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664B1 - 수목의 해충방제방법 - Google Patents

수목의 해충방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664B1
KR101371664B1 KR1020130137797A KR20130137797A KR101371664B1 KR 101371664 B1 KR101371664 B1 KR 101371664B1 KR 1020130137797 A KR1020130137797 A KR 1020130137797A KR 20130137797 A KR20130137797 A KR 20130137797A KR 101371664 B1 KR101371664 B1 KR 101371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trees
supply hole
roll trap
p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7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종영
박영의
박미성
Original Assignee
푸른공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른공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푸른공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7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6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8Adhesive bands or coatings for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2Tree-b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otan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의 해충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목의 둘레와 접촉되는 일측면에 끈끈이가 도포된 단면롤트랩을 상기 수목의 수간에 랩핑하여 고정하는 1차 방제단계; 상기 단면롤트랩이 설치된 후 설정된 기간이 경과하여 상기 단면롤트랩이 제거되면, 양측면에 끈끈이가 도포된 양면롤트랩을 상기 수목의 수간에 랩핑하여 고정하는 2차 방제단계; 및 상기 양면롤트랩이 설치된 후 설정된 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양면롤트랩이 설치되었던 상기 수목 중에서 고사목을 선별하여 벌채훈증으로 해충을 방제하는 3차 방제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1차 내지 3차에 걸처서 방제를 실시하므로 해충을 거의 완벽하게 박멸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목의 해충방제방법{TREE-INSECT EXTERMINATION METHOD FOR TREE}
본 발명은 수목의 해충방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수목의 내부에 방충용 약제를 투입하고, 수목에 랩핑되어 해충을 포살하는 롤트랩을 이용하여 수목의 해충을 방제하는 수목의 해충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충은 수목에 피해를 주는 곤충류를 칭한다. 이러한 해충은 주로 봄부터 가을까지 활발히 활동을 하면서 수목에 피해를 가한다. 해충은 기후에 따라 다양하게 변하고, 주택지거나 공장과의 거리, 지형이나 그 밖의 환경요인에 따라 다르게 평가된다.
1970년대 중반까지는 솔나방, 솔잎혹파리, 미국흰불나방, 오리나무잎벌레 등의 해충 4종과 잣나무털녹병을 포함하여 산림의 5대 병해충이 크게 문제가 되었으나, 1980년대에는 솔나방 피해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솔잎혹파리의 피해가 지속적으로 확산되며 솔껍질깍지벌레, 잣나무넓적잎벌, 황철나무알락하늘소, 버즘나무방패벌레 등 새로운 해충이 등장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수목에 곰팡이를 생성하도록 매개하는 해충인 광릉긴나무좀의 활동으로 인하여 참나무시들음병이 크게 문제되고 있으며, 아울러 포도나무와 가중나무, 사철나무, 버즘나무 등의 수간에 위치하여 흡즙 가해하여 수목 등을 손상시키는 꽃매미의 문제가 급격하게 대두되고 있다.
전술한 광릉긴나무좀은 수컷이 참나무류, 서어나무 등의 수간을 천공하여 침입한 후, 수컷의 페로몬으로 집단(암컷, 수컷)을 유인하여 천공공간으로 암컷을 유인한다. 그리고, 광릉긴나무좀의 암컷 등에 있는 균낭속의 레펠이아(Raffaelea)속 암브로시아균이 수목의 내부로 전염되어 수목의 도관 등을 파괴시킨다. 그리고, 전술한 꽃매미는 포도나무와 같은 유실수에 왕성하게 달라붙어서 수액을 흡즙한다. 따라서, 산림이나 원예 농가는 각각 광릉긴나무좀이나 꽃매미로 인하여 피해가 막심하다.
수목의 외피(수피)로 침투하는 해충의 경우 나무의 밑둥에 톱밥 같은 배설물 및 나무가루가 쌓여있는 것을 통해 감염을 예찰할 수 있고, 잎을 가해하는 해충의 경우 잎이 부분적으로 없다거나 변색한 잎의 색상을 통해 감염을 예찰할 수 있으며, 특정 해충의 경우 암컷이 분비하는 페로몬을 이용하여 감염을 예찰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수목에 곰팡이를 생성하는 암브로시아 해충은 수목의 하단에서부터 약 1.5m 정도(특정 나무는 이보다 더 높게 가해)의 높이에 해당하는 수목의 수간측 외피를 뚫고 침입하여 수목의 도관을 경색시킨다. 그리고, 전술한 흡즙성 해충은 수간의 외피에 붙어서 수액을 흡즙하여 수액의 흐름을 방해한다. 따라서, 수목은 이러한 해충에 의해 결국 고사된다.
