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103B1 -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 및 이에 의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 - Google Patents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 및 이에 의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103B1
KR101183103B1 KR1020090108760A KR20090108760A KR101183103B1 KR 101183103 B1 KR101183103 B1 KR 101183103B1 KR 1020090108760 A KR1020090108760 A KR 1020090108760A KR 20090108760 A KR20090108760 A KR 20090108760A KR 101183103 B1 KR101183103 B1 KR 101183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pests
roll trap
sticky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1936A (ko
Inventor
서상태
김경희
이상현
우종영
박영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90108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103B1/ko
Publication of KR20110051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8Adhesive bands or coatings for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끈끈이 롤트랩 및 이에 의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롤트랩(60)은 양면(63,64)에 점성소재로 된 접착층(60b) 및 끈끈이로 된 포살층(60c)을 갖는 씬필름(60a)이 보빈(69)에 권취되어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술한 포살층(60c)은 살충제나 병해충을 유인하는 점액질이나 분말형태의 유인제가 함유되고, 전술한 접착층(60b)은 친수적이면서 방충성을 갖는 숯분말이나 황토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함유된다. 본 발명에 의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은, 수목(1)의 지제부측 하단부를 박막식 커버재로 커버링하고, 커버재로 커버된 부위에서부터 상기 롤트랩(60)을 권회하여 커버재의 상부에 위치한 수목(1)의 수간을 랩핑한 후, 체결부재로 롤트랩(60)을 수목(1)의 수간에 고정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롤트랩(60)의 포살층(60c)을 통해 다수의 병해충을 포충할 수 있으며, 롤트랩(60)을 수목(1)에 권회하면 방제작업이 사실상 완료되므로 수목의 병해충 방제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롤트랩, 수간, 포충, 체결

Description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 및 이에 의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 { Sticky rolltrap and Control method of forest pests and diseases by using sticky rolltrap }
본 발명은 수목병해충 방제에 사용되는 포충용 물품 및 이에 의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병해충을 유인하여 포충하는 살충제 비살포식 물품 및 이에 의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해충은 수목에 피해를 주는 곤충류를 칭한다. 이러한 병해충은 주로 봄부터 가을까지 활발히 활동을 하면서 수목에 피해를 가한다. 병해충은 기후에 따라 다양하게 변하고, 주택지거나 공장과의 거리, 지형이나 그 밖의 환경요인에 따라 다르게 평가된다.
1970년대 중반까지는 솔나방, 솔잎혹파리, 미국흰불나방, 오리나무잎벌레 등의 병해충 4종과 잣나무털녹병을 포함하여 산림의 5대 병해충이 크게 문제가 되었으나, 1980년대에는 솔나방 피해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솔잎혹파리의 피해가 지속적으로 확산되며 솔껍질깍지벌레, 잣나무넓적잎벌, 황철나무알락하늘소, 버즘나무방패벌레 등 새로운 병해충이 등장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수목에 곰팡이를 생성하도록 매개하는 병해충인 광릉긴나무좀의 활동으로 인하여 참나무시들음병이 크게 문제되고 있으며, 아울러 포도나무와 가중나무, 사철나무, 버즘나무 등의 수간에 위치하여 흡즙 가해하여 수목 등을 손상시키는 꽃매미의 문제가 급격하게 대두되고 있다.
전술한 광릉긴나무좀은 수컷이 참나무류, 서어나무 등의 수간을 천공하여 침입한 후, 수컷의 페로몬으로 집단(암컷, 수컷)을 유인하여 천공공간으로 유인한다. 그리고, 광릉긴나무좀의 암컷 등에 있는 균낭속의 라페리아(Raffaelea)속 암브로시아균이 수목의 내부로 전염되어 수목의 도관 등을 파괴시킨다. 그리고, 전술한 꽃매미는 포도나무와 같은 유실수에 왕성하게 달라붙어서 수액을 흡즙한다. 따라서, 산림이나 원예 농가는 각각 광릉긴나무좀이나 꽃매미로 인하여 피해가 막심하다.
