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727B1 -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 Google Patents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727B1
KR102658727B1 KR1020220021646A KR20220021646A KR102658727B1 KR 102658727 B1 KR102658727 B1 KR 102658727B1 KR 1020220021646 A KR1020220021646 A KR 1020220021646A KR 20220021646 A KR20220021646 A KR 20220021646A KR 102658727 B1 KR102658727 B1 KR 102658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support
guardrail
road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4382A (ko
Inventor
김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세연이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세연이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세연이앤에스
Priority to KR1020220021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727B1/ko
Publication of KR20230124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23Details of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6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fastening to safety barri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드레일에 설치되어 도로의 내외측에서 유지보수 작업시 레일을 쉽고 편리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하는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가드레일의 지주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수단과, 그 고정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판을 안내하는 발판안내부가 형성된 발판지지대와, 그 발판안내부에 설치되어 도로변에 설치된 가드레일을 중심으로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발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Road Foothold Support Structure For Guardrail}
본 발명은 도로 가드레일에 설치되어 도로의 내/외 측에서 유지보수작업을 하는 경우나, 차량 사고 등으로 인해 운전자를 포함한 사용자가 대피하고자 하는 경우에 레일을 용이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하는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로 안전용 가드레일은 적정 간격으로 지면에 직립되게 하단부가 매설되는 지주와, 그 지주들 간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차단막 기능을 갖는 플레이트 또는 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진 레일로 이루어진 것이 통상적이다.
그런데, 종래의 도로 안전용 가드레일은 도로 구조물 유지보수나 교통사고 등 피치못할 사정으로 도로의 내측에서 가드레일을 건너 보도 내지는 도로 외측으로 이동하여야 할 경우에는 레일을 넘어가야 하는데, 통상 가드레일은 상당한 높이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도로 안전 가드가 설치되지 않는 곳을 돌아서 나오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해당 자리에서 월담하는 경우에는 레일의 상단부가 작업자나 사용자의 낭심부위와 부딪히거나 하체 일부가 부딪혀 중심을 잃어버린 상태에서 얼굴을 노면에 부딪히는 등의 안전사고 위험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가드레일을 분할하여 통로를 형성하는 방법, 별도의 발판을 휴대하는 방법, 가드레일에 일체로 발판구조를 형성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가드레일을 분할할 경우에는 가드레일 본연의 기능인 차량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기능이 저해될 우려가 있음은 물론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고, 발판을 휴대하는 경우에는 번거롭고 불편함이 있음은 물론 유지 보수 작업자를 제외한 일반인이 휴대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발판구조를 가드레일에 일체로 형성시킬 경우에는 주행중인 도로상으로 발판이 노출되어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상시적으로 가드레일을 설치하면서도 미사용시에는 발판을 가드레일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예로서 실용신안등록 제0483718호, 제0370180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0483718호는 발판을 상하방향으로 회동동작되게 구비하여 사용시에는 하방으로 회동시켜 사용하고, 미사용시에는 상방으로 다지 접어놓도록 한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발판을 지지하는 수단이 축이나 래칫에 불과함은 물론 발판의 하부에 별도의 지지수단 없이 일부분만이 연결되어 지지되고 있는 구조임에 따라 사람이 발판을 딛고 올라설 경우 하중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상당한 유지관리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0370180호는 가드레일의 레일에 지지축과 브라켓을 이용하여 발판을 설치한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레일에 장착하는 구조임에 따라 작업자가 발판을 딛고 올라설 경우에 그 하중으로 인해 레일의 휨 현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고, 또한 단순히 상부브라켓과 하부브라켓이 지지축을 매개로 서로 연결된 상태에 불과함에 따라 지지력이 약해 발판이 쉽게 흔들릴 가능성이 높으며, 이 경우에 자칫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기술은 브라켓과 지지축으로 쉽게 장착할 수는 있을지 모르나, 견고한 결합이 어려워 흔들림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고, 1단 레일의 경우는 장착하여 사용할 수는 있으나 2단 이상의 레일의 경우 특히 3단 레일의 경우에는 지주의 앞뒤로 이중으로 레일이 설치됨에 따라 레일에 설치하기가 쉽지 않고, 설치하였다고 하더라도 불안정하여 레일을 넘어가는데 자칫 안전사고의 발생위험이 있으며, 반대쪽에 별도의 발판이 구비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뛰어내려야 함에 따라 안전사고 위험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0180호(공고일: 