한편, 최근에는 점성질의 접착제 및 끈끈이 형태의 포충액이 양면에 제각기 도포된 필름형태의 롤트랩을 수목에 랩핑하여 수목의 수피를 차폐한 상태로 병해충을 포충할 수 있는 방식이 개발되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러한 롤트랩을 이용한 방제방법을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출원 제10-2009-108958호(명칭:수목용 랩핑식 롤트랩에 의한 수목해충방제방법)로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롤트랩은 연질의 박막형 베이스층과 베이스층의 내측면에 도포되어 수목의 수피에 접착되는 접착층 및 베이층의 외측면에 도포되고 점성질의 끈끈이로 형성되어 병해충을 포살하는 포살층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롤트랩은 수목에 권회된 상태로 일정기간(2~3개월)동안 방치되어 수목으로 접근하는 병해충을 포살층의 끈끈이에 의해 포살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롤트랩은 양측면에 끈끈이가 도포되므로 제조비용으로 인하여 고가에 판매되고 있으나, 해충의 생태와 상관없이 무조건적으로 봄철이나 하절기에 설치되므로 자원이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전술한 롤트랩은 부화된 해충의 애벌레가 수목의 내부에서 외부로 나오는 초봄(약 3-4월)에도 양측면에 끈끈이가 도포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일측면(수목의 수피측)의 경우 수목에서 나오는 애벌레를 포충하는데 사용되지만 타측면(수피의 외측)의 경우 사실상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 이와 달리, 전술한 롤트랩은 늦봄이나 초여름(약 5-6월)에 설치될 경우 알을 부화하기 위해 수목으로 들어오려는 해충이 타측면에 포충되므로 타측면의 사용은 가능하지만, 설치된 시기가 애벌레가 없는 시기이므로 반대편의 일측면이 사실상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술한 롤트랩은 실질적으로 자원이 낭비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롤트랩, 즉 양측면에 끈끈이가 도포된 롤트랩을 이용한 방제방법은, 수목에 이미 침투한 성충이나 알 또는 부화된 애벌레 등을 사실상 방제할 수 없으며, 고사된 고사목에 존재하는 해충을 방제할 수도 없다.
KR 10-2009-0108958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충의 유충이 활동하는 시기와 해충이 성장하여 성충으로 활동하는 시기에 각기 다른 롤트랩을 사용하여 수목을 방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사목까지 방제할 수 있는 수목의 해충방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수목의 내부에 방충제를 투약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어 수목의 내부에 이미 활동중인 해충이나, 수목의 내부로 침투하는 해충을 살충하여 수목의 내부에서 해충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목의 해충방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수목의 해충방제방법은, 수목의 수간에 권회되어 수목으로 침입하는 해충을 포충하여 살충하는 수목용 랩핑식 롤트랩을 이용하여 해충으로부터 수목을 방제하는 수목의 해충방제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목의 둘레와 접촉되는 일측면에 끈끈이가 도포된 단면롤트랩을 상기 수목의 수간에 랩핑하여 고정하는 1차 방제단계; 상기 단면롤트랩이 설치된 후 설정된 기간이 경과하여 상기 단면롤트랩이 제거되면, 양측면에 끈끈이가 도포된 양면롤트랩을 상기 수목의 수간에 랩핑하여 고정하는 2차 방제단계; 및 상기 양면롤트랩이 설치된 후 설정된 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양면롤트랩이 설치되었던 상기 수목 중에서 고사목을 선별하여 벌채훈증으로 해충을 방제하는 3차 방제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3차 방제단계는, 상기 수목 중에서 고사목을 선별하는 선별단계; 상기 선별단계에서 선별된 고사목을 벌채하는 벌채단계; 상기 벌채목을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적재하는 적재단계; 상기 벌채목을 비닐로 덮어 포장하는 포장단계; 상기 비닐의 하단부에 중량을 제공하여 비닐의 하단부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단계; 및 상기 비닐의 일부를 일시적으로 개봉하여 비닐의 내부에 훈증제를 살포하여 훈증하는 훈증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1차 방제단계 또는 2차 방제단계를 실시하기 전이나 실시한 후에 상기 수목에 방충제를 투약하여 수목을 방제하는 추가방제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추가방제단계는, 상기 수목의 수간의 적정 위치에 약제공급공을 천공하는 천공단계; 상기 약제공급공에 상기 방충제를 투약하는 투약단계; 및 상기 약제공급공을 실링부재로 차폐하여 밀폐하는 실링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추가방제단계는,
상기 방충제가 휘발성의 액상제제나 분말형 또는 정제형의 고상제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해충을 방제한다
상기 추가방제단계는, 상기 액상제제가 연질의 캡슐 속에 보관되는 약제캡슐을 이용하여 해충을 방제하고, 상가 실링부재가, 상기 약제공급공에 압입되어 상기 약제공급공을 차폐하는 인서트로 구성되되, 상기 약제공급공의 천공된 깊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약제공급공에 투입된 상기 약제캡슐을 파열시킴으로써, 상기 약제캡슐에서 상기 액상제제가 유출되어 방제를 실시한다.