수목의 외피(수피)로 침투하는 병해충의 경우 나무의 밑둥에 톱밥 같은 배설물 및 나무가루가 쌓여있는 것을 통해 감염을 예찰할 수 있고, 잎을 가해하는 병해충의 경우 잎이 부분적으로 없다거나 변색한 잎의 색상을 통해 감염을 예찰할 수 있으며, 특정 병해충의 경우 암컷이 분비하는 페로몬을 이용하여 감염을 예찰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수목에 곰팡이를 생성하는 암브로시아 병해충은 수목의 하단에서부터 약 1.5m 정도(특정 나무는 이보다 더 높게 가해)의 높이에 해당하는 수목의 수간측 외피를 뚫고 침입하여 수목의 도관을 경색시킨다. 그리고, 전술한 흡즙성 병해충은 수간의 외피에 붙어서 수액을 흡즙하여 수액의 흐름을 방해한다. 따라서, 수목은 이러한 병해충에 의해 결국 고사된다.
한편, 이러한 천공성 병해충을 퇴치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수목이 영구적 으로 피해를 입지 않도록 피해목을 선별하여 벌채한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정 크기로 적층한 후, 적층된 수목을 비닐로 커버링하고, 상기 비닐 내측에 메탐소듐과 같은 휘발성 약제를 적정량 주입한 다음 약 3~6개월 전후의 기간 동안 커버링 상태로 방치하여 병해충을 박멸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벌채방식으로 방제를 실시하는 경우 수목을 벌목하여야 하므로 대경목 벌채 작업시에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해목을 벌채함에 따라 수목의 개체수가 감소되는 문제점도 있다. 아울러 절단된 수목을 임야에 적층 후 훈증처리하므로 산림 미관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양면에 점성질의 접착제 및 끈끈이 형태의 포충액이 제각기 도포되어 수목의 외피를 차폐한 상태로 병해충을 포충할 수 있는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특히, 접착제의 성분이 설정된 기간 동안 접착성을 유지할 수 있는 요소로 구성되고, 포충액이나 포충액이 도포된 부위의 일부분에 특정 병해충이 선호하는 유인성 물질이나 살충제가 마련된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삭제
또한, 전술한 접착제가 일측면에 부분적으로 도포되어 일측면을 수목의 외피에 부분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는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아울러, 전술한 접착제 및 포충액을 차폐하여 보호하는 박막형 부재가 박리가능하게 마련된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게다가, 전술한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을 이용하여 수목의 병해충을 방제할 수 있는 수목병해충 방제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은, 중공형의 보빈;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씬필름; 상기 씬필름의 일측면에 도포되고, 점성질의 접착제로 구성되어 수목을 구성하는 수간의 외피에 부착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과 대향하는 상기 씬필름의 타측면에 도포되어 상기 수목의 외부로 노출되고, 점성질의 끈끈이로 구성되어 수목으로 침입하는 병해충을 부착시켜서 포살하는 포살층;을 포함하고, 상기 포살층은 살충제나 병해충을 유인하는 점액질이나 분말형태의 유인제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접착층은 친수적이면서 방충성을 갖는 숯분말이나 황토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접착층은 예컨대, 파라핀 20wt% 내지 30wt%와 EVA 35wt% 내지 40wt% 및 껌로진 및 글리세린이 혼합된 혼합물 30wt% 내지 40wt%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포살층과 함께 상기 씬필름의 타측면에 마련되고, 병해충을 유인하는 유인제로 이루어진 유인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상기 씬필름의 일측면에 부분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은, 상기 접착층이나 포살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박리가능하게 부착되어 접착층이나 포살층을 차폐하여 보호하는 박리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은, 수목의 수간에 권회되어 수목으로 침입하는 병해충을 포충하는 전술한 수목용 롤트랩을 이용하여 병해충으로부터 수목을 보호하는 방제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목의 지제부측 하단부를 박막식 커 버재로 커버하는 커버단계; 상기 커버재로 커버된 부위에서부터 상기 롤트랩을 권회하여 상기 커버재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수목의 수간을 랩핑하는 랩핑단계; 상기 롤트랩을 관통해서 상기 수목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롤트랩을 상기 수목의 수간에 고정하는 롤트랩 고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단계는 예컨대, 상기 수목의 지제부측 하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재의 