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7687A -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687A
KR20230017687A KR1020210099509A KR20210099509A KR20230017687A KR 20230017687 A KR20230017687 A KR 20230017687A KR 1020210099509 A KR1020210099509 A KR 1020210099509A KR 20210099509 A KR20210099509 A KR 20210099509A KR 20230017687 A KR20230017687 A KR 20230017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ence assembly
installation surface
bracket
prefabricated f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6632B1 (ko
Inventor
오인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시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시아
Priority to KR1020210099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632B1/ko
Publication of KR20230017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the barrier being formed by obstructing members situated on, flush with, or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with inflatable members on th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84Installing; Repairing; Adju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는, 설치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지지 브라켓; 상기 지지 브라켓에 결속되며, 설치면에서 수직하게 기립되는 지주 프레임; 상기 지주 프레임에 결속되며, 차단막을 이루는 차단 프레임이 결속될 수 있는 범위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가드 프레임 및 상기 지주 프레임이 수직으로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마련되고, 하면이 지지 브라켓을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 브라켓을 삽입한 상태로 설치면에 고정되는 브라켓 하우징을 포함하여, 작업자가 쉽게 설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 {Prefab Fence assemblies}
본 발명은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쉽게 설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와 차도의 경계선상에는 분리대(휀스:Fence)가 구간설정에 한하여 연속 설치되어 차도를 주행하는 차량이 보도쪽으로 진입하는 것을 막음으로써, 보도를 걷는 보행자들의 안전을 확보한다.
상기와 같은 분리대는 설치면으로부터 고정 설치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에 횡이나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차단봉으로 구성된다.
상기 포스트는 원형이나 사각형으로 속이 빈 파이프형으로서, 설치면으로부터 마련되는 기초볼트로부터 고정되거나 혹은 포스트의 하부에 기초근을 마련하여 설치면에 기초근을 매립하는 방식으로서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된다.
통상 포스트에 횡이나 종방행으로 설치되는 차단봉은 포스트에 차단봉이 접하는 부분은 직접 용접방식으로 부착하여 일체로 제작되는 경우이다.
이러한 방식은 현장설치장소로 운반시 특히 포스트에 기초근 또는 기초볼트에 고정되기 위한 이음플랜지가 일체로 제작된 경우로서 운반차량에 적재시 분리대의 운반도중 일부분 분리대가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분리대의 현장 설치후 차량의 진입사고 등으로 인해 분리대가 훼손된 경우에 있어서는 분리대의 차단봉 양단이 포스트로부터 각 부분이 용접되어 있는 이유에서 분리대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점을 방지하기 위한 차원에서 보차도용 분리대를 조립식으로 설치하도록 한 바도 있다.
보통 양측에 위치된 포스트에 대하여 차단봉의 양단을 포스트에 형성된 설치공에 끼움 조립하는데 상기 포스트측 설치공은 차단봉의 직경보다 크게 제작하여 현장 설치에서 차단봉의 양단을 쉽게 끼움 조립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차단봉의 조립은 차단봉의 양단을 걸어준 상태로서, 차단봉 자체가 유동되는 단점이 있고, 이와 같은 단점은 차량의 돌진으로 인한 외압 충격시 쉽게 포스트로부터 꺾이면서 분리되기 때문에 사실상 이와 같은 분리대는 도시가로공간의 질적 개선에 따른 공간 시각디자인에 맞춘 정도로서 보도를 걷는 통행자들의 보호에는 허술한 점이 없지 않았다.