상기 실링단계는, 상기 실링부재가 실란트나 인서트로 구성되어 상기 약제공급공의 입구를 밀봉하거나 상기 약제공급공에 압입되어 상기 약제공급공을 차폐함으로써, 상기 약제공급공을 수밀상태로 실링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목에 상기 단면롤트랩 또는 양면롤트랩을 설치하기 전에 상기 수목의 근부측 하단부를 박막식 커버재로 커버하는 커버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단계는, 상기 수목의 근부측 하단부를 상기 커버재로 둘러싸고, 커버재의 상단부를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수목의 수간에 고정하는 커버재 고정단계; 상기 커버재로 상기 수목을 감싸서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커버재의 테두리를 접합하는 커버재 접합단계; 및 상기 커버재의 하단부에 중량을 제공하여 커버재의 하단부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커버재 고정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수목의 해충방제방법은, 해충의 유충이 활동하는 시기에는 수목을 랩핑하는 단면롤트랩을 이용하여 단면롤트랩의 일측면에만 도포된 끈끈이로 수목의 밖으로 나오는 유충을 포살하여 살충하고, 해충이 성장하여 성충으로 활동하는 시기에는 수목을 랩핑하는 양면롤트랩을 이용하여 양면롤트랩의 양측면에 도포된 각각의 끈끈이로 수목의 외부로 나오려는 해충 및 수목의 내부로 들어오려는 해충을 동시에 포살하여 살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부의 포살되지 않은 해충에 의해 고사된 고사목을 벌채훈증으로 다시 한번 방제하여 다단계에 걸쳐서 해충을 거의 완벽하게 박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사목의 주변의 수목으로 해충이 전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사목을 벌채한 후 밀봉상태에서 훈증제를 훈증하여 해충을 방제하므로 훈증제의 살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해충이 수목에 존재한다 하여도 수목을 천공한 후 방충제를 투입하여 추가방제를 실시하므로 수목의 내부에 존재하는 해충, 특히 부화전의 알이나 갓 부화된 애벌레까지도 확실하게 방제할 수 있다.
또한, 방충제가 휘발성의 액상제제로 구성될 경우 단시간에 방충제를 수목의 양분공급 통로를 따라 확산시킬 수 있고, 분말형 또는 정제형의 고상제제로 구성될 경우 장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방충제를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액상제조로 이루어진 방충제가 젤라틴 재질의 단일체형 캡슐에 내장된 후 길게 형성된 인서트로 이루어진 실링부재에 의해 파열되도록 구성될 경우 방충제의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방제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실링부재가 실란트로 구성될 경우 약제공급공을 기밀상태로 차폐할 수 있고, 이와 달리 인서트로 구성될 경우 인서트를 약제공급공에 압입해서 밀봉하므로 약제공급공을 용이하게 차폐할 수 있다.
더욱이, 커버재로 수목의 근부측 하단부를 차폐할 경우 직경이 너무 커서 롤트랩으로 랩핑이 안되는 수목의 하부측으로 해충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목의 해충방제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목의 해충방제방법에 적용되는 단면롤트랩 및 양면롤트랩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1차 및 2차 방제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3차 방제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추가방제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목의 해충방제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목의 해충방제방법은,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의 수간에 단면롤트랩(100)을 랩핑하여 고정하는 1차 방제단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롤트랩(100)이 제거된 수목의 수간에 양면롤트랩(200)을 랩핑하여 고정하는 2차 방제단계, 그리고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롤트랩(100) 및 양면롤트랩(200)이 설치되었던 수목 중에서 고사목을 선별하여 벌채훈증으로 해충을 방제하는 3차 방제단계를 포함한다.
1차 방제단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접착력을 가지는 끈끈이(130)가 도포된 단면롤트랩(100)을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의 수간에 랩핑하여 고정하여 해충을 방제한다. 여기서, 전술한 단면롤트랩(100)은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120)의 일측면(내측면)에만 접착성 물질로 이루어진 끈끈이(130)가 도포되며, 끈끈이(130)가 도포된 일측면이 수목의 수피에 접착됨에 따라 수피에 부착되면서 수목을 랩핑한다. 이때, 단면롤트랩(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의 하부측에서 상부를 향하여 테두리측 일부분이 중첩상태로 엇갈리면서 권회된다. 따라서, 단면롤트랩(100)은 테두리측이 중첩됨에 따라 고정상태를 이루면서 우수에 대해 방수가 가능한 상태로 수목의 수간에 권회된다.
이와 다르게, 단면롤트랩(100)은 수목의 상부측에서 하부를 향하여 테두리측 일부분이 중첩상태로 엇갈리면서 권회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법은 수목의 수간보다 근부측의 직경이 커지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면롤트랩(100)은 전술한 필름(120)을 연질의 박막형 비닐재나 일정기간이 경과할 경우 생분해되는 통상적인 생분해성 비닐 또는 섬유재 직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필름(120)은 흰색이나 노란색과 같이 식별이 우수한 색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110)에 권취된 상태로 보관된다.
단면롤트랩(100)은 끈끈이(130)가 도포된 일측면이 수목의 수피에 접착되므로 수목의 내부로 침입한 해충이나 알에서 부화된 유충이 수목의 외부로 나오는 것을 포집하여 살충한다. 따라서, 단면롤트랩(100)은 해충의 유충이 수목에서 외부로 나오는 시기에 해당하는 초봄(대략 3월-4월 경)에 설치된다. 그리고, 단면롤트랩(100)은 설치기간, 즉 초봄이 경과하면 자연분해로 제거되거나 인위적으로 제거된다.
