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879B1 - 방충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한 수목용 방제방법 - Google Patents

방충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한 수목용 방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879B1
KR101348879B1 KR1020110110449A KR20110110449A KR101348879B1 KR 101348879 B1 KR101348879 B1 KR 101348879B1 KR 1020110110449 A KR1020110110449 A KR 1020110110449A KR 20110110449 A KR20110110449 A KR 20110110449A KR 101348879 B1 KR101348879 B1 KR 101348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composition
roll trap
trees
coat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6092A (ko
Inventor
우종영
박영의
최윤호
김현순
Original Assignee
푸른공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른공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푸른공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0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879B1/ko
Publication of KR20130046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01N25/06Aeros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8Adhesive bands or coatings for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01N25/10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6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0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 A01N43/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with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0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 A01N43/1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a carbocyclic 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carbocyclic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at least one ring not being a six-membered 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2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2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daisy, pyrethrum, artichoke, lettuce, sunflower, wormwood or tarrag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2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skullcap, selfheal, lavender, perilla, pennyroyal, peppermint or spearmi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4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lemon grass or citronella gr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충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한 수목용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충용 조성물은, 경화되면서 수목의 수피에 피막을 형성하는 콜로이드 형태의 피막제에 해충을 살충하는 액상이나 분말형태의 살충제, 수목에 흡수되어 세포의 원형질 유동을 촉진하는 액상이나 분말형태의 식물생장조절제 및 해충을 기피시키는 액상이나 분말형태의 기피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혼합되어 수목에 도포되는 도료형 도포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목용 방제방법은, 수목의 수피에 제1항 내지 제3항에 의한 방충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조성물 도포단계; 상기 도포된 조성물을 상온에 방치하여 경화시키는 조성물 경화단계; 및 상기 조성물이 도포되지 않은 수목의 다른 부위에 롤트랩을 권회하여 수목을 롤트랩으로 차폐하는 롤트랩 차폐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포제를 도포하면 방제가 완료되므로 용이하게 수목을 방제할 수 있으며, 롤트랩도 수목에 차폐할 경우 다양한 해충을 용이하게 방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충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한 수목용 방제방법 { Composition for insecticide and disease preventing method thereby }
본 발명은 방충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목용 방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해충을 기피시켜서 수목의 가해를 방지할 수 있는 방충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한 수목용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공성 해충은 대부분 수목의 수피에 구멍을 뚫어 알을 낳거나 수목의 내부로 직접 침입하여 터널을 뚫고 알을 낳는 해충들이다. 수목은 해충의 애벌레가 수목의 형성층을 식해하거나 목질부를 가해하여 쇠약화되거나, 가해부에 가지마름병균이나 부후균이 들어가 심하면 고사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해충은 수목의 수피 안에 잠복하여 대부분 생활하기 때문에 방제가 어렵다. 전술한 해충의 대표적인 예로는 하늘소류, 바구미류, 좀류, 박쥐나방,유리나방, 잎말이 나방류 등이 있다. 그리고, 침엽수에 주로 피해를 주는 나무좀류와 활엽수의 긴나무좀과 유리나방 등이 있으며, 특히 요즘 가로수로 많이 식재되어 있는 벚나무의 줄기를 가해하여 미관은 물론, 수목을 쇠약하게 하는 복숭아 유리나방 등이 있다.
여기서, 전술한 복숭아 유리나방은 복사나무, 자두나무, 벚나무, 사과나무, 갯버들, 유자 등의 과수류 줄기를 가해하는 해충으로서, 생태는 연 1회 발생하여 가해부위에서 유충으로 월동하고, 유충이 4월부터 7월까지 수목을 가해하다가 번데기로 변태되어 대부분 6-8월 우화하며, 최성기는 8월이다. 그리고, 이러한 복숭아 유리나방은 주로 수목의 약 150cm 내외 높이의 수간을 가해한다.
한편, 최근에는 점성질의 접착제 및 끈끈이 형태의 포충액이 양면에 제각기 도포된 필름형태의 롤트랩을 수목에 랩핑하여 수목의 수피를 차폐한 상태로 병해충을 포충할 수 있는 방식이 개발되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러한 롤트랩을 이용한 방제방법을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출원 제10-1009-108958호(명칭: 수목용 랩핑식 롤트랩에 의한 수목해충방제방법)로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이러한, 특허의 롤트랩은 연질의 박막형 베이스층과 베이스층의 내측면에 도포되어 수목의 수피에 접착되는 접착층 및 베이층의 외측면에 도포되고 점성질의 끈끈이로 형성되어 병해충을 포살하는 포살층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롤트랩은 수목에 권회된 상태로 일정기간(2~3개월)동안 방치되어 수목으로 접근하는 병해충을 포살층의 끈끈이에 의해 포살한다.