일부분을 밀착시켜서 고정하는 커버재 고정단계; 상기 커버재의 테두리를 접합하여 커버재를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커버재 접합단계; 상기 커버재의 밀착부위를 실링재로 실링하는 실링단계; 상기 실링재를 테이프로 테이핑하여 실링재를 보호하는 실링재 보호단계 및; 상기 커버재의 하단부에 중량을 제공하여 커버재의 하단부를 지면에 정착시키는 커버재 정착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은, 접착층을 통해 수목에 권회상태로 부착되어 포살층을 통해 병해충을 포충하므로 다수의 병해충을 용이하게 박멸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아울러, 접착층에 숯분말이나 황토분말이 혼합될 경우 수목의 외피에 적당한 습도를 유지시켜 줄 수 있으며, 숯분말의 경우 정화작용을 통해 수목의 외피에 세균이 서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특히, 접착층이 파라핀과 EVA 및 껌로진 및 글리세린이 혼합된 혼합물로 구성되므로 장기간 동안 수목에 안정적으로 부착되어 병해충을 박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유인층이나 유인제 또는 살충제가 포살층에 마련될 경우 더욱 많은 수의 병해충을 유인하여 보다 확실하게 박멸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접착층이 부분적으로 마련될 경우 수목에서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으며, 수목의 생장을 보다 원활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삭제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은 수목의 하단부에 비닐과 같은 박막식 커버재를 설치한 후 병해충의 침입을 차단하고, 수목의 수간을 전술한 롤트랩으로 랩핑하여 포충하므로 수목을 벌채하지 않고도 병해충을 박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벌목된 수목을 적층 상태로 야산이나 임야에 방치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도 있다.
또, 필요시에 제한적으로 비닐과 같은 커버재를 커버상태로 설치한 후 롤트랩을 수목에 권회하는 것으로 방제작업이 사실상 완료되므로 방제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 및 이에 의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의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롤트랩을 이용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의 보빈(69)에 감겨서 롤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롤트랩(60)은 도면상의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씬필름(60a); 접착층(60b) 및; 포살 층(60c);를 포함한다.
씬필림(60a)은 연질의 박막형 비닐이나 생분해가 가능한 섬유재 직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씬필름(60a)은 흰색이나 노란색과 같이 식별이 우수한 색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씬필름(60a)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69)에 권취된 상태로 보관된다. 씬필름(60a)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층(60b) 및 포살층(60c)이 양측면에 도포된다.
접착층(60b)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씬필름(60a)의 일측면(63)에 도포되어 하나의 층을 형성한다. 이러한 접착층(60b)은 점성질의 접착제로 구성된다. 특히, 접착층(60b)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수목의 외피에 점착되는 접착제로 구성된다. 즉, 접착층(60b)은 차후 수목의 외피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접착제로 구성된다.
접착층(60b)은 예컨대, 파라핀 20wt% 내지 30wt%와 EVA(Ethylene Vinyl Acetat) 35wt% 내지 40wt% 및 껌로진 및 글리세린이 혼합된 혼합물 30wt% 내지 40wt%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60b)은 전술한 성분으로 인하여 약 1.5개월(약 45일) 전후 점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접착층(60b)은 전술한 성분에 의해 장기간 동안 점착성을 발휘한다.
포살층(60c)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층(60b)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씬필름(60a)의 타측면(64)에 마련된다. 포살층(60c)은 점성질의 끈끈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포살층(60c)은 겔형태의 끈적거리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포살층(60c)은 씬필름(60a)의 타측면(64)에 끈끈이가 도포됨에 따라 씬필름(60a)에 일체적으로 마련된다.