2004.12.0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3718호(공고일: 2017.06.09)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5278호(공고일: 2006.04.2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드레일의 지주에 고정된 고정수단에 발판지지대를 면 접촉되게 설치함으로써 지지력을 상승시켜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수직지지대를 구비한 경우에는 발판지지대의 결합이 용이하여 가드레일의 레일 개수 및 가드레일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은 채로 설치할 수 있어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가드레일(10)의 지주(11)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수단(20)과, 그 고정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판(40)을 안내하는 발판안내부가 형성된 발판지지대(30)와, 상기 발판안내부에 설치되어 도로변에 설치된 가드레일을 중심으로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발판(40)으로 구성된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을 형성하되,
상기 고정수단(20)은, 상기 지주(11)를 감싸며 고정하는 한 쌍의 플랜지(21)로써, 상기 플랜지는 내부가 상기 지주의 외주면 굴곡각도와 동일한 굴곡각도를 갖는 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 측의 플랜지는 상기 발판지지대의 결합을 위해 평평하게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서로 체결되도록 날개 편(22)이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은, 가드레일에 발판이 설치됨으로써 작업 중 레일을 넘어가고자 할 경우에 발판을 이용하여 도로의 내외측에서 쉽고 편리하게 레일을 넘어갈 수 있게 되고, 종래 불안정한 발판지지구조를 개선하여 지지력을 높여줌으로써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중에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수직지지대를 구비한 경우에는 가드레일의 레일 개수 및 가드레일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은 채로 발판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설치된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에 결합된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의 단면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에서 발판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을 인입시켜 놓은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이 2단으로 된 가드레일에 발판구조물을 설치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이 3단으로 된 가드레일에 사용하는 발판구조물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3단 이중구조로 된 가드레일에 발판구조물을 설치한 상태도,
도 8은 도 7의 반대쪽에서 바라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회동방식으로 된 발판을 보인 상태도,
도 10은 도 9의 A-A에 따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은,
가드레일(10)의 지주(11)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수단(20)과, 그 고정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판(40)을 안내하는 발판안내부가 형성된 발판지지대(30)와, 상기 발판안내부에 설치되어 도로변에 설치된 가드레일을 중심으로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발판(40)으로 구성된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을 형성하되,
상기 고정수단(20)은, 상기 지주(11)를 감싸며 고정하는 한 쌍의 플랜지(21)로써, 상기 플랜지는 내부가 상기 지주의 외주면 굴곡각도와 동일한 굴곡각도를 갖는 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 측의 플랜지는 상기 발판지지대의 결합을 위해 평평하게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서로 체결되도록 날개 편(2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20)은 발판지지대(30)에 지지된 발판(40)을 가드레일에 설치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가드레일의 레일이 아닌 지주(11)에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수단(20)은 지주(11)에 고정된 채로 외측면이 상기 발판지지대(30)의 일측면과 면접촉되게 구비됨으로써 발판지지대(30)의 안정적인 지지를 통해 상기 발판(40)에 작업자가 딛고 올라서더라도 발판지지대가 파손없이 안정적으로 발판을 지지하고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고정수단(20)은 지주(11)에 결합하여 설치함에 따라 레일의 규격이나 형태에 구애받지 않음으로써 취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발판지지대(30)는 일측면이 상기 고정수단(20)의 외측면에 지지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구성으로, 사각틀체로 형성하거나 사각틀체의 상면에 별도로 사각 판을 결합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발판지지대(30)는 지주(11)에 결합된 고정수단(20)에 결합된 상태로 구비됨에 따라 가드레일(10)의 레일(12) 외측에 위치된 상태에 있게 되고, 도 3과 같이 발판(40)의 일측을 인출한 상태에서도 발판의 타측이 발판지지대(30)에 지지된 상태에 있게 되며, 작업자는 레일을 기준으로 도로 내측으로 인출된 발판의 일측과 도로 외측에 위치한 발판의 타측을 딛고 레일을 넘어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수단(20)과 발판지지대(30) 및 발판(40)은 금속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보강을 위해 가장자리에 'ㄱ'자형태의 앵글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발판(40)은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 되어지되, 가장자리는 사각프레임 또는 'ㄱ'자형의 앵글을 이용하여 틀을 형성하며, 그 틀의 안쪽은 일정크기의 메쉬를 갖는 금속망체 또는 다수의 구성이 형성된 타공 판을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금속망체는 틀의 안쪽 모든 부분에 구비하거나 특정부분에만 구비할 수 있는 것으로, 첨부 도면에서는 1단 레일과 2단 레일에 사용하는 발판은 모든 부분에 금속망체를 결합하였고, 3단 레일의 경우 통상 레일이 도로 내측과 외측에 각각 설치됨에 따라 도로의 내측에 위치하는 발판의 일부분에만 금속망체를 결합하였다.