2차 방제단계는 해충이 알을 낳기 위해 수목으로 들어가려는 늦봄이나 초여름(대략 5-6월 경)에 실시된다. 2차 방제단계는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은 필름(220)의 양측면에 전술한 끈끈이(230)가 제각기 도포된 양면롤트랩(200)을 이용하여 해충을 방제한다. 2차 방제단계는 양면롤트랩(200)을 전술한 단면롤트랩(100)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목에 권회하여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을 랩핑한다. 이때, 양면롤트랩(200)은 전술한 단면롤트랩(100)이 자연적 또는 인위적으로 제거된 후 설치된다.
양면롤트랩(200)은 일측면(내측면)의 끈끈이(230)가 수피의 표면을 차폐하고, 타측면(외측면)의 끈끈이(230)가 수목의 외부에 노출된다. 따라서, 양면롤트랩(200)은 일측면의 끈끈이(230)를 통해 수목에 이미 들어간 후 다시 나오려는 해충을 포살하고, 타측면의 끈끈이(230)를 통해 수목으로 들어오려는 해충을 포살한다. 즉, 양면롤트랩(200)은 양측면을 모두 활용하여 해충을 포충한다.
3차 방제단계는 전술한 단면롤트랩(100) 및 양면롤트랩(200)을 설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롤트랩(100, 200)들이 미설치된 수목의 하단부나 상부측으로 해충이 침입하여 수목이 고사된 시기에 실시된다. 특히, 3차 방제단계는 해충들의 번식기가 종료되어 더이상 해충들이 수목에 침입하지 않아도 되는 시기(대략 8월 내지 12월 경)에 실시된다. 물론, 3차 방제단계는 전술한 양면롤트랩(200)의 설치기간이 경과 한 후 실시된다. 이러한 3차 방제단계는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사된 수목을 선별하여 벌채한 후 훈증처리하여 해충을 박멸한다. 따라서, 3차 방제단계는 고사목의 해충이 주변의 수목으로 전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3차 방제단계는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사목을 선별하는 선별단계, 선별된 고사목을 벌채하는 벌채단계, 벌채목(310)을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적재하는 적재단계,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된 벌채목(310)을 비닐(320)로 덮어 포장하는 포장단계, (j)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320)의 하단부에 중량(330)을 제공하여 비닐(320)의 하단부를 지면에 고정시키며 비닐(320)의 내부를 밀폐상태로 만드는 고정단계, 그리고 (k)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320)의 일부를 일시적으로 개봉하여 비닐(320)의 내부에 훈증제(340)를 살포하는 살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3차 방제단계는 선별단계, 벌채단계, 적재단계, 포장단계, 고정단계 및 살포단계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술한 비닐(320)은 도 4의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의 상부면에 흙 및/또는 돌이 적재되어 중량(330)으로 작용함에 따라 하단부가 지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비닐(320)은 미도시된 약통의 훈증제 주입구가 삽입될 정도로 일부분이 절개되어 훈증제가 투입된 후 테이프 등으로 다시 절개된 부분이 밀봉되거나, 중량(330)이 제공된 하단부가 살짝 들어올려지면서 일부분이 일시적으로 개봉됨에 따라 개봉된 틈으로 약통의 훈증제 주입구가 삽입되어 훈증제가 투입된다.
훈증제는 메탐소듐과 같이 액상에서 기상으로 상변환하는 액상제제로 구성되거나, 분말 또는 정제형(알약형태)의 고상제제로 구성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비닐(320)의 일부를 통해 비닐(320)의 내부로 투입된다. 이러한 훈증제는 통상적인 제품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단면롤트랩(100)이나 양면롤트랩(200)은 도 3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140)에 의해 수목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단면롤트랩(100)이나 양면롤트랩(200)은 스테플러나 핀의 형태로 구성된 체결부재(140)가 관통하여 수목에 체결됨에 따라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단면롤트랩(100)이나 양면롤트랩(200)은 장기간이 경과하여도 수목에서 흘러내리지 않는다.
또한, 단면롤트랩(100)이나 양면롤트랩(200)은 수목의 외피가 요철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최상단의 상단부가 기밀상태로 실링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면롤트랩(100)이나 양면롤트랩(200)은 최상단부가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면롤트랩(100)이나 양면롤트랩(200)은 도면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최상단부가 실리콘(150)으로 밀봉된다. 실리콘(150)은 단면롤트랩(100)의 상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도포된다. 이때, 실리콘(150)은 요철에 의해 굴곡을 갖는 수피의 홈에 충전되면서 수피의 홈을 단면롤트랩(100)이나 양면롤트랩(200)의 최상단부와 함께 실링한다.
