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7991A -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 - Google Patents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991A
KR20230017991A KR1020210099598A KR20210099598A KR20230017991A KR 20230017991 A KR20230017991 A KR 20230017991A KR 1020210099598 A KR1020210099598 A KR 1020210099598A KR 20210099598 A KR20210099598 A KR 20210099598A KR 20230017991 A KR20230017991 A KR 20230017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net
performance test
tree
pherom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식
이임균
이광수
이호상
이보라
김지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to KR1020210099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7991A/ko
Publication of KR20230017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9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공성 해충의 피해예방 및 방제에 사용되는 격리망과 산란방지망을 효율적으로 사전실험하기 위한 성능실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는,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며 톱밥으로 충진된 본체와, 상기 본체 측면을 관통 형성하며, 천공성 해충이 유입 및 탈출할 수 있는 유입부와 탈출부가 형성된 통로와, 상기 탈출부를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실험포 및 상기 실험포 외측에서 본체에 부착 설치되며, 상기 천공성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페로몬이 내장된 페로몬거치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Tree perforated pest isolation net and scattering prevention net performance test device}
본 발명은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공성 해충의 피해예방 및 방제에 사용되는 격리망과 산란방지망을 효율적으로 사전실험하기 위한 성능실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구상에는 약 75만 여 종의 곤충이 존재하고 있고 미발견된 곤충의 종류도 많다. 이 중 상당수가 나무의 잎, 줄기, 열매, 뿌리 등에 피해를 주는데 곤충들 중에서 피해를 유발하는 종을 해충으로 분류할 때 국내에서 나무에 피해를 주는 해충은 대략 1,000~2,000종이 보고되어 있다. 각종 병해충의 피해로 산림 및 생활권수목의 경제적 타격을 받고 있으며 도시미관 또한 저해시키므로 많은 시민들의 불편요인이 되고 있다.
그 중에서 수목과 같은 기주식물의 줄기나 가지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 분열조직과 목질부를 가해하는 천공성 해충이 존재하는데, 대표적으로 소나무재선충을 옮기는 솔수염하늘소나 활엽수에 피해를 주는 참나무하늘소, 미끈이하늘소와 같은 천공성 해충이 있다. 여기서, 상기 솔수염하늘소가 소나무를 섭식하는 섭식하는 과정에서 소나무재선충이 건강한 소나무를 감염시켜 피해를 입히게 되고, 이 소나무는 몇 달 이내 고사증상을 보이게 된다. 상기 소나무재선충을 몸체에 지닌 곤충은 고사목에 산란하며 그 알은 변태과정을 거쳐 탈출하게 되는데,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방법 중 하나인 그물망방제는 피해목으로부터 재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고사목을 벌목하여 1~2㎥ 크기의 메쉬백 그물망 안에 적치한 후 경시변화에 의해 자연부후시키며 곤충을 격리 및 폐사시키는 방법이 있다. 참나무하늘소 또한 붉가시나무 등에 산란하여 피해를 주며, 미끈이하늘소는 구실잣밤나무 등에 산란하여 목재의 질을 떨어뜨린다.
