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530B1 - 겨자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공충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겨자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공충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530B1
KR101897530B1 KR1020180015379A KR20180015379A KR101897530B1 KR 101897530 B1 KR101897530 B1 KR 101897530B1 KR 1020180015379 A KR1020180015379 A KR 1020180015379A KR 20180015379 A KR20180015379 A KR 20180015379A KR 101897530 B1 KR101897530 B1 KR 101897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tard oil
composition
oil
woo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8634A (ko
Inventor
이상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바이오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바이오비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바이오비전
Priority to KR1020180015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530B1/ko
Publication of KR20180018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01N25/06Aeros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 Y10S514/919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겨자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공충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하여 산림 해충 뿐만 아니라 과수 해충 및 목재가공품 해충 등 다양한 임산업 가공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겨자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공충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The insecticidal composition for controlling borer consisting of mustard oil as an efficient component}
본 발명은 겨자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공충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겨자 오일을 유기용매 또는 끈끈이액에 혼합하여 도포제로 사용하게 하거나 또는 스프레이상으로 제조해 분무제로 사용하여 살충 효과를 평가하고 천공충 방제용 살충제를 제공한다.
전 국토의 60 % 이상이 산림으로 이루어진 우리나라는 기록된 해충의 종류가 2,600여종으로 알려져 있다(최광식, 특용수 해충도감,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신서 제 24호, 2007). 특히 농민들의 소득을 높이기 위하여 재배되고 있는 유실수인 호두, 대추 등과 삶의 질이 향상되어 조경수나 정원수 및 분재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해충들에 의해 이러한 수목들이 피해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수목을 가해하는 해충은 주로 잎을 흡즙(吸汁)하는 흡즙성(吸汁性) 해충인 진딧물류 및 방패벌레와 잎을 식해(食害)하는 식엽성(食葉性) 해충인 나비목 해충류 등이 있으며 이들 해충은 약제를 살포하는 방법만으로도 쉽게 방제가 되는 편이다. 그러나 나무의 목질부 내에서 가해하는 천공성 해충류인 하늘소류와 나무 좀류 및 박쥐나방류 등은 약제를 살포하는 것으로는 방제가 불가능하다. 또한 목재 건축자재 및 목재가구 등 목재가공품을 가해하는 가루나무 좀류와 나무 좀류 및 흰개미 등에 의한 피해도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소나무 재선충병은 소나무 재선충이 매개충에 의해 전파되어 소나무 내에 침입 후 증식함으로 소나무를 고사시키는 병으로 한번 감염되면 치료가 불가능한 병으로 알려져 있다.
소나무 재선충 병의 방제는 주로 화학농약에 의한 매개충 구제와 약제나무주사에 의한 예방이 주 방제방법이며 매개충 구제 방법으로는 죽은 나무를 벌채하여 쌓은 다음 훈증 약제를 주입하고 피복필름을 씌워 가스에 의한 살충작용을 하는 방법이 주된 방제법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작업의 부주의로 인해 매개충이 생존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매개충이 생존하여 소나무 재선충을 확산시킬 것을 우려해 화학살충제를 이용한 항공약제살포를 병행하고 있으며 그 방법으로 벌근부(그루터기)에 서식하는 하늘소 방제의 경우 훈증 약제를 처리하고 피복제를 덮어 훈증 방제하거나 병의 진전이 수간의 아랫부분부터 진전됨으로 그루터기를 낮추어 베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Tan et al., A Study on disease development and early diagnosis of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infection of japanese black pine, Nematology 7: 481-485, 2005).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산림의 입지 여건상 방제에 어려움이 많아 방제의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으므로 보다 실효성이 높은 방제방법의 제시가 필요하다.
천연 식물성 정유인 이소치오시아네이트(Isothiocyanate)는 고추냉이의 주된 성분으로 추출된 정유 중에 약 80%를 차지하며 항균작용에 주성분으로 작용해 콜레라균 및 장티푸스균과 같은 식중독 세균 등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umagai H, Analysis of volatile components in essential oil of upland wasabi and their inhibitory effects on platelet aggregation, Biosci. Biotech. Biochem 58:2131-2135, 1994).
