시 상기 너트관(321)의 수직상 높이를 조절하도록 된 조절나사(3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너트관(321)에 대하여 상기 조절나사(322)를 나사회전시켜 상기 너트관(321)과 상기 지지부재(31)의 하단과의 사이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바닥면(100)에 대하여 상기 너트관(321)의 위치가 가변되어 그 높이가 조절되어, 상기 너트관(321)이 배치되는 상기 경사본체(2)의 높이가 조절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면(21)의 상단 꼭지점과 이와 접하는 상기 단턱(10)의 상단의 높이가 일치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경사로(1)에서, 상기 지지부재(31)는, 하단이 바닥면(100)에 접하며 상부에 상기 조절나사(322)가 공회전가능하게 결속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조절나사(322)가 상기 지지부재(31)상에서 공회전하면서 상기 너트관(321)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작업자가 상기 조절나사(322)를 나사회전시키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상기 경사본체(2)의 높이를 조절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경사로(1)에서, 상기 지지부재(31)는, 바닥면(100)에 면접하는 저면을 가지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베이스플레이트(31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11)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조절나사(322)가 공되전가능하게 결속되는 결속체(3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11)가 바닥면(100)에 면접촉되면서 지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조절나사(322)가 상기 결속체(312)에서 공회전하면서 상기 너트관(321)에 나사결합하면서 나사운동하게 되어, 상기 너트관(321)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경사본체(2)의 높이를 조절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조절나사(322)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개구를 가지면서 상기 결속체(312)의 상단이 공회전가능하게 끼움결속하도록 되는 결속홈(3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속체(312)는 수직상 길이를 가지는 '직선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속홈(323)은, 상기 결속체(312)가 내부에 맞춤되게 수용되면서 결속되는 깊이를 가지는 '직선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결속체(312)는, 도 6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救;ball)' 형상의 '구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속홈(323)은, 상기 결속체(312)가 끼움결속하여 '고관절(股關節;coxa)' 구조를 형성하면서 결속되어, 상기 지지부재(31)에 상기 조절나사(322)가 관절운동가능하게 결속됨에 따라, 바닥면(100)이 경사진 면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지지부재(31)의 베이스플레이트(311)가 상기 조절나사(322)에 대하여 관절운동하여 바닥면과 맞춤되면서 면접촉이 이루어져,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경사로(1)에서, 상기 경사본체(2)에는, 상부에서 상기 조절나사(322)의 상단을 잡고 나사운동시키도록 관통형성된 작업공(2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작업공(22) 상에서 상기 조절나사(322)의 상단이 위치되어, 작업자가 상기 경사본체(2)의 상부에서 별도의 작업도구(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공(22) 상에서 상기 조절나사(322)의 상단을 나사운동시키어 높이를 조절하게 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경사로(1)는, 상기 작업공(22)을 외부에 대하여 밀폐하도록 상기 작업공(22)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된 덮개(2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덮개(23)를 통해 외부에서 이물질이 상기 작업공(22)에 집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경사로(1)에서, 상기 높이조절수단(3)은, 상기 너트관(321)의 너트공이 맞춤되게 배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고정부(331)와; 상기 고정부(331)의 양측단에서 절곡형성되는 탄성부(332)들과; 각각의 상기 탄성부(332)들의 단부에서 절곡형성되며 상기 경사본체(2)에 체결되는 체결부(333)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탄성부(332)의 양단 절곡부들의 절곡구조를 통해 탄성력을 형성하도록 된 고정부재(3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경사본체(2)에 상기 체결부(333)들을 통해 결합되는 상기 고정부재(33)의 상기 고정부(331)에 상기 너트관(321)이 결합되어 상기 경사본체(2)상에서 상기 너트관(321)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경사본체(2)의 상부에서 인가되는 하중이 상기 높이조절수단(3)으로 유입되는 중에, 상기 탄성부(332)를 통해 탄성적으로 상쇄하여 상기 너트관(321)과 상기 조절나사(322)의 결합부위로 인가되는 충격하중을 줄임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에서 고정부재(33)는, 길이를 가지는 금속판재가 단면상 '
Figure 112022139596371-utm00001
' 형상으로 절곡성형된 '성형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8 및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들이 단면상 '반원' 형상의 곡선형상으로 이루어져, 구조적 탄성력을 구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경사로 10 : 단턱
100 : 바닥면
2 : 경사본체 21 : 경사면
22 : 작업공 23 : 덮개
3 : 높이조절수단 31 : 지지부재
311 : 베이스플레이트 312 : 결속체
32 : 조절부재 321 : 너트관
322 : 조절나사 323 : 결속홈
33 : 고정부재 331 : 고정부
332 : 탄성부 333 : 체결부

Claims (1)