이러한 발판(40)은 상기 발판지지대(4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인입 또는 인출 동작되게 구비되거나, 수평 회동되게 설치되어 사용시 인출동작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판(40)의 슬라이딩 이동과 수평 회동동작을 위해, 상기 발판지지대(40)의 상면에는 발판안내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주(11)에 2개 이상의 고정수단(20)을 결합하는 경우에는, 각 고정수단(20)에 결합된 발판지지대에 설치되는 발판(40)이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 위치되게 구비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각 발판을 계단과 같이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발판을 딛고 레일을 넘어가고자 하는 경우에 쉽고 편리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발판이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상측에 위치한 발판으로 인해 하측에 위치한 발판을 사용하기 불편하거나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을 이용하여 도로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레일을 넘어가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40)을 도로 내측으로 인출시킨 다음 인출된 발판을 딛고 레일(12)을 넘으면 되고, 이때 작업자의 한쪽 발을 도로 내측에 위치한 발판을 딛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쪽 발은 레일을 넘어 도로 외측에 위치한 발판지지대에 지지된 발판을 딛고 레일을 넘어가면 된다.
발판(40)을 더이상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을 도로 외측방향으로 이동시켜 놓으면 된다.
여기서, 상기 발판(40)을 지지하고 있는 발판지지대(30)는 특정 일부분이 아니라 일측면이 고정수단(20)의 일측 외측면에 면접촉되게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발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20)은 일실시 예로서, 상기 지주(11)를 양측에 감싸 고정하도록 한 쌍의 플랜지(21)로 구성하되, 상기 플랜지(21)는 내부에는 지주와 결합 고정되었을 때 지주로부터 슬립이 일어나지 않도록 논슬립부재(23)를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논슬립부재(23)는 다수의 돌기 또는 요철 등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그 외에도 상기 플랜지(21)가 지주에 결합 고정된 후 슬립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으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 플랜지(21)의 내측은 상기 지주(11)의 외주면 굴곡각도와 동일한 굴곡각도를 갖는 호형으로 형성되고, 외측면 일부분은 상기 발판지지대(30)의 결합을 위해 평평하게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서로 체결되도록 날개편(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21)는 지주(11)에 볼트와 너트로 체결한 경우에 플랜지가 지주(11)의 외표면에 밀착됨으로써 흔들림없이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지주(11)가 견고하게 지탱하고 있음에 따라 발판지지대의 흔들림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특히, 플랜지(21)가 판체로 형성되어 내측면 전체부분이 지주의 외표면에 밀착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플랜지가 통체로 형성되어 절곡된 내측 상부와 하부만이 지주의 외표면에 밀착 지지된 상태에 있게 됨으로써 단순히 판체로 형성된 것에 비해 높은 지지력을 발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발판구조물은 가드레일의 레일 개수에 상관없이 설치할 수 있는데, 가드레일(10)의 레일(12)이 2개 이상 설치되어 가드레일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상기 지주(11)에 고정수단(20)이 두군데 이상 결합되고, 각각의 고정수단(20)의 외측면에는 결합프레임(55)이 결합되며, 그 결합프레임(55)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복수개의 수직지지대(50)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지지대(50)는 총 4개 구비되어 상기 지주(11)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며, 각 수직지지대(50)를 서로 연결시키는 경우에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하면 된다.
상기 수직지지대(50)가 설치됨으로써 레일(12)이 3개인 경우에도 해당 위치에 발판지지대(30)를 결합할 수 있는 등 복수개의 발판지지대(30)를 보다 쉽게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수직지지대(55) 중 상기 지주(11)를 중심으로 양쪽에 설치되는 각각의 수직지지대에는 상기 발판지지대(30)의 결합을 위해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게 지지대결합홀(51)이 형성되어 지되, 상기 발판지지대(30)의 결합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진다.