이러한 예로서 보차도용 분리대에 있어, 포스트 상에 등각격으로 차단봉을 각각 체결나사로서 고정할 수 있는 고정브라켓을 별도 부착하여 분리대를 구성한 제품도 있지만, 실질적으로 고정브라켓에 차단봉의 양단을 체결나사로서 고정한 형태는 조그만 외압에도 브라켓으로부터 차단봉의 연결부분에 받는 지지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진입하는 사고시에는 포스트로부터 차단봉이 최대한 받쳐줄 수 있는 힘이 매우 작기 때문에 분리대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에 관한 기술개발이 절실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작업자가 쉽게 설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는, 설치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지지 브라켓; 상기 지지 브라켓에 결속되며, 설치면에서 수직하게 기립되는 지주 프레임; 상기 지주 프레임에 결속되며, 차단막을 이루는 차단 프레임이 결속될 수 있는 범위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가드 프레임 및 상기 지주 프레임이 수직으로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마련되고, 하면이 지지 브라켓을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 브라켓을 삽입한 상태로 설치면에 고정되는 브라켓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 프레임은, 단면이 일자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제 2 프레임과 제 3 프레임의 조합에 의해 단면의 전체적인 형상이 'H'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를 이루도록 마련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제 2 프레임과 제 3 프레임에 각각 삽입되며, 수용홈이 마련된 측면 커버 및 상기 측면 커버가 제 2 프레임과 제 3 프레임에 끼워진 이후, 측면 커버의 수용홈을 가리는 상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브라켓은, 단면의 전체적인 형상이 'H'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으로 인해 발생되는 제 2 프레임과 제 3 프레임의 간격 사이에 끼워진 이후, 제 1 프레임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지주 프레임에 대한 지지 브라켓의 고정을 매개하는 고정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는, 상기 측면 커버의 외곽 테두리에서 파형의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보강 돌기부 및 상기 브라켓 하우징의 관통홀에서 상기 보강 돌기부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상기 보강 돌기부와 맞닿아 보강력을 형성하는 보강 수용부를 포함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기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의 설치 이후, 상기 브라켓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흙 또는 식물이 인입되어 양생됨으로써 설치면과의 고정력을 보강하는 양생홀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 프레임은, 상기 가드 프레임이 형성하는 범위의 내측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되, 외부 충격에 의해 변형되는 가드 프레임의 형상 변화에 따라 길이 또는 각도가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는, 상기 차단 프레임의 양단에 마련되어, 길이의 확장 및 각도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사이드 변형부 및 상기 차단 프레임의 중심 위치에 마련되어, 각도 가변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메인 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는,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의 설치 이후, 작업자 조작에 의해 지지 브라켓의 하면으로부터 설치면의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설치면과의 보강력을 형성하는 지지력 보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력 보강부는, 상기 브라켓 하우징을 수직하게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력 보강부 돌출수단 및 상기 브라켓 하우징을 관통한 지지력 보강부 돌출수단에 의해 압착되어, 설치면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력 형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는, 작업자가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 방법이 직관적인 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설치 이후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는, 지지 브라켓과 지주 프레임간의 결합부를 가림과 동시에, 내부로 흙과 식물이 양생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브라켓 하우징으로 하여 지주 프레임이 보다 강한 지지력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의 차단 프레임은, 외부 충격에 의해 변형되는 가드 프레임의 형상 변화에 대응하여 길이 또는 각도가 가변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가 외력에 의한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는, 설치가 완료된 이후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설치면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력 보강부로 하여, 설치면과의 효과적인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도 2 는 지주 프레임에서 가드 프레임이 분해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3 의 (a) 및 (b) 는 지지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는 지주 프레임의 모습을 자세히 보여주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4 는 지주 프레임의 자세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5 는 양생홀이 마련된 지지 브라켓의 예시도이다.
도 6 은 변형부가 마련된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도 7 은 변형부의 사시도이다.
도 8 의 (a) 및 (b) 는 사이드 변형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예시도이다.
도 9 의 (a) 및 (b) 는 메인 변형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예시도이다.
도 10 은 지지력 보강부가 구비된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도 11 의 (a) 및 (b) 는 지지력 보강부의 자세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 및 저면도이다.
도 12 는 지지력 보강부가 마련된 브라켓 하우징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절개도이다.
