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4139A - 곤충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곤충 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4139A
KR20180014139A KR1020180010434A KR20180010434A KR20180014139A KR 20180014139 A KR20180014139 A KR 20180014139A KR 1020180010434 A KR1020180010434 A KR 1020180010434A KR 20180010434 A KR20180010434 A KR 20180010434A KR 20180014139 A KR20180014139 A KR 20180014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s
attracting
collecting
collection
l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5818B1 (ko
Inventor
피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향토유전자원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향토유전자원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향토유전자원연구소
Priority to KR1020180010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818B1/ko
Publication of KR20180014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곤충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나무 또는 기구에 매달리는 방법으로 고정되어 주변의 곤충을 포집하는 장치에 있어서, 속이 빈 상자 형상으로 일단이 막히고 타단이 오픈된 포집몸체와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되도록 복수 개의 연결봉을 매개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포집몸체의 타단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중공형 원추통과 상기 중공형 원추통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 일측에 와이어가 결합되는 포집상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중공형 원추통 내부로 유인된 곤충이 상기 포집몸체에 포집되는 포집부 및, 일단이 막히고 타단이 오픈된 형상으로 상기 포집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유인몸체와 일단이 상기 유인몸체의 타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측면 일측에 관통공이 뚫려 있는 중공형 유인보조몸체와 상기 유인보조몸체의 타단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유인상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유인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페르몬의 향기가 상기 유인보조몸체의 관통공을 통해 퍼져 나가 주위의 곤충을 유인하는 유인부로 구성되되, 상기 유인부가 상기 포집몸체의 내부에 설치됨으로 인해 상기 포집몸체의 내부에 포집된 곤충의 날아다닐 수 있는 활동반경을 제한시켜 곤충이 포집부 밖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인부가 포집부 내부에 설치되어 포집된 곤충의 날아다닐 수 있는 활동반경을 줄여 곤충이 포집부 밖으로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주변의 곤충을 모두 포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집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곤충을 빠짐없이 조사가 가능 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곤충 포집장치{ A device for capturing insect }
본 발명은 페로몬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주변의 곤충을 포집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림에는 수많은 종류의 곤충이 서식하고 있으며, 이들 곤충 중에서 인간이 산림에서 기대하는 혜택을 직, 간접으로 방해하는 곤충을 산림해충이라 한다.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산림해충은 2,500 여종이며 이중 치명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해충은 100종 미만이다.
현재 이러한 산림해충을 방제하기 위하여 다양한 곤충트랩이 사용되고 있다. 곤충트랩(insect trap)은 곤충의 습성을 이용하여 곤충을 포획하는 기구를 가리킨다. 보통 곤충을 유인하는 방식에 따라 유인등이나 페로몬 등 화학물질이 사용되며, 곤충의 이동성을 제한하는 방식에 따라 곤충이 달라붙는 끈끈이를 사용하거나 전격(電擊)으로 감전시켜서 살상하기도 한다. 곤충출몰장소에 설치한 후 팬을 통해 날아다니는 곤충을 강제로 흡입하여 포집하는 방식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포집장치는 끈끈이 또는 페로몬 등이 외부에 비치되어 있어 외부 환경에 의해서 손상되어 재 역할을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즉, 끈끈이 또는 페로몬 등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비가 오는 등 주변 환경이 나쁜 경우 그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페로몬 등으로 인해 포집된 곤충이 내부에서 외부로 도망가지 못하도록 내부에서 곤충들의 활동 반경을 줄여야 하는데 기존 포집장치는 곤충들이 날아갈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곤충들을 효과적으로 가둘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023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곤충을 유인하는 페로몬이 든 유인부를 포집부 내부에 두어 외부 환경에 영향 없이 곤충을 유인하여 포집할 수 있고, 유인부가 포집부 내부에 설치되어 포집된 곤충의 날아다닐 수 있는 활동반경을 줄여 곤충이 포집부 밖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곤충 포집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나무 또는 기구에 매달리는 방법으로 고정되어 주변의 곤충을 포집하는 장치에 있어서, 속이 빈 상자 형상으로 일단이 막히고 타단이 오픈된 포집몸체와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되도록 