그러나, 종래의 롤트랩은 수목의 가해부위에 전부 권회되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고, 환경오염의 방지를 위해 추후 다시 작업자에 의해 회수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수목에 권회되므로 수목의 성장에 방해요인으로 작용되는 문제도 있다.
다른 한편, 근래에는 석회유황합재로 이루어진 살충제가 함유된 일명 백도제로 불리우는 도료형 방충제를 수목에 붓으로 도포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도료가 살충제로 인해 백색을 발현하므로 수목의 미관이 저해되는 문제도 있으며, 백도제가 오히려 태양광을 반사시켜서 다른 부위의 수피를 피소(화상)시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수목의 수피에 액상으로 도포되어 상온에서 경화되면서 수목에 대한 해충의 소통을 방지하기 위한 박막의 피막을 형성하는 도료형의 방충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특히, 피막을 형성하는 콜로이드 형태의 성분에 해충을 살충하는 성분, 수목의 생장을 촉진하는 성분 및 해충을 수목으로부터 기피시키는 성분이 함유된 방충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그리고, 전술한 조성물을 롤트랩과 혼합하여 해충을 방제할 수 있는 수목용 방제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경화되면서 수목의 수피에 피막을 형성하는 콜로이드 형태의 피막제에 해충을 살충하는 액상이나 분말형태의 살충제, 수목에 흡수되어 세포의 원형질 유동을 촉진하는 액상이나 분말형태의 식물생장조절제 및 해충을 기피시키는 액상이나 분말형태의 기피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혼합되어 수목에 도포되는 도료형 도포제로 이루어진 방충용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도포제는 예컨대, 상기 피막제가 초산비닐이나 점성을 갖는 수용성 수지 또는 라텍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콜로이드액이고, 상기 살충제가 수용성 수화유황, 허브추출액, 참옷추출액 또는 피톤치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식물생장조절제가 아토닉이나 지베렐린 또는 토마토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기피제가 목초액, 시트로넬라오일, 유칼립투스오일, 냄유, 란타나 카마라, 아르테미시아 불가리스, 로즈, 제라늄, 라벤다, 회향유, 펜촌, 옥타데세 노익산 군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포제는 예컨대, 상기 초산비닐 및 물이 40~80wt% : 20~60wt%의 비율로 혼합되어 희석된 콜로이드액 100중량부에 0.001 내지 0.02 중량부의 수화유황, 0.0001 내지 0.05 중량부의 아토닉 및 0.01 내지 3 중량부의 목초액이 혼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도포제를 수목의 수피와 유사한 색상으로 발현시키는 염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료는, 수용성안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목용 방제방법은, 수목의 수피에 제1항에 의한 방충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조성물 도포단계; 상기 도포된 조성물을 상온에 방치하여 경화시키는 조성물 경화단계; 및 상기 조성물이 도포되지 않은 수목의 다른 부위에 롤트랩을 권회하여 수목을 롤트랩으로 차폐하는 롤트랩 차폐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 도포단계는 예컨대, 상기 조성물을 이동형 저장통에 저장하는 조성물 저장단계; 및 상기 저장된 조성물을 펌핑하여 상기 조성물을 수목의 수피에 분사하는 조성물 분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롤트랩 차폐단계는 예컨대, 상기 조성물이 도포되지 않은 수목의 다른 부위에 롤트랩을 권회하는 롤트랩 권회단계; 및 상기 권회된 롤트랩을 관통해서 상기 수목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수목에 랩핑된 롤트랩을 수목에 고정하는 롤트랩 고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롤트랩 차폐단계는 예컨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 상기 롤트랩의 상단을 밀봉재로 밀봉하는 밀봉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상기 밀봉단계는, 상기 롤트랩의 상단에 원주방향을 따라 실리콘을 도포하여 롤트랩의 상단을 실링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콜로이드 형태의 피막제가 함유된 도료형 도포제를 수목의 수피에 도포하면 방충작업이 완료되므로 방충작업의 편의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피막제가 수피에 박막의 피막으로 형성되므로 방충기간이 경과할 경우 피막이 수피에서 자연적으로 제거되고, 이에 더하여 살충제나 기피제가 함유될 경우 살충제나 기피제에 의해 해충이 살충되거나 기피되므로 해충에 의한 수목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식물생장조절제가 함유될 경우 방충과 함께 수목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도 있다.
