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462B1 -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2462B1 KR102182462B1 KR1020190122287A KR20190122287A KR102182462B1 KR 102182462 B1 KR102182462 B1 KR 102182462B1 KR 1020190122287 A KR1020190122287 A KR 1020190122287A KR 20190122287 A KR20190122287 A KR 20190122287A KR 102182462 B1 KR102182462 B1 KR 1021824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ttom plate
- unit bottom
- hole
- unit
- fixing bol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니트바닥판으로 연결된 바닥구조로서 철골보 등과 같은 보 형태의 구조물을 설치한 후에 그 상부에 거치하는 유니트바닥판의 고정홀을 통해 인접 유니트바닥판을 고정볼트로 서로 연결 고정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외부 하중이 가해질 때 인접 유니트바닥판과 함께 일체로 거동하기 때문에 유니트바닥판을 경량화하고 성능을 높이며, 연결된 유니트바닥판에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구조물을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경량 트러스구조물이나 경량 형강구조물을 이용하여 공간활용도와 시공성을 높인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니트바닥판으로 연결된 바닥구조로서 철골보 등과 같은 보 형태의 구조물을 설치한 후에 그 상부에 거치하는 유니트바닥판의 고정홀을 통해 인접 유니트바닥판을 고정볼트로 서로 연결 고정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외부 하중이 가해질 때 인접 유니트바닥판과 함께 일체로 거동하기 때문에 유니트바닥판을 경량화하고 성능을 높이는 것이다. 또한, 연결된 유니트바닥판에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구조물을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경량 트러스구조물이나 경량 형강구조물을 이용하여 공간활용도와 시공성을 높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니트바닥판이나 복공판은 지하철공사, 지하시설공사를 위해 도로 또는 대지를 파헤치는 경우 차량이나 보행자가 도로를 원활하게 주행하거나 보행할 수 있도록 굴토면을 복개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구축되는 지상 건물의 일부 구간에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설비장치 등이 빈번히 변경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구간에는 영구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를 타설하지 않고 철골보와 강재 철재 멍에장선 그리고 철판을 설치하였다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설비장비 등이 신설 또는 변경되면 구간의 철재 구조를 제거하고 수직으로 설치되는 장치를 배치하는 철재 가설구조물을 사용하여 왔다.
본 발명은 상기 슬래브가 없는 부분의 가설 철골구조 등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을 좀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설치해체가 가능한 유니트바닥판의 연결구조를 적용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지상구조물에 임시로 설치되는 유니트바닥판이나 복공판은 평평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유니트바닥판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통상 철골보인 H 빔(beam) 등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H 빔의 상부 플랜지면에 유니트바닥판을 평평하게 배열하여 시공하고, H 빔에 설치되는 유니트바닥판은 수직하중이나 외부 충격에 견디기 위하여 유니트바닥판과 H 빔은 용접이나 다양한 고정 장치로 고정하였다. 예를 들어 복공판을 H 빔에 고정하는 '복공판용 고정 장치'인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18-0000626호는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된 체결 브래킷과 상기 체결 브래킷과 복공판의 저면 사이에 지지대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체결 브래킷을 상기 복공판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복공판과 지지대 상호 간의 마찰은 물론 진동이나 충격을 예방하여 소음이나 마모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으나 복공판의 설치가 간편하지 않고 시공성이 떨어지고 복공판의 정확한 고정이 어렵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0818733호인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는 차량이 지나갈 시 소음을 줄이거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복공판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본체의 측면에 끼움바가 마련되고 상기 콘크리트 본체의 끼움바가 형성된 반대측 면에는 끼움홈이 마련되어 이들이 서로 이어져 결합되는 구조이나 복공판에 끼움바와 끼움홈을 형셩하도록 제조하는 공정이 까다로워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복공판의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330177호인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은 다수의 복공판의 내부에 긴장재를 연결하여 복공판들 사이에 발생하는 갭을 제거하여 차량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복공판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철골보와 같은 보 형태의 구조물이 설치되고 그 상부에 유니트바닥판을 거치함에 있어서 유니트바닥판과 유니트바닥판의 연결은 유니트바닥판의 고정홀을 통해 고정볼트로 인접 유니트바닥판을 연결 고정함으로써 시공을 간편히 하면서도, 외부 하중이 가해질 경우에도 서로 연결 고정된 유니트바닥판이 일체로 거동하기 때문에 부재의 경량화로 경제성과 구조물의 성능을 높이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철골구조와 같은 건물에서 여러 공종의 작업자가 수반되는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를 대신해서 철골보와 같은 보 형태의 구조물 위에 적은 인력으로 유니트바닥판을 간편히 거치하고 이들을 일체로 연결하기 때문에 시공성을 높이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건물의 덕트 스페이스에서 유니트바닥판을 거치하였다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설비장비 등이 유니트바닥판으로의 관통이 요구되는 개구부가 필요할 때, 설치된 유니트바닥판을 간단하게 해체한 후 경량 트러스구조물이나 경량 형강구조물을 이용하여 손쉽게 'ㅍ'자 형성된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기 설치된 유니트바닥판의 해체에 따른 시공의 용이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인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는 수평으로 연속 설치된 두 개의 보 형태의 구조물 위에 거치되며 상부는 강판으로 형성되고 강판 하부 외주부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형강이 설치되는 유니트바닥판이 2개 이상 연속하여 연결된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에 있어서, 유니트바닥판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홀과 고정홀 하부 형강에 형성된 관통공, 관통공과 대향하는 타측 유니트바닥판에 형성되는 너트공, 그리고 유니트바닥판과 유니트바닥판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홀을 통해 너트공에 결합되어 