도 13 의 (a) 및 (b) 는 지지력 보강부의 동작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1)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 1 내지 13 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구체적인 실시 예를 함께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의 예시도이고, 도 2 는 지주 프레임에서 가드 프레임이 분해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도이며, 도 3 의 (a) 및 (b) 는 지지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는 지주 프레임의 모습을 자세히 보여주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4 는 지주 프레임의 자세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도이며, 도 5 는 양생홀이 마련된 지지 브라켓의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1)는, 지지 브라켓(100), 지주 프레임(200), 가드 프레임(300), 차단 프레임(400) 및 브라켓 하우징(5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지지 브라켓(100)은, 설치면에서 적어도 두개 이상의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개의 지지 브라켓(100)은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1)를 설치하는 작업자에 의해 설치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수평 길이 1M 의 펜스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 상기 지지 브라켓(100) 간의 간격은 1M 의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 브라켓(100)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며, 전단면의 형상이 정 또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 브라켓(100)의 형상은,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적인 형상일 뿐, 원판형, 다각형 플레이트의 형상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지지 브라켓(100) 사방 모서리의 각각에는, 설치면과의 고정력을 형성하기 위하여, 고정볼트(B)가 끼워져 설치면을 수직으로 파고들 수 있는 볼트홀(BH)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 브라켓(100)은, 작업자가 지지 브라켓(100)을 설치면에 놓아둔 후, 볼트홀(BH)에 고정볼트(B)를 삽입한 이후 설치면에 박아 넣는 방식으로 하여, 설치면에서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볼트(B)를 이용한 지지 브라켓(100)의 고정 방식은, 설치면과 펜스간의 고정력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바람직한 고정 방식의 일 예일 뿐, 설치면과의 고정력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 방식 또는 핀 결합 방식과 같은 고정 방식이 모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 프레임(200)은, 상기 지지 브라켓(100)에 결속될 수 있으며, 설치면으로부터 소정 길이를 가지며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기립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요구하는 펜스의 높이의 길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 프레임(200)은, 이후 서술될 가드 프레임(300)과 차단 프레임(400)의 하중을 용이하게 견딜 수 있도록 강철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 프레임(210), 측면 커버(220) 및 상면 커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프레임(210)은, 제 1 프레임(2110), 제 2 프레임(2120) 및 제 3 프레임(2130)의 구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 1 프레임(2110)은, 단면이 일자의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프레임(2120)과 제 3 프레임(2130)은, 상기 제 1 프레임(2110)의 양단부로부터, 제 1 프레임(2110)과 직교하는 양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프레임(210)은, 상기 제 1 프레임(2110), 제 2 프레임(2120) 및 제 3 프레임(2130)의 조합에 의해 단면의 전체적인 형상이 'H'의 형상을 가지는 H빔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면 커버(220)는, 상기 메인 프레임(210)에서 탈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메인 프레임(21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커버(220)는, 앞서 상술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210)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과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보행자가 넘어져 설치된 펜스 어셈블리에 부딪히게 될 경우에도, 날카로운 모서리를 갖는 메인 프레임(210)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보행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 커버(220)는, 메인 프레임(21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제 2 프레임(2120) 또는 제 3 프레임(213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2210)이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됨으로써, 제 2 프레임(2120)과 제 3 프레임(2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끼워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 커버(220)는, 합성 고무와 같은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탄성 소재로 형성되는 측면 커버(220)의 조립 예와 장점을 설명하자면, 작업자가 수용홈(2210)의 외곽 반경으로 측면 커버(220)를 꺾어, 보다 쉽게 메인 프레임(210)에 측면 커버(220)를 끼워 넣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면 커버(230)는, 상기 측면 커버(220)가 제 2 프레임(2120)과 제 3 프레임(2130)에 끼워진 이후, 측면 커버(220)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상면 