본 발명의 선행기술로 참나무 목초액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문화재 보존용 방충 또는 살충용 조성물이 제10-1270630호에 개시된 바 있으나 이는 주로 참나무 목초액의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권연벌래의 방충 또는 살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여 문화재를 보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식물성 천연물질을 이용한 선택적 흰개미 기피제 조성물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1359호에 개시된 바 있으나 이는 식물성 천연물질인 시트로넬라 오일, 레몬그래스 오일 및 은행나무잎 추출물을 이용하여 환경오염 등의 부작용이 없는 흰개미 기피제 조성물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포충용 끈끈이액 및 제조방법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9251호에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간단한 방법으로 단시간에 제조가 가능한 친환경적인 포충용 끈끈이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편 유채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1038호에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기능성 천연 살충제로 유채의 추출물 또는 농축액 및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특허문헌 어디에도 겨자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를 제조하여 살충효과를 평가한 천공충 방제용 살충제는 개시되거나 검증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겨자 오일을 함유하는 천공충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단계에서 얻은 천공충 방제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끈끈이액 및 스프레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겨자 오일을 메탄올과 혼용하여 천공구에 주입하여 결과를 관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오일과 끈끈이액을 혼합한 조성물을 솔수염 하늘소 침입구에 주입하여 유충의 치사 유무를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조성물과 겨자 오일을 에탄올과 혼합한 조성물을 솔수염 하늘소 침입구에 주입하여 유충의 치사 유무를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겨자 오일과 끈끈이액을 혼합한 조성물을 스프레이상으로 충진한 후 솔수염 하늘소 천공구에 분사처리하여 살충효과를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스프레이상을 솔수염 하늘소가 서식하는 목재표면과 흰개미가 서식하는 목재 표면에 분사하여 살충효과를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스프레이 상을 부직포에 분사한 후 침입공 부위에 부착시켜 하늘소 애벌레의 치사 유무를 조사하는 단계를 통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겨자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공충 방제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산림 해충 뿐만 아니라 과수 해충 및 목재가공품 해충 등 광범위하게 방제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겨자 오일 함유 점착성 스프레이상 사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조성물을 천공구에 주입 처리하는 사진도이다.
도 3는 본 발명 겨자 오일 처리에 의해 치사된 하늘소 사진도이다.
도 4은 본 발명 겨자 오일 처리에 의해 치사된 흰개미 사진도이다.
본 발명은 천공충의 서식생태특성을 고려하여 천공충이 목재 내에 서식하는 단계에서 휘발성이 있는 천연물질인 겨자 오일을 주입하여 목재 내에 있는 벌레를 퇴치하는 방법이다. 유실수, 조경수, 분재 및 목재 내 천공충의 천공구가 열려있는 경우에는 조성물을 분무 처리하여 살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고 천공구가 폐쇄된 경우 스프레이 분사구를 천공구에 주입하여 조성물이 천공구 내 깊이 주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목재가공품의 경우 조성물을 처리하고 필름을 부착하여 살충물질이 천공구내에 충분히 침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천연식물오일의 벌레 방제 효과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한 휘발성 유기화물, 유기주석화합물 및 알킬페놀류 등이 검출되지 않는 끈끈이액과 같은 담체에 (주)BIG로부터 분양받은 천연 식물성 오일인 겨자오일 또는 고추냉이 오일을 사용하여 혼합한 조성물을 벌레가 서식하는 천공구에 주입하거나 천공구 표면에 분무 처리하여 천공충의 퇴치 효과를 조사한 결과 극대화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천연 식물성 오일인 겨자오일, 고추냉이오일 외에도 다수의 균등물이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1 : 천연식물오일의 천공충에 대한 살충효과 조사
본 발명에 따른 겨자오일과 고추냉이오일을 메탄올에 각 5 중량%, 10 중량% 및 20 중량%으로 혼합하여 천공구 당 0.3-0.5 mL 수준으로 주입하고 24시간 경과 후 관찰한 결과 표 1과 같이 100 % 벌레 퇴치(살충)효과를 보였다.
겨자오일 또는 고추냉이오일과 메탄올 혼합 조성물의 살충효과
살충률(%)
처리농도 겨자오일 고추냉이오일
5 중량% 100 100
10 중량% 100 100
20 중량% 100 100
무처리 0 0
실험예 2 : 천연식물 오일과 끈끈이액 혼합 조성물 처리량에 따른 살충효과 조사
본 발명의 겨자오일과 고추냉이 오일을 끈끈이액에 각 5 중량%, 10 중량% 및 20 중량%로 혼합한 조성물을 솔수염 하늘소 침입구에 0.3-0.5 mL 수준으로 주입하여 24시간 경과 후 솔수염 하늘소 유충의 치사유무를 조사한 결과 5 중량% 이상 처리 시 100 %의 벌레퇴치(살충) 효과를 나타냈다(표 2).