복수 개의 연결봉을 매개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포집몸체의 타단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중공형 원추통과 상기 중공형 원추통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 일측에 와이어가 결합되는 포집상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중공형 원추통 내부로 유인된 곤충이 상기 포집몸체에 포집되는 포집부 및, 일단이 막히고 타단이 오픈된 형상으로 상기 포집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유인몸체와 일단이 상기 유인몸체의 타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측면 일측에 관통공이 뚫려 있는 중공형 유인보조몸체와 상기 유인보조몸체의 타단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유인상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유인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페르몬의 향기가 상기 유인보조몸체의 관통공을 통해 퍼져 나가 주위의 곤충을 유인하는 유인부로 구성되되, 상기 유인부가 상기 포집몸체의 내부에 설치됨으로 인해 상기 포집몸체의 내부에 포집된 곤충이 날아다닐 수 있는 활동반경을 제한시켜 곤충이 포집부 밖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포집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곤충을 유인하는 페로몬이 든 유인부를 포집부 내부에 두어 외부 환경의 영향 없이 다양한 환경에서 곤충을 유인하여 포집할 수 있다. 또한, 간편하게 포집된 곤충을 이용하여 산림에 해를 끼치는 해충의 발생시기 및 발생량을 조사하여 방제작업의 실시 및 적기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유인부가 포집부 내부에 설치되어 포집된 곤충의 날아다닐 수 있는 활동반경을 줄여 곤충이 포집부 밖으로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주변의 곤충을 모두 포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집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곤충을 빠짐없이 조사가 가능 하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원발명의 포집장치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유인부가 포집몸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은 포집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연결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원추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유인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곤충 포집장치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원발명의 포집장치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는 유인부가 포집몸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은 포집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4는 연결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원추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6은 유인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원발명은 곤충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나무 또는 기구에 매달리는 방법으로 고정되어 주변의 곤충을 포집하는 장치에 있어서, 속이 빈 상자 형상으로 일단이 막히고 타단이 오픈된 포집몸체(110)와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되도록 복수 개의 연결봉(120)을 매개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포집몸체(110)의 타단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중공형 원추통(130)과 상기 중공형 원추통(13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 일측에 와이어가 결합되는 포집상부판(140)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중공형 원추통(130) 내부로 유인된 곤충이 상기 포집몸체(110)에 포집되는 포집부(100) 및, 일단이 막히고 타단이 오픈된 형상으로 상기 포집몸체(1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유인몸체(210)와 일단이 상기 유인몸체(210)의 타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측면 일측에 관통공이 뚫려 있는 중공형 유인보조몸체(220)와 상기 유인보조몸체(220)의 타단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유인상부판(230)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유인몸체(210)의 내부에 설치된 페르몬의 향기가 상기 유인보조몸체(220)의 관통공을 통해 퍼져 나가 주위의 곤충을 유인하는 유인부(200)로 구성되되, 상기 유인부(200)가 상기 포집몸체(110)의 내부에 설치됨으로 인해 상기 포집몸체(110)의 내부에 포집된 곤충의 날아다닐 수 있는 활동반경을 제한시켜 곤충이 포집부(100) 밖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포집부(100) 및 유인부(200)로 구성되는 것으로 주변환경에 영향없이 주변의 곤충을 손쉽게 포집하여 포집장치(10)가 설치된 주변의 곤충을 조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집된 곤충이 손쉽게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여 포집된 곤충을 박멸할 수 있는 곤충 포집장치(10)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림에는 수많은 종류의 곤충이 서식하고 있으며, 이들 곤충 중에서 인간이 산림에서 기대하는 혜택을 직, 간접으로 방해하는 곤충을 산림해충이라 한다.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산림해충은 2,500 여종이며 이중 치명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해충은 100종 미만이다.