유니트바닥판을 서로 결합시키는 고정볼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너트공의 입구부가 외측으로 갈수록 고정볼트의 직경보다 크게 넓어진 테이퍼를 형성하여 유니트바닥판과 유니트바닥판을 연결시 고정홀측 관통공의 중심축과 너트공의 중심축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도 고정볼트가 테이퍼에 의하여 너트공에 자연스럽게 결합되면서도 유니트바닥판과 유니트바닥판이 정확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볼트의 끝부분은 나사산 형상으로 관통공의 길이(L)보다 짧은 길이(ℓ)로 형성되고 고정볼트의 중간부분은 나사산보다 작은 직경으로 곧게 형성되고 고정볼트의 머리부는 각형으로 형성되며, 관통공의 입구는 고정볼트의 나사산이 나선으로 통과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관통공의 내경은 고정볼트의 나사산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고정볼트의 나사산이 관통구멍을 통과하면 고정볼트의 중간부분이 상하좌우로 여유가 있으면서 타측 유니트바닥판에 테이퍼를 형성한 너트공에 쉽게 체결될 수 있으면서도 고정볼트가 관통구멍에 의하여 관통공으로부터 쉽게 벗어나지 않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 형태의 구조물 위에 유니트바닥판이 연속적으로 거치될 때, 유니트바닥판이 보 형태의 구조물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끄러져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 형태의 구조물 상부를 감싸는 일정 폭의 'ㄷ'자 형태의 덮개가 설치되며, 상기 덮개 중앙은 중앙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중앙고정돌기와 덮개의 측면과 사이에 테두리를 형성하는 형강을 수용하면서 형강의 수평 이동을 방지하는 보조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물의 바닥구조로서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보 형태의 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 보 형태의 구조물의 상부에 유니트바닥판을 설치하는 단계, 유니트바닥판과 유니트바닥판이 서로 밀착되는 부분에는 유니트바닥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고정홀 하부 형강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고정볼트를 삽입한 후 관통공과 대향하는 타측 유니트바닥판에 형성된 너트공으로 상기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유니트바닥판과 유니트바닥판을 밀착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 형태의 구조물 상부에 연속되어 설치되는 유니트바닥판에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구조물 설치를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분할유니트바닥판 설치를 위하여, 개구부가 형성되는 부분의 유니트바닥판과 결합된 고정볼트를 풀은 후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는 타측 유니트바닥판과 분리한 후 개구부가 형성되는 부분의 유니트바닥판을 해체하는 단계; 개구부가 형성된 보 형태의 구조물 상부에 복수의 분할유니트바닥판을 설치하기 위하여 제1지지보를 거치하는 단계; 제1지지보에 제2지지보를 거치하기 위하여 받침대 또는 받침대과 덧판을 제1지지보에 각각 고정하는 단계; 상기 받침대 상부에 제2지지보를 거치하는 단계; 개구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 복수의 분할유니트바닥판을 설치하는 단계; 분할유니트바닥판과 타측 유니트바닥판을 고정볼트로 체결하여 밀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철골보와 같은 보 형태의 구조물이 설치되고 그 상부에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유니트바닥판을 거치함에 있어서 유니트바닥판과 유니트바닥판의 연결은 작업자가 유니트바닥판 위에서 유니트바닥판의 고정홀을 통해 고정볼트로 인접 유니트바닥판을 고정함으로써 작업효율을 높이면서 시공을 간편히 하며, 외부 하중이 가해질 경우에도 서로 연결 고정된 유니트바닥판이 일체로 거동하기 때문에 단일 부재를 설치하였을 때보다 부재의 경량화로 경제성과 구조물의 성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러 공종의 작업자가 수반되는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를 대신해서 철골보와 같은 보 형태의 구조물 위에 적은 인력으로 유니트바닥판을 간편히 거치하고 이들을 일체로 연결하기 때문에 철골구조의 최대의 장점인 공기단축을 극대화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물의 덕트 스페이스에서 유니트바닥판을 거치하였다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설비장비 등 수직구조물이 유니트바닥판으로의 관통이 요구되는 개구부가 필요할 때, 설치된 유니트바닥판을 간단히 해체한 후 경량 트러스구조물이나 경량 형강구조물을 이용하여 손쉽게 'ㅍ'자 형성된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기 설치된 유니트바닥판의 해체에 따른 시공의 용이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유니트바닥판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결합된 유니트바닥판의 정단면도
도 3(a),(b)는 본 발명 분할유니트바닥판의 배면 사시도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 유니트바닥판과 유니트바닥판을 연결하기 위하여 고정볼트가 너트공에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구조물과 구조물 사이에 설치된 덕트 스페이스에서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분할유니트바닥판이 설치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
도 12(a),(b)는 본 발명에서 보 형태의 구조물 사이에 패드가 부착된 유니트바닥판과 분할유니트바닥판이 제1지지보나 제1지지보 및 제2지지보에 거치되는 상태의 분리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서 보 형태의 구조물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거치된 제1,2지지보 위에 복수의 분할유니트바닥판이 설치되는 분리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서 분할유니트바닥판 하면의 제1지지보의 단부 사이에 패드가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15 (a),(b)는 본 발명에서 보 형태의 구조물 사이에 분할유니트바닥판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보가 설치된 입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서 보 형태의 구조물의 상부 중앙에 돌출부가 형성된 덮개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17(a)은 본 발명에서 제2지지보가 거치되는 받침대가 제1지지보에 고정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7(b)는 본 발명에서 걸림턱이 형성된 받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결합된 유니트바닥판의 정단면도
도 3(a),(b)는 본 발명 분할유니트바닥판의 배면 사시도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 유니트바닥판과 유니트바닥판을 연결하기 위하여 고정볼트가 너트공에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구조물과 구조물 사이에 설치된 덕트 스페이스에서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분할유니트바닥판이 설치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