포살층(60c)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유인층(6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유인층(6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포살층(60c)의 중간에 띠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인층(6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포살층(60c)의 중간에 띠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유인층(61)의 중간에 띠형태로 적층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유인층(61)은 끈끈이에 특정 병해충의 페로몬을 혼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유인층(61)은 끈끈이에 분말로된 특정 병해충의 선호식품을 혼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유인층(61)은 포살층(60c)의 중간부분 표면에 페로몬이나 선호식품 분말을 살포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접착층(60b)은 친수적(親樹的)이면서 방충성을 갖는 물질이 혼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예컨대, 숯분말이나 황토분말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숯분말이나 황토분말은 제각기 독단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혼용된 형태로 접착층(60b)에 혼합될 수도 있다.
또 한편, 전술한 포살층(60c)은 살충제나 유인제가 혼합된 끈끈이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 포살층(60c)은 전술한 유인층(61)이 마련되지 않는다. 여기서, 전술한 살충제는 병해충이 섭취할 수 있도록 가공된 경구식(口式) 살충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술한 유인제는 점액질이나 분말형태로 이루어진 페로몬이나 병해충 선호식품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6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수목의 기둥을 형성하는 수목의 수간에 권회된다. 이때, 롤트 랩(60)은 접착층(60b)이 수목의 외피에 부착되면서 수목에 권회된다. 이러한 롤트랩(60)은 수목에 부착되어 포살층(60c)을 수목의 외부로 노출시킨다. 따라서, 롤트랩(60)은 포살층(60c)을 통해 병해충을 포충한다. 즉, 병해충은 서식이나 흡즙을 위해 수목에 접근하다가 포살층(60c)에 달라붙어서 포살된다.
이와 같은 롤트랩(60)은 약 1.5개월 동안 수목에 부착된 후 제거된다. 즉, 롤트랩(60)은 병해충의 활동기 동안만 포충을 실시한다. 이러한 병해충의 활동기는 통상적으로 5월~6월 및 8월~10월이 적정하다. 롤트랩(60)은 몇 년 동안 전술한 시기에 반복적으로 수목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롤트랩(60)은 전술한 유인층(61)이 마련될 경우 더욱 많은 병해충을 유인하여 포살한다. 이때, 병해충은 유인층(61)에서 제공되는 페로몬 향이나 선호식품의 향에 의해 포살층(60c)으로 유인된다. 이러한 롤트랩(60)은 포살층(60c)에 전술한 살충제나 유인제가 함유될 경우 더욱 많은 병해충을 확실하게 포살할 수 있다. 특히, 롤트랩(60)은 유인층(61)이 전술한 바와 같이 포살층(60c)의 중간부분에 마련될 경우 병해충이 포살층(60c)의 중간부분으로 집결됨에 따라 더욱 확실하게 병해충을 포살할 수 있다.
또 한편, 롤트랩(60)은 접착층(60b)에 숯분말이나 황토분말이 혼합될 경우 수목의 외피에 적당한 습도를 유지시켜 줄 수 있다. 특히, 숯분말의 경우 정화작용을 통해 수목의 외피에 세균이 서식하는 것을 억제한다. 따라서, 롤트랩(60)은 수목에 부착된 상태로 병해충을 박멸할 뿐만 아니라 수목의 생장에 도움을 제공한다.
다른 한편, 롤트랩(60)은 추가적인 방제가 필요할 경우 전술한 바와 달리 수 목의 수간이 아닌 다른 부위(예: 가지)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롤트랩(60)은 수목의 다른 부위에 권회되어 방제를 실시한다. 또, 롤트랩(60)은 병해충의 침입이 예상되는 수목에 권회되어 수목의 피해 없이 병해충의 침입을 예방할 수 있다. 즉, 롤트랩(60)은 예방차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롤트랩(60)은 이미 벌채된 수목에도 부착되어 벌채된 수목을 방제할 수 있다. 즉, 롤트랩(60)은 후처리차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롤트랩(60)은 수목의 내부에 침투한 병해충이나 벌채된 수목으로 유입되는 병해충을 방제한다. 특히, 이러한 롤트랩(60)은 훈증을 위해 비닐에 쌓여진 수목에 권회되어 방제를 실시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벌채된 수목을 격리시키는 비닐의 내부에 살충제를 주입하지 않아도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층(60b)이 부분적으로 마련된 것이 전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이다. 이러한 롤트랩(60)은 접착층(60b)이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씬필름(60a)의 일측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롤트랩(60)은 수목의 외피에 부분적으로 부착된다.