현재 이러한 산림해충을 방제하기 위하여 다양한 곤충트랩이 사용되고 있다. 곤충트랩(insect trap)은 곤충의 습성을 이용하여 곤충을 포획하는 기구를 가리킨다. 보통 곤충을 유인하는 방식에 따라 유인등이나 페로몬 등 화학물질이 사용되며, 곤충의 이동성을 제한하는 방식에 따라 곤충이 달라붙는 끈끈이를 사용하거나 전격(電擊)으로 감전시켜서 살상하기도 한다. 곤충출몰장소에 설치한 후 팬을 통해 날아다니는 곤충을 강제로 흡입하여 포집하는 방식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포집장치는 끈끈이 또는 페로몬 등이 외부에 비치되어 있어 외부 환경에 의해서 손상되어 재 역할을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즉, 끈끈이 또는 페로몬 등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비가 오는 등 주변 환경이 나쁜 경우 그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페로몬 등으로 인해 포집된 곤충이 내부에서 외부로 도망가지 못하도록 내부에서 곤충들의 활동 반경을 줄여야 하는데 기존 포집장치는 곤충들이 날아갈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곤충들을 효과적으로 가둘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곤충을 유인하는 페로몬이 든 유인부를 포집부 내부에 두어 외부 환경에 영향 없이 곤충을 유인하여 포집할 수 있고, 유인부가 포집부 내부에 설치되어 포집된 곤충의 날아다닐 수 있는 활동반경을 줄여 곤충이 포집부 밖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곤충 포집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곤충을 유인하는 페로몬이 든 유인부를 포집부 내부에 두어 외부 환경의 영향 없이 다양한 환경에서 곤충을 유인하여 포집할 수 있다. 또한, 간편하게 포집된 곤충을 이용하여 산림에 해를 끼치는 해충의 발생시기 및 발생량을 조사하여 방제작업의 실시 및 적기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인부가 포집부 내부에 설치되어 포집된 곤충의 날아다닐 수 있는 활동반경을 줄여 곤충이 포집부 밖으로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주변의 곤충을 모두 포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집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곤충을 빠짐없이 조사가 가능 하도록 할 수 있다.
포집부(100)는 포집장치(10)의 외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주변의 곤충이 유인되어 들어오는 구성으로 포집몸체(110), 연결봉(120), 원추통(130) 및 포집상부판(140)으로 구성된다. 때에 따라서 포집부는 고정을 위하여 포집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결합고리(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포집부(100)는 상기 중공형 원추통(130) 내부로 유인된 곤충이 상기 포집몸체(110)에 포집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포집몸체(110)는 속이 빈 상자 형상으로 일단이 막히고 타단이 오픈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일례로 원형의 통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포집몸체(110)는 내부 바닥면에 돌출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결합돌기(1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결합돌기(112)는 유인몸체(210)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포집몸체(1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결합돌기(112)는 유인몸체(21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돌출될 수 있는데 일례로 2개의 판 형상이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다수개가 돌출되어 내부에 원형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돌출될 수 있다. 결합돌기(112)는 뒤에서 설명하는 유인부가(200)가 꽉 물리도록 되어 있어 포집장치(10)가 공중에 매달려 흔들려도 유인부(200)가 포집몸체(110)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고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구성이다. 또한, 포집몸체(110)는 일단의 결합고리(150)가 결합된 곳에 몸체홈(111)이 형성될 수 있는데, 몸체홈(111)은 상기 결합고리(150)가 상기 포집몸체(110)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원추통(130)은 중공형 형상으로 다수개가 포집몸체(110)의 타단에 설치되는데 유인된 곤충이 포집부(100) 내부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원추통(13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유인된 곤충이 손쉽게 들어가고 손쉽게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일단의 직경이 타단의 직경보다 작은 깔때기 형상인 원추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원추통(130)은 다수개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데 원추형으로 제작되어 일부가 서로 중첩되면서 중심이 일치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원추통(130) 중 어느 하나로 들어 온 곤충이 원추통(130)을 따라 포집몸체(110)로 포집될 수 있다. 원추통(130) 외주면 일측에 끼움핀(132)이 결합되어 있어 다수개의 원추통(130) 중 하부의 원추통(130)의 끼움핀(132)에 포집몸체(110)의 상단이 끼움 결합되는 방법으로 원추통(130)과 포집몸체(110)가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연결봉(120)은 원추통(130)이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되어 설치되도록 원추통(130) 끼리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연결봉(120)은 2개의 원추통(130)을 연결하기 위하여 다수개가 사용되는데 일례로 3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연결봉(120)은 타단에 결합홈(1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추통(130)은 일측에 지름이 다르게 형성된 결합장공(131a)과 타측에 하나의 지름으로 된 결합공(131b)이 형성되어 있는 판 형상의 결합판(131)이 상부 일측에 다수개 결합되어 있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봉(120)은 일단이 상기 원추통(130)의 상기 결합판(131) 타측에 형성된 결합공(131b)에 결합되고, 타단의 결합홈(121)이 상기 원추통(130)에 결합되는 또 다른 상기 원추통(130)의 상기 결합판(131) 일측에 있는 결합장공(131a)에 끼움 결합되는 방법으로 설치된다.