또, 피막제가 수용성의 초산비닐이나 라텍스로 구성될 경우 피막의 인장력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막의 생분해 기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살충제가 수화유황으로 구성될 경우 살충제를 피막제와 용이하게 혼합할 수 있으며, 식물생장조절제가 식물성 활성제제인 아토닉으로 구성될 경우 친수성(親樹性)에 의해 촉진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목의 상처부위에 새로운 조직을 단기간에 생성시킬 수 있고, 기피제가 목초액으로 구성될 경우 친수성에 의해 기피제에 의한 수목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초액의 특유 향으로 인하여 해충을 기피시킬 수 있다.
또한, 도포제에 수용성안료로 구성된 염료가 혼합될 경우 도포제의 색상을 수목의 수피와 유사한 색상으로 발현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해충의 가해 부위에 도포제를 도포하여 피막을 형성한 후 다른 부분에 롤트랩을 권회할 경우 피막이 없는 부분만 롤트랩을 권회되므로 롤트랩의 사용량 및 권회시간을 대폭적으로 감축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포제를 분사하여 도포할 경우 도포제를 수목에 용이하게 골고루 도포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롤트랩을 체결부재로 고정할 경우 롤트랩을 수목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충용 조성물의 실험예를 도시한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충용 조성물의 또 다른 실험예를 도시한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목용 방제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목용 방제방법에 이용되는 롤트랩의 사시도; 및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롤트랩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충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한 수목용 방제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충용 조성물은 도면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에 도포된다. 이러한 방충용 조성물은 피막제에 살충제, 식물생장조절제 및 기피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혼합되어 제조된다.
피막제는 경화되면서 수목의 수피에 피막을 형성하는 콜로이드 형태의 물질이다. 그리고, 살충제는 해충을 살충하는 액상이나 분말형태의 물질이고, 식물생장조절제는 수목에 흡수되어 세포의 원형질 유동을 촉진하는 액상이나 분말형태의 물질이며, 기피제는 해충을 기피시키는 액상이나 분말형태의 물질이다. 따라서, 방충용 조성물은 콜로이드 형태의 피막제에 액상이나 분말형태의 살충제, 식물생장조절제 및 기피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혼합되므로 수목의 수피에 도포될 수 있는 도료형의 도포제로 제조된다.
여기서, 전술한 피막제는 예컨대, 초산비닐이나 점성을 갖는 수용성 수지 또는 라텍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콜로이드액이다. 이러한 피막제는 수용성이라서 물과 희석이 용이하면서 수급이 용이한 초산비닐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피막제는 초산비닐 및 물이 40~80wt% : 20~60wt%의 비율로 혼합되어 희석된 콜로이드액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초산비닐 및 물은 전술한 혼합비율의 이하로 혼합될 경우 피막의 형성이 거의 불가능하였고, 그 이상으로 혼합될 경우 도포가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재료비 및 경화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된다. 피막제는 수피에 액상으로 도포된 후 경화되면서 수피에 피막을 형성한다. 따라서, 피막제는 수목의 내부나 외부에 생태하는 해충이 수목의 내외부로 소통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해충은 피막제에 의한 피막에 의해 소통이 방지된다.
피막제는 수용성 초산비닐로 제조되므로 방제기간(약 2~4개월)이 경과할 경우 우수나 바람에 의해 분해되며, 수용성이므로 환경오염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피막제는 회수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살충제는 예컨대, 액상이나 분말로 이루어진 수용성 수화유황, 허브추출액, 참옷추출액 또는 피톤치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화유황, 허브추출액, 참옷추출액 또는 피톤치드는 수용성이거나 자연추출물이므로 친수적성(親樹的)일 뿐만 아니라 수목에 대한 유해성이 거의 없으며, 살충성에 의해 모기나 해충을 퇴치하는 약제로도 사용되고 있다.
살충제는 예컨대, 살충효과를 갖는 허브에서 추출된 안젤리카나 페파민트 오일 등을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으나, 이보다는 수용성에 의해 용해성이 우수하고, 살균 및 살충작용을 하면서 방부작용을 하는 수화유황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살충제는 전술한 콜로이드액으로 이루어진 피막제에 용이하게 혼합된다. 그리고, 살충제는 수목에 피막제와 함께 도포되어 해충을 살충한다. 이때, 해충은 수목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살충제를 섭취하므로 살충제에 의해 살충된다.