이와 같은 롤트랩(60)은 부분적으로 부착됨에 따라 수목의 외피를 부분적으로만 차폐한다. 따라서, 수목은 차폐되지 않는 부분으로 인해 보다 원활하게 생장한다. 물론, 롤트랩(60)은 부분적으로 외피에 부착되므로 수목에서 제거될 경우 수목에서 매우 용이하게 박리된다.
한편, 롤트랩(60)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박리지(66)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박리지(66)는 비닐이나 비닐이 코팅된 종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확대 도시 된 바와 같이 접착층(60b)이나 포살층(60c)에 부착되어 접착층(60b)이나 포살층(60c)을 보호한다. 박리지(66)는 롤트랩(60)이 수목에 부착될 경우 제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의 롤트랩(60)을 이용한다. 이러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은 도면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1)의 지제부측 하단부를 박막식 커버재로 커버한다. 이때, 박막식 커버재로 비닐(51)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닐(5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스테플러나 핀과 같은 체결부재(53)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체결부재(5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51)의 상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즉, 체결부재(53)는 비닐(51)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수목(1)에 체결된다. 따라서, 비닐(51)은 상단부에 의해 수목(1)의 하단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비닐(51)은 수목(1)에 고정된 후, 도면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테두리(51a)가 접합된다. 이때, 비닐(51)은 테이프(55)에 의해 테두리가 접합된다. 따라서, 비닐(51)은 수목(1)의 하단부를 원통형으로 감싸서 외부와 격리시킨다. 즉, 비닐(51)은 수목(1)의 하단부에서 원통형을 형성한다.
비닐(51)은 수목(1)의 외피가 요철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상단부가 기밀상태로 실링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필요시에 비닐(51)은 도면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53)가 설치된 상단이 실리콘(57)과 같은 실링재로 실링된다. 따라서, 비닐(51)은 상단부가 기밀상태로 실링되며, 기밀상태를 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실링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실리콘(57)은 기온차나 풍수에 의해 수목(1)에서 박리될 수 있다. 따라서, 비닐(51)은 실리콘(57)이 도포된 상단부에 테이프(59)가 테이핑된다. 이러한 테이프(59)는 실리콘(57)을 보호하게되며, 테이프(59) 역시 실리콘(57)의 비사용처럼 사용치 않아도 된다.
한편, 비닐(51)은 도면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 흙이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흙은 비닐(51)의 하단에 중량을 제공하여 비닐(51)의 하단을 차폐상태로 유지할 뿐만 아니라 비닐(51)의 하단을 지면에 정착시킨다.
여기서, 전술한 흙은 비닐(51)을 수목(1)에 설치하기 전에 수목(1)의 지제부측 지면을 파내서 준비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비닐(51)이 설치된 후 수목(1)의 주변측 지면을 파내서 준비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롤트랩(60)은 도면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1)의 수간에 권회된다. 이러한 롤트랩(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59)가 테이핑된 부위부터 권회된다. 이때, 롤트랩(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1)의 하부측에서 상부를 향하여 테두리측 일부분이 중첩상태로 엇갈리면서 권회된다. 따라서, 롤트랩(60)은 테두리측이 중첩됨에 따라 고정상태를 이루면서 수목(1)의 수간을 랩핑한다.