포집상부판(140)은 중공형 원추통(13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 일측에 와이어가 결합되는 구성이다. 포집상부판(140)은 다수개로 설치된 원추통(130)의 상부에 설치되어 빗물이나 나뭇잎 등의 곤충 외의 물질이 원추통 내부로 들어 오지 못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포집상부판(140)은 원추통(130)의 상부에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는데 용접을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고, 포집상부판(140)과 원추통(130)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있어 나사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포집상부판(140)은 포집장치(10)를 공중에 매달기 편리하도록 고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와이어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포집몸체(110)의 일단에 결합되는 고리형상의 결합고리(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고리(150)는 바닥 또는 일정한 고정부에 고정된 와이어가 결합되는 구성으로 공중에 설치된 포집장치(10)가 흔들리지 않도록 도와주는 구성이다.
포집부(1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유인부(200)는 내부에 설치된 페르몬의 향기가 주변으로 퍼져 나가 주위의 곤충을 유인하도록 하는 것으로 유인몸체(210), 유인보조몸체(220) 및 유인상부판(2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유인몸체(210)는 일단이 막히고 타단이 오픈된 형상으로 상기 포집몸체(1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유인몸체(21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일례로 원형의 통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유인몸체(210)는 내부에 페르몬이 설치되는 구성이다.
유인보조몸체(220)는 일단이 상기 유인몸체(210)의 타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측면 일측에 관통공이 뚫려 있는 중공형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유인보조몸체(220)의 관통공을 통해 유인몸체(210)의 내부에 있는 페르몬의 향기가 주변으로 퍼져나가도록 할 수 있다. 유인보조몸체(220)와 유인몸체(210)는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일례로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있어 나사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유인상부판(230)은 유인보조몸체(220)의 타단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유인상부판(230)은 포집상부판(140)으로도 막지 못한 외부에서 들어오는 빗물이나 나뭇잎 등의 물질이 유인몸체(210)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유인상부판(230)은 다양한 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일례로 삼각원뿔 형상으로 제작되어 미적으로 유려하면서 외부에서 들어오는 빗물 등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유인상부판(230)은 유인보조몸체(220)의 타단에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는데 용접을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고, 유인상부판(230)과 유인보조몸체(220)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있어 나사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유인상부판(230)과 유인보조몸체(220)이 나사 결합하는 경우 유인상부판(230)의 하면에 나사선이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선에 맞물리도록 상기 유인보조몸체(220)의 타단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유인부(200)는 상기 포집몸체(110)의 내부에 설치됨으로 인해 포집몸체(110)의 내부에 포집된 곤충의 날아다닐 수 있는 활동반경을 제한시켜 곤충이 포집부(100) 밖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효과적으로 곤충을 포집할 수 있다. 즉, 유인부(200)는 곤충을 유인하는 역할도 하지만 곤충이 날아서 포집부 밖으로 빠져 나갈수 있는 공간을 없애 곤충의 탈출을 방지할 수 있다.