도 12(a),(b)는 본 발명에서 보 형태의 구조물 사이에 패드가 부착된 유니트바닥판과 분할유니트바닥판이 제1지지보나 제1지지보 및 제2지지보에 거치되는 상태의 분리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서 보 형태의 구조물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거치된 제1,2지지보 위에 복수의 분할유니트바닥판이 설치되는 분리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서 분할유니트바닥판 하면의 제1지지보의 단부 사이에 패드가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15 (a),(b)는 본 발명에서 보 형태의 구조물 사이에 분할유니트바닥판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보가 설치된 입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서 보 형태의 구조물의 상부 중앙에 돌출부가 형성된 덮개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17(a)은 본 발명에서 제2지지보가 거치되는 받침대가 제1지지보에 고정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7(b)는 본 발명에서 걸림턱이 형성된 받침대의 사시도
상세하게는 유니트바닥판(110)은 보 형태의 구조물(300)과 보 형태의 구조물(300) 상부면에 설치 고정된다. 보 형태의 구조물(300)은 H 빔과 같이 철골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철근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철근콘크리트보, 강관에 콘크리트가 충진된 합성보 등 보의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말한다. 유니트바닥판(110)이 보 형태의 구조물(300)에 거치되어 고정되는 것은 앞서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됨에 따라 이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것을 생략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유니트바닥판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결합된 유니트바닥판의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유니트바닥판(110)은 H 빔(beam)과 같은 보 형태의 구조물(300) 사이에 거치 고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인 지상구조물의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100)는, 연속 설치되는 유니트바닥판(110)의 상부를 형성하는 강판(112), 강판 하부 외주부인 테두리를 형성하는 형강(111), 유니트바닥판(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홀(120), 고정홀(120) 하부 형강(111)에 형성된 관통공(142), 관통공(142)과 대향하는 타측 유니트바닥판(110)에 형성되는 너트공(130), 상기 고정홀(120)을 통해 너트공(130)으로 결합되어 상기 유니트바닥판(110)과 유니트바닥판(110)을 서로 결합시키는 고정볼트(14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홀(120)은 상부 강판(112)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볼트(140)의 삽입이 용이하여 작업이 수월하다.
상기 너트공(130)의 입구는 고정볼트(140)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외측으로 갈수록 고정볼트(140)의 직경보다 크게 넓어지게 테이퍼(134)를 형성함으로써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고정볼트(140)가 너트공(130)에 나사 체결될 시 고정볼트(140)의 중심축과 너트공(130)의 중심축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도 고정볼트(140)가 테이퍼(134)에 의하여 너트공(130)에 자연스럽게 접근되어 나사결합되면서도 유니트바닥판(110)과 유니트바닥판(110)은 정확하게 결합된다.
유니트바닥판(110)의 성능 강화를 위하여 유니트바닥판(110)을 구성하는 상부 강판(112)과 하부 테두리를 형성하는 형강(111) 사이 중 짧은 길이 방향으로 철판 또는 형강으로 이루어진 보강판(113)을 용접으로 고정하는데, 보강판(113)은 유니트바닥판(110)에 하나 이상 설치하며 보강판(113)의 높이는 테두리 형강의 높이보다 높지 않게 한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유니트바닥판(110)을 형성하는 강판(112)과 형강(111)을 견고히 일체화면서 하향용접으로 시공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강판(112) 외측부 중 형강(111)의 폭 넓이 안쪽으로 강판(112)에 홀(114)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홀(114)을 통하여 하향용접으로 형강(111)과 강판(11)을 용접하는데, 홀(114)의 직경은 용접이 가능하고 유니트바닥판(110)의 응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5mm 정도로 형성한다.
상기 유니트바닥판(110)은 상·하 또는 좌·우 연속적으로 배열하여 고정볼트(140)를 통해 결합하므로 구조를 간소화하면서도 작업성이 우수하다.
도 3과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을 보 형태의 구조물(300)에 거치된 제1지지보(170)에 설치할 때 제1지지대(172)의 단부(171) 높이와 동일하거나 더 높은 크기를 가지는 패드(230)가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배면에 부착하되 구조물(300)에 거치되는 제1지지대(172)의 단부(171) 폭이 제외됨으로써 분할유니트바닥판(160)에는 제1지지대(172)의 단부(171)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인 단턱부홈(161)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보 형태의 구조물에 거치된 제1지지보(170)에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3(b)는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모서리 부분에 원형의 패드(230')가 부착된 것으로 이 역시 제1지지대(172)의 단부(171)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인 단턱부홈(161)이 형성되도록 원형의 패드(230')를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가장자리에서 좀 더 안쪽으로 부착하며, 패드의 형상은 원형의 패드(230') 외에 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유니트바닥판(110)의 양 단부에도 분할유니트바닥판(160)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패드(230)를 설치한다.
도 4 내지 9는 본 발명에서 유니트바닥판과 유니트바닥판 연결하기 위하여 고정볼트가 너트공에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로서. 4각형 강관 형강으로 테두리를 형성한 유트바닥판(110)과 이에 맞대는 유니트바닥판(110)의 너트공(130)에 형성된 제1체결너트(131)나 제2체결너트(132)에 고정볼트(140)가 체결 고정되는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 4 내지 6은 유니트바닥판(110)과 유니트바닥판(110)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유니트바닥판(110) 외주면에 테두리를 형성하는 4각형 강관으로 이루어진 형강에 관통공(142)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142)의 입구에는 고정볼트(140)의 나사산이 나선으로 통과 되도록 관통볼트(140)의 나사골보다는 크고 관통볼트(140)의 나사산보다는 작은 직경의 관통구멍(141)을 설치한다.
상기 일측의 유니트바닥판(110)과 맞대는 타측의 유니트바닥판(110)에는 상기 관통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너트공(130)을 형성하고, 상기 너트공(130)에는 제1체결너트(131)가 설치된다. 일측의 유니트바닥판(110) 내측에서 타측의 유니트바닥판(110) 측으로 고정볼트(140)가 나사체결되어 유니트바닥판(110)과 유니트바닥판(110)을 서로 고정시키는데, 이때 고정볼트(140)는 관통구멍(141)을 나선으로 통과한 후 너트공(130)의 제1체결너트(131)에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볼트(140)는, 끝부분이 나사산으로 형성되고, 중간부분은 나사산을 없애면서 나사산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시작부분은 각형의 볼트 머리가 형성된다.