롤트랩(60)은 도면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스테플러나 핀으로 구성된 체결부재(53)에 의해 수목(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롤트랩(60)은 장시간이 경과하여도 수목(1)에서 흘러내리지 않는다. 물론, 이러한 롤트랩(60)은 수목(1)에 권회된 상태로 전술한 포살층(60c)을 통해 병해충을 포충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수목(1)의 하단부에 롤트랩(60)을 권회하지 않고 비닐(51)을 설치하는 이유는, 수목(1)이 근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므로 롤트랩(60)을 랩핑하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목(1)은 하단부에 비닐(51)이 설치되는 것이 제한적으로 바람직하다. 즉, 수목(1)은 하단부가 비닐(51)에 의한 침입이 차단되고, 중간부 및 상단부가 롤트랩(60)에 의해 포충이 실시된다.
하지만, 롤트랩(60)은 전술한 바와 달리 근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수목(1)의 하단부에 강제로 권회될 수도 있다. 즉, 수목(1)은 근부까지 롤트랩(60)이 랩핑될 수도 있다. 이때, 롤트랩(60)은 전술한 체결부재(53)로 고정되어야 한다. 물론, 이러한 경우 전술한 비닐(51)은 생략이 가능하다. 즉, 비닐(51)과 같은 커버재는 필요시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롤트랩(60)은 수목(1)의 수간과 근부의 직경이 유사할 경우에도 근부까지 권회될 수도 있다. 따라서, 수목(1)은 롤트랩(60)에 의해 하단부까지 방제가 실시된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전술한 비닐(51)은 생략이 가능하다.
한편, 비닐(51)은 병해충을 단기간(약 1주일 이내)에 박멸해야할 경우 제한적으로 휘발성 살충제가 주입될 수 있다. 물론, 살충제는 비닐(51)의 내측에 주입되며, 상기 살충제는 도면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사기(SC)나 미도시된 깔때기 또는 분무기 등으로 주입된다.
상기 비닐(51)은 밀봉상태로 살충제가 주입된 상태로 몇 시간 또는 몇 일간 밀봉상태로 방치된다. 비닐(51)은 살충이 완료되면 수목(1)이 살충제에 의해 지장을 받지 않도록 공기구멍을 형성시켜야 한다. 이때, 공기구멍은 비닐(51)을 약 1~3cm의 크기로 절개(일직선으로 절개)하여 형성한다. 이러한 공기구멍은 강제로 옆으로 벌리지 않으면 벌어지지 않므로 병해충이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면서 살충제를 외부로 휘발시킨다. 따라서, 비닐(51)은 병해충의 침입을 차단하면서 공기구멍을 통해 수목(1)의 근부에 신선한 공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은 비닐(51)을 통해 수목(1)의 하단부로 병해충이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고, 수목(1)의 수간에 권회된 롤트랩(60)을 통해 병해충을 포획식으로 포충하므로 수목(1)을 벌채하지 않고도 다수의 병해충을 박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벌채된 수목을 적층 상태로 야산이나 임야에 방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 비닐(51)과 같은 커버재로 수목(1)의 하단을 차폐한 후 롤트랩을 수목(1)의 수간에 권회하는 것으로 방제작업이 사실상 완료되므로 방제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비닐(51)에 제한적으로 살충제를 주입하여 훈증한 후 공기구멍을 형성할 경우 수목(1)의 근부 측 병해충을 박멸할 수 있으며, 박멸이 완료되면 병해충의 침입을 차단하면서 수목(1)의 근부에 신선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롤트랩(60)을 이용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은 상반기와 하반기에 걸쳐서 실시된다. 물론, 이러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은 병해충의 피해를 수목(1)이 극복(저항)할 경우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전술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은 수목(1)의 병해충 피해도가 극심할 경우 사용이 자제되고, 대신 벌 채 및 훈증방법이 실시되거나 이와 병행하여 실시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하기의 표는 전술한 실시예의 방제방법을 피해목에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를 도표로 게재한 것으로서, 하기의 표1은 방제시점에서 공시목을 조사한 내용이고, 표2는 방제 후 포충을 확인한 것이다.