겨자오일 또는 고추냉이오일과 끈끈이액 혼합 조성물 처리량에 따른 살충효과
살충률(%)
처리농도 겨자 오일 고추냉이 오일
5 중량% 100 100
10 중량% 100 100
20 중량% 100 100
무처리 0 0
실험예 3 : 겨자오일의 끈끈이액 혼합 조성물에 따른 살충효과 조사
한편, 본 발명의 겨자오일을 끈끈이액에 각 5 중량%, 10 중량% 및 20 중량%로 혼합한 조성물과 에탄올에 5 중량%, 10 중량% 및 20 중량%로 혼합한 조성물을 솔수염 하늘소 침입구에 0.1-0.4 mL 수준으로 주입하여 24시간 경과 후 솔수염 하늘소 유충의 치사유무를 조사한 결과 겨자오일과 끈끈이액 혼합 조성물이 에탄올 혼용 처리에 비하여 살충효과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표 3).
겨자오일과 끈끈이액 혼합 조성물의 살충효과
조성물 처리량(mL)별 살충률(%)
0.1 0.2 0.3 0.4
끈끈이액 혼합 5 중량% 40 90 100 100
끈끈이액 혼합 10 중량% 50 100 100 100
끈끈이액 혼합 20 중량% 70 100 100 100
에탄올 혼용 5 중량% 30 70 100 100
에탄올 혼용 10 중량% 50 80 100 100
에탄올 혼용 20 중량% 50 100 100 100
무처리 0 0 0 0
실험예 4 : 겨자오일의 끈끈이액 혼합 조성물에 따른 살충효과 조사
본 발명 겨자오일과 끈끈이액 혼합 조성물을 각 5 중량%, 10 중량% 및 20 중량%로 에어로졸 타입으로 충진하고(도 1) 솔수염 하늘소 천공구에 0.5 mL 수준으로 분사 처리한 후(도 2) 상온에서 24시간 및 48시간 경과 후 살충효과를 조사한 결과 5 중량% 이상의 조성물을 처리할 시 살충효과는 100 %로 나타났다(표 4).
겨자오일의 끈끈이액 혼합 조성물에 따른 살충효과
처리 농도 살충률(%)
5 중량% 100
10 중량% 100
20 중량% 100
무처리 0
실시예 2 : 겨자오일의 끈끈이액 혼합 조성물의 목재표면 처리 효과
본 발명은 끈끈이액에 겨자오일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목재 천공충이 서식하고 있는 목재의 표면에 분무 처리하여 천공충의 퇴치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예 5 : 겨자 오일의 목재 표면 분무처리 효과
본 발명의 겨자 오일을 메탄올에 각 5 중량%, 10 중량% 및 20 중량%로 혼합하여 솔수염 하늘소가 침입하여 서식하고 있는 목재 표면과 흰개미가 서식하고 있는 목재표면에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mL/10 ㎠ 분무처리하고 공기투과도가 낮은 폴리에틸렌(PE) 필름을 표면 피복한 다음 24시간 경과 후에 살충효과를 조사한 결과 솔수염 하늘소와 흰개미 모두 조성물 5 중량%를 0.5 mL 수준으로 처리 시 100 % 살충효과를 나타냈다(표 5-6 및 도 3-4).
겨자 오일의 목재 표면 분무처리에 따른 솔수염 하늘소 유충의 살충효과
처리농도 솔수염하늘소 유충 살충률(%)
필름 피복 필름 미 피복
5 중량% 100 0
10 중량% 100 0
20 중량% 100 0
무처리 0 0
겨자 오일의 목재 표면 분무처리에 따른 흰개미의 살충효과
처리농도 흰개미 살충률(%)
필름 피복 필름 미 피복
5 중량% 100 0
10 중량% 100 0
20 중량% 100 0
무처리 0 0
실험예 6 : 겨자오일 함유 끈끈이액의 표면처리 효과
본 발명의 겨자오일과 끈끈이액 혼합 조성물을 부직포에 흡착(1 mL/5 ㎝x5 ㎝)시키고 솔수염 하늘소 칩입공 부위에 부착하여 씰링한 후 하늘소 애벌레의 치사유무를 조사한 결과 24시간 경과 후 100 %의 살충효과를 보였다(표 7).