커버(230)는, 상기 측면 커버(220)에 형성되는 수용홈(2210)이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수용홈(2210)에 먼지가 쌓이거나, 빗물이 침습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 브라켓(100)에는, 단면의 전체적인 형상이 'H'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210)으로 인해 발생되는 제 2 프레임(2120)과 제 3 프레임(2130)의 간격 사이에 끼워진 이후, 제 1 프레임(211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지주 프레임(200)을 지지 브라켓(100)에 고정시키는 고정 브라켓(110)이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브라켓(110)이 지주 프레임(200)과 지지 브라켓(100)의 고정을 매개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브라켓(100)의 상면에서, 제 1 프레임(2110)의 일면에 밀착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되며, 고정볼트(B)가 결합될 수 있는 볼트홀(BH)이 소정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드 프레임(300)은, 상기 지주 프레임(200)에 결속되며, 차단막을 형성하기 위한 차단 프레임(400)이 결속될 수 있는 범위의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 프레임(400)은, 작업자의 요구에 따라 가드 프레임(300)에서 탈부착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단 프레임(400)의 두께와 간격은, 작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두께와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 프레임(400)은, 작업자의 요구에 따라 가드 프레임(300)의 내측에서 다양한 간격과 형태의 차단막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브라켓 하우징(500)은, 상기 지주 프레임(200)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510)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 하우징(500) 하면의 형상은, 상기 지지 브라켓(100)을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브라켓 하우징(500)이 지주 프레임(200)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지지 브라켓(100)에 끼워져, 설치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지지 브라켓(100)과 지주 프레임(200) 간의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 하우징(500)은, 설치면에 고정력을 형성하는 지지 브라켓(100)이 빗물과 같은 외부 환경에 의해 녹슬거나, 충격에 의해 파손되거나, 지지 브라켓(100)을 고정시키는 고정볼트(B)가 볼트홀(BH)에서 이탈하게 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 측면 커버(520)와 브라켓 하우징(500)의 관통홀(510)이 삽입되는 삽입부에는, 상기 지주 프레임(200)과 브라켓 하우징(500)간의 보강력을 형성하는 보강부(520)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부(520)는, 보강 돌기부(5210) 및 보강 수용부(5220)의 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보강 돌기부(5210)는, 상기 측면 커버(220)의 외곽 테두리에서 파형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수용부(5220)는, 상기 브라켓 하우징(500)의 관통홀(510)에서 상기 보강 돌기부(5210)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상기 보강 돌기부(5210)와 맞닿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파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보강 돌기부(5210)와 보강 수용부(5220)는, 브라켓 하우징(500)과 지주 프레임(200)이 맞닿게 되는 접촉면적을 최대화함으로써, 브라켓 하우징(500)과 지주 프레임(200)간의 보다 강한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지지 브라켓(100)에는, 상기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1)의 설치 이후, 상기 브라켓 하우징(500)의 내부 공간으로 흙 또는 식물이 인입 및 침투되어 양생됨으로써 설치면과의 고정력을 보강하는 양생홀(120)이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생홀(120)은, 상기 지지 브라켓(100)의 중심 반경에 구비되되, 상기 제 1 프레임(2110)의 길이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제 1 프레임(2110)의 길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 1 프레임(2110)이 지지 브라켓(100)의 중심에 마련된 양생홀(120)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1)는, 작업자가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직관적인 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설치 이후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장점을 가지며, 지지 브라켓(100)과 지주 프레임(200)간의 결합부를 가리는 브라켓 하우징(500)의 내부로 흙과 식물이 양생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됨으로써, 본 발명으로 형성되는 펜스가 종래의 펜스 구조물보다 강한 지지력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6 은 변형부가 마련된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며, 도 7 은 변형부의 사시도이고, 도 8 의 (a) 및 (b) 는 사이드 변형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예시도이며, 도 9 의 (a) 및 (b) 는 메인 변형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 프레임(400)은, 외부 충격에 의해 변형되는 가드 프레임(300)의 형상 변화에 따라 길이 또는 각도가 가변되도록 형성되는 변형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형부(410)는, 길이의 확장 및 각도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사이드 변형부(4110) 및 각도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메인 변형부(41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사이드 