따라서, 2개 이상의 레일이 설치된 경우에, 설치장소마다 레일의 폭이 상이한 경우라도 각 레일의 사이에 위치되게 발판지지대를 결합하여 발판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수직지지대(55)에 발판지지대(30)를 결합하여 발판(40)을 설치하는 경우, 상기 결합프레임(55)을 안내레일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하여 안내레일 대신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첨부된 도 6에서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발판을 결합프레임에 끼워 슬라이딩 이동되게 형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수직지지대(50)의 상단부는 상기 지주(11)의 상단보다 더 높게 돌출되도록 구비하고, 각각의 수직지지대(50)의 상단에 하면 가장자리가 결합되게 보조발판(6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보조발판(60)은 2단 이상의 레일을 넘어가는 경우에 딛고 넘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첨부 도면과 같이 3단 레일의 경우 레일이 지주의 앞뒤로 이중으로 설치됨에 따라 레일의 지주의 상측을 커버하면서도 레일의 사이공간을 커버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레일을 넘어가는 도중에 부주의로 인해 레일의 사이 공간으로 발이 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레일이 이중으로 설치된 경우에도 쉽고 편리하게 레일을 넘어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대(50)가 설치된 경우에는 레일이 지주의 앞뒤로 이중으로 설치되더라도 수직지지대의 선택위치에 복수개의 발판지지대를 결합할 수 있으므로, 도로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발판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도로의 외측에 별도의 발판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발판(40)을 딛고 레일(12)을 넘어갈 경우에 작업자가 딛고 내려올 수 있도록 보조계단(65)이 설치하도록 한다.
상기 보조계단(65)은 레일이 1개나 2개인 경우에는 내려오는데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나, 레일이 3개인 3단 레일의 경우에는 레일이 이중으로 설치(지주의 양측으로 설치)되고 높이고 높음에 따라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할 필요성이 있다.
상기 보조계단(65)는 작업자가 쉽게 계단을 딛고 내려올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떠한 형태이든 무방하며, 사용 편의성을 위해 레일의 개수에 대응되게 계단의 개수를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20) 또는 발판지지대(30)의 일측에는 작업자가 상기 레일(12)을 넘어갈 경우에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봉(7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봉(70)을 설치한 이유는, 작업자가 레일을 넘어가는 도중에 중심을 잃고 넘어져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사전에 이러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함은 물론, 레일을 보다 쉽게 넘어갈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발판(40)은 발판지지대(30)에 발판안내부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수평 회동동작되게 설치된다.
제1실시예로서, 상기 발판안내부는 상기 발판지지대(30)의 상면 양측에 상기 가드레일(10)의 레일(12) 설치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안내레일(31)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안내레일(31)에 상기 발판(40)의 양측이 삽입된 채로 도로의 내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발판(40)의 길이방향 양측 하면에는 발판을 도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경우에 안내레일(31)에 걸려 더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걸림부재(32)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재(32)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발판(40)이 최대 인입 또는 인출상태에서 안내레일(31)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안내레일에서 발판(40)이 완전히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발판(40)의 사용 편의성을 높여주면서도, 나아가 도난사고 등을 방지하여 물질적인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32)의 예로서, 발판의 하면에 돌출되는 돌기로 구성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상기 발판안내부는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40)의 수평회동을 안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발판(40)의 일측을 발판지지대(30)에 결합시켜 상기 발판지지대(30)의 상부에서 발판(40)이 수평회동되도록 하는 회동축(35)과, 상기 회동축(35) 또는 회동축과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발판(40)을 회동시켜 도로의 내측으로 인출한 상태에서 자유로운 회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회동제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동축(35)에 의해 발판(40)이 수평회동될 수 있는 것이며, 발판이 수평회동되어 도로의 내측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제한수단에 의해 회동이 제한되는 것이다.
상기 회동제한수단을 구비한 이유는, 발판(40)을 도로의 내측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발판을 딛고 올라서는 경우에 발판의 회동에 의해 작업자가 넘어지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발판의 회동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회동제한수단의 실시예로서, 상기 발판(40)의 하면에 회동축(35)에 대해 이격되어 형성된 회동제한돌기(36e)와, 상기 발판(40)을 도로 내측으로 회동시킨 경우에 상기 회동제한돌기(36e)가 삽입되도록 상기 발판지지대(30)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삽입홀(36a)과, 상기 돌기삽입홀(36a)이 형성된 발판지지대(30)의 하면에 설치된 하우징(36b)과, 상기 하우징(36b)의 내부에 상기 돌기삽입홀(36a)의 아래쪽에서 삽입되어 돌기삽입홀(36a)의 상측공간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삽입돌기(36c)와, 상기 삽입돌기(36c)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36d)으로 구성된다.