즉, 도 5와 같이 고정볼트(140)의 끝부분은 나사산 형상으로 관통공(142)의 길이(L)보다 짧은 길이(ℓ)로 형성되고 고정볼트(140)의 중간부분은 나사산보다 작은 직경으로 곧게 형성되고 고정볼트(140)의 머리부는 각형으로 형성된다. 유니트바닥판(110)의 관통공(142)의 입구를 형성하는 관통구멍(141)은 고정볼트(140)의 나사산이 나선으로 통하게 형성되고 관통공(142)의 내경은 고정볼트(140)의 나사산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고정볼트(140)의 나사산이 관통구멍(141)을 통과하면 고정볼트(140)의 중간부분이 상하좌우로 여유가 있으면서 타측 유니트바닥판(110)의 체결너트(131)에 쉽게 체결될 수 있으면서도 관통구멍(141)에 의하여 고정볼트(140)가 쉽게 고정홀측 유니트바닥판(110)의 관통공(142)으로부터 쉽게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운반시 미리 관통구멍(141)을 통하여 고정볼트(140)를 가조립한 후 본 시공인 유니트바닥판(110)과 유니트바닥판(110)을 조립시는 고정볼트(140)가 이미 가조립 상태에 있으므로 보다 신속한 시공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타측 유니트바닥판(110)과 맞대어지는 너트공(130)의 입구부가 외측으로 갈수록 고정볼트의 직경보다 크게 넓어진 테이퍼(134)를 형성하여 유니트바닥판(110)과 유니트바닥판(110)을 연결시 관통공(142)의 중심축과 너트공(130)의 중심축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도 상기 고정볼트(140)가 테이퍼(134)에 의하여 너트공(130)에 자연스럽게 결합됨으로써 유니트바닥판(110)과 유니트바닥판(110)이 정확하게 놓이지 않을 경우에도 너트공(130)에 형성된 테이퍼(134)에 의하여 유니트바닥판(110)과 유니트바닥판(110)을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와 같이 관통구멍(141)과 제1체결너트(131)가 각각 형성된 유니트바닥판(110)을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볼트(140)의 나사산이 관통구멍(141)을 통과하게 되면 고정볼트(140)의 중간부분이 관통구멍(141)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볼트(140)는 상·하, 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볼트(140)를 너트공(130)의 테이퍼(134)을 이용하여 타측의 유니트바닥판(110)에 형성된 너트공(130)의 제1체결너트(131)에 손쉽게 체결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유니트바닥판(110)과 유니트바닥판(110)을 손쉽게 고정하게 되므로 조립성이 향상되어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고정볼트(140)의 나사산을 관통구멍(141)에 통과시킨 가조립 상태에서 운반시 이탈되지 않아 분실위험을 방지하면서도 시공현장에서는 고정볼트(140)가 이미 가조립 상태에 있으므로 고정볼트(140)로 너트공(130)에 손쉽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에서 제2체결너트(132)와 안내관(133)를 구비한 너트공(130)에 고정볼트(140)가 체결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유니트바닥판(110)의 관통구멍(141)을 통과한 고정볼트(140)는 타측 유니트바닥판(110)에 형성된 너트공(130)의 안내관(133)을 통과하여 안내관(133)과 일체로 형성된 제2체결너트(132)와 체결되어 유니트바닥판(110)을 서로 결합하는 것이다. 고정볼트(140)와 체결되는 너트공(130)의 나사산이 너트공(130) 내부에 형성하지 않고 안내관(133)의 외측부에 결합되는 제2체결너트(132)에 형성된 것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공(130)의 제2체결너트(132)는 유니트바닥판(110)의 테두리부를 형성하는 4각형 강관으로 이루어진 형강(111)의 외측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고정볼트(140)와 너트공(130)의 제2체결너트(132)를 체결하는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구조물과 구조물 사이에 설치된 덕트 스페이스에서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분할유니트바닥판이 설치된 사시도로서, 대형구조물의 덕트 스페이스 부분에 바닥판을 형성하기 위하여 유니트바닥판과 분할유니트바닥판이 설치된 예이고, 도 11은 상기 도 10에 대한 평면도로서, 대형구조물의 덕트 스페이스에 바닥판을 형성함에 있어서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100)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10과 같이 구조물(400)과 구조물(400) 사이에 보 형태의 구조물(300)을 설치하고 보 형태의 구조물(300) 상부에는 유니트바닥판(110)과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이 설치된 것이다. 분할유니트바닥판(160) 설치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지지보(170) 또는 제1지지보(170)와 제2지지보(242)를 이용한다.
즉, 보 형태의 구조물(300) 위에 연속 설치되는 유니트바닥판(11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설비장치 등의 수직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개구부(180)가 형성되고 이를 위하여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이 설치된다. 유니트바닥판(110)과 유니트바닥판(110) 사이에 설치되는 분할유니트바닥판(160)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보 형태의 구조물(300)들 사이에 제1지지보(170)를 설치하는데, 제1지지보(170)는 경량 트러스구조물 또는 경량 형강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제1지지대(172)를 포함한다.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은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하부에 부착된 패드에 의하여 단턱부홈(161)이 형성되고, 분할유니트바닥판(160)과 유니트바닥판(1100)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유니트바닥판(110)과 동일한 구성인 고정홀(120), 관통공(142), 너트공(130), 고정볼트(140)가 구비되며 결합방법도 위에서 설명하고 유니트바닥판(110)의 결합 방법과 동일하다. 따라서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은 유니트바닥판(110)에 비하여 규격이 작은 것일 뿐 실질적인 구성은 유니트바닥판(110)과 동일한 것으로 광의적으로는 유니트바닥판(110)에 포할된다고 볼 수 있다.