변형부(4110)는, 상기 차단 프레임(400)의 양단, 즉, 길이방향 상단과 하단 각각에서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사이드 변형부(4110)의 가장 바람직한 위치를 설명하자면, 1M의 높이를 이루는 차단 프레임(400)의 경우, 상기 차단 프레임(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총 길이의 1/5 지점과 4/5 지점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 변형부(4110)의 구비되는 위치가 차단 프레임(400) 총 길이의 1/5 지점과 4/5 지점을 벗어나도록 구비될 경우, 차단 프레임(400)이 작은 충격에도 변형되어 가드 프레임(300)의 고정력을 저해하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가드 프레임(300)의 형상 변형시에도, 그의 형태가 가변되지 못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목적이 달성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사이드 변형부(4110)의 위치는 상술된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상술된 사이드 변형부(4110)의 바람직한 위치는, 1M의 높이를 이루는 차단 프레임(400)의 경우일 때를 말하는 것으로써, 작업자의 요구에 따라 사이드 변형부(4110)의 위치는 달리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 변형부(4110)는, 분단된 차단 프레임(400)을 결속함과 동시에, 분단된 지점을 기준으로 각도 가변이 가능하도록 힌지의 구성으로 마련되는 회전부재(4111)와,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는 연장부재(4112)의 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부재(4110)는,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1)의 전방과 후방의 방향으로 꺾이는 형태로 각도가 가변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차단 프레임(400)의 측방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힌지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재(4112)는, 길이 가변이 가능한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되, 가장 바람직한 구조로써, 외력에 의해 인장과 압축이 가능한 형태인 자바라 타입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자바라 타입으로 구비되는 연장부재(4112)의 구조는, 외력에 의해 차단 프레임(400)이 파단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차단 프레임(400)이 이루는 총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길이가변 수단이 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변형부(4120)는, 상기 차단 프레임(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차단 프레임(400)의 중앙, 즉, 차단 프레임(400)이 이루는 총 길이의 1/2 지점에 마련되어, 각도 가변이 가능하도록 힌지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변형부(4120)는,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1) 수평의 길이방향으로 꺾이는 형태로 각도가 가변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차단 프레임(400)의 전방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힌지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가드 프레임(300)이 외력에 의해 횡의 방향으로 형상이 변형되더라도, 차단 프레임(400)의 중앙에 마련된 메인 변형부(4120)에 의해 차단 프레임(400)의 각도가 가변되어, 차단 프레임(400)의 손상 및 파단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1)의 차단 프레임(400)은, 사이드 변형부(4110)와 메인 변형부(4120)의 회전축이 다름과 동시에 길이의 인장과 수축이 가능함으로 인해, 외부 충격에 의해 변형되는 가드 프레임(300)의 변화에 대응하여 길이 또는 각도가 가변되도록 구비됨으로써, 가드 프레임(300)에 발생되는 외력에 의하여 차단 프레임(400)이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10 은 지지력 보강부가 구비된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의 예시도이고, 도 11 의 (a) 및 (b) 는 지지력 보강부의 자세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 및 저면도이며, 도 12 는 지지력 보강부가 마련된 브라켓 하우징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절개도이고, 도 13 의 (a) 및 (b) 는 지지력 보강부의 동작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예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1)는,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1)의 설치 이후, 작업자 조작에 의해 지지 브라켓(100)의 하면으로부터 설치면의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설치면과의 보강력을 형성하는 지지력 보강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력 보강부(600)는, 지지력 보강부 돌출수단(610) 및 지지력 형성 수단(62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지지력 보강부 돌출수단(610)은, 직접적인 타격력, 즉, 작업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브라켓 하우징(500)을 수직하게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 하우징(500)에는, 지지력 보강부 돌출수단(610)의 삽입을 가이드 하는 돌출수단 삽입 가이드(6110)가 브라켓 하우징(500)의 내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 브라켓(100)의 하면에는, 이후 자세하게 서술될 지지력 형성 수단(620)이 삽입되기 위한 함몰홈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함몰홈의 깊이는, 지지력 형성 수단(620)의 두께보다 깊은 깊이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력 형성 수단(620)은, 상기 브라켓 하우징(500)을 관통한 지지력 보강부 돌출수단(610)에 의해 압착되어, 설치면의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앞서 서술된 지지 브라켓(100)의 함몰홈에 삽입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력 형성 수단(620)은, 