이러한 피해들을 예방하고 방제하는 방지막을 현장에 적용하려면 사전에 내구성 테스트, 즉 천공성 해충이 그물망을 뚫을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가 필요한데, 종래에는 고사목을 토막내어 침입공와 탈출구을 연결한 일직선의 드릴천공을 뚫고, 천공완료된 나무 침입공 안으로 살아있는 곤충을 삽입시키고 반대편 탈출구에는 크기에 맞게 절개한 실험용 그물망 샘플을 그 나무에 덧대어 설치한다. 여기서, 부화한 천공성 해충은 먹이활동과 짝짓기를 위해 본능적으로 탈출구를 막고있는 실험용 격리막을 입으로 가해하며 탈출을 위한 행위을 하게 되는데, 이 실험용 그물망의 통과여부를 관찰하는 방식으로 재질성능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여러 가지 천공성 해충 피해를 예방하고 방제하려는 과정에 투입되는 재료들은 현장에 투입되기 전에 성능테스트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종래 사전테스트의 경우, 실험용 고사목재를 매번 직접 구해야 했고 목재의 특성상 일회성 실험으로 끝낸 후 사용된 목재는 폐기해야 함에 따라, 시간 및 비용소요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 특허등록 제10-1531353호(2015.06.24 공고)
본 발명은, 실험용 고사목재 수급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다양한 천공성 해충에 대한 실험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를 제공하자고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는,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며 톱밥으로 충진된 본체와, 상기 본체 측면을 관통 형성하며, 천공성 해충이 유입 및 탈출할 수 있는 유입부와 탈출부가 형성된 통로와, 상기 탈출부를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실험포 및 상기 실험포 외측에서 본체에 부착 설치되며, 상기 천공성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페로몬이 내장된 페로몬거치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통로는, 1자형, L자형, S자형, Y자형, U자형 또는 나선형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페로몬거치함은, 페로몬이 내장되도록 소정공간이 형성된 거치함본체부와, 상기 본체의 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실험포를 관통해 통로 내부까지 페로몬이 전달될 수 있도록 통기구가 형성된 거치함측면부와, 상기 페로몬을 출입시키는 거치함뚜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페로몬거치함을 본체에 탈부착방식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통로의 외측면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복수개의 호흡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통로의 유입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통로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통로실험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통로실험포는, 유입부에서 탈출부를 향할수록 두꺼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상기 통로를 중심으로 상하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개별본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개별본체모듈의 측면부는, 통로가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통로거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통로의 내측면을 따라 미세톱밥가루가 코팅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험용 고사목재 수급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다양한 곤충관련 실험에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목재친화적 구조로 구성되어 이동성이 좋고 실험데이터 자료수집이 효율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목재안에서 인위적으로 만들 수 없는 다양한 통로모양을 제작함으로써 곤충 고유의 자율성을 보장, 유지해주며 다른 임업과 곤충산업 실험용에까지 확장하여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에 있어서, 통로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의 실험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에 있어서, 페로몬거치함이 설치된 상태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의 개략도.
도 7은 종래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의 실험과정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는,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며 톱밥으로 충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 측면을 관통 형성하며, 천공성 해충이 유입 및 탈출할 수 있는 유입부(21)와 탈출부(23)가 형성된 통로(20)와, 상기 탈출부(23)를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실험포(30) 및 상기 실험포(30) 외측에서 본체(10)에 부착 설치되며, 상기 천공성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페로몬(43)이 내장된 페로몬거치함(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는 종래 실험목 고사목재 수급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실험목적의 장치로써 기능하기 위하여, 여러번의 실험을 거쳐도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그에 따라, 상기 본체(10)는 아크릴과 같이 소정의 강도를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는 톱밥과 통로(20) 등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진 원통형 또는 다면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부에 톱밥을 충진할 수 있는 소정공간이 형성되며 통로(20)가 삽입 설치될 수 있는 구조라면 그 어떤 형상도 가능하다. 공간 내부를 톱밥으로 충진하는 이유는, 실험장치 내부를 최대한 수목과 유사한 환경으로 만들어 다양한 곤충들이 이질감을 덜 느끼게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10) 측면을 관통 형성하며, 천공성 해충이 유입 및 탈출할 수 있는 유입부(21)와 탈출부(23)가 형성된 통로(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로(20)는 내부에 천공성 해충이 이동할 수 있도록 통행갱도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일측에는 천공성 해충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부(21), 타측에는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탈출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입부(21)는 천공성 해충이 유입된 이후 유입부(21)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한 마개(27)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탈출부(23)는 외측을 따라 실험포(30)와 페로몬거치함(40)이 설치되므로 별도의 개폐를 위한 구성이 필요하진 않다. 