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565U -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 - Google Patents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565U
KR20170002565U KR2020160000065U KR20160000065U KR20170002565U KR 20170002565 U KR20170002565 U KR 20170002565U KR 2020160000065 U KR2020160000065 U KR 2020160000065U KR 20160000065 U KR20160000065 U KR 20160000065U KR 20170002565 U KR20170002565 U KR 201700025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migation
opening
pack
infect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0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대섭
박영훈
Original Assignee
엄대섭
박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대섭, 박영훈 filed Critical 엄대섭
Priority to KR20201600000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565U/ko
Publication of KR201700025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56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선충 확산 방지를 위해서 감염된 나무에 존재하는 재선충 및 그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를 장소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위생적으로 훈증하여 살균할 수 있기 위한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에 관한 것이다.
재선충에 감염된 나무를 훈증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은, 측부 및 하부가 밀폐되어 상기 감염된 나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 상기 감염된 나무를 입출(入出)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폐 및 개방시키기 위하여 암수 지퍼가 형성된 밀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바디부 내에 수용된 상기 감염된 나무의 병균이 훈증제에 의해 살균되도록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DISINFECTION FUMIGATION PACK FOR EXTERMINATING PINE TREE NEMATODE}
본 고안은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선충 확산 방지를 위해서 감염된 나무에 존재하는 재선충 및 그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의 유충을 장소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위생적으로 훈증하여 살균할 수 있기 위한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에 관한 것이다.
소나무 재선충이란 모양이 실같이 가늘게 생기고 소나무재 내부에서 서식하는 해충을 일컫는 것으로서, 소나무 재선충에 의하여 외부의 가해 없이 내부의 작용으로 소나무가 고사하여 나타나는 병을 소나무 재선충병이라고 한다. 일본에서 발병되어 아시아 전역으로 확산된 소나무 재선충병은 국내에서는 1988년 부산 동래에서 최초 발생하였으며, 소나무 재선충병의 박멸 및 확산방지를 위하여 산림청에서는 매년 막대한 예산과 인력을 투입하고 있으나 해마다 피해지역과 고사목의 수는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소나무 재선충은 소나무, 해송, 잣나무, 가문비나무, 전나무, 히말리야시다, 낙엽송 등을 기주식물로 하여 기생하며, 소나무 등에 침입한 후 나무 목질부의 수관으로 분산하며 번식한다. 재선충 자체의 이동능력은 없으나,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가 후식할 때 그 상처 부위로 침입한다.
소나무에 침입 후 1일째 되는 날은 150cm 정도 이동하며, 1일 평균 이동거리는 50cm 정도이다. 균식성으로 침입 초기는 유세포에 침구를 꽂아 영양분을 취해 먹고 소나무가 발병하여 수체 내에 곰팡이(보트리스균, 사상균)가 증식하면 곰팡이도 먹고 살면서 급격히 성장한다.
25℃에서 1세대 경과 소요 일수는 4 ~ 5일 정도이며 1쌍이 20일 후면 20만 마리로 증식하여, 기주식물의 가도관을 막아 수분상승을 차단하고, 독소인 셀룰라아제(Cellulase)를 분비하여 조직을 파괴시켜 기주식물을 고사케 한다.
솔수염하늘소는 자력이동 능력이 없는 재선충을 기주식물에 옮겨주고, 재선충은 소나무를 고사하게 하여 솔수염하늘소의 산란처를 제공해 주는 서로 특수한 공생관계에 있다.
현재 산림청 및 산림연구원 등 전문가들은 소나무 재선충을 소나무의 에이즈라 부르며 완전방제의 어려움이 있으며, 현재 소나무 재선충병의 방제방법으로 제안되고 있는 것으로는, 벌채 및 훈증에 의한 방제법, 벌채 및 파쇄에 의한 방제법, 벌채 및 소각에 의한 방제법 등이 있다.
그리고 항공방제를 통하여 솔수염하늘소의 이동, 번식을 막는 예방 또는 확산 방지차원의 방제활동을 하고 있다.