도 11, 1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양한 크기로 개구부(180)를 형성하면서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보 형태의 구조물(300) 방향으로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이 설치되는 폭만큼의 거리를 남긴 후 좌우로 유니트바닥판(110)을 배치한 후 보 형태의 구조물(300) 방향으로 설치되는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단부 하면에 형성된 단턱부홈(161)이 위치되는 곳에 제1지지대(172)의 단부(171)를 거치시킨후 그 상부에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을 설치하고 이어서 고정볼트(140)로 유니트바닥판(110)과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을 결합하게 된다.
즉, 보 형태의 구조물(300)과 보 형태의 구조물(30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하부에는 패드(230)를 부착되고 이로 인하여 분할유니트바닥판(160)에 부착되는 패드(230)의 양단부에 제1지지대(172) 단부(171)를 수용할 수 있는 단턱부홈(161)이 형성되기 때문에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을 제1지지보(170)에 수평을 유지하면서 안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니트바닥판(110) 및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하면에 패드(230)를 부착함으로써 유니트바닥판(110) 및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높이를 균일하게 맞출 수 있어 시공성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12(b)는 분할유니트바닥판이 제1지지보 및 제2지지보에 거치되는 상태의 분리사시도로서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이 제1지지대(172)에 각각 거치되고 각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제2지지보(242)가 설치된 것으로, 제2지지보(242)는 분할유니트바닥판(160)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보 형태의 구조물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거치된 제1, 2지지보 위에 복수의 분할유니트바닥판이 설치되는 분리사시도이다.
보 형태의 구조물(300)과 보 형태의 구조물(300)의 상부면에 설치된 유니트바닥판(110)에 개구부(180)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 복수의 분할유니트바닥판(160,160')이 설치된 것으로서, 해체하여 제거된 유니트바닥판(110)의 공간에 복수의 분할유니트바닥판(160,160')을 설치하기 위하여 제1지지보(170)와 제2지지보(242)를 설치한다.
이를 위하여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단부 하면에는 제1지지보(172)의 높이에 대응하는 패드(230)를 각각 부착시키되, 상기 분할유니트바닥판(160)에 부착되는 패드(230)의 길이는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전체길이에서 제1지지대(172)의 폭을 뺀 길이로 형성되어 제1지지대(172)와 제1지지대(172)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분할유니트바닥판(160)과 인접하는 타측의 유니트바닥판(110) 하면에는 유니트바닥판(110)과 길이와 동일한 패드(230)나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으나 원형 또는 각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패드(230)를 부착시킨다. 또한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크기가 다르거나 2개 이상 복수의 분할유니트바닥판(160,160')을 함께 설치하기 위하여 제2지지보(242)를 설치한다.
도 14는 분할유니트바닥판 하면에 패드가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보 형태의 구조물(300)과 보 형태의 구조물(300)의 상부면에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을 설치하기 위하여, 수평의 보 형태의 구조물(300)과 보 형태의 구조물(300)에 제1지지대(170)의 단부(171)를 거치하고 상기 제1지지대(170)의 양단 단부(171) 상부에는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단턱부홈(161)을 이용하여 분할유니트바닥판(160)를 설치한다.
즉, 유니트바닥판(110)과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단부 하면에는 제1지지보(170)를 구성하는 제1지지대(172)의 단부(171) 높이와 대응하는 패드(230)를 각각 부착시키되, 상기 단부(171) 상부에 안착되는 분할유니트바닥판(160)에 부착되는 패드(230)의 길이는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전체길이에서 단부(171)를 뺀 길이로 형성되어 단부(171)와 단부(171)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분할유니트바닥판(160)과 인접하는 타측의 유니트바닥판(110) 하면에는 유니트바닥판(110)과 길이와 동일한 패드(230)나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으나 원형 또는 각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패드(230')를 부착시킨다.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 하였으나 유니트바닥판(110)에 원형 또는 각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패드(230')가 부착할 수 있으며, 또한, 보 형태의 구조물 상부에 상기 패드(23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조금 낮은 패드(230')를 부착하여 상부로부터 충격을 완화해 줄 수도 있다.
도 15 (a),(b)는 본 발명에서 보 형태의 구조물 사이에 분할유니트바닥판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보가 설치된 입면도로서, 도 15(a)는 보 형태의 구조물(300)에 거치되는 제1지지보(170)는 경량 트러스형강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이며, 도 15(b)는 경량 형강으로 이루어진 구조물로서 상기 경량 형강구조물은 구조물 중앙부에 가해지는 휨력에 대응하기 위하여 'T'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지지보(242)에 대하여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제2지지보(242) 역시 위와 같이 경량 트러스구조물 또는 경량 형강구조물로 이루어짐으로써 주변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적절히 대응하면서도 구조물을 경량화시켜 경제성을 높이면서 안전하고 신속한 시공을 할 수 있다.
도 16은 보 형태의 구조물의 상부 중앙에 돌출부가 형성된 덮개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유니트바닥판(110)을 보 형태의 구조물(300)의 상부면에 설치하고 이에 맞대는 타측 유니트바닥판(110)을 보 형태의 구조물(300)의 상부면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유니트바닥판(110)을 보 형태의 구조물(300)의 상부면의 중앙부를 좌우로 하여 정확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보 형태의 구조물(300)의 상부면에 덮개(250)를 설치하되, 상기 덮개(250)의 양측을 하부로 절곡형성하여 보 형태의 구조물(300)의 상부면 양단을 감싸도록 함으로써 상기 덮개(250)가 보 형태의 구조물(300)으로부터 미끄러져 이탈되지 않고 안착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덮개(250)의 상부 중앙에는 중앙고정돌기(251)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중앙고정돌기(251)의 양측에 유니트바닥판(110)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위치시키도록 하였다.