상기 발판을 도로의 내측으로 회동시키기 전에는 상기 삽입돌기(36c)가 상기 스프링(36d)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되어져 돌기삽입홀(36)의 상측공간을 폐쇄한 상태에 있고, 도 10과 같이 발판을 도로의 내측으로 회동시킨 경우에는 회동제한돌기(36e)가 돌기삽입홀(36a)로 이동되어 돌기삽입홀의 상측공간으로 삽입되며, 돌기삽입홀에 삽입된 회동제한돌기에 의해 삽입돌기가 하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회동제한돌기는 발판의 자중에 의해 삽입돌기를 하방으로 가압하면서 일부분이 돌기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 있고, 이 상태에서 발판의 상면에 작업자가 발을 딛는 순간 작업자의 몸무게에 의해 회동제한돌기가 삽입돌기를 하방으로 더 밀어내면서 돌기삽입홀에 삽입되는 것이며, 회동제한돌기가 돌기삽입홀에 완벽하게 삽입된 상태임에 따라 발판의 회동이 차단되는 것이다.
작업자가 발판에서 발을 떼어내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삽입돌기가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회동제한돌기를 밀어올려 일부분만이 돌기삽입홀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시키게 되고, 작업자는 손이나 발 등을 이용하여 발판을 역방향으로 수평 회동시키면 돌기삽입홀에서 회동제한돌기가 인출되면서 발판지지대의 상면에 접촉된 채로 회동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발판지지대(3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발판(40)의 회동동작시 대략 90도 각도 내에서만 회동될 수 있도록 발판의 측면 일측에 지지되게 회동방지판(37)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발판을 받쳐주는 발판지지대를 가드레일의 지주에 고정된 고정수단의 외측면에 면접촉되게 결합함으로써 발판지지대의 지지력을 높여 파손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지주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방식임에 따라 종래 레일에 고정하거나 결속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님에 따라 레일의 휨현상 등을 방지하면서도 설치상의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레일의 개수에 상관없이 발판을 설치할 수 있고, 복수개의 발판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 각 발판 간의 사이간격을 유지한 채로 설치됨으로써 종래에 작업자가 임의로 발판의 위치를 결정하면서 설치하여야 했던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10: 가드레일 11: 지주
12: 레일 13: 충격흡수부재
20: 고정수단 21: 플랜지
22: 날개편 30: 발판지지대
31: 안내레일 32: 걸림부재
35: 회동축 36a: 돌기삽입홀
36b: 하우징 36c: 삽입돌기
36d: 스프링 36e: 회동제한돌기
37: 회동방지판 40: 발판
50: 수직지지대 51: 지지대결합홀
55: 결합프레임 60: 보조발판
65: 보조계단 70: 손잡이봉

Claims (12)

  1. 가드레일(10)의 지주(11)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수단(20)과, 그 고정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판(40)을 안내하는 발판안내부가 형성된 발판지지대(30)와, 상기 발판안내부에 설치되어 도로변에 설치된 가드레일을 중심으로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발판(40)으로 구성된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을 형성하되,
    상기 고정수단(20)은, 상기 지주(11)를 감싸며 고정하는 한 쌍의 플랜지(21)로써, 상기 플랜지는 내부가 상기 지주의 외주면 굴곡각도와 동일한 굴곡각도를 갖는 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 측의 플랜지는 상기 발판지지대의 결합을 위해 평평하게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서로 체결되도록 날개 편(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내부에는, 지주와 결합 고정되었을 때 지주로부터 슬립이 일어나지 않도록 논슬립부재(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안내부는, 상기 발판지지대의 상부 양측에 상기 가드레일의 레일(12) 설치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발판의 양측이 삽입 결합된 채로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3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40)의 길이방향 양측 하면에는, 발판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발판이 최대 인입 또는 인출상태에서 안내레일(31)에 걸려 더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부재(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안내부는, 상기 발판을 발판지지대에 결합시켜 상기 발판지지대의 상부에서 발판이 수평 회동 되도록 하는 회동 축(35)과, 그 회동 축 또는 회동 축과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발판의 회동을 제한하도록 하는 회동제한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제한수단은, 상기 발판의 하면에 회동 축에 대해 이격되어 형성된 회동제한돌기(36e)와, 상기 발판을 도로 내측으로 회동시킨 경우에 상기 회동제한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발판지지대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삽입홀(36a)과, 상기 돌기삽입홀이 형성된 발판지지대의 하면에 설치된 하우징(36b)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돌기삽입홀의 아래쪽에서 삽입되어 돌기삽입홀의 상측 공간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삽입돌기(36c)와, 상기 