이 중, 벌채 및 훈증에 의한 방제법은 국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고사나무를 베어 1 ~ 2m 크기로 쌓은 뒤 나무 위에 훈증제인 메탐소디움(Metamsodium)이라는 약품의 원액을 뿌린 뒤 비닐을 씌워 밀봉한다. 이 약제가 나무속 수분과 만나면서 가스가 발생, 매개충과 재선충을 죽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채 및 훈증에 의한 방제법은 ① 감염목을 벌채하고 ②벌채된 감염목을 층적하고 ③ 소정 길이로 다듬어 차후 훈증비닐을 덮기 용이하게 하고 ④ 훈증제를 투입하고 ⑤ 훈증비닐을 덮고 훈증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흙을 파서 하단부를 쫌쫌히 흙으로 덮고 ⑥ 감염목을 훈증비닐로 완전히 밀봉하여 훈증한다.
또한, 소나무 재선충 방제 매뉴얼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1) 작업단 구성규모
작업단 구성 인원은 1개반이 9명 내외가 적당하며 작업반원 별로 임무 부여가 명확해야 한다. (벌채조 2명, 수거조 3~4명, 훈증조 2명, 자재수급조 1명)
(2) 현장 설명 및 작업준비
소요자재를 발주관청에서 지급한다. (훈증비닐, 훈증약제, 마킹테이프, 기계톱 등)
작업착수 전에 낙찰업체 작업책임자와 설계서의 도면에 표시된 작업장 구역과 벌채 제거대상 소나무, 일일 작업투입인력 등을 설명한다. (설계감리 대상 작업장인 경우에는 설계자와 감리자를 참석시켜야 한다.)
(3) 작업요령 교육
작업 착수 첫날 작업인부 전원을 집합시켜 반드시 표시된 벌채 대상목만 제거하되 벌근 높이는 지표면에서 10㎝ 이내로 벌채한다. (표시되지 않은 고사목이나 감염목을 벌채 하였을 경우에는 작업량에서 제외조치함을 주지시킨다. 특히 감염목 주위에 있는 표시되지 않은 건전한 나무를 벌채하였을 때는 작업인부를 교체토록 한다.)
제거목을 훈증할 경우에는 다음 사항을 준수하도록 해야 한다. (벌채원목과 가지는 1m 길이로 자른다. 가지와 원목을 적당히 섞어서 집재하여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누락된 원목이나 가지가 없도록 주위를 잘 살핀다.)
※ 훈증규모 : 1㎥ (길이 1.5, 폭 1m, 높이 0.7m), 2㎥ (길이 2m, 폭 1m, 높이 1m)
(약제는 1㎥당 1통(킬퍼 1ℓ, 쏘일링 0.6ℓ)을 사용하되 비닐을 2/3 정도 덮은 다음에 집재목 가장자리에 약제를 골고루 뿌리고 완전히 밀봉한다. 벌근의 약제처리는 벌근당 50㎖ 정도의 약제를 뿌리는 것으로 한다.)
※ 경사진곳의 벌근은 가장자리의 복토된 흙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조치해야 한다.
(사용한 약통은 집재목 상단부 잘 보이는 비닐 속에 넣는다. 비닐을 덮은 후 작업일자, 고유번호, 처리약량, 작업자 이름을 반드시 기록한다. 벌근훈증시에 비닐이 찢어지지 않도록 한다. 벌근에도 고유번호를 기록한다.)
잔가지 등 벌채산물 수집을 철저히 하여야 한다. (가지수집을 위한 갈퀴를 사용하고, 매일 작업종료 후 작업인부 전원이 작업지역의 잔가지 등 잔존물 여부를 체크한다.)
작업단 대표자는 수시로 누락목이나 가지누락 또는 잘못된 사항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1) 사용약제 확보
시군구, 국유림관리소에서 일괄 구입하여 작업착수 교육시에 작업단별로 배부하여 사용토록 한다.
작업단별로 약제수불부를 기록하게 하여 일일 사용량과 재고량을 파악하여야 한다.
작업감독자 및 담당공무원 등이 점검시에는 반드시 약제수불부를 점검해야 한다.
(2) 비닐 등 자재확보
훈증시에 사용하는 비닐「타포린 피복제」은 시군구 국유림관리소에서 일괄 구입 배부한다. (타포린 피복제는 1㎥(3×4m) 2㎥(4×5m) 2종 규격품으로 생산된다.)
※ 벌근 피복용 타포린 피복제 규격 : 1m × 1m
(년도별 색깔을 구분하여 전국적으로 통일하여 공급이 가능하다. 작업년도, 일련번호, 경고문구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제작됨)
기계톱 및 벌목에 사용하는 장비는 제거대상목 직경에 알맞은 규격 (대중소)를 사용하도록 한다.
훈증처리지 사후관리
(1) 비닐피복 존치기간
훈증효과는 약제처리 후 7일 이상이 경과하면 목질내부의 매개충이 100% 폐사한다.