그리고, 전술한 식물생장조절제는 예컨대, 아토닉이나 지베렐린 또는 토마토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급이 용이하면서 가격이 지베렐린이나 토마토톤 보다 저렴할 뿐만 아니라 수목의 상처부위에 새로운 조직을 단기간에 생성시켜서 부후 균의 2차 피해를 방지하는 아토닉으로 구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토닉은 일본에서 개발한 것으로서 다갈색의 수용액이며, 특유한 향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식물체 내에 신속히 침투하여 세포의 원형질 유동을 촉진하고 발근을 좋게 하는 식물생육촉진효과가 있다. 따라서 아토닉은 모든 식물의 세포에 활력을 주어 발아 ·발근 ·생육 및 결실을 좋게 하는 효과를 보이며, 특히 화분(花粉)의 발아와 화분관의 신장을 촉진하여 식물의 수정 및 결실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지베렐린은 벼의 키다리병균에 의해 생산된 고등식물의 식물생장조절제이다. 지베렐린은 우선 신장촉진작용을 들 수 있다. 그 외에 종자발아촉진작용, 개화촉진작용, 착과(着果)의 증가작용, 열매의 생장촉진작용 등이 있다. 근래에는 벼의 키다리병균 이외에도 많은 식물에 이것이 존재한다는 것이 알려져 현재 14종에 이르며, 유리(遊雖) 또는 결합형으로 존재한다.
토마토닉은 4-시피에이(4-CPA)라고도 알려져 있다. 물에 잘 녹으며 녹는점이 157∼158℃이다. 식물체 내에 침투하여 식물세포의 활력을 높여 주며, 낙과방지(落果防止) 및 과실비대(果實肥大) 효과도 있으나 어린 싹에 잘못 사용하면 약해의 위험성이 있다.
한편, 전술한 기피제는 예컨대, 식물에서 추출되는 목초액, 시트로넬라오일, 유칼립투스오일, 냄유, 란타나 카마라, 아르테미시아 불가리스, 로즈, 제라늄, 라벤다, 회향유, 펜촌, 옥타데세 노익산 군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친수적일 뿐만 아니라 수용성이 좋으면서 특유의 냄새에 의해 천공성 해충들을 기피시키는 목초액으로 구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결론적으로, 전술한 피막제, 살충제, 식물생장조절제 및 기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초산비닐 및 물이 혼합된 콜로이드액, 수화유황, 아토닉 및 목초액으로 구성된다. 즉, 도료형 도포제는 콜로이드액, 수화유황, 아토닉 및 목초액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도포제는 콜로이드액, 수화유황, 아토닉 및 목초액이 무색이거나 옅은 황갈색이므로 수목에 도포될 경우 종래의 백도제 처럼 확연하게 눈에 띄지 않는다. 따라서, 도포제는 종래의 백도제 처럼 수목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는다.
여기서, 전술한 수화유황은 초산비닐 및 물이 혼합되어 희석된 콜로이드액 100 중량부에 0.001 내지 0.02 중량부로 혼합된다. 그리고 아토닉은 0.0001 내지 0.05 중량부로 혼합되며, 목초액은 0.01 내지 3 중량부로 혼합된다. 본 발명의 출원인이 실험한 바에 따르면, 수화유황은 전술한 혼합비율 이하로 혼합될 경우 살균 및 살충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고, 그 이상으로 혼합될 경우 독성에 의해 유해성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아토닉은 전술한 혼합비율 이하로 혼합될 경우 활성기능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고, 그 이상으로 혼합될 경우 독성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목초액은 전술한 혼합비율 이하로 혼합될 경우 기피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고, 그 이상으로 혼합될 경우 고가이므로 재료비가 엄청나게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수화유황, 아토닉 및 목초액은 전술한 비율로 콜로이드액에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한편, 전술한 도료형 도포제는 염료가 더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염료는 도포제를 수목의 수피와 유사한 색상으로 발현시키거나 수목의 관리자가 원하는 색상으로 발현시킨다. 염료는 수용성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본에서 생산되는 "느다이"라는 상표명의 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충용 조성물의 실험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예 1]
<실험계획>
수피를 뚫고 알을 낳는 곤충들, 즉 천공성 해충들을 암수로 준비하여 짝짓기 후 투입한다. 수목의 수피에 기피제를 시공한 것과 시공하지 않은 것을 같은 공간에 두어 산란하는 정도를 파악하여 기피제의 효과를 알아본다.
<실험준비물>
실험수목: 해충의 천공이 없는 토막형 참나무 4개
실험곤충: 짝짓기한 털두꺼비하늘소 암수 15쌍
실험장소: 방충망이 설치된 수목저장용 박스3개
<실험기간>
2011년 5월 16일부터 5월 30일까지
<실험방법>
먼저, 도면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부터 1번째 박스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충용 조성물이 도포된 처리목(이하 '처리목'이라 함) 및 방충용 조성물이 비처리된 비처리목(이하 '비처리목'이라 함)을 각각 삽입하고, 2번째 박스에 비처리목 1개 만을 삽입하며, 3번째 박스에 처리목 1개 만을 삽입하였다. 즉, 1번째 박스에는 처리목 및 비처리목을, 2번째 박스에는 비처리목을, 3번째 박스에는 처리목을 삽입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박스에 짝짓기한 5쌍의 해충과 먹이를 투입하고, 박스를 방충망으로 차폐한 후 약 15일이 경과된 후 결과를 예찰하였다. 이때, 먹이는 주기적으로 재투입하였다.