유인부(2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곤충 포집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10 : 포집장치
100 : 포집부
110 : 포집몸체 120 : 연결봉
130 : 원추통 140 : 포집상부판
150 : 결합고리
200 : 유인부
210 : 유인몸체 220 : 유인보조몸체
230 : 유인상부판

Claims (5)

  1. 나무 또는 기구에 매달리는 방법으로 고정되어 주변의 곤충을 포집하는 장치에 있어서,
    속이 빈 상자 형상으로 일단이 막히고 타단이 오픈된 포집몸체(110)와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되도록 복수 개의 연결봉(120)을 매개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포집몸체(110)의 타단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중공형 원추통(130)과 상기 중공형 원추통(13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 일측에 와이어가 결합되는 포집상부판(140)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중공형 원추통(130) 내부로 유인된 곤충이 상기 포집몸체(110)에 포집되는 포집부(100); 및,
    일단이 막히고 타단이 오픈된 형상으로 상기 포집몸체(1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유인몸체(210)와 일단이 상기 유인몸체(210)의 타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측면 일측에 관통공이 뚫려 있는 중공형 유인보조몸체(220)와 상기 유인보조몸체(220)의 타단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유인상부판(230)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유인몸체(210)의 내부에 설치된 페르몬의 향기가 상기 유인보조몸체(220)의 관통공을 통해 퍼져 나가 주위의 곤충을 유인하는 유인부(200)로 구성되되,
    상기 유인부(200)가 상기 포집몸체(110)의 내부에 설치됨으로 인해 상기 포집몸체(110)의 내부에 포집된 곤충의 날아다닐 수 있는 활동반경을 제한시켜 곤충이 포집부(100) 밖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고,
    상기 연결봉(120)은 타단에 결합홈(1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추통(130)은 일측에 지름이 다르게 형성된 결합장공(131a)과 타측에 하나의 지름으로 된 결합공(131b)이 형성되어 있는 판 형상의 결합판(131)이 상부 일측에 다수개 결합되어 있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봉(120)은 일단이 상기 원추통(130)의 상기 결합판(131) 타측에 형성된 결합공(131b)에 결합되고, 타단의 결합홈(121)이 상기 원추통(130)에 결합되는 또 다른 상기 원추통(130)의 상기 결합판(131) 일측에 있는 결합장공(131a)에 끼움 결합되는 방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포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와이어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포집몸체(110)의 일단에 결합되는 고리형상의 결합고리(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포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고리(150)가 결합된 곳에 형성된 몸체홈(11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몸체홈(111)은 상기 결합고리(150)가 상기 포집몸체(110)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포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몸체(110)의 내부 바닥면에 돌출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결합돌기(1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유인몸체(210)가 상기 결합돌기(112) 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포집몸체(1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포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통(130)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끼움핀(13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끼움핀(132)에 포집몸체(110)의 상단이 착탈되도록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포집장치.
KR1020180010434A 2018-01-29 2018-01-29 곤충 포집장치 KR101855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434A KR101855818B1 (ko) 2018-01-29 2018-01-29 곤충 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434A KR101855818B1 (ko) 2018-01-29 2018-01-29 곤충 포집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214A Division KR20170101547A (ko) 2016-02-29 2016-02-29 곤충 포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139A true KR20180014139A (ko) 2018-02-07
KR101855818B1 KR101855818B1 (ko) 2018-05-09

Family

ID=61204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434A KR101855818B1 (ko) 2018-01-29 2018-01-29 곤충 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8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058B1 (ko) 2018-07-31 2020-05-18 양현선 해충 포집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668Y1 (ko) 2006-08-18 2006-11-13 장규철 배선 분배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5818B1 (ko) 201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4238B1 (ko) 레이저빔을 이용한 해충 포집장치
US4244135A (en) Fly and insect trap
KR101322341B1 (ko) 해충 포획용 다용도 콘트랩 장치
JP3541217B2 (ja) 果樹カメムシの乾式トラップ
US20060137240A1 (en) Funnel 3 in 1 insect trap
US6772556B1 (en) Insect trap
US2741066A (en) Trap
KR101621958B1 (ko) 농업용 해충 포획장치
KR101855818B1 (ko) 곤충 포집장치
JP5268408B2 (ja) 飛翔昆虫類捕獲器
KR102073151B1 (ko) 해충 포획장치
KR20170101547A (ko) 곤충 포집장치
JP3179567U (ja) 害虫駆除器
US4977701A (en) Tamper resistant flying insect control device
CA3071216A1 (en) Insect trap and method for attracting and/or capturing flying insects
US20170367313A1 (en) Crawling insect trap
KR101423262B1 (ko) 해충 포집 장치
KR101754649B1 (ko) 해충 포집 장치
WO2019094991A1 (en) Insect trap
KR102610579B1 (ko) 해충 포획장치
US20150068104A1 (en) Insect trap system
KR200488825Y1 (ko) 해충 제거 모듈
KR20160139865A (ko) 스프링 코일 타입 나선형 해충 포획장치
KR200485582Y1 (ko) 해충 포집장치
KR101410138B1 (ko) 쥐 유인 구조를 갖는 쥐 박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