훈증 무더기의 비닐피복은 2년간 존치하여야 한다.
벌채된 소나무는 대부분이 벌채 후 2년이상 지나야 부패된다.
따라서 2년 이내에 비닐이 벗겨지면 매개충의 서식처 및 산란처로 활용될 수 있다.
(2) 비닐 피복 훼손시 처리
(3) 훈증종료 산물(무더기) 처리
훈증 처리 후 2년 경과된 무더기 중 임지 여건상 파쇄 이용이 가능한 것은 파쇄한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20여 년간 산림 방제를 수행하여 오면서, 현재 사용중인 훈증방법에 몇 가지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을 인지하게 되었다.
즉, 현재 훈증을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해목을 벌목후 조재, 층적을 거쳐 훈증비닐(타포린)으로 덮어야 하는데 흙이 없는 돌산과 같은 작업 지대에서는 훈증비닐 하부를 밀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부가 개방된 종래의 타포린 밀봉 작업으로는 땅속으로 훈증제(메탐소디움)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훈증을 위하여 배수로 및 평탄화 작업 등이 필요하여 많은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 10-0767783호, 발명의 명칭 "소나무 재선충 방제방법" (등록일 2007.10.10.)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재선충 확산 방지를 위해서 감염된 나무 내에 존재하는 재선충과 그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의 유충 및 각종 균들을 장소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위생적으로 훈증할 수 있는 재선충 감염목 살균 훈증팩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재선충에 감염된 나무를 훈증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은,
측부 및 하부가 밀폐되어 상기 감염된 나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 상기 감염된 나무를 입출(入出)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폐 및 개방시키기 위하여 암수 지퍼가 형성된 밀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바디부 내에 수용된 상기 감염된 나무의 병균이 훈증제에 의해 살균되도록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종래에 훈증을 위하여 감염목을 벌채한 후 층적하여 타포린으로 덮고 흙으로 묻어야 하는 하는데, 흙이 없으면 하단부를 완전히 밀봉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흙이 없거나 돌밭과 같은 지대에서도 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즉, 작업 환경이 어려운 지대에서도 용이하게 본 고안의 훈증팩을 이용하여 훈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작업시 주변에 배수로를 파고 흙으로 묻어야 하는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경사지 등에서도 고리부를 이용하여 주변에 고정하여 무너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재선충에 감염된 나무를 훈증하는 과정을 차례로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종래의 재선충에 감염된 나무를 훈증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밀폐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밀봉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밀봉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의 밀봉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먼저,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 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 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 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 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요소들 간의 크기 비율이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간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상에 나타나는 표현의 차이는 해당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 가능한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참고로, 본 고안에서 훈증이란 소나무 재선충의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의 유충이 우화하기 이전에 죽이기 위하여 훈증제(메탐소디움와 같은 살균약품)를 넣고 타포린을 덮어 가스가 새어나오지 못하게 주변을 흙 등으로 밀봉하여 죽이는 방법을 말한다.
여기서 타포린은 비닐만큼 가볍고 유연하면서도 질긴 방수 원단을 말한다. 일명 돗자리 원단이라고 하며, 폴리에스테르 위에 PVC를 합성하여 만들어진다. 수영 가방이나 비치 파라솔, 천막, 고급 쇼핑백, 자동차 커버 등의 소재로 사용된다.
소나무 재선충은 자체 이동 능력이 없고 솔수염하늘소가 우화되면 거기에 붙어서 솔수염하늘소가 소나무잎을 갉아먹을 때 안으로 들어가 급속하게 번식하여 나무를 고사 시킨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10)은 크게 바디부(100)와 상기 바디부(100)의 개방부(120)를 밀폐하는 밀폐부재(200)로 구분할 수 있고,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00)의 개방부(120)를 이중으로 차단하는 밀봉부재(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재선충에 감염된 나무를 훈증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10)은 측부 및 하부가 밀폐되어 상기 감염된 나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110)가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 상기 감염된 나무를 입출(入出)할 수 있는 개구부(120)가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바디부(100)와, 상기 바디부(100)의 개구부(120)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120)를 밀폐 및 개방시키기 위하여 암수 지퍼(210a, 210b)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밀폐부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상기 바디부(100) 내에 수용된 상기 감염된 나무의 병균이 훈증제에 의해 살균되도록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10)은 바디부(100)의 개구부(120)를 이중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바디부(100)의 개구부(120) 내측으로 형성된 절개부(120a)에 한 쌍의 암수 밀봉지퍼(310a, 310b)가 형성된 밀봉부재(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00)는 외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면과 면이 맞나는 선을 따라 리브(rib)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10)은 바디부(100)의 각 모서리에 고리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10)의 재질은 타포린일 수 있다.