삽입돌기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36d)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레일이 2단 이상 설치되어 가드레일의 높이가 높을 경우에는, 레일 최하부의 지주와 레일 사이사이 자주에 발판지지대의 발판안내부에 발판이 설치된 고정수단이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레일이 2단 이상 설치되어 가드레일의 높이가 높을 경우에는, 레일 최하부의 지주와 레일 사이사이 자주에 발판지지대의 발판안내부에 발판이 설치된 고정수단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지주의 외측에는 상기 고정수단(2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결합프레임(55)을 매개로 복수 개의 수직지지대(50)가 설치되며, 상기 수직지지대 중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양쪽에 설치되는 각각의 수직지지대에는 상기 발판지지대의 결합을 위해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게 지지대결합홀(51)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발판지지대의 결합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50)의 상단부는, 상기 지주의 상단보다 더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지주의 상측에는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단에 하면 가장자리가 결합되어 상기 지주의 상측을 커버 하도록 보조발판(6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11. 제1항에 있어서,
    도로 외측에는 상기 발판을 딛고 레일을 넘어갈 경우에 작업자가 딛고 내려올 수 있도록 보조계단(65)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 또는 발판지지대의 일측에는, 작업자가 상기 가드레일을 넘어갈 때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봉(7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KR1020220021646A 2022-02-18 2022-02-18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KR102658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646A KR102658727B1 (ko) 2022-02-18 2022-02-18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646A KR102658727B1 (ko) 2022-02-18 2022-02-18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382A KR20230124382A (ko) 2023-08-25
KR102658727B1 true KR102658727B1 (ko) 2024-04-19

Family

ID=87847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646A KR102658727B1 (ko) 2022-02-18 2022-02-18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7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44832B (zh) * 2023-10-23 2024-01-23 佳泽睿安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交通枢纽的智能交通警示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180Y1 (ko) * 2004-09-15 2004-12-14 안태인 도로용 안전 가드레일
JP6482890B2 (ja) * 2015-02-10 2019-03-13 西日本高速道路メンテナンス九州株式会社 高速道路の緊急避難場所退避はし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278Y1 (ko) 2006-02-01 2006-05-03 이성근 이단 가드레일 출입을 위한 부착용 회전식 발판
KR200483718Y1 (ko) 2015-10-08 2017-06-16 한국도로공사 가드레일용 접이식 안전발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180Y1 (ko) * 2004-09-15 2004-12-14 안태인 도로용 안전 가드레일
JP6482890B2 (ja) * 2015-02-10 2019-03-13 西日本高速道路メンテナンス九州株式会社 高速道路の緊急避難場所退避はし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382A (ko) 202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8727B1 (ko)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US20100301295A1 (en) Crowd barrier
US20060260217A1 (en) Constructional unit
US6932194B1 (en) Safety rail for scaffolding
JP4105049B2 (ja) 昇降式移動足場
KR102558279B1 (ko) 지주식 인도교 및 데크로드 시공용 안전 작업구조물
KR102053847B1 (ko) 리프트를 사용하는 건축물 출입용 방호선반
KR200424319Y1 (ko)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
KR102066048B1 (ko) 수직 및 수평하중 보강형 난간 및 그 시공방법
CN210264006U (zh) 一种建筑临边结构柱施工防护架
CN218176565U (zh) 一种可移动稳固式脚手架
CN215165022U (zh) 一种市政公路工程的护栏
CN220685783U (zh) 一种防护到底的桥梁防护栏
CN111075175A (zh) 一种建筑装饰用脚手架
KR101100870B1 (ko) 공동주택용 난간의 보강 시설물
PT1365087E (pt) Barreira de segurança
CN220644579U (zh) 一种适用于群体建筑组合的地下空间支撑结构
KR102602451B1 (ko) 비계형 케이지
CN210152410U (zh) 一种适用于软基快速施工的定型化防护栏杆
CN213297079U (zh) 一种建筑施工用脚手架
CN215948837U (zh) 一种便于工人上爬的脚手架
CN220167444U (zh) 一种建筑工程用爬架
NZ336959A (en) Scaffolding
CN210888002U (zh) 一种安全型脚手架结构
CN220267378U (zh) 一种建筑人防基坑围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