총 3 개의 층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최 상층에는 압착 프레임(6210), 중층에는 삽입부재(6220) 및 최 하층에는 스파이크 프레임(6230)의 3 층 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착 프레임(6210)은 상기 지지력 보강부 돌출수단(610)과 맞닿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착 프레임(6210)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력 보강부 돌출수단(610)이 수직으로 끼워지는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소정 깊이 함몰되는 압착홈(621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압착 프레임(6210)은, 압착홈(6211)이 마련된 지점에서 지지력 보강부 돌출수단(610)가 타격됨으로 인해 가해지는 외력으로 인하여, 이후 서술될 삽입부재(6220)에 압력을 부여하고, 궁극적으로는 지지력 형성 수단(620)을 지지 브라켓(100)의 하방으로 돌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6220)는, 상기 압착 프레임(6210)의 하방에 마련되며, 고무와 같이 고마찰 계수를 가지는 합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6220)가 고마찰 계수를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는 이유로는, 지지 브라켓(100)이 설치면에 놓여진 이후, 지지력 형성 수단(620)이 자체 하중에 의해 설치면의 방향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으로써, 이를 통해, 지지력 형성 수단(620)이 예기치 못하게 동작하는 문제를 해소하고, 지지력 보강부 돌출수단(610)으로 압착 프레임(6210)에 압력을 가해야만 지지력 형성 수단(620)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스파이크 프레임(6230)은, 상기 삽입부재(6220)의 하방에 마련되며, 하면에는 쐐기 형태의 스파이크(6231)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1)는, 설치가 완료된 이후,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설치면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력 보강부(600)로 하여, 지지 브라켓(100)이 설치면과의 효과적인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 1 내지 1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1)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
100 : 지지 브라켓 110 : 고정 브라켓
120 : 양생홀 200 : 지주 프레임
210 : 메인 프레임 2110 : 제 1 프레임
2120 : 제 2 프레임 2130 : 제 3 프레임
220 : 측면 커버 2210 : 수용홈
230 : 상면 커버 300 : 가드 프레임
400 : 차단 프레임 410 : 변형부
4110 : 사이드 변형부 4111 : 회전부재
4112 : 연장부재 4120 : 메인 변형부
500 : 브라켓 하우징 510 : 관통홀
520 : 보강부 5210 : 보강 돌기부
5220 : 보강 수용부 600: 지지력 보강부
610 : 지지력 보강부 돌출수단 6110 : 돌출수단 삽입 가이드
620 : 지지력 형성 수단 6210 : 압착 프레임
6211 : 압착홈 6220 : 삽입부재
6230 : 스파이크 프레임 6231 : 스파이크
B : 고정볼트 BH : 볼트홀

Claims (7)

  1. 설치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지지 브라켓;
    상기 지지 브라켓에 결속되며, 설치면에서 수직하게 기립되는 지주 프레임;
    상기 지주 프레임에 결속되며, 차단막을 이루는 차단 프레임이 결속될 수 있는 범위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가드 프레임 및
    상기 지주 프레임이 수직으로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마련되고, 하면이 지지 브라켓을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 브라켓을 삽입한 상태로 설치면에 고정되는 브라켓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프레임은,
    단면이 일자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제 2 프레임과 제 3 프레임의 조합에 의해 단면의 전체적인 형상이 'H'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를 이루도록 마련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제 2 프레임과 제 3 프레임에 각각 삽입되며, 수용홈이 마련된 측면 커버 및
    상기 측면 커버가 제 2 프레임과 제 3 프레임에 끼워진 이후, 측면 커버의 수용홈을 가리는 상면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은,
    단면의 전체적인 형상이 'H'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으로 인해 발생되는 제 2 프레임과 제 3 프레임의 간격 사이에 끼워진 이후, 제 1 프레임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지주 프레임에 대한 지지 브라켓의 고정을 매개하는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는,
    상기 측면 커버의 외곽 테두리에서 파형의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보강 돌기부 및
    상기 브라켓 하우징의 관통홀에서 상기 보강 돌기부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상기 보강 돌기부와 맞닿아 보강력을 형성하는 보강 수용부를 포함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기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의 설치 이후, 상기 브라켓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흙 또는 식물이 인입되어 양생됨으로써 설치면과의 고정력을 보강하는 양생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프레임은,
    상기 가드 프레임이 형성하는 범위의 내측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되, 외부 충격에 의해 변형되는 가드 프레임의 형상 변화에 따라 길이 또는 각도가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는,
    상기 차단 프레임의 양단에 마련되어, 길이의 확장 및 각도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사이드 변형부 및