<실험결과>
약 15일이 경과한 후 박스를 개봉하여 해충이 알을 낳기 위해 수목에 형성한 천공부위에 흰색 점을 도면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킹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수목에 마킹된 점의 수량을 체크하였다. 이때, 도면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목 및 비처리목이 함께 투입된 1번째 박스의 처리목에서는 0개의 천공수가 확인된 반면, 비처리목(정상적인 일반 나무)에서는 44개의 천공수가 확인되었고, 비처리목만 투입된 2번째 박스의 비처리목에서는 16개의 천공수가 확인되었으며, 처리목만 투입된 3번째 박스의 처리목에서는 3개의 천공수가 확인되었다.
여기서, 전술한 1번째 박스의 경우 비처리목에서는 피막제나 살충제 및 기피제가 도포되지 않았으므로 해충들이 약 44개를 천공하였으나, 처리목에서는 피막제나 살충제 및 기피제로 인하여 해충들이 기피함에 따라 천공이 전혀 없었다. 그리고, 2번째 박스의 경우 비처리목에 피막제나 살충제 및 기피제가 도포되지 않았으므로 해충들이 약 16개를 천공하였다. 즉, 2번째 박스의 비처리목은 기피성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정상적인 나무이므로 16개를 천공하였다. 또, 3번째 박스의 경우 처리목에 피막제나 살충제 및 기피제가 도포되었으므로 약 3개를 천공하였으나, 천공 깊이가 매우 얕았을 뿐만 아니라 5쌍의 해충 중 3쌍이 죽어있었다.
한편, 실험시 관찰한 바에 따르면, 처리목과 비처리목이 같이 있는 1번째 박스의 경우 비처리목에서는 해충들의 움직임이 적었으나 처리목에서는 해충들이 잠시도 한자리에 있지 않고 움직임이 많았다. 이는, 해충들이 처리목의 기피제로 인한 스트레스 때문에 처리목에서 움직임이 많은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기피제에 의해 위협을 느껴서 처리목에 인접한 비처리목에 오히려 전술한 2번 박스의 비처리목 보다 많은 수량을 천공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3번째 박스의 경우 비처리목이 투입되지 않았으므로 어쩔 수 없이 처리목에 천공한 것으로 판단되나, 천공 개수도 3개에 불과한 것과 천공 깊이가 깊지 않은 것, 그리고 해충이 죽은 것을 보면 처리목의 효과가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처리목의 경우 피막과 살충제에 의해 해충의 천공이 매우 어려웠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충용 조성물은 도료형 도포제로 이루어지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야산이나 가로의 수목도에 도포되어 실험되었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예 2]
<실험계획>
가로수 중에는 벚나무 유리나방이 산란을 한 뒤 애벌레가 자라면서 수피에 진액이 흘러나와 혐오감을 주기에 방제는 꼭 필요하다. 벚나무 유리나방의 흔적이 있는 곳을 골라서 가해현황을 알아보고 기피제를 시공하여 벚나무 유리나방의 산란 기피실험효과를 알아본다.
<실험준비물>
실험나무: 벚나무 30주
실험곤충: 복숭아 유리나방
<실험기간>
2011년 6월 10일부터 8월 30일까지
<실험방법>
실험나무로 총 30주의 실험목 중에서 1번부터 30번까지 번호를 매겨서 3주당 1주씩 기피제를 시공하여 총 10주만을 처리목으로 처리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총 30주의 실험목에서 이미 형성된 천공을 흰색으로 마킹하고, 마킹된 천공 수를 확인한 후 복숭아 유리나방의 최성기인 8월 말에 실험나무로 지정된 수목의 추가된 천공수를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8월 말에 실험목에서 확인된 천공 수는 아래의 표와 같다.
[천공확인표]
Figure 112011084356912-pat00001
위의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처리목에서는 천공이 추가로 발견되지 않거나 1 내지 3개의 천공만이 추가로 발견되었다. 하지만, 비처리목의 경우 모든 수목에서 약 4 내지 12개의 천공이 발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처리목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해충들이 비처리목에 더 많은 천공을 형성하였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처리목에 발생된 천공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충용 조성물의 피막이 태풍이나 폭우로 인해 박리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충용 조성물은 노상의 수목에서도 우수한 방충효과를 발휘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피막의 지속성으로 인해 기피효과도 지속되므로 연 1회의 도포로도 방제가 가능하였다. 왜냐하면, 복숭아 유리나방의 경우 6월에서 8월에 우화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때 도포되면 되기 때문이다. 즉, 해충의 우화시기에 도포되면 해충의 산란이나 우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때 도포될 경우 해충의 우화시기 동안 지속적으로 기피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연 1회의 도포로 방제가 가능하다.