즉, 보 형태의 구조물(300)에 덮개(250)를 설치한 상태에서 중앙고정돌기(251)의 양측으로 유니트바닥판(110)을 각각 거치시키면 유니트바닥판(110)을 손쉽게 보 형태의 구조물(300)의 상부 중앙에 정확하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덮개(250) 상부 중앙의 중앙고정돌기(251)와 덮개(250)의 측단 사이에는 유니트바닥판(110)에서 테두리를 형성한 형강(111)을 수용할 수 있는 보조돌기(252)를 형성하여 유니트바닥판(110)의 수평 이동을 방지토록 하였다. 그리고 보 형태의 구조물(300) 상부 폭과 형강(111) 폭의 허용오차를 흡수하기 위하여 보 형태의 구조물(300) 상부를 감싸는 덮개(250)의 내부 폭은 보 형태의 구조물(300) 상부 폭보다 더 크며 중앙고정돌기(251)와 보조돌기(252)의 폭도 형강(111)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하였다. 이렇게 덮개(250) 상부에는 형강(111)을 수용하면서 이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중앙고정돌기(251)와 보조돌기(250)가 형성됨으로써 시공을 신속하고 정확히 하며 시공중 유니트바닥판(110)의 미끄럼이 방지됨으로써 시공의 안정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7(a)는 제2지지보가 거치되는 받침대가 제1지지보에 고정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7(b)는 걸림턱이 형성된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보 형태의 구조물(300)의 상부면에 거치된 제1지지보(170)와 제1지지보(170) 사이에 제2지지보(242)를 설치하기 위하여 제1지지보(170)에 'ㄱ'자 형상의 받침대(240)를 각각 고정할 뿐만 아니라 받침대(240)를 제1지지보(17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받침대(240)가 설치되는 제1지지보(170) 반대측에 덧판(26)을 추가하여 보강할 수 있다. 제2지지보(242)를 받침대(240)에 거치함에 있어서 제2지지보(242)가 받침대(240)로부터 미끄러져 움직이지 않도록 받침대(240) 상부 양측에 걸림턱(241)을 돌출 형성하여 제2지지보(242)를 제1지지보(170)에 빠르고 안전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받침대(240) 상부의 걸림턱(241)을 이용하여 제2지지보(242)를 받침대(24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제2지지보(242)의 상부에 길이가 다른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을 설치시킬 수 있으며, 제2지지보(242)의 단면은 'T'자형으로 형성하여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제2지지보(242)가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하부에 밀착되어 수직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구조물의 바닥구조로서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100)을 이용한 시공방법은, 보 형태의 구조물(300)을 설치하는 단계; 보 형태의 구조물(300)의 상부에 위에서 설명한 패드(230)가 부착된 유니트바닥판(110)을 설치하는 단계; 유니트바닥판(110)과 유니트바닥판(110)이 서로 밀착되는 부분에는 유니트바닥판(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고정홀(120)을 통하여 고정볼트(140)를 관통공(142)에 삽입한 후 타측 유니트바닥판(110)에 형성된 너트공(130)으로 상기 고정볼트(140)를 체결하여 유니트바닥판(110)과 유니트바닥판(110)을 밀착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그리고 보 형태의 구조물 상부에 연속되어 설치되는 유니트바닥판에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구조물 설치를 위한 개구부를 형성함에서 있어서 복수의 유니트바닥판을 설치하기 위하여, 위와 같이 개구부(180)가 형성되는 부분의 유니트바닥판(110)과 결합된 고정볼트(140)를 풀은 후 개구부(180)가 형성되지 않는 타측 유니트바닥판(110)과 분리한 후 개구부(180)가 형성되는 부분의 유니트바닥판(110)을 해체하는 단계; 개구부(180)가 형성된 보 형태의 구조물 상부(300)에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을 설치하기 위하여 제1지지보(170)를 거치하는 단계; 제1지지보(170)에 제2지지보(242)를 거치하기 위하여 받침대(240) 또는 받침대(240)와 덧판(260)을 제1지지보(170)에 각각 고정하는 단계; 상기 받침대(240) 상부에 제2지지보(242)를 거치하는 단계; 제1, 2지지보(170, 242) 상부에 분할유니트바닥판(160, 160')을 설치하는 단계; 분할유니트바닥판(260, 260')과 타측 유니트바닥판(110)을 고정볼트로 체결하여 밀착 고정한다.