실리콘(150)은 기온차나 풍수에 의해 수목에서 박리될 수 있다. 따라서, 실리콘(150)은 도면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이 테이프(160)로 테이핑될 수 있다. 이러한 테이프(160)는 실리콘(150)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단면롤트랩(100)이나 양면롤트랩(200)의 최상단부를 2차적으로 실링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수목의 해충방제방법은, 1차 방제단계 또는 2차 방제단계를 실시하기 전이나 실시한 후에 추가방제단계가 추가로 실시될 수 있다. 즉, 추가방제단계는 단면롤트랩(100)이나 양면롤트랩(200)을 설치하기 전 또는 설치한 후에 수목을 방제하는 단계이다. 추가방제단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에 방충제(420)를 투약하고 수목의 내부에 침입한 해충이나 해충이 낳은 알을 살충하여 수목을 방제한다.
추가 방제단계는 도 5의 (l)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의 적정 위치에 약제공급공(410)을 천공하는 천공단계, 천공된 약제공급공에 방충제(420)를 투입하는 투입단계 및 (m)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공급공(410)을 실링부재(430)로 차폐하여 약제공급공(410)을 밀폐하는 실링단계를 포함한다.
방충제(420)는 전술한 훈증제와 같은 휘발성의 액상제제(421)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액상제제(421)는 도 5의 (l)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장치(420a)에 의해 약제공급공(410)의 내부에 주입된다. 그리고, 액상제제(421)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실링부재(430)에 의해 약제공급공(410)이 밀폐됨에 따라 약제공급공(41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액상제제(421)는 약제공급공(410)의 내부에서 휘발되어 수목의 미도시된 양분공급 통로(예: 물관)를 통해 수목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휘발된 액상제제(421)는 전술한 단면롤트랩(100)이나 양면롤트랩(200)으로 포충할 수 없는 해충의 알이나, 갓 부화되어 먹이활동을 위해 수목의 내부에서만 활동하는 유충까지 박멸한다. 이에 따라, 추가방제단계는 전술한 1차 내지 3차 방제단계로 박멸할 수 없는 해충까지도 박멸한다.
한편, 방충제(420)는 도 5의 (m) 및 (n)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말형 또는 정제형의 고상제제(422)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고상제제(422)는 예컨대, 인화늄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분말형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주입장치(420a)에 의해 약제공급공(410)에 주입되고, 정제형의 경우 작업자에 의해 약제공급공(410)에 투입된다. 이러한 고상제제(422)는 약제공급공(410)에서 서서히 분해되면서 가스형태로 수목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고상제제(422)는 수목의 내부에 존재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해충들을 박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방충제(420)는 전술한 액상제제(421)의 보관 및 취급이 편리하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제제(421)가 연질의 캡슐 속에 보관되는 약제캡슐(423)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약제캡슐(423)은 통상의 스쿠알렌과 같은 젤라틴 재질의 단일체형 캡슐에 액상제제(421)가 내장된다. 따라서, 약제캡슐(423)은 시간이 경과한 후 캡슐이 자연적으로 생분해되어 내부의 액상제제(421)가 유출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후술되는 바와 같은 실링부재(430)에 의해 강제로 파열되어 액상제제(421)가 유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충제(420)는 약제공급공(410)의 내부에서 약제캡슐(423)이 파열되어 내부의 액상제제(421)가 휘발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수목의 내부에 존재하는 해충들을 박멸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링부재(4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화되거나 가스형태로 분해되는 약제가 수목에 전제척으로 골고루 공급되도록, 약제공급공(410)을 밀봉하여 약제가 수목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링부재(430)는 예컨대, 도 5의 (m)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란트(431)로 구성하거나, 도 5의 (n)이나 도 6에 도시된 봉형태의 인서트(432)로 구성할 수 있다.
실란트(431)는 도 5의 (m)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공급공(410)의 단부만을 밀폐하도록 수목에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부재(430)는 실란트(431)로 구성될 경우 도 5의 (m)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란트(431)의 표면에 부착되는 박판이나 박막형의 보호재(431a)가 추가로 구성된다. 이러한 보호재(431a)는 실란트(431)의 점성력에 의해 실란트(431)의 표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보호재(431a)는 실란트(431)에 용이하게 부착된다.
이러한 보호재(431a)는 예컨대, 생분해성 박막이나 목재로 이루어진 박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박막은 예컨대, 생분해성 비닐이나 종이 또는 섬유(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박판은 코르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재(431a)는 외부로 노출된 실란트(431)를 우수나 바람으로부터 보호하여 실란트(431)가 단기간에 소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보호재(431a)는 약제공급공(410)이 새로운 세포에 의해 메워지는 동안 실란트(431)가 소실되어 약제공급공(410)으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인서트(43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짧게 형성된 막대로 구성되어 약제공급공(410)의 단부만을 밀폐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공급공(410)에 투입된 전술한 연질의 약제캡슐(432)을 파열시키도록 약제공급공(41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길게형성된 막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인서트(43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치나 미도시된 막대 또는 돌맹이 등에 의해 약제공급공(410)에 압입되어 고정된다. 인서트(432)는 약제공급공(410)에 용이하게 압입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형의 쐐기형 막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단면롤트랩(100)이나 양면롤트랩(200)은 하단의 근부로 갈 수록 수목이 굵어질 경우 수목의 하단부에 설치가 어렵다. 특히, 단면롤트랩(100)이나 양면롤트랩(200)은 근부가 굵을 뿐만 아니라 굴곡이 심할 경우에는 더욱 설치가 어렵다. 따라서, 수목은 단면롤트랩(100)이나 양면롤트랩(200)이 하단부에 설치가 안될 경우 하단부를 통해 해충이 침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목의 하단부로 해충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단면롤트랩(100)이나 양면롤트랩(200)을 설치하기 전에 수목의 근부측 하단부를 박막식 커버재로 커버하는 커버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단계는 커버재 고정단계, 커버재 접합단계 및 커버재 고정단계로 구성된다.