[표 1 : 방제시점에서 공시목을 조사한 내용]
공시목 흉고직경(cm) 침입량 비 고
1 32 기침입 2m까지 frass 다수
2 38 기침입
3 38 기침입, 최근 frass 다수
4 38 기침입
5 30 기침입
6 32 기침입
7 34 기침입(경사하부 극히 일부)
8 32 기침입
9 24 기침입
[표 2 : 방제후 포충 확인 내용]
공시목 흉고직경(cm) 롤트랩
외부(수)
롤트랩
내부(수)
비 고
1 32 484 844 상부침입 무. 내부에 플라스없으나 지제부 경사하부에 몇 개
2 38 3 256 상부 5m침입, 1가지 고사
3 38 385 3,501 지제부근처만 침입
4 38 503 945 상부 50cm침입
5 30 2,825
6 32 1,887 264 상부15cm 침입. 내부 몇 개 침입, 실폐한 침입공 있음
7 34 897 98 상부30cm 침입. 내부 몇 개 침입
8 32 1,755 407 상부50cm침입. 2가지중 1가지 고사(고사지 쪽 내부에 다수 침입)
9 24 32 54 상부침입 무. 트랩내 플라스 약간
여기서, 위의 실험은 경기도 파주의 산림에서 이루어졌으며, 방제시점은 2009년 06월 09일이고, 롤트랩 외부의 포충 확인시점은 2009년 06월 16일부터 2009년 07월 21일까지이며, 롤트랩 내부의 포충 확인시점은 2009년 09월 11일이다.
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방제방법이 광릉긴나무좀을 정상적으로 원활하게 포충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목병해충 방제방법을 현시한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의 사시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롤트랩을 이용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의 일부를 도시한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롤트랩을 이용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의 나머지 일부를 도시한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호 설명>
51 : 비닐
53 : 체결부재
55, 59 : 테이프
57 : 실리콘
60 : 롤트랩
60a : 씬필름
60b : 접착층
60c : 포살층
61 : 유인층
69 : 보빈

Claims (8)

  1. 중공형의 보빈(69);
    상기 보빈(69)에 권취되는 씬필름(60a);
    상기 씬필름(60a)의 일측면(63)에 도포되고, 점성질의 접착제로 구성되어 수목(1)을 구성하는 수간의 외피에 부착되는 접착층(60b); 및
    상기 접착층(60b)과 대향하는 상기 씬필름(60a)의 타측면(64)에 도포되어 상기 수목(1)의 외부로 노출되고, 점성질의 끈끈이로 구성되어 수목(1)으로 침입하는 병해충을 부착시켜서 포살하는 포살층(60c);을 포함하고,
    상기 포살층(60c)은 살충제나 병해충을 유인하는 점액질이나 분말형태의 유인제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접착층(60b)은 친수적이면서 방충성을 갖는 숯분말이나 황토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60b)은, 파라핀 20wt% 내지 30wt%와 EVA 35wt% 내지 40wt% 및 껌로진 및 글리세린이 혼합된 혼합물 30wt% 내지 40wt%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살층(60c)과 함께 상기 씬필름(60a)의 타측면(64)에 마련되고, 병해충을 유인하는 유인제로 이루어진 유인층(61);을 더 포함하는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60b)은 상기 씬필름(60a)의 일측면(63)에 부분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
  5. 삭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60b)이나 포살층(6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박리가능하게 부착되어 접착층(60b)이나 포살층(60c)을 차폐하여 보호하는 박리지(66);를 더 포함하는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
  7. 수목(1)의 수간에 권회되어 수목(1)으로 침입하는 병해충을 포충하는 상기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수목용 롤트랩(60)을 이용하여 병해충으로부터 수목(1)을 방제하는 수목병해충 방제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목(1)의 지제부측 하단부를 박막식 커버재로 커버하는 커버단계;
    상기 커버재로 커버된 부위에서부터 상기 롤트랩(60)을 권회하여 상기 커버재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수목(1)의 수간을 랩핑하는 랩핑단계; 및
    상기 롤트랩(60)을 관통해서 상기 수목(1)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롤트랩(60)을 상기 수목(1)의 수간에 고정하는 롤트랩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수목병해충 방제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단계는,
    상기 수목(1)의 지제부측 하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재의 일부분을 밀착시켜서 고정하는 커버재 고정단계;
    상기 커버재의 테두리를 접합하여 커버재를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커버재 접합단계;
    상기 커버재의 밀착부위를 실링재로 실링하는 실링단계;
    상기 실링재를 테이프(59)로 테이핑하여 실링재를 보호하는 실링재 보호단계; 및
    상기 커버재의 하단부에 중량을 제공하여 커버재의 하단부를 지면에 정착시키는 커버재 정착단계;를 포함하는 수목병해충 방제방법.