이상에서는 구조물의 바닥구조로서 유니트바닥판(110)이 기 설치된 상태에서 개구부(180)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 설치된 유니트바닥판(110)의 해체나 유니트바닥판(110)과 분할유니트바닥판(160, 160')을 결합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개구부(180)가 유니트바닥판(110) 설치시 미리 형성되는 것 역시 유니트바닥판(110)의 해체순서만 차이가 있을 뿐 이에 적용되는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이와 같이, 보 형태의 구조물(300) 상부에 설치되는 유니트바닥판(110)에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구조물 설치를 위한 개구부(180)를 형성함에 있어서 단일의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이나 복수의 분할유니트바닥판(160, 160')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구부(180)의 설치 크기에 따라서 복수의 분할유니트바닥판(160, 160')이 설치되며, 제1지지보(170)에 거치되는 제2지지보(242)의 개수나 간격도 조정된다. 제1지지보(170)에 고정되는 받침대(240)의 상부 양측에 걸치턱(241)을 형성함으로써 제2지지보(242)을 제1지지보(170)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110: 유니트바닥판
120: 고정홀 130: 너트공
131: 제1체결너트 132: 제2체결너트
133, 143: 안내관 134: 테이퍼
140: 고정볼트 141: 관통구멍
142: 관통공 160: 분할유니트바닥판
161: 단턱부홈
170: 제1지지보 171: 단부
172: 제1지지대 180: 개구부
230, 230': 패드
240: 받침대 241: 걸림턱
242: 제2지지보 250: 덮개
251: 돌출부 252: 보조돌기
300: 보 형태의 구조물 400: 구조물
120: 고정홀 130: 너트공
131: 제1체결너트 132: 제2체결너트
133, 143: 안내관 134: 테이퍼
140: 고정볼트 141: 관통구멍
142: 관통공 160: 분할유니트바닥판
161: 단턱부홈
170: 제1지지보 171: 단부
172: 제1지지대 180: 개구부
230, 230': 패드
240: 받침대 241: 걸림턱
242: 제2지지보 250: 덮개
251: 돌출부 252: 보조돌기
300: 보 형태의 구조물 400: 구조물
Claims (19)
- 수평으로 연속 설치된 두 개의 보 형태의 구조물 상부는 강판으로 형성되고 강판 하부 외주부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형강이 설치되는 유니트바닥판이 2개 이상 연속하여 연결된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에 있어서,
유니트바닥판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홀; 고정홀 하부 형강에 형성된 관통공; 관통공과 대향하는 타측 유니트바닥판에 형성되는 너트공; 유니트바닥판과 유니트바닥판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홀을 통해 너트공에 결합되어 유니트바닥판을 서로 결합시키는 고정볼트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의 끝부분은 나사산 형상으로 관통공의 길이(L)보다 짧은 길이(ℓ)로 형성되고 고정볼트의 중간부분은 나사산을 없애면서 나사산보다 작은 직경으로 곧게 형성되고 고정볼트의 머리부는 각형으로 형성되며, 관통공의 입구는 고정볼트의 나사산이 나선으로 통과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관통공의 내경은 고정볼트의 나사산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고정볼트의 나사산이 관통구멍을 통과하면 고정볼트의 중간부분이 상하좌우로 여유가 있으면서 타측 유니트바닥판에 테이퍼를 형성한 너트공에 쉽게 체결될 수 있으면서도 고정볼트가 관통구멍에 의하여 고정홀 측 유니트바닥판의 관통공으로부터 쉽게 벗어나지 않게 하고,
상기 유니트바닥판이 연속적으로 거치될 때, 유니트바닥판이 보 형태의 구조물에서 미끄러져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 형태의 구조물 상부를 감싸는 일정 폭의 'ㄷ'자 형태의 덮개가 설치되며, 상기 덮개의 중앙은 중앙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형강을 수용하면서 형강의 수평 이동을 방지하는 보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보 형태의 구조물 상부면에 분할유니트바닥판을 설치하기 위하여 거치되는 제1지지보와 상기 제1지지보에 설치되는 제2지지보 위에 거치되고,
상기 분할유니트바닥판의 하부에는 패드를 부착하여 상기 제1지지보의 제1지지대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인 단턱부홈이 형성되어 유니트바닥판 및 분할유니트바닥판의 높이를 균일하게 맞출 수 있게 하고,
상기 제1지지보와 제1지지보 사이에 제2지지보를 설치하기 위하여 제1지지보에 'ㄱ'자 형상의 받침대를 각각 고정하고, 상기 받침대가 설치되는 제1지지보의 반대측에 덧판을 각각 고정하며, 상기 받침대의 상부 양측에 걸림턱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제2지지보를 받침대에 거치할 때 제2지지보가 받침대로부터 미끄러져 움직이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형강은 4각형 강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은 고정볼트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부 강판이 개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너트공의 입구부가 외측으로 갈수록 고정볼트의 직경보다 크게 넓어진 테이퍼를 형성하여 유니트바닥판과 유니트바닥판을 연결시 관통공의 중심축과 너트공의 중심축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도 고정볼트가 테이퍼에 의하여 너트공에 자연스럽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유니트바닥판을 구성하는 상부 강판과 하부 테두리를 형성하는 형강 사이 중 짧은 길이 방향으로 철판 또는 형강으로 이루어진 보강판을 용접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유니트바닥판을 형성하는 강판과 형강을 일체화하기 위하여 강판 외측부 중 형강의 폭 넓이 안쪽으로 형성된 홀을 통하여 형강과 강판을 용접하여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지지보와 제2지지보는 경량 트러스구조물 또는 경량 형강구조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 구조물의 바닥구조로서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을 이용한 시공방법인,
보 형태의 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
보 형태의 구조물의 상부에 유니트바닥판을 설치하는 단계;
유니트바닥판과 유니트바닥판이 서로 밀착되는 부분에는 유니트바닥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고정홀 하부 형강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고정볼트를 삽입한 후 관통공과 대향하는 타측 유니트바닥판에 형성된 너트공으로 상기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유니트바닥판과 유니트바닥판을 밀착하여 결합한 것에 있어서,
보 형태의 구조물 상부에 연속되어 설치되는 유니트바닥판에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구조물 설치를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분할유니트바닥판을 설치하기 위하여,
(1) 개구부가 형성되는 부분의 유니트바닥판과 결합된 고정볼트를 풀은 후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는 타측 유니트바닥판과 분리한 후 개구부가 형성되는 부분의 유니트바닥판을 해체하는 단계;
(2) 개구부가 형성된 보 형태의 구조물 상부에 분할유니트바닥판을 설치하기 위하여 제1지지보를 거치하는 단계;
(3) 제1지지보에 제2지지보를 거치하기 위하여 받침대 또는 받침대와 덧판을 제1지지보에 각각 고정하는 단계;
(4) 상기 받침대 상부에 제2지지보를 거치하는 단계;
(5) 제1, 2지지보 상부에 분할유니트바닥판을 설치하는 단계;
(6) 분할유니트바닥판과 타측 유니트바닥판을 고정볼트로 체결하여 밀착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볼트의 끝부분은 나사산 형상으로 관통공의 길이(L)보다 짧은 길이(ℓ)로 형성되고 고정볼트의 중간부분은 나사산보다 작은 직경으로 곧게 형성되고 고정볼트의 머리부는 각형으로 형성되며, 관통공의 입구는 고정볼트의 나사산이 나선으로 통과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관통공의 내경은 고정볼트의 나사산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고정볼트의 나사산이 관통구멍을 통과하면 고정볼트의 중간부분이 상하좌우로 여유가 있으면서 타측 유니트바닥판에 테이퍼를 형성한 너트공에 쉽게 체결될 수 있으면서도 고정볼트가 관통구멍에 의하여 고정홀 측 유니트바닥판의 관통공으로부터 쉽게 벗어나지 않게 하며,