커버재 고정단계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1)의 근부측 하단부를 방충망이나 비닐로 이루어진 커버재(51)로 둘러싸고, 스테플러와 같은 체결부재(53)로 커버재(51)의 상단부를 수목(1)에 고정하는 단계이다. 커버재 접합단계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재(51)로 수목(1)을 감싸서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커버재(51)의 테두리를 테이프나 스테플러와 같은 접합부재(55)로 접합하는 단계이다. 커버재 고정단계는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재(51)의 하단부에 흙 및/또는 돌로 중량(SL)을 제공하여 커버재(51)의 하단부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전술한 커버단계는 전술한 커버재(51)가 비닐로 구성될 경우, 전술한 커버재 고정단계에 의해 커버재(51)의 하단부를 지면에 고정한 후, 앞서 설명된 3차 방제단계에서 처럼 커버재(51)의 일부분을 들어올리거나 절개하여 커버재(51)의 일부분으로 전술한 훈증제를 주입하는 수목하단부 방제단계가 추가로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수목하단부 방제단계는 수목(1)의 하단부에 이미 침입한 해충을 박멸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수목의 해충방제방법은, 해충의 유충이 부화하여 수목(1)의 외부로 나오려는 시기에 해당하는 초봄에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롤트랩(100)을 설치한다. 이때, 단면롤트랩(100)은 수목(1)의 하단부가 너무 굵을 경우,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1)의 하단부에 전술한 커버재(51)가 설치된 이후 수목(1)에 권회된다. 단면롤트랩(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플러와 같은 체결부재(140)에 의해 수목(1)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단부가 실리콘(150)으로 밀봉된 후 테이프(160)로 테이핑된다. 따라서, 단면롤트랩(100)은 수목(1)에 부착된 상태로 끈끈이(130)가 도포된 일측면, 즉 수목의 수피에 부착된 일측면을 통해 수목(1)에서 외부로 나오려는 해충을 포충하여 포살하며, 상부나 하부에 실리콘(150) 및 커버재(51)가 설치됨에 따라 상부나 하부로는 해충이 유입되지 않는다. 이러한 단면롤트랩(100)은 약 1개월 내지 3개월이 지난 후 생분해되거나 강제로 제거된다.
양면롤트랩(200)은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롤트랩(100)이 제거된 후 단면롤트랩(100)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목(1)에 설치된다. 따라서, 양면롤트랩(200)은 해충의 산란기에 해당하는 늦봄이나 초여름에 수목(1)에 설치된다. 이러한 양면롤트랩(200)은 양측면의 끈끈이(230)으로 수목(1)에서 밖으로 나오는 해충 및 외부에서 수목(1)으로 들어가려는 해충을 모두 포충하여 포살한다.
작업자는 해충의 산란기가 완료되면, 단면롤트랩(100)이나 양면롤트랩(200)이 설치된 수목(1)들 중에서 해충에 의해 고사된 고사목을 선별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도 1의 (c)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사목을 절단하여 벌채목(310)을 만든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채목(310)을 비닐로 밀봉시켜서 훈증제로 훈증한다. 따라서, 고사목의 해충은 벌목훈증에 의해 박멸되며, 이에 따라 다른 수목을 전염시키지 않는다.
한편, 전술한 커버재(51)가 설치된 수목(1)은 하단부가 훈증제로 훈증될 수 있다. 즉, 수목(1)은 커버재(51)로 밀봉된 하단부에 훈증제가 주입될 경우 하단부가 방제된다.
다른 한편, 수목(1)은 단면롤트랩(100)이나 양면롤트랩(200)이 설치되기 이전이나 이후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제제(421)나 분말 또는 정제형의 고상제제(421, 422)로 이루어진 방충제(420)가 약제공급공(410)으로 투약될 수 있다. 방충제(4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1)에 천공된 약제공급공(410)으로 투입된 후 실란트(431)나 인서트(432)로 이루어진 실링부재(430)에 의해 약제공급공(410)이 밀봉됨에 따라,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약제공급공(410)의 내부에서 휘발되거나 가스형태로 분해되어 수목(1)의 양분공급 통로를 통해 수목(1)에 전체적으로 공급된다. 이때, 방충제(420)는 기체형태로 공급됨에 따라 수목(1)에 골고루 원활하게 공급된다. 따라서, 방충제(420)는 수목(1)의 내부에 존재하는 해충을 박멸한다.