겨자오일을 혼합한 끈끈이액의 표면처리에 따른 살충효과
처리농도 살충률(%)
5 중량% 100
10 중량% 100
20 중량% 100
무처리 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겨자오일 및 고추냉이오일 등 천연식물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공충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산림 해충 뿐만 아니라 과수 해충 및 목재가공품 천공충을 광범위하게 방제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임업 및 목재가공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겨자 오일이 전체 조성물 대비 5~20중량% 함유하도록 끈끈이액 담체에 혼합된 것이 특징인 솔수염 하늘소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에어로졸 또는 분무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이 특징인 솔수염 하늘소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KR1020180015379A 2018-02-08 2018-02-08 겨자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공충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KR101897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379A KR101897530B1 (ko) 2018-02-08 2018-02-08 겨자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공충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379A KR101897530B1 (ko) 2018-02-08 2018-02-08 겨자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공충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584A Division KR20170082136A (ko) 2017-06-29 2017-06-29 겨자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공충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634A KR20180018634A (ko) 2018-02-21
KR101897530B1 true KR101897530B1 (ko) 2018-09-12

Family

ID=61525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379A KR101897530B1 (ko) 2018-02-08 2018-02-08 겨자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공충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530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95264B (en) * 1986-09-09 1990-10-24 Norsolor Sa A process for regenerating a catalyst and its application to an oxidative dehydrogenation process
KR100486819B1 (ko) * 2001-05-14 2005-04-29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식물 추출물 및 이로부터 유래한 살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살충성 조성물
KR20030075481A (ko) * 2002-03-19 2003-09-26 애경산업(주) 집먼지 진드기 살충제 조성물 및 분사기구
KR101270630B1 (ko) * 2010-08-02 2013-06-04 대한민국 참나무 목초액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문화재 보존용 방충 또는 살충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634A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likai et al. Status of pomegranate pests and their management strategies in India
Mafra-Neto et al. Development of specialized pheromone and lure application technologies (SPLAT®) for management of coleopteran pests in agricultural and forest systems
KR20090127498A (ko) 미생물 및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해충 및 식물병방제용 살균 및 살충 조성물
Delgarde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thiamethoxam on three species of African termite (Isoptera: Termitidae) crop pests
US9629362B1 (en) Methods for killing insects using methyl benzoate
Bernard et al. Evaluation of four plant extract repellents for management of the European red ant Myrmica rubra (Hymenoptera: Formicidae)
CN108668742A (zh) 一种澳洲坚果树的天牛防治方法
Zhang et al. Insecticidal Activity of the Soil in the Rhizosphere of Viburnum odoratissimum against Solenopsis invicta (Hymenoptera: Formicidae)
KR101897530B1 (ko) 겨자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공충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SALJOQI et al. Effect of different insecticides against termites, Heterotermes indicola L.(Isoptera: Termitidae) as slow acting toxicants.
US20020018762A1 (en) Utilizing camptotheca products for termite control
JPH05213711A (ja) 生理活性抑制剤
KR101348879B1 (ko) 방충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한 수목용 방제방법
Pugliese et al. Evaluation of the efficacy of insecticidal coatings based on teflutrin and chlorpyrifos against Rhynchophorus ferrugineus
Nisar et al. 24. Comparative effect of termiticides and plant extracts on mortality and tunnel formation of Odontotermes obesus
JP5604619B2 (ja) 松の材線虫の駆除・防除薬剤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松の材線虫病による松枯れ防除方法
KR20170082136A (ko) 겨자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공충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KR20160060265A (ko) 겨자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공충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KR101361703B1 (ko) 복숭아유리나방 유인용 성페로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Mozhdehi et al. Application of detterent compound for control of olive fruit flies Bactrocera oleae Gmelin.(Diptera: Tephritidae)
Jayashree et al. Anti-termite properties of root and leaf powder of Vetiver grass
CN103756101A (zh) 有生物杀灭功效的高分子复合材料及制备工艺
KR100710054B1 (ko) 점박이응애용 살충 조성물
CN108207949B (zh) 一种醇类化合物在防治褐飞虱方面的应用
JP4188893B2 (ja) 害虫忌避剤及び害虫の被害を低減する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