한편, 처리목의 확인시 피막에 의해 우수가 수목에 침투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수목의 상처에 부후가 진행되지 않은 것도 확인되었고, 이에 더하여 상처부위가 식물생장조절제에 의해 새살이 돋아서 오히려 생육이 활성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수세의 건강과 줄기가 미려하게 생장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깍지벌레의 경우 피막이 천공부위를 차폐하여 공기의 소통을 차단하므로 죽은 것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전술한 도료형 도포제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목용 방제방법은 도면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방충제 조성물을 수목(1)의 수피에 도포하는 조성물 도포단계 및 도포된 조성물을 상온에 방치하여 전술한 피막제를 경화시켜서 수목(1)의 수피에 피막을 형성하는 조성물 경화단계, 그리고 도면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조성물이 도포되지 않은 수목(1)의 다른 부위에 롤트랩(60)을 권회하여 수목(1)을 롤트랩(60)으로 차폐하는 롤트랩 차폐단계를 포함한다.
조성물 도포단계는 예컨대, 도면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조성물을 이동형 저장통(T)에 저장하는 조성물 저장단계 및 저장통(T)의 조성물을 펌프(P)로 펌핑하여 조성물을 수목(1)의 수피에 분사하는 조성물 분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펌프(P)는 통상의 콤프레셔일 수 있으나, 휴대가 간편하도록 샴프통이나 스프레이통 또는 백팩형 농약살포통과 같이 저장통 및 수동식 펌프가 일체로 구성된 장치를 적용할 수도 있다. 물론, 조성물은 전술한 펌프(P)가 아닌 붓으로 수목에 도포될 수도 있으나, 도포가 용이하면서 도포면적에 고르게 도포되도록 전술한 바와 같이 펌프(P)를 이용하여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 경화단계는 전술한 콜로이드 형태의 피막제를 경화시키는 공정이다. 이때, 전술한 살충제 및 기피제는 피막제에 혼합되므로 피막과 일체를 이룬다. 그리고, 전술한 식물생장조절제인 아토닉은 수목(1)에 흡수된다.
롤트랩 차폐단계는 예컨대, 도면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조성물이 도포된 부위(A)가 아닌, 즉 조성물이 도포되지 않은 수목(1)의 다른 부위에 롤트랩(60)을 권회하는 롤트랩 권회단계, 그리고 도면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1)에 권회된 롤트랩(60)을 관통해서 수목(1)에 체결되는 체결부재(53)를 이용하여 수목에(1) 랩핑된 롤트랩(60)을 수목(1)에 고정하는 롤트랩 고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롤트랩 권회단계는 롤트랩(60)의 양측 테두리가 겹치는 상태로 수목(1)에 롤트랩(60)을 권회한다. 그리고, 전술한 롤트랩 고정단계는 예컨대, 스테플러나 압정 또는 못과 같은 부재를 체결부재(53)로 이용한다.
한편, 롤트랩 차폐단계는 도면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체결부재(53)에 의해 고정된 롤트랩(60)의 상단을 밀봉재로 밀봉하는 밀봉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밀봉재는 액상에서 고상으로 경화되는 실리콘이나 라텍스와 같은 경화물질(60')로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롤트랩(60)의 상단을 밀봉재로 밀봉하는 이유는 수피가 롤트랩(60)으로 랩핑되었어도 수피에 형성된 골을 통해 해충이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밀봉단계는 도면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트랩(60)의 상단에 원주방향을 따라 경화물질(60')을 도포하여 롤트랩(60)의 상단을 실링한다.