방충제(4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제제(421)가 연질의 캡슐 속에 보관되는 약제캡슐(423)로 구성될 경우, 약제공급공(410)에 투입된 후 약제공급공(410)을 밀봉하는 인서트(432)에 가압되어 파열된다. 따라서, 액상제제(421)는 수목(1)의 내부에서 휘발됨에 따라 수목(1)에 전체적으로 확산되어 해충을 박멸한다. 이러한 약제캡슐(423)형 방충제(420)는 인서트(432)에 의해 파열되지 않을 경우 젤라틴으로 제조됨에 따라 일정기간이 경과되면 자연분해되면서 액상제제(421)를 휘발시킨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해충의 유충이 활동하는 시기에는 수목(1)을 랩핑하는 단면롤트랩(100)을 이용하여 단면롤트랩(100)의 일측면에만 도포된 끈끈이(130)로 수목(1)의 외부로 나오는 유충을 포살하여 살충하고, 해충이 성장하여 성충으로 활동하는 시기에는 수목(1)을 랩핑하는 양면롤트랩(200)을 이용하여 양면롤트랩(200)의 양측면에 도포된 각각의 끈끈이(230)로 수목(1)의 외부로 나오려는 해충 및 수목(1)의 내부로 들어오려는 해충을 동시에 포살하여 살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부의 포살되지 않은 해충에 의해 고사된 고사목을 벌채훈증으로 다시 한번 방제하여 다단계에 걸쳐서 해충을 거의 완벽하게 박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사목의 주변의 수목으로 해충이 전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사목을 벌채한 후 벌채목(310)을 밀봉상태에서 훈증제를 훈증하여 해충을 방제하므로 훈증제의 살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해충이 수목(1)에 존재한다 하여도 수목(1)을 천공한 후 방충제(420)를 투입하여 추가방제를 실시하므로 수목(1)의 내부에 존재하는 해충, 특히 부화전의 알이나 갓 부화된 애벌레까지도 확실하게 방제할 수 있다.
또한, 방충제(420)가 휘발성의 액상제제(421)로 구성될 경우 단시간에 방충제(420)를 수목(1)의 양분공급 통로를 따라 확산시킬 수 있고, 분말형 또는 정제형의 고상제제(421, 422)로 구성될 경우 장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방충제(420)를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액상제제(421)로 이루어진 방충제(420)가 젤라틴 재질의 단일체형 캡슐에 내장된 후 길게 형성된 인서트(432)로 이루어진 실링부재(430)에 의해 파열되도록 구성될 경우, 방충제(420)의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방제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실링부재(430)가 실란트(431)로 구성될 경우 약제공급공(410)을 기밀상태로 차폐할 수 있고, 이와 달리 인서트(432)로 구성될 경우 인서트(432)를 약제공급공(410)에 압입해서 밀봉하므로 약제공급공(410)을 용이하게 차폐할 수 있다.
더욱이, 커버재(51)로 수목(1)의 근부측 하단부를 차폐할 경우 직경이 너무 커서 롤트랩(100, 200)으로 랩핑이 안되는 수목(1)의 하부측으로 해충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 예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하는 것이다.
100 : 단면롤트랩 110 : 보빈
120 : 필름 130 : 끈끈이
140 : 체결부재 150 : 실리콘
200 : 양면롤트랩 310 : 벌채목
320 : 비닐 340 : 훈증제
410 : 약제공급공 420 : 방충제

Claims (6)

  1. 수목의 수간에 권회되어 수목으로 침입하는 해충을 포충하여 살충하는 수목용 랩핑식 롤트랩을 이용하여 해충으로부터 수목을 방제하는 수목의 해충방제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목의 둘레와 접촉되는 일측면에 끈끈이가 도포된 단면롤트랩을 상기 수목의 수간에 랩핑하여 고정하는 1차 방제단계;
    상기 단면롤트랩이 설치된 후 설정된 기간이 경과하여 상기 단면롤트랩이 제거되면, 양측면에 끈끈이가 도포된 양면롤트랩을 상기 수목의 수간에 랩핑하여 고정하는 2차 방제단계; 및
    상기 양면롤트랩이 설치된 후 설정된 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양면롤트랩이 설치되었던 상기 수목 중에서 고사목을 선별하여 벌채훈증으로 해충을 방제하는 3차 방제단계;를 포함하는 수목의 해충방제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 방제단계는,
    상기 수목 중에서 고사목을 선별하는 선별단계;
    상기 선별단계에서 선별된 고사목을 벌채하는 벌채단계;
    상기 벌채목을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적재하는 적재단계;
    상기 벌채목을 비닐로 덮어 포장하는 포장단계;
    상기 비닐의 하단부에 중량을 제공하여 비닐의 하단부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단계; 및
    상기 비닐의 일부를 일시적으로 개봉하여 비닐의 내부에 훈증제를 살포하여 훈증하는 훈증단계;를 포함하는 수목의 해충방제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방제단계 또는 2차 방제단계를 실시하기 전이나 실시한 후에 상기 수목에 방충제를 투약하여 수목을 방제하는 추가방제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방제단계는,
    상기 수목의 수간의 적정 위치에 약제공급공을 천공하는 천공단계;
    상기 약제공급공에 상기 방충제를 투약하는 투약단계; 및
    상기 약제공급공을 실링부재로 차폐하여 밀폐하는 실링단계;를 포함하는 수목의 해충방제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방제단계는,
    상기 방충제가 휘발성의 액상제제나 분말형 또는 정제형의 고상제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해충방제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방제단계는,
    상기 액상제제가 연질의 캡슐 속에 보관되는 약제캡슐을 이용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가 실링부재가,
    상기 약제공급공에 압입되어 상기 약제공급공을 차폐하는 봉형태의 인서트로 구성되되, 상기 약제공급공의 천공된 깊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약제공급공에 투입된 상기 약제캡슐을 파열시킴으로써, 상기 약제캡슐에서 상기 액상제제가 유출되어 방제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해충방제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단계는,
    상기 실링부재가 실란트나 봉형태의 인서트로 구성되어 상기 약제공급공의 입구를 밀봉하거나 상기 약제공급공에 압입되어 상기 약제공급공을 차폐함으로써, 상기 약제공급공을 수밀상태로 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해충방제방법.