여기서, 상기 유입부(21)와 탈출부(23)를 포함하는 통로(20)의 길이는 본체(10)의 측방향 직경보다 일정길이 크게 형성됨으로써 통로(20)가 본체(10)에 관통 설치되면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통로(20)는, 1자형, L자형, S자형, Y자형, U자형 또는 나선형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로(20)는 일반적으로 1자형으로 이루어져 직진성을 가진 천공성 해충이 일방향으로 천공하면서 나아가는 환경을 조성하는 경우 적절하지만, 곤충 고유의 자율성을 보장 및 유지해주면서 다른 실험용도로도 확장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통로(20)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형, S자형, Y자형 등 다양한 형상의 통로(20)가 본체(10)에 적절히 설치되어 해충의 습성에 따라 달리 적용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예로, Y자형 통로(20)의 경우 일측에는 유입부(21)가 설치되고 탈출부(23)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는데, 하나의 탈출부(23)에는 빛을 조사하여 방향성을 주고, 다른 탈출부(23)에는 페로몬, 또 다른 탈출부(23)에는 기피제를 설치하여 실험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해충을 가이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는, 상기 통로(20)를 중심으로 상하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개별본체모듈(11a, 11b, 11c, 11d)을 포함하되, 상기 개별본체모듈(11a, 11b, 11c, 11d)의 측면부는, 통로(20)가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통로거치부(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10)는 통로(20)가 관통 설치되는 일체형의 원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설치용이성을 위하여 일체형이 아니라 복수개의 개별본체모듈(11a, 11b, 11c, 11d)이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본체(10)를 이루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개별본체모듈(11a, 11b, 11c, 11d)을 구분하는 기준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통로(20)를 중심으로 상하 분리되도록 구분할 수 있으며, 회전결합이나 끼움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개별본체모듈(11a, 11b, 11c, 11d)의 측면부는 통로(20)가 관통 설치될 수 있도록 통로거치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로거치부(13)는 개별본체모듈(11a, 11b, 11c, 11d)의 측면에서 상하방향으로 통로(20)의 반경에 대응되는 크기의 통로거치부(13)가 형성되어 통로(20)가 통로거치부(13)에 끼워지면서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통로(20)의 외측면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복수개의 호흡구(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통로(20)의 내측면을 따라 미세톱밥가루가 코팅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통로(20) 자체가 인공적으로 설치된 원통형의 관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천공성 해충이 천공하면서 나아갈 때 호흡이 어려울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에 따라, 통로(20)의 외측면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복수개의 호흡구(25)가 형성되면서 앞으로 나아가면서도 호흡이 보장되어 실험에 영향이 없도록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로(20)는 천공성 해충이 나아가는 통행갱도로써 수목 내부에서 천공하면서 나아가는 환경과 유사하도록 만들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통로(20)의 내측면, 즉 천공성 해충의 몸체와 다리가 접하는 영역 전반적으로 미세톱밥가루를 코팅 처리하여 실제 수목에서 천공하여 나아가는 주변환경과 유사하도록 제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탈출부(23)를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실험포(30)를 포함한다. 상기 실험포(30)는 천공성 해충 방제를 위한 면포류, 천막류, 비닐류, 폴리에틸렌류 등과 같이 다양한 실험포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를 탈출부(23)를 폐쇄하도록 본체(10) 측면을 따라 설치하고 실제 천공성 해충이 해당 실험포(30)를 천공하여 탈출하는지 여부를 관찰함으로써 성능실험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통로(20)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통로실험포(31a, 31c, 31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험포(30)가 천공성 해충의 탈출부(23)에 설치되어 탈출여부만을 확인할 수도 있으나, 통로(20)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여러개의 통로실험포(31a, 31c, 31e)가 설치되어 단계별로 천공하여 탈출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통로실험포(31a, 31c, 31e)는, 유입부(21)에서 탈출부(23)를 향할수록 두꺼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효율적인 실험을 위하여, 하나의 통로(20)에 다수의 통로실험포(31a, 31c, 31e)를 설치하되, 탈출부(23)를 향할수록 두꺼운 소재로 이루어지도록(예를 들어, 초반에는 비닐, 2차로 부직포, 3차로 폴리에스터) 함으로써, 초반에 설치된 통로실험포(31a)를 천공하여 나아갔으나 두번째 통로실험포(31c)를 천공하지 못하는 경우, 2차 통로실험포(31c)가 현장에서 해충 방제용으로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험포(30) 외측에서 본체(10)에 부착 설치되며, 상기 천공성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페로몬(43)이 내장된 페로몬거치함(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페로몬거치함(40)은, 페로몬(43)이 내장되도록 소정공간이 형성된 거치함본체부(41)와,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실험포(30)를 관통해 통로 내부까지 페로몬(43)이 전달될 수 있도록 통기구(46)가 형성된 거치함측면부(45)와, 상기 페로몬(43)을 출입시키는 거치함뚜껑부(4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페로몬은 기본적으로 천공성 해충을 유인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성으로, 탈출부(23) 방향에 설치되면 천공성 해충은 본능적으로 페로몬을 감지하여 페로몬 방향으로 천공하면서 나아가게 된다. 