롤트랩 차폐단계는 도면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화물질(60')의 외주면에 테이프(90)를 테이핑하여 경화물질(60')을 보호하면서 롤트랩(60)의 상단부를 2차적으로 실링하는 테이핑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렇게, 테이핑단계를 실시하는 이유는 경화물질(60')이 우수나 바람에 의해 박리될 경우 2차적으로 롤트랩(60)의 상단을 차폐하기 위함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롤트랩(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63) 및 타측면(64)에 점성질의 접착제(60b) 및 끈끈이 형태의 포충액(60c)이 제각기 도포되어 보빈(69)에 권취된 종이나 비닐재로 이루어진 필름(60a)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일측면(63)은 접착제(60b) 대신 포충액(60c)이 도포될 수도 있다. 이러한 롤트랩(60)은 일측면의 접착제(60b)나 포충액(60c)에 의해 수목의 수피에 부착된다. 그리고, 롤트랩(60)은 타측면의 포충액(60c)을 통해 해충을 포집하여 포살한다. 따라서, 롤트랩(60)은 수목을 차폐한 상태로 해충을 포살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롤트랩(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포충액(60c)이 도포된 타측면(64)에 유인제(6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유인제(61)는 해충이 섭취하는 경구용 살충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해충이 선호하는 페로몬과 같은 유인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필름(60a)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6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필름(60a)은 관통공(68)을 통해 포충액(60c)이나 접착제(60b)를 소통시켜서 포충액(60c)이나 접착제(60b)를 서로 혼합시킨다. 따라서, 필름(60a)은 포충액(60c)이나 접착제(60b)가 혼합되므로 포충액(60c)이나 접착제(60b)가 하방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필름(60a)은 관통공(68)을 통해 내부의 습기를 배출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여 수목의 원활한 생장을 돕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성물은, 콜로이드 형태의 피막제가 함유된 도료형 도포제를 수목(1)의 수피에 도포하면 방충작업이 완료되므로 방충작업의 편의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피막제가 수피에 박막의 피막으로 형성되므로 방충기간이 경과할 경우 피막이 수피에서 자연적으로 제거되고, 이에 더하여 살충제나 기피제가 함유될 경우 살충제나 기피제에 의해 해충이 살충되거나 기피되므로 해충에 의한 수목(1)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식물생장조절제가 함유될 경우 방충과 함께 수목(1)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도 있다.
또, 피막제가 수용성의 초산비닐이나 라텍스로 구성될 경우 피막의 인장력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막의 생분해 기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살충제가 수화유황으로 구성될 경우 살충제를 피막제와 용이하게 혼합할 수 있으며, 식물생장조절제가 식물성 활성제제인 아토닉으로 구성될 경우 친수성(親樹性)에 의해 촉진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목의 상처부위에 새로운 조직을 단기간에 생성시킬 수 있고, 기피제가 목초액으로 구성될 경우 친수성에 의해 기피제에 의한 수목(1)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초액의 특유 향으로 인하여 해충을 기피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해충의 가해 부위에 도포제를 도포하여 피막을 형성한 후 다른 부분에 롤트랩(60)을 권회할 경우 피막이 없는 부분만 롤트랩(60)을 권회되므로 롤트랩(60)의 사용량 및 권회시간을 대폭적으로 감축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포제를 분사하여 도포할 경우 도포제를 수목(1)에 용이하게 골고루 도포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롤트랩(60)을 체결부재로 고정할 경우 롤트랩을 수목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53 : 체결부재
60 : 롤트랩
60a : 필름
60b : 접착제
60c : 포충액

Claims (7)

  1. 경화되면서 수목의 수피에 피막을 형성하는 콜로이드 형태의 피막제에 해충을 살충하는 액상이나 분말형태의 살충제, 수목에 흡수되어 세포의 원형질 유동을 촉진하는 액상이나 분말형태의 식물생장조절제 및 해충을 기피시키는 액상이나 분말형태의 기피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혼합되어 수목에 도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포제는,
    상기 피막제가 초산비닐이나 점성을 갖는 수용성 수지 또는 라텍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콜로이드액이고,
    상기 살충제가 수용성 수화유황, 허브추출액, 참옷추출액 또는 피톤치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식물생장조절제가 아토닉이나 지베렐린 또는 토마토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기피제가 목초액, 시트로넬라오일, 유칼립투스오일, 냄유, 란타나 카마라, 아르테미시아 불가리스, 로즈, 제라늄, 라벤다, 회향유, 펜촌, 옥타데세 노익산 군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도포제는,
    상기 초산비닐 및 물이 40~80wt% : 20~60wt%의 비율로 혼합되어 희석된 콜로이드액 100중량부에 0.001 내지 0.02 중량부의 수화유황, 0.0001 내지 0.05 중량부의 아토닉 및 0.01 내지 3 중량부의 목초액이 혼합되고,
    상기 도포제를 수목의 수피와 유사한 색상으로 발현시키는 염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염료는,
    수용성안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수목의 수피에 제1항에 의한 방충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조성물 도포단계;
    상기 도포된 조성물을 상온에 방치하여 경화시키는 조성물 경화단계; 및
    상기 조성물이 도포되지 않은 수목의 다른 부위에 롤트랩을 권회하여 수목을 롤트랩으로 차폐하는 롤트랩 차폐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 도포단계는,
    상기 조성물을 이동형 저장통에 저장하는 조성물 저장단계; 및
    상기 저장된 조성물을 펌핑하여 상기 조성물을 수목의 수피에 분사하는 조성물 분사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롤트랩 차폐단계는,
    상기 조성물이 도포되지 않은 수목의 다른 부위에 롤트랩을 권회하는 롤트랩 권회단계; 및
    상기 권회된 롤트랩을 관통해서 상기 수목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수목에 랩핑된 롤트랩을 수목에 고정하는 롤트랩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수목용 방제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롤트랩 차폐단계는,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 상기 롤트랩의 상단을 밀봉재로 밀봉하는 밀봉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밀봉단계는,
    상기 롤트랩의 상단에 원주방향을 따라 실리콘을 도포하여 롤트랩의 상단을 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용 방제방법.