KR1020130137797A 2013-11-13 2013-11-13 수목의 해충방제방법 KR101371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797A KR101371664B1 (ko) 2013-11-13 2013-11-13 수목의 해충방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797A KR101371664B1 (ko) 2013-11-13 2013-11-13 수목의 해충방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1664B1 true KR101371664B1 (ko) 2014-03-07

Family

ID=50647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7797A KR101371664B1 (ko) 2013-11-13 2013-11-13 수목의 해충방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6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2722A (zh) * 2022-08-26 2022-10-11 额济纳旗林业工作站 一种林业有害生物防治用防护装置
KR102462095B1 (ko) 2022-04-07 2022-11-01 임창호 혹파리 해충 방제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1306U (ko) * 2007-11-26 2007-12-20 정길호 재선충 감염목(木)의 스팀 고온고압 방제에 대한 방법
KR100955702B1 (ko) 2009-11-12 2010-04-30 푸른공간 주식회사 수목용 랩핑식 롤트랩에 의한 수목해충방제방법
KR101183103B1 (ko) 2009-11-11 2012-09-27 대한민국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 및 이에 의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
KR20130137797A (ko) * 2012-06-08 2013-12-18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개선된 롤 표면 코팅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1306U (ko) * 2007-11-26 2007-12-20 정길호 재선충 감염목(木)의 스팀 고온고압 방제에 대한 방법
KR101183103B1 (ko) 2009-11-11 2012-09-27 대한민국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 및 이에 의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
KR100955702B1 (ko) 2009-11-12 2010-04-30 푸른공간 주식회사 수목용 랩핑식 롤트랩에 의한 수목해충방제방법
KR20130137797A (ko) * 2012-06-08 2013-12-18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개선된 롤 표면 코팅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095B1 (ko) 2022-04-07 2022-11-01 임창호 혹파리 해충 방제방법
CN115152722A (zh) * 2022-08-26 2022-10-11 额济纳旗林业工作站 一种林业有害生物防治用防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1982B1 (ko) 해충방제를 위한 신규한 방법 및 재료
KR100955702B1 (ko) 수목용 랩핑식 롤트랩에 의한 수목해충방제방법
US6230435B1 (en) Tree trunk barrier for pest control
US8713849B2 (en) Insect trap
US5542207A (en) Process for controlling insect infestations in a structure
KR101183103B1 (ko)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 및 이에 의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
KR101371664B1 (ko) 수목의 해충방제방법
JP5722641B2 (ja) 穿孔性害虫の防除方法
KR101348879B1 (ko) 방충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한 수목용 방제방법
CN109644746A (zh) 一种园林大树白蚁的检测、诱集、灭杀方法
JP2004033177A (ja) 害虫監視駆除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害虫監視駆除方法
CN220630846U (zh) 一种树木防虫害装置
CN111296137B (zh) 一种针对蛀干害虫防治的三明治式药膜
CN201451118U (zh) 一种诱杀白蚁的装置
KR100870386B1 (ko) 에어블록과 약품블록을 구비한 해충박멸 롤팩
KR20170002565U (ko)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
US20240008471A1 (en) Arthropod and mollusc arrangement
CN218388863U (zh) 一种用于包裹苗木主干消灭蛀干害虫幼虫的药膜
JPH0423419Y2 (ko)
JP3217614U (ja) 昆虫を防止する網の止め具
JP2009268453A (ja) ヒガンバナ科球根圧搾液を使用した松食い虫松枯れ防止液
JP2628465B2 (ja) 害虫の防除捕獲装置
KR950006664B1 (ko) 육림용 살충테이프
JP2004107215A (ja) シロアリ駆除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ロアリ駆除方法
CN102523996A (zh) 毒环法防治上、下树害虫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