상기 유니트바닥판이 연속적으로 거치될 때, 유니트바닥판이 보 형태의 구조물에서 미끄러져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 형태의 구조물 상부를 감싸는 일정 폭의 'ㄷ'자 형태의 덮개가 설치되며, 상기 덮개의 중앙은 중앙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형강을 수용하면서 형강의 수평 이동을 방지하는 보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분할유니트바닥판의 하부에는 패드를 부착하여 상기 제1지지보의 제1지지대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인 단턱부홈이 형성되어 유니트바닥판 및 분할유니트바닥판의 높이를 균일하게 맞출 수 있게 하고,
상기 제1지지보와 제1지지보 사이에 제2지지보를 설치하기 위하여 제1지지보에 'ㄱ'자 형상의 받침대를 각각 고정하고, 상기 받침대가 설치되는 제1지지보의 반대측에 덧판을 각각 고정하며, 상기 받침대의 상부 양측에 걸림턱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제2지지보를 받침대에 거치할 때 제2지지보가 받침대로부터 미끄러져 움직이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를 이용한 시공방법.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2287A KR102182462B1 (ko) | 2019-10-02 | 2019-10-02 |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2287A KR102182462B1 (ko) | 2019-10-02 | 2019-10-02 |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0103A KR20190120103A (ko) | 2019-10-23 |
KR102182462B1 true KR102182462B1 (ko) | 2020-11-24 |
Family
ID=68460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2287A KR102182462B1 (ko) | 2019-10-02 | 2019-10-02 |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2462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19391A (ja) * | 2002-06-20 | 2004-01-22 | Ohbayashi Corp | 覆工板およびその接合構造 |
KR200416824Y1 (ko) * | 2006-03-03 | 2006-05-23 | 고준현 | 구조보강용 복공판 |
KR101300684B1 (ko) * | 2006-12-20 | 2013-08-26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복공판 설치 구조 |
KR101441332B1 (ko) * | 2013-09-27 | 2014-09-17 |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 크린룸 악세스 플로어 프레임 설치용 자재 공급방법 및 장치 |
JP2019070438A (ja) * | 2017-10-11 | 2019-05-09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締結構造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60038B2 (ja) * | 1993-04-13 | 1999-02-24 | ジオスター株式会社 | 部材の高さ調整装置 |
KR100575455B1 (ko) * | 2003-03-27 | 2006-05-03 | 주식회사 승일실업 | 조립식 난간(組立式 欄干) |
KR100818733B1 (ko) | 2006-04-28 | 2008-04-08 | 안승한 |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 |
KR101263746B1 (ko) * | 2010-04-19 | 2013-05-13 | 국방과학연구소 | 전투차량용 폭발형 반응장갑의 장착구조 |
KR101330177B1 (ko) | 2011-03-23 | 2013-11-18 | 박기태 |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 |
KR101856654B1 (ko) | 2016-06-23 | 2018-06-05 | 김은주 | 조립식 문짝의 결합구조 |
-
2019
- 2019-10-02 KR KR1020190122287A patent/KR10218246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19391A (ja) * | 2002-06-20 | 2004-01-22 | Ohbayashi Corp | 覆工板およびその接合構造 |
KR200416824Y1 (ko) * | 2006-03-03 | 2006-05-23 | 고준현 | 구조보강용 복공판 |
KR101300684B1 (ko) * | 2006-12-20 | 2013-08-26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복공판 설치 구조 |
KR101441332B1 (ko) * | 2013-09-27 | 2014-09-17 |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 크린룸 악세스 플로어 프레임 설치용 자재 공급방법 및 장치 |
JP2019070438A (ja) * | 2017-10-11 | 2019-05-09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締結構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0103A (ko) | 2019-10-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61190B2 (en) |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 |
US20100031605A1 (en) |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766807B1 (ko) | 플레이트를 활용한 pc기둥-pc보 강접합 결합구조 및 pc거더-pc빔 강접합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 |
KR102387052B1 (ko) | 단부보강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의 시공 방법 | |
KR102108335B1 (ko) | 내진성능 접합부를 가지는 복합철골보구조 | |
KR102168881B1 (ko) | 교량 점검시설물의 보강 구조체 | |
KR101734187B1 (ko) | 시공 자립도가 확보되고 패널존이 보강된 철근 선조립 기둥 | |
KR101904115B1 (ko) |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 | |
KR102182462B1 (ko) |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1168205B1 (ko) |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및 그 시공 방법 | |
KR101176846B1 (ko) | 보의 내력 강화구조를 갖는 공작물 | |
JP2015229840A (ja) | 組立式足場 | |
KR102102214B1 (ko) |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 |
JP6909000B2 (ja) | 重機支持機構 | |
KR20180003332A (ko) | 교량 유지 점검 시설물 | |
KR101858972B1 (ko) | 상부기둥플레이트 및 하부기둥플레이트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상하 pc기둥 간 콘크리트 무타설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와 기둥플레이트 및 보플레이트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 | |
KR20200013911A (ko) |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 |
CN209778011U (zh) | 杂物电梯井道框架 | |
KR102316321B1 (ko) |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지하구조물의 복공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JP4138426B2 (ja) | 鉄塔の基礎構造 | |
KR102144942B1 (ko) |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2316319B1 (ko) | 유니트바닥판의 연결구조 | |
JP7032051B2 (ja) | 床構造施工方法および床構造再利用方法 | |
KR102627366B1 (ko) | 무용접 찬넬 시스템 | |
JP7195175B2 (ja) | アンカー設置フレーム、アンカー組立体及び梁施工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