그럼,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10)을 구성하는 기술적 수단들과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는 측부 및 하부가 밀폐되어 감염된 나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110)가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 상기 감염된 나무를 입출(入出)할 수 있는 개구부(120)가 형성된다.
바디부(100)는 육면체의 입체 형상을 가지며 필요에 따라서는 그 단면적이 다양한 형상 즉, 원형, 반원형, 타원형, 사각형, 마름모형, 사다리꼴형, 다각형 등을 가질 수 있다.
바디부(100)는 비닐만큼 가볍고 유연하면서도 질긴 방수 원단으로 타포린을 사용할 수 있다.
공간부(110)는 감염된 나무가 수용되어 안착되는 공간으로 바닥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측면부는 소정 높이를 형성하여 내부로 메탐소디움과 같은 약품인 훈증제를 투입할 때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도록 형성된다.
개구부(120)는 감염된 나무가 용이하게 출입(出入)될 수 있는 입출구(入出口)로 바디부(100)의 상부면 일측을 길이방향으로 종단하여 형성된다.
즉, 개구부(12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종단하는 좌우 측면 상측을 포함하여 가로질러 형성되는 슬롯 타입으로 감염된 나무를 용이하게 출입시킬 수 있도록 입구를 형성한다.
절개부(120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20) 내측으로 바디부(100)의 상부 내측 일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내피 표면에 형성된다.
리브(rib)부(130)는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입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면과 면이 맞나는 모서리 선을 따라 형성되는 뼈대로 바디부(100)의 외형을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리브부(130)는 바디부(100)의 재질보다 단단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디부(100)의 면과 면이 맞나는 모서리를 따라 이중으로 박음질하여 힘을 받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바디부(100)가 그 외형을 유지될 수 있게 하여 감염목 등을 소정 크기로 용이하게 적재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만들어 준다.
고리부(140)는 중앙에 구멍이 뚫려있는 고리 형상의 파지부로, 바디부(100)의 모서리가 만나는 꼭지점에 구비되어 바디부(100)가 바람이나 외부 힘에 의해 쉽게 허물어지지 않고 밧줄이나 끈으로 잘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디부(100)의 재질은 가급적 질기어야 나무가 쌓이는 동안 찢어지지 않고, 주변에 고정하는 고리부(140)가 쉽게 떨어지는 경우를 막을 수 있다.
도 5는 밀폐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고, 도 6은 밀봉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며, 도 7은 밀봉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밀폐부재(200)는 바디부(100)의 개구부(120)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120)를 밀폐 및 개방시키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암수 지퍼(210a, 210b)가 형성된다.
특히, 밀폐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야 층적이 용이하게 된다.
밀폐부재(200)는 통상의 기술인 지퍼(zipper)를 이용할 수 있고 한 쌍의 평행한 암수 지퍼(210a, 210b)를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슬라이드(220)를 구비할 수 있다.
밀폐부재(200)를 통하여 바디부(100)의 개구부(120)를 용이하게 개방하여 감염된 나무를 수용시킨 후 용이하게 닫을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하고, 바디부(100) 내에 수용된 감염목의 병균이 밀폐되어 훈증제에 의해 살균될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고안에서 밀폐부재(200)는 훈증시에 감염된 나무에 잔류하고 있는 병균이 외부로 탈출하지 못하게 하고 훈증제에서 나오는 내부의 살균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 주위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작업이 용이하도록 개구부(120)를 개폐할 수 있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지퍼(zipper)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부재(200)의 하나의 예로 가장자리에 서로 이가 맞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조각을 띠(tape)에 나란히 두 줄로 박아서, 그 두 줄을 슬라이드로 밀고 당겨 여닫을 수 있도록 만든 닫힘 용구이다.
지퍼(zipper)는 띠(tape)에 좌우 한 줄로 늘어선 이[齒]를 중앙의 손잡이를 잡아당김으로써 서로 맞물려 닫히고,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열리게 하는 원리이다. 지퍼의 소재는 금속·나일론·플라스틱 등이며, 길이나 크기는 용도에 따라 각각 달라 질 수 있다.