이러한 페로몬을 설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페로몬(43)을 내장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된 거치함본체부(41)와, 그 측면에는 본체(10)의 측면형상에 대응되는 면을 가짐으로써 본체(10) 측면에 밀착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함측면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함측면부(45)의 둘레를 따라 본체(10)에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고무재질 밴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내장된 페로몬(43)이 거치함본체부(41)로부터 통로(20)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통기구(4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페로몬(43)을 출입시키기 위한 거치함뚜껑부(47)가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페로몬거치함(40)을 본체(10)에 탈부착방식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4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페로몬거치함(40)이 본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부(49)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49)는 케이블타이나 철밴드와 같이 페로몬거치함(40)이 본체(10)에 거치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결합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호 결합을 위한 다양한 결합부재도 사용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1a, 11b, 11c, 11d : 개별본체모듈
13 : 통로거치부
20 : 통로
21 : 유입부
23 : 탈출부
25 : 호흡구
27 : 마개
30 : 실험포
31a, 31c, 31e : 통로실험포
40 : 페로몬거치함
41 : 거치함본체부
43 : 페로몬
45 : 거치함측면부
46 : 통기구
47 : 거치함뚜껑부
49 : 결합부

Claims (10)

  1.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며 톱밥으로 충진된 본체;
    상기 본체 측면을 관통 형성하며, 천공성 해충이 유입 및 탈출할 수 있는 유입부와 탈출부가 형성된 통로;
    상기 탈출부를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실험포; 및
    상기 실험포 외측에서 본체에 부착 설치되며, 상기 천공성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페로몬이 내장된 페로몬거치함;
    을 포함하는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1자형, L자형, S자형, Y자형, U자형 또는 나선형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로몬거치함은,
    페로몬이 내장되도록 소정공간이 형성된 거치함본체부와,
    상기 본체의 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실험포를 관통해 통로 내부까지 페로몬이 전달될 수 있도록 통기구가 형성된 거치함측면부와,
    상기 페로몬을 출입시키는 거치함뚜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페로몬거치함을 본체에 탈부착방식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외측면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복수개의 호흡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유입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통로실험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통로실험포는,
    유입부에서 탈출부를 향할수록 두꺼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통로를 중심으로 상하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개별본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개별본체모듈의 측면부는, 통로가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통로거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내측면을 따라 미세톱밥가루가 코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
KR1020210099598A 2021-07-29 2021-07-29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 KR202300179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598A KR20230017991A (ko) 2021-07-29 2021-07-29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598A KR20230017991A (ko) 2021-07-29 2021-07-29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991A true KR20230017991A (ko) 2023-02-07

Family

ID=85221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598A KR20230017991A (ko) 2021-07-29 2021-07-29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799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353B1 (ko) 2013-09-12 2015-06-24 대한민국 단위유닛을 이용한 수목의 천공성해충 친환경 방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353B1 (ko) 2013-09-12 2015-06-24 대한민국 단위유닛을 이용한 수목의 천공성해충 친환경 방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5672A (en) System for termite detection and control
US9044001B2 (en) Apparatuses for capturing insects and related methods
US20070039236A1 (en) Insect trap
US5133150A (en) Insect trap for gypsy moths and other flying insects
US20020108295A1 (en) Termite lure; container; and method
KR100955702B1 (ko) 수목용 랩핑식 롤트랩에 의한 수목해충방제방법
JP2006503569A (ja) シロアリ監視装置および関連方法
US6584728B2 (en) Termite bait station and method of service
KR20230017991A (ko) 수목천공성 해충 격리망 및 산란방지망 성능실험장치
KR102073151B1 (ko) 해충 포획장치
EP1575355B1 (de) Insektenfalle
EP1745697A1 (de) Vorrichtung zum Anlocken von Insekten und Anordnung zum Anlocken und Fangen von Insekten
US65266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ground subterranean termite detection
KR100903707B1 (ko) 생체트랩
KR100767783B1 (ko) 소나무재선충 방제방법
US20140325894A1 (en) Gas injector and method for delivering gas for pest extermination
CA2511015C (en) Insect trap
KR101677727B1 (ko) 산림 해충 유인포집장치
KR101423262B1 (ko) 해충 포집 장치
KR101857372B1 (ko) 해충 트랩 장치
KR101371664B1 (ko) 수목의 해충방제방법
JP3115318U (ja) 白蟻防除装置
CN201374964Y (zh) 松墨天牛诱捕器
JP2009268453A (ja) ヒガンバナ科球根圧搾液を使用した松食い虫松枯れ防止液
KR20180014139A (ko) 곤충 포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