KR1020090108760A 2009-11-11 2009-11-11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 및 이에 의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 KR101183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760A KR101183103B1 (ko) 2009-11-11 2009-11-11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 및 이에 의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760A KR101183103B1 (ko) 2009-11-11 2009-11-11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 및 이에 의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936A KR20110051936A (ko) 2011-05-18
KR101183103B1 true KR101183103B1 (ko) 2012-09-27

Family

ID=44362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760A KR101183103B1 (ko) 2009-11-11 2009-11-11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 및 이에 의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1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664B1 (ko) 2013-11-13 2014-03-07 푸른공간 주식회사 수목의 해충방제방법
CN105580673A (zh) * 2015-12-20 2016-05-18 重庆农正农业开发有限公司 柑橘象鼻虫防治方法
US11033016B2 (en) * 2012-02-02 2021-06-15 Nattaro Labs Ab Roll for assembling a device for detection and elimination of insects such as bed bug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566B1 (ko) * 2011-09-09 2013-07-12 주식회사 한화미 모서리 실링액 커버
KR102510945B1 (ko) * 2020-12-29 2023-03-16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수목의 보호 및 상처 치료를 위한 황토 퍼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323B1 (ko) 2005-09-28 2007-03-23 장석익 포충용 도포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323B1 (ko) 2005-09-28 2007-03-23 장석익 포충용 도포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3016B2 (en) * 2012-02-02 2021-06-15 Nattaro Labs Ab Roll for assembling a device for detection and elimination of insects such as bed bugs
KR101371664B1 (ko) 2013-11-13 2014-03-07 푸른공간 주식회사 수목의 해충방제방법
CN105580673A (zh) * 2015-12-20 2016-05-18 重庆农正农业开发有限公司 柑橘象鼻虫防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936A (ko)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103B1 (ko)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 및 이에 의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
KR100955702B1 (ko) 수목용 랩핑식 롤트랩에 의한 수목해충방제방법
JP5722641B2 (ja) 穿孔性害虫の防除方法
JP2007209329A (ja) 松くい虫の駆除法
CN210143437U (zh) 一种害虫捕获网
KR101371664B1 (ko) 수목의 해충방제방법
JP2008100920A (ja) 害虫駆除材
KR101348879B1 (ko) 방충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한 수목용 방제방법
KR101877035B1 (ko) 살충용 거품제제 사용방법
KR100993633B1 (ko) 참나무시들음병 예방 및 방제방법
CN220630846U (zh) 一种树木防虫害装置
CN111296137B (zh) 一种针对蛀干害虫防治的三明治式药膜
US20240008471A1 (en) Arthropod and mollusc arrangement
KR20120072894A (ko) 복숭아유리나방 유인용 성페로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293994B (zh) 一种林业害虫的防治方法
KR200474556Y1 (ko) 수간 천공성 해충 방제커버
JP2013009668A (ja) 樹木の保護方法
Day et al. 2021 Horticultural and Forest PMG-Pests of Forestry and Christmas Trees
JP4540010B1 (ja) 株立ち植物用防虫ネット
CN102523996A (zh) 毒环法防治上、下树害虫的方法
Rai et al. Insect pests of mango and their management
JP2004107215A (ja) シロアリ駆除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ロアリ駆除方法
JPH08298911A (ja) 樹木害虫用トラップ
Quarles Pheromones and Attractants for Invasive Pests
JPH11225648A (ja) 樹木用害虫駆除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