밀봉부재(300)는 바디부(100)의 개구부(120)를 이중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바디부(100)의 개구부(120) 내측으로 형성된 절개부(120a)에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암수 밀봉지퍼(310a, 310b)가 형성된다.
밀봉부재(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예인 통상의 기술인 비닐팩 등에 적용하는 밀봉지퍼를 이용할 수 있고 한 쌍의 평행한 암수 밀봉지퍼(310a, 310b)를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개폐부재(320)를 구비할 수 있다.
밀봉부재(300)는 더욱 자세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female) 밀봉지퍼(310a) 및 수(male) 밀봉지퍼(310b)가 상호 결합하여 밀봉하므로 외부에서 내부로 또는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을 차단하여 효율적인 밀봉이 가능하게 한다.
즉, 밀봉부재(300)는 건물의 이중 문(double door)과 같이 내외부 물체의 이동을 밀폐부재(200)가 1차로 차단하고 2차로 차단하는 이중 차단 기능을 한다. 즉, 본 고안에서 밀봉부재(300)는 훈증시에 감염된 나무에 잔류하고 있는 병균이 외부로 탈출하지 못하게 하고 내부의 살균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 주위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이중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밀봉부재(300)를 통하여 밀폐부재(200)의 차단 기능을 이중으로 보완하여 바디부(100) 내에 수용된 감염된 나무의 병균이 훈증제에 의해 완전히 살균될 수 있게 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의 밀봉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재선충 감염된 나무(T)를 확인하고 그 주위에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훈증팩(10)을 설치할 공간을 확보한 후 가설치한다.
다음, 재선충 감염된 나무를 벌채하여 훈증팩(10) 내에 수용하기 용이한 소정 길이로 절단한다.
다음, 가설치된 훈증팩(10)에 개구부(120)가 닫혀 있으면 개방하여 벌채된 감염목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시킨다.
이때, 바디부(100)의 리브부(130)가 공간부(110)를 형성하여 유지시킨다.
다음, 상기 내부 공간으로 상기 벌채된 감염목을 차례차례 층적시켜 안착시킨다.
이때, 층적된 감염목들이 쉽게 무너지지 않도록 점검하여 쌓는다.
다음, 감염목이 쌓여진 훈증팩(10) 내부에 메탐소디움 약품(훈증제)을 투입한다.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된 훈증제가 외부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개구부(120)에 장착된 밀폐부재(200)를 이용하여 입구를 차단한다.
이때, 밀폐부재(200)의 슬라이드(220)를 이용하여 사람이 파지하여 용이하게 개구부(120)를 닫을 수 있다.
또한, 밀봉부재(300)가 구현되어 있으면 먼저 밀봉부재(300)의 개폐부재(320)를 이용하여 닫은 후에 밀폐부재(200)를 닫는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증팩(10)이 바람이나 외부 힘에 의해 쓸어지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주위에 있는 중량물 등에 밧줄이나 끈으로 바디부(100)의 고리부(140)를 고정한다.
특히, 고리부(140)를 고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캠핑용 앵커팩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주위에 바위나 단단한 고정체 등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훈증팩(10)을 설치하는 지대가 경사가 있거나 평탄하지 못할지라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훈증팩(10)은 비닐만큼 가볍고 유연하면서도 질긴 방수 소재(타포린)로 이루어져 외부 환경에서도 훈증 기능을 확실히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소정의 과정을 통하여 종래에 흙을 파고 배수로를 만들며 하부를 밀봉하는 일련의 힘든 과정을 소거할 수 있으므로 더욱 신속하고 간편하며 위생적인 재선충 방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종래에는 훈증제(메탐소디움 액)가 땅속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어 산림 환경을 훼손시킬 수 있고, 흙이 없거나 경사가 깊은 산지에서는 작업이 불가능한 상황을 본 고안이 제안하는 훈증팩을 통하여 극복할 수 있다.
또한, 감염목을 훈증함에 있어서, 공기 즉, 산소가 접촉할 수 없도록 밀폐 또는 밀봉 상태로 유지하게 하게 되면,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10) 내부에 있는 재선충 병균들을 확실하게 박멸할 수 있게 된다.