KR1020110110449A 2011-10-27 2011-10-27 방충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한 수목용 방제방법 KR101348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449A KR101348879B1 (ko) 2011-10-27 2011-10-27 방충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한 수목용 방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449A KR101348879B1 (ko) 2011-10-27 2011-10-27 방충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한 수목용 방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092A KR20130046092A (ko) 2013-05-07
KR101348879B1 true KR101348879B1 (ko) 2014-01-07

Family

ID=48657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449A KR101348879B1 (ko) 2011-10-27 2011-10-27 방충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한 수목용 방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8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356B1 (ko) * 2013-10-31 2014-10-15 조규홍 고흡수성 수지를 포함한 비료 주머니
KR101692667B1 (ko) * 2016-03-07 2017-01-03 종이없는벽지 주식회사 모기 기피 효과를 갖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조성물,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 수성 도료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수성 도료
KR102366486B1 (ko) * 2021-06-15 2022-02-23 대한민국 천공성해충 피해방지제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2390A (ja) * 1998-12-14 2002-10-02 シンジェンタ・パティシペーションズ・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殺虫性種子コーティング
KR20040010820A (ko) * 2004-01-10 2004-01-31 박천경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
KR100955702B1 (ko) * 2009-11-12 2010-04-30 푸른공간 주식회사 수목용 랩핑식 롤트랩에 의한 수목해충방제방법
KR100993633B1 (ko) 2008-05-29 2010-11-15 대한민국 참나무시들음병 예방 및 방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2390A (ja) * 1998-12-14 2002-10-02 シンジェンタ・パティシペーションズ・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殺虫性種子コーティング
KR20040010820A (ko) * 2004-01-10 2004-01-31 박천경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
KR100993633B1 (ko) 2008-05-29 2010-11-15 대한민국 참나무시들음병 예방 및 방제방법
KR100955702B1 (ko) * 2009-11-12 2010-04-30 푸른공간 주식회사 수목용 랩핑식 롤트랩에 의한 수목해충방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092A (ko) 201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68796B (zh) 一种防治杨树天牛虫害的药膏
NZ601636A (en) Use of an alkoxylate or a quaternized derivative of 2-propylheptylamine in a pesticidal composition for controlling phytopathogenic fungi or undesired insect or mite attack
CN103155943B (zh) 一种用于防治林业害虫杨树天牛的药膏
KR100955702B1 (ko) 수목용 랩핑식 롤트랩에 의한 수목해충방제방법
KR101348879B1 (ko) 방충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한 수목용 방제방법
KR101183103B1 (ko)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 및 이에 의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
CN109526977A (zh) 一种具有强内吸传导特性和触杀作用的防治天牛的高效膏剂及其使用方法
JPWO2013168630A1 (ja) 樹幹注入剤
CN103749527B (zh) 一种含有噻虫啉的防治林业害虫杨树天牛的药膏
US20080206272A1 (en) Method for Repelling Pests with an Insect Repellent Composition Based on Garlic
KR101877035B1 (ko) 살충용 거품제제 사용방법
WO2005018319A3 (en) Suppressing plant pathogens and pests with applied or induced auxins
CA3007706A1 (en) Animal repellant
KR101371664B1 (ko) 수목의 해충방제방법
JP2002220306A (ja) 防虫用ロープ、防虫用ロープ装置及び防虫用ネット並びに簡易防虫装置
KR20090124342A (ko) 참나무시들음병 예방 및 방제방법
CN109258683A (zh) 一种具有高效、内吸传导作用的防治天牛的药膏及其使用方法
KR101897530B1 (ko) 겨자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공충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CN103749513A (zh) 一种含有光活化杀虫剂2,5-二噻吩-2-乙炔基噻吩的杀虫药膏
JP2009268453A (ja) ヒガンバナ科球根圧搾液を使用した松食い虫松枯れ防止液
CN107535500A (zh) 一种农药水乳剂
JPH08325108A (ja) 土壌燻蒸剤の燻蒸方法
KR980007977A (ko) 수간주입법을 이용한 버즘나무 방패벌레와 흰불나방의 통제방법
Coley Spotted Lanternfly Control Program in the Mid-Atlantic Region, North Carolina, Ohio and Kentucky
KR20170082136A (ko) 겨자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공충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