  1. 일측단부가 바닥으로부터 높이를 가지면서 돌출된 단턱(10)에 이웃하여 배치되고 상면이 상기 단턱(10)의 상단에서 바닥면(100)으로 경사면(21)을 형성하도록 된 경사본체(2)와; 상기 경사본체(2)에 구비되며 상기 단턱(10)과 근접되는 상기 경사본체(2)의 일부위를 바닥면(100)에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경사본체(2)의 최상단과 상기 단턱(10)의 상단에 적합하게 선택하도록 하단이 바닥면(100)에 대하여 밀착지지하도록 된 지지부재(31)와, 상기 지지부재(31)의 일 부위를 상기 경사본체(2)에서 높이를 조절하도록 된 조절부재(32)를 구비하는 높이조절수단(3);을 포함하되;
    상기 조절부재(32)는, 상기 경사본체(2)에 배치되는 너트관(321)과,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되며 상기 너트관(321)에 대하여 나사결합되어 나사회전운동시 상기 너트관(321)의 수직상 높이를 조절하도록 된 조절나사(322)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31)는, 하단이 바닥면(100)에 접하며 상부에 상기 조절나사(322)가 공회전가능하게 결속되며;
    상기 지지부재(31)는, 바닥면(100)에 면접하는 저면을 가지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베이스플레이트(31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11)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조절나사(322)가 공되전가능하게 결속되는 결속체(312)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나사(322)는, 저면에 개구를 가지면서 상기 결속체(312)의 상단이 공회전가능하게 끼움결속하도록 되는 결속홈(323)이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3)은, 상기 너트관(321)의 너트공이 맞춤되게 배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고정부(331)와, 상기 고정부(331)의 양측단에서 절곡형성되는 탄성부(332)들과, 각각의 상기 탄성부(332)들의 단부에서 절곡형성되며 상기 경사본체(2)에 체결되는 체결부(333)들을 구비하여, 상기 탄성부(332)의 양단 절곡부들의 절곡구조를 통해 탄성력을 형성하도록 된 고정부재(33);를 포함하는 경사로(1)에 있어서;
    상기 결속체(312)는,
    '구(救;ball)' 형상의 '구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속홈(323)은,
    상기 결속체(312)가 끼움결속하여 '고관절(股關節;coxa)' 구조를 형성하면서 결속되고;
    상기 고정부재(33)는,
    상기 탄성부들이 단면상 '반원' 형상의 곡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
KR2020220003017U 2020-07-28 2022-12-26 경사로 KR2004965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3017U KR200496563Y1 (ko) 2020-07-28 2022-12-26 경사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805A KR20220014124A (ko) 2020-07-28 2020-07-28 경사로
KR2020220003017U KR200496563Y1 (ko) 2020-07-28 2022-12-26 경사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805A Division KR20220014124A (ko) 2020-07-28 2020-07-28 경사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231U KR20230000231U (ko) 2023-01-30
KR200496563Y1 true KR200496563Y1 (ko) 2023-02-27

Family

ID=802680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805A KR20220014124A (ko) 2020-07-28 2020-07-28 경사로
KR2020220003017U KR200496563Y1 (ko) 2020-07-28 2022-12-26 경사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805A KR20220014124A (ko) 2020-07-28 2020-07-28 경사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1412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2207A (ja) * 2001-07-30 2003-02-13 Yoshihiro Shiotani 衝撃吸収体
JP2003213899A (ja) * 2002-01-25 2003-07-30 Sanyo Industries Ltd 傾斜床用支持脚及びこれを用いた傾斜床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00245B2 (ja) 1998-11-11 2008-12-24 株式会社フジキン 流体継手
KR100850033B1 (ko) 2006-08-21 2008-08-05 변강익 유기물 처리 장치
BR112015010970B1 (pt) 2012-11-13 2021-06-01 Invista Technologies S.À.R.L. Método para a preparação de um artigo modelado de espuma de poliuretano e artigos modelados de espuma de poliuretano
KR102340275B1 (ko) 2017-03-29 2021-1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2207A (ja) * 2001-07-30 2003-02-13 Yoshihiro Shiotani 衝撃吸収体
JP2003213899A (ja) * 2002-01-25 2003-07-30 Sanyo Industries Ltd 傾斜床用支持脚及びこれを用いた傾斜床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124A (ko) 2022-02-04
KR20230000231U (ko) 202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293B1 (ko) 높이와 너비조정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대
KR101349948B1 (ko) 가설 인도교
KR101271446B1 (ko) 교량용 가설 인도교 설치에서의 신축력 흡수와 접합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 플레이트 구조물
KR101615320B1 (ko) 시공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인도교
KR100960725B1 (ko) 도로의 경사면에 설치되어지는 자전거 및 보행자 전용도로
KR200496563Y1 (ko) 경사로
KR101295823B1 (ko)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US6979145B2 (en) Driveway gutter having flexible filler mat
KR20180070002A (ko) 경사로 가변 계단
RU12491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арковки автомобиля
KR101753245B1 (ko) 도로면 가장자리용 인도교의 관절형 하부 구조물 및 시공방법
KR102569882B1 (ko) 접이식 경사로
KR20230020311A (ko) 블럭형 경사로
KR20230009238A (ko) 가변형 경사로
KR20220161707A (ko) 광고기능을 가지는 경사로
JP4348158B2 (ja) 吊り足場
KR200486239Y1 (ko) 항타형 확장 인도교
JP3295483B2 (ja) 車止め支柱の支持装置
KR20090081600A (ko) 완충용 롤러가 설치된 가이드레일
KR101008975B1 (ko) 가설인도
CN218932828U (zh) 一种人行天桥钢结构焊接主体
CN214396587U (zh) 一种道路建筑施工用整平机械
CA2860268A1 (en) Noise reduction device
KR100394197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조통행로
CN220867974U (zh) 一种施工防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