이후, 훈증팩(10) 내의 감염목(T)에 대한 완전 살균이 확인되면 소나무 재선충 방제 실무 매뉴얼에 따라 이후 공정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종래에 훈증을 위하여 감염목을 벌채한 후 층적하여 타포린으로 덮고 흙으로 묻어야 하는 하는데, 흙이 없으면 하단부를 완전히 밀봉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흙이 없거나 돌밭과 같은 지대에서도 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즉, 작업 환경이 어려운 지대에서도 용이하게 본 고안의 훈증팩을 이용하여 훈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작업시 주변에 배수로를 파고 흙으로 묻어야 하는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경사지 등에서도 고리부를 이용하여 주변에 고정하여 무너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지금까지 실시 예를 통하여 본 고안의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실용신안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본 고안이 제안하는 훈증팩
100 : 바디부
200 : 밀폐부재
300 : 밀봉부재

Claims (5)

  1. 재선충에 감염된 나무를 훈증하기 위한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에 있어서,
    측부 및 하부가 밀폐되어 상기 감염된 나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 상기 감염된 나무를 입출(入出)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폐 및 개방시키기 위하여 암수 지퍼가 형성된 밀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바디부 내에 수용된 상기 감염된 나무의 병균이 훈증제에 의해 살균되도록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개구부를 이중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 내측으로 형성된 절개부에 한 쌍의 암수 밀봉지퍼가 형성된 밀봉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그 외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면과 면이 맞나는 선을 따라 리브(rib)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모서리에 고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재질은 타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
KR2020160000065U 2016-01-06 2016-01-06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 KR201700025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065U KR20170002565U (ko) 2016-01-06 2016-01-06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065U KR20170002565U (ko) 2016-01-06 2016-01-06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565U true KR20170002565U (ko) 2017-07-17

Family

ID=59399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065U KR20170002565U (ko) 2016-01-06 2016-01-06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56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2519A (ko) * 2016-08-24 2018-03-06 장병철 진공을 형성함으로써 재선충을 훈증하는 방법
CN111657248A (zh) * 2020-07-20 2020-09-15 深圳市名高科技有限公司 松材线虫病防治疫木消杀袋及防治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783B1 (ko) 2006-07-26 2007-10-17 김종현 소나무재선충 방제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783B1 (ko) 2006-07-26 2007-10-17 김종현 소나무재선충 방제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2519A (ko) * 2016-08-24 2018-03-06 장병철 진공을 형성함으로써 재선충을 훈증하는 방법
CN111657248A (zh) * 2020-07-20 2020-09-15 深圳市名高科技有限公司 松材线虫病防治疫木消杀袋及防治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piro-Ilan et al. Efficacy of Steinernema carpocapsae for control of the lesser peachtree borer, Synanthedon pictipes: Improved aboveground suppression with a novel gel application
JPH09501041A (ja) 害虫管理の新規な方法および材料
KR100955702B1 (ko) 수목용 랩핑식 롤트랩에 의한 수목해충방제방법
KR20170002565U (ko) 재선충 감염목 살균용 훈증팩
JP4523856B2 (ja) 穿孔性害虫の防除材及び防除方法
CN202374916U (zh) 一种白蚁诱杀装置
KR101046456B1 (ko) 훈증용 백
KR101183103B1 (ko)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 및 이에 의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
CN113455261A (zh) 一种控制松材线虫病疫情不扩散的综合治理方法
Talekar Controlling eggplant fruit and shoot borer
Schreiber et al. Dutch elm disease and its control
JP2008100920A (ja) 害虫駆除材
KR101371664B1 (ko) 수목의 해충방제방법
Hadlington et al. Australian trees: their care and repair
KR101828780B1 (ko) 매개충 격리용 친환경 메쉬백 및 이를 이용한 매개충 방제 방법
Paulson et al. Introducing ants (Hymenoptera: Formicidae) into pear orchards for the control of pear psylla, Cacopsylla pyricola (Foerster)(Homoptera: Psyllidae)
US11284571B2 (en) Pest control plant container
Staunton et al. Chemical and biological control of mushroom pests and diseases.
JP4540010B1 (ja) 株立ち植物用防虫ネット
de Márquez Floriculture and the Environment: growing flowers without methyl bromide
CN206078724U (zh) 一种油橄榄种植用昆虫诱捕装置
JPH0423419Y2 (ko)
JP2009268453A (ja) ヒガンバナ科球根圧搾液を使用した松食い虫松枯れ防止液
Lopes et al. Efficacy of two traps and three different pheromone-based attractants to control the banana weevil adults Cosmopolites sordidus (Coleoptera: Curculionidae) in banana orchards on Terceira Island, Azores.
De Faveri et al. Area-wide management of methyl eugenol attracted fruit flies in mango: a systems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