    상기 차단 프레임의 중심 위치에 마련되어, 각도 가변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메인 변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는,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의 설치 이후, 작업자 조작에 의해 지지 브라켓의 하면으로부터 설치면의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설치면과의 보강력을 형성하는 지지력 보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력 보강부는,
    상기 브라켓 하우징을 수직하게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력 보강부 돌출수단 및
    상기 브라켓 하우징을 관통한 지지력 보강부 돌출수단에 의해 압착되어, 설치면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력 형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

KR1020210099509A 2021-07-28 2021-07-28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 KR102636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509A KR102636632B1 (ko) 2021-07-28 2021-07-28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509A KR102636632B1 (ko) 2021-07-28 2021-07-28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687A true KR20230017687A (ko) 2023-02-06
KR102636632B1 KR102636632B1 (ko) 2024-02-14

Family

ID=85223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509A KR102636632B1 (ko) 2021-07-28 2021-07-28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6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71475A (zh) * 2023-08-15 2023-11-17 齐齐哈尔大学 装配式再生骨料植生混凝土中央分隔带护栏及其施工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0681A (ja) * 1994-08-22 1996-03-05 Sekisui Jushi Co Ltd プレキャスト擁壁インサート金具とその製造方法
JP2000303698A (ja) * 1999-04-23 2000-10-31 Sakai Kagaku Kogyo Kk 発泡樹脂製コーナーカバー
KR20090079770A (ko) * 2008-01-17 2009-07-22 정종상 조립식 방음펜스
KR100964817B1 (ko) * 2009-10-23 2010-06-22 김성동 조립형 보차도 경계 펜스
KR20100008572U (ko) * 2009-02-20 2010-08-30 백흥주 체결작업의 편리성이 증진된 슬라이딩방식의 조립형 펜스
KR101271450B1 (ko) * 2012-10-10 2013-06-05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 휀스
KR101692204B1 (ko) * 2016-10-06 2017-01-04 (주)극동메탈휀스 받침 프레임 구조물의 지지장치
KR20210001490A (ko) * 2019-06-28 2021-01-06 (주)성산정공 내구성을 향상시킨 가드레일 결합구조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0681A (ja) * 1994-08-22 1996-03-05 Sekisui Jushi Co Ltd プレキャスト擁壁インサート金具とその製造方法
JP2000303698A (ja) * 1999-04-23 2000-10-31 Sakai Kagaku Kogyo Kk 発泡樹脂製コーナーカバー
KR20090079770A (ko) * 2008-01-17 2009-07-22 정종상 조립식 방음펜스
KR20100008572U (ko) * 2009-02-20 2010-08-30 백흥주 체결작업의 편리성이 증진된 슬라이딩방식의 조립형 펜스
KR100964817B1 (ko) * 2009-10-23 2010-06-22 김성동 조립형 보차도 경계 펜스
KR101271450B1 (ko) * 2012-10-10 2013-06-05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 휀스
KR101692204B1 (ko) * 2016-10-06 2017-01-04 (주)극동메탈휀스 받침 프레임 구조물의 지지장치
KR20210001490A (ko) * 2019-06-28 2021-01-06 (주)성산정공 내구성을 향상시킨 가드레일 결합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71475A (zh) * 2023-08-15 2023-11-17 齐齐哈尔大学 装配式再生骨料植生混凝土中央分隔带护栏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632B1 (ko) 202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382B1 (ko) 터널 방음벽
US9598827B1 (en) Barrier rail retrofit device assembly
KR101633431B1 (ko) 기존 교량 콘크리트와 구조적 일체화를 확보한 교량 확장형 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71450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 휀스
KR200409324Y1 (ko) 복공판
KR20230017687A (ko) 조립식 펜스 어셈블리
KR101229250B1 (ko) 펜스의 파일형 지주장치
US8955642B2 (en) Wall structure working as a noise barrier for railways and use of the wall structure as a noise or passage barrier
US6526722B1 (en) Wood fence post repair device
KR102104814B1 (ko) 보행자 안전난간 및 주행차량 추락방지 기능을 겸비한 투명 경량형 캔틸레버 방풍벽
JP5997010B2 (ja) 橋脚の上縁拡幅構造及び上縁拡幅方法
US20170073996A1 (en) Vinyl fence system
KR101383314B1 (ko) 항타형 인도교
JP6178269B2 (ja) 壁高欄
JP4882039B2 (ja) 既設の橋梁用防護柵の取替え工法
KR101249007B1 (ko) 와이어 타입 안전 펜스
KR101843979B1 (ko) 기존도로 또는 도로진입 토공과의 접속을 위한 가설교량의 범용적 가변 거더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KR102032697B1 (ko) 내충격 및 내진 기능이 향상된 기둥 조립체 및 그것이 적용된 조립식 난간
KR101355843B1 (ko) 블록 보와 보강 토압판을 이용한 지주 연속보강 구조물 및 그 지주 연속보강 구조물 설치방법
JP2018135678A (ja) 支柱設置構造及び防護柵
JP4113095B2 (ja) 側溝蓋
KR101021832B1 (ko) 확장 인도용 바닥 패널
KR102182462B1 (ko)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452977B1 (ko) 슬림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JP6463283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部材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